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197A -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197A
KR20200071197A KR1020180158426A KR20180158426A KR20200071197A KR 20200071197 A KR20200071197 A KR 20200071197A KR 1020180158426 A KR1020180158426 A KR 1020180158426A KR 20180158426 A KR20180158426 A KR 20180158426A KR 20200071197 A KR20200071197 A KR 20200071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frame
display panel
packing unit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1311B1 (ko
Inventor
윤여신
윤여헌
서성우
윤주철
김종훈
국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알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알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알티
Priority to KR1020180158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311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유닛을 장착할 수 있고 외부 동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용 박스 일면을 향해 이송 및 삽입되어 상기 박스를 가압하는 제1포킹유닛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박스의 타면에 삽입되어 상기 박스의 타면을 지지하는 제2포킹유닛과, 상기 제1포킹유닛과 상기 제2포킹유닛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박스를 상기 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박스를 정렬시키는 정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The loading device for a display panel box}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박스를 정렬시킨 후 다단으로 적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각종 전자기기에서 출력되는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하는 판 형태의 부품을 통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업체에서 모듈별로 제조된 후 완제품 업체에서 각각의 모듈을 납품받아 조립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운반용 박스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박스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어 언로딩장치를 통해 생산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박스 내부로 이송시켜 보관하거나 박스 내부에 보관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로딩장치를 통해 공정 라인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가 박스는 다단으로 적재될 수 있다.
박스는 리프트장치에 다단으로 적재되어 보관되게 되는데, 박스의 무게가 무겁고 다단으로 적재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박스 위치를 정렬시켜야 하므로 수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93096호는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운반용 로봇 핸드에 관한 것으로서, 로봇의 로봇 암 끝단 하측에 결합이 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가로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면서 핑거의 가로방향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지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측에 설치된 핑거 가로방향 이송 유닛(120), 핑거 가로방향 이송 유닛(120)의 하부 양쪽에 설치되어 핑거 가로방향 이송 유닛(120)의 구동시 서로 간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 플레이트(130),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세로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면서 핑거의 세로방향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지도록 각 이동 플레이트(130)의 하측에 설치된 핑거 세로방향 이송 유닛(144), 각 핑거의 상단이 세로방향 이송 가이드의 하부에 결합 고정이 된 상태에서 핑거 가로방향 이송 유닛(120)과 핑거 세로방향 이송유닛의 작동에 의해 각 핑거의 안쪽 면이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의 양쪽 측면을 감싸는 가운데 각 핑거의 하단에 설치된 그립퍼(154)로써 최하층의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의 하부를 떠받치도록 설치된 핑거 유닛(150) 및 그립퍼(154)로써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의 바닥이 떠받쳐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의 하부가 클램핑이 되게 각 핑거의 한쪽 측면에 설치된 클램프 승강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클램프가 하강 동작이 된 후 다시 상승하도록 설치된 클램프 유닛(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다단으로 적재된 박스를 운반 및 이송할 수 있으나 적재된 박스를 내려놓을 때 박스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단일 박스를 운반시키는 경우 박스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접촉되기 때문에 박스의 전면과 후면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없어 각각의 박스를 운반 및 적층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9309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박스가 이송될 때 박스의 위치를 정렬함으로써 다수의 박스가 안전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박스의 크기에 관계없이 박스를 이송시킬 수 있으며 박스의 크기에 따라 정렬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는 각종 유닛을 장착할 수 있고 외부 동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용 박스 일면을 향해 이송 및 삽입되어 상기 박스를 가압하는 제1포킹유닛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박스의 타면에 삽입되어 상기 박스의 타면을 지지하는 제2포킹유닛과, 상기 제1포킹유닛과 상기 제2포킹유닛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박스를 상기 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박스를 정렬시키는 정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의 상기 제1포킹유닛은 상기 박스의 일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단이 돌출된 다수 개의 제1포크와, 상기 프레임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포크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수평방면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레일과, 상기 제1포크와 연결되며 상기 제1포크를 상기 박스의 일면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실린더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의 상기 제2포킹유닛은 상기 박스의 타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단이 돌출된 다수 개의 제2포크와, 상기 프레임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포크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수평방면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레일과, 상기 제2포크와 연결되며 상기 제2포크의 위치를 상기 박스의 크기에 따라 가변시키는 제2실린더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의 상기 정렬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포킹유닛과 상기 제2포킹유닛이 상기 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정렬레일과, 상기 정렬레일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포킹유닛과 상기 제2포킹유닛을 상기 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박스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의 상기 제1포킹유닛은 상기 박스의 일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2포킹유닛에 상기 박스의 타면이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제1포킹유닛과 상기 제2포킹유닛에 의해 상기 박스를 이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의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박스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에 의하면, 박스가 이송될 때 박스의 위치를 정렬함으로써 다수의 박스가 안전하게 적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에 의하면, 박스의 크기에 관계없이 박스를 이송시킬 수 있으며 박스의 크기에 따라 정렬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은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운반용 로봇 핸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보관용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의 하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가 박스를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가 박스의 위치를 정렬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박스를 정렬시킨 후 다단으로 적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보관용 박스(1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의 하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는 각종 유닛을 장착할 수 있고 외부 동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용 박스(10) 일면을 향해 이송 및 삽입되어 박스(10)를 가압하는 제1포킹유닛(200)과, 프레임(10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며 박스(10)의 타면에 삽입되어 박스(10)의 타면을 지지하는 제2포킹유닛(300)과, 제1포킹유닛(200)과 제2포킹유닛(300)에 각각 형성되며 박스(10)를 프레임(100)의 전면 또는 후면방향으로 이송시켜 박스(10)를 정렬시키는 정렬유닛(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포킹유닛(200)은 박스(10)의 일면에 형성된 삽입홈(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단이 돌출된 다수 개의 제1포크(210)와, 프레임(100) 하부에 형성되며 제1포크(210)가 프레임(100)을 따라 수평방면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레일(230)과, 제1포크(210)와 연결되며 제1포크(210)를 박스(10)의 일면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실린더(22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포킹유닛(300)은 박스(10)의 타면에 형성된 삽입홈(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단이 돌출된 다수 개의 제2포크(310)와, 프레임(100) 하부에 형성되며 제2포크(310)가 프레임(100)을 따라 수평방면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레일(330)과, 제2포크(310)와 연결되며 제2포크(310)의 위치를 박스(10)의 크기에 따라 가변시키는 제2실린더(32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100)은 일측과 타측이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 후 중앙이 연결되는 H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부 장치에 의해 프레임(100)이 수직 및 수평으로 이송될 수 있어 박스(10)가 적층되기 위한 위치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제1포킹유닛(200)과 제2포킹유닛(300)은 H자로 된 프레임(1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정확하게는 가로로 배치된 부위의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게 된다.
제1포킹유닛(200)은 프레임(1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박스(10)에 형성된 두 개의 삽입홈(11)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1포크(210)가 프레임(100)의 전면과 후면 바면을 따라 나란히 형성된다.
이때 제1포크(210)는 박스(10)의 일면에 형성된 삽입홈(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포크(210)는 제1레일(230)에 의해 프레임(100)의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제1레일(230)에 의해 이송되는 제1포크(210)는 제1실린더(220)의 동력에 의해 위치가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제2포킹유닛(300)은 프레임(100)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박스(10)에 형성된 두 개의 삽입홈(11)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2포크(310)가 프레임(100)의 전면과 후면 바면을 따라 나란히 형성된다.
이때 제2포크(310)는 박스(10)의 타면에 형성된 삽입홈(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포크(310)는 제2레일(330)에 의해 프레임(100)의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제2레일(330)에 의해 이송되는 제2포크(310)는 제2실린더(320)의 동력에 의해 위치가 제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100)에 형성되며 박스(1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100)은 박스(10)를 이송시키기 위해 박스(10)를 향해 하강되게 되는데, 이때 박스(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100)의 하부면에는 다수 개의 감지센서가 형성되어 있어 박스(10)의 존재유무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박스(10)가 감지되면 프레임(100)은 외부 동력에 의해 설정된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며, 하강된 상태에서 제1포킹유닛(200)의 제1실린더(220)가 구동되어 제1포크(210)가 박스(10)의 일면에 형성된 삽입홈(11)에 삽입되면서 박스(10)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박스(10)의 일면이 가압되면서 박스(10)가 이동되게 되고 타면에 형성된 삽입홈(11)에 제2포킹유닛(300)의 제2포크(310)가 삽입된 상태가 되며, 박스(10)의 일면과 타면에 형성된 삽입홈(11)에 삽입된 제1포크(210) 및 제2포크(310)에 의해 박스(10)는 프레임(100)을 따라 승강 및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제2포킹유닛(300)은 제2실린더(320)에 의해 동작되나 이는 박스(10)의 크기에 따라 제2포크(310)의 위치를 가변시키고, 박스(10)를 이송할 때는 제2실린더(320)는 동작되지 않고 제2포크(310)를 고정시키는 용도로만 이용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제2포킹유닛(300)도 제1포킹유닛(200)과 동일하게 박스(10)를 향해 이송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반드시 고정되는 역할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정렬유닛(400)은 제1포킹유닛(20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1포크(210)와 제2포킹유닛(30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2포크(310)를 프레임(100)의 전면과 후면 방면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가 박스(10)를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의 제1포킹유닛(200)은 박스(10)의 일면을 가압하여 제2포킹유닛(300)에 박스(10)의 타면이 밀착되도록 하며, 제1포킹유닛(200)과 제2포킹유닛(300)에 의해 박스(10)를 이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포킹유닛(300)은 이송되는 박스(10)의 크기에 따라 제2포크(310)가 제2실린더(320)에 의해 설정된 위치로 이송된 후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박스(10)가 프레임(100)의 양측 사이에 위치되도록 프레임(100)이 하강하게 되고, 하강된 상태에서 제1포킹유닛(200)의 제1실린더(220)가 제1포크(210)를 박스(10) 일면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제1포크(210)는 박스(10)의 일면에 형성된 삽입홈(11)에 삽입된 후 제1실린더(220)에 의해 지속적으로 이동되면서 박스(10)의 일면을 가압하여 박스(10)가 제2포킹유닛(300)을 향해 이동되게 되고, 이러한 이동에 의해 제2포킹유닛(300)의 제2포크(310)가 박스(10)의 타면에 형성된 삽입홈(11)에 삽입되면서 고정되게 된다.
즉, 제1포크(210)는 박스(10)의 일면의 삽입홈(11)에 삽입된 후 박스(10)를 가압하여 제2포크(310)가 박스(10)의 타면에 형성된 삽입홈(11)에 삽입되도록 하여 제1포킹유닛(200)과 제2포킹유닛(300)이 박스(10)의 양면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가 박스(10)의 위치를 정렬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의 정렬유닛(400)은 프레임(100)의 하부에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제1포킹유닛(200)과 제2포킹유닛(300)이 프레임(100)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정렬레일(420)과, 정렬레일(42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며 제1포킹유닛(200)과 제2포킹유닛(300)을 프레임(100)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송시켜 박스(10)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실린더(4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렬유닛(400)은 이송되는 박스(10)를 프레임(100)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송시켜 하부에 적재된 박스(10)와 위치를 맞추기 위한 것으로, 제1포킹유닛(200)과 제2포킹유닛(300)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6에서는 제2포킹유닛(300)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여기서 설명하는 구성 및 기능은 제1포킹유닛(2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2포킹유닛(30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제2포크(310)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정렬레일(42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위치되어 정렬레일(420)을 따라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정렬레일(420)의 일단에 형성된 제2포크(310)와 타단에 형성된 제2포크(310)는 각각 정렬실린더(410)에 의해 개별적으로 정렬레일(420)을 따라 이송될 수 있게 되며,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2포크(310)가 이송되면서 박스(10)를 프레임(100)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송시켜 원하는 위치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프레임(100)에 의해 이송되는 박스(10)는 정렬유닛(400)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면서 프레임(100) 하부에 적재된 박스(10)의 위치에 맞게 정렬될 수 있게 되며, 정렬유닛(400)에 의해 박스(10)가 정렬된 후에는 프레임(100)이 하강되어 박스(10)를 적재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에 의하면, 박스가 이송될 때 박스의 위치를 정렬함으로써 다수의 박스가 안전하게 적층될 수 있고, 박스의 크기에 관계없이 박스를 이송시킬 수 있으며 박스의 크기에 따라 정렬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박스
11 : 삽입홈
100 : 프레임
200 : 제1포킹유닛
210 : 제1포크
220 : 제1실린더
230 : 제1레일
300 : 제2포킹유닛
310 : 제2포크
320 : 제2실린더
330 : 제2레일
400 : 정렬유닛
410 : 정렬실린더
420 : 정렬레일

Claims (6)

  1. 각종 유닛을 장착할 수 있고 외부 동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용 박스 일면을 향해 이송 및 삽입되어 상기 박스를 가압하는 제1포킹유닛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박스의 타면에 삽입되어 상기 박스의 타면을 지지하는 제2포킹유닛과;
    상기 제1포킹유닛과 상기 제2포킹유닛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박스를 상기 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박스를 정렬시키는 정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킹유닛은
    상기 박스의 일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단이 돌출된 다수 개의 제1포크와;
    상기 프레임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포크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수평방면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레일과;
    상기 제1포크와 연결되며 상기 제1포크를 상기 박스의 일면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실린더;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포킹유닛은
    상기 박스의 타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단이 돌출된 다수 개의 제2포크와;
    상기 프레임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포크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수평방면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레일과;
    상기 제2포크와 연결되며 상기 제2포크의 위치를 상기 박스의 크기에 따라 가변시키는 제2실린더;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포킹유닛과 상기 제2포킹유닛이 상기 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정렬레일과;
    상기 정렬레일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포킹유닛과 상기 제2포킹유닛을 상기 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박스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킹유닛은 상기 박스의 일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2포킹유닛에 상기 박스의 타면이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제1포킹유닛과 상기 제2포킹유닛에 의해 상기 박스를 이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박스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
KR1020180158426A 2018-12-10 2018-12-10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 KR102251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426A KR102251311B1 (ko) 2018-12-10 2018-12-10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426A KR102251311B1 (ko) 2018-12-10 2018-12-10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197A true KR20200071197A (ko) 2020-06-19
KR102251311B1 KR102251311B1 (ko) 2021-06-02

Family

ID=7113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426A KR102251311B1 (ko) 2018-12-10 2018-12-10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3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60890U (ko) * 1987-10-12 1989-04-18
KR20110093096A (ko) 2010-02-11 2011-08-18 (주)와이티에스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운반용 로봇 핸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60890U (ko) * 1987-10-12 1989-04-18
KR20110093096A (ko) 2010-02-11 2011-08-18 (주)와이티에스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운반용 로봇 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311B1 (ko)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3378B2 (en) Transfer apparatus and article taking-out method
KR102314337B1 (ko) 반송장치
KR102302376B1 (ko) 반송장치
JP6845559B2 (ja) 物品移載装置
TW202007622A (zh) 搬送系統
ITMI20131414A1 (it) Pallettizzatore
JPH0764435B2 (ja) 少なくとも一つの積み荷搬送装置
JP2007261738A (ja) トレイ積層移載装置
KR20110093096A (ko)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운반용 로봇 핸드
CN215660319U (zh) 一种上箱机器人的用于卸载纸箱板的机械手
JP2006273521A (ja) 容器溝へのガラス板の挿入方法および装置
KR20170020024A (ko) 상자 적재 장치 및 상자 적재 방법
DE69004457T2 (de) Entstapel- bzw. Stapelvorrichtung.
KR102251311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
KR20170134840A (ko) 물류 운송 로봇 및 이를 위한 충전 시스템
CN112278926B (zh) 板材分料机
JP2012171625A (ja) 箱詰め装置
KR101273607B1 (ko) 트레이 이송시스템
JP6079044B2 (ja) 枠体搬送装置および枠体搬送装置を用いた枠体搬送方法
CN216189207U (zh) 一种分板设备
KR101842909B1 (ko) 측면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판유리 운송용 모바일랙
JP2021104885A (ja) 搬送装置
KR101666803B1 (ko) 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세트 공급시스템
JP3245738B2 (ja) 荷卸し装置
CN214296637U (zh) 装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