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167Y1 - 젖소용착유기의밀커유니트고정밴드 - Google Patents

젖소용착유기의밀커유니트고정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167Y1
KR200169167Y1 KR2019990013978U KR19990013978U KR200169167Y1 KR 200169167 Y1 KR200169167 Y1 KR 200169167Y1 KR 2019990013978 U KR2019990013978 U KR 2019990013978U KR 19990013978 U KR19990013978 U KR 19990013978U KR 200169167 Y1 KR200169167 Y1 KR 2001691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w
milker unit
hose
milk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근
Original Assignee
이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근 filed Critical 이상근
Priority to KR2019990013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1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1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1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9/00Milk receptacles
    • A01J9/08Hol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milk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7/00Accessories for milking machines or devices
    • A01J7/04Accessories for milking machine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udders or teats, e.g. for clea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젖소용 착유기의 밀커유니트 고정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유기의 밀커유니트가 젖소의 몸체를 통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밀커유니트가 항상 젖소와 일체로 유동되는 것에 의해 유두가 꺽이지 않는 등 젖소의 유두를 보호하고, 원유의 품질을 향상되도록 한 젖소용 착유기의 밀커유니트 고정밴드에 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젖소의 몸체를 통해 채워지도록 양단에 버클(21)(21') 등의 체결수단 및 일측에 길이조절구(22)가 구비되고, 중앙 하단에 고리(23)가 설치된 밴드체(20)와;
상기 밴드체(20)에 걸어져 밀커유니트의 밀크호스 및 이연호스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밴드체(20)의 고리(23)를 통해 걸어지도록 하는 후크(31)와, 밀커유니트의 밀크호스(5) 및 이연호스(6)가 삽입 관통되어 고정시키도록 하는 삽통공(32)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젖소용 착유기의 밀커유니트 고정밴드{SUPPORT BAND OF MILKING MACHINE}
본 고안은 젖소용 착유기의 밀커유니트 고정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유기의 밀커유니트가 젖소의 몸체를 통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밀커유니트가 항상 젖소와 일체로 유동되는 것에 의해 유두가 꺽이지 않는 등 원유의 품질을 향상되도록 한 젖소용 착유기의 밀커유니트 고정밴드에 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젖소용 착유기중 가장 핵심 부품인 밀커유니트(1)는, 진공압력에 의한 맛사지 자극과 착유를 자동적으로 조절해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밀커유니트(1)는 젖소 유방의 유두에 흡착고정되도록 라이너(3)를 구비한 다수의 유두컵(2), 상기 다수의 유두컵(2)을 집중시키는 밀크 크로우(4), 상기 밀크 크로우(4)에 연결되는 밀크호스(5), 상기 유두컵(2)에 연결되는 이연호스(PULSE TUBE)(6), 및 상기 이연호스(6)에 연결되는 맥동기(7)를 포함한다.
미설명 부호 8은 상기 밀크호스(5)와 이연호스(6)를 일체로 묶어주는 묶음밴드이다.
상기 구성의 밀커유니트(1)는 팔라식 착유시설 또는 파이프라인 착유시설을 이용하여 착유하게 되고, 이 때 상기 밀커유니트는 우유 수송관과의 연결 필요에 의해 파이프라인이나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지지 또는 고정시켜 사용된다.
이 때, 밀커유니트의 설치 상태가 안정되지 못할 경우 유방에 좋지 않은 자극을 주어 유방이 유방염균에 감염되거나 진공압력에 의한 물리적 손상을 입게 되는 데, 이로 인해 원유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젖소의 유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각도의 기울기를 유지하고 있어 밀커유니트 역시 상기 기울기를 감안하여 고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밀커유니트는 밀크호스나 이연호스 등과 같은 밀커유니트의 자체 중량에 의해 수직적으로 쳐지거나 젖소의 측면에서 밀커유니트를 장착해야 하므로 젖소의 움직임에 따라 유두가 꺽이게 되고 유두가 꺽인 상태로 장기간 사용할 경우 유방 한 쪽이 기형적으로 쳐지게 되거나, 우유가 흐르는 유도관 또는 유선이 막히게 되어 우유의 흐름이 중단된다.
또한, 그러한 상태에서 밀커유니트에 노출된 유두는 계속적인 진공압에 의해 손상을 입게 되거나, 유방내에는 우유가 잔류하게 되어 유방염 발병의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을 낳게 된다.
또한, 낙농업자의 중요한 수입원인 원유대금의 지급 기준은 원유속에 포함되어 있는 지방율, 세균수, 체세포 수에 따라 그 지급기준이 달라지는 데 그 중 지방율과 세균수 문제는 목장의 노력 여하에 의하여 어느 정도 개선이 가능한 것이지만 체세포수 문제는 기술적으로 대단히 어렵다.
체세포란 젖소 유방이 유방염균에 감염되었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인하여 유방에 이상이 있을 경우, 우유속에 세균과 싸우다 죽은 백혈구와 일부 체세포가 떨어져 나오는 것으로 그 숫자가 적을수록 높은 등급을 받게 된다.
이러한 체세포가 증가하게 되는 원인은 대부분 밀커유니트를 올바르게 사용하지 않는데서 비롯되는 것이며, 그 중에서 특히 젖소의 유방에 직접 부착되는 밀커 유니트의 부착상태가 바르지 못할 때 유방에 좋지 않은 자극을 주어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착유자가 밀커유니트를 바로잡은 상태로 착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나, 이는 젖소와 1:1로 행해지는 까닭에 어느정도 규모가 큰 목장일 경우 비현실적이거나 불가능한 일이다.
그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큰 목장의 개방식 우사에 설치하는 착유전용시설인 팔라식 착유시설에 사용하는 밀크호스 걸이용 팔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가격이 고가이고 우리나라 목장 대부분의 착유시설인 계류식 우사용 파이프라인 착유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유럽의 일부 착유기 회사에서 제작한 밀크호스 정열 손잡이가 있기는 하나 사용상 불편함 때문에 거의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젖소의 착유시 유방에 부착하는 밀커 유니트는 젖소의 유두에 무리한 자극을 주지 아니하고 젖소의 4 유두를 균형있게 착유할 수 있어야 하는 데, 이 때 밀크 유니트의 중량 또는 밀크호스 길이의 장단에 의하여 젖소의 유두가 밀커 유니트의 유두컵 안에서 전후좌우로 꺽일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젖소의 활동공간이 넓은 계류식 유사의 파이프라인 착유시설에서 특히 심하여 소가 움직일 때 마다 밀커 유니트의 꺽임에 따른 유두 손상이 매우 심각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유방의 4 유두를 균형있게 잡아주지 못하여 일부 유두는 착유가 끝났으나 일부 유두는 꺽임으로 인하여 흘러나와야 할 우유가 그대로 유방내에 잔류하여 유방내 압력을 가중시켜 유방염의 원인이 될 수 있었으며, 유도관이 막힌 상태에서 착유하게 될 경우 계속적으로 진공압력에 노출된 유두가 결국 손상을 입게 되어 유방염의 원인이 되며, 결국 유방내 우유 속에 체세포수를 증가시켜 원유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고 농가는 원유대 수입이 줄어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착유기의 밀커유니트가 젖소의 몸체를 통해 지지 및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밀커유니트가 항상 젖소와 일체로 유동되는 것에 의해 유두가 꺽이지 않는 등 원유의 품질을 향상되도록 한 젖소용 착유기의 밀커유니트 고정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정밴드가 젖소에 착용될 경우 다양한 색상 또는 개체번호의 표기에 의해 젖소의 개체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젖소용 착유기의 밀커유니트 고정밴드는, 양단에 버클 등의 체결수단 및 일측에 길이조절구가 구비되고 중앙 하단에 고리가 설치되어 젖소의 몸통을 통해 착용되는 밴드체와; 상기 밴드체의 고리를 통해 걸어지도록 하는 후크와, 밀커유니트의 밀크호스 및 이연호스를 파지하도록 하는 삽통공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밴드체는 길이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소정 부위에 텐션부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는 힌지구성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착유기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젖소 유방의 기울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밴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밴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고정구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밀커유니트 2: 유두컵
3: 라이너 4: 밀크 크로우
5: 밀크호스 6: 이연호스
7: 맥동기 8: 묶음밴드
10: 고정밴드 20: 밴드체
21,21': 버클 22: 조절구
23: 고리 24: 보조편
25: 고리부재 26: 텐션부
30,40: 고정구 31,41: 후크
32,42: 삽통공 32a,32b: 구멍
43: 힌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밴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밴드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고정구의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젖소용 착유기의 밀커유니트 고정밴드(10)는 젖소에 착용되는 밴드체(20)와, 상기 밴드체(20)에 걸어져 밀커유니트를 고정시키는 고정구(30)를 포함한다.
상기 밴드체(20)는 양단에 버클(21)(21') 등의 체결수단 및 일측에 길이조절구(22)가 구비된 것의 중앙 하단에 고리(23)가 설치된다.
상기 고리(23)는 보조편(24)에 부착된 고리부재(25)를 통해 힌지 설치되고, 상기 밴드체(20)는 어느정도 신축성을 갖도록 신축성 재질의 텐션부(26)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밴드체(20)는 젖소의 몸통을 감안한 길이를 지지고 어느정도의 폭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며, P.P테이프재질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밴드체(20)의 고리(23)를 통해 걸어지는 고정구(30)는 밴드체의 고리(23)를 통해 걸어지도록 하는 후크(31)와, 밀커유니트의 밀크호스(5) 및 이연호스(6)를 동시에 파지하도록 하는 삽통공(3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삽통공(32)은 밀크호스(5)용 구멍(32a)과 이연호스(6)용 구멍(32b)이 일체로 연통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리(23) 및 고정구(30)는 금속재로서 스테인레스 스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구(30)의 삽통공(32)은 어느정도 폭을 지니게 하여 설치시 밀크호스(5) 및 이연호스(6)의 손상됨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다.
또한 상기 밴드체(20) 각각은 각각의 다른 색상을 지니게 하거나, 각각의 밴드체(20)에 고유번호를 표기하여 젖소의 개체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밴드체(20)를 젖소의 앞가슴으로 부터 어깨부위에 걸쳐 착용시킨다. 이 때 고리(23)가 하방으로 위치되도록 채운다.
한편 고정구(30)는 그 삽통공(32)을 통해 밀커유니트(1)를 구성하는 밀크호스(5) 및 이연호스(6)가 삽입 관통되는 상태로 하여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 밀크호스(5)는 삽통공(32)의 구멍(32a)에, 이연호스(6)는 삽통공(32)의 구멍(32b)에 위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 고정구(30)는 삽입된 밀크호스 및 이연호스를 통해 이동이 가능한 까닭에 조정하여 가장 적당한 지점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밀커유니트(1)가 젖소 유방의 본래 기울기를 유지시킬 수 있는 지점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밴드(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착유중 젖소가 움직이게 될지라도 밀크호스나 이연호스가 늘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밀커유니트 본체가 항상 유방의 기울기를 유지하게 되어 유두가 꺽이게 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착유가 완료될지라도 밴드체(20)는 젖소의 몸체에 착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다음 착유시 상기 밴드체(20)를 재설치하는 번거러움이 해소된다.
또한 밴드체(20)의 다양한 색상 또는 개체번호의 표기가 있을 경우 젖소의 개체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면, 밴드체(20)의 색상을 여러 가지로 할 경우 전체 젖소 중 개체식별이 용이하게 되어 유방염 감염우나 기타 다른 질병을 앓고 잇는 젖소를 별도 관리 할 수 있고, 개체번호를 표기할 경우 개체관리가 보다 쉬워진다.
한편,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따르면 고정구(40)의 삽통공(42)이 폐쇄되지 않고 힌지(43)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밀크호스 및 이연호스의 끼움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그 후크(41)는 밴드체(20)의 고리(23)에 항상 걸어져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밴드체(20)와 일체로 된 구성에 의해 분실될 염려도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젖소용 착유기의 밀커유니트 고정밴드는, 젖소의 몸통을 통해 착용되는 밴드체와, 상기 밴드체의 고리를 통해 걸어져 밀커유니트의 밀크호스 및 이연호스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구로 이루어진 구성에 의해, 밀커유니트가 항상 젖소와 일체로 유동되어 유두가 꺽이지 않으므로 젖소를 보호하고 원유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색상 또는 번호표기에 의해 개체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젖소의 몸체를 통해 채워지도록 양단에 버클(21)(21') 등의 체결수단 및 일측에 길이조절구(22)가 구비되고, 중앙 하단에 고리(23)가 설치된 밴드체(20)와;
    상기 밴드체(20)에 걸어져 밀커유니트의 밀크호스 및 이연호스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밴드체(20)의 고리(23)를 통해 걸어지도록 하는 후크(31)와, 밀커유니트의 밀크호스(5) 및 이연호스(6)가 삽입 관통되어 고정시키도록 하는 삽통공(32)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소용 착유기의 밀커유니트 고정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체(20)는 신축성이 발휘되도록 소정 위치에 텐션부(26)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소용 착유기의 밀커유니트 고정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40)의 삽통공(42)이 폐쇄되지 않고 힌지(43)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소용 착유기의 밀커유니트 고정밴드.
KR2019990013978U 1999-07-15 1999-07-15 젖소용착유기의밀커유니트고정밴드 KR2001691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978U KR200169167Y1 (ko) 1999-07-15 1999-07-15 젖소용착유기의밀커유니트고정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978U KR200169167Y1 (ko) 1999-07-15 1999-07-15 젖소용착유기의밀커유니트고정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167Y1 true KR200169167Y1 (ko) 2000-02-15

Family

ID=1958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978U KR200169167Y1 (ko) 1999-07-15 1999-07-15 젖소용착유기의밀커유니트고정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1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560A (ko)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다운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KR102363145B1 (ko) 2021-06-15 2022-02-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560A (ko)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다운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KR102363145B1 (ko) 2021-06-15 2022-02-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3995A (en) Collapsing teat cup liner with tapering barrel wall
CA2324601C (en) Teat cup liner for a milking machine
RU2449535C2 (ru) Доение животных с пониженной нагрузкой на соски
EP1104986B1 (en) An apparatus for milking an animal
CA2500708A1 (en) Short milk tube
EP1169914A3 (en) Cluster pre-lift for milking parlor
DK1008294T4 (en) Method of automatic milking and feeding of animals
WO1997018701A3 (en) An implement for milking animals
EP1185165B1 (en) A teatcup liner, a teatcup including a teatcup liner, and a milking member
KR200169167Y1 (ko) 젖소용착유기의밀커유니트고정밴드
DE60012025D1 (de)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melken von tieren
CA2462975C (en) Method of managing animals and milking station
DE3774217D1 (de) Geraet zum melken von tieren.
SE9802557L (sv) Anordning som är inrättad att uppbära en uppsättning spenkoppar
SE0102291D0 (sv) A method of and an apparatus for somatic cell count
EP1328149B1 (en) Attachment for a rotary milking platform
EP1608217B1 (en) A set of teatcups, and a milking member
AU2002211113A1 (en) Attachment for a rotary milking platform
CA2348209A1 (en) An implement for milking animals
US11864529B2 (en) Livestock dry off method and device
EP1321029A3 (en) A device and a teat cup for milking animals
Reid Improving milking efficiency
Vermeulen What is mastitis costing you?
Dahl Milking Machine Function: Systems Analysis and Possible Relationship of Milking Machine to Mastitis
Ohnstad Milking parlour design and configu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