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570A -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570A
KR20200067570A KR1020180154577A KR20180154577A KR20200067570A KR 20200067570 A KR20200067570 A KR 20200067570A KR 1020180154577 A KR1020180154577 A KR 1020180154577A KR 20180154577 A KR20180154577 A KR 20180154577A KR 20200067570 A KR20200067570 A KR 20200067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oil
composition
stic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9445B1 (ko
Inventor
김세진
신은숙
심민경
채련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154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445B1/ko
Priority to SG10201910146YA priority patent/SG10201910146YA/en
Priority to CN201911229115.7A priority patent/CN111265412B/zh
Publication of KR20200067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4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93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olefines, e.g. polystyr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수상 및 유상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은 왁스; 및 1:1~3 중량 비율의 폴리소르베이트 및 소르비탄 에스터 유도체;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이 개시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중유형 제형을 가지면서도 단단한 스틱 형태를 가져 사용에서의 편의성을 확보하였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면 높은 수분 함량에 의한 청량감을 느낄 수 있고, 다분기 탄화수소 왁스를 첨가하여 높은 수준의 광택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일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촉촉한 사용감 및 볼륨감을 제공하는 입술용 화장료, 특히 립틴드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Oil-in-water stick type compositon}
본 명세서에는 수상 및 유상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은 왁스; 및 1:0.86~3 중량 비율의 폴리소르베이트 및 소르비탄 에스터 유도체;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이 개시된다.
최근 현대인들의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관련한 다양한 기능을 보유한 화장품이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화장품을 손에 묻히거나 스펀지, 브러시 등의 화장도구의 까다로운 위생 관리에 신경쓰는 등 번거로움 없이,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고 빠르게 메이크업을 할 수 있게 하는 스틱형 메이크업 제품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유중수형 에멀전의 경우 스틱형 조성물을 제조하기 용이한 제형이나, 산뜻함이 떨어지고 염료에 의한 컬러 착색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진다. 이에 촉촉함을 살리기 위하여 비누화 반응을 통한 스틱형 제품을 제조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솝(stearic acid)을 이용하여 비누화 반응을 진행시키고 왁스로 골격으로 잡아 스틱을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솝을 이용하여 제조한 스틱은 보습력이 떨어져 불편하고 일반적으로 제조된 물질의 pH가 10을 넘기 때문에 피부 자극이 심하고 실제 제품화 하는 데 화장품 법에 저촉되는 등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안전하면서도 촉촉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스틱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시도하였고, 그 결과 1:0.86~3 중량 비율의 폴리소르베이트 및 소르비탄 에스터 유도체를 포함하여 제조한 조성물이 수중유형이면서 스틱 형태인 조성물로서 촉촉한 사용감을 가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7530호 KR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50828호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수상 및 유상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은 왁스; 및 폴리소르베이트 및 소르비탄 에스터 유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소르베이트 및 소르비탄 에스터 유도체는 1:0.86~3 중량 비율로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중유형 제형을 가지면서도 단단한 스틱 형태를 가져 사용에서의 편의성을 확보하였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면 높은 수분 함량에 의한 청량감을 느낄 수 있고, 다분기 탄화수소 왁스를 첨가하여 높은 수준의 광택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일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촉촉한 사용감 및 볼륨감을 제공하는 입술용 화장료, 특히 립틴드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수상 및 유상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은 왁스; 및 폴리소르베이트 및 소르비탄 에스터 유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소르베이트 및 소르비탄 에스터 유도체는 1:0.86~3 중량 비율로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례로 상기 폴리소르베이트 및 소르비탄 에스터 유도체의 중량 비율은 폴리소르베이트 1, 소르비탄 에스터 유도체 0.86 이상, 0.9 이상, 0.95 이상, 1.00 이상, 1.05 이상, 1.10 이상, 1.15 이상, 1.20 이상, 1.25 이상, 1.30 이상, 1.35 이상, 1.40 이상, 1.45 이상, 1.50 이상, 1.55 이상, 1.60 이상, 1.65 이상, 1.70 이상, 1.75 이하, 1.80 이하, 1.85 이하, 1.90 이하, 1.95 이하, 2.00 이하, 2.05 이하, 2.10 이하, 2.15 이하, 2.20 이하, 2.25 이하, 2.30 이하, 2.35 이하, 2.40 이하, 2.45 이하, 2.50 이하, 2.55 이하, 2.60 이하, 2.65 이하, 2.70 이하, 2.75 이하, 2.80 이하, 2.85 이하, 2.90 이하, 2.95 이하, 3.00 이하의 중량 비율일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왁스는 다분기 탄화수소 왁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다분기 탄화수소 왁스는 가지 형태의 탄화수소 골격을 가진 왁스라면 제한 없이 포함하는 개념으로, 다분기 탄화 수소 왁스의 첨가에 따라 PARA 필름 상에서 micro-TRI-gloss로 측정 시에 60° 광택이 100 GU 이상, 110 GU 이상, 120 GU 이상, 130 GU 이상, 140 GU 이상, 150 GU 이상, 160 GU 이상, 170 GU 이상, 180 GU 이상, 190 GU 이상, 200 GU 이상, 210 GU 이상, 220 GU 이상, 230 GU 이상, 240 GU 이상, 250 GU 이하, 260 GU 이하, 270 GU 이하, 280 GU 이하, 290 GU 이하, 300 GU 이하, 310 GU 이하, 320 GU 이하 330 GU 이하, 340 GU 이하, 350 GU 이하, 360 GU 이하, 370 GU 이하, 380 GU 이하, 390 GU 이하, 400 GU 이하의 높은 광택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에 나타낸 광택 수준으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다분기 탄화수소 왁스는 포화 탄화수소 구조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있어서, 상기 다분기 탄화수소 왁스는 다분기 합성 왁스 또는 히드로지네이티드 스티렌/메틸 스티렌/인덴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다분기 탄화수소 왁스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이상, 6 이상, 7 이상, 8 이상, 9 이상, 10 이상, 11 이상, 12 이상, 13 이상, 14 이상, 15 이상, 16 이상, 17 이상, 18 이상, 19 이상, 20 이상, 21 이상, 22 이상, 23 이상, 24 이상, 25 이상, 26 이상, 27 이상, 28 이상 29 이상, 30 이상, 31 이상, 32 이하, 33 이하, 34 이하, 35 이하, 36 이하, 37 이하, 38 이하, 39 이하, 40 이하, 41 이하, 42 이하, 43 이하, 44 이하, 45 이하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합성 왁스'는 인공적인 석유화학 공정을 거쳐서 생산되거나,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등의 합성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왁스를 지칭하는 것으로, '다분기 합성 왁스(branched synthetic wax)'는 직쇄형이 아닌 가지 형태를 가지는 합성 왁스를 지칭하며, 일례로 이를 도식화하면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고, 이때, 화학식 1 내 R은 C2 알킬, C3 알킬, C4 알킬, C5 알킬, C6 알킬, C7 알킬, C8 알킬, C9 알킬, C10 알킬, C11 알킬, C12 알킬, C13 알킬, C14 알킬, C15 알킬, C16 알킬, C17 알킬, C18 알킬, C19 알킬, C20 알킬, C21 알킬, C22 알킬, C23 알킬, C24 알킬, C25 알킬, C26 알킬, C27 알킬, C28 알킬, C29 알킬, C30 알킬일 수 있으며, 각 R들은 서로 동일한 탄소수의 알킬일 수도 있고, 상이한 탄소수의 알킬일 수도 있다.
Figure pat00001
일 측면에서, 다분기 합성 왁스의 분자량은 800 g/mol 초과, 801 g/mol 이상, 810 g/mol 이상, 820 g/mol 이상, 830 g/mol 이상, 840 g/mol 이상, 850 g/mol 이상, 860 g/mol 이상, 870 g/mol 이상, 880 g/mol 이상, 890 g/mol 이상, 900 g/mol 이상, 910 g/mol 이상, 920 g/mol 이상, 930 g/mol 이상, 940 g/mol 이상, 950 g/mol 이상, 960 g/mol 이상, 970 g/mol 이상, 980 g/mol 이상, 990 g/mol 이상, 1000 g/mol 이상, 1010 g/mol 이상, 1020 g/mol 이상, 1030 g/mol 이상, 1040 g/mol 이상, 1050 g/mol 이상, 1060 g/mol 이상, 1070 g/mol 이상, 1080 g/mol 이상, 1090 g/mol 이하, 1100 g/mol 이하, 1110 g/mol 이하, 1120 g/mol 이하, 1130 g/mol 이하, 1140 g/mol 이하, 1150 g/mol 이하, 1160 g/mol 이하, 1170 g/mol 이하, 1180 g/mol 이하, 1190 g/mol 이하, 1200 g/mol 이하, 1210 g/mol 이하, 1220 g/mol 이하, 1230 g/mol 이하, 1240 g/mol 이하, 1250 g/mol 이하, 1260 g/mol 이하, 1270 g/mol 이하, 1280 g/mol 이하, 1290 g/mol 이하, 1299 g/mol 이하, 1300 g/mol 미만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다분기 합성 왁스는 -1.5℃ 이상, -1℃ 이상, -0.5℃ 이상, 0℃, 0.5℃ 이상, 1℃ 이상, 1.5℃ 이상, 2℃ 이상, 2.5℃ 이상, 3℃ 이상, 3.5℃ 이상, 4℃ 이상, 4.5℃ 이상, 5℃ 이하, 5.5℃ 이하, 6℃ 이하, 6.5℃ 이하, 7℃ 이하, 7.5℃ 이하, 8℃ 이하, 8.5℃ 이하, 9℃ 이하, 9.5℃ 이하 10℃ 이하, 10.5℃ 이하, 11℃ 이하, 11.5℃ 이하, 12℃ 이하, 12.5℃ 이하, 13℃ 이하, 13.5℃ 이하, 14℃ 이하, 14.5℃이하, 15℃ 이하, 15.5℃ 이하, 16℃ 이하, 16.5℃ 이하, 17℃ 이하, 17.5℃ 이하, 18℃ 이하, 18.5℃ 이하, 19℃ 이하, 19.5℃ 이하, 20℃ 이하의 녹는점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선형 탄화수소 왁스를 포함할 수 있고, 선형 탄화수소 왁스는 직선 형태의 탄화수소 골격을 가진 왁스라면 제한 없이 포함하는 개념이다.
일 측면에서, 선형 탄화수소 왁스는 선형 합성 왁스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선형 합성 왁스(linear synthetic wax)는 다분기 형태가 아닌 직선 형태의 구조를 가지는 합성 왁스를 지칭하며, 포화 탄화 수소 물질로 (CH3)-[CH2]n-(CH3) (n은 0 또는 양의 정수)의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있어서, 선형 합성 왁스의 분자량은 150 g/mol 초과, 160 g/mol 이상, 170 g/mol 이상, 180 g/mol 이상, 190 g/mol 이상, 200 g/mol 이상, 230 g/mol 이상, 250 g/mol 이상, 270 g/mol 이상, 300 g/mol 이상, 330 g/mol 이상, 350 g/mol 이상, 380 g/mol 이상, 400 g/mol 이상, 430 g/mol 이상, 450 g/mol 이상, 480 g/mol 이상, 500 g/mol 이상, 530 이하, 550 g/mol 이하, 580 g/mol 이하, 600 g/mol 이하, 630 g/mol 이하, 650 g/mol 이하, 680 g/mol 이하, 700 g/mol 이하, 730 g/mol 이하, 740 g/mol 이하, 750 g/mol 미만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선형 합성 왁스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이상, 1.5 이상, 2 이상, 2.5 이상, 3 이상, 3.5 이상, 4 이상, 4.5 이상, 5 이상, 5.5 이상, 6 이하, 6.5 이하, 7 이하, 7.5 이하, 8 이하, 8.5 이하, 9 이하, 9.5 이하, 10 이하, 10.5 이하, 11 이하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는 폴리소르베이트 20((polyoxyethylene (20) sorbitan monolaurate), 폴리소르베이트 40(polyoxyethylene (20) sorbitan monopalmitate), 폴리소르베이트 60(polyoxyethylene (20) sorbitan monostearate) 또는 폴리소르베이트 80(polyoxyethylene (20) sorbitan monooleate)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소르베이트 6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소르비탄 에스터 유도체는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상기 1:1~3 중량 비율의 폴리소르베이트 및 소르비탄 에스터 유도체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6.5 초과, 6.6 이상, 6.7 이상, 6.8 이상, 6.9 이상, 7 이상, 7.1 이상, 7.2 이상, 7.3 이상, 7.4 이상, 7.5 이상, 7.6 이상, 7.7 이상, 7.8 이상, 7.9 이상, 8 이상, 8.1 이상, 8.2 이상, 8.3 이상, 8.4 이상, 8.5 이상, 8.6 이상, 8.7 이상, 8.8 이상, 8.9 이상, 9 이상, 9.1 이상, 9.2 이상, 9.3 이상, 9.4 이상, 9.5 이상, 9.6 이상, 9.7 이상, 9.8 이상, 9.9 이상, 10 이하, 10.1 이하, 10.2 이하, 10.3 이하, 10.4 이하, 10.5 이하, 10.6 이하, 10.7 이하, 10.8 이하, 10.9 이하, 11 이하, 11.1 이하, 11.2 이하, 11.3 이하, 11.4 이하, 11.5 이하, 11.6 이하, 11.7 이하, 11.8 이하, 11.9 이하, 12 이하, 12.1 이하, 12.2 이하, 12.3 이하, 12.4 이하, 12.5 이하, 12.6 이하, 12.7 이하, 12.8 이하, 12.9 이하, 13 이하, 13.1 이하, 13.2 이하, 13.3 이하, 13.4 이하, 13.5 이하, 13.6 이하, 13.7 이하, 13.8 이하, 13.9 이하, 14 이하, 14.1 미만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수상은 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15 초과, 16 이상, 17 이상, 18 이상, 19 이상, 20 이상, 21 이상, 22 이상, 23 이상, 24 이상, 25 이상, 26 이상, 27 이상, 28 이상 29 이상, 30 이상, 31 이상, 32 이하, 33 이하, 34 이하, 35 이하, 36 이하, 37 이하, 38 이하, 39 이하, 40 이하, 41 이하, 42 이하, 43 이하, 44 이하, 45 미만 중량%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의 경도는 30 ℃의 항온조에 보관되어 있던 조성물(원통 지름 1cm)을 꺼내어 즉시 조성물을 세운 뒤 조성물 중앙에 두께 0.2 mm의 피아노줄을 위치시킨 후 20 mm/min의 속도로 이동시켜, 이동거리 중 10 이상, 10.5 이상, 11 이상, 11.5 이상, 12 이상, 12.5 이상, 13 이상, 13.5 이상, 14 이상, 14.5 이하, 15 이하, 15.5 이하, 16 이하, 16.5 이하, 17 이하, 17.5 이하, 18 이하, 18.5 이하, 19 이하, 19.5 이하 ㎜ 지점에서 받는 힘을 Rheometer CR-300(SUN Scientific Co.,LTD사)로 측정한 평균값이 20 이상, 25 이상, 30 이상, 35 이상, 40 이상, 45 이상, 50 이상, 55 이상, 60 이상 65 이상, 70 이상, 75 이상, 80 이하, 85 이하, 90 이하, 95 이하, 100 이하, 105 이하, 110 이하, 115 이하, 120 이하, 125 이하, 130 이하, 135 이하, 140 이하, 145 이하, 150 이하 gf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착색제'는 인체의 일부분에 색을 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색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착색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착색제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5 이상, 0.1 이상, 0.5 이상, 1 이상, 1.5 이상, 2 이상, 2.5 이상, 3 이상, 3.5 이상, 4 이상, 4.5 이상, 5 이상, 5.5 이상, 6 이하, 6.5 이하, 7 이하, 7.5 이하, 8 이하, 8.5 이하, 9 이하, 9.5 이하, 10 이하, 10.5 이하, 11 이하, 11.5 이하, 12 이하, 12.5 이하, 13 이하, 13.5 이하, 14 이하, 14.5 이하, 15 이하, 15.5 이하, 16 이하, 16.5 이하, 17 이하, 17.5 이하, 18 이하, 18.5 이하, 19 이하, 19.5 이하, 20 이하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착색제는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안료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1 이상, 0.5 이상, 1 이상, 1.5 이상, 2 이하, 2.5 이하, 3 이하, 3.5 이하, 4 이하 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 것이고, 염료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1 이상, 0.02 이상, 0.03 이상, 0.04 이상, 0.05 이상, 0.06 이상, 0.07 이상, 0.08 이상, 0.09 이상, 0.1 이상, 0.3 이상, 0.4 이상, 0.5 이하, 0.7 이하, 0.9 이하, 1 이하, 1.1 이하, 1.2 이하, 1.3 이하, 1.4 이하, 1.5 이하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의 외관을 아름답게 하는 모든 물질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포인트메이크업용 또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립틴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 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부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에 글리세린,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알란토인 등의 보조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락하며,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내에서 사용된 '또는'은 명확하게 반대하는 내용을 명시하고 있지 않는 한, '및'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의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의 제조 및 이들의 경도 및 광택 확인
유화제인 폴리소르베이트 60과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의 조합 비율 및 총 함량을 달리하여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의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에 개시한 조성(단위: 중량%)으로 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에 따라 상온에서 혼합하여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의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분기 합성 왁스들은 Baker huges사에서 구매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후, 30 ℃의 항온조에 보관되어 있던 스틱이 형성된 실시예 1의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원통 지름 1cm)을 꺼내어 즉시 용기를 세운 뒤 내용물 중앙에 피아노 줄(두께0.2 mm)을 위치하게 한 후, 상기 피아노 줄을 20 mm/min의 속도로 이동시켜 이동거리 중 10 내지 19.5 ㎜ 지점에서 받는 힘을 Rheometer CR-300(SUN Scientific Co.,LTD사)로 측정하여 평균값을 도출하여, 이의 경도값을 얻었다. 또한, 실시예 1의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 0.5 g을 파라필름(PARA FILM, American National Can사)에 얇게 도포한 후 micro-TRI-gloss (BYK Gardner 사)를 이용하여 각도 60도에서 확인되는 광택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성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 2
합성 왁스(다분기) 분자량 1,000 30 30 30
히드로지네이티드 스티렌/메틸 스티렌/인덴 공중합체 - - -
합성 왁스(선형) 분자량 600 6 6 6
폴리소르베이트 60 3.5 3.5 3.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5.6 3 10.6
안료(Color pigment) 2 2 2
기타 오일 11.5 14.1 6.5
35 35 35
부틸렌 글리콜 5 5 5
염료(Color dye) 0.4 0.4 0.4
보존제 1 1 1
경도(gf) 45 측정불가
스틱안됨
측정불가
스틱안됨
광택(GU) 110 - -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화제인 폴리소르베이트 60 및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의 조합 비율이 1:1이 되지 않는 비교예 1은 수분감이 강하게 느껴지지 않는 크림 타입의 조성물이 제조되었다. 또한, 폴리소르베이트 60 및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의 조합 비율이 1:3이 넘는 비교예 2의 조성물은 유화 입자가 형성되지 못하고 내상 왁스로 인하여 스틱형을 만들지 못하고 크림과 같은 제형이 되었다. 이는 첨가되는 유화제인 폴리소르베이트 60 및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의 조합 비율이 수중유형 제형의 스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2 및 3의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의 제조 및 이들의 경도 및 광택 확인
광택감을 부여하는 구성의 종류를 달리하여 실시예 2 및 3의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2에 개시한 조성(단위: 중량%)으로 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에 따라 상온에서 혼합하여 실시예 2 및 3의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후, 30 ℃의 항온조에 보관되어 있던 스틱이 형성된 각각의 실시예 2 및 3의 조성물(원통 지름 1cm)을 꺼내어 즉시 용기를 세운 뒤 내용물 중앙에 피아노 줄(두께0.2 mm)을 위치하게 한 후, 상기 피아노 줄을 20 mm/min의 속도로 이동시켜 이동거리 중 10 내지 19.5 ㎜ 지점에서 받는 힘을 Rheometer CR-300(SUN Scientific Co.,LTD사)로 측정하여 평균값을 도출하여, 이의 경도값을 얻었다. 또한, 실시예 2 및 3의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 0.5 g을 파라필름(PARA FILM, American National Can사)에 얇게 도포한 후 micro-TRI-gloss (BYK Gardner 사)를 이용하여 각도 60도에서 확인되는 광택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구성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합성 왁스(다분기) 30 - -
폴리글리세릴-2-디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diisostearate) - 30 15
히드로지네이티드 스티렌/메틸 스티렌/인덴 공중합체(Hydrogenated Styrene/Methyl Styrene/Indene Copolymer) - - 15
합성 왁스(선형) 6 6 6
폴리소르베이트 60 3.5 3.5 3.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5.6 5.6 5.6
안료(Color pigment) 2 2 2
기타 오일 11.5 11.5 11.5
35 35 35
부틸렌 글리콜 5 5 5
염료(Color dye) 0.4 0.4 0.4
보존제 1 1 1
경도(gf) 45 64 72
광택(GU) 110 66 101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택감을 부여하는 구성인 다분기 합성 왁스 대신 이와 유사한 점도의 물질인 폴리글리세릴-2-디이소스테아레이트를 동량으로 첨가하여 제조한 실시예 2는 실시예1과 대비하여 광택감이 다소 떨어지고 끈적이는 사용감이 더 강해졌다. 또한, 다분기 합성 왁스 대신 다분기 형태의 히드로지네이티드 스티렌/메틸 스티렌/인덴 공중합체를 첨가하여 제조한 실시예 3은 실시예1보다는 살짝 수준의 광택감을 나타내나, 비교적 우수한 수준의 광택감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는 첨가되는 오일 물질이 어떤 물질이 첨가되는 지, 첨가되는 오일의 구조가 형성되는 수중유형 제형의 스틱 형성 및 광택감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4, 비교예 3 및 4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의 제조 및 이들의 경도 및 광택 확인
첨가하는 수분 함량을 달리하여 실시예 4, 비교예 3 및 4의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3에 개시한 조성(단위: 중량%)으로 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에 따라 상온에서 혼합하여 실시예 4, 비교예 3 및 4의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후, 30 ℃의 항온조에 보관되어 있던 스틱이 형성된 실시예 4의 조성물(원통 지름 1cm)을 꺼내어 즉시 용기를 세운 뒤 내용물 중앙에 피아노 줄(두께0.2 mm)을 위치하게 한 후, 상기 피아노 줄을 20 mm/min의 속도로 이동시켜 이동거리 중 10 내지 19.5 ㎜ 지점에서 받는 힘을 Rheometer CR-300(SUN Scientific Co.,LTD사)로 측정하여 평균값을 도출하여, 이의 경도값을 얻었다. 또한, 실시예 4의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 0.5 g을 파라필름(PARA FILM, American National Can사)에 얇게 도포한 후 micro-TRI-gloss (BYK Gardner 사)를 이용하여 각도 60도에서 확인되는 광택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구성 실시예1 비교예3 실시예4 비교예4
합성 왁스(다분기) 30 50 45 20
히드로지네이티드 스티렌/메틸 스티렌/인덴 공중합체 - - - -
합성 왁스(선형) 6 6 6 6
폴리소르베이트 60 3.5 3.5 3.5 3.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5.6 5.6 5.6 5.6
안료(Color pigment) 2 2 2 2
기타 오일 11.5 11.5 11.5 11.5
35 15 20 45
부틸렌 글리콜 5 5 5 5
염료(Color dye) 0.4 0.4 0.4 0.4
보존제 1 1 1 1
경도(gf) 45 측정불가
스틱안됨
50 측정불가
스틱안됨
광택(GU) 110 - 113 -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분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비교예 3은 유화가 잘 되지 않았고, 수분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교예 4는 스틱이 형성되지 못하고 유화가 된 액체로 존재하였다. 이는 전제 조성물 내 수분 함량이 수중유형 제형의 스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을 시사한다.
실시예 5 및 6, 비교예 5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의 제조 및 이들의 경도 및 광택 확인
다분기 합성 왁스의 분자량을 달리하여 실시예 5 및 6, 비교예 5의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4에 개시한 조성(단위: 중량%)으로 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에 따라 상온에서 혼합하여 실시예 5 및 6, 비교예 5의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후, 30 ℃의 항온조에 보관되어 있던 스틱이 형성된 각각의 실시예 5 및 6의 조성물(원통 지름 1cm)을 꺼내어 즉시 용기를 세운 뒤 내용물 중앙에 피아노 줄(두께0.2 mm)을 위치하게 한 후, 상기 피아노 줄을 20 mm/min의 속도로 이동시켜 이동거리 중 10 내지 19.5 ㎜ 지점에서 받는 힘을 Rheometer CR-300(SUN Scientific Co.,LTD사)로 측정하여 평균값을 도출하여, 이의 경도값을 얻었다. 또한, 실시예 5 및 6의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 0.5 g을 파라필름(PARA FILM, American National Can사)에 얇게 도포한 후 micro-TRI-gloss (BYK Gardner 사)를 이용하여 각도 60도에서 확인되는 광택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구성 실시예1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5
합성 왁스(다분기) 분자량 1,000 30 - - -
합성 왁스(다분기) 분자량 800 - 30 - -
합성 왁스(다분기) 분자량 1,200 - - 30 -
합성 왁스(다분기) 분자량 1,300 - - 30
합성 왁스(선형) 6 6 6 6
폴리소르베이트 60 3.5 3.5 3.5 3.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5.6 5.6 5.6 5.6
안료(Color pigment) 2 2 2 2
기타 오일 11.5 11.5 11.5 11.5
35 35 35 35
부틸렌 글리콜 5 5 5 5
염료(Color dye) 0.4 0.4 0.4 0.4
보존제 1 1 1 1
경도(gf) 45 51 38 측정불가
스틱안됨
광택(GU) 110 89 107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분기 합성 왁스의 분자량이 1,000 내지 1,200 g/mol 사이인 경우에는 수중유형 제형이면서도 스틱 형태가 만들어졌으며, 100 GU 이상의 높은 광택 수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다분기 합성 왁스의 분자량이 1,000 g/mol 미만인 실시예 5는 낮은 수준의 광택감을 나타낼 뿐이었고, 다분기 합성 왁스의 분자량이 1,200 g/mol 초과인 비교예 5는 스틱 형성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다분기 합성 왁스의 분자량이 수중유형 제형의 스틱 형성과 광택감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을 시사한다.
실시예 7, 비교예 6 및 7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의 제조 및 이들의 경도 및 광택 확인
선형 합성 왁스의 분자량을 달리하여 실시예 7, 비교예 6 및 7의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5에 개시한 조성(단위: 중량%)으로 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에 따라 상온에서 혼합하여 실시예 7, 비교예 6 및 7의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후, 30 ℃의 항온조에 보관되어 있던 스틱이 형성된 실시예 7의 조성물(원통 지름 1cm)을 꺼내어 즉시 용기를 세운 뒤 내용물 중앙에 피아노 줄(두께0.2 mm)을 위치하게 한 후, 상기 피아노 줄을 20 mm/min의 속도로 이동시켜 이동거리 중 10 내지 19.5 ㎜ 지점에서 받는 힘을 Rheometer CR-300(SUN Scientific Co.,LTD사)로 측정하여 평균값을 도출하여, 이의 경도값을 얻었다. 또한, 실시예 7의 스틱형 수중유형 조성물 0.5 g을 파라필름(PARA FILM, American National Can사)에 얇게 도포한 후 micro-TRI-gloss (BYK Gardner 사)를 이용하여 각도 60도에서 확인되는 광택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구성 실시예1 비교예6 실시예7 비교예7
합성 왁스(다분기) 분자량 1,000 30 30 30 30
합성 왁스(선형) 분자량 600 6 - - -
합성 왁스(선형) 분자량 150 - 6 - -
합성 왁스(선형) 분자량 200 - - 6 -
합성 왁스(선형) 분자량 750 - - - 6
폴리소르베이트 60 3.5 3.5 3.5 3.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5.6 5.6 5.6 5.6
안료(Color pigment) 2 2 2 2
기타 오일 11.5 11.5 11.5 11.5
35 35 35 35
부틸렌 글리콜 5 5 5 5
염료(Color dye) 0.4 0.4 0.4 0.4
보존제 1 1 1 1
경도(gf) 45 측정불가
스틱안됨
20 측정불가
스틱안됨
광택(GU) 110 110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 합성 왁스의 분자량이 200과 600 g/mol인 실시예 1과 실시예 7은 수중유형 제형이면서도 스틱 형태가 만들어졌으며, 100 GU 이상의 높은 광택 수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선형 합성 왁스의 분자량이 150 g/mol인 비교예 6와 선형 합성 왁스의 분자량이 750 g/mol인 비교예 7은 스틱 형성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선형 합성 왁스의 분자량이 수중유형 제형의 스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을 시사한다.

Claims (20)

  1. 수상 및 유상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은 왁스; 및 폴리소르베이트 및 소르비탄 에스터 유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소르베이트 및 소르비탄 에스터 유도체는 1:0.86~3 중량 비율로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다분기 탄화수소 왁스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PARA 필름 상에서 micro-TRI-gloss로 측정 시에 60° 광택이 100 GU 이상인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기 탄화수소 왁스는 포화 탄화수소 구조인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기 탄화수소 왁스는 다분기 합성 왁스 및 히드로지네이티드 스티렌/메틸 스티렌/인덴 공중합체 중 하나 이상인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기 탄화수소 왁스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45 중량%로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기 합성 왁스의 분자량은 800 g/mol 초과 1300 g/mol 미만인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기 합성 왁스의 녹는점은 -1.5 내지 20℃인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선형 탄화수소 왁스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탄화수소 왁스는 선형 합성 왁스 및 폴리에틸렌 왁스 중 하나 이상인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탄화수소 왁스는 분자량이 150 g/mol 초과 750 g/mol 미만인 스틱형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탄화수소 왁스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1 중량%로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소르베이트는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0 및 폴리소르베이트 80 중 하나 이상인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르비탄 에스터 유도체는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인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소르베이트 및 소르비탄 에스터 유도체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6.5 초과 14.1 미만 중량%로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15 초과 45 미만 중량%의 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경도는 조성물 중앙에 두께 0.2 mm의 피아노줄을 위치시킨 후 20 mm/min의 속도로 이동시켜 이동거리 중 10 내지 19.5 mm 지점에서 받는 힘을 Rheometer CR-300로 측정한 평균값이 20 내지 150 gf인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착색제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KR1020180154577A 2018-12-04 2018-12-04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KR102359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577A KR102359445B1 (ko) 2018-12-04 2018-12-04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SG10201910146YA SG10201910146YA (en) 2018-12-04 2019-10-31 Oil-in-water stick type composition
CN201911229115.7A CN111265412B (zh) 2018-12-04 2019-12-04 棒型水包油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577A KR102359445B1 (ko) 2018-12-04 2018-12-04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570A true KR20200067570A (ko) 2020-06-12
KR102359445B1 KR102359445B1 (ko) 2022-02-09

Family

ID=7099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577A KR102359445B1 (ko) 2018-12-04 2018-12-04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59445B1 (ko)
CN (1) CN111265412B (ko)
SG (1) SG10201910146YA (ko)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0828A (ko) 1997-12-17 1999-07-05 서경배 레티노이드를 함유한 스틱형 입술화장료 조성물
JP2000178133A (ja) * 1998-12-14 2000-06-27 L'oreal Sa ワックス高含有のo/w型エマルジョン形態の組成物、及び化粧料及び皮膚科学分野におけるその使用
KR100408341B1 (ko) * 1997-05-28 2003-12-06 이-엘 매니지먼트 코포레이션 물함유 왁스 기초 제품
JP2008189664A (ja) * 2007-01-12 2008-08-21 L'oreal Sa ブロックコポリマー、粘着剤、及び高粘度エステル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JP2009196921A (ja) * 2008-02-20 2009-09-03 Nippon Shikizai Inc スティック状の口唇用化粧料
KR20090122954A (ko) * 2007-03-19 2009-12-01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스틱형 고광채 화장품
KR20110118496A (ko) * 2010-04-23 2011-10-31 (주)아모레퍼시픽 폴리글리세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6979A (ko) * 2010-09-15 2013-12-1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수중유형 화장료
KR20140099176A (ko) * 2013-01-31 2014-08-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실온 충진이 가능한 고경도 화장료 조성물
KR101510309B1 (ko) * 2013-08-2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색조 화장용 스틱 타입 고형 화장료의 제조방법
KR20170015516A (ko) * 2014-06-18 2017-02-08 로레알 향상된 편안함을 갖는 립스틱 조성물
KR20180038025A (ko) * 2015-08-07 2018-04-13 자졸 박스 게엠베하 탄화수소 왁스 조성물, 이의 생산 방법 및 고무 제품에서 첨가제로서의 이의 용도
KR20180047530A (ko) 2016-10-31 2018-05-10 (주)아모레퍼시픽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67182A (ko) *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휘발안정성 및 경도형성능이 개선된 수중유형 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449B1 (ko) * 2013-03-29 2019-10-17 (주)아모레퍼시픽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341B1 (ko) * 1997-05-28 2003-12-06 이-엘 매니지먼트 코포레이션 물함유 왁스 기초 제품
KR19990050828A (ko) 1997-12-17 1999-07-05 서경배 레티노이드를 함유한 스틱형 입술화장료 조성물
JP2000178133A (ja) * 1998-12-14 2000-06-27 L'oreal Sa ワックス高含有のo/w型エマルジョン形態の組成物、及び化粧料及び皮膚科学分野におけるその使用
JP2008189664A (ja) * 2007-01-12 2008-08-21 L'oreal Sa ブロックコポリマー、粘着剤、及び高粘度エステル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KR20090122954A (ko) * 2007-03-19 2009-12-01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스틱형 고광채 화장품
JP2009196921A (ja) * 2008-02-20 2009-09-03 Nippon Shikizai Inc スティック状の口唇用化粧料
KR20110118496A (ko) * 2010-04-23 2011-10-31 (주)아모레퍼시픽 폴리글리세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6979A (ko) * 2010-09-15 2013-12-1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수중유형 화장료
KR20140099176A (ko) * 2013-01-31 2014-08-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실온 충진이 가능한 고경도 화장료 조성물
KR101510309B1 (ko) * 2013-08-2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색조 화장용 스틱 타입 고형 화장료의 제조방법
KR20170015516A (ko) * 2014-06-18 2017-02-08 로레알 향상된 편안함을 갖는 립스틱 조성물
KR20180038025A (ko) * 2015-08-07 2018-04-13 자졸 박스 게엠베하 탄화수소 왁스 조성물, 이의 생산 방법 및 고무 제품에서 첨가제로서의 이의 용도
KR20180047530A (ko) 2016-10-31 2018-05-10 (주)아모레퍼시픽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67182A (ko) *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휘발안정성 및 경도형성능이 개선된 수중유형 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445B1 (ko) 2022-02-09
SG10201910146YA (en) 2020-07-29
CN111265412B (zh) 2024-03-12
CN111265412A (zh) 2020-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34490B2 (ja) 弗素含有化合物またはシリコーンを含有し、改善された快適感を呈する転移しない局所用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KR102371421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EP0953343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contenant un nouveau pigment
EP1500385A1 (fr) Procede de stabilisation de mousse pour mousse cosmetique
KR102405998B1 (ko)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2070391B1 (ko) 화초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JP3418881B2 (ja) 油性固型化粧料
KR101620294B1 (ko) 실온 충진이 가능한 고경도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7454A (ko) 프라이밍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59445B1 (ko)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KR101272740B1 (ko) 립플럼핑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45442B1 (ko) 고광택 수중유형 조성물
KR101421049B1 (ko) 립-플럼핑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59309A (ko) 유화제-프리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780709B1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72315B1 (ko) 헥토라이트, 미세 분쇄 안료를 함유하는 크림형태의 아이라이너 화장료 조성물
EP1025831A1 (fr)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un poly(hydroxystyrène) et une phase grasse
KR20080079033A (ko) 립 메이크업 조성물
KR101451107B1 (ko) 립-플럼핑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00114B1 (ko) 립 코팅과 롱 래스팅 효과를 가지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33490B1 (ko) 사용감이 개선된 크림상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1168B1 (ko) 오일 겔화제로서 트리베헤닌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8816A (ko) 에어로졸형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36085A (ko) 입술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