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767B1 -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767B1
KR101724767B1 KR1020120038400A KR20120038400A KR101724767B1 KR 101724767 B1 KR101724767 B1 KR 101724767B1 KR 1020120038400 A KR1020120038400 A KR 1020120038400A KR 20120038400 A KR20120038400 A KR 20120038400A KR 101724767 B1 KR101724767 B1 KR 101724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control signal
switching control
signal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5776A (ko
Inventor
이은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8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76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5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9/00Safety arrangements
    • G05B9/02Safety arrangements electric
    • G05B9/03Safety arrangements electric with multiple-channel loop, i.e. redundant control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소자를 제어하는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를 포함하는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제1 제어기와 제2 제어기의 동작 모드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전환 제어부 및 제1 제어기 또는 제2 제어기 중 어느 하나의 출력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전환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일단이 제1 제어기 또는 제2 제어기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REDUNDANCY CONTROL APPARATUS FOR HVDC SYSTEM}
본 발명은 이중화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HVDC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이중화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고압 직류송전(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은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교류전력을 직류로 변환시켜 송전한 이후, 수전점에서 교류로 재 변환시켜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HVDC 송전 방식은 교류 송전방식의 장점인 전압 승압을 통한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전력 전송을 가능하게 하고, 교류 송전의 여러 가지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송전 방식이다.
HVDC 시스템은 크게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전류형 HVDC와 IGBT나 GTO를 이용한 전압형 HVDC로 나눌 수 있다. 전류형 HVDC는 대용량 전력전송에 적합하고, 전압형 HVDC는 높은 손실 때문에 계통안정화나 소용량 전력전송에 적합하다.
이러한 HVDC 시스템은 안정적인 운전이 매우 중요하므로 HVDC 시스템의 제어기 등의 관련 설비가 이중화 구성되어 운용된다. HVDC 시스템 제어기의 이중화 운용에 있어서, 핫 스탠바이(hot standby)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핫 스탠바이 방식이란 이중화된 두 개의 제어기가 상시 구동되고 있는 상태이나, 액티브 모드인 제어기만이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이러한 핫 스탠바이 방식에 의하면, 액티브 모드의 제어기에 오류가 발생하여 다른 제어기로 시스템 전환이 이루어질 경우, 스탠바이 모드의 제어기가 제어신호를 출력하기까지 일정한 시간이 소요된다. 이와 같이, 시스템 전환시 일정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사이리스터 밸브를 비롯한 HVDC 시스템의 관련 설비로 각종 제어신호가 전혀 전달이 되지 않거나, 각종 제어신호가 두 개의 제어기로부터 동시에 출력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중화된 제어기의 동시출력 방식을 이용하여 HVDC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한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는, 전력소자를 제어하는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제어기와 제2 제어기의 동작 모드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전환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기 또는 제2 제어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전환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일단이 상기 제1 제어기 또는 제2 제어기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전환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제어기와 제2 제어기의 동작 모드 전환 여부를 판단하여 각 제어기의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COL(change over logic) 및 상기 COL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상태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I/0 선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1 제어기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치부에 전달하는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2 제어기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치부에 전달하는 제2 입출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는 상기 전력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상태 신호는 인에이블 신호와 펄스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I/O 선택 모듈은 상기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 중 액티브 모드인 제어기의 상기 인에이블 신호 또는 펄스 신호에 오류 발생시, 상기 제1 제어기와 제2 제어기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제어기의 출력 제어신호를 상기 전력소자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제어기의 출력 제어신호를 상기 전력소자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는 소정의 시간 차이를 두고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이중화된 제어기를 동시출력 방식으로 운용하고, 각 제어기의 동작 모드 전환을 제어하기 위하여 스위칭되는 릴레이의 시간차 구동을 이용하여, 동작 모드 전환시 제어기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함으로써 HVDC 시스템의 신뢰성 있는 운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위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는 제1 제어기(100),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 제2 제어기(200), 제2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10), 전환 제어부(300), 스위치부(400) 및 전력 소자(500)를 포함한다.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는 HVDC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하여 이중화되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중화된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는 동시출력 방식으로 운용된다. 즉,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 중 어느 하나는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고 다른 하나는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지만,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는 동작하는 모드에 관계없이 상시 구동되며 제어신호를 각기 출력한다.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제어신호는 스위치부(400)로 제공되는데, 스위치부(400)가 전환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어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 중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기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만을 전력 소자(500)로 전달함으로써,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의 이중화 구동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제어기(100)가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고, 제2 제어기(200)가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일예로써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는 AC전원을 미리 설정된 레벨의 DC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HVDC 시스템의 사이리스터 밸브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점호신호 또는 소호신호를 생성하여 사이리스터 밸브로 제공한다. 또한,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는 변전소 내의 다양한 전력 소자(5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와 제2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10), 스위치부(400)를 거쳐 전력 소자(500)로 제공한다.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와 제2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10)는 각각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서 스위치부(400)에 전달한다.
전환 제어부(300)는 제1 제어기(100) 및 제2 제어기(200)와 스위치부(400) 사이에 형성되며,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의 동작 상태 전환을 제어한다. 전환 제어부(300)는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의 동작 모드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전환 제어부(300)는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로부터 각각의 동작상태 정보를 제공받고, 액티브 모드의 제1 제어기(100)와 스탠바이 모드의 제2 제어기(200)의 동작 모드 전환 여부를 판단하여 각 제어기에 대응되는 상태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전환 제어부(300)는 생성된 상기 상태 신호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부(400)에 전달함으로써, 제1 제어기(100) 또는 제2 제어기(200) 중 어느 하나, 즉,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제1 제어기(100)의 출력 제어신호만을 전력 소자(500)로 전달하도록 한다.
전환 제어부(300)는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의 동작 모드 전환을 관장하는 COL(310)(Change Over Logic)과,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I/O 선택 모듈(320)을 포함한다.
COL(310)은 제1 제어기(100) 및 제2 제어기(2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각 제어기의 동작상태 정보를 입력받는다. COL(310)은 상기 동작상태 정보로부터 각 제어기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각 제어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태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상태 신호는, 각 제어기에 대응되는 인에이블 신호와 펄스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인에이블 신호는 각 제어기가 구동되는 경우에 출력하는 하이 레벨의 신호이고, 상기 펄스 신호는 각 제어기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경우에 출력하는 신호이다. 제1 제어기(100) 또는 제2 제어기(200)의 동작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COL(310)은 오류가 발생한 상기 상태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오류가 발생한 상기 상태 신호라 함은, 예를 들어,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로우 레벨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펄스 신호가 시간에 따른 레벨 변화 없이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I/O 선택 모듈(320)은 COL(310)로부터 입력되는 각 제어기의 상태 신호에 따라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의 동작 모드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I/O 선택 모듈(320)은 동작 모드 전환 제어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다수의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 다이오드 등을 포함하는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O 선택 모듈(320)은 각 제어기의 상기 상태 신호에 오류가 발생하는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는데, 상기 인에이블 신호와 펄스 신호가 모두 정상인지를 판단하여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제1 제어기(100)에 대응되는 상기 상태 신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 경우, I/O 선택 모듈(320)은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여, 제2 제어기(200)가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는 제2 제어기(200)에 대응되는 상기 상태 신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I/O 선택 모듈(320)은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지 않고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의 동작 모드 전환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각 제어기의 상태 신호로서 인에이블 신호와 펄스 신호를 이용하고, 인에이블 신호와 펄스 신호 모두의 오류 발생 여부에 따라 동작 모드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므로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의 안정적인 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스위치부(400)는 일단이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 또는 제2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10)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타단이 전력 소자(500)와 접속되는 일종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스위치부(400)는 스위치부(400)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제1 제어기(100) 또는 제2 제어기(200)에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제어신호를 각각 동시 출력하는 제1 제어기(100) 또는 제2 제어기(200) 중 액티브 모드인 제1 제어기(100)의 출력 제어신호만을 전력 소자(500)로 전달한다.
전력 소자(500)는 제1 제어기(100) 또는 제2 제어기(200)에 의해 제어되는 변전소 내의 다양한 전력 소자 및 설비, 사이리스터 밸브 등을 나타낸다. 변전소 내의 전력 소자로는 예를 들어, 온도 센서, 프레스 센서, DS(disconnect switch), CB(circuit break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는 동시출력 방식의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의 이중화 운용을 위하여 전환 제어부(300)가 각 제어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제1 제어기(100) 또는 제2 제어기(200)의 동작 모드 전환을 제어한다.
즉, 동시출력 방식의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는 동작 모드와 무관하게 상시 구동되고, 다양한 제어신호를 동시에 출력한다. 각 제어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어신호는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와 제2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10)를 거쳐서 스위치부(400)에 제공된다. 스위치부(400)는 전환 제어부(300)로부터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일단이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 또는 제2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10)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액티브 모드인 제1 제어기(100)의 상기 제어신호만을 각종 전력 소자(500)로 전달한다.
한편, 전환 제어부(300)에 구비되는 COL(310)은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각 제어기에 대응되는 상태 신호, 즉, 인에이블 신호와 펄스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액티브 모드인 제1 제어기(100)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COL(310)은 오류가 발생한 제1 상태 신호(제1 제어기(100)에 대응되는 상태 신호)와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제2 상태 신호(제2 제어기(200)에 대응되는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I/O 선택 모듈(320)에 전달한다. I/0 선택 모듈(320)은 제1 상태 신호에 오류가 발생하였으므로, 제1 제어기(100)와 제2 제어기(200)의 동작 모드를 변경시키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부(400)에 제공한다. 제1 제어기(100)가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는, 스위치부(400)에 구비되는 상기 스위치의 일단이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에 접속되고, 타단이 전력 소자(500)에 접속된다. 그런데, 제1 제어기(100)에 오류가 발생함에 따라, 동작 모드를 변경시키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치의 일단이 제2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10)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제2 제어기(200)에 의하여 HVDC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스위치부(400)에 구비되는 스위치의 일예로서 릴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경우에서와 같이, 액티브 모드의 제어기가 제1 제어기(100)에서 제2 제어기(200)로 변경됨에 따라,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에 접속되어 있던 상기 릴레이의 일단이 제2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10)에 접속된다. 이 경우, 상기 릴레이의 동작 시간에 해당되는 시간동안 전력 소자(500)에 적절한 제어신호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HVDC 시스템의 안정적인 이중화 운용을 위해서는 상기 릴레이의 동작 시간을 최소화하여야 할 것이며, 도 2를 참조하여 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스위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a)에는 하나의 릴레이(즉,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치부(400)가 도시되고, (b)에는 두 개의 릴레이를 구비하는 스위치부(400)가 도시된다.
(a)의 경우, 상기 릴레이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일단이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와 제2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10)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이에 따라 상기 릴레이의 일단이 접속된 측의 제어기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전력 소자(500)로 전달된다. 그런데, (a)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릴레이의 일단이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제2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10)로 이동 접속되거나, 그 반대의 경우에 상기 릴레이의 동작 시간동안 상기 릴레이의 일단이 어느 접점에도 접속되지 않게 되므로 HVDC 시스템의 불안정도가 높아질 수 있다.
한편, (b)의 경우, 스위치부(400)에 좌측의 제1 릴레이와, 우측의 제2 릴레이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릴레이의 입력 측 접점 중 좌측 접점은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와 접속되고 우측 접점은 접지와 접속된다. 상기 제2 릴레이의 입력 측 접점 중 좌측 접점은 접지와 접속되고, 우측 접점은 제2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10)에 접속된다. 상기 제1 릴레이와 제2 릴레이의 출력 측 접점은 전력 소자(500)와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릴레이와 제2 릴레이는 상호 시간 차이를 두고 동작한다.
이하, (b)에 도시된 스위치부(400)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제어기(100)가 액티브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릴레이의 일단은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에 접속된 좌측 접점에 접속되고, 상기 제2 릴레이의 일단은 접지에 접속된 좌측 접점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1 제어기(100)의 제어신호만이 전력 소자(500)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 제어기(100)에 오류가 발생하여 액티브 모드의 제어기가 제1 제어기(100)에서 제2 제어기(200)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2 릴레이가 먼저 동작하여 그 일단이 제2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10)와 접속된 우측 접점에 접속되고, 상기 제2 릴레이의 일단이 상기 우측 접점에 접속되는 순간, 상기 제1 릴레이가 동작하여 그 일단이 접지와 접속된 우측 접점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이중화된 제어기의 동작 모드가 변경되더라도, 전력 소자(500)로 적절한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제어신호가 제1 제어기(100) 및 제2 제어기(200)로부터 중복 입력된다거나 상기 제어신호가 미입력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HVDC 시스템의 안정적인 이중화 운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제1 제어기
200 : 제2 제어기
300 : 전환 제어부
310 : COL(Change Over Logic)
320 : I/O 선택 모듈
400 : 스위치부
500 : 전력 소자

Claims (7)

  1. 전력소자를 제어하는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를 포함하는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제어기와 제2 제어기의 동작 모드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전환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기 또는 제2 제어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전환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일단이 상기 제1 제어기 또는 제2 제어기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전력소자에 접속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제어기의 출력 제어신호를 상기 전력소자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제어기의 출력 제어신호를 상기 전력소자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는 소정의 시간 차이를 두고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제어기와 제2 제어기의 동작 모드 전환 여부를 판단하여 각 제어기의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COL(change over logic); 및
    상기 COL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상태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I/0 선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치부에 전달하는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2 제어기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치부에 전달하는 제2 입출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는,
    상기 전력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신호는,
    인에이블 신호와 펄스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O 선택 모듈은,
    상기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 중 액티브 모드인 제어기의 상기 인에이블 신호 또는 펄스 신호에 오류 발생시, 상기 제1 제어기와 제2 제어기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


  7. 삭제
KR1020120038400A 2012-04-13 2012-04-13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 KR101724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400A KR101724767B1 (ko) 2012-04-13 2012-04-13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400A KR101724767B1 (ko) 2012-04-13 2012-04-13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776A KR20130115776A (ko) 2013-10-22
KR101724767B1 true KR101724767B1 (ko) 2017-04-07

Family

ID=4963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400A KR101724767B1 (ko) 2012-04-13 2012-04-13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7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850B1 (ko) * 2013-12-30 2016-01-07 주식회사 효성 Hvdc 시스템의 전원 이중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78393B1 (ko) * 2014-03-17 2018-07-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이중화 시스템
KR101580734B1 (ko) * 2014-04-14 2015-12-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Hvdc 시스템의 절체 방법
KR101596138B1 (ko) * 2014-05-14 2016-02-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764680B1 (ko) * 2014-12-29 2017-08-03 주식회사 효성 이중화 제어 시스템
KR101769664B1 (ko) 2015-03-10 2017-08-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4722A (ja) * 2005-12-16 2007-06-28 Mitsubishi Electric Corp Cpu二重化用ベースユニットおよびcpu二重化システム
JP2009032100A (ja) * 2007-07-27 2009-02-12 Omron Corp 二重化plc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301B1 (ko) * 2002-03-13 2003-12-31 한국전기연구원 계층적 제어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제어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4722A (ja) * 2005-12-16 2007-06-28 Mitsubishi Electric Corp Cpu二重化用ベースユニットおよびcpu二重化システム
JP2009032100A (ja) * 2007-07-27 2009-02-12 Omron Corp 二重化pl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776A (ko) 201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767B1 (ko)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
US10132871B2 (en) Battery system
CN105190452A (zh) 驱动逆变器的安全的电压连接
CN111355428A (zh) 安全转矩关断电路及其应用的电机控制系统
JP6408068B2 (ja) 電池システム
JP5931462B2 (ja) 入出力制御システム
CN113783295A (zh) 一种配电系统远程控制装置及方法
JP2002034177A (ja) 2系統入力電源装置
KR101764680B1 (ko) 이중화 제어 시스템
JPH10173685A (ja) フィールドバス装置
CN201877880U (zh) 一种用于主备设备电机控制切换电路
CN101853063A (zh) 主备电源切换方法
JP2008306285A (ja) 半導体スイッチの制御装置
CN113759694A (zh) 一种双余度流量调节机构控制系统及其余度切换方法
US10855084B2 (en) Power conversion system for power system interconnection
JP6492745B2 (ja) 無停電電源装置
JP2010068674A (ja) 無停電電源装置
KR20100001744U (ko) 자동 부하절체 시스템
JP2011030324A (ja) 電源装置
KR102281632B1 (ko) 인버터 보호장치
KR20150105862A (ko) 전원 절환 장치
JP6649447B2 (ja) 電池システム
US6636101B2 (en) 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US11876367B2 (en) Modularized DC interconnection device and system thereof
US11277006B2 (en) Modularized interconnection device and syste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