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899A -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899A
KR20200070899A KR1020180158559A KR20180158559A KR20200070899A KR 20200070899 A KR20200070899 A KR 20200070899A KR 1020180158559 A KR1020180158559 A KR 1020180158559A KR 20180158559 A KR20180158559 A KR 20180158559A KR 20200070899 A KR20200070899 A KR 20200070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ck plate
coupled
pad portion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8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0899A/ko
Priority to CN201911181531.4A priority patent/CN111292619B/zh
Priority to US16/708,187 priority patent/US11341872B2/en
Publication of KR20200070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하게 휘어지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의 두께를 탄력적으로 가변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백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연하게 휘어지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과,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배면에 결합되는 백플레이트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및 백플레이트를 일체로 감거나 풀어주는 롤러가 구비되고, 일체로 출입시키는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출입구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백플레이트의 두께가 순차적으로 감소하면서 상기 롤러에 감겨 수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Back plate and Rollable Displa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배면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가 롤러에 감긴 상태에서는 롤링이 이루어지고, 풀린 상태에서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배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해주는 영상 디스플레이는 정보 통신 시대의 핵심 기술로 더 얇고 더 가벼우며, 고 성능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음극선관(CRT)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로 자발광이 가능하여 광원 유닛을 생략할 수 있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등이 각광받고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각 화소는 발광 소자와, 그 발광 소자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화소 구동 회로를 구비한다.
한편, 최근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관점에서, 주머니나 작은 파우치에 넣은 상태로 휴대가 용이하며, 휴대시보다 큰 화면으로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휴대나 보관시에는 접거나 일부를 벤딩한 형태로 있다가, 영상의 표시시 디스플레이를 펼친 상태로 구현하여, 영상 표시 영역을 늘리고 또한 사용자의 시감을 향상시키며 실감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여러 형태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 중 우수한 휴대성과, 감았을 때 대비 펼쳤을 때의 디스플레이의 대면적 효과의 장점으로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보관이나 휴대 상태에서는 롤러에 표시부를 감았다가 표시 시에만 표시부의 말단을 풀어 표시에 이용하는데, 롤러에서 표시부가 풀린 상태에서는 플렉서블한 패널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또한 이러한 문제를 위해 견고한 프레임을 추가하면 롤러에 감긴 상태에서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백플레이트가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배면을 견고하게 고정 및 지지함과 동시에 표시 패널과 함께 롤러에 감기면서 두께가 증가하지 않는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플레이트는 유연하게 휘어지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의 두께 또는 간격을 를 탄력적으로 가변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유연하게 휘어지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과,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배면에 결합되는 백플레이트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및 백플레이트를 일체로 감거나 풀어주는 롤러가 구비되고, 일체로 출입시키는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출입구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백플레이트의 두께가 순차적으로 감소하면서 상기 롤러에 감겨 수납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의하면,
첫째, 롤러에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감길 때, 백플레이트의 두께가 줄어들기 때문에 보관이나 이동 중에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둘째, 롤러에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풀었을 때, 백플레이트의 두께가 증가하면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배면을 지지하기 때문에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셋째,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지지력이 견고해짐에 따라서 외력에 의해 물결 치듯이 흔들리거나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측면을 도시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의 일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백플레이트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롤링 튜브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백플레이트의 A-A'를 정면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백플레이트가 롤링 또는 가압되면서 두께가 작아진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백플레이트가 롤링 또는 가압되면서 두께가 작아진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부의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백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측면을 도시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의 일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10)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과, 백플레이트(120) 및 케이스(130)를 포함한다.
먼저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은 전면에 표시영역이 마련되고, 배면은 백플레이트(120)와 결합된다. 이때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은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패널(110)과 같이 자발광의 연성 가능한 표시 패널(110)이 적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은 백플레이트(120)와 함께 결합된 디스플레이부(100) 상태로 케이스(130) 내부에 구비된 롤러(131)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롤링이 이루어지고, 디스플레이부(100)가 롤러(131)에 감기면 부피가 줄기 때문에 보관이나 이동이 용이해지고, 디스플레이부(100)가 롤러(131)에서 풀리면 표시영역이 증가하기 때문에 대화면 영상 구현이 용이해진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의 배면에는 백플레이트(120)가 결합된다. 백플레이트(120)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에 비하여 강성 또는 탄성이 강하여 유연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외력에 의해 흔들리거나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가지는 소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백플레이트(120)는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및 탄성부(124)로 구성된다. 제1플레이트(121)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의 배면에 부착되고, 제2플레이트(122)는 제1플레이트(121)와 마주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며, 탄성부(124)는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에 배치되어,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0)의 굽힘 강성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백플레이트(120)는 제2플레이트(122)의 배면에 결합되는 보호필름(129)을 포함한다. 이러한 보호필름(129)은 제2플레이트(122)에 형성된 통공(도 3 참조, 123)을 차폐하여, 백플레이트(120) 내부에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백플레이트(120)는 메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보호필름(129)이 이러한 제2플레이트(122)의 표면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메탈 재질의 제2플레이트(122)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백플레이트(120)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기한다.
케이스(130)는 내부에 디스플레이부(100)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롤러(131)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부(100)가 출입하는 출입구(132)가 형성된다. 롤러(131)는 별도의 구동모터를 통하여 자동으로 권취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고, 물론 수동으로 사용자가 감거나 풀 수도 있다. 이때 케이스(130)는 롤러(131)의 지름에 따라서 그 크기가 결정되며, 예를 들어 볼펜 크기의 케이스(130)부터 벽에 걸 수 있는 대형 스크린 사이즈까지 다양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0)의 단부에는 케이스(130) 내부에 유입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111)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111)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00)를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백플레이트들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백플레이트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롤링 튜브(126)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120)는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및 탄성부(124)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는 롤링 과정에서 유연하게 대응하고, 또한 케이스(130) 내부에 구비된 작은 사이즈의 롤러(131)에 대응하여 작은 반경이 요구될 때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통공(123)이 설정 패턴으로 각 플레이트들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통공(123) 패턴으로 인해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가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고, 작은 사이즈의 롤러(131)에 롤링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물론,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는 통공(123)이 없는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에만 통공(123)이 설정 패턴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백플레이트(120)가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과 함께 롤러(131)에 롤링되는 경우, 제1플레이트(121)가 제2플레이트(122)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제2플레이트(122)가 가장 안쪽에서 위치하도록 롤링이 이루어진다. 이때 백플레이트(120)는 롤러(131)에 감기는 부분에서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의 제1간격이 도 4와 같이 줄어들면서 롤러(131)에 감기고, 다시 롤러(131)에서 풀리는 부분에서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의 제2간격이 도 3과 같이 늘어나면서 평면으로 풀리게 된다.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는 얇은 메탈 재질로 이루어져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을 지지한다.
그리고 탄성부(124)는 패드부(125)와 롤링 튜브(126)를 포함한다.
패드부(125)는 디스플레이부(100)가 케이스(130) 상에서 인출된 롤 아웃(roll-out) 상태에서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의 제2간격을 유지하고, 다시 디스플레이부(100)가 케이스(130) 내부에 인입된 롤 인(roll-in) 상태에서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의 제1간격을 유지하도록 탄력적으로 압축된다. 이러한 패드부(125)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면서 압축방향으로만 변형이 가능한 고무, 폴리우레탄(PU) 또는 중공의 폴리 카보네이트 재질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롤링 튜브(126)는 일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호(弧) 형상으로 중심 부분이 돌출된 제1면(127)과, 제1면(127) 반대쪽에서 중심 부분이 오목한 제2면(128)과,제1면(127) 또는 제2면(128)의 양 단부로 연장된지지부(127a)를 포함한다. 롤링 튜브(126)는 패드부(125)와 나란히 교번으로 복수개 배치되며, 굽힘 강성에 따라서 패드부(125) 또는 롤링 튜브(126)의 간격이나 개수는 조절이 가능하다.
롤링 튜브(126)는 제1면(127)이 제1플레이트(121) 또는 제2플레이트(122)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고, 제2면(128)은 다른 하나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롤링 튜브(126)가 “U”자 형태로 롤 아웃된 상태에서, 제1면(127)이 제2플레이트(122) 안쪽면에 부착되고, 제2면(128)이 제1플레이트(121)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지지부(127a)가 제1플레이트(121)에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제1면(127)이 제2면(128)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되어야 롤링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제2면(128)은 롤 인 되면서,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제1플레이트(121)의 안쪽면에 접근하면서 지지부(127a) 간의 거리가 늘어나고, 점점 볼록부(127)와 함께 평면의 형상으로 접근한다.
그러면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가장 외부에 배치되고, 차례대로 제1플레이트(121) 및 제2플레이트(122)가 배치되어 제2플레이트(122)가 가장 내부에서 롤링이 이루어지는데, 롤링 튜브(126)는 제2면(128)과 제1면(127)이 점점 평면 형상으로 되면서 제2플레이트(122)에 밀착되어 롤링에 따른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롤링 튜브(126)의 회전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기한다.
백플레이트(120)는 굽힘 강성이 두께에 비례하며, 탄성부(124)의 두께가 가변되기 때문에 탄성부(124)의 두께가 클수록 굽힘 강성이 증대된다. 따라서 백플레이트(120)의 굽힘 강성은 롤러(131)블 디스플레이(10)의 규모에 따라서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의 두께 또는 탄성부(124)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롤링 튜브(12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면(127)과 제2면(128)의 적어도 일부분이 평면이 되도록 가압되면 롤러(131) 상에서 롤링 방향을 따라서 회전력(T1)이 발생한다. 또한 제1면(127)과 제2면(128)이 대략 “U”자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펴지면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력이 지속된다. 이러한 롤링 튜브(126)는 고온, 고습에서 견딜 수 있는 메탈 재질로 이루어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SUS) 재질로 적용된다.
따라서 롤링 튜브(126)를 적용하면, 백플레이트(120)가 롤 인되는 경우에 회전력(T1)을 제공하면서 롤러(131)에 보다 쉽게 감길 수 있고, 출입구(132) 외부에 위치하는 롤 아웃된 부분에는 지지력이 지속되기 때문에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백플레이트의 A-A'를 정면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백플레이트가 롤링 또는 가압되면서 두께가 작아진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220)는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및 탄성부(224)를 포함한다.
이때 제2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220)의 탄성부(224)는 패드부(225)와 코어부(226)를 포함한다.
패드부(225)는 전기한 내용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코어부(226)는 일 단부 상면이 제1플레이트(121) 배면에 부착되는 제1부착부(227)와, 타 단부 배면이 제2플레이트(122)에 부착되는 제2부착부(228)와, 제1부착부(227)와 제2부착부(228)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229)를 구비한다.
코어부(226)는 대략 “S”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 단부가 각각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를 연결한다. 이때 패드부(225)는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되, 일 단부가 제1부착부(227)의 배면에 부착되고, 타 단부가 제2부착부(228)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물론 패드부(225)는 코어부(226)에 부착되지 않고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제1부착부(227)와 제2부착부(228) 중 어느 하나에 양 단부 중 어느 한 단부가 부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패드부(225)는 양 단부가 중 어느 한 단부만 제1플레이트(121) 또는 제2플레이트(122)와 부착되고, 다른 한 단부는 제1부착부(227) 또는 제2부착부(228)에 결합된다.
따라서 코어부(226)와 패드부(225)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부착되면서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간의 간격 조정에 대응이 용이해진다.
예컨대, 패드부(225)의 일 단부가 제1부착부(227)의 배면에 부착되고, 타 단부가 제2부착부(228)의 상면에 부착되면 탄성부(224)가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에서 탄성부(224)의 부착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어부(226)가 제1플레이트(121)로부터 제2플레이트(122)를 연결하는 방향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에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면서 발생되는 슬립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예컨대,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에서 복수개의 코어부(226)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면,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 때 패드부(225)와 코어부(226)의 방향이 도 8과 같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에서 코어부(226)의 변형 방향(눕는 방향)을 따라서 슬립 방향이 설정된다. 이렇게 슬립 방향이 설정되면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가 서로간에 슬립되는 방향을 예측할 수 있고, 롤 인 시에도 롤 인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는 슬립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정교한 권취 구조를 기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굽힘 강성의 조절을 위하여 각 코어부(226)의 길이가 서로 다른 패턴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하되, 코어부(226)의 길이를 길거나 짧게 하여 부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길이가 다른 패턴으로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위치나 영역에서 코어부(226)의 길이를 짧게 배치하여 굽힘 강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예상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백플레이트가 롤링 또는 가압되면서 두께가 작아진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320)는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및 탄성부(3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320)는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에 탄성부(324)만 설정 패턴으로 배치된다.
탄성부(324)는 화이버(fiber)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강도와 탄성이 좋은 카본 화이버(car bon fiber)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324)는 전기한 패드부가 원기둥 형상으로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324)는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롤링 시 탄성부(324)의 패턴들이 전체적으로 기울어지거나 누우면서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고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의 거리가 늘어나는 경우 빠르게 원위치로 복원되어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의 거리를 다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부의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백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백플레이트(120)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를 커버하는 마감부(140a, 140b, 140c)가 구비된다.
마감부(140a, 140b, 140c)는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에 간격의 변형이 발생하고, 또한 슬립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외형이 변형될 수 있는 탄성 레진(resin)이나 폼(foam)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의 (a)와 같이 레진으로 마감부(140a)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마감부(140a)가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 간격뿐만 아니라, 백플레이트(120) 전면에 결합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도 1 참조, 110)과 백플레이트(120) 사이의 간격도 함께 실링되도록 적용될 수도 이다.
도 11의 (b)는 전기한 패드부(도 3 참조, 125)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사이의 간격을 차폐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c)와 같이, 도 8의 (b) 상태에서 외부에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 가장자리 영역을 감싸도록 커버하는 기능의 마감부(140c)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백플레이트(120)의 배면이 동시에 커버되기 때문에 별도의 보호필름이 필요하지 않는 효과도 기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의하면, 롤러에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감길 때, 백플레이트의 두께가 줄어들기 때문에 보관이나 이동 중에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롤러에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풀었을 때, 백플레이트의 두께가 증가하면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배면을 지지하기 때문에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지지력이 견고해짐에 따라서 외력에 의해 물결 치듯이 흔들리거나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된 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0: 롤러블 디스플레이
100 : 디스플레이부 110 : 표시 패널
120, 220, 320 : 백플레이트 130 : 케이스
140 : 마감부

Claims (19)

  1. 유연하게 휘어지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의 두께를 탄력적으로 가변시키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제2플레이트는 상면에서 배면을 설정 패턴으로 관통하도록 마련된 통공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 제2플레이트 및 탄성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가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일체로 롤링되는 백플레이트.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 양 측면이 결합되고,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복수개 구비되며, 두께가 탄력적으로 가변되는 패드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중 어느 일 측에 결합되고, 상기 패드부와 인접한 다른 패드부 사이에 상기 패드부와 나란히 배치되는 롤링 튜브를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튜브는,
    일 단면이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 측이 돌출된 제1면과, 타 측이 오목한 제2면과, 제1면 또는 제2면의 양 단부에 배치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튜브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줄어드는 경우, 상기 제1플레이트, 제2플레이트 및 탄성부가 일체로 롤링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면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면이 외부에 위치하도록 롤링하는 백플레이트.
  7.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튜브는,
    상기 롤링 튜브가 롤링하는 경우 롤링 방향을 따라서 회전력이 발생되고,
    상기 롤링 튜브가 펴지는 경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평면을 유지하도록 지지력이 발생되는 백플레이트.
  8.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튜브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평면으로 펴지는 경우, 하여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늘어나도록 높이가 높아지는 백플레이트.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 결합되고,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복수개 구비되며, 두께가 탄력적으로 가변되는 패드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패드부와 인접한 다른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고, 일 단면이 “S”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 단부 상면이 상기 제1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부착부와, 타 단부 배면이 상기 제2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부착부와, 상기 제1부착부와 제2부착부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코어부를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배면에 일 단부가 부착되고, 상기 제2부착부의 상면에 타 단부가 부착되는 백플레이트.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로부터 제2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방향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연결되는 백플레이트.
  1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의 가장 가까운 직선방향 거리가 변화됨에 따라서 이와 수직방향으로 슬립이 발생하는 백플레이트.
  1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사이에서 가장자리 영역에 구비되는 마감부를 더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14. 유연하게 휘어지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배면에 결합되는 백플레이트;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및 백플레이트를 일체로 감거나 풀어주는 롤러가 구비되고, 일체로 출입시키는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출입구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백플레이트의 두께가 순차적으로 감소하면서 상기 롤러에 감겨 수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15. 청구항 14항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의 두께를 탄력적으로 가변시키는 탄성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사이에서 가장자리 영역에 구비되는 마감부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16. 청구항 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 양 측면이 결합되고,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복수개 구비되며, 두께가 탄력적으로 가변되는 패드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중 어느 일 측에 결합되고, 상기 패드부와 인접한 다른 패드부 사이에 상기 패드부와 나란히 배치되는 롤링 튜브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17. 청구항 16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튜브는,
    상기 롤링 튜브가 롤링하는 경우 롤링 방향을 따라서 회전력이 발생되고,
    상기 롤링 튜브가 펴지는 경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평면을 유지하도록 지지력이 발생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18. 청구항 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 결합되고,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복수개 구비되며, 두께가 탄력적으로 가변되는 패드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패드부와 인접한 다른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고, 일 단면이 “S”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 단부 상면이 상기 제1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부착부와, 타 단부 배면이 상기 제2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부착부와, 상기 제1부착부와 제2부착부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코어부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19. 청구항 1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의 가장 가까운 직선방향 거리가 변화됨에 따라서 이와 수직방향으로 슬립이 발생하며,
    상기 제1플레이트 보다 상기 제2플레이트가 상기 출입구 또는 롤러 방향으로 더 가까이 슬립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KR1020180158559A 2018-12-10 2018-12-10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KR20200070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559A KR20200070899A (ko) 2018-12-10 2018-12-10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CN201911181531.4A CN111292619B (zh) 2018-12-10 2019-11-27 背板和包括该背板的可卷曲显示装置
US16/708,187 US11341872B2 (en) 2018-12-10 2019-12-09 Backplate and roll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559A KR20200070899A (ko) 2018-12-10 2018-12-10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899A true KR20200070899A (ko) 2020-06-18

Family

ID=70971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559A KR20200070899A (ko) 2018-12-10 2018-12-10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41872B2 (ko)
KR (1) KR20200070899A (ko)
CN (1) CN11129261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885A1 (ko) * 2021-06-24 2022-12-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7673A (zh) * 2020-08-03 2022-02-1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2309252A (zh) * 2020-10-12 2021-02-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复合支撑板、显示装置
EP4220610A4 (en) * 2020-11-30 2023-11-22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861B1 (ko) * 2007-07-04 2009-06-09 (주) 피오디스플레이 표면의 색상이 변화하는 상품진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09148313A1 (en) * 2008-06-06 2009-12-10 Polymer Vision Limited Protection of flexible displays
KR102008763B1 (ko) * 2013-10-01 2019-08-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3700689A (zh) * 2013-12-23 2014-04-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发光显示器件及其制作方法、应用载体
KR101758835B1 (ko) * 2014-07-24 2017-07-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동 롤러블 표시장치
KR101570869B1 (ko) * 2014-12-31 2015-1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772657B2 (en) * 2015-04-30 2017-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US9983424B2 (en) * 2015-06-08 2018-05-29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366421B1 (ko) * 2015-07-29 2022-0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용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454082B1 (ko) * 2015-12-11 2022-10-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563454B1 (ko) * 2016-04-26 2023-08-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압력 센서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54386B1 (ko) * 2016-04-29 2022-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2522148B1 (ko) * 2016-06-09 2023-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6652802B (zh) * 2017-02-27 2020-03-1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
KR102362080B1 (ko) * 2017-05-31 2022-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101888451B1 (ko) * 2017-08-31 2018-08-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제 및 이를 적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US10694625B2 (en) * 2017-10-31 2020-06-23 L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KR102490861B1 (ko) * 2017-12-14 2023-0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CN208014279U (zh) * 2018-04-12 2018-10-26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柔性显示装置
TWI664475B (zh) * 2018-04-30 2019-07-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器
CN108470523B (zh) * 2018-05-18 2020-03-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元件、柔性显示设备及其制作方法
CN108520917A (zh) * 2018-05-31 2018-09-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KR20200063801A (ko) * 2018-11-28 2020-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10369549B (zh) * 2019-06-28 2020-09-22 南昌大学 一种较小管径比锥面过渡台阶管整体卷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885A1 (ko) * 2021-06-24 2022-12-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92619A (zh) 2020-06-16
US20200184857A1 (en) 2020-06-11
CN111292619B (zh) 2022-01-11
US11341872B2 (en)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0899A (ko)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KR102627272B1 (ko) 롤러블 표시장치
TWI615820B (zh) 可捲曲顯示裝置
CN108829187B (zh) 显示系统
KR10249031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30108B1 (ko) 표시 장치
CN108665812B (zh) 一种弯曲装置及显示设备
US20210056874A1 (en) Retractable display device
US9019696B2 (en) Protection of flexible displays
CN214336182U (zh) 显示组件和显示装置
US20200196459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20070241002A1 (en) Flexible display
EP4006885A1 (en) Rollable display device
CN113851052B (zh) 滑卷屏机构、显示装置
KR10254804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12484807U (zh) 柔性屏幕支架及显示装置
JP2007328154A (ja) 巻き取り型スクリーン装置
US20110043908A1 (en) Projector screen equipped with means for applying vertical and horizontal tensile forces
KR102317114B1 (ko) 위생 가림판
KR2024002580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30244277A1 (en) Display device
JP2011013266A (ja) スクリーン
KR20230155148A (ko) 차량용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16544Y1 (ko) 롤 스크린
KR101275241B1 (ko)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