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463A - 족장용 브라켓 및 스텐션 - Google Patents

족장용 브라켓 및 스텐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463A
KR20200068463A KR1020180155482A KR20180155482A KR20200068463A KR 20200068463 A KR20200068463 A KR 20200068463A KR 1020180155482 A KR1020180155482 A KR 1020180155482A KR 20180155482 A KR20180155482 A KR 20180155482A KR 20200068463 A KR20200068463 A KR 20200068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ipe structure
patriarch
guide groove
patriarch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1014B1 (ko
Inventor
정우돈
Original Assignee
정우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돈 filed Critical 정우돈
Priority to KR1020180155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0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04G5/062Console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build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sthes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족장용 브라켓 및 스텐션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족장용 브라켓은, 스텐션과 결합되며, 상부에 족장판이 올려짐으로써 족장 구조물을 구성하는 족장용 브라켓에 있어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파이프 구조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스텐션과 상호 결합하는 커플링부를 갖는 파이프 구조의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족장용 브라켓 및 스텐션{BRACKET AND STANCHION FOR SCAFFOLDING}
본 발명은 족장용 브라켓 및 스텐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족장을 설치할 때에 사용되는 브라켓과 스텐션에 관한 것이다.
족장은 건물 건축이나 선박 건조시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이다. 재료운반이나 작업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 역할을 한다. 비계(scaffolding)라고도 한다.
족장을 설치할 때에는 설치벽면 또는 설치대상물에 족장 브라켓을 고정하고(예를 들어 외팔보 형상으로 고정하고), 그 족장 브라켓 위에 족장판을 올려놓음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족장판은 외력에 의해 쉽게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족장 브라켓에는 지주 역할의 스텐션과 핸드레일 역할의 가로대가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족장판 위를 통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이 담보될 수 있다.
기존에 족장 브라켓은 일반적으로 판재들이 서로 결합된 앵글 형강의 형태를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0469390호(발명명칭: 선박용 비계)는 이를 잘 보여준다.
그래서, 족장판이 올려지는 브라켓 부분도 판재에 해당하여, 이러한 평평한 판재 위에 여러 개의 족장판이 서로 겹쳐져 올려진 후, 끈과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족장판들과 브라켓이 서로 풀어지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족장의 설치 및 해체가 매우 번거롭다. 비계공이 높은 곳까지 구조물들을 들고 올라가서 족장판들을 브라켓에 끈으로 고정하고 사용이 끝난 후 다시 해체하는 일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서로 포개진 족장판들이 브라켓에 안전하게 고정되었는지를 일일이 작업자의 눈으로 확인해야 하고, 이러한 수작업들은 안전을 담보하기도 어렵다.
한편, 족장판은 그 형태에 따라서, 양측에 후크부가 마련된 것도 존재하는데, 이러한 후크형 족장판을 브라켓에 적용하지 않는 이유는, 브라켓들간 간격을 예상하기 어려워서이다. 후크형 족장판은 후크를 브라켓에 걸어서 설치하는 특성상 브라켓들 간격이 예상을 벗어나면 아예 족장판의 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보다 정확히 브라켓들 간격을 예측하여 그에 맞는 후크형 족장판을 준비할 수도 있겠지만, 작업시 수반되는 오차와 공차는 상존하고, 설치 현장에서는 실제 설치 환경에 맞게 그 간격이 조정되어야 하는 상황도 자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을 피해 현장 상황에 맞게 브라켓의 간격이 조정될 필요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최근 후크의 길이 조정이 가능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1088호(발명명칭: 길이조절식 후크각 구비된 안전발판)는 발판본체에 대해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된 한 쌍의 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길이조절식 후크가 구비된 안전발판을 보여준다.
이러한 기술들을 활용하면 후크형 족장판을 족장 브라켓에 직접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족장판들을 포개지 않아도 되고, 고정을 위해 작업자가 따로 고정작업을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기술들에 최적화된 브라켓과 스텐션 구조를 제시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후크형 족장판을 적용할 수 있는 족장용 브라켓 및 스텐션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브라켓은, 스텐션과 결합되며, 상부에 족장판이 올려짐으로써 족장 구조물을 구성하는 족장용 브라켓으로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파이프 구조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스텐션과 상호 결합하는 커플링부를 갖는 파이프 구조의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족장판은 양쪽에 고리형 후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부가 상기 지지부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족장판은 상기 족장용 브라켓 위에 거치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후크부의 고리형에 내접할수 있는 원형의 파이프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단에 상기 스텐션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가 마련되는 원형의 파이프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스텐션은 상기 체결부와 상호 결합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개구와 연통되어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돌기부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소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켓부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체결부의 표면을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가이드홈,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부터 상기 체결부의 표면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가이드홈 및 상기 제2 가이드홈으로부터 상기 체결부의 표면을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가이드홈은 상기 베이스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아래에서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파이프 구조의 가로 지지부재; 및 상기 가로 지지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의 중단으로 연장하여 상기 지지부에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세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스텐션은, 브라켓과 결합되며, 가로대가 놓여짐으로써 족장 구조물을 구성하는 족장용 스텐션으로서, 파이프 구조의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측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로대의 안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포켓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는, 하단에 상기 브라켓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가 마련되는 원형의 파이프 구조이고, 상기 하단에는 상기 브라켓과 상호 결합하는 커플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바디부와 상호 결합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개구와 연통되어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돌기부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소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후크형 족장판을 적용할 수 있는 족장용 브라켓 및 스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원터치 결합을 통해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족장용 브라켓과 스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족장의 설치 및 해체의 시간과 비용을 줄여 건물 축조나 선박 건조의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브라켓 및 스텐션을 갖는 족장 구조물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응 뵤라켓에 족장판이 연결된 상태를 상세하게 보여주기 위해 도 1의 A부분에 대한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브라켓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브라켓에 마련되는 커플링부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3에서 체결부의 상단을 II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브라켓과 스텐션의 결합 전 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브라켓과 스텐션의 결합 후 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브라켓과 스텐션의 결합 전 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브라켓의 구조를 도시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브라켓 및 스텐션을 갖는 족장 구조물(1)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응 뵤라켓(100)에 족장판(20)이 연결된 상태를 상세하게 보여주기 위해 도 1의 A부분에 대한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족장 구조물(1)(이하, 간단히 '족장'이라고도 함)은 설치벽면(IW)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족장이 설치되는 위치를 설치벽면이라고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족장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장소, 예를 들어, 선박의 블록일 수도 있다.
족장 구조물(1)은 족장피스(10), 족장판(20), 족장 브라켓(100) 및 족장 스텐션(300)을 포함한다.
족장피스(10)는 설치벽면(IW)으로부터 외부로 돌설된다. 족장 전체의 하중을 받치는 요소에 해당하므로 용접 등에 의해 설치벽면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족장판(20)은 양측으로 마련된 고리 형상의 후크부들(21, 22, 23, 24)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들은 길이 조절 가능하거나 형상이 변화하는 등 브라켓의 설치 간격(ID)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공차나 오차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족장판일 수 있다.
족장 브라켓(100)은 족장피스(10)를 통해 설치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족장 브라켓 위로 족장판(20)이 후크부들을 통해 거치될 수 있다.
족장 브라켓은 파이프 구조를 갖는다. 이로써 후크부들에 의한 거치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스텐션(300)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브라켓 전체의 강성 구조를 확보한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족장 브라켓은 간단히 브라켓으로 참조될 수 있다.
스텐션(300)은 브라켓의 단부에 세로 방향으로 결합된다. 족장 위 통행로에서 핸드레일 역할을 하는 가로대(미도시)가 놓일 수 있는 지주 역할을 한다.
브라켓과 스텐션은 원터치 방식의 결합 구조를 갖는다. 족장 설치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족장 스텐션은 간단히 스텐션으로 참조될 수 있다.
도면에서 족장판이 걸쳐 놓인 방향이 I방향으로 도시된다. I방향은 족장판이 연장하는 방향에 상응한다. 브라켓이 연장하는 방향이 II방향으로 도시된다. II방향은 I방향에 통상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이들 방향(I, II)에 교차하는(통상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이 III방향으로 도시된다. III방향은 족장의 설치 높이에 상응한다.
한편,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크부(22)가 걸쳐져 있는 요소가 도면부호 100으로 참조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크부가 걸쳐져 있는 요소는 보다 정확하게는 브라켓(100)의 지지부(120)임을 주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브라켓(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브라켓에 마련되는 커플링부(132)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체결부의 상단을 II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족장용 브라켓(100)은 베이스부(110), 지지부(120), 체결부(130), 가로 지지부재(140) 및 세로 지지부재(15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상술한 족장피스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를 I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베이스부로부터 II방향으로 연장하는 파이프 구조를 갖는다. 파이프 구조는 내부가 중공일 수 있다.
지지부의 파이프 구조는 원형의 파이프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에 족장판의 후크부들이 삽입 및 거치될 수 있다.
지지부의 파이프 구조는 후크부의 고리 모양에 내접할 수 있는 원형의 파이프 구조일 수 있다. 지지부의 파이프 구조는 후크부의 고리 모양이 만드는 내측 공간에 완전히 삽입 및 거치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에는 상부 고리뿐만 아니라 하부 집게가 마련되어 지지부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부(130)는 지지부(120)의 단부에 결합된다. 체결부(130)는 III방향으로 연장한다. 체결부는 베이스부로부터 지지부에 의해 이격되어 있다.
체결부(130) 또한 파이프 구조를 갖는다. III방향으로 연장하는 파이프 구조이다. 파이프 구조는 내부가 중공일 수 있다.
체결부의 파이프 구조는 원형의 파이프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스텐션이 파이프 내부로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의 파이프 구조와 지지부의 파이프 구조는 동일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파이프 재료를 갖고서 잘라서 체결부와 지지부를 형성하는 데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체결부(130)는 스텐션(300)과 결합된다. 체결부는 그 상단(131)에 스텐션과 상호 결합을 위한 커플링부(132)를 갖는다. 커플링부(132)는 표면을 따라 홈이 파진 형상으로서 소켓부로 참조될 수 있다.
커플링부(132)는 브라켓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커플링부는 베이스부(110)에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커플링부는 그 형상의 특성상 본질적으로 외부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 특히, 홈이 파지기 시작하는 부위(예를 들어, 도 4의 도면부호 132a와 같이)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브라켓의 외측이 아닌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족장 설치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외부 충격으로 약한 부위가 최대한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4를 참조하면, 체결부(130)는 상단(131)에 스텐션(300)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O)가 마련되는 원형의 파이프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커플링부(132)는 개구(O)로부터 체결부의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III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가이드홈(132a), 제1 가이드홈으로부터 체결부의 표면을 따라 우측으로(I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하는 제2 가이드홈(132b) 및 제2 가이드홈으로부터 체결부의 표면을 따라 다시 하방으로(III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가이드홈(132c)을 포함한다.
즉, 커플링부는 개구로부터 하방으로 홈이 파지다가 한 번 벤딩(1차 벤딩)되어 측부로 홈이 파지며 한 번 더 벤딩(2차 벤딩)되어 다시 하방으로 홈이 파지는 구조이다. 전체적으로, 커플링부는 슬롯 형태로서 두 번 벤딩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텐션의 대응하는 커플링부인 돌기부의 삽입 및 고정을 가이드한다.
계속하여 도 3을 참조하면, 가로 지지부재(140)는 지지부(120) 아래에서 베이스부로부터 II방향으로 연장하며 파이프 구조를 갖는다.
가로 지지부재의 파이프 구조 역시 상술한 지지부의 파이프 구조와 유사하게, 중공 구조이고, 원형의 파이프 구조일 수 있다. 다만, 족장판의 후크부가 거치되지는 않으므로, 지지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경량화 및 재료비 절감이 유리하다.
세로 지지부재(150)는 가로 지지부재(140)의 단부에 결합되며, 지지부(120)의 중단으로 연장하여 지지부에 인가되는 전체 하중을 분산시킨다.
구조적으로, 지지부는 족장판으로부터 직접 하중을 받고, 이러한 지지부 직하방에서 평행하게 배열되며 지지부의 중단 지점까지 연장하는 가로 지지부재와, 지지부의 중단 및 가로 지지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세로 지지부재는 족장 전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세로 지지부재도 파이프 구조로 구비될 수 있지만, 경량화 및 재료비 절감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브라켓(100)과 스텐션(300)의 결합 전 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그 결합 후 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션(300)이 브라켓(100)의 체결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130)의 커플링부(132)가 관여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앞서, 스텐션(300)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면, 스텐션(300)은 바디부(310), 제1 포켓부(320) 및 제2 포켓부(330)를 포함한다.
바디부(310)는 III방향으로 연장하며 파이프 구조를 갖는다. 상술한 브라켓의 파이프 구조와 유사하게, 바디부의 파이프 구조도 내부가 중공일 수 있고, 원형의 파이프 구조일 수 있다. 다만, 체결부(130)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바디부의 파이프 구조의 직경은 체결부의 파이프 구조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자유로운 삽입 및 탈거를 가능하게 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포켓부(320)는 바디부의 대략 가운데 위치하도록 바디부의 측부에 장착되고, 제2 포켓부(330)는 바디부의 대략 상부에 위치하도록 바디부의 측부에 장착된다. 제1 및 제2 포켓부들은 서로 동일한 쪽(도면에서 I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포켓부들은 핸드레일 역할의 가로대(미도시)의 안착을 위한 고리형 구성요소들로서 장착 높이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구성은 동일할 수 있다.
바디부(310)의 대략 하부에 돌기부(340)가 구비된다. 돌기부(340)는 상기 커플링부와 상호 작용하여 브라켓과 스텐션의 체결에 관여한다.
돌기부(340)는 바디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돌기부는 포켓부들(320, 330)의 장착 방향과 동일한 쪽(도면에서 I방향)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텐션과 브라켓의 결합이 완료된 시점에서(즉, 돌기부가 제3 가이드 홈에 위치할 때) 포켓부들이 족장의 내측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한다.
이는 가로대를 스텐션에 설치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족장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포켓부들이 족장의 내측을 향하면 포켓부들에 제대로 안착되지 못한 가로대도 족장의 내측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커플링부(즉, 소켓부)가 베이스부에 마주하도록 배치된다는 점과 관련하여, 소켓부의 제3 가이드홈(132c)이 베이스부에 정면으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가이드홈은 스텐션의 최종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포켓부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돌기부를 베이스부에 정면으로 마주하도록 함으로써, 포켓부들이 족장의 내측을 향하는 정방향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스텐션의 돌기부가 브라켓의 소켓부를 따라 가이드 되면서 스텐션과 브라켓이 결합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스텐션을 잡고서 회전시켜(예를 들어 R방향으로 회전시켜) 돌기부(340)가 소켓부의 제1 가이드홈(132a)에 진입하도록 위치시킨다. 그러면, 중력 또는 작업자의 힘에 의해 자연스럽게 돌기부는 제1 가이드홈의 최하단까지 도달한다.
계속하여, 작업자가 스텐션을 잡고서 도면에 도시된 R방향으로 회전시켜 돌기부(340)를 소켓부의 제2 가이드홈(132b)을 진입시킨다. 제2 가이드홈의 최우측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최종적으로 돌기부(340)는 중력 또는 작업자의 힘에 의해 자연스럽게 제2 가이드홈(132c)으로 진입 및 제2 가이드홈의 최하단까지 도달하여 결합이 종료된다.
돌기부가 제2 가이드홈에 완전히 안착된 이후에는 2차 벤딩 구조에 의해 스텐션이 체결부로부터 임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2차 벤딩구조가 걸림턱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즉, 작업자가 의도적으로 스텐션을 위로 들어올리면서 R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한, 스텐션은 안정적으로 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스텐션과 브라켓의 원터치 고정 방식에 해당한다.
상기에서는 소켓 구조의 커플링부가 브라켓에 마련되고, 돌출 구조의 돌기부가 스텐션에 마련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반대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7을 참조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브라켓(100')과 스텐션(300')의 결합 전 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소켓 구조의 커플링부가 스텐션(300')의 바디부(310')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스텐션의 커플링부가 도면에서 도면부호 312'로 참조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돌출 구조의 돌기부가 브라켓(100')의 체결부(13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의 돌기부가 도면에서 도면부호 132'로 참조된다.
결합 구조가 상술한 것과 반대로 바뀌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션의 바디부(310')는 브라켓의 체결부(1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텐션의 커플링부는 포켓부들과 동일한 쪽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의 돌기부는 베이스부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결합 구조가 바뀐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설명이 적용 가능한 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브라켓(2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족장용 브라켓(200)은 상술한 베이스부(110) 대신에 클램프부(210)를 가질 수 있다.
클램프부(210)는 설치벽면의 다양한 설치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베이스부가 설치벽면으로부터 돌설된 족장피스에 볼트/너트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라면, 클램프부는 설치벽면(내지는 설치구조물)에 마련된 수평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클램프에 구비된 볼트를 조여줌으로써 수평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정면도에 해당하는 도면에는 하나만이 도시되었지만 볼트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고정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특히 건조 현장에서는 선박 블록에 마련된 수평 플레이트 형상이 많다. 클램프부는 선박 건조 현장에 적용되기 매우 유리한 구조이다.
상술한 베이스부가 클램프부로 변경된 점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는 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족장 구조물
10 : 족장피스
20 : 족장판
21, 22, 23, 24 : 후크부
100 : 족장 브라켓
110 : 베이스부
120 : 지지부
130 : 체결부
132 : 커플링부, 소켓부
132a, 132b, 132c : 가이드부
140 : 가로 지지부재
150 : 세로 지지부재
300 : 족장 스텐션
310 : 바디부
320, 330 : 포켓부

Claims (9)

  1. 스텐션과 결합되며, 상부에 족장판이 올려짐으로써 족장 구조물을 구성하는 족장용 브라켓에 있어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파이프 구조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스텐션과 상호 결합하는 커플링부를 갖는 파이프 구조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족장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족장판은 양쪽에 고리형 후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부가 상기 지지부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족장판은 상기 족장용 브라켓 위에 거치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후크부의 고리형에 내접할수 있는 원형의 파이프 구조인, 족장용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단에 상기 스텐션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가 마련되는 원형의 파이프 구조인, 족장용 브라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션은 상기 체결부와 상호 결합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개구와 연통되어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돌기부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소켓부를 포함하는, 족장용 브라켓.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체결부의 표면을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가이드홈,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부터 상기 체결부의 표면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가이드홈 및 상기 제2 가이드홈으로부터 상기 체결부의 표면을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족장용 브라켓.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이드홈은 상기 베이스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족장용 브라켓.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아래에서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파이프 구조의 가로 지지부재; 및
    상기 가로 지지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의 중단으로 연장하여 상기 지지부에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세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족장용 브라켓.
  8. 브라켓과 결합되며, 가로대가 놓여짐으로써 족장 구조물을 구성하는 족장용 스텐션에 있어서,
    파이프 구조의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측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로대의 안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포켓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는, 하단에 상기 브라켓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가 마련되는 원형의 파이프 구조이고,
    상기 하단에는 상기 브라켓과 상호 결합하는 커플링부가 형성되는, 족장용 스텐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바디부와 상호 결합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개구와 연통되어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돌기부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소켓부를 포함하는, 족장용 스텐션.
KR1020180155482A 2018-12-05 2018-12-05 족장용 브라켓 및 스텐션 KR102181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482A KR102181014B1 (ko) 2018-12-05 2018-12-05 족장용 브라켓 및 스텐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482A KR102181014B1 (ko) 2018-12-05 2018-12-05 족장용 브라켓 및 스텐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463A true KR20200068463A (ko) 2020-06-15
KR102181014B1 KR102181014B1 (ko) 2020-11-19

Family

ID=7108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482A KR102181014B1 (ko) 2018-12-05 2018-12-05 족장용 브라켓 및 스텐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0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104U (ko) * 1996-08-01 1998-05-15 유성현 건축용 지지구
KR20110077096A (ko) * 2009-12-30 2011-07-07 김광부 지중화 전력구 공사용 가설 계단
KR20130115505A (ko) * 2012-04-12 2013-10-22 김종헌 선박 건조용 안전 난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104U (ko) * 1996-08-01 1998-05-15 유성현 건축용 지지구
KR20110077096A (ko) * 2009-12-30 2011-07-07 김광부 지중화 전력구 공사용 가설 계단
KR20130115505A (ko) * 2012-04-12 2013-10-22 김종헌 선박 건조용 안전 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014B1 (ko)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0609C2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техни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в строительстве
US10145129B2 (en) Modular platform
KR101616863B1 (ko) 갱폼 안전 인양장치용 착탈식 커버
JP2010229700A (ja) 妻側先行手摺り
JP5654710B1 (ja) 親綱支柱
KR101794062B1 (ko) 건축용 안전발판
CA2570528A1 (en) Fittings for builders' trestles
KR20200068463A (ko) 족장용 브라켓 및 스텐션
JP6984864B2 (ja) 親綱支柱及びその設置方法
JP2019031837A (ja) 仮設足場用階段手摺
JP2011099259A (ja) 幅木取付け用金具
JP4387568B2 (ja) 張り出しブラケットなどの仮設足場部材
KR101757279B1 (ko) 보일러 전용의 와이어 로프형 비계 설비를 구축하는 시스템
EP2253778A2 (en) An advance guard rail
KR20140022678A (ko) 족장 장치
ES2332966B1 (es)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instalarlo en andamiajes metalicos fijos con el fin de evitar caidas de altura durante las operaciones de montaje y desmontaje de los andamios.
US20240093516A1 (en) Pre-assembled climbing scaffold with movement system with cart and gang panel
KR102325168B1 (ko) 가설안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설안전 구조물의 설치방법
IT201800009924A1 (it) Dispositivo di fissaggio per un parapetto o simile
JP2006328651A (ja) 安全手摺
EP1876315A1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KR200428552Y1 (ko) 상승식 가설대용 고정슈
KR200493327Y1 (ko) 호이스트용 방호선반
KR101757282B1 (ko) 하중이 증가할수록 와이어 로프의 외측을 조일 수 있는 와이어 조임쇠를 포함하는 보일러 전용의 와이어 로프형 비계 시스템의 상부 하중 지지 구조
JP2002147016A (ja) 埋設ボックス用仮足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