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129A - 배송용 단열 박스 및 배송용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 - Google Patents

배송용 단열 박스 및 배송용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129A
KR20200071129A KR1020207015388A KR20207015388A KR20200071129A KR 20200071129 A KR20200071129 A KR 20200071129A KR 1020207015388 A KR1020207015388 A KR 1020207015388A KR 20207015388 A KR20207015388 A KR 20207015388A KR 20200071129 A KR20200071129 A KR 20200071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insulation box
heat
protrusions
heat accum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코 아미노프
얀네 나우카리넨
에르키 린데베르그
유카 푸우스티넨
Original Assignee
투쿨 핀란드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17/079042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091581A1/en
Priority claimed from FI20185366A external-priority patent/FI20185366A1/en
Application filed by 투쿨 핀란드 오와이 filed Critical 투쿨 핀란드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200071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A61J1/165Cooled holders, e.g. for medications, insulin, blood, plasm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2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disposed in a cold storage element not forming part of a container for products to be cooled, e.g. ice pack or gel accumulator
    • F25D2303/0822Details of the element
    • F25D2303/08221Fasteners or fixing means for th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2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disposed in a cold storage element not forming part of a container for products to be cooled, e.g. ice pack or gel accumulator
    • F25D2303/0822Details of the element
    • F25D2303/08222Shape of th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4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 F25D2303/0843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on the side of the pro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4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 F25D2303/0844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above the pro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4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 F25D2303/0845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below the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송용 단열 박스 및 배송용 단열 박스의 내부 배치에 관한 것이다. 박스(1)는 커버(2)와 박스 본체(3)를 포함하며, 박스 본체(3)는 측벽(4), 단부벽(5), 개방부(6) 및 바닥벽(7)을 포함한다. 측벽(4)의 내측면에는 측벽(4)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하프컬럼들(9a)을 포함하고, 단부벽(5)의 내측면 역시 단부벽(5)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하프컬럼들(9b)을 포함하며, 하프컬럼들(9a, 9b)은 각각 측벽(4)과 단부벽(5)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박스에는 대향하는 가장자리(13)에 오목하게 패인 복수의 노치(12)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벽체(22,22b)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22,22b)는 박스 본체의 개방부(6)를 적어도 일부 덮도록 배치될 경우 상기 하프컬럼들(9a)에 의해 지지된다.

Description

배송용 단열 박스 및 배송용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
본 발명은 상품 배송용 단열 박스 및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가 가능하고 온도에 민감한 물품을 운반하는데 적합한 배송용 단열 박스에 관한 발명이다.
약품이나 식품과 같은 보관온도에 민감한 제품은 전원 공급이 제한된 배송 상황일 경우 적정 관리온도를 유지하도록 임시 보관 또는 단기간 배송에 적합한 보관용기를 사용하게 된다. 백신을 배송하는 경우에도 과거 수십 년 동안 관련 면역 관리 규정에 따라 원거리 운반시 백신 전용의 단열 보관함을 사용하여야 하고, 최종 목적지에 오토바이 또는 도보로 도착하기까지 단열 용기에 적재하여 배송하는 것이 요구된다. 통상 제약 화합물 대부분은 온도범위 2℃ 내지 8℃ 정도에서 변질되기 쉽고, 특히 백신의 경우 동결에 민감하므로 과냉각에 이르지 않도록 해야 하며, 운반하는 전 과정에서 제한 온도범위의 상한과 하한을 벗어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또한 축제나 박람회 등 옥외 이동식 시설에서 식품이나 음료를 제공하는 판매업종 역시 식품안전과 식자재의 냉장보관이 절대적으로 요구되며, 개별 식자재 또한 정해진 규정온도 범위에서 보관하여야 한다.
따라서 외부전원 없이 온도에 민감한 물품을 최대한 오랜 기간 권장 온도 범위에서 운반하거나 임시 저장할 수 있도록 내용물의 온도를 신뢰성 있게 유지해주는 배송용 단열 박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개선된 단열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특허청구범위의 독립항 및 관련된 종속항들에 기재된 각 실시예의 배송용 단열 박스와 그 내부 배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버 및 박스 본체를 포함하는 배송용 단열 박스로서, 박스 본체가 측벽, 단부벽, 개방부 및 바닥벽으로 구성된 박스에 대한 개량된 설계를 제시한다. 측벽들의 내측면에는 그로부터 돌출하여 단면이 대략 반원형인 기둥 형상의 복수의 하프컬럼(half column)을, 그리고 단부벽들의 내측면 역시 그로부터 돌출하는 단면이 대략 반원형인 하프컬럼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프컬럼들은 측벽과 단부벽을 따라 각각 수직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배송용 단열 박스에는, 대향하는 테두리에 복수의 안쪽으로 오목하게 패인 노치(notch)들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가 박스 본체의 개방부를 적어도 일부 덮도록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프컬럼들에 끝단에 지지되면서 상기 벽체의 테두리에 형성된 노치들의 적어도 일부가 공기흐름의 통로를 이루도록 측벽의 하프컬럼들 사이의 갭에 정렬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벽체는 인접하는 하프컬럼 사이에 세로로 배치될 경우 상기 박스의 내부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분리벽을 이룬다. 상기 벽체는 또한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cold/heat accumulator)로써 상변화(phase-change)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컨테이너)이며, 상기 저장용기의 앞면와 그 반대측의 뒷면, 상기 앞뒷면을 둘러싸는 측단을 포함하고, 상기 축열기의 앞면과 뒷면에는 복수의 돌출부 및 함몰부를 구비한다. 또한 2 이상의 상기 축열기를 포개는 경우, 상기 제1 축열기의 일 면에 구비된 복수의 돌출부가 대면하는 제2 축열기의 일 면에 배치된 함몰부를 채우고, 상기 제1 축열기의 함몰부는 대면하는 상기 제2 축열기의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배치되어 두 개의 축열기가 상호 밀착하는 사용-모드(use-mode)를 이룬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박스는 박스 본체와 보관물품 사이에 열 전도성 접촉을 감소시키고 박스 내부에 대류성 공기 흐름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갖으며, 축열기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벽체의 배치를 박스 내부의 필요에 맞게 다양하게 구획하고 내부 온도분포 또한 필요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벽체를 형성하는 축열기의 앞뒷면은 복수의 돌출부와 함몰부를 그룹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축열기인 저장용기의 일 면을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제1 영역에는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 및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돌출부 내지 함몰부로서 제1 그룹을, 그리고 상기 축열기 저장용기 일 면의 제2 영역에는 적어도 두 개의 함몰부 및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적어도 3개의 돌출부 내지 함몰부로서 제2 그룹을 구성한다. 앞서 설명한 사용-모드에서의 상기 일 축열기를 돌려서 두 축열기의 앞면을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하면, 두 축열기의 돌출부가 상호 접촉하면서 상기 축열기의 앞면이 서로 이격되는 에어갭-모드(airgap mode)를 이루도록 하였다.
상기 에어갭-모드에서는 벽체를 이루는 두 축열기의 앞면이 서로 이격되고 그 사이로 공기통로가 형성되므로 주변과 축열기 간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단열 박스에 배치되는 벽체는 축열기로서 제작되며 그 앞면과 뒷면에 복수의 돌출부와 함몰부를 구비하고 축열기간 인접하는 앞뒷면 대향관계를 선택하는 것에 따라, 두 축열기가 서로 밀착되거나 에어갭으로 이격되는 두가지 적층형태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축열기가 서로 꼭 들어맞게 밀착될 경우 축열기에 저장된 냉장 또는 보온용 열 에너지를 더 오랜 시간 보존할 수 있는 반면, 상호 이격되는 적층은 축열기 사이의 공간으로 주변과의 열 교환이 촉진된다. 다시 말해 축열기를 에어갭-모드는 축열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내부에 에너지를 충전하는데 시간을 단축해주고, 필요에 따라 제품 배송시 내부 보관물품을 신속하게 냉각하거나 승온시킬 때 유용하다.
아울러, 축열기로서 저장용기의 앞면과 뒷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부/함몰부들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그룹과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제2 그룹으로 구획되고, 이들 두 그룹은 상기 저장용기 앞면과 뒷면에서 각각 대향하는 테두리 쪽에 가까이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저장용기의 상기 돌출부/함몰부들의 그룹을 구획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제1 그룹과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제2 그룹은 상기 저장용기의 앞면과 뒷면의 반대로 대향하는 끝단에 가깝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용기의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제1 그룹과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제2 그룹은 서로 평행하도록 나란히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저장용기는 그 앞면에서 돌출부가 있는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저장용기의 뒷면에 함몰부가 위치하고, 같은 방식으로 상기 앞면의 함몰부가 위치하는 곳의 뒷면에 돌출부가 위치한다.
또한 벽체로써 상기 축열기의 앞면과 뒷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마주보는 벽체의 돌출부와 그 단부를 상호 접촉할 때 서로 어긋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조정하도록 각 돌출부의 끝에 각각 지지단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의 지지단부는 축열기를 이루는 저장용기의 앞면과 뒷면에 형성된 적어도 3개의 돌출부의 각 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단부는 각각 하나 이상의 타 돌출부에 구비된 지지단부와 구별되는 각각의 지지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단부는 돌출부의 단부를 중공형으로 함몰시킨다.
다른 구조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단부는 돌출부의 단부를 상하 계단을 이루는 단차형일 수 있다.
상기 단차형 지지단부는, 두 개의 함몰부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에 적합하므로 상기 저장용기 앞면과 뒷면의 제2 영역에 위치하는 돌출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저장용기 앞면과 뒷면의 제1 영역에 형성된 제1 그룹의 함몰부는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 그룹의 단차형 지지단부를 갖는 돌출부가 두 개의 함몰부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그룹의 함몰부를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위치시키되 상기 저장용기의 제1 영역의 제1 그룹에 배치된 돌출부의 위치와 동일한 종방향 선상에 제2 영역의 제2 그룹에 속하는 함몰부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같은 방식으로, 저장용기 일 면에서 제1 영역 내 제1 그룹의 함몰부가 위치하는 곳과 동일한 종방향 선상에 제2 영역의 제2 그룹에 속하는 돌출부가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저장용기 앞면의 제1 영역에 있는 제1 그룹의 함몰부는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같은 방식으로, 저장용기 각 면에서 제1 영역 내 제1 그룹에 돌출부가 위치하는 곳과 동일한 종방향 선상에 상기 저장용기 각 면의 제2 영역 내 제2 그룹에 속하는 함몰부가 배치된다. 또한, 저장용기 각 면의 제1 영역 내 제1 그룹에 속하는 함몰부가 위치하는 곳와 동일한 종방향 선상에서, 제2 영역 내 제2 그룹에 속하는 돌출부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축열기에 구비된 복수의 돌출부는, 축열기가 단열 박스 내부에 적재될 때 축열기가 바닥벽 또는 측벽, 단부벽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간극을 유지시켜준다. 아울러 상기 축열기의 돌출부는 축열기의 앞면과 뒷면이 보관물품에 직접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열 충격을 방지해주므로, 예를 들어 상기 축열기를 바닥벽에 배치하고 그 위에 보관물품을 적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단열 박스는 측벽의 내측면에 세로방향으로 돌출되는 단면이 반원 형상인 하프컬럼들을 구비한다. 단열 박스 안에서 원하는 위치에 세로 방향으로 상기 하프컬럼들 사이로 상기 축열기를 이루는 벽체 또는 분리칸막이를 위치시키고, 필요에 따라 보관물품의 크기에 맞게 구획 공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 하프컬럼들 사이의 갭에 벽체들을 배치하여 보관물품의 조건에 맞게 복수의 공간을 구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단열 박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칸막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칸막이는 그 외주로 대향하는 각 테두리에 오목하게 안쪽으로 패인 복수의 노치(notch)를 구비한다. 상기 분리칸막이가 박스의 개방부를 적어도 일부 덮도록 배치할 경우, 상기 분리칸막이의 테두리가 측벽에 돌출된 하프컬럼들의 끝단에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분리칸막이 노치들은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테두리 부분에 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프컬럼 사이의 갭과 정렬된다. 또한 상기 분리칸막이는 상기 벽체와 마찬가지로 측벽의 하프컬럼들 사이에 세로로 장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박스 내부를 수평적인 두 공간으로 구분하는 분리벽을 구성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분리칸막이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축열기 또는 보관물품에 대하여 지지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 박스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기 분리칸막이를 두 개 이상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단열 박스는 내부 바닥벽에 반구형 또는 실질적으로 반구형인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는바, 상기 다시수의 반구형 돌출부는 바닥벽과 보관물품 사이의 물리적 접촉을 줄여준다. 물론 축열기를 바닥벽에 배치할 경우 바닥벽과의 접촉 면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도 있다.
상기 실질적으로 반구형인 다수의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바닥벽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돌출부의 배열 간격은 박스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측벽에 돌출된 하프컬럼들의 위치와 간격에 대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배치는 박스 본체의 상부로부터의 공기가 바닥벽까지 순환되도록 공기흐름을 개선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박스 본체, 측벽의 하프컬럼들, 그리고 바닥벽의 실질적으로 반구형인 다수의 돌출부는 모두 동일한 소재의 단벌 구성으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측벽들로부터 돌출하는 하프컬럼들의 경우 적어도 그 일부는 바닥벽으로부터 박스 본체의 상부까지 연장된다. 박스 본체의 냉각된 상부 공기가 노치에 의해 형성되는 통공과 하프컬럼 사이의 갭을 통해 아래로 공기유로를 형성하고, 이어서 하프컬럼들은 그 사이로 바닥까지 공기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실질적으로 반원형 단면인 하프컬럼은 그 단면 원형의 반경 미만으로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프컬럼의 바깥 곡면은 박스 본체와 보관물품 사이의 접촉 영역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며, 온도에 민감한 보관물품이 박스 본체에 접하면서 발생되는 전도성 열 전달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하다.
앞서 설명한 분리칸막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분리칸막이에 의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축열기를 위한 지지면을 제공할 수도 있고, 또한 박스 본체의 하부에 거치되어 보관물품을 적재하는 지지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축열기를 이루는 벽체 또한 박스 본체의 개방부를 적어도 일부 덮도록 박스 본체의 상부에 거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측벽의 인접하는 하프컬럼 사이에 끼워져서 분리벽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박스 본체의 바닥벽에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별개의 구성품을 추가하지 않고 축열기의 위치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단열 박스의 내부의 온도 분포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축열기 또는 분리칸막이가 박스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 그 테두리에 구비된 오목하게 패인 노치들이 하프컬럼들의 돌출형상에 맞게 정렬되기 때문에, 단열 박스를 운반하는 등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축열기나 분리칸막이가 상기 박스의 바닥부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 상기 분리칸막이는 그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주연부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분리칸막이가 박스 본체의 하부에 놓일 때 상기 테두리의 주연부가 바닥벽에 접촉하고 바닥벽과 분리칸막이를 이격시키면서 그 틈으로 공기흐름을 유지하게 해준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단열 박스는 온도 모니터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는 분리칸막이 또는 축열기를 이루는 벽체, 축열기 등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단열 박스는 휴대 가능하며 휴대하여 운반하기 편하도록 운반부재와 상기 운반부재를 체결 고정하는 고정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배송용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에 대한 발명으로서, 상기 단열 박스는 커버 및 박스 본체를 포함하고, 박스 본체는 측벽, 단부벽, 개방부 및 바닥벽을 갖는다. 상기 측벽의 내측면은 그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하프컬럼을, 단부벽의 내측면 역시 그로부터 돌출하는 하프컬럼을 구비하며, 상기 하프컬럼들은 측벽과 단부벽을 따라 상하 수직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단열 박스는 두 개의 벽체를 포함하며, 이들 벽체는 대향하는 테두리에 오목하게 패인 복수의 노치를 구비한다. 상기 벽체는 박스의 개방부를 적어도 일부 덮도록 하프컬럼에 의해 지지되면서 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노치들의 적어도 일부는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하프컬럼 사이의 갭들과 정렬하여 공기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벽체는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열기는 상변화 물질을 위한 저장용기로써, 상기 저장용기에는 앞면, 뒷면, 그리고 앞면과 뒷면 사이의 테두리를 이루는 복수의 측단을 가진다. 상기 축열기의 앞면과 뒷면에는 복수의 돌출부와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열기의 일 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가 인접하는 다른 축열기 일 면의 대응하는 복수의 함몰부와 마주하고, 상기 축열기의 함몰부가 인접하는 상기 다른 축열기 일 면의 대응하는 돌출부에 각각 마주하여, 두 축열기의 저장용기 양 면이 서로 밀착하는 사용-모드를 구성한다. 상기 단열 박스의 내부 배치는 제1 및 제2 축열기로 두 개의 벽체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축열기의 저장용기 일 면이 상기 제2 축열기의 저장용기 일 면을 밀착하고, 상기 측벽의 인접하는 하프컬럼들 사이에 세로로 위치하면서 박스 내부를 수평으로 구획하는 배치를 제공한다.
상기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는 각각 축열기를 이루는 두 개의 벽체들을 포함하며 박스 본체의 상부에서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두 개의 축열기가 나란히 측벽의 상기 복수개 하프컬럼 끝단에 지지되는 배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에 적용되는 제1 및 제2 축열기를 이루는 저장용기에 저장되는 상변화 물질은 서로 상이한 온도의 용융점/응고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는 제1 및 제2 축열기를 이루는 두 개의 벽체가 박스 본체의 내부 바닥벽에 나란히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벽체들 중 하나는 온도 모니터링 장치를 탑재하기 위한 장착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온도 모니터링 장치는 외부 수신기에 무선으로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수단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열 박스의 내부 배치는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열 박스는 백신을 수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 박스(1)가 백신 수송에 이용되는 경우, 상기 축열기의 저장용기에 저장되는 상변화 물질은 대략 -2℃ 내지 0℃ 범위의 융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 박스는 보관물품으로 부패하기 쉬운 식품을 일시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단열 박스(1) 내부의 축열기에 내장되는 상변화 물질은 온도범위 -2℃ 내지 2℃의 용융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배송용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는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축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칸막이로써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축열기를 적재하는 지지면을 제공하거나 보관물품의 과도한 냉각 또는 가열을 방지하는 배치를 제공한다.
상기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는, 박스의 바닥면에 보관물품을 위한 적재면을 이루도록 바닥벽 상에 두 개의 분리칸막이를 배치하고, 박스의 상면을 이루도록 개방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두 개의 분리칸막이를 배치하며, 아울러 두 개의 저장용기로 각각 제1 및 제2 축열기를 이루는 두 벽체를 더 포함하는 배치를 제공한다.아울러 상기 두 벽체를 이루는 제1 축열기의 일 면과 제2 축열기의 일 면이 밀착하여 상기 박스의 상면과 바닥면 사이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는 배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벽체 중 적어도 하나는 온도 모니터링 장치용 장착 트레이를 가지며, 상기 장착 트레이에는 무선으로 외부 수신단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실시간 온도 모니터링 장치를 탑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 박스의 내부에는 제2 단열 박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단열 박스를 이루는 단부벽간 또는 측벽간 거리 중 어느 하나는 본 발명의 단부벽간 또는 측벽간 거리 보다 작으며, 적어도 3개의 벽체를 포함한다. 상기 벽체는 측벽 및 단부벽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두 개의 하프컬럼에 지지되어 제2 단열 박스의 개방부를 덮는 내부 배치를 제공한다. 상기 벽체는 제2 단열 박스의 바닥벽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아래 도면들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배송용 단열 박스의 사시도
도 2 단열 박스에 분리칸막이를 배치한 일 예시도
도 3 개방된 단열 박스의 평면도
도 4 분리칸막이를 배치한 다른 예시도
도 5 분리칸막이를 배치한 또 다른 예시도
도 6 분리칸막이를 배치한 또 다른 예시도
도 7 분리칸막이를 배치한 또 다른 예시도
도 8 분리칸막이와 축열기를 이루는 벽체를 함께 배치한 예시도
도 9 축열기를 이루는 벽체 단면의 일 예시도
도 10 축열기로서 복수의 벽체를 배치한 일 예시도
도 11 축열기로서 복수의 벽체를 배치한 다른 예시도
도 12 축열기로서 복수의 벽체를 배치한 또 다른 예시도
도 13 축열기로서 복수의 벽체를 배치한 또 다른 예시도
도 14 단열 박스의 외부면 예시도
도 15 축열기인 벽체의 앞면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6 도 15의 축열기인 벽체의 우측면도
도 17 도 15의 축열기인 벽체의 평면도
도 18 도 15의 상기 벽체를 이루는 저장용기(C1) 앞면의 예시도
도 19 도 18의 상기 저장용기(C1)을 장축으로 뒤집어서 180℃ 평면 회전시킨 뒷면의 예시도
도 20 사용-모드로 두 저장용기(C1, C2)를 대면시킨 예시도
도 21 두 저장용기(C1, C2) 각각의 앞면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22 에어갭-모드로 저장용기(C1, C2)를 대면시킨 예시도
도 23 복수의 축열기를 사용-모드로 적층한 예시도
도 24 복수의 축열기을 에어갭-모드로 적층한 예시도
본 발명의 배송용 단열 박스의 일 실시예를 도 1에 따라 설명한다. 단열 박스(1)는 커버(2)와 박스 본체(3)를 포함하며, 박스 본체(3)는 커버(2)로 개폐된다. 박스 본체(3)는 길이방향(L)으로 측벽들(4)을, 가로지르는 방향(W)으로 단부벽들(5)을 가지며 개방부(6) 및 바닥벽(7)으로 구성된다. 박스 본체(3)의 상부 가장자리는 개방부(6)의 내주면을 따라 플랜지(8)를 가지며, 박스 본체(3)를 커버(2)로 덮으면 커버(2)의 외주부가 플랜지(8)에 의해 밀폐된다.
박스 본체(3)의 내측면에는 측벽들(4)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하프컬럼들(9a)을 구비하며, 단부벽들(5) 역시 그 내측면에 그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하프컬럼들(9b)을 갖는다. 상기 하프컬럼들(9a, 9b)은 각 측벽(4, 5)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고 인접하는 두 하프컬럼들 사이로 실질적 평면이며 벽체에 해당하는 갭(10)이 형성된다.
박스(1)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칸막이(11)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칸막이(11)의 서로 대향하는 테두리(13)에는 오목하게 안쪽으로 패인 복수의 노치(12)를 가진다. 상기 분리칸막이(11)는 직사각형상으로, 개방부(6)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위치하는 경우, 상기 분리칸막이(11)의 테두리는 하프컬럼들(9a, 9b)의 끝단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노치(12)들은 적어도 일부가 공기흐름 경로를 형성하도록 측벽들(4)로부터 돌출하는 하프컬럼들(9a) 사이의 갭(10a)들에 정렬하고, 그에 따라 측벽과 통해서 아래로 이어지는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박스 본체(3)와 보관물품(15) 사이의 물리적 접촉은 전도성 열전달을 일으키게 되는데, 온도에 민감한 내용물이 박스 본체(3)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발생하는 열 전달을 줄이도록, 본 발명의 각 측벽과 단부벽에 돌출된 상기 하프컬럼들(9a, 9b)은 그 단면 형상을 반원기둥 형태를 갖도록 하였다.
즉, 상기 돌출된 복수의 하프컬럼들은 박스(1) 내부의 희망 온도보다 외부 온도가 매우 낮은 경우 역시 주위의 냉온으로부터 보관물품(15)의 전도성 냉각을 방지하고, 역으로 주변 온도가 단열 박스(1)의 희망 온도보다 높은 경우 또한 외부로부터의 전도성 열을 줄여준다.
냉장용 축열기들(16)을 박스 본체(3)에 적재하는 경우,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축열기가 박스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프컬럼들(9a, 9b)로 지지되는 분리칸막이(11) 위에 적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열기(16)가 냉장용이므로 축열기에서 발산되는 찬 공기가 분리칸막이(11) 테두리의 노치(12)들을 통해 하프컬럼들(9a) 사이의 갭(10)으로, 나아가 바닥부까지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복수의 하프컬럼들(9a)은 상하간 공기흐름이 원활하도록 박스(1) 내부의 대류성 공기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박스의 측벽들(4)이나 단부벽들(5)을 통한 전도성 열을 줄이는 것 또한 보관물품(15)의 관리에 도움을 준다.
도 2는 박스 본체(3)의 커버와 일 측벽을 제거한 단면도로서, 박스의 내부에 실질적으로 유사한 두 개의 분리칸막이(11)를 배치된 예시를 보여준다. 분리칸막이(11)들이 평면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박스 본체(3)의 개방부(6)을 덮고 있으며, 상기 분리칸막이(11)의 취급이 용이하도록 손가락을 걸수 있는 복수의 구멍(17)들이 포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열 박스 내부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의 실시예를 포함하여 단열 박스(1)의 바닥벽(7)에는 실질적으로 반구형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기들(18)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반구형 돌기들은 상기 하프컬럼들(9a, 9b)과 마찬가지로 바닥벽(7)과 보관물품(15) 사이의 물리적 접촉을 감소시키고 바닥벽(7)에 축열기(16)를 적재할 때 바닥벽(7)과의 접촉 면적도 줄여준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반구형 돌기들(18)은 바닥벽(7)을 교차하는 방향(W)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박스 본체(3)의 길이 방향(L)으로 두 개의 인접하는 배열 간격(19a)은 측벽들(4)로부터 돌출하는 하프컬럼들 사이의 갭(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배열된다. 즉 측벽들(4)의 갭(10)에 대응하는 부분들(10a)과 바닥부(7)의 돌기(18)가 배열되는 부분들(19a)을 일치시킴에 따라, 박스 내부의 상부 공기가 바닥벽(7)까지 원활하게 도달하게 한다. 아울러, 박스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는 방향(W)으로 분리칸막이(11) 또는 벽체(22)를 아래로 삽입할 경우, 상기 배열된 돌기 사이로 바닥벽(7)에 접촉되는 분리벽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3의 실질적으로 반구형인 다수의 돌기들(18)은 또한 바닥벽(7)의 길이 방향(L)으로도 정렬된 배치를 보여준다. 길이 방향 역시 인접하는 행 사이의 간격이 단부벽들(10)에서 돌출된 하프컬럼들(9b)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함으로써, 단부벽의 갭(10b)이 바닥벽(7)의 행간 간격(19b)과 일치하고 박스 본체(3)의 상부로부터 바닥벽(7)까지의 공기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하프컬럼들(9a, 9b), 다수의 실질적으로 반구형인 돌기들(18)은 박스 본체(3)와 동일한 소재로 박스 본체와 일체로 한벌로 제작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개별의 부품을 결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즉 하프컬럼들(9a, 9b)은 복수의 하프컬럼을 포함하도록 평판에 성형되어 박스 본체(3)와 일체로 함께 제작될 수 있고, 박스 본체(3)와 별개로 부착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실질적으로 반구형인 다수의 돌기들(18) 또한 일체로 성형한 평판으로서 박스 본체(3)와 함께 제작되거나, 개별 부품으로 반구형 돌기들(18)이 박스의 바닥판에 부착될 수도 있다.
측벽들(4)과 단부벽들(5)로부터 돌출된 하프컬럼들(9)은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반원형이며, 그 돌출의 정도는 측벽들(4) 내지 바닥벽들(5)로부터 단면 원형의 반경 미만으로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측벽들(4)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일부의 하프컬럼들(9a)은 바닥벽(7)에서 박스 본체(3)의 상부까지 연장된다.
도 4 내지 도 7은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분리칸막이(11)들의 배치에 대한 다양한 예시를 보여준다. 분리칸막이(11)는 각 도면의 예시와 같이 하나 이상의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16)를 적재하는 지지면, 또는 박스 본체(3)의 하부에 보관물품(15)을 적재하는 지지면을 제공한다. 또는 박스 내부를 두 개의 공간(20a, 20b)으로 나누는 분리벽을 구성하기도 한다. 상기 분리칸막이(11)는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등을 소재로 제작되고, 각 도면의 예시와 같이 본 발명의 단열 박스(1)는 그 내부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획하여 -50℃ 내지 +85℃의 온도 범위에서 배송물품을 보관할 수 있게 해준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분리칸막이라고 함은 상호 공통적으로 외관과 크기가 유사하고, 대향하는 각 테두리에 공기통로를 이루도록 노치들을 구비하면서 상기 분리칸막이가 박스 본체(3)의 바닥벽(7)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각 노치의 오목한 형상들이 하프컬럼들을 둘러싸도록 실질적으로 반원 형상인 것을 의미한다.
예시들에서, 분리칸막이(11)는 테두리(13)를 따라 연장된 주연부(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분리칸막이(11)가 박스 본체(3)의 하부에 위치할 때 주연부(21)가 바닥벽(7)에 접촉하면서 상기 분리칸막이(11)를 지지하며 바닥벽(7)과 분리칸막이(11) 사이의 틈새로 공기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바닥면으로 원활한 공기흐름을 유지하도록 분리칸막이(11)의 노치(12)들이 위치하는 곳은 주연부(21)를 생략한다.
각 도면의 분리칸막이(11)들은 3개의 테두리(13)에 노치(12)들이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또 각 도면의 예시와 같이 분리칸막이(11)의 노치(12)들은 상기 분리칸막이(11)가 박스 본체(3)의 하부 바닥벽(7) 위에 배치될 때 하프컬럼들(9a, 9b)의 외주면을 에워싸는 곡선 형상을 갖는다.
도 4는 박스의 내부에 두 개의 분리칸막이(11)를 배치한 다른 예시를 보여준다. 박스 본체(3)의 상부와 하부에 각 분리칸막이(11)가 배치되며 박스 본체(3) 상부의 분리칸막이(11)는 하나 이상의 축열기(16)를 적재하는 지지면을 이룬다. 아울러 박스 본체의 하부에 배치된 분리칸막이(11)는 바닥벽(7)에 거치되어 도시를 생략한 보관물품(15)을 위한 지지면을 제공하고, 바닥벽(7)을 통해 보관물품(15)으로 전달되는 전도성 열전달을 막아준다. 또, 하나 이상의 축열기(16)를 상기 분리칸막이(11) 아래로 박스 본체의 바닥벽(7)에 배치할 경우, 보관물품(15)과 축열기 사이에 분리칸막이(11)가 경계면을 제공하므로 보관물품의 과냉각 또는 과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박스 본체(3)의 길이 방향(L)으로 박스 본체(3)의 하부에 두 개의 분리칸막이(11)를 나란히 배치한 것을 보여준다. 상기 두 개의 분리칸막이(11)는 테두리의 주연부(21)를 상부로 향하도록 배치한 것으로 분리칸막이를 바닥벽(7)의 돌기들(18)에 거치하는 경우이며, 상기 분리칸막이(11)는 도시를 생략한 보관물품(15)을 적재하는 지지면으로 사용하는 예시이다.
도 6 또한 박스 본체(3)의 길이 방향(L)으로 도 5와 마찬가지로 그 하부에 두 개의 분리칸막이(11)를 나란히 배치한 경우를 보여준다. 도 5와 달리 분리칸막이(11)의 주연부(21)가 바닥벽(7)을 향하여 분리칸막이(11)를 지지하도록 배치한 경우로서, 바닥벽(7)과 분리칸막이(11) 사이의 공기흐름을 유지하는 배치에 해당한다. 분리칸막이(11) 윗면에 보관물품(15)을 적재하며, 하나 이상의 축열기(16)가 상기 분리칸막이(11) 아래의 바닥벽(7)에 배치된다. 윗면에 적재된 보관물품(15)의 과냉각 또는 과열을 방지하도록 분리칸막이(11)로 축열기를 이격시키는 배치를 이룬다.
도 7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다수의 분리칸막이(11)들을 배치하는 또 다른 예시로서, 박스 본체(3)의 상부에 배치되는 두 개의 분리칸막이(11)는 그 위에 미도시된 하나 이상의 축열기(16)를 적재하는 지지면을 구성한다.
다른 두 개의 분리칸막이(11)는 박스 본체(3)의 하부에 바닥벽(7)을 덮도록 배치하되, 도 6과 같이 이들 분리칸막이의 주연부(21)가 바닥벽(7)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미도시된 보관물품(15)을 적재하는 지지면을 제공하며, 분리칸막이(11)와 바닥벽(7)를 이격시키는 배치로서 분리칸막이 테두리의 노치들을 통해 밑부분과 공기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 분리칸막이(11) 밑으로 바닥벽(7)에 하나 이상의 축열기(16)를 배치하더라도 분리칸막이(11) 윗면의 보관물품(15)에 과냉각이나 과열이 가해지는 것을 차단하는 배치이다.
도시된 분리칸막이 중 나머지 두 개는 서로 마주하여 내측에 하나 이상의 축열기(16)를 감싸면서 세로로 배치하는 예시이다. 이들 두 개의 분리칸막이(11)는 그 내부에 축열기를 적재하고 박스 본체(3) 내부를 길이방향(L)으로 분할하여 두 개의 공간(20a, 20b)으로 구획하는 배치이다.
상기 두 개의 분리칸막이(11)는 측벽들(4)에 돌출된 두 개의 하프컬럼들(9) 사이를 수직으로 상하 슬라이딩하여 착탈되며, 상기 두 개의 분리칸막이(11)가 세로로 삽입되어 박스 본체(3)를 두 개의 공간(20a, 20b)으로 구획한다. 제1 측벽(4)으로부터 돌출된 하프컬럼들(9a)은 두 분리칸막이의 제1 단부를, 제2 측벽(4)으로부터 돌출된 하프컬럼(9a)은 두 분리칸막이의 제2 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두 개의 분리칸막이를 직립시킨다.
축열기(16)에 내장되는 상변화 물질은 단열 박스(1) 내부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용도로써, 소정 온도에서 용융되거나 응고될 때 일어나는 발열 내지 흡열 작용을 통해 다량의 열 에너지를 발산하거나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이다. 상기 단열 박스(1)에 사용되는 축열기의 상변화 물질의 용융점 내지 응고점 온도 범위는 대략 -50℃ 내지 +85℃ 범위의 물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보관물품(15)을 냉장상태로 운송하거나 임시 저장하는 경우, 용융점/응고점 온도가 각각 상이한 상변화 물질로서 복수의 냉장용 축열기(16)를 이용하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단열 박스(1)에 보온용 축열기를 사용하는 경우 역시 서로 다른 용융점/응고점의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복수의 축열기(16)를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이한 온도의 상변화 물질을 저장한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16)들을 선택하여 배치하는 것에 따라, 단열 박스(1) 내부의 냉장 또는 보온 온도의 분포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두 개의 공간(20a, 20b)으로 구획되는 경우, 제1 공간(20a)의 온도를 제2 공간(20b)에 비하여 5℃ 내지 35℃ 정도 상대적으로 높게 구성하고자 한다면, 이들 희망 온도를 얻도록 제1 공간(20a)의 위와 아래에 용융점/응고점이 높은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16)를 배치하고, 제2 공간(20b)의 위와 아래에는 용융점/응고점이 상대적으로 낮은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를 배치한다.
단열 박스(1) 내부의 냉장 또는 보온 성능은 축열기에 내장되는 상변화 물질의 열량과 용량에 따라 결정된다. 박스(1)의 내부 형상을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한 것에 따라 보관물품과 축열기의 적재 공간과 공간점유율, 축열기의 규격과 용량 등을 감안한 효과적인 배치가 가능하고, 나아가 다수의 내용물을 적재하거나 회수하는데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 박스(1)는 그 내부에 축열기로부터 발산되는 냉장 또는 보온용 공기의 순환통로를 갖고 박스 본체(3)와 보관물품(15) 간 전도성 열 전달을 감소시킨다. 그에 따라 박스 본체(3)의 두께를 줄이는 허용범위를 개선하고 박스 내부의 용적량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단열 박스(1) 자체의 무게을 줄이고 휴대성과 이동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콜레라와 소아마비 백신과 같은 대부분의 백신들은 배송 중에 과냉각에 의해 약성 변질을 일으킬 위험이 크지만 본 발명의 단열 박스는 그 내부에 복수의 분리칸막이(11)들을 필요에 맞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적재된 냉장용 축열기(16)와 보관된 백신 사이의 직접 접촉과 냉동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과냉각을 감안하여 축열기(16)에 +2℃ 내지 +8℃ 범위의 상변화점을 갖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단열 박스(1)는 과냉각에 대한 분리칸막이(11)의 보호기능에 따라 더 바람직한 상변화점 온도범위로서 -2℃ 내지 0℃의 물질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단열 박스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벽체(22)들을 포함한다. 상기 벽체(22)는 별도의 구성으로서 그 단부가 박스의 측벽들(4) 내부에 세로로 돌출된 하프컬럼들(9a) 사이로 슬라이딩 할 수 있으며, 조립될 경우 상기 벽체(22)는 두 개의 대향하는 측벽(4)을 가로질러 내부 공간을 분할한다. 제1 측벽(4)으로부터 돌출된 하프컬럼(9a)은 상기 벽체(22)의 제1 단부를, 제2 측벽(4)으로부터 돌출된 하프컬럼(9a)은 벽체(22)의 제2 단부를 각각 지지하여 상기 벽체(22)를 직립시킨다. 상기 벽체(22)는 예를 들어,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hylene) 소재의 판체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단열 박스(1)에 사용되는 상기 벽체(22, 22b)는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A1, A2)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벽체(22, 22b)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축열기를 이루도록 제작된 벽체(22, 22b)는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로서 앞에 설명한 분리칸막이(11)를 대신하여 사용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분리칸막이(11)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5 내지 도 24는 이같은 축열기를 이루는 벽체(22, 22b)들의 배치에 대한 다양한 예시들을 보여준다.
도 8 및 도 9는 단열 박스(1)에 배치되는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를 이루는 벽체(22)와 그 적층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적어도 그 일측 표면에 복수의 돌출부(27)를 구비한다. 도 9와 같이 상기 축열기를 이루는 벽체(22)의 바람직한 예로서 축열기의 외부면에 복수의 돌출부(27)를 갖으며, 이들 돌출부(27)들이 상기 벽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배치되는 경우, 도 9와 같이 그 앞면과 뒷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들이 각각 서로 다른 크기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면의 돌출부(27)가 제2 면의 돌출부(27) 보다 높게 형성되고, 제2 면에 구비된 돌출부(27)는 제1 측면의 돌출부(27)의 높이에 비하여 40-60% 정도 높이로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와 같이 제1 및 제2 면의 돌출부(27)들은 서로 위치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두 개의 축열기를 이루는 벽체(22)를 적층할 때 일 벽체(22)의 돌출부(27)가 마주하는 벽체(22)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두 돌출부(27)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를 맞추도록 해준다. 상기 돌출부(27)들에 따라 적층된 축열기 사이로 공기 흐름을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축열기의 벽체(22)들과 외부 공기간 열 교환이 원활하며 복수의 벽체(22)들이 동시에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축열기를 이루는 벽체 또한 그 내부에 액상형 고분자 물질과 같은 상변화 물질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단열 박스(1)에는 또한 지속적으로 박스의 내부 온도를 기록하기 위한 온도 모니터링 장치(23)을 구비할 수 있고, 실시간 측정된 온도값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수신기는 네트워크 서버 또는 클라우드에 연결되어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단열 박스(1)의 외측 면에 착탈 가능한 표시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온도 모니터링 장치(23)는 분리칸막이(11)나 벽체(22)에 온도 모니터링 장치(23)를 근접시켜 부착하도록 설계된 장착 트레이(24)를 구비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온도 모니터링 장치(23)를 보관물품(15)에 근접시키는 배치도 가능할 것이다. 온도 모니터링 장치(23)를 축열기가 적재된 분리칸막이(11)나 축열기를 이루는 벽체(22)에 근접시켜 배치하는 것은, 보관물품(15)에 영향을 주는 박스(1) 내부의 냉장 또는 보온용 에너지에 관한 온도 정보를 측정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단열 박스(1)는 또한 별도의 수분 흡수재를 포함할 수 있다. 수분 흡수재는 예를 들어 흡수성이 좋은 폴리머 매트 등으로 제작되며 바닥벽(7) 상에 배치하거나, 보관물물(15)을 감싸도록 위치시킨다.
도 8은 커버(2)와 박스 본체(3)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단열 박스(1)에 구성된 휴대와 운반을 위한 외부를 보여준다. 박스를 운반할 때 손잡이로 이용되는 운반부재(26), 그리고 상기 운반부재를 지지하도록 본체의 양 단부벽(5) 외면에 고정구(25)를 각각 구비한다.
또한 박스 본체(3)의 하부 바닥벽(7)에 두 개의 분리칸막이(11)가 그 주연부(21)들을 바닥벽(7)에 접촉하면서 나란히 배치된 것을 보여준다. 바닥벽(7) 위로 보관물품(15) 등을 적재하는 실질적인 바닥면을 구성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박스 본체(3)의 상부를 덮도록 일 측에 분리칸막이(11)를, 다른 쪽에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를 이루는 벽체(22)를 각각 배치한 예시를 보여준다. 상기 분리칸막이(11)와 벽체(22)는 박스 본체(3)의 각 측벽과 단부벽에 형성된 하프컬럼들의 상단에 지지되며, 박스 본체 내부에 상기 분리칸막이(11)와 벽체(22)로써 천정면을 배치한 것이다. 물론 두 개의 분리칸막이(11)로 구성하거나 벽체(22)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다른 배치도 가능하다.
또한 도 8은 박스 본체(3)의 바닥면과 천정면 사이의 공간을 벽체(22)로써 두 개의 공간(20a, 20b)으로 구획한 것을 보여준다. 상기 벽체(22)는 두 개의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인 벽체(22)를 나란히 포갠 것으로 박스 내부를 수평으로 좌우 두 공간(20a, 20b)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공간에 보관물품(15)을 적재하도록 하였다.
상기 분리칸막이(11)에는 온도 모니터링 장치(23)를 위한 장착 트레이(2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박스 본체(3)를 가로지르는 방향(w)으로 배치된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를 이루는 벽체(22)에는 그 내부에 상변화 물질을 저장하며,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포개진 두 개의 벽체(22) 각각의 냉장 또는 보온 축열기는 서로 다른 용융점/응고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박스 본체(3)의 상부에 배치된 분리칸막이(11) 위에도 필요에 따라 별개의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미도시)를 적재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단열 박스(1) 내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벽체(22b)들을 배치하는 다양한 예시를 보여준다. 벽체에 표기된 A1, A2 등은 상기 벽체(22b)가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벽체(22b)들은 각각 축열기(A1, A2)로서 박스의 측벽과 단부벽에 형성된 하프컬럼들(9a, 9b)에 의해 지지되어 박스 개방부(6)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이들 벽체(22b)는 하프컬럼의 끝단(14)에 거치되며, 상기 벽체(22)의 대향하는 테두리(13)에 형성된 노치(12)들의 적어도 일부는 공기 유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측벽들(4)로부터 돌출하는 하프컬럼들(9a, 9b) 사이의 갭(10a)들에 정렬된다.
동일한 상기 벽체(22b)는 또한 도 11과 같이 인접하는 하프칼럼(9a) 사이에 세로로 배치되어 박스 본체(3)를 길이 방향(L)으로 수평하게 두 공간(20c, 20d)으로 나누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한 것처럼 상기 벽체(22, 22b) 및/또는 분리칸막이(11)들은 각 측벽(4)의 내측에 형성된 하프컬럼들 사이의 갭(10)을 선택하여 세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보관물품(15)의 크기 등을 감안해서 박스(1)의 길이 방향(L)으로 분할하는 공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벽체(22b)를 형성하는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A1, A2)는 상변화 물질을 담는 저장용기(C1)로서, 상기 저장용기(C1)는 앞면(FF1)와 뒷면(BF1), 그리고 테두리를 이루는 복수의 측단(SE1-SE4)들을 가진다. 상기 축열기(A1)의 앞면(FF1) 및 뒷면(BF1)에는 복수의 돌출부(PR111-PR113, PR121-PR123)들과 복수의 함몰부(N111-N113, N121-N123)들을 구비하고, 상기 일 축열기(A1)의 돌출부(PR111-PR113)들이 인접하는 다른 축열기(A2)의 함몰부(N221-N223)들에 체결되고, 상기 일 축열기(A1)의 함몰부(N111-N113)들이 인접하는 상기 다른 축열기(A2)의 돌출부들과 체결되는 경우, 일 축열기(A1)의 저장용기(C1) 앞면(FF1)이 다른 축열기(A2)의 뒷면(BF1)과 밀착하는 사용-모드를 구성한다.
도 11은 박스 내부의 인접하는 하프컬럼(9a) 사이의 갭(10a)으로 두 개의 축열기(A1, A2)가 세로로 배치된 것을 보여준다. 일 축열기(A1)의 앞면(FF1)이 다른 축열기(A2)의 뒷면(BF2)에 밀착하여 사용-모드로 체결된 경우로서, 두 축열기(A1, A2)의 내부에 충전된 냉각 또는 보온 에너지를 더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도 12는 바닥벽(7)에 두 개의 벽체(22b)를 평면으로 나란히 배치한 것이다. 축열기(A1, A2)를 이루는 각 벽체(22b)는 그 테두리(13)에 다수의 노치(12)가 형성되는데, 도 12와 같이 벽체(22b)가 박스 본체(3)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 벽체의 오목한 노치(12)들이 측벽과 단부벽의 하프칼럼(9a, 9b)을 둘러싸는 형태로 바닥에 위치한다. 도 10 내지 도 24와 같이 벽체에 형성된 노치(12)들은 벽체의 테두리(13)를 따라 크기와 갯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스 상부에서 단부벽(5)을 따라 공기 흐름을 높이고자 한다면 도시된 단부벽(5)의 하프컬럼(9b)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노치(12) 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노치를 형성하면 될 것이다.
도 13은 축열기인 복수의 벽체(22b)들을 배치한 또 다른 예시를 보여준다. 두 개의 벽체(22b)가 바닥벽(7)을 덮도록 평면으로 나란히 배치되었고, 인접하는 하프컬럼(9a)들 사이의 갭(10a)에는 두 개의 벽체(22b)를 상호 밀착하는 사용-모드로 직립 배치하였다. 상기 벽체(22b)들은 바닥벽(7)에 나란히 배치된 벽체(22b)가 이루는 평면에 지지되며, 상기 축열기의 일 측단(SE4)이 바닥벽(7)에 배치된 상기 체(22b)의 소정 위치와 접촉한다. 개방부(6) 역시 가로로 두 개의 벽체(22b)를 포개서 박스 상부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하였다. 상기 두 개의 벽체(22b) 역시 사용-모드로 밀착되는 축열기이다. 나머지 개방부(6)를 덮도록 상기 벽체(22b)들과 나란히 다른 벽체(22b)를 더 배치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모드로 밀착시킨 벽체들을 포개서 배치할 수 있으며, 이들 벽체(22b)들은 박스의 내부를 보다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하여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3과 같은 배치는 박스를 배송하는 중에 보관물품에 대해 다른 온도 범위로서 관리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유용하다. 냉장 배송일 경우 상기 예시와 같은 배치는 바닥벽에 배치된 축열기로 바닥에서 유입되는 열을 차단하고, 세로로 직립된 축열기는 박스를 별도의 공간을 구획한다. 박스 내에서 하부와 상부는 물론 직립된 벽체들에 대해 서로 다른 용융점의 축열기를 선택함으로써 내부 공간의 온도분포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박스 상부에 배치되는 냉장용 축열기는 박스의 아래로 형성된 공기 유로를 따라 효과적으로 냉각 공기를 공급한다.
도 14는 박스 바닥벽(7)과 커버(2) 바깥면을 보여준다. 커버(2)의 외부 상면에는 돌부(29)를, 바닥벽(7)의 저면에는 요부(28)를 구성하여 상기 커버(2)의 돌부(29)가 바닥벽(7)의 요부(28)에 맞물리도록 하였다. 두 개의 단열 박스(1)를 상하로 적층할 경우 평면 방향으로 이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높게 쌓을 수 있다. 상기 돌부(29)는 도시한 것처럼 평평하면서 낮게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의 예시와 같은 축열기를 이루는 벽체(22b)의 세부에 대하여 도 15 내지 도24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15 내지 도19, 도 20, 및 도 22 내지 도24, 도 21의 우측 도면들은 상변화 물질(Phase Change Material)을 위한 저장용기(C1)로 제작된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A1)를 보여준다. 상기 상변화 물질은 예를 들어, 물, 젤, 글리콜, 암모늄, 파라핀 또는 분말 등이거나 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냉장용 축열기의 경우 상기 물질은 냉동된 상태에서 용융되고 상변화에 의해 냉각 작용을 일으키고, 보온용인 경우 저장용기 내부 재료의 상변화로써 비축된 열을 방출하는 작용을 각각 가진다. 상변화 물질을 저장하는 상기 저장용기(C1)는 플라스틱 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 내지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A1, A2)는 대향하는 테두리(13)에 오목하게 패인 복수의 노치(12)를 구비한다. 이들 축열기(A1, A2), 즉, 벽체(22)로서의 축열기(A1, A2)가 단열 박스(1)의 개방부(6)를 적어도 일부 덮도록 배치될 경우 상기 축열기(A1, A2)가 하프컬럼들(9a, 9b)의 끝단(14)에 지지된다. 이때 노치(12)들의 적어도 일부는 공기 유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측벽들(4)로부터 돌출하는 하프컬럼들(9a) 사이의 갭(10a)에 정렬된다.
도 15 내지 도 24와 같이 축열기(A1, A2)의 노치(12)들은 상기 축열기(A1, A2)가 박스 본체(3) 하부의 바닥벽(7) 상에 배치될 때 각 하프컬럼들(9a, 9b)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만곡된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각 축열기(A1, A2)는 측벽들(4)의 마주보는 돌출된 두 개의 하프컬럼 사이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며, 그에 따라 측벽을 가로지르는 분리벽으로써 박스 본체(3)를 두 개의 공간(20c, 20d)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1 측벽(4)으로부터 돌출된 하프컬럼(9a)은 축열기(A1, A2)의 제1 단부를, 제2 측벽(4)으로부터 돌출된 하프컬럼(9a)은 축열기(A1, A2)의 제2 단부를 각각 지지한다. 두 개의 하프컬럼(9a) 사이로 두 축열기(A1, A2)가 직립 배치되는 경우 두 축열기를 강하게 밀착시키는 적층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 축열기의 면이 상호 밀착하여 포개진 상태에서 두 하프컬럼의 사이에 세로로 배치될 때 하프컬럼의 간격에 긴밀하게 들어맞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열기(A1, A2)가 발생하는 냉각 공기는 벽체(22b)에 구비된 복수의 노치(12)에 따라 형성되는 통공, 하프컬럼들(9a, 9b) 사이의 갭(10), 그리고 아래로 하프컬럼들 사이의 갭들을 통해 공기 유로를 이루면서 박스의 하부까지 원활하게 공급된다.
이하 축열기를 이루는 저장용기의 세부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 축열기(A1)를 이루는 저장용기(C1)는 앞면(FF1), 뒷면(BF1) 그리고 이들의 테두리를 이루는 네 개의 측단(SE1-SE4)들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C1)의 앞면(FF1)과 뒷면(BF1)에는 복수의 돌출부 및 함몰부를 각각 구비한다.
도 15 및 도 18과 같이, 저장용기(C1)의 앞면(FF1)에 3개의 돌출부(PR111-PR113)들이 형성되고, 이들 중 두 돌출부(PR111, PR112)는 앞면의 제1 영역(SA111)에 배치되며, 나머지 돌출부(PR113)는 제2 영역(SA112)에 위치한다. 또한 세 개의 함몰부 역시 두 영역으로 구분하여 두 함몰부(N111, N112)가 제2 영역(SA112)에, 나머지 함몰부(N113)는 제1 영역(SA111)에 형성된다.
도 19는 상기 축열기(A1)의 뒷면(BF1)을 보여주며 앞면과 대응하여 그 뒷면 역시 세 개의 돌출부(PR121-PR123)가 배치된다.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아랫 부분의 제2 영역(SA122)에 두 돌출부(PR121, PR122)가 배치되고, 윗 부분 제1 영역(SA121)에 나머지 돌출부(PR123)가 위치한다. 또한, 뒷면에 배치되는 세 개의 함몰부(N121-N123)는 축열기(A1) 뒷면(BF1)의 윗 부분 제1 영역(SA121)에 두 개의 함몰부(N121, N122)가, 그 아랫 부분 제2 영역(SA122)에 나머지 함몰부(N123)가 각각 배치된다.
이하 제2 축열기(A2)를 이루는 저장용기(C2)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상기 저장용기(C2)의 앞면(FF2)은 도 21의 좌측에, 그 뒷면(BF2)는 도 20 및 도 22의 윗 부분에 도시된 것과 같다. 제2 축열기(A2)의 저장용기(C2) 또한 그 앞면(FF2)에 세 개의 돌출부(PR211-PR213)를 가지며 그 중 두 돌출부(PR211, PR212)는 상기 앞면(FF2)의 아랫 부분 제1 영역(SA211)에, 나머지 돌출부(PR213)는 제2 영역(SA212)에 각각 위치한다. 제1 축열기와 마찬가지로 제2 축열기(A2)의 앞면(FF2)에도 3개의 함몰부(N211-N213)가 배치되며 두 개의 함몰부(N211, N212)는 제2 영역(SA212)에, 나머지 함몰부(N213)는 제1 영역(SA211)에 형성된다.
제2 축열기(A2)의 저장용기(C2) 뒷면(BF2)의 형상은 도 20 및 도 22의 윗 부분과 같다. 마찬가지로 세 개의 돌출부(PR221-PR223)를 가지며, 두 돌출부(PR221, PR222)가 제2 영역(SA222)에, 나머지 돌출부(PR223)는 제1 영역(SA221)에 각각 배치된다. 세 개의 함몰부(N221-N223) 또한 축열기(A2) 뒷면(BF2)의 제1 영역(SA221)에 두 함몰부(N221, N222)가, 제2 영역(SA222)에 나머지 함몰부(N223)가 각각 위치한다.
축열기의 저장용기 앞면과 뒷면의 돌출부 및 함몰부들의 배치에 따라 축열기 상호간 두가지 적층형태가 가능하다. 복수의 축열기, 예를 들어 10개를 적층하는 경우 역시, 도 23과 도 24에서 세 개의 축열기(A1-A3)와 같은 방식으로 적층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2에 도시된 제1 축열기(A1)와 도 20과 도 22의 윗 부분, 도 21의 왼쪽에 도시된 제2 축열기(A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과 같이 세 개의 축열기(A1-A3)를 빈틈 없이 밀착하는 적층은, 제1 축열기(A1)의 돌출부(PR111-PR113)들이 마주하는 제2 축열기(A2)의 함몰부(N221-N223)들을 채우도록 대향하고, 제1 축열기(A1)의 함몰부(N111-N113)들 역시 제2 축열기(A2)의 마주하는 돌출부(PR221-PR223)들을 수용하도록 대향하는 경우로서, 두 축열기(A1, A2)가 밀착하는 사용-모드를 이루는 경우이다. 일 축열기(A2)의 저장용기(C2) 일 면이 다른 축열기(A1)의 저장용기(C1)의 일 면과 밀착되는 도 23의 사용-모드는 축열기가 상호 빈틈 없이 밀착하는 결합으로 냉각 또는 보온을 위해 비축된 열 에너지를 장시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도 20 및 도21과 같은 두 개의 축열기에 대하여 제1 축열기(A1) 위로 제2 축열기(A2)를 포갤 경우 돌출부(PR221)와 함몰부(N111), 돌출부(PR222)와 함몰부(N112), 돌출부(PR223)와 함몰부(N113)가 서로 마주하고, 마찬가지로 축열기(A1)의 각 돌출부(PR111-PR113)들은 축열기(A2)의 각 함몰부(N221-N223)들에 함몰부들이 돌출부들을 수용하면서 밀착하는 적층이 이루어진다. 다른 방식으로 축열기(A2)가 도 16과 같은 저장용기인 경우, 이를 도 15의 축열기(A1) 위에 포개서 각 돌출부들이 마주하는 함몰부들에 끼워져서 두 축열기(A1, A2)간 밀착 결합을 이룰 수도 있다. 도 23은 일 축열기의 뒷면이 다른 축열기의 앞면과 마주하는 결합으로서, 예시와 같이 제2 축열기(A2)의 뒷면(BF2)이 제1 축열기(A1)의 앞면(FF1)에 접하고, 제3 축열기(A3)의 뒷면(BF3)이 제2 축열기(A2)의 앞면(FF2)에 밀착되는 적층형태를 보여준다.
도 15 내지 도 21를 보면, 도 18과 같이 축열기(A1)의 앞면(FF1)과 뒷면(BF1)의 돌출부와 함몰부들이 그룹을 이루어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축열기를 이루는 저장용기(C1)의 전면부(FF1)의 제1 영역(SA111)에는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PR111, PR112)와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N113)를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돌출부 및 함몰부로써 제1 그룹을 형성하며, 제2 영역(SA112)에는 적어도 두 개의 함몰부(N111, N112)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PR113)를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돌출부 및 함몰부로써 제2 그룹을 이룬다.
도 19는 상기 축열기(A1)의 뒷면(BF1)을 보여주는 것으로, 앞면(FF1)과 마찬가지로 저장용기(C1)의 뒷면(BF1) 역시 두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2 영역(SA122)에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PR121, PR122)와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N123)를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돌출부 및 함몰부들이 제2 그룹을 이루고 있다. 뒷면(BF1)의 제1 영역(SA121) 또한 적어도 두 개의 함몰부(N121, N122) 및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PR123)를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돌출부 및 함몰부로서 제1 그룹을 이룬다.
상기 일 축열기(A1)에 적용되는 복수의 돌출부 및 함몰부의 배치방식은 다른 축열기(A2, A3)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두 축열기(A1, A2)간 도 23과 같은 적층은, 도 20의 사시도에서 처럼 제2 축열기(A2)의 뒷면(BF2)과 제1 축열기(A1)의 앞면(FF1)이 마주하도록 포개는 경우이다. 이 때 축열기(A2)의 뒷면(BF2)의 제1 영역(SA221)에 위치하는 두 개의 함몰부(N221, N222) 및 하나의 돌출부(PR223)는 마주하는 축열기(A1)의 앞면(FF1) 제1 영역(SA111)에 위치하는 두 돌출부(PR111, PR112) 및 하나의 함몰부(N113)와 서로 맞물리게 결합한다. 이같이 사용-모드에 따른 긴밀한 적층은 축열기에 저장된 냉장 또는 보온용 에너지를 더 오래 유지하게 해준다.
도 23의 적층에 대비되는 다른 적층형태로서, 도 18 및 도 19의 축열기(A1)에 대하여 도 20과 도 21의 축열기(A2)를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180°회전시켜서 도 24의 적층예를 얻을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좌측 축열기(A2)의 앞면(FF2)과 우측 축열기(A1)의 앞면(FF1)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경우로서, 두 축열기의 앞면이 서로 마주보고 각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서로 마주하고 제1 축열기(A1)의 돌출부(PR111, PR112, PR113)들이 제2 축열기(A2)의 돌출부(PR212, PR211, PR213)들과 상호 접촉하여 대면한다. 돌출부 상단이 상호 접촉하면서 두 축열기(A1, A2)가 이격되고 그 사이에 형성되는 갭(G1)을 통해 각 축열기를 냉각하거나 열 에너지를 충전하는데 효과적인 에어갭-모드를 적층형태를 얻는다. 즉, 돌출부(PR111)와 돌출부(PR212), 돌출부(PR112)와 돌출부(211), 그리고 돌출부(PR113)와 돌출부(213)가 상호 대향하는 상태로서, 에어갭-모드라 함은 축열기를 그 용도에 따라 축열기에 냉각 또는 보온 에너지를 충전하도록 냉장 또는 가열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에어갭을 갖는 적층형태는 앞서 설명한 축열기의 장축을 중심으로 180°회전시켜 뒤집는 방식도 있지만 축열기의 평면을 그대로 유지한 채 180°회전시키는 방법을 택할 수도 있다. 일 축열기(A2)를 인접하는 다른 축열기(A1, A3)에 대하여 평면으로 180°회전시키는 경우로서 그 결과는 도 24의 적층형태와 상이할 것이다. 즉, 도 24에서 3개의 축열기(A1-A3)에 따른 에어갭은 축열기(A1)의 앞면(FF1)과 다른 축열기(A2)의 앞면(FF2)이 형성하는 제1 에어갭(G1), 상기 다른 축열기(A2)의 뒷면(BF2)과 또 다른 축열기(A3)의 뒷면(BF3)에 형성되는 제2 에어갭(G2)인 반면, 축열기(A2)를 평면으로 180°회전시킬 경우 축열기(A1)의 앞면(FF1)이 축열기(A2)의 뒷면(BF2)를 마주하고, 상기 축열기(A2)의 앞면(FF2)는 다시 축열기(A3)의 뒷면(BF3)를 마주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축열기(A2, A3)에 형성된 돌출부 및 함몰부의 배치는 축열기(A1)에 도시된 배치와 일치하며, 두 축열기(A2, A3)가 마주하는 상호관계 역시 두 축열기(A1, A2)가 마주하는 상호관계와 같다.
도 24는 두 축열기(A1, A2) 사이의 일 에어갭(G1)에 더하여, 축열기(A2)와 축열기(A3)가 이루는 다른 에어갭(G2)도 표시하고 있다. 일예로 상기 갭들의 간격은 적어도 10mm 이상이고, 각 돌출부(PR111-PR113, PR211-PR223)들은 적어도 6mm 이상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열기들(A1, A2 및 A2, A3)이 각각 6mm 높이의 돌출부를 갖더라도 도 24와 같이 에어갭-모드로 적층될 경우 상기 각 에어갭(G1, G2)들이 12mm가 아닌 대략 10mm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추후 설명하는 것처럼 축열기(A1) 앞면(FF1)의 돌출부(PR111, PR113) 상단에는 오목형 지지단부를 더 포함하기 때문이며, 마주하는 축열기(A2)의 앞면(FF2)에 형성된 돌출부(PR212, PR213) 역시 상기 돌출부(PR111, PR113) 상단의 오목형 지지단부에 맞도록 약 2mm (또는 그에 적정한 정도) 정도로 볼록형 지지단부를 갖기 때문이다.
정리하면, 도 24의 에어갭(G1, G2)을 갖는 적층구조는 도 23의 밀착된 적층구조에서 일 축열기를 장축 중심으로 180°회전시켜 뒤집거나 또는 평면을 유지한 채 180°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장축이라 함은 도 15, 도 16의 수직방향이고 도 23, 도 24에서는 관찰자의 시선 방향이며, 상기 장축은 돌출부(PR111), 함몰부(N113) 및 돌출부(PR112)를 포함하는 제1 영역(SA111), 그리고 함몰부(N111), 돌출부(PR113) 및 함몰부(N112)를 포함하는 제2 영역(SA112)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축에 해당한다.
설명한 것처럼, 상기 돌출부 및 함몰부는 축열기를 이루는 저장용기(C1) 각각이 앞면(FF1)의 제1 영역(SA111)에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PR111, PR112) 및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N113)를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돌출부 및 함몰부를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제1 그룹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C1) 앞면(FF1)의 제2 영역(SA112)에는 적어도 두 개의 함몰부(N111, N112) 및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PR113)를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돌출부 및 함몰부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이룬다. 이와 같이 돌출부와 함몰부들을 그룹으로 구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명확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용기(C1)의 앞면(FF1) 제1 영역(SA111)에 위치하는 제1 그룹과 제2 영역(SA112)에 위치하는 제2 그룹은 저장용기의 대향하는 측단(SE1-SE4)들 쪽으로 가깝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각 도면의 구체적 예시와 같이 저장용기(C1) 앞면(FF1)의 제1 영역(SA111)에 위치하는 제1 그룹 및 제2 영역(SA112)에 위치하는 제2 그룹은 각각 저장용기(C1)의 대향하는 테두리의 측단(SE1, SE3) 쪽으로 가깝게 배치한다. 또한 저장용기(C1)의 앞면(FF1)에서, 제1 영역(SA111)에 형성된 제1 그룹과 제2 영역(SA112)에 형성된 제2 그룹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하는 것이 좋다. 달리 설명하면 제1 그룹에서 돌출부(PR111), 함몰부(N113) 및 돌출부(PR112)로 형성되는 행 또는 열은 제2 그룹에서 함몰부(N111), 돌출부(PR113) 및 함몰부(N112)로 형성되는 행 또는 열과 나란하다.
도 19에 도시된 뒷면(BF1) 역시 같은 배치를 가진다. 저장용기(C1)의 뒷면(BF1) 제1 영역(SA121)에 위치하는 제1 그룹과 제2 영역(SA122)에 위치하는 제2 그룹은 각각 상기 저장용기(C1)의 대향하는 테두리의 측단(SE1, SE3)에 가깝게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뒷면(BF1)의 제1 영역(SA121)에 배치되는 제1 그룹과 제2 영역(SA122)에 배치되는 제2 그룹은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각 그룹을 구성하는 돌출부(PR121), 함몰부(N123), 돌출부(PR122)를 연결하는 행 또는 열과 함몰부(N121), 돌출부(PR123), 함몰부(N122)를 연결하는 행 또는 열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축열기(A1)의 앞면(FF1)와 뒷면(BF1)의 돌출부 및 함몰부의 배치를 도 18 및 도 19와 함께 비교하면, 축열기(A1)간 거울 대칭성과 대향성을 갖도록 저장용기 앞면(FF1)의 돌출부(PR111-PR113)들이 형성된 위치의 뒷면(BF1)에 각각 함몰부(N121, N122, N123)들이 위치하고, 저장용기 앞면(FF1)의 함몰부(N111-N113)들이 형성되는 위치의 뒷면(BF1)에 각 돌출부(PR121, PR122, PR123)들이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6의 측면도와 도 17의 평면도는, 일견 관찰할 때 앞면(FF1)의 각 돌출부와 뒷면(BF1)의 각 돌출부가 같은 위치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이들 돌출부는 관찰자의 시점으로부터 각각 다른 거리에 위치하는 돌출부임에 유의해야 한다.
앞서 간단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 축열기(A1)의 상기 돌출부(PR111, PR113)가 마주하는 다른 축열기(A2)의 돌출부와 접촉할 때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각각 소정의 지지단부(SS111, SS113)들을 구비한다. 축열기의 앞면과 뒷면에 형성된 적어도 3개 이상의 돌출부(PR111-PR113)들과 돌출부(PR121-PR123)들 각각 상기 지지단부들을 갖는다.
도 18 및 도 19와 같이 축열기의 앞면(FF1)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PR111-PR113)들은 각 돌출부에 특화된 다른 형태의 지지단부(SS111-SS113)이고, 뒷면(BF1)의 돌출부(PR121-PR123) 역시 각 돌출부에 따라 다른 형태의 지지단부(SS121-SS123)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것처럼, 축열기(A1) 앞면(FF1)의 일 돌출부(PR111)에 형성된 지지단부(SS111)는 그 끝을 오목하게 함몰시킨 오목형이고, 뒷면(BF1)의 돌출부(PR121) 역시 오목형 지지단부(SS121)를 갖는다. 에어갭-모드로서 축열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도록 에어갭(G1, G2)을 이루도록 도 24와 같이 적층하는 경우, 앞서 설명과 같이 도 21의 축열기(A2)를 장축으로 180°회전시켜 그 앞면(FF2)과 우측의 축열기(A1)의 앞면(FF1)과 대면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C1) 앞면(FF1)의 돌출부(PR111)에 형성된 오목형 지지단부(SS111)는 돌출부의 중심위치를 지정하는 구조를 제공하며, 마주하는 축열기(A2) 앞면(FF2)의 돌출부(PR212)에 형성된 볼록형 지지단부(SS212)를 수용하도록 접촉하므로 돌출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에어갭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앞면(FF1)의 돌출부(PR112)에 형성된 볼록형 지지단부(SS112) 역시 축열기(A2) 앞면(FF2)의 돌출부(PR211)의 오목형 지지단부(SS211)에 체결되어 중심위치를 안정화한다.
도 20 내지 도 22와 같이 제2 축열기(A2) 뒷면(BF2)의 각 돌출부에도 소정의 지지단부(SS221-SS223, SS211-SS213)들을 구비한다. 도 20의 윗부분 도면과 같이 축열기(A2)의 뒷면(BF2)에 각각 다른 형태의 지지단부(SS221-SS223)들을 포함하며, 형상이고, 도 21의 왼쪽 도면과 같이 그 앞면(FF2)의 각 돌출부(PR211-PR213)에는 각각 지지단부(SS211-SS213)들을 갖도록 하였다. 도 21의 돌출부(PR211)에 형성된 지지단부(SS211), 도 20의 돌출부(PR221)에 형성된 지지단부(SS221)는 각각 도 19의 축열기(A1) 앞뒷면에 형성된 지지단부(SS111, SS121)와 같이 중공형인 오목형 지지단부들이다.
축열기(A1) 앞면(FF1)의 일 돌출부(PR111)가 오목형 지지단부(SS111)를 구비하는 위치결정의 제1 유형이라고 한다면, 상기 축열기의 다른 돌출부(PR112)에 구비된 지지단부(SS112)는 축열기(A2)의 돌출부(PR221)에 형성된 오목형 지지단부(SS221)와 마주하여 상호 위치를 안정시키는 제2 유형의 볼록형 지지단부를 이룬다.
나머지 제3 유형의 위치조정 지지단부에 대하여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축열기(A1) 앞면(FF1)의 제1, 2 유형의 지지단부를 갖는 돌출부의 다른 편에 위치한 돌출부(PR113)에는 제3 유형의 계단형 지지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하나 이상의 돌출부(PR113)의 지지단부(SS113)는 그 단부가 상하단(SS113L, SS113H)으로 계단을 이루며, 이에 대향하는 축열기(A1)의 뒷면(BF1)에 있는 일 돌출부(PR123)의 지지단부(SS123)에 구비된 상하단(SS123L, SS123H)으로 계단형인 지지단부에 체결된다. 같은 방식으로 제2 축열기(A2)의 뒷면(BF2)에도 돌출부(PR223)에 상하단(SS223L, SS223H)으로 계단을 이루는 지지단부(SS223)를 더 구비하여, 제1 축열기(A1)의 앞면(FF1)에 형성된 돌출부(PR113)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계단형 지지단부를 갖는다.
도 24와 도시된 지지단부(SS113, SS223) 형태에 나타나는 것처럼, 제1 축열기(A1)의 일 돌출부(PR113)의 상단(SS113H)은 제2 축열기(A2) 앞면(FF2)의 또 다른 돌출부(PR213)의 하단(SS213L)에 맞물린다. 아울러, 축열기(A1)의 돌출부(PR113)에 구비된 하단(SS113L)은 제2 축열기(A2) 앞면(FF2)의 돌출부(PR213)에 형성된 상단(SS213H)과 맞물린다.
여기서 계단형 단부를 상하로 표현한 것은 축열기 표면으로부터의 돌출 정도를 높낮이로 표현한 것이므로 이를 지면으로부터의 높낮이로 오해해서는 안될 것이다.
도 15, 도 18 내지 도 2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제1 축열기를 이루는 저장용기(C1) 앞면(FF1)의 제2 영역(SA112)에 위치하는 제2 그룹에서는, 상기 계단형 지지단부(SS113H, SS113L)를 구비한 돌출부(PR113)가 두 개의 함몰부(N111, N112)의 사이에 위치한다. 그와 반대로 상기 저장용기(C1) 앞면(FF1)의 제1 영역(SA111)에 속하는 제1 그룹에서는 함몰부(N113)가 두 개의 돌출부(PR111, PR1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축열기(A1)의 뒷면(BF1) 또한 각 돌출부와 함몰부가 같은 방식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저장용기의 앞뒷면에 형성되는 돌출부 및 함몰부의 거울 대칭형 배치에 대하여 달리 설명하면, 저장용기(C1) 앞면(FF1)의 제1 영역(SA111)에 속하는 제1 그룹의 일 돌출부를 예로써, 상기 돌출부가 위치한 종방향 반대편의 제2 영역에 제2 그룹에 속하는 함몰부가 위치한다고 할 것이다. 즉, 하나의 동일 종방향 선에 돌출부(PR111) 및 함몰부(N111)가, 장축의 반대편에 동일한 종방향으로 돌출부(PR112) 및 함몰부(N112)가 각각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나누어 배치된다. 또한 저장용기(C1) 앞면(FF1)의 제1 영역(SA111)에 속하는 제1 그룹에 함몰부(N113)가 위치하는 경우 같은 종방향 라인의 제2 영역에는 제2 그룹에 속하는 돌출부(PR113)가 위치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돌출부 배치는 축열기의 냉각 또는 가열을 위한 에어갭을 제공함은 물론, 축열기를 단열 박스에 탑재할 때 박스 내부의 바닥벽이나 다른 내측벽과 이격시키는 에어갭을 제공하기도 한다. 또 지금까지 설명된 축열기(A1)의 양쪽면에 형성하는 돌출부와 함몰부 배치에 관한 것은 다른 축열기(A2, A3)의 돌출부 및 함몰부의 배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도 19와 같이 본 발명의 축열기를 이루는 저장용기(C1)는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손가락으로 축열기를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파지수단(L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수단(LS)은 저장용기의 테두리에 둘러싸여 저장용기의 일 면에 위치하며, 저장용기의 뒷면(BF1)에 더 내측으로 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축열기가 배송 박스의 바닥에 놓이거나 다른 축열기에 포개져 있을 때 복수의 손가락을 끼워서 파지수단(LS)을 붙잡을 수 있도록 관통구(OP)를 구비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저장용기의 구조는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 모두에 적합한 것이며, 기타 설명하지 않은 도면부호 SIL1 및 SIL2는 저장용기(C1, C2)에 상변화 물질을 채우고 밀폐하도록 구비된 충진구를 표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축열기에 배치되는 돌출부/함몰부 또는 함몰부/돌출부들이 직사각형의 기본 골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그러나 정사각형 기반의 축열기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때 함몰부/돌출부 또는 돌출부/함몰부를 갖는 하나의 그룹은 90°회전으로 돌출부/함몰부 또는 함몰부/돌출부를 갖는 다른 그룹으로 교번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축열기간 90°평면 회전으로써 축열기의 3개의 돌출부가 다른 축열기의 3개의 돌출부와 마주하는 에어갭 모드를 구성한다. 즉, 축열기를 90°회전시키는 것에 따른 돌출부/함몰부의 그룹 배치가 도 15의 180°회전에 따른 것과 대비될 것이며, 측단(SE1) 및/또는 측단(SE4)이 교번하는 배치를 이룰 것이다.
본 발명에서 특히 중요한 점은 축열기의 일 면을 두 개의 영역(SA111, SA112)으로 나누되 이들 두 영역은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단(SE1, SE3)쪽에 구획되며,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는 커플링 수단인 돌출부/함몰부 제1 그룹은 제2 영역에서 함몰부/돌출부로 배치되는 제2 그룹과 서로 반대로 배치되는 점이다. 즉, 일 영역(SA111)에 배치되는 그룹이 2개의 돌출부(PR111, PR112) 및 하나의 함몰부(N113)를 갖는다면 다른 영역(SA112)에는 2개의 함몰부(N111, N112)와 하나의 돌출부(PR113)로 그룹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일 면의 뒷면(BF1)에도 상응하는 돌출부/함몰부로 그룹을 구성하되, 앞면(FF1)에서 이들 두 그룹이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단(SE1, SE3)쪽으로 배치되는 경우, 마찬가지로 반대쪽에서도 각 측단(SE3, SE1)에 가깝도록 배치한다. 즉, 앞면(FF1)의 제1 영역(SA111)은 측단(SE1) 쪽으로 두 개의 돌출부(PR111, PR112)와 하나의 함몰부(N113)로 그룹을 구성하였다면, 뒷면(BF1)의 제2 영역(SA122)에는 앞면과 반대쪽 측단(SE3) 쪽으로 두 개의 돌출부(PR121, PR112)와 하나의 함몰부(N112)로 그룹을 이루도록 배치한다.
같은 방식으로 축열기 앞면(FF1)의 다른 측단(SE3) 쪽을 제2 영역(SA112)으로 지정하여 함몰부(N111, N112)와 돌출부(PR113)를 그룹으로 배치한다면, 뒷면(BF1)에는 측단(SE1) 쪽 제1 영역(SA121)에 함몰부(N121, N122)와 돌출부(PR123)로서 그룹을 이루도록 한다. 당연한 설명이지만 앞면과 뒷면에 형성된 그룹은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축열기를 이루는 저장용기는 앞면(FF1)에 돌출부(PR111-PR113)가 배치되는 위치의 뒷면(BF1)에 함몰부(N121-N123)들이 각각 배치되고, 역으로 앞면(FF1)에서 함몰부(N111-N113)가 위치하는 곳의 뒷면(BF1)에 돌출부(PR121-PR123)들이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단열 박스의 소재로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발포 폴리스틸렌(EPS) 또는 폴리우레탄(PUR) 등이며, 박스(1)의 외부 표면은 주위 열 전달을 줄이도록 열 반사성 페인트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박스(1)의 외면 역시 흠집이나 긁힘으로부터 보호하는 코팅 처리를 더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단열 박스의 내부 및/또는 외부 표면에 항균 코팅을 더할 수도 있다.
많은 국가들이 자국 위생법 등에 따라 부패하기 쉬운 식품의 유통에 대하여 냉각 부재를 담은 단열성 저장용기를 뚜껑으로 밀폐하여 제한된 시간 이내 소정 온도로 보관하여 판매 또는 유통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또 보관물품의 종류에 따라 보관 온도가 법정 규정치 아래로 유지된다면 냉각 부재가 없이 보관하는 것이 허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부패하기 쉬운 음식은 법정 규정치 이하의 냉장 온도로 보관되지 않으면 부패로 인해 소비자 안전성에 위해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육류, 가금류, 생선류, 유제품 등과 같은 식품의 법정 허용온도인 대략 최고 0℃ 내지 8℃ 범위에서 엄격히 관리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송용 단열 박스(1)는 위와 같은 법규에 따라 부패하기 쉬운 식품을 임시 저장하는데 매우 유용하며, 냉장용 박스일 경우 내부 축열기에 사용되는 상변화 물질의 바람직한 융점 온도인 -2℃ 내지 2℃ 범위를 갖는 소재를 선택할 수 있게 하였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시간에 따른 기술발전을 반영하여 이 분야의 기술에 숙련된 사람들에게 자명한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적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그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도면과 상세한 설명의 예시에 국한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청구한 기술적 보호범위에 따라 합리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단열 배송 박스, 2. 커버, 3. 박스 본체, 4. 측벽, 5. 단부벽,
6. 개방부, 7. 바닥벽, 8. 플랜지, 9a 및 9b. 하프컬럼,
10, 10a, 10b. 하프컬럼(9a, 9b) 사이의 갭들, 11. 분리칸막이,
12. 노치, 13. 테두리, 14. 하프컬럼의 끝단, 15. 보관물품,
16.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 17. 통공, 18. 반구형 돌기,
19a, 19b. 반구형 돌기의 배열 간격,
20a 내지 20d. 박스 내부의 구획된 공간,
21. 주연부, 22. 벽체, 23. 온도 모니터링 장치, 24. 장착 트레이,
25. 고정구, 26. 운반부재, 27. 돌출부, 28. 요부, 29. 돌부,
A1, A2, A3.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 BF1, BF2, BF3. 뒷면,
C1, C2. 저장용기, FF1, FF2, FF3. 앞면, G1,G2. 에어갭,
L. 장축 방향, LS. 파지수단,
N111-N113, N121-N123, N221-N123, N221- N223. 함몰부, OP. 관통구,
PR111-PR113, PR121-PR123. 돌출부, SA111, SA121. 제 1 영역,
SA112, SA122. 제 2 영역, SE1-SE4. 측단, SIL1,SIL2. 충진구,
SS111-SS113, SS121-SS123. 지지단부, w. 횡축 방향.

Claims (20)

  1. 배송용 단열 박스에 있어서,
    상기 단열 박스는 커버(2) 및 박스 몸체(3)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몸체(3)는 측벽들(4), 단부벽들(5), 개방부(6) 및 바닥벽(7)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들(4)의 내측면에 상기 측벽들(4)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하프컬럼들(9a)과, 상기 단부벽들(5)의 내측면에 상기 단부벽들(4)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하프컬럼들(9b)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하프컬럼들(9a, 9b)은 상기 측벽들(4)과 상기 단부벽들(5)을 따라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단열 박스(1)에는, 그 대향하는 테두리(13)에 복수의 노치(12)들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벽체(22, 22b)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벽체(22, 22b)가 상기 개방부(6)의 일부를 덮도록 위치할 경우, 상기 벽체(22, 22b)는 상기 하프컬럼들(9a, 9b)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복수의 노치(12)들 일부와 상기 측벽들(4)의 하프컬럼들(9a) 사이의 갭(10a)들을 통해 공기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동일한 벽체(22, 22b)는 상기 박스(1)의 내부를 두 개의 수평한 공간(20a 내지 20d)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측벽들의 인접하는 두 하프컬럼(9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벽체(22, 22b)는 각각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A1, A2)로서 상변화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C1)이고,
    상기 저장용기(C1)는 앞면(FF1)과 뒷면(BF1), 상기 앞면(FF1)과 뒷면(BF1) 사이에 4개의 측단들(SE1-SE4)을 구비하며,
    상기 축열기(A1)는 그 앞면(FF1)과 뒷면(BF1)에 복수의 돌출부(PR111-PR113, PR121-PR123)들과 복수의 함몰부(N111-N113, N121-N123)들을 포함하되,
    상기 축열기(A1)의 저장용기(C1)의 면(FF1)이 다른 축열기(A2)의 면(BF2)과 밀착하는 사용-모드(use mode)를 이루는 경우, 상기 축열기(A1)의 상기 돌출부(PR111-PR113)들은 상기 다른 축열기(A2)의 대응하는 함몰부(N221-N223)들에 체결되고, 상기 축열기(A1)의 상기 함몰부(N111-N113)들은 상기 다른 축열기(A2)의 대응하는 돌출부들과 체결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용 단열 박스.
  2. 제1항에 따른 배송용 단열 박스에 있어서,
    상기 축열기(A1, A2)를 이루는 저장용기(C1)의 상기 앞면(FF1)과 뒷면(BF1)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들과 함몰부들이 그룹을 이루되,
    상기 저장용기(C1)의 앞면과 뒷면(FF1, BF1) 각각의 제1 영역(SA111, SA121)에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PR111와 PR112, PR121와 PR122)와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N113, N123)를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돌출부 내지 함몰부로 이루어지는 제1 그룹과,
    상기 저장용기(C1)의 앞면과 뒷면(FF1, BF1) 각각의 제2 영역(SA112, SA122)에 적어도 두 개의 함몰부(N111와 N112, N121와 N122)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PR113, PR123)를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돌출부 내지 함몰부로 이루어지는 제2 그룹으로 구분되며,
    상기 축열기(A1)에 대하여 다른 축열기(A2)가 회전된 위치로 배치될 경우 상기 축열기의 면(FF1)과 다른 축열기(A2)의 면(FF2)이 이격되고, 그 사이로 에어갭(G1)을 형성하도록 상기 축열기(A1)의 상기 돌출부(PR111-PR113)들이 상기 다른 축열기(A2)의 돌출부들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용 단열 박스.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배송용 단열 박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대향하는 테두리(13)에 복수의 노치(1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칸막이(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칸막이(11)가 상기 박스(1)의 개방부(6) 일부를 덮도록 위치하는 경우, 상기 측벽들(4)에 돌출된 하프컬럼들(9a, 9b)에 지지되면서, 상기 복수의 노치(12)들 일부와 상기 측벽들(4)에 돌출된 하프컬럼(9a)들 사이의 갭(10a)들을 통해 공기유로를 형성하며,
    동일한 상기 분리칸막이(11)는 또한 상기 박스(1) 내부를 두 개의 공간(20a, 20b)으로 구획하도록 인접하는 상기 하프컬럼들(9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용 단열 박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배송용 단열 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1)의 바닥벽(7)에 상당한 정도로 반구형에 가까운 다수의 돌출부들(18)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용 단열 박스.
  5. 제4항의 배송용 단열 박스에 있어서,
    상기 상당한 정도로 반구형상인 다수의 돌출부들(18)은 상기 바닥벽(7)을 가로지르는 방향(w)으로 정렬되고,
    상기 정렬된 줄들 사이의 갭(19a)은 상기 측벽들(4)의 인접하는 두 하프컬럼들(9a) 사이의 갭(10a)과 상기 박스의 길이방향(L)을 따라 상당한 정도로 동일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용 단열 박스.
  6. 제4항의 배송용 단열 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3) 및 상기 복수의 하프컬럼들(9a, 9b), 상기 상당한 정도로 반구형상인 다수의 돌출부들(18)이 동일한 소재의 단벌 물품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용 단열 박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배송용 단열 박스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4)로부터 돌출된 하프컬럼들(9a)의 적어도 일부는 바닥벽(7)으로부터 박스 본체(3)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용 단열 박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배송용 단열 박스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4)로부터 돌출되는 하프컬럼들(9a)은 그 외주면이 반원형 단면의 반경 미만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용 단열 박스.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배송용 단열 박스에 있어서,
    동일한 상기 분리칸막이(11)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16)를 위한 지지면을 이루도록 위치할 수 있고, 또한 박스 본체(3) 하부로 보관물품(15)들을 위한 지지면을 이루도록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용 단열 박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배송용 단열 박스에 있어서,
    상기 벽체(22, 22b)가 박스 본체(3)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벽체에 구비된 노치(12)들이 상기 하프컬럼들(9a)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용 단열 박스.
  11.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배송용 단열 박스에 있어서,
    상기 분리칸막이(11)는 그 테두리(13)로부터 연장되는 주연부들(21)을 구비하며, 상기 분리칸막이(11)가 박스 본체(3)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주연부들(21)이 바닥벽(7)에 접촉하여 상기 분리칸막이(11)를 지지하고, 상기 분리칸막이(11)와 바닥벽(7) 사이로 공기유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용 단열 박스.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배송용 단열 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1) 내부에 온도 모니터링 장치(23)을 위한 트레이(24)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24)는 분리칸막이(11) 또는 벽체(22),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16)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용 단열 박스.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배송용 단열 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1)는 휴대이동이 가능하도록 운반부재(26)를 위한 고정구(25)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용 단열 박스.
  14. 배송용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로서,
    상기 배송용 단열 박스(1)는 커버(2)와 박스 본체(3)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본체(3)는 측벽들(4), 단부벽들(5), 개방부(6) 및 바닥벽(7)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들(4)의 내측면에 상기 측벽들(4)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하프컬럼들(9a)을, 상기 단부벽들(5)의 내측면에 상기 단부벽들(4)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하프컬럼들(9b)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하프컬럼들(9a, 9b)은 상기 측벽들(4)과 상기 단부벽들(5)을 따라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며,
    또한 상기 배송용 단열 박스(1)에는, 두 개의 벽체(22, 22b)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22, 22b)는 대향하는 테두리(13)들에 복수의 노치(12)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벽체(22, 22b)가 상기 개방부(6)의 일부를 덮는 경우, 상기 벽체(22, 22b)는 상기 하프컬럼들(9a, 9b)에 지지되면서 상기 복수의 노치(12)들 일부가 상기 측벽(4)에 돌출된 하프컬럼(9a)들 사이의 갭(10a)들에 위치하여 아래로 공기유로를 이루도록 위치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벽체(22, 22b)는 냉장 또는 보온용 상변화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C1)로 이루어진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A1, A2)이고,
    상기 저장용기(C1)는 앞면(FF1)과 뒷면(BF1) 그리고 상기 앞면(FF1)과 뒷면(BF1) 사이에 4개의 측단들(SE1-SE4)을 구비하여, 상기 축열기(A1)의 앞면(FF1)과 뒷면(BF1)에는 복수의 돌출부(PR111-PR113, PR121-PR123)들과 복수의 함몰부(N111-N113, N121-N123)들을 포함하며,
    상기 축열기(A1)의 상기 돌출부들(PR111-PR113)이 다른 축열기(A2)의 함몰부들(N221-N223)과 체결되고, 상기 축열기(A1)의 상기 함몰부들(N111-N113)은 상기 다른 축열기(A2)의 대응하는 돌출부들에 체결되어 상기 축열기(A1)의 면(FF1)이 상기 다른 축열기(A2)의 면(BF2)과 밀착하는 사용-모드를 이룰 수 있고,
    또한 제1 및 제2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로써 두 개의 벽체(22b)를 포함하는 내부 구조로서, 상기 제1 축열기(A1)를 이루는 저장용기(C1)의 면(FF1)이 제2 축열기(A2)를 이루는 저장용기(C2)의 면(BF2)과 밀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축열기가 상기 박스(1)의 내부를 수평인 두 개의 공간(20a-20d)을 형성하도록 상기 인접하는 하프컬럼들(9a)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용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
  15. 제14항에 따른 배송용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부 구조에는 두 개의 벽체(22b)를 이루는 냉장 또는 보온용 축열기(A1, A2)를 포함하며, 상기 축열기(A1, A2)는 상기 하프컬럼들(9a, 9b)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박스의 개방부(6)를 덮도록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용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
  16. 제14항 또는 제15항의 배송용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열기(A1)를 이루는 저장용기(C1)에 저장된 상변화 물질의 용융점/응고점이 상기 제2 축열기(A2)를 이루는 저장용기(C2)에 저장된 상변화 물질의 용융점/응고점과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용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배송용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7) 위로 두 개의 벽체(22b)가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용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
  18. 제14항 또는 제17항 중 어느 하나 배송용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배송용 단열 박스에 따른 내부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용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
  19.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배송용 단열 박스를 백신류의 배송에 사용하는 용도.
  20.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배송용 단열 박스를 부패할 수 있는 식품류를 임시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용도.
KR1020207015388A 2017-11-13 2018-11-12 배송용 단열 박스 및 배송용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 KR202000711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PCT/EP2017/079042 2017-11-13
PCT/EP2017/079042 WO2019091581A1 (en) 2017-11-13 2017-11-13 Thermally insulated transport box
FI20185366A FI20185366A1 (en) 2018-04-18 2018-04-18 Accumulator for storage of cold or heat
FI20185366 2018-04-18
PCT/FI2018/050828 WO2019092320A1 (en) 2017-11-13 2018-11-12 A thermally insulated transport box and an arrangement in a thermally insulated transport bo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129A true KR20200071129A (ko) 2020-06-18

Family

ID=66438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388A KR20200071129A (ko) 2017-11-13 2018-11-12 배송용 단열 박스 및 배송용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72482B2 (ko)
EP (1) EP3710377A4 (ko)
JP (1) JP2021502537A (ko)
KR (1) KR20200071129A (ko)
CN (1) CN111372867B (ko)
WO (1) WO20190923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86794A1 (en) * 2019-06-24 2022-04-27 ifoodbag AB Method of delivering chilled goods
IL275977B2 (en) * 2019-07-17 2024-04-01 Rosenblum Reut A sterile facility for rapid cooling of hot water
DE102019213581A1 (de) * 2019-09-06 2021-03-11 BSH Hausgeräte GmbH Lebensmittel-Aufnahmeschale mit spezifisch ausgebildeter Kühlakkuhalterung
US20210403224A1 (en) * 2020-06-24 2021-12-30 World Courier Management Limited Packaging system for transporting temperature-sensitive products
CN112158451B (zh) * 2020-10-21 2022-06-17 圆因(北京)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分层式冷气循环结构的疫苗试剂转移用冷冻箱
US20230257185A1 (en) * 2020-10-26 2023-08-17 Pelican Biothermal, Llc Passive thermally controlled shipping container and components thereof
DE202020107340U1 (de) * 2020-12-17 2021-01-20 Va-Q-Tec Ag Isolationsbehälter für den temperaturgeführten Transport von pharmazeutischen Produkten
CN114963640B (zh) * 2021-02-18 2024-05-24 内蒙古伊利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门组件及冷柜
CN115583432B (zh) * 2022-09-27 2023-04-25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直流公司 一种多功能直流控制保护板卡包装盒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37705A (en) * 1936-04-20 1938-11-22 Charles Leander Tiefry Portable refrigerator or cooler
US3255607A (en) * 1965-03-24 1966-06-14 Lester E Bair Thermal chests
JPS56118865U (ko) * 1980-02-14 1981-09-10
DE3031176A1 (de) 1980-08-18 1982-04-01 Zorn, Edgar, 6300 Gießen Kuehlakku mit einer kaeltespeicher- oder einer kaelte erzeugenden masse
US4441336A (en) * 1982-08-23 1984-04-10 Plattner Industries, Inc. Cooler having freeze bottle insert
JPH0142539Y2 (ko) * 1984-12-31 1989-12-12
US4656840A (en) * 1985-11-29 1987-04-14 Gott Corporation Container for freezable liquid
WO1993024797A1 (en) 1992-06-03 1993-12-09 Kouwenberg Robert J C An ice pack container
US5910162A (en) * 1997-04-27 1999-06-08 Paul Flum Ideas, Inc. Product merchandising unit with variable/selectable product capacity
DE19907184A1 (de) * 1999-02-19 2000-08-2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Gefrierschrank
JP2000346514A (ja) * 1999-06-08 2000-12-15 Inoac Corp 保冷箱及び蓄冷体付き保冷箱
US6279744B1 (en) * 2000-04-27 2001-08-28 Chih-Hsin Yu Tool kit structure
JP2002154582A (ja) * 2000-11-16 2002-05-28 Toho Kogyo Kk 板状体搬送函体
JP3850852B2 (ja) * 2004-10-05 2006-11-29 俊郎 藤原 基板搬送用容器
US20060174648A1 (en) 2005-01-26 2006-08-10 Gary Lantz Insulated shipping container and method
GB2465376B (en) * 2008-11-14 2012-11-28 Tower Cold Chain Solutions Ltd Thermally insulated reuseable transportation container
CN201314757Y (zh) 2008-11-20 2009-09-23 海信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果菜抽屉
US20110098256A1 (en) 2009-10-22 2011-04-28 Hines Dixie J Method for making and using a topical dermatological solution
WO2012143533A1 (en) 2011-04-21 2012-10-26 Becton Dickinson France Packaging for medical containers
GB201112661D0 (en) 2011-07-22 2011-09-07 Softbox Systems Ltd Contain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TWI507649B (zh) * 2012-11-22 2015-11-11 Ind Tech Res Inst 蓄冷片
DE102013003008B4 (de) 2013-02-23 2015-03-19 delta T Gesellschaft für Medizintechnik mbH Vollbluttransportsystem
JP2015193388A (ja) * 2014-03-31 2015-11-05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保冷箱
DE102014016463A1 (de) * 2014-11-07 2016-05-12 Rieber Gmbh & Co. Kg Transportbox für Gastro-Norm-Behälter
KR101783021B1 (ko) 2016-05-04 2017-09-28 ㈜스페이스선 조립 가능한 모듈 타입 빗물 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2320A1 (en) 2019-05-16
CN111372867A (zh) 2020-07-03
US20200247602A1 (en) 2020-08-06
CN111372867B (zh) 2022-08-26
US11072482B2 (en) 2021-07-27
EP3710377A4 (en) 2020-12-16
JP2021502537A (ja) 2021-01-28
EP3710377A1 (en)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1129A (ko) 배송용 단열 박스 및 배송용 단열 박스의 내부 구조
US7874177B2 (en) Pouch for carrying temperature-sensitive products
RU2347157C2 (ru) Изолированные перевозочные контейнеры
US7097034B2 (en) Carrier
US4286440A (en) Compartment cooler
EP2900568B1 (en) Convection based temperature assured packaging system
US20020050147A1 (en) Insulating container
US20110290792A1 (en) Thermally insulated reusable transportation container
WO2008133374A1 (en) Cool-keeping system
US20170307278A1 (en) Segmented container with multiple temperature zones
US20070295733A1 (en) Shipping System and Container for Transportation and In-Store Maintenance of Temperature Sensitive Products
US20230358458A1 (en) Rigid Refreezable Portable Storage Container Insert
KR101486018B1 (ko)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US9414610B2 (en) Egg chiller and method of use
JP2016182977A (ja) 定温保管容器
JP2016069031A (ja) 多温度帯収納容器及び多温度帯収納容器の形成方法
JP2000159271A (ja) 保冷容器
JP2021187542A (ja) 保冷型包装容器
WO2019091581A1 (en) Thermally insulated transport box
NL2014865B1 (nl) Afsluitbare houder voor het op temperatuur houden van goederen, in het bijzonder levensmiddelen, en samenstel.
JP2000203662A (ja) 断熱折り畳み式コンテナ―
KR101137963B1 (ko) 수박 포장 상자
JP3106402U (ja) 蓄熱パック
JPH0123976Y2 (ko)
JP2020083529A (ja) 保冷対象物品の定温配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