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588B1 -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 - Google Patents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588B1
KR101679588B1 KR1020140124940A KR20140124940A KR101679588B1 KR 101679588 B1 KR101679588 B1 KR 101679588B1 KR 1020140124940 A KR1020140124940 A KR 1020140124940A KR 20140124940 A KR20140124940 A KR 20140124940A KR 101679588 B1 KR101679588 B1 KR 101679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asket
frame
gasket member
glass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3993A (ko
Inventor
노승현
Original Assignee
윔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윔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윔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588B1/ko
Publication of KR20160033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movable in plane of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16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used as a seal between the floor and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2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being constructed in a way to remain too small or too wide to cause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문틀(12)에 수용되고 일측에 구비된 상,하부 회전힌지축(13)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유리도어부(11)와; 제2틈막이부재(16)의 연결편(16c)이 관통되는 개구부(h1)와 상기 연결편(16c)의 일측과 결합된 슬라이드부재(16d)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이동성제고프레임(15-1)과, 상기 이동성제고프레임(15-1)과 결합되어 상기 유리도어부(11)의 타측이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유리도어체결프레임(15-2) 및 상기 제2틈막이부재(16)가 경사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형성단(15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틈막이부재(15)와; 상기 연결편(16c)의 일측 단부와 결합되고 이동성제고프레임(15-1)의 내부에 수용되어 경사형성단(15a)의 사선을 따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드부재(16d)와, 상기 개구부(h1)를 관통한 연결편(16c)의 타측 단부 양측에 구비되는 연질단(16b) 및 상기 연질단(16b) 사이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모헤어(16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틈막이부재(16)와; 상기 이동성제고프레임(15-1)의 상단부 내측에 삽입되며, 실리콘, PVC, ABS, PB, NBR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연질 재질로 구성되는 탄성부재(17); 및 상기 탄성부재(17)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제1틈막이부재 덮개(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문틀과 유리 도어부 사이의 공간이 모헤어를 포함하는 틈막이 부재에 의하여 밀착이 되면서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틈막이를 형성하기 위한 각 틈막이 부재를 결합하기 위해선 유리 도어부에 삽입 또는 부착하여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문틀과 유리 도어부 사이에 신체 일부의 끼임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며, 유리 도어부와 문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출되는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Door including gap filling unit for sealing}
본 발명은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문틀과 유리 도어부 사이의 공간이 모헤어를 포함하는 틈막이 부재에 의하여 밀착이 되면서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출입구나 건물에는 깨끗하고 미려한 외관을 부각시키면서, 현관으로 자연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태의 도어들이 설치되고 있다.
이 경우, 도어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유리재와, 도어프레임을 구비하고, 도어프레임은 문틀에 상하부 일측이 회전힌지축과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리재와 회전힌지축을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강화유리 도어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도어를 개폐하는 경우, 유리재와 문틀 사이에 사람의 손가락 등 신체 일부가 끼어 상해를 당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에도 유리재와 문틀 사이에는 도어의 원활한 회전 동작을 위하여 일정 간격의 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틈새에 신체 일부, 특히 손가락 등이 낀 상태에서 유리재가 회전되는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 설치 후에도 도어와 문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의해 난방이나 냉방이 잘 되질 않아 에너지 낭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관련기술문헌]
끼임방지 유닛(HAND PROTECTION UNIT FOR DOOR)(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5021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문틀과 유리 도어부 사이의 공간이 모헤어를 포함하는 틈막이 부재에 의하여 밀착이 되면서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틈막이를 형성하기 위한 각 틈막이 부재의 결합이 유리 도어부에 삽입하거나 기존 설치된 유리 도어부의 양측면에 부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문틀과 유리 도어부 사이에 신체 일부의 끼임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며, 유리 도어부와 문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출되는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는, 문틀(12)에 수용되고 일측에 구비된 상,하부 회전힌지축(13)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유리도어부(11)와; 제2틈막이부재(16)의 연결편(16c)이 관통되는 개구부(h1)와 상기 연결편(16c)의 일측과 결합된 슬라이드부재(16d)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이동성제고프레임(15-1)과, 상기 이동성제고프레임(15-1)과 결합되어 상기 유리도어부(11)의 타측이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유리도어체결프레임(15-2) 및 상기 제2틈막이부재(16)가 경사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형성단(15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틈막이부재(15)와; 상기 연결편(16c)의 일측 단부와 결합되고 이동성제고프레임(15-1)의 내부에 수용되어 경사형성단(15a)의 사선을 따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드부재(16d)와, 상기 개구부(h1)를 관통한 연결편(16c)의 타측 단부 양측에 구비되는 연질단(16b) 및 상기 연질단(16b) 사이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모헤어(16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틈막이부재(16)와; 상기 이동성제고프레임(15-1)의 상단부 내측에 삽입되며, 실리콘, PVC, ABS, PB, NBR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연질 재질로 구성되는 탄성부재(17); 및 상기 탄성부재(17)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제1틈막이부재 덮개(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틈막이 부재(16)는 문틀(12) 사이의 공간이 모헤어(16a)에 의하여 밀착이 되면서 기밀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는, 문틀과 유리 도어부 사이의 공간이 모헤어를 포함하는 틈막이 부재에 의하여 밀착이 되면서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는, 틈막이를 형성하기 위한 각 틈막이 부재의 결합이 유리 도어부에 삽입하여 형성한다. 기존 설치된 유리 도어부의 양측면에 부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는, 문틀과 유리 도어부 사이에 신체 일부의 끼임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며, 유리 도어부와 문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출되는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10)에서의 문틀(12)과 유리 도어부(11) 사이의 상단부 영역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도 1의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10)에서의 문틀(12)과 유리 도어부(11) 사이의 하단부 영역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문틀(12)과 유리 도어부(11) 사이의 기밀성 확보 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서의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10)에서의 A 영역에 대한 단면을 제 1 틈막이 부재(15)와 제 2 틈막이 부재(16)를 중심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 틈막이 부재(15) 및 제 2 틈막이 부재(16), 그리고 탄성부재(17)를 눕혀서 유리 도어부(11)의 하단 또는 상단의 틈막이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10)에서의 문틀(12)과 유리 도어부(11) 사이의 상단부 영역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2a는 도 1의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10)에서 제 2 틈막이 부재(16)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유리 도어부(11) 사이의 상단부 영역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b는 도 1의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10)에서 제 2 틈막이 부재(16)를 포함한 상태에서의 유리 도어부(11) 사이의 상단부 영역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10)에서의 문틀(12)과 유리 도어부(11) 사이의 하단부 영역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문틀(12)과 유리 도어부(11) 사이의 기밀성 확보 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도 1의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10)에서 제 2 틈막이 부재(16)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유리 도어부(11) 사이의 기밀성 확보 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b는 도 4a는 도 1의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10)에서 제 2 틈막이 부재(16)를 포함한 상태에서의 유리 도어부(11) 사이의 기밀성 확보 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서의 기밀성 확보를 위함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10)에서의 A 영역에 대한 단면을 제 1 틈막이 부재(15)와 제 2 틈막이 부재(16)를 중심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 1 틈막이 부재(15) 및 제 2 틈막이 부재(16), 그리고 탄성부재(17)를 눕혀서 유리 도어부(11)의 하단 또는 상단의 틈막이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10)는 유리 도어부(11), 문틀(12), 회전힌지축(13), 제 1 틈막이 부재 덮개(14), 제 1 틈막이 부재(15), 제 2 틈막이 부재(16), 그리고 탄성부재(17)를 포함한다.
유리 도어부(11)는 양 측면의 문틀(12)과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유리 도어부(11)는 2개의 문틀(12) 중 회전하는 측면 영역에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회전힌지축(13)를 구비한다.
유리 도어부(11)의 일측 측면 틀(12)과 인접한 측면의 끝단 영역에는 제 1 틈막이 부재(15) 및 제 2 틈막이 부재(16)에 의해 형성되는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가 형성된다.
제 1 틈막이 부재 덮개(14)는 제 1 틈막이 부재(15)의 이동성제고프레임(15-1) 상부면에 위치하며, 유리 도어부(11)의 측면에 형성된 기밀성 확보를 위한 제 2 틈막이 부재(16)의 슬라이드부재(16d) 상부와 맞닿는 하부면에 탄성부재(17)를 구비한다. 여기서 탄성부재(17)는 일반적으로 실리콘, PVC, ABS, PB, NBR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틈막이 부재(15)는 한쪽 끝단부인 하단부에 경사 형성단(15a)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조에서 이동성 제공 프레임(15-1) 및 유리 도어 체결 프레임(15-2)으로 구분된다. 제 2 틈막이 부재(16)는 슬라이드부재(16d)가 연결편(16c)에 의해 모헤어(16a) 및 연질단(16b)과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동성 제공 프레임(15-1)은 단면이 사각 프레임에 제 2 틈막이 부재(16)의 끝단의 판 형상을 내부에 장착하여 직선형태의 제 2 틈막이 부재(16)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 2 틈막이 부재(16)와 연결된 영역에 도 5와 같이 개구부(h1)가 형성된다.
유리 도어 체결 프레임(15-2)은 이동성 제공 프레임(15-1)의 후단에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유리 도어부(11)의 유리창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제 1 틈막이 부재(15)를 유리창에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부 경사형성단은 없으고 하부에만 경사형성단(15a)을 구비하고 있으며, 유리 도어부(11)를 회전힌지축(13)을 통해 닫으면 제1틈막이 부재(15)의 이동성제고프레임(15-1) 하단의 경사형성단(15a)에 의하여 제2틈막이 부재(16)는 제1틈막이부재(15)의 이동성제공프레임(15-1) 안에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올라가며 제1틈막이부재(15)의 이동성제고프레임(15-1) 상부면에 구비된 탄성부재(17)와 맞닿는 제2틈막이부재(16)의 상부는 수평하여 탄성부재(17)의 탄성 영향을 최대한 받을 수 있다.
탄성부재(17)의 탄성을 최대한 받은 제2틈막이 부재(16)는 제1틈막이부재(15)의 이동성제공프레임(15-1) 안에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내려오고 이때 제2틈막이부재(16)의 모헤어(16a)와 연질단(16b)이 문틀(12)에 밀착하여 기밀성을 확보한다.
제2틈막이 부재(16)의 끝단에는 모헤어(16a)와 연질단(16b)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로,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10) 상에서 유리 도어부(11)의 열고 닫음에 의해 제 1 틈막이 부재(15) 및 제 2 틈막이 부재(16), 그리고 탄성부재(17)로 이루어진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의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유리 도어부(11)를 회전힌지축(13)를 통해 열면, 모헤어(16a)와 연질단(16b)을 구비한 제 2 틈막이 부재(16)가 제 1 틈막이 부재(15) 상에서 하부 경사 형성단(15a)에 의해 수직 하부 방향으로 미끄러져 내려온다(도 5의 F1 방향 참조).
다시 말해서, 유리 도어부(11)를 회전힌지축(13)를 통해 닫으면, 모헤어(16a)를 구비한 제 2 틈막이 부재(16)가 제 1 틈막이 부재(15) 상에서 하부 경사 형성단(15a)에 의해 수직 상부 방향으로 미끄러져 올라간다(도 5의 F2 방향 참조).
즉 제 2 틈막이 부재(16)의 모헤어(16a) 양측단에 형성된 연질단(16b)이 문틀(12)에 마찰되면서 제 2 틈막이 부재(16)가 경사형성단(15a)을 따라 제 1 틈막이 부재(15) 내부로 안으로 들어가면서 올라간다.
이와 같이 유리 도어부(11)를 회전힌지축(13)를 통해 닫는 경우, 제 2 틈막이 부재(16)가 제 1 틈막이 부재(15) 상에서 경사 형성단(15a)을 타고 끝까지 다 올라가는 경우, 제 2 틈막이 부재(16)가 제 1 틈막이 부재(15)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서 문틀(12)과 유리 도어부(11) 사이의 공간에 해당하는 틈을 막는 효과가 없다. 따라서 이 경우, 제1틈막이부재 덮개(14)의 하부면에 형성된 탄성부재(17)에 의해 제 2 틈막이 부재(16)가 상부로 올라가는 한계를 제한한다. 즉, 제 2 틈막이 부재(16)가 상부로 올라가다 탄성부재(17)에 의해 다시 하부로 내려가서 고정되는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문틀(12)과 유리 도어부(11) 사이의 공간 틈새가 꽉 막힌다.
다시 설명하면, 제 1 틈막이 부재(15)의 한쪽 측면은 유리 도어부(11)의 유리창에 삽입할 수 있으며, 제 2 틈막이 부재(16)가 제 1 틈막이 부재(15)의 이동성제고프레임(15-1) 내부 공간에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제 1 틈막이 부재(15)의 내부는 아래쪽이 바닥에서 사선으로 단턱에 해당하는 경사 형성단(15a)이 있어, 제 2 틈막이 부재(16)는 힘으로 밀어 넣지 않으면 사선을 타고 흘러내려서 제 1 틈막이 부재(15)의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 2 틈막이 부재(16)의 한쪽인 연결편(16c)의 일측과 결합된 슬라이드부재(16d)는 제 1 틈막이 부재(15)의 사이 공간에서 움직이며 다른 한쪽은 연결편(16c)의 타측에 결합되고 양쪽에 연질단(16b)을 구비하고 있으며, 양쪽 연질단(16b) 사이의 중간부분에는 모헤어(16a)가 설치 되어있는 것이다.
제 1 틈막이 부재(15)의 유리 도어 체결 프레임(15-2)에 유리 도어부(11)의 유리창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 제 2 틈막이 부재(16)는 문틀(12)에 접하면서 사선에 해당하는 경사 형성단(15a)을 타고 올라가며 이때 제 1 틈막이 부재(15)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틈막이 부재 덮개(14)에 하단으로 설치된 스프링과 같은 실리콘, PVC, ABS, PB, NBR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연질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재(17)에 닿으면서 사선을 따라 올라가던 제 2 틈막이부재(16)가 아래로 향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제 2 틈막이부재(16)는 문틀(12) 사이의 공간이 모헤어(16a)에 의해 밀착되면서 기밀성이 향상된다.
삭제
제 2 틈막이 부재(16)에 형성된 양쪽의 연질단(16b)은 유리 도어부(11)를 열고 닫을 때 손가락 등이 끼일 수 있으므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고, 손가락 등이 유리 도어부(11)와 문틀(12) 사이에 끼워지면 제 2 틈막이 부재(16)가 제 1 틈막이 부재(15) 공간 안에서 올라가면서 손가락 만큼의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손가락을 빼면 제 2 틈막이 부재(16)는 다시 내려와서 모헤어(16a)에 의하여 기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제 1 틈막이 부재(15) 및 제 2 틈막이 부재(16)를 유리도어부(11)에 결합하기 위해선 제 1 틈막이부재(15)가 유리 도어부(11)에 삽입되어야하므로, 유리 도어부(11)와 문틀(12) 사이의 공간에는 제 1 틈막이 부재(15) 및 제 2 틈막이 부재(16)의 설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 1 틈막이 부재(15) 및 제 2 틈막이 부재(16) 회전영역, 비회전영역에 공간이 확보되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
11: 유리 도어부
12: 문틀
13: 회전힌지축
14: 제 1 틈막이 부재 덮개
15: 제 1 틈막이 부재
15a: 경사 형성단
15-1: 이동성 제공 프레임
15-2: 유리 도어 체결 프레임
16: 제 2 틈막이 부재
16a: 모헤어
16b: 연질단
17: 탄성부재

Claims (10)

  1. 문틀(12)에 수용되고 일측에 구비된 상,하부 회전힌지축(13)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유리도어부(11)와;
    제2틈막이부재(16)의 연결편(16c)이 관통되는 개구부(h1)와 상기 연결편(16c)의 일측과 결합된 슬라이드부재(16d)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이동성제고프레임(15-1)과, 상기 이동성제고프레임(15-1)과 결합되어 상기 유리도어부(11)의 타측이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유리도어체결프레임(15-2) 및 상기 제2틈막이부재(16)가 경사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형성단(15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틈막이부재(15)와;
    상기 연결편(16c)의 일측 단부와 결합되고 이동성제고프레임(15-1)의 내부에 수용되어 경사형성단(15a)의 사선을 따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드부재(16d)와, 상기 개구부(h1)를 관통한 연결편(16c)의 타측 단부 양측에 구비되는 연질단(16b) 및 상기 연질단(16b) 사이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모헤어(16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틈막이부재(16)와;
    상기 이동성제고프레임(15-1)의 상단부 내측에 삽입되며, 실리콘, PVC, ABS, PB, NBR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연질 재질로 구성되는 탄성부재(17); 및
    상기 탄성부재(17)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제1틈막이부재 덮개(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헤어(16a)는 상기 문틀(12) 사이의 공간에 기밀성이 확보되도록 문틀(12)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124940A 2014-09-19 2014-09-19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 KR101679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940A KR101679588B1 (ko) 2014-09-19 2014-09-19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940A KR101679588B1 (ko) 2014-09-19 2014-09-19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993A KR20160033993A (ko) 2016-03-29
KR101679588B1 true KR101679588B1 (ko) 2016-11-25

Family

ID=55661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940A KR101679588B1 (ko) 2014-09-19 2014-09-19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497B1 (ko) * 2019-01-14 2021-03-29 윔코리아 주식회사 문틈 간격 조절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539Y1 (ko) * 2002-05-23 2002-09-05 박주휘 출입문의 바닥 및 문틀 틈새 차폐장치
KR200398167Y1 (ko) * 2005-07-27 2005-10-11 박정래 도어용 안전프레임유니트
KR200425622Y1 (ko) * 2006-06-28 2006-09-07 최승수 도어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539Y1 (ko) * 2002-05-23 2002-09-05 박주휘 출입문의 바닥 및 문틀 틈새 차폐장치
KR200398167Y1 (ko) * 2005-07-27 2005-10-11 박정래 도어용 안전프레임유니트
KR200425622Y1 (ko) * 2006-06-28 2006-09-07 최승수 도어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993A (ko) 201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594B1 (ko) 기밀성이 뛰어나고 창문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풍지판, 이와 결합된 창문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시스템
KR20080053259A (ko) 폴딩, 틸트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창호
KR102242701B1 (ko)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679588B1 (ko)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
KR20200134365A (ko) 창호의 여밈대 기밀유지 장치
KR20180091801A (ko) 플랫 윈도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폴딩 도어
KR101321711B1 (ko) 미닫이문용 기밀재
KR20150078869A (ko) 여닫이식 출입문의 단열 및 기밀 유지장치
KR20140036442A (ko)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피스
GB2466780A (en) Mechanism for sealing edges of a roller blind
KR200460397Y1 (ko) 폴딩 도어 시스템
KR101481106B1 (ko) 단열 및 끼임방지를 위한 미닫이문
KR102335902B1 (ko)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KR102654728B1 (ko)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0907605B1 (ko) 도어용 안전경첩
KR102099324B1 (ko) 창문장치
KR102027831B1 (ko) 기밀성을 갖는 창호
KR102038854B1 (ko) 보호경첩
KR101914795B1 (ko) 착탈식 단열보강부재를 구비한 창호
TWI548806B (zh) The watertight structure and doors and windows of the joint
CN103953262A (zh) 安全层叠窗
CN205477156U (zh) 隐形铰链式平开窗
JP552008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2481816B1 (ko)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1598B1 (ko)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