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678A -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 - Google Patents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678A
KR20200067678A KR1020180154781A KR20180154781A KR20200067678A KR 20200067678 A KR20200067678 A KR 20200067678A KR 1020180154781 A KR1020180154781 A KR 1020180154781A KR 20180154781 A KR20180154781 A KR 20180154781A KR 20200067678 A KR20200067678 A KR 20200067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bar
clip seal
swing door
clip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550B1 (ko
Inventor
노규동
노영현
박정열
조정훈
윤지경
신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이트금속
제너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이트금속, 제너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이트금속
Priority to KR1020180154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55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7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16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used as a seal between the floor and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몰탈부에 설치되는 재료 분리대; 상기 재료 분리대 상부에 결합되는 제1클립 씰바; 및 상기 제1클립 씰바 상부에 결합되는 제2클립 씰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클립 씰바는, 상기 제1클립 씰바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1결합홈을 형성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클립 씰바는, 상기 제2클립 씰바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홈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2클립 씰바가 상기 제1클립 씰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Swing Door using sill bar}
본 발명은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클립 씰바의 형태를 변경하여 재료 분리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스윙 도어의 개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에 관한 것이다.
스윙 도어는 건물의 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일단을 고정된 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도어를 회전시킴에 따라 건물의 출입구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것이다.
스윙 도어는 도어로 출입구를 닫았을 때를 기준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180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윙 도어가 있으며, 도어로 출입구를 닫았을 때를 기준으로 밀거나 혹은 당기기만 할 수 있도록 90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윙 도어가 있다.
스윙 도어를 180도 회전 가능하게 시공할지, 90도 회전 가능하게 시공할지 여부는 스윙 도어를 설치하는 시공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출입구의 일측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스윙 도어는 90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출입구의 양측에 장애물이 없는 경우 스윙 도어는 180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윙 도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스윙 도어를 180도로 회전 가능하게 시공할지, 90도로 회전 가능하게 시공할지 여부는 시공 과정 중에 결정되는데, 스윙 도어가 시공된 이후에는 90도를 180도로 또는 180도를 90도로 변경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스윙 도어를 90도에서 180도로 회전 가능하게 변경하거나 180도에서 90도로 회전 가능하게 변경하기 위해서는 스윙 도어를 재시공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스윙 도어의 재시공은 상당한 공사 비용이 발생하며, 공사 기간도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윙 도어가 시공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스윙 도어는 몰탈부(30)에 프레임(20)을 시공하고, 프레임(20) 상부에서 스윙 도어(10)가 회전하도록 시공된다. 스윙 도어(10) 하부에는 방풍 고무 또는 방풍모 헤어(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방풍 고무 또는 방풍모 헤어(40)를 통해 스윙 도어(10)가 프레임(20) 상부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윙 도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윙 도어를 90도에서 180도로 회전 가능하게 변경하거나 180도에서 90도로 회전 가능하게 변경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윙 도어는 스윙 도어의 시공 과정 중에 사용되는 장비들에 의해 스윙 도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프레임(20)의 찌그러짐, 파손 등의 하자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윙 도어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스윙 도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프레임(20)에 찌그러짐, 파손 등의 하자가 발생할 수도 있다.
프레임(20)에 하자가 발생하면 프레임(20)을 교체해야 하는데, 몰탈부(30)에 매립되어 있는 프레임(20)을 교체하기 위해서 몰탈부(30)를 드러내고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몰탈부(30)를 드러내고 프레임(20)을 교체하는 공사는 공사의 규모가 커질 뿐만 아니라, 공사 비용이 상당히 발생하며 공사 기간도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윙 도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프레임(20)은 몰탈부(30)에 직접 설치됨에 따라 빗물 유입이 쉽게 발생하는 등 기밀 성능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클립 씰바의 형태를 변경하여 재료 분리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스윙 도어의 개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는,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몰탈부에 설치되는 재료 분리대; 상기 재료 분리대 상부에 결합되는 제1클립 씰바; 및 상기 제1클립 씰바 상부에 결합되는 제2클립 씰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클립 씰바는, 상기 제1클립 씰바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1결합홈을 형성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클립 씰바는, 상기 제2클립 씰바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홈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2클립 씰바가 상기 제1클립 씰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의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클립 씰바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에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홈은 상기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평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클립 씰바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수직부와, 상기 제2수직부에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수직부와 상기 제2수평부 사이에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부는 상기 제2결합홈에 끼워지며, 상기 제2수평부는 상기 제1결합홈에 끼워질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는 상기 제1클립 씰바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보조 결합부와, 상기 제2클립 씰바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보조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보조 결합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보조 결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보조 결합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2보조 결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의 상기 제2클립 씰바의 일측은, 상기 재료 분리대의 상면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의 상기 제2클립 씰바의 일측은, 상기 재료 분리대의 상면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의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쿠션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의 상기 제2클립 씰바는, 상기 제2클립 씰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제2클립 씰바와 나란한 방향으로 눕혀지거나 상기 제2클립 씰바에 대하여 세워질 수 있는 걸림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의 상기 제2클립 씰바에는, 상기 제2클립 씰바 하부에서부터 돌출되면서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장치는, 상기 제2클립 씰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걸림장치의 회전을 통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의 상기 회전부에는 가스켓이 결합되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걸림장치의 회전을 통해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는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공간을 덮을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높이는 상기 삽입공간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클립 씰바의 형태를 변경하여 재료 분리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스윙 도어의 개폐 각도를 용이하게 90도에서 180도로 회전 가능하게 변경하거나, 180도에서 90도로 회전 가능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립 씰바를 재료 분리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스윙 도어의 시공 및 교체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본 발명은 클립 씰바를 재료 분리대 상부에 결합함으로써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윙 도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분리대와 제1클립 씰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클립 씰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클립 씰바를 제1클립 씰바 및 재료 분리대에 결합시킨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클립 씰바를 제1클립 씰바 및 재료 분리대에 결합시킨 후 스윙 도어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클립 씰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클립 씰바를 제1클립 씰바 및 재료 분리대에 결합시킨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2클립 씰바를 제1클립 씰바 및 재료 분리대에 결합시킨 후 스윙 도어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2클립 씰바에 걸림장치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클립 씰바의 형태를 변경하여 재료 분리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스윙 도어의 개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는 재료 분리대(110), 제1클립 씰바(120), 제2클립 씰바(140)를 포함하며, 상기 제2클립 씰바(140)가 상기 제1클립 씰바(120)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상기 제1클립 씰바(12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제2클립 씰바(140)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윙 도어(180)의 회전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재료 분리대(1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몰탈부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몰탈부는 바닥체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재료 분리대(110)를 몰탈부 내부에 매립하면서 설치할 수 있다. (몰탈부는 바닥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벽체가 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재료 분리대(110)의 상부는 몰탈부에 덮혀 있는 것이 아니며, 상기 재료 분리대(110) 상부는 상기 제1클립 씰바(120) 및 상기 제2클립 씰바(1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열려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료 분리대(110)는 몰탈부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재료 분리대(110)의 상단과 몰탈부의 상단이 평평하도록 상기 재료 분리대(11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료 분리대(110)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틸 재료 분리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재료 분리대(110)는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스윙 도어(180)의 폭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재료 분리대(110)가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은, 전체적인 상기 재료 분리대(110) 형상이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즉, 네 귀퉁이에 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며), 반드시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사각관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재료 분리대(110)의 하부에도 개구되는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재료 분리대(110) 제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재료 분리대(110)의 재료를 절감시켜 원가를 절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재료 분리대(110)는 몰탈부에 매립되면서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재료 분리대(110)의 하부에 개구되는 부분을 형성시켜도 몰탈부를 통해 강도가 발현될 수 있다.
상기 재료 분리대(110)는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 몰탈부와 함께 설치되며, 상기 재료 분리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제1클립 씰바(120) 및 상기 제2클립 씰바(140)는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 설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건물의 시공 과정 중에 사용되는 장비에 의해 상기 제1클립 씰바(120) 및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하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클립 씰바(120)는 상기 재료 분리대(110) 상부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클립 씰바(120)는 고정핀(111)을 통해서 상기 재료 분리대(110)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11)은 상기 제1클립 씰바(120)의 상부에서부터 삽입되면서 상기 제1클립 씰바(120)와 상기 재료 분리대(110)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핀(111)이 상기 제1클립 씰바(120)와 상기 재료 분리대(110)에 동시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클립 씰바(120)와 상기 재료 분리대(110)가 결합된다.
반대로, 상기 제1클립 씰바(120)와 상기 재료 분리대(110)에 동시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고정핀(111)을 제거하면, 상기 제1클립 씰바(120)는 상기 재료 분리대(110)에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클립 씰바(120)가 찌그러지거나 손상되는 등 상기 제1클립 씰바(120)에 하자가 발생하면, 상기 제1클립 씰바(120)를 상기 재료 분리대(110)에서부터 분리시켜 교체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핀(111)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클립 씰바(120)를 상기 재료 분리대(110)에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핀(111)은 하나만 사용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상기 고정핀(111)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상기 고정핀(111)은 상기 제1클립 씰바(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삽입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1클립 씰바(120)를 상기 재료 분리대(1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핀(111)은 볼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볼트로 이루어진 상기 고정핀(111)을 상기 제1클립 씰바(120)와 상기 재료 분리대(110)에 동시에 삽입하여, 상기 제1클립 씰바(120)와 상기 재료 분리대(110)를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핀(111)이 볼트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클립 씰바(120)와 상기 재료 분리대(110)에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고정핀(111)을 통해 상기 제1클립 씰바(120)와 상기 재료 분리대(110)를 결합시키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제1클립 씰바(120)를 상기 재료 분리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1클립 씰바(120)는 상기 재료 분리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클립 씰바(120)는 제1결합홈(131)을 형성하는 제1결합부(130)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30)는 상기 제1클립 씰바(1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상기 제1결합홈(131)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결합홈(131)에 후술할 상기 제2클립 씰바(140)의 제2결합부(150)가 끼워지면서 상기 제2클립 씰바(140)가 상기 제1클립 씰바(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클립 씰바(140)는 상기 제1클립 씰바(120)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클립 씰바(140)는 상기 제1클립 씰바(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클립 씰바(140)는 상기 제2클립 씰바(140)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제2결합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부(150)를 통해 상기 제1클립 씰바(120)에 상기 제2클립 씰바(14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클립 씰바(120)에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결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결합부(130)는 제1수직부(132)와 제1수평부(1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결합부(150)는 제2수직부(152)와 제2수평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부(132)는 상기 제1클립 씰바(1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며, 상기 제1수평부(133)는 상기 제1수직부(132)에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수평부(133)는 상기 제1수직부(132)의 끝단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1수평부(133)가 상기 제1수직부(132)의 끝단에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제1수평부(133) 하부와 상기 제1수직부(132) 사이에는 상기 제1결합홈(13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수직부(152)는 상기 제2클립 씰바(14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며, 상기 제2수평부(153)는 상기 제2수직부(152)에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2수평부(153)는 상기 제2수직부(152)의 끝단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2수평부(153)가 상기 제2수직부(152)의 끝단에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제2수평부(153) 상부와 상기 제2수직부(152) 사이에는 상기 제2결합홈(151)이 형성된다.
상기 제1클립 씰바(120)와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1결합홈(131)에 상기 제2결합부(150)의 상기 제2수평부(153)를 끼워넣고, 상기 제2결합홈(151)에 상기 제1결합부(130)의 상기 제1수평부(133)를 끼워 넣는다. 즉, "ㄱ"의 형상의 상기 제1결합부(130)에 "ㄴ"형상의 상기 제2결합부(150)를 끼워 넣는 방식으로 상기 제1클립 씰바(120)와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130)와 상기 제2결합부(150)를 통해 상기 제1클립 씰바(120)와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결합시킬 수 있으나, 상기 제1결합부(130)와 상기 제2결합부(150)으로만 상기 제1클립 씰바(120)와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결합시키면, 상기 제2클립 씰바(140)가 상기 제1클립 씰바(120)에서 이탈할 위험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클립 씰바(120)는 제1보조 결합부(1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클립 씰바(140)는 제2보조 결합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보조 결합부(121)는 상기 제1클립 씰바(1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제1보조 결합부(121)의 일측에는 상기 제1보조 결합부(12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1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보조 결합부(141)는 상기 제2클립 씰바(14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제2보조 결합부(141)의 일측에는 상기 제2보조 결합부(14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14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돌출부(122)와 상기 제2돌출부(142)는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도 4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122)와 상기 제2돌출부(142)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제1클립 씰바(120)에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보조 결합부(121)의 일단에서 상기 제1돌출부(122)로 연장되는 면은 하향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보조 결합부(141)의 일단에서 상기 제2돌출부(142)로 연장되는 면은 상향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향 경사면과 상향 경사면을 형성하면, 상기 제2보조 결합부(141)의 상향 경사면이 상기 제1보조 결합부(121)의 하향 경사면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이동되다가, 상기 제1돌출부(122)에 상기 제2돌출부(142)가 맞물릴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1클립 씰바(120)에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방법과 같이 상기 제1결합부(130) 및 상기 제1보조 결합부(121), 상기 제2결합부(150) 및 상기 제2보조 결합부(141)를 통해 상기 제1클립 씰바(120)에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결합시키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결합홈(131)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결합부(130)와 상기 제2결합부(150)를 이용한다면,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제1클립 씰바(120)에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는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상기 제1클립 씰바(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클립 씰바(120)와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1돌출부(122)를 상기 제2돌출부(142)와 분리시키면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상기 제1클립 씰바(12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클립 씰바(120)와 상기 제2클립 씰바(140)는 힘을 가하면 일부 탄성 변형이 생길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상기 제1클립 씰바(120)에 분리 가능하게 함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제2클립 씰바(140)의 형태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제2클립 씰바(140)의 일측에 상기 재료 분리대(110)의 상면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143)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상기 제2클립 씰바(140)의 일측에 상기 재료 분리대(110)의 상면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144)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평탄부(143)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사용하면, 도 5와 같이 스윙 도어(180)가 180도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걸림부(144)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사용하면, 도 8과 같이 스윙 도어(180)가 90도로만 회전 가능하게 된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도 6과 같이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상기 재료 분리대(110)의 상면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144)가 형성되면, 상기 걸림부(144)에 의해 스윙 도어(180)의 회전이 제한되면서 스윙 도어(180)는 90도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스윙 도어(180)는 상기 걸림부(144)에 접촉하면서 회전이 제한되는데, 이때, 스윙 도어(180)와 상기 걸림부(144)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걸림부(144)의 일측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쿠션부(145)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쿠션부(145)는 고무와 같은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쿠션부(145)를 통해 스윙 도어(180)의 회전이 제한될 때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걸림부(144)와 스윙 도어(180)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의 제2클립 씰바(140)는 도 4의 제2클립 씰바(140)와 동일한 것이며, 상기 걸림부(144)가 형성되는 것만 차이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7의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스윙 도어(180)는 일단이 고정된 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클립 씰바(140)의 상부를 통과하면서 회전 가능한 것이다. 상기 스윙 도어(18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된 지점은 벽체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스윙 도어(18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된 지점은 벽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윙 도어(18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스윙 도어(18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된 지점은 건물 내부에 세워지는 기둥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윙 도어(180)의 일단을 고정된 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힌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스윙 도어(180)의 일단을 고정된 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윙 도어(180)는 상기 스윙 도어(10)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스윙 도어(180)는 상기 제2클립 씰바(140)의 상부를 통과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윙 도어(180)의 하단에 의해 상기 제2클립 씰바(140)가 손상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상기 스윙 도어(180)의 하단에는 방풍 고무 또는 방풍 모헤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풍 고무 또는 상기 방풍 모헤어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방풍 고무 또는 상기 방풍 모헤어는 상기 제2클립 씰바(140)와 상기 스윙 도어(180)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스윙 도어(180)에 의한 충격이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는 다음과 같이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에서, 도 4의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사용하면, 스윙 도어(180)가 180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며, 도 7의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사용하면, 스윙 도어(180)가 90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스윙 도어는 스윙 도어의 개폐 각도를 90도에서 180도로 또는 180도에서 90도로 변경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는 형태가 다른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교체함으로써, 스윙 도어(180)의 개폐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는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1클립 씰바(120)와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모두 제거하여, 클립 씰바가 없는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는 걸림장치(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장치(160)는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제2클립 씰바(140)와 나란한 방향으로 눕혀지거나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대하여 세워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걸림장치(160)를 사용하면, 상기 스윙 도어(180)의 회전 각도를 쉽게 변경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장치(160)가 상기 제2클립 씰바(140)와 나란한 방향으로 눕혀져 있으면, 상기 스윙 도어(180)는 상기 스윙 도어(180)의 일단을 기준으로 180도로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걸림장치(160)는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장치(160)를 회전시켜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대하여 세우면, 상기 스윙 도어(180)를 상기 스윙 도어(180)의 일단을 기준으로 90도로만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스윙 도어(180)의 일단을 기준으로 90도로 회전 가능한 것은, 상기 스윙 도어(180)가 닫혀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밀거나 혹은 당기기만 할 수 있는 상태이다. 즉,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대하여 세워져 있는 상기 걸림장치(160)에 의해 상기 스윙 도어(180)의 일방향(밀거나 혹은 당기거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장치(160)를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대하여 눕히거나 세움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스윙 도어(180)의 회전 가능한 각도를 90도에서 180도 또는 180도에서 90도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걸림장치(16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장치(160)는 고정부(161)와 회전부(162)를 포함하며,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는 상기 제2클립 씰바(140) 하부에서부터 돌출되면서 삽입공간(171)을 형성하는 안착부(17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170)는 상기 제2클립 씰바(140)의 일 부분에서 하부로 절곡되고, 수평으로 절곡된 이후에 다시 상부로 절곡되면서, 상기 삽입공간(171)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걸림장치(160)의 상기 고정부(161)는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걸림장치(160)의 상기 회전부(162)는 상기 걸림장치(16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삽입공간(171)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162)는 상기 걸림장치(160)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걸림장치(160)가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대하여 눕혀졌을 때, 상기 회전부(162)에 의해 상기 걸림장치(160)가 상기 제2클립 씰바(140)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부(162)를 삽입공간(171)에 삽입시킨다.
즉, 상기 스윙 도어(180)가 상기 제2클립 씰바(140) 상부를 통과하면서 180도로 회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림장치(160)를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대하여 눕혀야 하는데, 이 때, 상기 스윙 도어(180)가 상기 걸림장치(160)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회전부(162)를 상기 삽입공간(171)에 삽입시킨다.
상기 걸림장치(160)를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대하여 눕히면 상기 스윙 도어(180)를 180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걸림장치(160)의 상기 회전부(162)를 상기 삽입공간(171)에서 빠지게 하면서 상기 걸림장치(160)를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대하여 세우면, 상기 스윙 도어(180)를 90도로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장치(160)가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대하여 세워지면, 상기 스윙 도어(180)는 상기 걸림장치(16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있지만, 상기 스윙 도어(180)가 상기 걸림장치(160)에 걸리게 되면서 상기 걸림장치(160)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걸림장치(160)를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대하여 세우면, 상기 스윙 도어(180)는 90도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장치(160)는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걸림장치(160)를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대하여 세우기 위해서,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는 제한홈(148)이 형성되어 있는 제한부(14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장치(160)의 상기 고정부(161)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장치(160)가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대하여 세워지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림장치(160)를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대하여 세워지는 각도만큼만 회전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장치(160)가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점의 하부에 상기 제한홈(148)이 구비되어 있는 상기 제한부(147)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161)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고정부(161)가 회전하면, 도 9와 같이 상기 제한홈(148)에 삽입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제한부(147)에 걸리게 된다. 상기 고정부(161)가 상기 제한부(147)에 걸리게 되면서 상기 고정부(161)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걸림장치(160)를 일정한 각도만큼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부(162)에는 가스켓(163)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163)은 상기 걸림장치(160)의 회전을 통해 상기 회전부(162)와 함께 상기 삽입공간(17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63)은 상기 회전부(162)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가스켓(163)을 상기 삽입공간(171)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2클립 씰바(140)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163)은 상기 걸림장치(160)가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대하여 세워졌을 때, 상기 스윙 도어(180)에 밀착되면서 상기 스윙 도어(180) 및 상기 걸림장치(160)의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장치(160)가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대하여 세워져 있으면, 상기 스윙 도어(180)가 상기 걸림장치(160)에 걸리면서 90도로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윙 도어(180)가 상기 걸림장치(160)에 걸리는 힘에 의해 상기 스윙 도어(180) 및 상기 걸림장치(160)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스윙 도어(180) 및 상기 걸림장치(160)가 손상될 위험이 있다. 상기 가스켓(163)은 상기 걸림장치(160)가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대하여 세워졌을 때, 상기 걸림장치(160)와 상기 스윙 도어(180)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스윙 도어(180)와 상기 걸림장치(160)의 충격을 흡수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63)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163)은 고리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163)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를 통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장치(160)가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대하여 세워졌을 때, 상기 삽입공간(171)을 덮을 수 있는 커버(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172)는 상기 삽입공간(171)을 덮을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걸림장치(160)가 세워짐에 따라 빈 공간이 된 상기 삽입공간(171)에 이물질 등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커버(172)의 높이는 상기 삽입공간(171)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커버(172)가 상기 삽입공간(171)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2클립 씰바(140)를 평평하게 만들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공간(171)은 각진 U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커버(172)는 각진 역 U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삽입공간(171)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커버(172)는 스틸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무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클립 씰바(140)의 중량을 줄이면서, 상기 삽입공간(171)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커버(172)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의 상기 제2클립 씰바(140)의 일측에는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만곡되어 있는 경사부(14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46)는 상기 제2클립 씰바(140)의 상부를 이동하는 상기 스윙 도어(180)를 부드럽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윙 도어(180)는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만곡되어 있는 상기 경사부(146)의 위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클립 씰바(140)에 걸리지 않으면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는 다음과 같이 효과가 있다.
종래의 스윙 도어는 스윙 도어의 개폐 각도를 90도에서 180도로 회전 가능하게 변경하거나, 180도에서 90도로 회전가능하게 변경하기 위해 스윙 도어를 재시공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2클립 씰바(140)의 형태를 변경하여 상기 제1클립 씰바(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스윙 도어(180)의 개폐 각도를 용이하게 90도에서 180도로 회전 가능하게 변경하거나, 180도에서 90도로 회전 가능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는 재료 분리대(110) 상부에 제1클립 씰바(120) 및 제2클립 씰바(140)를 결합함에 따라, 재료 분리대(1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클립 씰바(120)를 재료 분리대(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제2클립 씰바(140)를 상기 제1클립 씰바(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에 따라,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제2클립 씰바(140)(및 제1클립 씰바(120))만 손쉽게 교체가 가능해지고, 이를 통해 스윙 도어 하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자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는 재료 분리대(110) 상부에서 결합되는 제1클립 씰바(120) 및 제2클립 씰바(140)를 통해 재료 분리대(110)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클립 씰바(120) 및 제2클립 씰바(140)를 통해 기밀 성능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는 걸림장치(160)를 사용함에 따라 스윙 도어(180)의 회전 각도를 90도에서 180도로, 180도에서 90도로 쉽게 변경가능한 장점이 있다. 종래의 스윙 도어는 스윙 도어의 회전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서 스윙 도어를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는 걸림장치(160)를 제2클립 씰바(140)에 대하여 눕히거나 세움으로써 쉽게 스윙 도어(180)의 회전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재료 분리대 111...고정핀
120...제1클립 씰바 121...제1보조 결합부
122...제1돌출부 130...제1결합부
131...제1결합홈 132...제1수직부
133...제1수평부 140...제2클립 씰바
141...제2보조 결합부 142...제2돌출부
143...평탄부 144...걸림부
145...쿠션부 146...경사부
147...제한부 148...제한홈
150...제2결합부 151...제2결합홈
152...제2수직부 153...제2수평부
160...걸림장치 161...고정부
162...회전부 163...가스켓
170...안착부 171...삽입공간
172...커버 180...스윙 도어

Claims (10)

  1.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스윙 도어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몰탈부에 설치되는 재료 분리대;
    상기 재료 분리대 상부에 결합되는 제1클립 씰바; 및
    상기 제1클립 씰바 상부에 결합되는 제2클립 씰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클립 씰바는, 상기 제1클립 씰바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1결합홈을 형성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클립 씰바는, 상기 제2클립 씰바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홈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2클립 씰바가 상기 제1클립 씰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클립 씰바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에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홈은 상기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평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클립 씰바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수직부와, 상기 제2수직부에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수직부와 상기 제2수평부 사이에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부는 상기 제2결합홈에 끼워지며, 상기 제2수평부는 상기 제1결합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립 씰바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보조 결합부와, 상기 제2클립 씰바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보조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보조 결합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보조 결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보조 결합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2보조 결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립 씰바의 일측은,
    상기 재료 분리대의 상면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립 씰바의 일측은,
    상기 재료 분리대의 상면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쿠션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립 씰바는,
    상기 제2클립 씰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제2클립 씰바와 나란한 방향으로 눕혀지거나 상기 제2클립 씰바에 대하여 세워질 수 있는 걸림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립 씰바에는, 상기 제2클립 씰바 하부에서부터 돌출되면서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장치는,
    상기 제2클립 씰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걸림장치의 회전을 통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는 가스켓이 결합되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걸림장치의 회전을 통해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공간을 덮을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높이는 상기 삽입공간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
KR1020180154781A 2018-12-04 2018-12-04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 KR102128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781A KR102128550B1 (ko) 2018-12-04 2018-12-04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781A KR102128550B1 (ko) 2018-12-04 2018-12-04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678A true KR20200067678A (ko) 2020-06-12
KR102128550B1 KR102128550B1 (ko) 2020-06-30

Family

ID=71088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781A KR102128550B1 (ko) 2018-12-04 2018-12-04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7355A1 (en) * 2020-05-28 2021-12-02 Petrovic Zelijko Apparatus for covering a door frame and a door slab perime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152A (ja) * 2000-06-07 2001-12-21 Showa Koki Co Ltd ドア装置
JP2002227548A (ja) * 2001-01-26 2002-08-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出入口の下枠部分の構造
EP1837475A1 (en) * 2006-03-21 2007-09-26 AZ Metalli Srl Swing door
JP2013091991A (ja) * 2011-10-26 2013-05-16 Sankyotateyama Inc 沓摺
KR101640737B1 (ko) * 2014-05-29 2016-07-19 김순석 스윙도어 장착용 일체형 문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152A (ja) * 2000-06-07 2001-12-21 Showa Koki Co Ltd ドア装置
JP2002227548A (ja) * 2001-01-26 2002-08-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出入口の下枠部分の構造
EP1837475A1 (en) * 2006-03-21 2007-09-26 AZ Metalli Srl Swing door
JP2013091991A (ja) * 2011-10-26 2013-05-16 Sankyotateyama Inc 沓摺
KR101640737B1 (ko) * 2014-05-29 2016-07-19 김순석 스윙도어 장착용 일체형 문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7355A1 (en) * 2020-05-28 2021-12-02 Petrovic Zelijko Apparatus for covering a door frame and a door slab peri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550B1 (ko)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90048B2 (ja) 2枚窓のチルトサッシタイプ窓システム
JP2007092425A (ja) ドア体における指挟み防止構造
KR102128550B1 (ko)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
KR102060361B1 (ko) 내진 창호 시스템과 내진 창호용 내진브라켓유닛
CA2922281A1 (en) Door seal assembly
KR102138878B1 (ko) 플립 커버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 시스템
KR200488517Y1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천장 점검구
US20170211311A1 (en) Rotatable and hung safety window assembly
JP3615314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2444253B1 (ko) 환기창의 잠금장치
JP6358654B2 (ja) 扉構造
KR101544144B1 (ko) 힌지장치
JP2012193536A (ja) 閉鎖維持装置および建具
KR101110045B1 (ko) 손보호구를 갖는 안전도어
JP4346099B2 (ja) 折り戸システム
CN205477156U (zh) 隐形铰链式平开窗
KR200381393Y1 (ko) 유리도어 하부프로파일 유니트
JP3809530B2 (ja) 外構構造体の支柱改装方法
KR102274146B1 (ko) 침수방지 장치
KR200401113Y1 (ko) 글라스도어의 고정장치
JP2005105515A (ja) ブラインド式雨戸の取付構造
JP3685141B2 (ja) 浴室ドアの止水構造
JP2003343164A (ja) 浴室引戸の防水構造
KR101195924B1 (ko) 도어 고정장치
JP5086722B2 (ja) 開き戸の指詰め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