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560A -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560A
KR20200069560A KR1020180156733A KR20180156733A KR20200069560A KR 20200069560 A KR20200069560 A KR 20200069560A KR 1020180156733 A KR1020180156733 A KR 1020180156733A KR 20180156733 A KR20180156733 A KR 20180156733A KR 20200069560 A KR20200069560 A KR 20200069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livestock
milk
teat cup
mi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3580B1 (ko
Inventor
최영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운
Priority to KR1020180156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5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5/00Milking machines or devices
    • A01J5/017Automatic attaching or detaching of clus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5/00Milking machines or devices
    • A01J5/04Milking machines or devices with pneumatic manipulation of teats
    • A01J5/041Milk cla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5/00Milking machines or devices
    • A01J5/04Milking machines or devices with pneumatic manipulation of teats
    • A01J5/044Milk lines or coupling devices for milk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5/00Milking machines or devices
    • A01J5/04Milking machines or devices with pneumatic manipulation of teats
    • A01J5/047Vacuum generating means, e.g. by connecting to the air-inlet of a tractor engine
    • A01J5/048Vacuum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5/00Milking machines or devices
    • A01J5/04Milking machines or devices with pneumatic manipulation of teats
    • A01J5/06Teat-cups with one cha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용 자동착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단에 흡착호스를 형성한 티트컵을 구비하고, 이 티트컵을 거치대에 안착시키며, 거치대 일 측에 티트컵의 흡착호스를 당기거나 혹은 풀어지도록 안내하는 길이조절장치를 형성하되, 내측에 진공상태로 우유를 저장하는 집유항아리를 구비하고, 흡착호스와 집유항아리 사이를 연결하는 송유호스를 형성한 착유장치를 형성하여, 티트컵이 가축의 젖꼭지 주변에 흡착되도록 하면, 티트컵이 가축으로부터 우유를 흡입하여 송유호스로 전달하되, 이 송유호스로 공급되는 우유가 집유항아리로 집결되고, 착유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길이조절장치가 흡착호스를 당겨 젖꽂지 주변에서 흡착호스가 이탈되도록 함과 동시에 이 이탈된 흡착호스가 거치대 상에 걸림 안착되어, 티트컵을 가축으로부터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유 완료시점에서 길이조절장치가 흡착호스를 자동으로 당기는 단순 동작에 의해 티트컵이 가축으로부터 이탈되고, 가축에서 이탈된 티트컵이 거치대 상에 자동 거치되어 위생이 청결하며, 또한, 다수의 가축으로부터 동시에 착유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착유 작업이 완료되는 시점에 티트컵이 자동으로 이탈되어 작업자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 복귀할 필요가 없고, 특히, 티트컵의 흡착 불량시 송유호스가 차단되어 티트컵의 흡착 상태를 자동으로 재 조정한다.

Description

가축용 자동착유장치{Automatic milking equipment for livestock}
본 발명은 착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티트컵을 가축의 젖꽂지 주변에 흡착하되, 가축으로부터 착유가 완료되는 시점에, 길이조절장치가 승강 작동되면서 티트컵의 흡착호스를 당겨, 거치대 상에 티트컵이 자동 거치되도록 하는 가축용 자동착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유장치는 가축의 젖꽂지 주변에 티트컵을 흡착시키되, 이 흡착된 티트컵을 통해 가축으로부터 우유를 흡입하여, 티트컵에 연결된 흡착호스를 통해 우유를 착유하는 장치이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젓소용착유기의 맥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송유배관과, 이 송유배관 하부에 형성되어 송유배관에 흡입압을 형성하는 진공파이프관과, 젖소의 앞젓 및 뒷젓 각각에 끼워지는 앞, 뒷젓 유두컵과, 일단이 유두컵에 연결되되 타단이 송유배관에 연결되어, 앞, 뒷전 유두컵을 통해 유입되는 우유를 송유배관으로 이동시키는 우유호스와, 일단이 압, 뒷전 유두컵과 연결되고 타단이 송유배관과 진공파이프관 사이에 설치된 맥동시스템에 연결되는 이연호스를 형성한다.
여기서, 앞, 뒷전 유두컵을 파지한 상태로, 이 앞, 뒷전 유도컵 각각을 젓소의 앞젓 및 뒷젓 각각에 흡착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앞, 뒷전 유두컵을 통해 젖소로 부터 우유를 흡입하게 된다.
그러면, 앞, 뒷전 유두컵으로 흡입되는 우유가 우유호스를 통해 송유배관으로 이동되고, 이어서, 상기 송유배관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앞, 뒷전 유두컵을 젓소의 앞, 뒷전에 흡착하여, 우유를 착유하는 동안, 맥동시스템이 젓소의 맥동수 및 맥동비율을 측정하여, 젓소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작업자가 앞, 뒷전 유두컵을 파지하여 젓소의 앞, 뒷젓 각각에 끼워준 후, 젓로 부터의 착유가 완료되는 시점에 앞, 뒷전 유두컵을 재 파지하여 직접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작업자가 복수개의 앞, 뒷전 유두컵을 수시로 탈, 부착해야 하는 작업으로 착유시간이 지연과 동시에 유두컵 주변에 항상 머물러야 하며, 또한, 앞, 뒷전 유두컵이 젖소의 앞, 뒷젓에 불량하게 흡착되는 경우, 앞, 뒷전 유두컵 각각을 재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복수의 젖소로 부터 착유를 동시에 진행하는 경우, 서로 다른 시간에 착유가 완료되어 근거리 또는 먼거리에 있는 유두컵을 일일이 젖소로부터 제거하도록 이동해야 하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169167 Y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단에 흡착호스를 형성한 티트컵을 구비하고, 이 티트컵을 거치대에 안착시키며, 거치대 일 측에 티트컵의 흡착호스를 당기거나 혹은 풀어지도록 안내하는 길이조절장치를 형성하되, 내측에 진공상태로 우유를 저장하는 집유항아리를 구비하고, 흡착호스와 집유항아리 사이를 연결하는 송유호스를 형성한 착유장치를 형성하여, 티트컵이 가축의 젖꼭지 주변에 흡착되도록 하면, 티트컵이 가축으로부터 우유를 흡입하여 송유호스로 전달하되, 이 송유호스로 공급되는 우유가 집유항아리로 집결되고, 착유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길이조절장치가 흡착호스를 당겨 젖꽂지 주변에서 흡착호스가 이탈되도록 함과 동시에 이 이탈된 흡착호스가 거치대 상에 걸림 안착되어, 티트컵을 가축으로부터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가축용 자동착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자동착유장치는, 일단에 흡착호스를 형성하고, 가축의 젖꽂지 주변에 흡착되어 우유를 착유하는 티트컵과; 상면에 상기 티트컵이 걸림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홀을 형성하여, 상기 티트컵을 안착시키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 일 측에 형성되고, 전면에 승강 작동되어 상기 티트컵의 흡착호스를 당기거나 혹은 풀어지도록 안내하는 길이조절장치를 형성하며, 내측에 진공 상태를 형성하여, 가축으로부터 착유한 우유를 저장하는 집유항아리를 형성하고, 일단이 상기 흡착호스와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집유항아리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호스를 통해 착유되는 우유가 상기 집유항아리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송유호스를 형성한 착유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자동착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유장치는, 중공형상으로, 전면에 상기 길이조절장치를 형성하고, 내측에 상기 집유항아리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된 상기 송유호스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송유호스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제1차단밸브; 상기 제1차단밸브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송유호스 내의 흡입압력을 측정하는 진공측정센서;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측정센서 신호를 입력받되, 가축의 젖꽂지 주변에 흡착되는 티트컵의 흡착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제1차단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자동착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장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어 승강 이동되는 승강로드; 및 상기 승강로드 하단에 결합되고, 상, 하로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안내롤러를 형성하여, 이 안내롤러 사이로 상기 티트컵의 흡착호스를 통과시키는 안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착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유장치는, 상기 진공측정센서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송유호스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송유호스를 통해 상기 집유항아리로 이동하는 우유의 오염농도를 측정하는 전도도센서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자동착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유장치는, 상기 진공측정센서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송유호스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송유호스를 통해 상기 집유항아리로 이동하는 우유의 유속을 측정하여, 가축의 착유상태를 확인하는 유속측정센서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자동착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유장치는, 상기 진공측정센서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송유호스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송유호스를 통해 상기 집유항아리로 이동하는 우유의 영양분 상태를 측정하는 유질측정센서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자동착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유장치는, 상기 진공측정센서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송유호스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송유호스를 통해 상기 집유항아리로 이동하는 우유량을 측정하여, 착유된 우유의 총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센서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자동착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판재 형상으로 상기 거치대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저면에 상기 티트컵 상부를 덮어, 상기 티트컵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착유장치는, 상기 흡착호스와 송유호스 사이에 삼방밸브를 형성하고, 이 삼방밸브에 상기 흡착호스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세척수배출호스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자동착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배출호스는 그 경로 상에 상기 세척수배출호스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제2차단밸브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자동착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일 측에는, 상기 거치대의 상기 홀에 거치된 티트컵을 파지하되, 가축의 젖꼭지 위치를 확인하여 가축의 젖꼭지 주변에 티트컵이 흡착되도록, 상기 티트컵을 이동시키는 로봇암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자동착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봇암은, 그 말단에 가축의 젖꼭지 위치를 확인하는 카메라 및 레이저센서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유 완료시점에서 길이조절장치가 흡착호스를 자동으로 당기는 단순 동작에 의해 티트컵이 가축으로부터 이탈되고, 가축에서 이탈된 티트컵이 거치대 상에 자동 거치되어 위생이 청결하며, 또한, 다수의 가축으로부터 동시에 착유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착유 작업이 완료되는 시점에 티트컵이 자동으로 이탈되어 작업자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 복귀할 필요가 없고, 특히, 티트컵의 흡착 불량시 송유호스가 차단되어 티트컵의 흡착 상태를 자동으로 재 조정하며, 이어서, 송유호스를 통해 이동하는 우유의 상태 및 오염도를 측정하여, 우유의 오염도 및 상태 확인으로, 우유의 불량여부를 확인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자동착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자동착유장치의 거치대 및 로봇암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자동착유장치의 착유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티트컵(100)은 일단에 흡착호스(101)를 형성하고, 가축의 젖꽂지 주변에 흡착되어 우유를 착유한다.
상기 티트컵(100)은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흡착호스(101)에 의해 가축의 젖꽂지 주변에 흡착된다.
상기 흡착호스(101)는 상기 착유장치(300)의 길이조절장치(301)를 통과하여, 그 말단이 상기 송유호스(303)와 연결된다.
거치대(200)는 상면에 상기 티트컵(100)이 걸림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홀(201)을 형성하여, 상기 티트컵(100)을 안착시킨다.
상기 거치대(200)는 상기 티트컵(100)이 지면에서 정해진 높이 상에 위치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거치대(200)는 판재 형상으로 상기 거치대(200)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저면에 상기 티트컵(100) 상부를 덮어, 상기 티트컵(100)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202)를 더 형성한다.
상기 세척수공급부(202)는 물을 공급하는 호스(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티트컵(100)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한다.
상기 거치대(200) 일 측에는 상기 거치대(200)의 상기 홀(201)에 거치된 티트컵(100)을 파지하되, 가축의 젖꼭지 위치를 확인하여 가축의 젖꼭지 주변에 티트컵(100)이 흡착되도록, 상기 티트컵(100)을 이동시키는 로봇암(210)을 더 형성한다.
상기 로봇암(210)은 관절 구조로 이루어져 다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된다.
상기 로봇암(210)은 그 말단에 가축의 젖꼭지 위치를 확인하는 카메라(211) 및 레이저센서(212)를 더 형성한다.
상기 카메라(211)는 가축의 젖꼭지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레이저센서(212)는 가축의 젖꽂지와 로봇암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착유장치(300)는 상기 거치대(200) 일 측에 형성되고, 전면에 승강 작동되어 상기 티트컵(100)의 흡착호스(101)를 당기거나 혹은 풀어지도록 안내하는 길이조절장치(301)를 형성하며, 내측에 진공 상태를 형성하여, 가축으로부터 착유한 우유를 저장하는 집유항아리(302)를 형성하고, 일단이 상기 흡착호스(101)와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집유항아리(302)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호스(101)를 통해 착유되는 우유가 상기 집유항아리(302)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송유호스(303)를 형성한다.
상기 착유장치(300)는 중공형상으로, 전면에 상기 길이조절장치(301)를 형성하고, 내측에 상기 집유항아리(302)를 구비한 하우징(304)과, 상기 하우징(310) 내에 구비된 상기 송유호스(303)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송유호스(303)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제1차단밸브(305), 상기 제1차단밸브(305)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송유호스(303) 내의 흡입압력을 측정하는 진공측정센서(306) 및 상기 하우징(304) 내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측정센서(306) 신호를 입력받되, 가축의 젖꽂지 주변에 흡착되는 티트컵(100)의 흡착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제1차단밸브(305)를 제어하는 제어부(304a)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04a)는 상기 송유호스(303) 내의 흡입압을 측정하는 진공측정센서 신호를 전달받아, 이 흡입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하이면,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제1차단밸브(305)를 제어하여, 상기 송유호스(303)를 차단하였다가 상기 티트컵(100)에 흡입압이 재 생성되도록 상기 제1차단밸브(305)를 개방하여, 상기 티트컵(100)이 가축의 젖꼭지 주변에 흡착되도록 한다.
상기 제1차단밸브(305)는 상기 거치대(200)의 세척수공급부(202)로 상기 흡착호스(101)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동안 상기 송유호스(303)를 차단한다.
상기 길이조절장치(301)는 실린더(301a)와, 상기 실린더(301a)에 결합되어 승강 이동되는 승강로드(301b), 상기 승강로드(301b) 하단에 결합되고, 상, 하로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안내롤러(301c-1)를 형성하여, 이 안내롤러(301c-1) 사이로 상기 티트컵(100)의 흡착호스(101)를 통과시키는 안내부(301c)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부(301c)는 상기 승강로드(301b)에 의해 상방으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흡착호스(101)를 당기고,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흡착호스(101)가 풀어지도록 안내한다.
상기 착유장치(300)는 상기 진공측정센서(306)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송유호스(303)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송유호스(303)를 통해 상기 집유항아리(302)로 이동하는 우유의 오염농도를 측정하는 전도도센서(307)를 더 형성한다.
상기 전도도센서(307)는 우유의 오염농도를 측정하여 외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미도시)로 오염농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304a)로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착유장치(300)는 상기 진공측정센서(306)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송유호스(303)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송유호스(303)를 통해 상기 집유항아리(302)로 이동하는 우유의 유속을 측정하여, 가축의 착유상태를 확인하는 유속측정센서(308)를 더 형성한다.
상기 유속측정센서(308)는 상기 전도도센서(307) 후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속측정센서(308)는 우유의 유속 상태를 측정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304a)로 전달한다.
상기 착유장치(300)는 상기 진공측정센서(306)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송유호스(303)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송유호스(303)를 통해 상기 집유항아리(302)로 이동하는 우유의 영양분 상태를 측정하는 유질측정센서(309)를 더 형성한다.
상기 유질측정센서(309)는 상기 유속측정센서(308) 후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질측정센서(309)는 우유의 영양분 상태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304a)로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착유장치(300)는 상기 진공측정센서(306)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송유호스(303)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송유호스(303)를 통해 상기 집유항아리(302)로 이동하는 우유량을 측정하여, 착유된 우유의 총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센서(310)를 더 형성한다.
상기 유량측정센서(310)는 상기 유질측정센서(309) 후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량측정센서(310)는 우유의 총량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304a)로 전달한다.
상기 착유장치(300)는 상기 흡착호스(101)와 송유호스(303) 사이에 삼방밸브(311)를 형성하고, 이 삼방밸브(311)에 상기 흡착호스(101)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세척수배출호스(312)를 더 형성한다.
상기 삼방밸브(311)는 상기 흡착호스(101)로 유입되는 우유가 상기 송유호스(303)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거나 혹은 상기 흡착호스(101)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상기 세척수배출호스(312)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삼방밸브(311)는 상기 송유호스(303)를 차단하거나 혹은 세척수배출호스(312)를 차단하는 제1, 제2 차단밸브(305, 313)에 의해 유체의 흐름 이동 경로를 결정한다.
상기 제어부(304a)는 상기 유속측정센서(308)로 부터 신호를 전달받되, 상기 유속측정센서(308)에 기 설정된 유속값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유속값이 측정되면, 상기 제1차단밸브(305)를 제어하여, 상기 송유호스(303)를 차단한다.
상기 제어부(304a)는 기 설정된 유속값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유속값이 측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15~20분간 상기 유속측정센서(308) 측정 신호를 전달받아 가축의 착유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304a)는 각각의 상기 진공측정센서(306), 전도도센서(307), 유속측정센서(308), 유질측정센서(309)의 신호를 전달받아, 기 설정된 값과 비교하고, 이 비교값에 따라 우유의 불량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제어부(304a)는 상기 진공측정센서(306), 전도도센서(307), 유속측정센서(308), 유질측정센서(309) 및 유량측정센서로(310)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외부의 디스플레이(미도시)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304a)는 상기 제1, 제2차단밸브(305, 312)의 개방 여부를 제어하여, 상기 송유호스(303) 또는 세척수배출호스(312)가 서로 교차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집유항아리(302)는 상기 제어부(304a)에 제어되어, 외부로 연결된 냉각기로 우유를 전달하거나 혹은 폐호스(미도시)를 통해 폐통(미도시)으로 우유를 배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자동착유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거치대(200) 상에 안착된 티트컵(100) 상단을 덮고 있는 세척수공급부(202)를 회전시켜, 세척수공급부(202)가 티트컵(100)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착유장치(300)의 집유항아리(302)에 진공압을 형성하여, 상기 송유호스(303) 및 흡착호스(101)에 진공압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후, 거치대(200) 측면에 설치된 로봇암(210)으로 티트컵(100)을 파지하되, 그 상태에서 상기 로봇암(210)의 카메라(211) 및 레이저센서(212)로 가축의 젖꼭지 위치를 확인한 후, 가축의 젖꼭지에 티트컵(100)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티트컵(100)을 가축의 젖꼭지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티트컵(100)과 송유호스(303) 사이를 연결하는 흡착호스(101)가 상기 로봇암(210)에 의해 당겨짐과 동시에 상기 길이조절장치(301)의 실린더(301a)가 상기 승강로드(301b)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이 승강로드(301b) 하부에 설치된 상기 안내부(301c)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흡착호스(101)가 풀어지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301c)의 안내롤러(301c-1)는 상기 로봇암(210)에 의해 당겨지는 상기 흡착호스(101) 외면과의 마찰로 회전되면서 상기 흡착호스(101)가 풀어지도록 안내한다.
한편, 상기 티트컵(100)은 흡착호스(101)에 형성된 진공압에 의해 흡입압을 형성하고, 이 흡입압에 의해 가축의 젖꼭지 주변에 흡착되는 것이다.
만약, 젖꼭지로 삽입된 상기 티트컵(100)의 흡착이 불량한 경우에는, 이 티트컵(100)을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이에따라, 상기 흡착호스(101)를 통해 상기 송유호스(303)로 공급되는 흡입압을 상기 진공측정센서(306)로 측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공측정센서(306) 신호는 상기 제어부(304a)로 전달되고, 이 제어부에 전달되는 상기 송유호스(303) 내의 압력이 상기 제어부(304a)에 기 설정된 정해진 압력값에 비례하거나 혹은 높은 경우, 상기 티트컵(100)이 가축의 젖꽂지 주변에 정상 흡착된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304a)에 전달되는 상기 송유호스(101) 내의 압력이 상기 제어부(304a)에 기 설정된 정해진 압력값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상기 티트컵(100)이 가축의 젖꽂지 주변에 불량 흡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차단밸브(305)를 제어하여 상기 송유호스(303)가 차단되도록 하되, 이후, 상기 송유호스(303)를 재 개방하여 상기 티트컵(100)에 형성되는 순간 흡입력에 의해 상기 티트컵(100)이 가축의 젖꼭지 주변에 정상 흡착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티트컵(100)을 통해 흡입되는 우유가 상기 흡착호스(101) 및 삼방밸브(311)를 거쳐 상기 송유호스(303)로 이동하도록 하면, 상기 송유호스(303) 경로상에 설치된 전도도센서(307)가 우유의 오염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304a)로 이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어부(304a)가 우유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송유호스(303)의 경로상에 설치된 제1차단밸브(305)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세척수배출호스(312) 경로상에 설치된 제2차단밸브(313)는 차단되어 상기 삼방밸브(311)를 통과한 우유가 상기 송유호스(303)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도도센서(307)를 통과한 우유는 상기 송유호스(303)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유속측정센서(308)를 통과하게 되고, 이때, 상기 유속측정센서(308)에 측정된 우유의 유속값이 상기 제어부(304a)로 전달된다.
즉, 상기 유속측정센서(308)가 상기 송유호스(303)를 통해 통과되는 우유의 유속값을 정해진 시간동안 측정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304a)로 전달하고, 이때, 상기 제어부(304a)는 유속측정센서(308)에 측정된 유속값과 기 설정된 유속값을 비교 산출한다.
이때, 상기 유속측정센서(308)에 측정된 유속값이 기 설정된 유속값 보다 상대적으로 높거나 혹은 비례하는 경우에는, 가축의 착유 상태를 정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티트컵(100)을 통해 우유를 연속 흡입하는 것이다.
반면, 상기 유속측정센서(308)에 측정된 유속값이 기 설정된 유속값 보다 낮게 측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15~20분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유속측정센서(308) 신호를 입력받고, 이때, 15~20분간 연속하여 상기 유속측정센서(308)에 측정된 유속값이 기 설정된 유속값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가축의 착유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되어, 상기 제어부(304a)가 상기 제1차단밸브(305)를 제어하여 상기 송유호스(303)를 차단함으로써, 착유가 정지되는 것이다.
이어서, 가축의 착유가 정상적으로 진행되면, 상기 유속측정센서(308)를 통과한 우유가 상기 송유호스(303)를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유질측정센서(309)를 통과하게 되고, 이때, 상기 유질측정센서(309)가 우유의 영양분 상태를 측정하여, 이 신호를 상기 제어부(304a)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304a)는 상기 유질측정센서(309)에 측정된 우유의 영양분 상태와 기 설정된 우유의 영양분 상태를 비교 산출하여, 유질측정센서(309)에 측정된 우유의 영양분 상태가 높으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만약, 유질측정센서(309)에 측정된 우유의 영양분 상태가 낮으면 불량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유질측정센서(309)를 통과한 우유는 상기 유량측정센서(310)를 통과하여, 상기 유량측정센서(310)가 가축으로부터 착유하는 우유의 총량을 산출하여, 상기 제어부(304a)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4a)는 우유의 총량을 확인하여, 외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미도시)로 출력함으로써, 작업자가 가축으로 부터 착유한 우유의 총량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음, 상기 송유호스(303)를 통해 이동되는 우유는 상기 집유항아리(302) 내로 수용되고, 이때, 상기 송유호스(303) 내에 저장되는 우유는 가축 한마리에서 착유한 우유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4a)는 상기 전도도센서(307), 유속측정센서(308), 유질측정센서(309) 및 유량측정센서(310) 신호를 전달받되, 이 신호값을 산출하여 가축 및 우유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집유항아리(302) 내에 수용된 우유가 외부에 구비된 폐통(미도시)으로 보내지거나 혹은 냉각기로 보내지도록 결정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가축으로부터 착유를 진행하다가, 상기 유속측정센서(308)에 측정되는 우유의 유속값이 상기 제어부(304a)에 기 설정된 정해진 유속값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되면, 착유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304a)가 상기 제1차단밸브(305)를 차단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304a)는 상기 길이조절장치(301)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길이조절장치(301)의 실린더(301a)가 상기 승강로드(301b)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이때, 상기 승강로드(301b) 말단에 형성된 안내부(301c)가 상기 흡착호스(101)를 당겨 가축의 젖꼭지 주변에 흡착된 흡착호스(101)가 가축에서 이탈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301c)의 안내롤러(301c-1)는 회전되면서 상기 흡착호스(101)를 당김으로써, 상기 흡착호스(101)가 상기 안내롤러(301c-1)에 의해 당겨지는 것이다.
그리고, 가축에서 이탈된 흡착호스(101) 말단의 티트컵(100)은 상기 거치대(200)의 홀(201)에 걸림되어, 상기 거치대(200) 상에 거치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200) 상에 티트컵(100)이 안착되면, 상기 세척수공급부(202)가 회전작동되어 상기 티트컵(100) 상단을 밀폐한다.
이때, 상기 세척수공급부(202)는 상기 티트컵(100) 내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이 세척수가 상기 흡착호스(101) 및 상기 삼방밸브(311)를 거쳐, 상기 세척수배출호스(312)로 이동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흡착호스(101)를 통과하는 세척수가, 상기 흡착호스(101) 내에 뭍어있는 이물질 또는 우유등을 세척하되, 그 상태에서 상기 세척수배출호스(3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흡착호스(101) 및 티트컵(100)이 세척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세척수배출호스(312) 경로 상에 설치된 제2차단밸브(313)는 상기 세척수공급부(202)가 상기 티트컵(100) 내로 세척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개방되어, 상기 세척수배출호스(312)로 세척수가 통과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상기 세척수공급부(202)가 착유가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티트컵(100) 내로 세척수를 자동공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세척수공급부(202)는 작업자에 의해 제어 작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착유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길이조절장치(301)가 티트컵(100)에 연결된 흡착호스(101)를 당기되, 이 당김되는 흡착호스(101)에 의해 티트컵(100)이 가축에서 이탈된 후 거치대에 자동 거치되도록 하는 구조는, 착유 완료시점에서 길이조절장치(301)가 흡착호스(101)를 자동으로 당기는 단순 동작에 의해 티트컵(100)이 가축으로부터 이탈되고, 가축에서 이탈된 티트컵(100)이 거치대(200) 상에 자동 거치되어 위생이 청결하며, 또한, 다수의 가축으로부터 동시에 착유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착유 작업이 완료되는 시점에 티트컵(100)이 자동으로 이탈되어 작업자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 복귀할 필요가 없고, 특히, 티트컵(100)의 흡착 불량시 송유호스(303)가 차단되어 티트컵(100)의 흡착 상태를 자동으로 재 조정하며, 이어서, 송유호스(303)를 통해 이동하는 우유의 상태 및 오염도를 측정하여, 우유의 오염도 및 상태 확인으로, 우유의 불량여부를 확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자동착유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티트컵 101 : 흡착호스
200 : 거치대 201 : 홀
202 : 세척수공급부 210 : 로봇암
211 : 카메라 212 : 레이저센서
300 : 착유장치 301 : 길이조절장치
301a : 실린더 301b : 승강로드
301c : 안내부 301c-1 : 안내롤러
302 : 집유항아리 303 : 송유호스
304 : 하우징 304a : 제어부
305 : 제1차단밸브
306 : 진공측정센서 307 : 전도도센서
308 : 유속측정센서 309 : 유질측정센서
310 : 유량측정센서 311 : 삼방밸브
312 : 세척수배출호스 313 : 제2차단밸브

Claims (11)

  1. 일단에 흡착호스(101)를 형성하고, 가축의 젖꽂지 주변에 흡착되어 우유를 착유하는 티트컵(100)과;
    상면에 상기 티트컵(100)이 걸림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홀(201)을 형성하여, 상기 티트컵(100)을 안착시키는 거치대(200); 및
    상기 거치대(200) 일 측에 형성되고, 전면에 승강 작동되어 상기 티트컵(100)의 흡착호스(101)를 당기거나 혹은 풀어지도록 안내하는 길이조절장치(301)를 형성하며, 내측에 진공 상태를 형성하여, 가축으로부터 착유한 우유를 저장하는 집유항아리(302)를 형성하고, 일단이 상기 흡착호스(101)와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집유항아리(302)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호스(101)를 통해 착유되는 우유가 상기 집유항아리(302)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송유호스(303)를 형성한 착유장치(3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유장치(300)는,
    중공형상으로, 전면에 상기 길이조절장치(301)를 형성하고, 내측에 상기 집유항아리(302)를 구비한 하우징(304)과;
    상기 하우징(310) 내에 구비된 상기 송유호스(303)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송유호스(303)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제1차단밸브(305);
    상기 제1차단밸브(305)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송유호스(303) 내의 흡입압력을 측정하는 진공측정센서(306); 및
    상기 하우징(304) 내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측정센서(306) 신호를 입력받되, 가축의 젖꽂지 주변에 흡착되는 티트컵(100)의 흡착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제1차단밸브(305)를 제어하는 제어부(304a);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장치(301)는,
    실린더(301a)와;
    상기 실린더(301a)에 결합되어 승강 이동되는 승강로드(301b); 및
    상기 승강로드(301b) 하단에 결합되고, 상, 하로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안내롤러(301c-1)를 형성하여, 이 안내롤러(301c-1) 사이로 상기 티트컵(100)의 흡착호스(101)를 통과시키는 안내부(301c);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착유장치(300)는,
    상기 진공측정센서(306)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송유호스(303)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송유호스(303)를 통해 상기 집유항아리(302)로 이동하는 우유의 오염농도를 측정하는 전도도센서(307)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착유장치(300)는,
    상기 진공측정센서(306)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송유호스(303)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송유호스(303)를 통해 상기 집유항아리(302)로 이동하는 우유의 유속을 측정하여, 가축의 착유상태를 확인하는 유속측정센서(308)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착유장치(300)는,
    상기 진공측정센서(306)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송유호스(303)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송유호스(303)를 통해 상기 집유항아리(302)로 이동하는 우유의 영양분 상태를 측정하는 유질측정센서(309)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착유장치(300)는,
    상기 진공측정센서(306)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송유호스(303)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송유호스(303)를 통해 상기 집유항아리(302)로 이동하는 우유량을 측정하여, 착유된 우유의 총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센서(310)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200)는,
    판재 형상으로 상기 거치대(200)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저면에 상기 티트컵(100) 상부를 덮어, 상기 티트컵(100)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202)를 더 형성하고,
    상기 착유장치(300)는,
    상기 흡착호스(101)와 송유호스(303) 사이에 삼방밸브(311)를 형성하고, 이 삼방밸브(311)에 상기 흡착호스(101)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세척수배출호스(312)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배출호스(312)는 그 경로 상에 상기 세척수배출호스(312)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제2차단밸브(313)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200) 일 측에는,
    상기 거치대(200)의 상기 홀(201)에 거치된 티트컵(100)을 파지하되, 가축의 젖꼭지 위치를 확인하여 가축의 젖꼭지 주변에 티트컵(100)이 흡착되도록, 상기 티트컵(100)을 이동시키는 로봇암(210)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암(210)은,
    그 말단에 가축의 젖꼭지 위치를 확인하는 카메라(211) 및 레이저센서(212)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KR1020180156733A 2018-12-07 2018-12-07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KR102163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733A KR102163580B1 (ko) 2018-12-07 2018-12-07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733A KR102163580B1 (ko) 2018-12-07 2018-12-07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560A true KR20200069560A (ko) 2020-06-17
KR102163580B1 KR102163580B1 (ko) 2020-10-08

Family

ID=7140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733A KR102163580B1 (ko) 2018-12-07 2018-12-07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5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815A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다운 자동 우유 착유시스템
WO2022265156A1 (ko) * 2021-06-15 2022-12-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1306A (ja) * 1995-03-24 1996-10-18 Maasland Nv 流量計および該流量計を備えた動物搾乳用装置
KR200169167Y1 (ko) 1999-07-15 2000-02-15 이상근 젖소용착유기의밀커유니트고정밴드
JP2001520514A (ja) * 1997-04-11 2001-10-30 アルファ ラヴァル アーグリ アクチエボラゲット 乳頭カップマガジン、搾乳装置、および乳頭カップの操作方法
KR101190058B1 (ko) * 2012-01-19 2012-10-12 조용석 착유기 자동 점검 장치 및 방법
KR101394529B1 (ko) * 2014-01-17 2014-05-14 소병현 착유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1306A (ja) * 1995-03-24 1996-10-18 Maasland Nv 流量計および該流量計を備えた動物搾乳用装置
JP2001520514A (ja) * 1997-04-11 2001-10-30 アルファ ラヴァル アーグリ アクチエボラゲット 乳頭カップマガジン、搾乳装置、および乳頭カップの操作方法
KR200169167Y1 (ko) 1999-07-15 2000-02-15 이상근 젖소용착유기의밀커유니트고정밴드
KR101190058B1 (ko) * 2012-01-19 2012-10-12 조용석 착유기 자동 점검 장치 및 방법
KR101394529B1 (ko) * 2014-01-17 2014-05-14 소병현 착유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815A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다운 자동 우유 착유시스템
WO2022265156A1 (ko) * 2021-06-15 2022-12-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580B1 (ko)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4964B2 (ja) 前搾乳の分離のための方法と装置
AU2006257779B2 (en) Liner contact automatic teat dip applicator
NL1004921C2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melken van dieren.
EP1447002A1 (en) Device and method for milking animals
US8800486B2 (en) Control system and a method for milking members in a milking parlour
CA239416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at cup cleaning
RU2676917C2 (ru) Аппарат для доения и сбора молока с системой защиты молокопровода
US11206805B2 (en) Automated milking system safety valve arrangement
KR20200069560A (ko)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US201201807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lking animals having four teats
JPS6070021A (ja) 搾乳装置
US3957018A (en) Milking apparatus
JP3129834B2 (ja) ミルク流量計
KR101394529B1 (ko) 착유기
KR102363145B1 (ko)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US9955670B2 (en) Device for automatically feeding calves
JP2012005963A (ja) パイプラインミルカーの洗浄方法
RU2654245C1 (ru) Доильный агрегат
JP2012005421A (ja) パイプラインミルカーの監視装置
CN214902893U (zh) 一种奶水牛挤奶设备
NL9300917A (nl) Inrichting voor het melken van dieren.
SE513021C2 (sv) En metod och anordning för att förbättra mjölkning
CZ8411U1 (cs) Rozdělovač dojícího přístroje
CN214709456U (zh) 一种奶牛挤奶器
KR20230037261A (ko)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