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442B1 - 고광택 수중유형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광택 수중유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442B1
KR102645442B1 KR1020180154579A KR20180154579A KR102645442B1 KR 102645442 B1 KR102645442 B1 KR 102645442B1 KR 1020180154579 A KR1020180154579 A KR 1020180154579A KR 20180154579 A KR20180154579 A KR 20180154579A KR 102645442 B1 KR102645442 B1 KR 102645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less
alkyl
composition
wat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7572A (ko
Inventor
김세진
김성연
정지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154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442B1/ko
Publication of KR20200067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수상 및 유상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은 다분기 합성 왁스; 및 C3~C20 알킬-C3~C20 알킬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를 포함하며, PARA 필름 상에서 micro-TRI-gloss로 측정 시에 60°광택이 110 GU 이상인, 수중유형 조성물이 개시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조성물은 발랐을 때 산뜻함을 제공하면서도 고광택을 나타내고, 동시에 우수한 착색 효과를 나타낸다. 더욱이,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조성물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같은 자극 유발성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저자극 물질로, 사용시 피부에 트러블을 발생시키지 않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일례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조성물은 다양한 포인트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일례로 립틴트, 립라커 또는 립스테인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광택 수중유형 조성물{Oil in water type composition having high gloss}
본 명세서에는 수상 및 유상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은 다분기 탄화수소 합성 왁스; 및 C3~C20 알킬-C3~C20 알킬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C3~C20 alkyl-C3~C20 alkyl dimer dilinoleate);를 포함하며, PARA 필름 상에서 micro-TRI-gloss로 측정 시에 60° 광택이 110 GU 이상인, 수중유형 조성물이 개시된다.
포인트 메이크업에 해당하는 립 화장료 제품에 대한 최신 트렌드를 대표하는 키워드는 촉촉함, 저자극, 고광택이다. 그러나, 시중에 나와있는 많은 립 제품들 중에서 광택이 우수한 제품은 도포시 끈적이는 사용감을 나타내는 것들이 대부분이므로 이들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떨어지는 편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산뜻함과 착색효과를 강화시킨 립 제품들도 다수 출시되었는데, 이들은 40~50% 이상의 높은 수분 함량이 포함되어 있어 수분 증발에 의한 광택 저해가 수반되고, 궁극적으로는 시중에 나와있는 오일을 100%로 하여 제조하는 유분산 립 제품보다도 현저하게 낮은 광택을 나타내게 되므로 이들 또한 소비자들의 니즈를 채우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고 수분 함량의 립 제품에 광택 소재를 추가로 첨가하는 시도들이 존재하였는데, 대표적인 광택 소재로 에틸셀룰로스(ethylcellulose)이 다양하게 연구되었다. 그러나, 상기 물질을 첨가하여 제조한 립 제품의 경우 립에서 다소 균일하지 못한 도포만이 가능하였으며, 자극이슈가 있는 강한 계면활성제 물질의 함유 없이는 제형 안정화가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들을 극복하여 촉촉하면서도 저자극, 고광택의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로 계면활성제와 같은 자극성분의 첨가 없이 다분기 합성 왁스와 C3~C20 알킬-C3~C20 알킬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한 수중유형 조성물이 PARA 필름 상에서 micro-TRI-gloss로 측정 시에 60°광택이 110 GU 이상의 높은 광택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103581호 KR 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059520호 KR 공개특허공보 제 10-2018-0036085호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PARA 필름 상에서 micro-TRI-gloss로 측정 시에 60° 광택이 110 GU 이상인 수중유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수상 및 유상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은 다분기 합성 왁스; 및 C3~C20 알킬-C3~C20 알킬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를 포함하며, PARA 필름 상에서 micro-TRI-gloss로 측정 시에 60° 광택이 110 GU 이상인 수중유형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조성물은 발랐을 때 산뜻함을 제공하면서도 고광택을 나타내고, 동시에 우수한 착색 효과를 나타낸다. 더욱이,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조성물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같은 자극 유발성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저자극 물질로, 사용시 피부에 트러블을 발생시키지 않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일례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조성물은 다양한 포인트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일례로 립틴트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수상 및 유상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은 다분기 합성 왁스; 및 C3~C20 알킬-C3~C20 알킬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C3~C20 alkyl-C3~C20 alkyl dimer dilinoleate);를 포함하며, PARA 필름 상에서 micro-TRI-gloss로 측정 시에 60° 광택이 110 GU 이상인 수중유형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례로 상기 광택 수준은 PARA 필름 상에서 micro-TRI-gloss로 측정 시에 60° 광택이 110 GU 이상, 120 GU 이상, 130 GU 이상, 140 GU 이상, 150 GU 이상, 160 GU 이상, 170 GU 이상, 180 GU 이상, 190 GU 이상, 200 GU 이상, 210 GU 이상, 220 GU 이상, 230 GU 이상, 240 GU 이상, 250 GU 이하, 260 GU 이하, 270 GU 이하, 280 GU 이하, 290 GU 이하, 300 GU 이하, 310 GU 이하, 320 GU 이하 330 GU 이하, 340 GU 이하, 350 GU 이하, 360 GU 이하, 370 GU 이하, 380 GU 이하, 390 GU 이하, 400 GU 이하의 높은 광택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에 나타낸 광택 수준으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합성 왁스'는 인공적인 석유화학 공정을 거쳐서 생산되거나,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등의 합성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왁스를 지칭하는 것으로, '다분기 합성 왁스(branched synthetic wax)'는 직쇄형이 아닌 가지 형태를 가지는 합성 왁스를 지칭하며, 일례로 이를 도식화하면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고, 이때, 화학식 1 내 R은 C2 알킬, C3 알킬, C4 알킬, C5 알킬, C6 알킬, C7 알킬, C8 알킬, C9 알킬, C10 알킬, C11 알킬, C12 알킬, C13 알킬, C14 알킬, C15 알킬, C16 알킬, C17 알킬, C18 알킬, C19 알킬, C20 알킬, C21 알킬, C22 알킬, C23 알킬, C24 알킬, C25 알킬, C26 알킬, C27 알킬, C28 알킬, C29 알킬, C30 알킬일 수 있으며, 각 R들은 서로 동일한 탄소수의 알킬일 수도 있고, 상이한 탄소수의 알킬일 수도 있다.
[화학식 1]
일 측면에서, 다분기 합성 왁스는 -1.5℃ 이상, -1℃ 이상, -0.5℃ 이상, 0℃, 0.5℃ 이상, 1℃ 이상, 1.5℃ 이상, 2℃ 이상, 2.5℃ 이상, 3℃ 이상, 3.5℃ 이상, 4℃ 이상, 4.5℃ 이상, 5℃ 이하, 5.5℃ 이하, 6℃ 이하, 6.5℃ 이하, 7℃ 이하, 7.5℃ 이하, 8℃ 이하, 8.5℃ 이하, 9℃ 이하, 9.5℃ 이하 10℃ 이하, 10.5℃ 이하, 11℃ 이하, 11.5℃ 이하, 12℃ 이하, 12.5℃ 이하, 13℃ 이하, 13.5℃ 이하, 14℃ 이하, 14.5℃이하, 15℃ 이하, 15.5℃ 이하, 16℃ 이하, 16.5℃ 이하, 17℃ 이하, 17.5℃ 이하, 18℃ 이하, 18.5℃ 이하, 19℃ 이하, 19.5℃ 이하, 20℃ 이하의 녹는점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다분기 합성 왁스의 분자량은 950 g/mol 초과, 951 g/mol 이상, 955 g/mol 이상, 960 g/mol 이상, 965 g/mol 이상, 970 g/mol 이상, 975 g/mol 이상, 980 g/mol 이상, 985 g/mol 이상, 990 g/mol 이상, 995 g/mol 이상, 1000 g/mol 이상, 1010 g/mol 이상, 1020 g/mol 이상, 1030 g/mol 이상, 1040 g/mol 이상, 1050 g/mol 이상, 1060 g/mol 이상, 1070 g/mol 이상, 1080 g/mol 이상, 1090 g/mol 이하, 1100 g/mol 이하, 1110 g/mol 이하, 1120 g/mol 이하, 1130 g/mol 이하, 1140 g/mol 이하, 1150 g/mol 이하, 1160 g/mol 이하, 1170 g/mol 이하, 1180 g/mol 이하, 1190 g/mol 이하, 1200 g/mol 이하, 1210 g/mol 이하, 1220 g/mol 이하, 1230 g/mol 이하, 1240 g/mol 이하, 1249 g/mo 이하, 1250 g/mol 미만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다분기 합성 왁스는 포화 탄화수소 구조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다분기 합성 왁스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 초과, 16 이상, 17 이상, 18 이상, 19 이상, 20 이상, 21 이상, 22 이상, 23 이상, 24 이상, 25 이상, 26 이상, 27 이상, 28 이상 29 이상, 30 이상, 31 이상, 32 이상, 33 이상, 34 이상, 35 이상, 36 이상, 37 이상, 38 이상, 39 이상, 40 이상, 41 이상, 42 이상, 43 이상, 44 이상, 45 이상, 46 이상, 47 이상, 48 이상, 49 이상, 50 이상, 51 이하, 52 이하, 53 이하, 54 이하, 55 이하, 56 이하, 57 이하, 58 이하, 59 이하, 60 이하, 61 이하, 62 이하, 63 이하, 64 이하, 65 이하, 66 이하, 67 이하, 68 이하, 69 이하, 70 미만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C3~C20 알킬-C3~C20 알킬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C3~C20 alkyl-C3~C20 alkyl dimer dilinoleate)'는 하기 화학식 2에서 R1 또는 R2가 C3 알킬, C4 알킬, C5 알킬, C6 알킬, C7 알킬, C8 알킬, C9 알킬, C10 알킬, C11 알킬, C12 알킬, C13 알킬, C14 알킬, C15 알킬, C16 알킬, C17 알킬, C18 알킬, C19 알킬 또는 C20 알킬인 화합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R1 또는 R2는 서로 동일한 탄소수의 알킬일 수도 있고, 상이한 탄소수의 알킬일 수도 있다.
[화학식 2]
일 측면에서, 상기 C3~C20 알킬-C3~C20 알킬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는 다이이소프로필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 파이토스테릴 이소스테릴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 다이파이토스테릴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 및 다이이소스테릴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C3~C20 알킬-C3~C20 알킬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이상, 6 이상, 7 이상, 8 이상, 9 이상, 10 이상, 11 이상, 12 이상, 13 이상, 14 이하, 15 이하, 16 이하, 17 이하, 18 이하, 19 이하, 20 이하, 21 이하, 22 이하, 23 이하, 24 이하, 25 이하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다분기 합성 왁스; 및 상기 C3~C20 알킬-C3~C20 알킬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의 중량 비율은 다분기 합성 왁스는 1 이상, 2 이상, 3 이상, 4 이상, 5 이상, 6 이하, 7 이하, 8 이하, 9 이하, 10 이하이고 C3~C20 알킬-C3~C20 알킬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는 1인 중량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조성물 내 수상은 20 초과, 21 이상, 22 이상, 23 이상, 24 이상, 25 이상, 26 이상, 27 이상, 28 이상, 29 이상, 30 이상, 31 이하, 32 이하, 33 이하, 34 이하, 35 이하, 36 이하, 37 이하, 38 이하, 39 이하, 40 이하, 41 이하, 42 이하, 43 이하, 44 이하, 45 이하, 46 이하, 47 이하, 48 이하, 49 이하, 50 미만 중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 물이 조성물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이하이면 촉촉한 사용감을 나타내지 못하고, 50 중량% 이상이면 조성물 내 수분 증발에 의한 광택 손실이 크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조성물은 저자극 물질로, 구체적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일례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SLS(Sodium lauryl sulfate) 계면활성제, LES(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계면활성제, SLES(Sodium laureth sulfate) 계면활성제, 올리브 계면활성제 또는 ALS(Ammonium lauryl sulfate) 계면활성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SLS 계면활성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조성물의 점도는, 30℃에서 24시간 동안 밀봉하여 방치한 후 실온(22℃)에서 지름이 45 mm인 원통에 담아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viscometer) DV-II+ Pro를 이용하여 1분 동안 12 rpm 속도 조건에서 측정하였을 때 10,000 이상, 11,000 이상, 12,000 이상, 13,000 이상, 14,000 이상, 15,000 이상, 16,000 이상, 17,000 이상, 18,000 이상, 19,000 이상, 20,000 이상, 21,000 이상, 22,000 이상, 23,000 이상, 24,000 이상, 25,000 이상, 26,000 이상, 27,000 이상, 28,000 이상, 29,000 이상, 30,000 이상, 35,000 이상, 40,000 이상, 45,000 이상, 50,000 이상, 55,000 이상, 60,000 이상, 65,000 이상, 70,000 이하, 75,000 이하, 80,000 이하, 85,000 이하, 90,000 이하, 100,000 이하, 110,000 이하, 120,000 이하, 130,000 이하, 140,000 이하, 150,000 이하, 160,000 이하, 170,000 이하, 180,000 이하, 190,000 이하, 200,000 이하 cp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착색제'는 인체의 일부분에 색을 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색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착색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착색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5 이상, 0.1 이상, 0.5 이상, 1 이상, 1.5 이상, 2 이상, 2.5 이상, 3 이상, 3.5 이상, 4 이상, 4.5 이상, 5 이상, 5.5 이상, 6 이하, 6.5 이하, 7 이하, 7.5 이하, 8 이하, 8.5 이하, 9 이하, 9.5 이하, 10 이하, 10.5 이하, 11 이하, 11.5 이하, 12 이하, 12.5 이하, 13 이하, 13.5 이하, 14 이하, 14.5 이하, 15 이하, 15.5 이하, 16 이하, 16.5 이하, 17 이하, 17.5 이하, 18 이하, 18.5 이하, 19 이하, 19.5 이하, 20 이하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착색제는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안료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이상, 0.5 이상, 1 이상, 1.5 이상, 2 이하, 2.5 이하, 3 이하, 3.5 이하, 4 이하 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 것이고, 염료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이상, 0.02 이상, 0.03 이상, 0.04 이상, 0.05 이상, 0.06 이상, 0.07 이상, 0.08 이상, 0.09 이상, 0.1 이상, 0.3 이상, 0.4 이상, 0.5 이하, 0.7 이하, 0.9 이하, 1 이하, 1.1 이하, 1.2 이하, 1.3 이하, 1.4 이하, 1.5 이하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의 외관을 아름답게 하는 모든 물질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포인트 메이크업용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일례로 립틴트, 립라커 또는 립스테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 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부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에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알란토인 등의 보조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락하며,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내에서 사용된 '또는'은 명확하게 반대하는 내용을 명시하고 있지 않는 한, '및'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조성물의 제조 및 이들의 광택 및 점도 확인
다분기 합성왁스의 분자량을 달리하여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에 개시한 조성(단위: 중량%)으로 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에 따라 상온에서 혼합하여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분기 합성 왁스들은 Baker huges사에서 구매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후, 각각의 실시예 1 내지 3의 수중유형 조성물 100 g을 30℃에서 밀폐용기에 담아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실온(22℃)에서 지름이 45 mm인 원통에 담아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viscometer) DV-II+ Pro를 이용하여 1분 동안 12 rpm 속도 조건에서 점도를 측정하였고, 각각의 실시예 1 내지 3의 수중유형 조성물 1 g을 파라필름(PARA FILM, American National Can사)에 얇게 도포한 후 micro-TRI-gloss (BYK Gardner 사)를 이용하여 각도 60도에서 확인되는 광택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성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합성왁스(다분기) 분자량 1,000(g/mol)) 25 - - -
합성왁스(다분기) 분자량 990(g/mol) - 25 - -
합성왁스(다분기) 분자량 1,200(g/mol) - - 25 -
합성왁스(다분기) 분자량 1,250(g/mol) - - - 25
파이토스테릴 이소스테아릴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 25 25 25 25
합성왁스(선형) - - - -
폴리소르베이트 60 3 3 3 3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4 4 4 4
안료(Color pigment) 2 2 2 2
기타 오일 6 6 6 6
30 30 30 30
부틸렌 글리콜 3 3 3 3
염료(Color dye) 0.5 0.5 0.5 0.5
보존제 1 1 1 1
Agar 0.5 0.5 0.5 0.5
광택(GU) 122 110 141 유화
안됨
점도(RT) 70,000 70,000 70,000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나 분자량만을 달리하는 경우, 990 g/mol, 1,000 g/mol, 1200 g/mol의 분자량의 합성왁스를 사용하여 제조한 수중유형 조성물은 최소 110 GU의 광택 수준을 보였고, 특히 1,000 g/mol이상의 분자량을 나타내는 합성왁스를 사용하였을 때는 120 GU 이상의 광택 수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1250 g/mol의 분자량을 이상의 다분기 합성 왁스를 사용하여 제조한 비교예 1의 조성물은 제형 자체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는 동일한 구조의 합성 왁스의 분자량이 수중유형 조성물의 제형 형성 및 이들의 광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을 나타낸다.
비교예 2 내지 5 조성물의 제조 및 이들의 광택 및 점도 확인
다분기 합성왁스의 함량, 물의 함량을 달리하거나, 또는 선형 합성 왁스를 이용하여 비교예 2 내지 5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2에 개시한 조성(단위: 중량%)으로 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에 따라 상온에서 혼합하여 실시예 4 및 비교예 2 내지 4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선형 합성 왁스들은 Baker huges사에서 구매한 것을 사용하였다.
(참고로, 선형 합성왁스는 1,000 g/mol 대신 700 g/mol의 분자량을 가진 물질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1,000 g/mol의 선형 왁스를 사용하는 경우 융점이 너무 높아 과도하게 딱딱한 물질이 제조되므로 융점이 100 ℃ 정도로 나오는 700 g/mol의 선형 합성왁스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 후, 비교예 4의 수중유형 조성물 100 g을 30℃에서 밀폐용기에 담아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실온(약 22 ℃)에서 지름이 45 mm인 원통에 담아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viscometer) DV-II+ Pro를 이용하여 1분 동안 12 rpm 속도 조건에서 점도를 측정하였고, 비교예 4의 수중유형 조성물 1 g을 파라필름(PARA FILM, American National Can사)에 얇게 도포한 후 micro-TRI-gloss (BYK Gardner 사)를 이용하여 각도 60도에서 확인되는 광택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구성 실시예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합성왁스(다분기) 분자량 1,000(g/mol) 25 70 30 15 -
파이토스테릴 이소스테아릴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 25 30 15 25
합성왁스(선형) 분자량 700(g/mol) - - - 25
폴리소르베이트 60 3 3 3 2.1 3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4 4 4 2.8 4
안료(Color pigment) 2 2 1.4 1.4 2
기타 오일 6 6 4.5 4.5 6
30 10 20 50 30
부틸렌 글리콜 3 3 3 3 3
염료(Color dye) 0.5 0.5 0.5 0.5 0.5
보존제 1 1 1 1 1
한천(Agar) 0.5 0.5 0.5 0.5 0.5
광택(GU) 122 유화
안됨
유화
안됨
80 유화
안됨
점도(RT) 70,000 8,000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분기 합성 왁스의 함량이 65%를 초과하는 비교예 2의 조성물은 제형 자체가 형성되지 않았다. 또한, 물의 함량이 20 중량% 이하로 첨가한 비교예 3의 조성물은 제형이 형성되지 않았으며, 물의 함량을 50 중량% 이상으로 첨가한 비교예 4의 수중유형 조성물은 낮은 광택 수준을 나타내었다. 합성왁스의 구조를 달리한 선형 합성 왁스를 이용하여 제조한 비교예 5의 조성물 또한 제형 자체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매우 딱딱한 부분과 수분 부분이 혼재되어 있어 도포가 거의 불가능하였다. 이는 다분기 합성 왁스의 함량, 물의 함량 및 합성 왁스의 구조 모두 조성물의 제형의 형성 및 이들의 광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6, 7 조성물의 제조 및 이들의 광택 및 점도 확인
다분기 합성왁스와 C3~C20 알킬-C3~C20 알킬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의 함량 비율을 달리하여 실시예 4 및 비교예 6, 7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3에 개시한 조성(단위: 중량%)로 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에 따라 상온에서 혼합하여 실시예 4 및 비교예 6, 7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후, 각각의 실시예 4 및 비교예 7의 수중유형 조성물 100 g을 30℃에서 밀폐용기에 담아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실온(약 22 ℃)에서 지름이 45 mm인 원통에 담아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viscometer) DV-II+ Pro를 이용하여 1분 동안 12 rpm 속도 조건에서 점도를 측정하였고, 각각의 실시예 4 및 비교예 7 수중유형 조성물 1 g을 파라필름(PARA FILM, American National Can사)에 얇게 도포한 후 micro-TRI-gloss (BYK Gardner 사)를 이용하여 각도 60도에서 확인되는 광택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구성 실시예1 실시예4 비교예 6 비교예 7
합성왁스(다분기) 분자량 1,000(g/mol)) 25 40 45.9 23.7
파이토스테릴 이소스테아릴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 25 10 4.1 26.3
합성왁스(선형) - - - -
폴리소르베이트 60 3 3 3 3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4 4 4 4
안료(Color pigment) 2 2 2 2
기타 오일 6 6 6 6
30 30 30 30
부틸렌 글리콜 3 3 3 3
염료(Color dye) 0.5 0.5 0.5 0.5
보존제 1 1 1 1
한천(Agar) 0.5 0.5 0.5 0.5
광택(GU) 122 131 유화안됨 98
점도(RT) 70,000 75,000 65,000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분기 합성왁스와 파이토스테릴 이소스테아릴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의 비율을 1:1 내지 4:1 비율로 첨가한 실시예 1 및 4의 수중유형 조성물은 우수한 광택도를 가짐을 확인하였으나, 다분기 합성왁스와 파이토스테릴 이소스테아릴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의 비율을 약 11.19:1 내지 0.90:1 비율로 첨가한 비교예 6 및 7의 수중유형 조성물들은 유화가 되지 않거나 낮은 수준의 광택을 나타낼 뿐이다. 이는 다분기 합성왁스와 C3~C20 알킬-C3~C20 알킬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의 함량 비율이 조성물의 제형의 형성 및 이들의 광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을 나타낸다.

Claims (16)

  1. 수상 및 유상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은 다분기 합성 왁스; 및 C3~C20 알킬-C3~C20 알킬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C3~C20 alkyl-C3~C20 alkyl dimer dilinoleate);를 포함하며,
    상기 수상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초과 50 미만 중량%의 물을 포함하고,
    PARA 필름 상에서 micro-TRI-gloss로 측정 시에 60°광택이 110 GU 이상인, 수중유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기 합성 왁스의 녹는점은 -1.5 내지 20℃인 수중유형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기 합성 왁스의 분자량은 950 g/mol 초과 1250 g/mol 미만인 수중유형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기 합성 왁스는 포화 탄화수소 구조인 수중유형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기 합성 왁스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 초과 7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수중유형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3~C20 알킬-C3~C20 알킬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는 다이이소프로필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 파이토스테릴 이소스테릴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 다이파이토스테릴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 및 다이이소스테릴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 중 하나 이상인 수중유형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3~C20 알킬-C3~C20 알킬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5 중량%로 포함하는 수중유형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기 합성 왁스; 및 상기 C3~C20 알킬-C3~C20 알킬 다이머 다이리놀레이트는 1~10 : 1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수중유형 조성물.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형 조성물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지 않는 수중유형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형 조성물의 점도는 브룩필드 점도계 DV-II+ Pro를 이용하여 1분 동안 12 rpm 속도 조건에서 측정할 때 10,000 내지 200,000 cps인 수중유형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착색제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수중유형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수중유형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수중유형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포인트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인 수중유형 조성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인 수중유형 조성물.
KR1020180154579A 2018-12-04 2018-12-04 고광택 수중유형 조성물 KR102645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579A KR102645442B1 (ko) 2018-12-04 2018-12-04 고광택 수중유형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579A KR102645442B1 (ko) 2018-12-04 2018-12-04 고광택 수중유형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572A KR20200067572A (ko) 2020-06-12
KR102645442B1 true KR102645442B1 (ko) 2024-03-11

Family

ID=7108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579A KR102645442B1 (ko) 2018-12-04 2018-12-04 고광택 수중유형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7730A (ko) 2021-10-01 2023-04-10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8133A (ja) * 1998-12-14 2000-06-27 L'oreal Sa ワックス高含有のo/w型エマルジョン形態の組成物、及び化粧料及び皮膚科学分野におけるその使用
JP2009518385A (ja) 2005-12-08 2009-05-07 ロレアル ダイマージリノール酸とポリオールとのエステル及び半結晶性ポリマーを含む化粧料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13298A1 (en) * 2005-07-08 2007-0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pophilic personal care composition
KR101058201B1 (ko) 2008-11-26 2011-08-22 (주)아모레퍼시픽 다색상 입체무늬를 가지는 화장료의 제조방법
KR101114137B1 (ko) * 2009-09-30 2012-03-13 (주)아모레퍼시픽 저온 분산 제조 공정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의 제조방법
KR101729534B1 (ko) * 2010-04-23 2017-04-25 (주)아모레퍼시픽 폴리글리세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JP5280490B2 (ja) * 2011-06-01 2013-09-04 株式会社 資生堂 唇用固形化粧料
KR20160103581A (ko) 2015-02-24 2016-09-02 코스맥스 주식회사 소프트한 피부 촉감을 갖는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610442B1 (ko) 2016-09-30 2023-12-06 (주)아모레퍼시픽 입술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8133A (ja) * 1998-12-14 2000-06-27 L'oreal Sa ワックス高含有のo/w型エマルジョン形態の組成物、及び化粧料及び皮膚科学分野におけるその使用
JP2009518385A (ja) 2005-12-08 2009-05-07 ロレアル ダイマージリノール酸とポリオールとのエステル及び半結晶性ポリマーを含む化粧料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572A (ko) 2020-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1421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0092A (ko) 내상점증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6092038B2 (ja) 乳化組成物
KR20180057815A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188422B1 (ko) 유중수형(Water-in-oil) 타입의 입체적 형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05998B1 (ko)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1823022B1 (ko)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쉐이딩용 수분산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45442B1 (ko) 고광택 수중유형 조성물
KR20150085932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10753535A (zh) 用于化妆和护理嘴唇的水包油乳剂
EP1001732B1 (de) Schellackhaltiges kosmetisches produkt
KR101823336B1 (ko) 마스카라 조성물
KR20190037454A (ko) 프라이밍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0294B1 (ko) 실온 충진이 가능한 고경도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4872A (ko) 천연 유래 점증제를 포함하는 유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KR102359444B1 (ko) 매트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0462A (ko) 천연색소 변색방지용 조성물
KR101472315B1 (ko) 헥토라이트, 미세 분쇄 안료를 함유하는 크림형태의 아이라이너 화장료 조성물
KR102575778B1 (ko) 고함량의 안료가 균일하게 분산된 저점도 수중유형 조성물
KR102002282B1 (ko) 투명 겔 화장료 조성물
KR101780709B1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9125A (ko) 유분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59445B1 (ko) 수중유형 스틱형 조성물
KR101700114B1 (ko) 립 코팅과 롱 래스팅 효과를 가지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