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220A -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220A
KR20200070220A KR1020207006414A KR20207006414A KR20200070220A KR 20200070220 A KR20200070220 A KR 20200070220A KR 1020207006414 A KR1020207006414 A KR 1020207006414A KR 20207006414 A KR20207006414 A KR 20207006414A KR 20200070220 A KR20200070220 A KR 20200070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n
control signal
touch
information
interfac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5094B1 (ko
Inventor
강태호
Original Assignee
강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호 filed Critical 강태호
Publication of KR20200070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되어 그려진 도형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부 및 상기 터치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각 도형의 형상과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 및 각 도형 간의 상대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및 제어 방법
본 발명은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TV,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등의 전자 시스템들에는 다양한 입출력 장치들이 장착되고 있다.
다양한 입출력 장치들은 사용자가 위의 시스템들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위의 시스템들은 서로 다른 제어방법(사용법)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서 사용자는 위의 시스템들을 사용하기 위해서 위의 시스템들 각각의 제어방법을 개별적으로 습득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진다.
예를 들어, TV, 에어컨 등마다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가 있는데, 각각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용방법이 달라서, 사용자는 각각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용법을 개별적으로 습득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배터리 교체 등과 같은 유지 및 관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자시스템들에서 사용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을 가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폰에서 음악을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전원을 켜고 이후 개인 인증을 거쳐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원하는 음악을 재생하는 것과 같은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 실행단계가 복잡하여 사용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전자 시스템들은 각각 서로 다른 개인 인증 방법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서 사용자는 각각의 시스템들 마다 개인 인증 방법을 습득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개인 인증 방법의 대표적인 것으로, 비밀번호 또는 암호 패턴을 통한 인증 방법과 생체 인증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개인 인증 방법으로 비밀번호 또는 암호 패턴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각각의 시스템들 마다 보안 강화를 위한 비밀번호 또는 암호패턴을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비밀번호 또는 암호패턴이 너무 많거나 자주 사용하지 않는 비밀번호 또는 암호패턴이 많은 경우, 사용자는 비밀번호 또는 암호패턴이 기억이 나지 않거나, 또는 틀려서 시스템 사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에서 비밀번호 또는 암호패턴을 통해서 개인 인증이 수행되는 경우, 비밀번호 또는 암호패턴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가 미리 스마트폰 화면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고 있다.
하지만, 비밀번호 또는 암호패턴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가 스마트폰 화면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비밀번호 또는 암호패턴을 입력하는 동작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사용자의 개인정보뿐만 아니라 사생활까지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개인 인증 방법으로 생체 인증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생체 인증 정보가 전자 시스템들에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의 생체 인증 정보가 저장된 전자 시스템들이 해킹 등에 노출되는 경우, 사용자의 생체 인증 정보가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외부로 노출될 위험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상에 그려진 도형들의 속성 정보, 및 도형 간의 상대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으로 그려진 도형이 선 또는 면을 포함하는 구획 도형일 경우, 터치 스크린 상의 공간을 구호기 도형의 선 또는 면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구획 도형이 그려지기 이전 또는 이후에 그려진 도형의 위치에 따라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되어 그려진 도형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부; 및 상기 터치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각 도형의 형상과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 및 각 도형 간의 상대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도형이 선 또는 면을 포함하는 구획 도형일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공간을 상기 선 또는 면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구획 도형이 그려지기 이전 또는 이후에 그려진 도형의 상기 구획된 복수의 공간 내에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 방법은,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 터치 인식부가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되어 그려진 도형을 인식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터치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각 도형의 형상과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 각 도형 간의 상대위치 정보, 및 각 도형 간의 입력순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인식된 도형이 선 또는 면을 포함하는 구획 도형일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공간을 상기 선 또는 면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단계; 및 상기 구획 도형이 그려지기 이전 또는 이후에 그려진 도형의 상기 구획된 복수의 공간 내에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상에 그려지는 둘 이상의 도형의 형상, 크기, 각 도형간의 상대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가 각종 잠금 장치와 연결되어, 일관된 패턴형태가 아닌 다양한 패턴을 통해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각종 도형이 순차적으로 그려지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그려진 도형이 숫자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도형이 그려지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지문정보가 인식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가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기기에 따라서 통신방식을 변경하여 전송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역할을 수행하는 허브 외부기기를 통해 각종 외부기기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2a가 실제 적용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한다. 그렇지만 용어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명시적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사항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10)는 터치 스크린(110), 터치 인식부(120), 제어부(130), 잠금 해제부(140), 무선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110)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는 것으로,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화면으로 정보를 표출함과 동시에 터치 입력을 받는 것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터치패드(touch pad), 터치 패널(touch panel) 또는 모니터 화면에 터치 패널을 덧붙여서 제작되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터치 인식부(120)는 터치 스크린(110) 상에 터치되어 그려진 도형을 인식한다.
제어부(130)는 터치 인식부(120)를 통해 인식된 각 도형의 형상과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 및 각 도형 간의 상대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제어부(130)는 위의 정보들과 함께 각 도형 간의 입력순서 정보를 포함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2a와 같이 가로선(430)이 먼저 그려지고, 점(410)이 나중에 그려진 경우와, 점(410)이 먼저 그려지고 가로선(430)이 나중에 그려진 두 가지의 케이스가 동일한 제어신호가 발생(입력순서 정보 미포함)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입력순서 정보 포함)될 수도 있다.
이는, 발명의 실시자가 상황에 따라서 용이하게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순서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이는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시일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인식된 도형이 선 또는 면을 포함하는 구획 도형일 경우, 터치 스크린(110) 상의 공간을 선 또는 면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구획 도형이 그려지기 이전 또는 이후에 그려진 도형의 상기 구획된 복수의 공간 내에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이란, 일반적인 도형과 마찬가지로 점, 선, 면을 포함하는 형상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110)으로 그려진 2개 이상의 도형의 형상,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 2개 이상의 도형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하는 상대위치 정보, 각 도형이 입력된 순서, 선후관계를 의미하는 입력순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어떠한 크기, 형상의 도형들이 입력되느냐, 각 도형들간의 위치관계가 어떻게 되느냐, 각 도형들이 그려진 순서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서 각각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인식된 도형 중의 적어도 하나가 선 또는 면을 포함하는 구획 도형인 경우, 터치 스크린(110) 상의 공간을 상기 선 또는 면의 형상에 따라서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구획 도형이 가로선을 포함할 경우 터치 스크린(110)을 가로선을 기준으로 기준으로 하여 상, 하, 좌, 우로 구획할 수도 있다.
이때, 도형이 가로선이라고 하여 가로선을 기준으로 상, 하로 구획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가로선의 좌, 우로도 구획할 수 있는 등 도형의 형상에 따라서 구획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서, 직선인 경우 시작점에서 끝점으로 나아가는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우측, 직상 상, 직선 앞쪽, 직선 뒤쪽 등으로 구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우측으로 구획할 수도 있고, 가로선의 좌측 끝단의 좌측, 가로선의 상하, 가로선의 우측 끝단의 우측과 같이 3개의 영역으로 구획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복수의 영영으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구획 도형이 시작점과 끝점이 도형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구획 도형이 그려지기 이전 또는 이후에 그려진 도형이 구획 도형의 시작점 근처에 위치하는지, 또는 끝점 근처에 위치하는지를 통해서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구획 도형이 폐곡선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터치 스크린(110)을 구획 도형의 내부와 외부로 구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구획 도형이 폐곡선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터치 스크린(110)의 공간을 폐곡선의 내부와 외부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위와 같은 구획 도형이 그려지기 이전 또는 이후에 그려진 도형이 상기 구획된 복수의 공간 내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따라서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예시들은 아래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다루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각종 경우의 수에 따라서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무선 통신부(150)를 통해 제어 대상(900)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TV, 에어컨, 냉장고, 잠금 장치,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제어 대상(900)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제어 대상(900)은 TV, 에어컨, 냉장고, 잠금 장치와 같이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10)와 무선 통신방식으로 연결된 외부기기가 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1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과 같은 기기에 함께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해당 장치에 설치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종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은행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인증, 계좌 이체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도 있는 등, 각종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설정되어 각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속성 정보는 각 도형이 그려질 때 최초 터치된 시작점으로부터 끝점까지의 방향 정보, 각 도형이 그려진 터치라인의 굵기 정보, 터치라인의 압력강도, 터치 가속도, 도형의 꺾인 점의 수, 각 도형이 입력된 시간간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도형과 제2도형이 터치 스크린(110) 상에 터치되어 그려지고, 속성 정보, 상대위치 정보, 입력 순서정보 등이 조건이 모두 동일하다고 하여도, 제1도형이 그려진 터치라인의 굵기 정보, 제1도형이 그려진 터치라인의 압력강도, 제1도형이 그려질 때 터치라인의 터치 가속도 중 하나라도 다를 경우 다른 케이스로 판단되어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원을 제1압력으로 연이어 그린 것과, 제2압력으로 연이어 그린 것은 서로 다른 케이스로 인식되어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대위치 정보는 상기 두 개 이상의 도형이 겹치는 교차점의 갯수를 포함한다.
이때, 상대위치 정보는 두 개 이상의 도형이 겹치는 비율, 두 개 이상의 도형 사이의 거리, 두 개 이상의 도형의 교차각에 대한 정보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110)에 각종 도형이 순차적으로 그려지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터치 스크린(110)에 각종 도형이 그려지는 방식에 따라서 제어신호가 다양하게 달라지는 것에 대하여 예시하도록 한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들로, 구현 가능한 것들의 일부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a, 2b, 2c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10) 상에 선(430)과 점(410)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도 2a의 (A)에서는 가로선(430)이 우측 방향으로 그려지고, 가로선(430)의 우측 위에 점(410)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a의 (B)에서는 가로선(430)이 우측 방향으로 그려지고, 가로선(430)의 좌측 위에 점(410)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형의 형상과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는 동일하고, 각 도형 간의 입력순서 정보는 동일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도형 간의 상대위치 정보가 다르기 때문에 도 2a의 (A)와 (B)는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물론이고, 도 2a의 (A)와 다르게, 가로선(430)이 우측 방향으로 그려지고, 가로선(430)의 우측 아래에 점(410)이 그려진다면, 도 2a의 (A)와 또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 적용을 예시하면, 도 2a의 (A)의 경우에는 볼륨을 up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로선(430)의 우측 아래에 점(410)이 그려진다면 볼륨을 down 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2a의 (B)와 같이 가로선(430)의 좌측 위에 점(410)이 그려지는 경우 TV의 채널을 up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가로선(430)의 좌측 아래에 점(410)이 그려진다면 채널을 down 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a에서는 가로선(430)이 좌에서 우의 방향으로 그려지는 것에 대하여 예시하였지만, 가로선(430)이 우에서 좌의 방향으로 그려지는 것에 대해서 또 다른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도형이 그려질 때 최초 터치된 시작점으로부터 끝점까지의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또 다른 예로, 가로선(430)의 길이가 어느정도냐에 따라서 제어신호가 달라질 수도 있으며, 가로선(430)이 그려지는 터치라인의 굵기 정보, 압력강도, 터치 가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가로선(430)이 그려진 시간과 점(410)이 그려진 시간 간의 시간간격 정보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선(430)이 그려지고 곧 바로 점(410)이 그려지는 것과, 가로선(430)이 그려지는 시간과 점(410)이 그려지는 시간 간의 간격이 0.5초 정도 발생하는 경우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구획 도형이 포함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로선(430)이 터치 스크린(110)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10) 상의 공간을 가로선(430)을 기준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영역에 그려진 점(410)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가 도 2b에 되어 있다.
도 2b의 (A)는 가로선(430)의 좌측에 점(410)이 그려져 있고, 도 2b의 (B)는 가로선(430)의 우측에 점(410)이 그려져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가 가로선(430)을 기준으로 상, 하로 구획하거나, 좌, 우로 구획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기 때문에, 도 2b의 (A)와 (B)는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도 2c의 (A)에는 가로선(430)의 중간 위에 점(410)이 그려져 있고, 도 2c의 (B)에는 가로선(430)의 중간 아래에 점(410)이 그려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하나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10) 상의 공간을 가로선(430)을 기준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한다.
이 경우에, 제어부(130)가 가로선(430)을 기준으로 상, 하의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한다고 가정한다면, 도 2c의 (A)와 (B)는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제어부(130)가 가로선(4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의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한다고 가정한다면, 도 2c의 (A)와 (B)는 같은 제어신호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부(130)가 인식된 도형이 선 또는 면을 포함하는 구획 도형일 경우, 터치 스크린 상의 공간을 상기 선 또는 면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지만, 구획하는 기준에 따라서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10) 상에 선과 선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도 3 (A)에서는 가로선(430a)이 우측 방향으로 그려지고, 가로선(430a)의 우측 위에 상측 방향으로 세로선(430b)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B)에서는 가로선(430a)이 우측 방향으로 그려지고, 가로선(430a)의 우측 위에 하측 방향으로 세로선(430b)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를 실제 적용해볼 경우, 도 3 (A)와 같은 경우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10)와 연결된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을 up 하도록 할 수 있고, (B)와 같은 경우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을 down 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가로선(430a)이 우측 방향으로 그려지고, 가로선(430a)의 좌측 위에 하측 방향으로 세로선(430b)이 그려지는 경우에는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재생곡이 다음 곡으로 넘어가도록 할 수 있고, 가로선(430a)이 우측 방향으로 그려지고, 가로선(430a)의 좌측 위에 상측 방향으로 세로선(430b)이 그려지는 경우에는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재생곡이 이전곡으로 넘어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세로선(430b)이 가로선(430a)을 기준으로 좌측 위에 그려지되 하측 또는 상측으로 그려진 경우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가로선(430a)이 좌측방향으로 그려지는 경우에 또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로선(430a), 세로선(430b)의 길이, 터치라인의 굵기 정보, 압력강도, 터치 가속도 등의 정보에 따라서도 제어신호가 달라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10) 상에 사각형과 점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제어부(130)는 터치 인식부(120)를 통해 인식된 사각형(450)과 점(410)의 형상과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정보, 사각형(450)과 점(410) 간의 상대위치 정보, 사각형(450)과 점(410) 간의 입력순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다.
또한, 인식된 도형 중에서 사각형(450)이 면을 포함하는 구획 도형이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110) 상의 공간을 사각형(450)을 기준으로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게 된다.
도 5에서는 제어부(130)가 터치 스크린(110) 상의 공간을 사각형(450) 내부와 외부로 구획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구획 도형(사각형)이 그려지기 이전 또는 이후에 그려진 점(410)이 상기 구획된 공간에서 어디에 위치하냐에 따라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도 5 (A)에서는 점(410)이 사각형(450)의 내부에 있고, 도 5 (B)에서는 점(410)이 사각형(450)의 외부에 있기 때문에 (A)와 (B)는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 5에서는 사각형(450)이 그려질 때 최초 터치된 시작점(490)이 좌측 아래이고, 시계방향으로 시작하여 끝점(490)과 시작점(490)이 동일하게 종료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만약, 시작점(490)이 사각형(450)의 다른 모서리에서 시작되었거나, 시작점으로부터 그려진 방향이 시계 반대방향일 경우에는 도 5와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각형(450)이 아닌,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원 등의 도형이 그려질 수 도 있고, 점이 아닌 다른 도형이 그려질 수도 있고, 하나의 점이 아닌 복수 개의 점이 그려질 수도 있는데, 이 중 하나라도 달라질 경우 각기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10)는 무수히 많은 경우의 수 각각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할당하고,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10) 상에 원과 원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도 6 (A)와 같이, 큰 원(470a)이 먼저 그려지고, 큰 원(470a) 내에 작은 원(470b)이 그려지는 경우와, 도 6 (B)와 같이, 작은 원(470b)이 먼저 그려지고, 작은 원(470b)이 안에 포함되도록 하는 큰 원(470a)이 그려지는 경우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두 도형 간의 형상과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 각 도형 간의 상대위치 정보가 동일하므로, 도 6의 (A)와 (B)는 동일한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도형 간의 입력순서 정보가 더 포함되어 제어신호 발생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의 (A)는 큰 원(470a)이 작원 원(470b)보다 먼저 그려졌고, (B)는 작은 원(470b)이 큰 원(470a)보다 먼저 그려졌기 때문에, 두 도형 간의 입력순서 정보가 달라서, 도 6의 (A)와 (B)는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10) 상에 원과 원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위에서 상대위치 정보에 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대위치 정보는 두 개 이상의 도형이 겹치는 교차점의 갯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A)와 (B)는 비슷한 크기와 형상의 원(470)이 그려졌고, 둘 다 2개의 교차점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대위치 정보는 두 개 이상의 도형이 겹치는 비율, 두 개 이상의 도형 사이의 거리, 두 개 이상의 도형의 교차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들이 포함될 경우, 도 7의 (A)와 (B)는 두 개의 원(470)이 겹치는 비율이 다르고, 두 개의 원(470)의 거리가 다르고, 두 개의 원(470)의 교차각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대위치 정보에 어떠한 정보가 포함되느냐에 따라서, 제어신호의 판단기준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110)에 그려진 도형이 숫자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10)는 잠금 기능 또는 잠금 장치를 구비한 기기와 연결되며, 제어부(130)가 발생시킨 제어신호와 잠금 해제 정보가 일치하면, 연결된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10) 상에 터치되어 그려진 복수 개의 도형 중에서 하나 또는 연속된 둘의 도형의 조합된 형상이 숫자의 형상을 이루는지 판별하고, 판별 결과 숫자의 형상인 경우, 판별된 적어도 둘 이상의 숫자 정보에 따라서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도 8 (A)와 같이 터치 스크린(110) 상에 터치되어 그려진 복수 개의 도형 중에서, 하나 또는 연속된 둘의 도형의 조합된 형상이 숫자의 형상을 이루는지 판별하고, 판별 결과 5, 3, 2, 7의 형상인 경우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정 기기의 잠금 비밀번호가 "5327"에 해당하는 경우에 도 8 (A)와 같은 터치 입력을 받았을 경우, 제어부(130)는 잠금 해제부(140)가 해당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잠금 장치, 잠금 기기, 애플리케이션의 잠금 해제에는 이와 같은 방식이 적용될 수 있지만, 이보다 보안성이 더 필요한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방법이 더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판별된 적어도 둘 이상의 숫자 정보, 각 숫자 정보에 해당하는 도형이 그려진 순서 정보, 각 숫자 간의 상대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암호 해제 조건과 일치할 경우, 잠금 해제부(140)가 연결된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이 적용된 경우, 도 8 (A)와 같이 단순하게 숫자 정보에 해당하는 형상의 도형을 그리는 것만으로는 잠금을 해제하지 못한다.
도 8 (B)와 같이 7의 형상에 해당하는 도형을 좌측 상단에 그리고, 2의 형상에 해당하는 도형을 우측 하단에 그리고, 5의 형상에 해당하는 도형을 우측 상단에 그리고, 3의 형상에 해당하는 도형을 좌측 하단에 그릴 경우, 잠금 해제부(140)가 잠금을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5327"에 해당하는 숫자정보를 입력하는 것뿐만 아니라, 5, 3, 2, 7이 해당하는 위치에 도형을 그림은 물론, 각 숫자의 순서까지도 정확하게 터치해야 하므로, 도 8 (A)보다 높은 수준의 보안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110)에 도형이 그려지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지문정보가 인식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10)는 터치 스크린(110) 상에 터치되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해제부(140)는 제어부(130)가 발생시킨 제어신호와 잠금 해제 정보가 일치하되, 터치 스크린(110) 상에 도형이 그려지는 과정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정보가 기 등록된 지문정보와 일치할 경우, 상기 연결된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는 터치 스크린(110)과 지문 인식부(160)의 위치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경우 지문인식을 통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홈버튼이 터치 스크린(110)과 별도로 구비되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보안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는 도 2 (A)와 우측 방향의 가로선(430)을 터치 입력하고, 가로선(430)의 우측 상단에 점(410)을 터치 입력한다는 점에서 제어부(130)를 통해 발생되는 제어신호가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지문 인식부(160)를 적용할 경우, 도 9는 점을 터치 입력할 때 사용자의 지문을 찍는다는 점에서 도 2 (A)와 상이하기 때문에, 도 2 (A)는 제어신호만 동일하고, 잠금 해제 정보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잠금을 해제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문 인식부(160)가 터치 스크린(110) 상에 터치되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것은 도 9와 같이 점의 형상의 도형을 그릴때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 해제부(140)는 터치 스크린(110) 상에 도형이 그려지는 과정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활용하므로, 선 또는 면을 포함하는 도형을 그릴때에도 사용자가 손가락의 지문을 모두 이용하여 선 또는 면을 그릴 경우, 지문정보가 인식되어 잠금 해제부(140)가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예시하고 있는 것이 도 10으로, 도 10에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스크린(110)에 원(470)의 형상의 도형이 그려지고, 원(470)의 내부와 외부에 각각 점(410a, 410b)의 형상의 도형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는 원을 그릴때 터치펜을 이용하거나 손 끝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손가락의 지문을 이용하여 원(470)을 그리게 되고, 지문 인식부(160)는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110) 상에 터치되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원(470) 내부와 외부에 순차적으로 점(410a, 410b)의 형상의 도형이 그려지면, 제어부(130)는 이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잠금 해제부(140)는 단순하게 제어신호가 일치하면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이 아니라, 지문 인식부(16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정보가 기 등록된 지문정보와 일치할 경우, 연결된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서, 타인이 해당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을 알고 있다 하여도, 지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잠금을 해제할 수 없기 때문에, 앞선 방법들에 비해서 보안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데, 도 10과 같이 원을 그리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시킬 수도 있고, 내부의 점 또는 외부의 점을 그릴때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시킬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150)가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기기에 따라서 통신방식을 변경하여 전송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10)는 제어신호가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10)와 연결된 외부기기의 동작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신호를 해당 외부기기로 무선 송신하여 해당 외부기기가 제어되도록 하는 무선 통신부(150)를 더 포함한다.
이때, 무선 통신부(150)는 Wifi, NFC, Bluetooh, 적외선 등 다양한 방식의 통신 방식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어신호가 해당하는 외부기기가 통신 가능한 방식을 판단하여 해당 통신 방식으로 제어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무선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10)가 각종 외부기기와 연결될 수 있고,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고 하여도,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외부기기가 해당 제어신호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10)가 실적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10)는 다양한 Wifi, NFC, 적외선, 블루투스 등 다양한 통신방식이 사용이 가능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외부기기가 사용하는 통신방식으로 제어신호를 변환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다양한 외부기기와 호환되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역할을 수행하는 허브 외부기기(800)를 통해 각종 외부기기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2a가 실제 적용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150)는, 하나 이상의 다른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허브 외부기기(800)와 연결된 경우, 허브 외부기기(800)로 제어신호를 무선 송신하고, 해당 허브 외부기기(800)가 타 외부기기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허브 외부기기(800)로 TV가 설정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TV는 에어컨, 냉장고, 스피커, 전등 등의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10)의 무선 통신부(150)는 허브 외부기기(800)인 TV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TV가 TV와 연결되어 있는 각종 외부기기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각종 외부기기를 제어하게 된다.
도 12b의 (A)는 터치 스크린에 원(470)이 그려지고, 원(470) 내부 영역에 두 개의 점(410)이 터치되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기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따라서 제어부(130)는 전등 턴온(Turn On)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허브 외부기기(800, TV)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허브 외부기기(800, TV)는 전등으로 턴온(Turn On)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전등을 켜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12b의 (B)는 터치 스크린에 원(470)이 그려지고, 원(470) 외부 영역에 두 개의 점(410)이 터치되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기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따라서 제어부(130)는 전등 턴오프(Turn Off)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허브 외부기기(800, TV)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허브 외부기기(800, TV)는 전등으로 턴오프(Turn Off)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전등을 끄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리모컨(10)의 터치 스크린(40)에 각종 패턴을 입력하기만 하면, 제어부(130)가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허브 외부기기(800)로 전송하고, 허브 외부기기(800)가 해당하는 제어 대상(900)으로 해당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제어하기 때문에, 편리하게 각종 제어 대상(900)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허브 외부기기(800, TV)로 에어컨을 턴온할 수 있다. 동그라미 원 대신에 삼각형을 그리고 삼각형의 안쪽에 두개의 점이 터치하면, 제어부(130)는 에어컨을 턴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허브 외부기기(800, TV)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허브 외부기기(800, TV)는 에어콘으로 턴온(Turn On)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에어콘을 켜게 된다.
이와 반대로, 삼각형이 그려지고, 삼각형 외부 영역에 두 개의 점(410)이 터치되면, 기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따라서 제어부(130)는 에어콘 턴오프(Turn Off)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허브 외부기기(800, TV)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허브 외부기기(800, TV)는 에어콘으로 턴오프(Turn Off)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전등을 끄게 된다.
즉 원은 전등을, 삼각형은 에어컨을 표시하며 서로 다른 이기종 제품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패턴으로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터치 인식부(120)가 터치 스크린(110) 상에 터치되어 그려진 도형을 인식한다. (S510단계)
S5510단계 다음으로, 제어부(130)가 터치 인식부(120)를 통해 인식된 각 도형의 형상과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 각 도형 간의 상대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S520단계)
보다 상세하게는, S520단계는 하기의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가 상기 인식된 도형이 선 또는 면을 포함하는 구획 도형일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110) 상의 공간을 상기 선 또는 면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S530단계)
제어부(130)가 상기 구획 도형이 그려지기 이전 또는 이후에 그려진 도형의 상기 구획된 복수의 공간 내에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S540단계)
이때, 속성 정보는 각 도형이 그려질 때 최초 터치된 시작점으로부터 끝점까지의 방향 정보, 각 도형이 그려진 터치라인의 굵기 정보, 터치라인의 압력강도, 터치 가속도, 도형의 꺾인 점의 수, 및 각 도형이 입력된 시간간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대위치 정보는, 두 개 이상의 도형이 겹치는 비율, 두 개 이상의 도형 사이의 거리, 두 개 이상의 도형의 교차각을 포함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10)는 잠금 기능 또는 잠금 장치를 구비한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해제부(140)가 상기 제어부(130)가 발생시킨 제어신호와 잠금 해제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연결된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30)가, 상기 터치 스크린(110) 상에 터치되어 그려진 복수 개의 도형 중에서, 하나 또는 연속된 둘의 도형의 조합된 형상이 숫자의 형상을 이루는지 판별하고, 판별 결과 숫자의 형상인 경우, 판별된 적어도 둘 이상의 숫자 정보에 따라서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제어부(130)가 상기 판별된 적어도 둘 이상의 숫자 정보, 각 숫자 정보에 해당하는 도형이 그려진 순서 정보, 각 숫자 간의 상대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암호 해제 조건과 일치할 경우, 상기 잠금 해제부(140)가 상기 연결된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10)는 터치 스크린(110) 상에 터치되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해제부(140)가, 상기 제어부(130)가 발생시킨 제어신호와 잠금 해제 정보가 일치하되, 상기 터치 스크린(110) 상에 상기 도형이 그려지는 과정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정보가 기 등록된 지문정보와 일치할 경우, 상기 연결된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무선 통신부(150)가,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10)와 연결된 외부기기의 동작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해당 외부기기로 무선 송신하여 상기 외부기기가 제어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부(150)는, Wifi, NFC, Bluetooth, 적외선 등의 통신 방식이 가능하며, 제어신호가 해당하는 외부기기가 통신 가능한 방식을 판단하여 해당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제어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예로, 무선 통신부(150)는, 하나 이상의 다른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허브 외부기기(800)와 연결된 경우, 허브 외부기기(800)로 상기 제어신호를 무선 송신하고, 상기 허브 외부기기(800)가 타 외부기기로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10) 제어 방법은, 위에서 도 1 내지 도 12를 통해 설명한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10)와 발명의 카테고리만 달리할 뿐, 발명의 설명이 동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110: 터치 스크린
120: 터치 인식부 130: 제어부
140: 잠금 해제부 150: 무선 통신부
160: 지문 인식부 800: 허브 외부기기
900: 제어 대상

Claims (11)

  1.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되어 그려진 도형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부; 및
    상기 터치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각 도형의 형상과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 및 각 도형 간의 상대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도형이 선 또는 면을 포함하는 구획 도형일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공간을 상기 선 또는 면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구획 도형이 그려지기 이전 또는 이후에 그려진 도형의 상기 구획된 복수의 공간 내에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각 도형이 그려질 때 최초 터치된 시작점으로부터 끝점까지의 방향 정보, 각 도형이 그려진 터치라인의 굵기 정보, 터치라인의 압력강도, 터치 가속도, 도형의 꺾인 점의 수, 및 각 도형이 입력된 시간간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위치 정보는,
    상기 두 개 이상의 도형이 겹치는 교차점의 갯수를 포함하는 것인,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는,
    잠금 기능 또는 잠금 장치를 구비한 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가 발생시킨 제어신호와 잠금 해제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연결된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되어 그려진 복수 개의 도형 중에서, 하나 또는 연속된 둘의 도형의 조합된 형상이 숫자의 형상을 이루는지 판별하고, 판별 결과 숫자의 형상인 경우, 판별된 적어도 둘 이상의 숫자 정보에 따라서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된 적어도 둘 이상의 숫자 정보, 각 숫자 정보에 해당하는 도형이 그려진 순서 정보, 각 숫자 간의 상대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암호 해제 조건과 일치할 경우, 상기 잠금 해제부가 상기 연결된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되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해제부는,
    상기 제어부가 발생시킨 제어신호와 잠금 해제 정보가 일치하되,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도형이 그려지는 과정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정보가 기 등록된 지문정보와 일치할 경우, 상기 연결된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와 연결된 외부기기의 동작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해당 외부기기로 무선 송신하여 상기 외부기기가 제어되도록 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Wifi, NFC, Bluetooth,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이 가능하며, 상기 제어신호가 해당하는 외부기기가 통신 가능한 방식을 판단하여 해당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제어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하나 이상의 다른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허브 외부기기와 연결된 경우, 상기 허브 외부기기로 상기 제어신호를 무선 송신하고, 상기 허브 외부기기가 타 외부기기로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11.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
    터치 인식부가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되어 그려진 도형을 인식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터치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각 도형의 형상과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 각 도형 간의 상대위치 정보, 및 각 도형 간의 입력순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인식된 도형이 선 또는 면을 포함하는 구획 도형일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공간을 상기 선 또는 면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단계; 및
    상기 구획 도형이 그려지기 이전 또는 이후에 그려진 도형의 상기 구획된 복수의 공간 내에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KR1020207006414A 2018-12-06 2018-12-06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365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5369 WO2020116681A1 (ko) 2018-12-06 2018-12-06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220A true KR20200070220A (ko) 2020-06-17
KR102365094B1 KR102365094B1 (ko) 2022-02-17

Family

ID=7097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414A KR102365094B1 (ko) 2018-12-06 2018-12-06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19348A1 (ko)
KR (1) KR102365094B1 (ko)
WO (1) WO202011668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4646A (ja) * 2006-05-08 2007-11-22 Sharp Corp 指動作検知制御電子機器
KR20100110568A (ko) * 2009-04-03 2010-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KR20130128143A (ko) * 2012-05-16 2013-11-2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손동작에 의한 인터페이스 조작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60040076A (ko) * 2014-10-02 2016-04-12 (주)직토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한 생체인증 방법
KR20160139647A (ko) * 2015-05-28 2016-12-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화면분할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20180005550A (ko) * 2016-07-06 2018-01-16 주식회사 세홍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723A (ko) * 2007-07-04 2009-01-09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분할 영역 기반의 터치스크린 입력 인식 장치 및 방법
JP2013080267A (ja) * 2010-02-12 2013-05-0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認証装置および認証方法
KR20150050288A (ko) * 2013-10-30 2015-05-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KR102230003B1 (ko) * 2014-01-26 2021-03-18 양용철 이동 단말에서의 숫자와 패턴을 조합한 잠금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KR101532875B1 (ko) * 2014-04-28 2015-06-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패턴 잠금에 대한 보안 정도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 및 패턴 잠금에 대한 보안 정도를 출력하여 패턴 잠금을 설정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4646A (ja) * 2006-05-08 2007-11-22 Sharp Corp 指動作検知制御電子機器
KR20100110568A (ko) * 2009-04-03 2010-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KR20130128143A (ko) * 2012-05-16 2013-11-2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손동작에 의한 인터페이스 조작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60040076A (ko) * 2014-10-02 2016-04-12 (주)직토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한 생체인증 방법
KR20160139647A (ko) * 2015-05-28 2016-12-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화면분할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20180005550A (ko) * 2016-07-06 2018-01-16 주식회사 세홍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6681A1 (ko) 2020-06-11
US20220019348A1 (en) 2022-01-20
KR102365094B1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9592B1 (ko) 전자 장치 제어 시스템 및 전자 장치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20160259439A1 (en) Multi-touch keyless entry pad
EP3066605B1 (en) Directional touch unlocking for electronic devices
RU2017113621A (ru) Определение непрерывн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и намере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я посредством измерения изменчивости усилий
EP2960749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a lock screen displayed while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s locked, and recording medium
KR102270007B1 (ko)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
JP2016538780A (ja) 車両の機能を遠隔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702557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860699B2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y means of biometric data
WO2018040009A1 (zh) 签名认证方法、终端、手写笔及系统
US20110316799A1 (en) Composite sensing apparatus, sensing method using composite sensor and touch pad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6043230B (zh) 基于动作的电容式传感器系统
US201701089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evice based on personalized profiles on a wearable device
JP2007201687A (ja) 機器制御システム
WO2017063763A1 (en) Secure biometric authentication
US9639684B2 (en) Remote control method with identity verification mechanism and wearable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365094B1 (ko)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8073356A (ja) タッチ式入力装置および操作検出方法
KR101546610B1 (ko) 잠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5095B1 (ko)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및 스마트 리모컨의 제어 방법
WO2017095775A1 (en) Authentication system with motion parameters
KR20170034056A (ko) 스마트워치 지문 인식 장치
KR101160452B1 (ko) 조합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12316A (ko) 모션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9088653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遠隔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