KR20200071547A -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547A
KR20200071547A KR1020180159395A KR20180159395A KR20200071547A KR 20200071547 A KR20200071547 A KR 20200071547A KR 1020180159395 A KR1020180159395 A KR 1020180159395A KR 20180159395 A KR20180159395 A KR 20180159395A KR 20200071547 A KR20200071547 A KR 20200071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communication
operat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0642B1 (ko
Inventor
선호동
권기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9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64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실내기가 운전하는 동안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구동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실내기의 운전을 대기하는 동안 동작을 중지하여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여, 실내기의 운전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전력의 소비를 저감하는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OUTDOOR UNIT}
본 발명은 실내기와 통신하는 실외기,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공조기, 특히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 공조 시스템의 실외기의 경우 대기 모드 시에도 SMPS에 전원이 공급되어, 실외기에 포함된 회로 부품(마이컴, Gate Drive, AC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게 됨으로써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실내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실외기에서 전달받기 위해서는 실내기와 실외기 간의 통신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대기 모드 시에도 실외기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운전 대기 시에도 전력 소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전력 소모는 실내기의 공조 운전 시에는 크지 않으나, 운전 대기 모드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비중을 크게 차지하게 된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 10-1657228(2016.09.13. 공고)(이하, 선행문헌 1이라 칭한다)에는 병렬 접점 제어로 대기 전력을 감소하는 에어컨디셔너의 대기 전력 제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은, 실외기가 DC Link 전압을 통해 자체적으로 대기 전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실내기의 운전 상태에 따른 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이에 따라 적절한 대기 전력의 저감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10-2015-0122477(2015.11.02. 공개)(이하, 선행문헌 2라 칭한다)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원 상태를 공급 또는 차단 제어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의 대기 전력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2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전원 공급 또는 차단이 이루어지기 위한 별도의 회로 구성을 필요로 하며, 실외기 자체에서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선행문헌 1과 마찬가지로 실내기의 운전 상태에 따른 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이에 따라 적절한 대기 전력의 저감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이처럼, 종래에는 실내기의 운전 상태에 따른 적절한 대기 전력의 저감 제어 기술이 제안되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해 운전 대기 상태에서의 적절한 전원 공급 및 전원 공급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즉, 종래의 실외기 운전 제어에서는 적절한 대기 전력의 감소가 이루어지기 어려웠으며, 이로 인해 공조기의 운전 시에 불필요한 전력 소비량이 증가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을 한계를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명세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실내기의 운전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전력의 소비를 저감할 수 있는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원 공급이 필요할 시에만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실내기의 운전 시 실내기와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적절한 운전 대기가 이루어질 수 있는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은, 실외기가 실내기의 통신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실내기의 운전 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실내기의 통신수단이 대기 전력이 공급되어 소비되는 실외기의 통신부 및 제어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실내기의 운전 상태에 따라 실외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은, 실내기가 운전하는 동안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구동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실내기의 운전을 대기하는 동안 동작을 중지하여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은, 실내기가 운전하여 통신수단이 동작할 시에 실외기에 전원이 공급되어, 실내기의 운전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전력의 소비를 저감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은, 실내기의 미구동 시에는 실외기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전원 공급이 필요할 시에만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은, 실내기가 운전하는 동안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구동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실내기의 운전을 대기하는 동안 동작을 중지하여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의 실시 예는, 실내기와 통신하는 실외기로, 상기 실내기의 운전 상태에 따라 상기 실내기의 통신회로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통신회로로부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실내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의 통신 및 상기 실외기의 운전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실내기가 운전하는 동안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실내기의 운전을 대기하는 동안 동작을 중지하여 상기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실시 예는, 상호 간에 통신을 수행하는 실외기 및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으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내기의 통신회로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통신회로로부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실내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의 통신 및 상기 실외기의 운전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운전 상태에 따라 상기 통신회로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 또는 분리시켜, 상기 전원부를 동작 또는 중지시킨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의 운전 방법의 실시 예 1은, 실내기의 통신회로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통신회로로부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실내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의 통신 및 상기 실외기의 운전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실외기의 운전 방법으로, 상기 실내기에 운전 시작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실내기가 상기 통신수단과 상기 연결부를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통신수단으로부터 상기 통신부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전원부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전원부가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에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의 운전 방법의 실시 예 2는, 실내기의 통신회로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통신회로로부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실내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의 통신 및 상기 실외기의 운전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실외기의 운전 방법으로, 상기 통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전원부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어, 상기 전원부가 동작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가 상기 실내기에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실내기가 상기 통신수단 및 상기 연결부의 연결을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통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전원부로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중단되는 단계 및 상기 전원부가 동작을 중지하여 상기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은, 실외기의 제어 장치, 공조 시스템의 제어 장치, 공조 시스템의 중앙 제어 장치, 실외기의 제어 방법, 공조 시스템의 제어 방법 등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실외기,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 실외기의 운전 방법, 공조 시스템의 운전 방법 등에도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은, 실외기가 실내기의 통신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함으로써, 실내기의 운전 상태에 따른 전원 공급 및 중단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은, 실내기의 운전 대기 모드 상태에서 적절하게 대기 전력의 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은, 실외기가 실내기의 통신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함으로써, 대기 전력의 저감 제어를 위한 회로 구성을 최소화하면서 대기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은, 실내기가 운전하여 통신수단이 동작할 시에 실외기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전원 공급이 필요할 시에만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은, 실내기가 운전하여 통신수단이 동작할 시에 실외기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실내기의 운전 시 실내기와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적절한 운전 대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및 공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의 통신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원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a.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의 통신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원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b.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의 동작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및 공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적용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a.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및 공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적용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b.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및 공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및 동작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의 운전 방법 1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의 운전 방법 2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를 설명한다.
상기 실외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 시스템(1)에서 실내기(200)와 통신하며 공기 조화 운전을 수행하는 실외기로,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상태에 따라 상기 실내기(200)의 통신회로(210)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연결부(110), 상기 연결부(110)를 통해 상기 통신회로(210)로부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실내기(200)와 통신하는 통신부(120), 상기 통신부(120)의 통신 및 상기 실외기(100)의 운전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130) 및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연결부(110)가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상태에 따라 상기 통신회로(210)와 연결 또는 분리되고, 상기 통신부(120)가 상기 연결부(110)를 통해 상기 통신회로(21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실내기(200)와 통신하고,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통신부(120)의 통신 및 상기 실외기(100)의 운전 수행을 제어하고 상기 전원부(140)가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실내기(200)와 통신하며 운전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10), 상기 통신부(120), 상기 제어부(130) 및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실외기(100)를 제어하는 상기 실외기(100)의 제어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110), 상기 통신부(120), 상기 제어부(130) 및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제어 장치에 포함되어, 상기 실외기(100)의 운전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0), 상기 통신부(120), 상기 제어부(130) 및 상기 전원부(140)를 포함하는 상기 실외기(100)에서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하는 동안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을 대기하는 동안 동작을 중지하여 상기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한다.
즉,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하는 동안은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하게 되어 상기 구동 전원을 상기 제어부(130)에 공급하고,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을 대기하는 동안은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을 중지하게 되어 상기 구동 전원을 상기 제어부(130)에 공급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하는 동안은 상기 전원부(140)로부터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되어, 상기 통신부(120)의 통신 및 상기 실외기(100)의 운전 수행을 제어하게 되고,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을 대기하는 동안은 상기 전원부(140)로부터 상기 구동 전원을 미공급받아 미동작하게 되어, 상기 통신부(120)의 통신 및 상기 실외기(100)의 운전 수행 제어를 대기하게 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중에는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구동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대기 중에는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구동 전원이 미공급됨으로써,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대기 시에 상기 실외기(100)의 대기 전력의 공급 및 소비가 중단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을 대기하는 운전 대기 모드 시에 소모되는 대기 전력을 감소시키게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연결부(110)가 상기 통신회로(210)와 연결되면 상기 통신부(120)가 상기 연결부(110)를 통해 상기 통신회로(21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통신회로(210)와 통신하고, 상기 전원부(140)가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구동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통신부(120)의 통신 및 상기 실외기(100)의 운전 수행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상기 실내기(200)와 통신하며 운전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와 통신하는 상기 통신회로(210)는, 상기 실내기(200)의 통신수단일 수 있다.
상기 통신회로(210)는, 상기 실내기(200)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수단으로, 상기 실내기(200)의 구동 시 동작하여 상기 통신부(12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회로(210)는, 상기 실내기(200)의 구동 시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통신회로(210)는, 상기 실내기(200)의 미구동 시 상기 동작 전원을 미공급받아, 미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회로(210)는,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며 상기 통신부(120)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받지 않은 경우 동작을 중지하여 상기 통신부(120)와 통신을 미수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통신회로(210)는, 도 2a 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2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전원 공급원(100' 또는 200')으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통신회로(210)는, 상기 실내기(200)의 구동 시 상기 실외기(100) 또는 상기 실내기(200)의 전원 공급원(100' 또는 200')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고, 상기 연결부(110)를 통해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통신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100)에 구비된 전원 공급원(100')으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연결부(110)를 통해 상기 통신부(120)에 전달하거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200)에 구비된 전원 공급원(200')으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연결부(110)를 통해 상기 통신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원 공급원(100' 또는 200')과 상기 통신회로(210) 사이에는,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원(100' 또는 200')과 상기 통신회로(210)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개폐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회로(210)는,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110)를 통해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통신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통신회로(210)는,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110)의 연결 또는 분리를 제어하여, 상기 연결부(110)를 통해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통신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회로(210)는, 상기 연결부(110)의 연결 또는 분리를 제어하게 됨으로써, 상기 통신부(120)와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통신부(120)와 상기 통신회로(210) 사이에서 상기 통신부(120)와 상기 통신회로(210)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개폐수단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통신부(120)와 상기 통신회로(210)를 연결 또는 분리하여, 상기 통신회로로(21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통신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 경로를 연결 또는 분리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0)는,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로 이루어져,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상태에 따라 상기 통신부(120)와 상기 통신회로(210)를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이를테면, 포토 커플러로 이루어져, 상기 통신회로(210)의 동작에 따라 상기 통신부(120)와 상기 통신회로(210)를 연결 또는 분리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0)가 포토 커플러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통신회로(210) 측이 입력/발광부가 되고, 상기 통신부(120) 측이 출력/수광부가 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0)는 또한, 릴레이(Relay), 스위칭 반도체 소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시작 시 상기 통신회로(210)와 연결되어, 상기 통신회로(21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고,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대기 시 상기 통신회로(210)와 분리되어,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중단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을 시작하면 상기 통신회로(210)와 연결되어, 상기 통신회로(21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통신부(120)로 전달하게 되고,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을 대기하면 상기 통신회로(210)와 분리되어,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중단되어 상기 통신부(120)로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을 시작하면 상기 연결부(110)가 상기 통신회로(210)와 연결되어, 상기 통신회로(21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게 되어 동작하게 되고,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을 대기하면 상기 연결부(110)가 상기 통신회로(210)와 분리되어, 상기 통신회로(21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중단되어 미동작하게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하는 경우,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게 되어,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전원부(140)에 전달하며 상기 통신회로(210)와 통신하게 되고,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을 대기하는 경우, 상기 동작 전원을 미전달받아 미동작하게 되어,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전원부(140)에 미전달하며 상기 통신회로(210)와 통신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110)가 상기 통신회로(210)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통신부(120) 및 상기 전원부(140)에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어 상기 통신부(120) 및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하게 되어,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을 대기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110)가 상기 통신회로(210)와 분리됨으로써, 상기 통신부(120) 및 상기 전원부(140)에 상기 동작 전원이 미전달되어 상기 통신부(120) 및 상기 전원부(140)가 미동작하게 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상태에 따라 상기 통신회로(210)와 연결 또는 분리되어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실내기(200)로부터 전달받는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통신회로(210)와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실내기(200)로부터 전달받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부(120)와 상기 통신회로(210)를 연결 또는 분리시키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상태에 따라 상기 통신회로(210), 또는 상기 통신회로(210)를 제어하는 상기 실내기(200)의 제어수단에서 생성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실내기(200)는, 운전 시작 시 상기 연결부(110)와 상기 통신회로(210)를 연결시키는 제1 신호를 상기 연결부(110)에 전달하고, 운전 대기 시 상기 연결부(110)와 상기 통신회로(210)를 분리시키는 제2 신호를 상기 연결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회로(210)는, 운전 시작 시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연결부(110)에 전달하여 상기 연결부(110)와 상기 통신회로(210)를 연결시켜,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통신부(120)에 전달하게 되고, 운전 대기 시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연결부(110)에 전달하여 상기 연결부(110)와 상기 통신회로(210)를 분리시켜,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통신부(120)에 미전달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200)는 또한, 상기 통신회로(210)를 통해 상기 통신부(120)와 통신하는 동안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연결부(110)에 전달하고,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연결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내기(200)가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통신부(120)의 통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실내기의 운전 상태를 판단한 결과,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상태가 기설정된 운전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 대기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를 상기 통신회로(21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회로(210)는, 상기 통신부(120)와 통신하는 동안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연결부(110)에 전달하여 상기 연결부(110)와 상기 통신회로(210)를 연결시켜,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통신부(120)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연결부(110)에 전달하여 상기 연결부(110)와 상기 통신회로(210)를 분리시켜,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통신부(120)에 미전달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을 시작하고 운전하는 동안에는 상기 연결부(110)가 상기 통신회로(210)와 연결되어, 상기 동작 전원이 상기 통신부(120)에 전달되고,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을 대기하는 동안에는 상기 연결부(110)가 상기 통신회로(210)와 분리되어, 상기 동작 전원이 상기 통신부(120)에 미전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을 시작하고 운전하는 동안에는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동작하게 되어, 상기 구동 전원을 상기 제어부(130)에 공급하게 되고,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을 대기하는 동안에는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미전달받아 미동작하게 되어, 상기 구동 전원을 상기 제어부(130)에 미공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통신회로(21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수단일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통신회로로(21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통신회로(21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통신회로(210)와 통신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통신회로(210)와의 통신 수행이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제어부(130)에서 생성된 신호를 상기 통신회로(210)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통신회로(21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상기 제어부(130)에 전달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통신회로(21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전원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통신회로(21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은 경우 동작하고,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동작하는 경우,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전원부(140)에 전달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통신부(120)가 상기 통신회로(21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동작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통신부(120)의 통신 및 상기 실외기(100)의 운전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복수의 회로 소자로 이루어져 상기 실외기(1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성을 제어하여 상기 실외기(100)의 전반적인 운전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전원부(140)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구동 전원을 근거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전원부(140)로부터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받은 경우 동작하여, 상기 통신부(120)의 통신 및 상기 실외기(100)의 운전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전원부(140)로부터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 상기 통신회로(210)를 통해 상기 실내기(200)와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부(120)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동안 상기 통신부(120)가 상기 통신회로(210)와 통신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회로(210)는, 상기 통신부(120)와 통신하는 동안 상기 연결부(110)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어부(130)가 동작하는 동안 상기 통신부(120)에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1200가 상기 통신회로(210)와 통신을 유지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연결부(110)와 상기 통신회로(210)의 연결을 유지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통신부(120)의 제어를 통해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상기 실외기(100)의 구성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일 수 있다.
이를테면,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일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는,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로 이루어져,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제어부(130)의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제어부(130)의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연결부(110)를 통해 상기 통신회로(210)로부터 상기 통신부(120)로 전달되어, 상기 통신부(120)에서 전달된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전원을 상기 제어부(130)에 공급하는 공급부(141) 및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상기 공급부(141)를 동작시키는 동작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141)는, 상기 동작부(142)에 의해 동작하거나,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141)는, 상기 동작부(142)에 의해 동작하여,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구동 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동작부(142)는,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상기 공급부(141)를 동작시키거나, 상기 공급부(141)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동작부(142)는,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상기 공급부(141)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공급부(141)를 동작시키거나, 상기 공급부(141)에 전원을 미공급하여 상기 공급부(141)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동작부(142)는, 상기 공급부(141)에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 제어하여 상기 공급부(141)를 동작시키거나, 상기 공급부(141)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은 경우,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상기 공급부(141)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동작하여 상기 공급부(141)를 동작시키고,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미전달받은 경우, 상기 공급부(141)에 전원이 미공급되도록 미동작하여 상기 공급부(141)의 동작을 중지시키게 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상기 공급부(141)를 동작시키는 상기 동작부(1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41)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부(142a) 및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상기 스위치부(142a)를 동작시키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부(142a)에 인가하는 생성부(142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동작부(142)는, 상기 스위치부(142a) 및 상기 생성부(142b)를 통해 상기 공급부(141)로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여 상기 공급부(141)를 동작시키거나 동작을 중지시키게 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142a)는, 릴레이 또는 스위칭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142a)는, 스위칭 동작을 통해 상기 공급부(141)로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여 상기 공급부(141)의 동작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142a)는, 상기 생성부(142b)로부터 인가받은 상기 동작 신호를 근거로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공급부(141)의 동작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142a)는, 상기 동작 신호의 인가 시 상기 공급부(141)의 동작을 온시키고, 상기 동작 신호의 미인가 시 상기 공급부(141)의 동작을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142a)는, 상기 동작 신호의 인가 시 상기 공급부(141)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공급부(141)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급부(141)의 동작을 온시키고, 상기 동작 신호의 미인가 시 미동작하여, 상기 공급부(141)에 전원이 미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급부(141)의 동작을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생성부(142b)는, 복수의 회로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생성부(142b)는, 상기 동작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부(142a)에 상기 동작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생성부(142b)는,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상기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부(142a)에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생성부(142b)는, 복수의 저항 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동작 전원의 전압이 상기 복수의 저항 소자에 분배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동작 전원의 전압이 상기 복수의 저항 소자 각각에 분배되어 걸리는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142a)에 인가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실외기(100)의 구체적인 적용 예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실외기(100)의 구체적인 적용 예에 따른 회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실외기(10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실외기(100)의 실시 예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진 실외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10), 상기 통신부(120), 상기 제어부(130) 및 상기 전원부(140)를 포함하여, 상기 실내기(200)의 상기 통신수단(210)과 통신하며 운전을 수행하되,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하는 동안 상기 통신부(120) 및 상기 전원부(140)가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을 대기하는 동안 상기 통신부(120) 및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을 중지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을 수행하는 상기 실외기(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전원 공급 및 동작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와 통신하는 상기 통신수단(21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100)에 구비된 전원 공급원(100')으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P1)받아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작 전원은, 72[V]일 수 있다. 상기 동작 전원은 또한, 72[V] 이외의 다른 정격의 전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원 공급원(100')과 상기 통신수단(210) 사이에는, 상기 전원 공급원(100')과 상기 통신수단(210)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하나 이상의 개폐수단(S)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수단(210)은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200)에 구비된 전원 공급원(200')으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P1)받아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수단(210)은, 상기 연결부(110)를 통해 상기 통신부(120)와 연결 또는 분리(P2)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0)는, 포토 커플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0)가 포토 커플러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통신부(120) 측에 수광부(110a)가 구비되고, 상기 통신수단(210) 측에 발광부(110b)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수단(21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발광부(110b)에서 광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수광부(110a)에서 이를 수신하여 상기 발광부(11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수광부(110a)와 상기 발광부(110b)의 연결을 통해 상기 통신부(120) 및 상기 통신회로(210)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하는 동안, 즉 상기 통신회로(210)가 동작하여 상기 통신부(120)와 통신 중인 경우, 상기 통신회로(210)의 동작으로 인해 상기 통신회로(210)와 연결되고,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을 대기하는 경우, 즉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통신회로(210)와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회로(210)는,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하는 동안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통신부(120)에 전달(P2 및 P3)하게 되고,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을 대기하는 동안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통신부(120)에 미전달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중에는 상기 통신부(120)가 동작하게 되고,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대기 중에는 상기 통신부(120)가 미동작하게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중에는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하게 되어, 상기 실외기(100)의 운전 수행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고,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대기 중에는 상기 전원부(140)가 미동작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구동 전원을 미공급하게 되어,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대기 및 이에 따른 대기 전력의 소모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연결부(110)를 통해 상기 통신수단(210)으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P2 및 P3)받아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P3)받아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통신수단(210)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P3)받아 동작하는 경우, 상기 통신수단(210)과의 통신(P7)을 통해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통신회로(210)로부터 전달(P2 및 P3)받은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전원부(140)에 전달(P4)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공급부(141) 및 상기 동작부(141)를 포함하여, 상기 동작부(141)가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P4)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상기 공급부(141)를 동작시켜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P5)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141)는, 상기 동작부(142)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은 경우,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공급하는 SMPS일 수 있다. 상기 동작부(142)는, 상기 공급부(141)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상기 스위치부(142a) 및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상기 스위치부(142a)를 동작시키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부(142a)에 인가하는 상기 생성부(14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부(142b)는, 복수의 저항 소자(R1 및 R2)를 포함하여, 상기 동작 전원의 전압이 상기 복수의 저항 소자(R1 및 R2) 각각에 일정 비율로 분배될 수 있다. 상기 생성부(142b)는 또한, 상기 복수의 저항 소자(R1 및 R2) 중 어느 하나와 병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142b)가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P4)받은 경우, 상기 동작 전원의 전압이 상기 복수의 저항 소자 각각에 상기 복수의 저항 소자의 저항값에 따른 비율로 분배되어 걸리게 되고, 상기 복수의 저항 소자 중 상기 스위치부(142a)의 입력단과 연결된 제2 저항 소자(R2)와 병렬로 연결된 상기 커패시터(C)에 전압이 충전됨으로써, 상기 제2 저항 소자(R2)에 일정 전압이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142a)의 입력단에 일정 전압의 동작 신호가 인가됨으로써, 상기 스위치부(142a)가 상기 동작 신호를 근거로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공급부(141)를 동작시키게 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를 들면, 상기 동작 전원이 72[V]이고, 제1 저항 소자가 10[KΩ], 제2 저항 소자가 2.7[KΩ]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생성부(142b)에 전달된 72[V]의 동작 전원의 전압이 하기 전압 분배식에 따라 상기 제1 저항 소자에는 약 57[V]가, 상기 제2 저항 소자에는 약 15[V]가 걸리게 되어, 상기 스위치부(142a)에 상기 스위치부(142a)를 동작시키는 15[V]의 동작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스위치부(142a)가 상기 동작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되어 상기 공급부(141)가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참고] 전압 분배식
제1 저항 소자의 전압: (10/10+2.7)*72 = 56.69[V]
제2 저항 소자의 전압: (2.7/10+2.7)*72 = 15.31[V]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저항 소자는, 상기 스위치부(142a)의 동작 전압에 따라 전압이 분배되는 저항값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로 구성을 통해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 전원을 상기 제어부(130)에 공급(P5)하게 되어,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구동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P5)받아 동작하는 경우, 상기 통신회로(210)와 통신(P7)하도록 상기 통신부(120)를 제어(P6)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P5)받아 동작하게 된 후에는,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통신부(120)와 상기 통신회로(210)의 통신(P7)을 제어(P6)하여 상기 통신회로(210)가 상기 연결부(110)의 연결을 유지하도록 하게 됨으로써, 상기 통신부(120), 상기 전원부(140) 및 상기 제어부(130)의 동작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통신부(120) 및 상기 통신회로(210)는 상호 간의 통신(P8)을 통해 운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여, 운전 상태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통신부(120)가 상기 통신회로(21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130)에 전달(P9)하여, 상기 제어부(130)가 이를 근거로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상태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회로(210)와 통신(P7)하도록 상기 통신부(120)의 통신을 제어(P6)하게 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 대기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전달(P9)받은 상기 통신회로(210)의 운전 상태에 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대기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P6) 상기 상기 통신회로(210)에 전달(P7)함으로써, 상기 통신회로(210)가 상기 연결부(110)를 분리시키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 칭한다)을 설명하되, 앞서 상기 실외기(100)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은 가급적 생략한다.
상기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간에 통신을 수행하는 실외기(100) 및 실내기(200)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을 의미한다.
상기 시스템(1)은, 앞서 설명한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에서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실내기(200)의 통신회로(210)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연결부(110), 상기 연결부(110)를 통해 상기 통신회로(2100로부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실내기(200)와 통신하는 통신부(120), 상기 통신부(120)의 통신 및 상기 실외기(100)의 운전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130) 및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200)는, 상기 통신부(120)와 통신하여 상기 실외기(10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통신회로(210)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1)에서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실내기(200)와 통신하며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상태에 따라 운전하고, 상기 실내기(200)는, 운전 상태에 따라 상기 통신회로(210)와 상기 연결부(110)를 연결 또는 분리시켜, 상기 전원부(140)를 동작 또는 중지시킨다.
즉, 상기 시스템(1)에서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 상태에 따라 상기 통신회로(210)와 상기 연결부(110)를 연결 또는 분리시켜, 상기 전원부(140)를 동작 또는 중지시킴으로써,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 상태에 따라 상기 구동 전원의 공급 또는 공급 중단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200)는, 운전하는 동안 상기 통신회로(210)와 상기 연결부(110)를 연결시켜, 상기 통신부(120)에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하여 상기 전원부(1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 중인 경우,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연결부(110)가 상기 통신회로(210)와 연결되고, 상기 통신부(120)가 상기 통신회로(21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동작하고, 상기 전원부(140)가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200)는, 운전을 대기하는 동안 상기 통신회로(210)와 상기 연결부(110)를 분리시켜,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을 중단하여 상기 전원부(14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 대기 중인 경우,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연결부(110)가 상기 통신회로(210)와 분리되고, 상기 통신부(120)가 상기 통신회로(21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미전달받아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전원부(140)가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미전달받아 동작을 중지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구동 전원을 미공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200)는, 운전을 대기하는 중 외부의 제어수단으로부터 운전 시작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통신회로(210)와 상기 연결부(110)를 연결시켜,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하여 상기 전원부(1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실외기(200)는,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을 대기하는 중 외부의 제어수단으로부터 운전 시작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게 되면,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을 시작하게 되어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게 되어,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200)는,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하는 중 상기 실외기(10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 중단에 대한 요청을 전달받은 경우, 상기 통신회로(210)와 상기 연결부(110)를 분리시켜,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을 중단하여 상기 전원부(14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실내기(200)가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하는 중 중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 중단에 대한 요청을 상기 실내기(200)에 전달하면,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을 대기하게 되어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중단되어,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을 중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실내기(200)와의 통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상태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실내기(200)에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에 대한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실내기(200)와의 통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 중인 상태인지, 또는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을 대기 중인 상태인지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실내기(200)에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에 대한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상태를 판단한 결과,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을 시작하거나 또는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 중인 경우,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 유지에 대한 요청을 상기 실내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하는 동안, 즉 운전 모드 시에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유지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통신부(120) 및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을 유지하게 되어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구동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상태를 판단한 결과,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상태가 기설정된 운전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실내기(200)가 운전을 대기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 중단에 대한 요청을 상기 실내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을 대기하는 동안, 즉 대기 모드 시에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중단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통신부(120) 및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을 중지하게 되어 상기 구동 전원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시스템(1)은, 하술할 실외기의 운전 방법(이하, 운전 방법 1이라 칭한다)이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운전 방법 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실외기(100) 또는 상기 시스템(1)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앞서 설명한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시스템(1)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앞서 설명한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시스템(1)의 이외의 실외기나 공조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운전 방법 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200)와 통신하는 상기 실외기(100)의 운전 방법을 의미한다.
상기 운전 방법 1은, 상기 시스템(1)에서 상기 실외기(100)의 운전을 시작하는 방법, 또는 운전 시작을 제어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운전 방법 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200)의 통신회로(210)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연결부(110), 상기 연결부(110)를 통해 상기 통신회로(2100로부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실내기(200)와 통신하는 통신부(120), 상기 통신부(120)의 통신 및 상기 실외기(100)의 운전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130) 및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0)를 포함하는 상기 실외기(100)의 운전 방법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200)에 운전 시작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S11), 상기 실내기(200)가 상기 통신수단(210)과 상기 연결부(110)를 연결시키는 단계(S12), 상기 통신수단(210)으로부터 상기 통신부(120)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S13),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전원부(140)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S14) 및 상기 전원부(140)가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1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운전 시작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S11), 상기 통신수단(210)과 상기 연결부(110)를 연결시키는 단계(S12), 상기 통신부(120)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S13), 상기 전원부(140)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S14) 및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15) 순으로 운전을 시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운전 시작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S11)는, 운전 전인 상기 실내기(200)에 상기 운전 시작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통신수단(210)과 상기 연결부(110)를 연결시키는 단계(S12)는, 상기 실내기(200)가 상기 운전 시작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S11)에서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연결부(110)와 상기 통신수단(210)을 연결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수단(210)과 상기 연결부(110)를 연결시키는 단계(S12)에서, 상기 통신부(120)와 상기 통신수단(210)이 상기 연결부(110)를 통해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신부(120)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S13)는, 상기 통신수단(210)과 상기 연결부(110)를 연결시키는 단계(S12)에서 상기 연결부(110)와 상기 통신회로(210)가 연결된 후, 상기 연결부(110)를 통해 상기 통신회로(210)에서 상기 통신부(120)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S13)는, 상기 통신회로(210)가 전원 공급원(100' 또는 200')으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연결부(110)를 통해 상기 통신부(120)로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S13)는, 상기 통신부(120)가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S14)는, 상기 통신부(120)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S13)에서 상기 통신부(120)에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된 후,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전원부(140)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S14)는, 상기 통신부(120)가 상기 통신회로(21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동작하고,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전원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S14)는, 상기 전원부(140)가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15)는, 상기 전원부(140)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S14)에서 상기 전원부(140)에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된 후, 상기 전원부(140)가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구동 전원을 상기 제어부(130)에 공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15)는, 상기 전원부(140)가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15)는,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운전 방법 1은, 상기 실외기(100)에서 상기 운전 시작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S11), 상기 통신수단(210)과 상기 연결부(110)를 연결시키는 단계(S12), 상기 통신부(120)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S13), 상기 전원부(140)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S14) 및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15) 순으로 전원 공급 및 동작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통신부(120), 상기 전원부(140) 및 상기 제어부(130)가 동작하게 되어 상기 실외기(100)의 운전 수행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운전 시작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S11), 상기 통신수단(210)과 상기 연결부(110)를 연결시키는 단계(S12), 상기 통신부(120)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S13), 상기 전원부(140)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S14) 및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15)를 포함하는 상기 운전 방법 1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시스템(1)의 제어장치,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200)의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시스템(1)은 또한, 하술할 실외기의 운전 방법(이하, 운전 방법 2라 칭한다)도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운전 방법 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실외기(100) 또는 상기 시스템(1)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앞서 설명한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시스템(1)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앞서 설명한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시스템(1)의 이외의 실외기나 공조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운전 방법 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200)와 통신하는 상기 실외기(100)의 운전 방법을 의미한다.
상기 운전 방법 2는, 상기 시스템(1)에서 상기 실외기(100)의 운전 대기 모드를 수행하는 방법, 또는 대기 운전 모드를 수행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운전 방법 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200)의 통신회로(210)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연결부(110), 상기 연결부(110)를 통해 상기 통신회로(2100로부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실내기(200)와 통신하는 통신부(120), 상기 통신부(120)의 통신 및 상기 실외기(100)의 운전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130) 및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0)를 포함하는 상기 실외기(100)의 운전 방법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수단(210)으로부터 상기 전원부(140)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어,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하는 단계(S21), 상기 통신부(120)가 상기 실내기(200)에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S22), 상기 실내기(200)가 상기 통신수단(210) 및 상기 연결부(110)의 연결을 분리시키는 단계(S23), 상기 통신수단(210)으로부터 상기 전원부(140)로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중단되는 단계(S24) 및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을 중지하여 상기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S2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하는 단계(S21), 상기 실내기(200)에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S22), 상기 통신수단(210) 및 상기 연결부(110)의 연결을 분리시키는 단계(S23), 상기 통신수단(210)으로부터 상기 전원부(140)로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중단되는 단계(S24) 및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을 중지하여 상기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S25) 순으로 대기 운전 모드를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하는 단계(S21)는,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중 상기 통신수단(210)으로부터 상기 전원부(140)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어,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실내기(200)에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S22)는,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중 상기 통신부(120)가 상기 실내기(200)에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를 상기 통신회로(210)에 전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실내기(200)에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S22)는,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중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통신부(120)와 상기 통신회로(210)의 통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상태를 판단한 결과,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상태가 운전 대기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통신회로(210)에 상기 실내기(200)의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통신수단(210) 및 상기 연결부(110)의 연결을 분리시키는 단계(S23)는, 상기 통신회로(210)가 상기 실내기(200)에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S22)에서 상기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통신회로(210)가 상기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에 따라 상기 연결부(110)의 연결을 분리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통신수단(210) 및 상기 연결부(110)의 연결을 분리시키는 단계(S23)는, 상기 연결부(110)를 통해 상기 통신회로(210)에서 상기 통신부(120)로 상기 동작 전원이 공급되는 중, 상기 통신회로(210)가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에 따라 상기 연결부(110)의 연결을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통신수단(210)으로부터 상기 전원부(140)로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중단되는 단계(S24)는, 상기 통신수단(210) 및 상기 연결부(110)의 연결을 분리시키는 단계(S23)에서 상기 통신수단(210) 및 상기 연결부(110)가 분리된 후, 상기 통신수단(210)에서 상기 통신부(120)로 전달되는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중단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통신수단(210)으로부터 상기 전원부(140)로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중단되는 단계(S24)는, 상기 통신부(120)로 전달되는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중단되어 상기 통신부(120)의 동작이 중지되고,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전원부(140)로의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중단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을 중지하여 상기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S25)는, 상기 통신수단(210)으로부터 상기 전원부(140)로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중단되는 단계(S24)에서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중단된 후,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을 중지하여 상기 제어부(130)로의 상기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을 중지하여 상기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S25)는,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을 중지하여, 상기 제어부(130)로의 상기 구동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어, 상기 제어부(130)의 동작이 중지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운전 방법 2는, 상기 실외기(100)에서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하는 단계(S21), 상기 실내기(200)에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S22), 상기 통신수단(210) 및 상기 연결부(110)의 연결을 분리시키는 단계(S23), 상기 통신수단(210)으로부터 상기 전원부(140)로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중단되는 단계(S24) 및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을 중지하여 상기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S25) 순으로 전원 공급 중단 및 동작 중지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통신부(120), 상기 전원부(140) 및 상기 제어부(130)의 동작 및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상기 실외기(100)의 대기 운전 모드가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하는 단계(S21), 상기 실내기(200)에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S22), 상기 통신수단(210) 및 상기 연결부(110)의 연결을 분리시키는 단계(S23), 상기 통신수단(210)으로부터 상기 전원부(140)로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중단되는 단계(S24) 및 상기 전원부(140)가 동작을 중지하여 상기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S25)를 포함하는 상기 운전 방법 2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시스템(1)의 제어장치,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200)의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의 실시 예들은, 각 실시 예들이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고, 또는 하나 이상의 실시 예가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의 실시 예들은, 상기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실외기의 제어 장치, 공조 시스템의 제어 장치, 공조 시스템의 중앙 제어 장치, 실외기의 제어 방법, 공조 시스템의 제어 방법,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 실외기의 운전 방법, 공조 시스템의 운전 방법 등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공조 시스템 100: 실외기
110: 입력부 120: 통신부
130: 제어부 140: 전원부
200: 실내기 210: 통신회로

Claims (20)

  1. 실내기와 통신하는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운전 상태에 따라 상기 실내기의 통신회로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통신회로로부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실내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의 통신 및 상기 실외기의 운전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실내기가 운전하는 동안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실내기의 운전을 대기하는 동안 동작을 중지하여 상기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회로는,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통신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실내기의 운전 시작 시 상기 통신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통신회로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고, 상기 실내기의 운전 대기 시 상기 통신회로와 분리되어,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실내기로부터 전달받는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통신회로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운전 시작 시 상기 연결부와 상기 통신회로를 연결시키는 제1 신호를 상기 연결부에 전달하고, 운전 대기 시 상기 연결부와 상기 통신회로를 분리시키는 제2 신호를 상기 연결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통신부와 통신하는 동안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연결부에 전달하고, 상기 통신부로부터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연결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의 통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실내기의 운전 상태를 판단한 결과, 상기 실내기의 운전 상태가 기설정된 운전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실내기가 운전 대기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실내기의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를 상기 통신회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
    상기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실내기와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부의 통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구동 전원을 상기 제어부에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상기 공급부를 동작시키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공급부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상기 스위치부를 동작시키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부에 인가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동작 신호의 인가 시 상기 공급부의 동작을 온시키고, 상기 동작 신호의 미인가 시 상기 공급부의 동작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12. 상호 간에 통신을 수행하는 실외기 및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내기의 통신회로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통신회로로부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실내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의 통신 및 상기 실외기의 운전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운전 상태에 따라 상기 통신회로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 또는 분리시켜, 상기 전원부를 동작 또는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운전하는 동안 상기 통신회로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시켜, 상기 통신부에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하여 상기 전원부를 동작시키고, 운전을 대기하는 동안 상기 통신회로와 상기 연결부를 분리시켜,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을 중단하여 상기 전원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운전을 대기하는 중 외부의 제어수단으로부터 운전 시작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통신회로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시켜,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하여 상기 전원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하는 중 상기 실외기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 중단에 대한 요청을 전달받은 경우,
    상기 통신회로와 상기 연결부를 분리시켜,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을 중단하여 상기 전원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내기와의 통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실내기의 운전 상태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실내기에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에 대한 요청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내기의 운전 상태를 판단한 결과, 상기 실내기가 운전을 시작하거나 또는 상기 실내기가 운전 중인 경우,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 유지에 대한 요청을 상기 실내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내기의 운전 상태를 판단한 결과, 상기 실내기의 운전 상태가 기설정된 운전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실내기가 운전을 대기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 중단에 대한 요청을 상기 실내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9. 실내기의 통신회로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통신회로로부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실내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의 통신 및 상기 실외기의 운전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실외기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에 운전 시작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실내기가 상기 통신수단과 상기 연결부를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통신수단으로부터 상기 통신부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전원부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전원부가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에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의 운전 방법.
  20. 실내기의 통신회로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통신회로로부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실내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의 통신 및 상기 실외기의 운전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동작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실외기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전원부로 상기 동작 전원이 전달되어, 상기 전원부가 동작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가 상기 실내기에 운전 대기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실내기가 상기 통신수단 및 상기 연결부의 연결을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통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전원부로 상기 동작 전원의 전달이 중단되는 단계; 및
    상기 전원부가 동작을 중지하여 상기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의 운전 방법.
KR1020180159395A 2018-12-11 2018-12-11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 KR102240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395A KR102240642B1 (ko) 2018-12-11 2018-12-11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395A KR102240642B1 (ko) 2018-12-11 2018-12-11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547A true KR20200071547A (ko) 2020-06-19
KR102240642B1 KR102240642B1 (ko) 2021-04-15

Family

ID=71137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395A KR102240642B1 (ko) 2018-12-11 2018-12-11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6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1179A (ko) * 2005-06-15 200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가 구비된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KR20080035173A (ko) * 2006-10-18 2008-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2107779A (ja) * 2010-11-15 2012-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KR20130070069A (ko) * 2011-12-19 201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장치 및 공기 조화장치 제어방법
KR20150122477A (ko) * 2014-04-23 2015-11-02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의 대기전력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1179A (ko) * 2005-06-15 200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가 구비된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KR20080035173A (ko) * 2006-10-18 2008-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2107779A (ja) * 2010-11-15 2012-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KR20130070069A (ko) * 2011-12-19 201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장치 및 공기 조화장치 제어방법
KR20150122477A (ko) * 2014-04-23 2015-11-02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의 대기전력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642B1 (ko)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2658B2 (ja) ネットワーク
CN103843287A (zh) 电照明系统功率控制
KR20170007814A (ko) 쾌속 충전 방법, 전원 어댑터 및 모바일 단말기
US20100274943A1 (en) Line-card disabling for power management
WO2006007238A2 (en) Dc/dc converter with multiple mutually-isolated power sources
EP3425296A1 (en) Starting circuit for starting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KR101724767B1 (ko)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
KR102240642B1 (ko) 실외기, 공조 시스템 및 실외기의 운전 방법
US8799688B2 (en) Bridge capable of power saving by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host through a power pin of a connector
JP655502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通信中継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CN115733237A (zh) 储能系统和黑启动装置
US8601303B2 (en) Storage system
US63973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sumption current in computer system
JP3834217B2 (ja) イーサネット給電方式および給電機能を有するhubおよび受電機能を有する端末ならびに給電装置
JP2001005350A (ja) 画像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3209939A (ja) 代理応答機能付き電源制御装置および電源制御プログラム
JP4410364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駆動装置
JP5142630B2 (ja) 情報通信装置
WO2012164651A1 (ja) インタフェース装置、計算機システム、及び計算機制御方法
US9684365B2 (en) Responding device and responding method
JP3485074B2 (ja) イーサネットスイッチングハブ
KR20120015602A (ko) 이더넷 기반의 네트워크 통신 장치 및 그의 저전력 동작 방법
JP3301481B2 (ja) サーバ装置の監視制御方法および電源制御装置
JPH02202157A (ja) データ回線終端装置
JP200033906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