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258A - 라이프 로그를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라이프 로그를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258A
KR20200067258A KR1020180010765A KR20180010765A KR20200067258A KR 20200067258 A KR20200067258 A KR 20200067258A KR 1020180010765 A KR1020180010765 A KR 1020180010765A KR 20180010765 A KR20180010765 A KR 20180010765A KR 20200067258 A KR20200067258 A KR 20200067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oute
life log
route guidan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67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17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user history, behaviour, conditions or preferences, e.g. predicted or inferred from previous use or current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23Multimodal routing, i.e. combining two or more modes of transportation, where the modes can be any of, e.g. driving, walking, cycling, public trans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84Personalized, e.g. from learned user behaviour or user-defined prof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9Fuel consumption; Energy use; Emission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피트니스를 위해서 유저의 라이프 로그를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저의 라이프 로그 정보에 연동시킨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경로 안내 시스템은, 유저의 라이프 로그 정보를 라이프 로그 취득 장치로부터 카 내비게이션 장치에 짜 넣는 수단과, 경로 안내를 위한 이동 조건 및 유저의 액티비티에 관한 조건을 포함한 복수의 조건 중에서 적어도 1개의 조건이 유저에 의해 선택되어 설정되는 조건 설정 수단과, 라이프 로그 정보 및 조건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경로 안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경로 안내하는 수단은, 유저에 의해 설정된 목적지 및 목적지에의 도달 예정 시각에 기초하여, 유저가 운전하는 차량 이외의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할지 또는 나머지의 시간을 운동에 소비하는 장소를 유저에게 제안하는 경로 안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라이프 로그를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Navigation System using Lifelog}
본 발명은 라이프 로그를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이프 로그 취득 장치에서 취득된 유저의 라이프 로그 정보를 카 내비게이션(car navigation) 장치에 짜 넣어 경로를 안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카 내비게이션 장치(이하, 간단히 「카 내비」라고도 칭함)는 자가용차, 택시, 트럭, 버스 등 대부분의 차량에 탑재되고 있다. 또한, 카 내비게이션은 경로 안내로서 고속도로 우선, 일반도로 우선, 시간 우선, 요금 우선, 정체 회피 등의 복수의 경로를 제안하여, 유저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하, 간단히 「어플」이라고도 칭함)으로서 보행자 전용의 내비게이션, 이른바 「보행자 내비」도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웨어러블 장치로서 보행 속도, 보행 피치, 보행 거리, 보행 시간, 신장/체중의 등록에 의해 소비 칼로리 등의 활동량계 기능을 가지는 리스트형 워치가 보급되고 있고, GPS 등의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수신기를 탑재하여 정확한 위치·고도 및 시각 정보를 취득하여 유저의 이동 위치를 트레이스 하는 것, 광맥박계를 이용한 심박수 계측 기능을 탑재한 것,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를 조합하여 운동 상태나 수면 상태 등의 컨디션을 판단하는 것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정보를 기록하고, 크래들(Cradle)에 장착하여 USB 등의 유선 통신이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직접 스마트폰이나 PC(퍼스널 컴퓨터)에 전송하며, 더욱이 인터넷이나 무선 통신 사업자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클라우드상의 서버에 보존하는 것과 함께, 유저가 보기 쉬운 표시 형태로 변환하여 다시 스마트폰이나 PC에 표시시키는 것이 있다. 활동량계 기능의 일부는 어플을 설치(인스톨) 하는 것으로 스마트폰 상에 구현시킨 것도 있다.
스마트폰 기능의 하나로서, 유저의 예정이나 행동을 기록하는 스케쥴러는, 일반적으로 설치(인스톨)되어 있는 기능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활동량계 기능에 의해 계측된 유저의 활동 이력이나 스케쥴러에 기록된 유저의 행동 이력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으로 송수신 된 메일의 기록 이력도 포함하여 「라이프 로그」라고 총칭한다.
국제 공개 제 2009/147711호 일본국 공개 특허 2014-025799호 공보 일본국 공개 특허 2007-303991호 공보 일본국 공개 특허 2008-23400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피트니스를 위하여 유저의 라이프 로그를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한 경로 안내 시스템은, 유저의 라이프 로그 정보에 연동시킨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경로 안내 시스템이며, 유저의 라이프 로그 정보를 라이프 로그 취득 장치로부터 카 내비게이션 장치에 짜 넣는 수단과, 경로 안내를 위한 이동 조건 및 액티비티에 관한 조건을 포함한 복수의 조건 중에서 적어도 1개의 조건이 유저에 의해 선택되어 설정되는 조건 설정 수단과, 상기 라이프 로그 정보 및 상기 조건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 안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로 안내 수단은, 유저에 의해 설정된 목적지 및 상기 목적지에의 도달 예정 시각에 기초하여, 유저가 운전하는 차량 이외의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하거나 또는 나머지의 시간을 운동에 소비하는 장소를 유저에게 제안하는 경로 안내를 포함한다.
상기 라이프 로그 정보는, 유저의 생체 정보, 운동에 관한 정보, 이동 이력, 및 스케줄 정보 중의 적어도 1개의 이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건 설정 수단의 복수의 조건은, 상기 유저가 운전하는 차량만의 이동 수단을 이용하는 통상과 같이, 도착 예정 시각을 설정하는 시간 우선, 유저의 운동 수단을 선택하는 운동 수단 우선, 차량의 연비 또는 유저의 운동량을 우선하는 에코 우선, 및 비용이 최소가 되는 비용 우선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로 안내 시스템은, 유저가 이동한 경로 이력을 유저가 평가한 만족도와 함께 기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저가 이동한 경로 이력은, 상기 유저가 평가한 만족도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 안내의 우선도에 반영될 수 있다.
상기 라이프 로그 취득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 또는 휴대 정보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카 내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라이프 로그 취득 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재하여 상기 라이프 로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로 안내 시스템에 의하면,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 나머지의 시간을 시간 조정이나 운동에 활용할 수 있고, 자동차의 주행을 유저의 흥미에 맞추어 도보 및 자전거도 활용한 운동이나 이동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연비 향상, 운동량의 촉진, 시간의 유효 활용이 가능해지고, 차량의 이동과 운전자의 건강을 양립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크 앤드 라이드의 사상에 기초하는 환경을 배려한 행동으로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라이프 로그를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경로 안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경로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에 대한 경로 안내의 제안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구체적인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라이프 로그를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유저가 운전하는 차량(자동차, 4)에 탑재된 카 내비게이션 장치(카 내비)의 경로 안내 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이며, 유저가 오피스(회사, 2)에서 자택(1)에 귀가하는 경우의 경로 안내를 상정한다. 유저가 그대로 곧바로 귀가하는 경우, 카 내비게이션은, 통상과 같이 귀가하는 경로(5)를 안내하고, 유저는 운전하는 차량에서 내리지 않고 귀가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유저가 상용하는 라이프 로그 취득 장치에서 취득된 라이프 로그 정보, 예를 들면 손목 시계(wrist watch) 형의 활동량계로 취득된 운동에 관한 정보나 스마트폰의 이력 정보를 카 내비게이션에 IEEE 802.15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USB 등의 유선 통신 수단을 개재하여 짜 넣고, 카 내비게이션은 취득한 라이프 로그 정보를 참조하여, 유저의 예정 또는 행동 이력으로부터 평상시 귀가하는 시각보다 빠른지, 혹은 시간에 여유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보행이나 조깅 등의 운동이 가능한 공원(3), 애슬래틱 필드, 피트니스 클럽, 스포츠 짐 등을 경유지로 설정한 1개이상의 경로(6)의 후보를 그 시간, 거리, 소비 칼로리 등과 함께 유저에게 제안한다. 유저는 카 내비게이션이 제안한 복수의 경유지를 경유하는 경로(6)의 후보로부터, 여유 시간, 운동량, 비용 등을 고려하여 원하는 경로(6)를 선택하고 카 내비게이션에 그 경로(6)를 지시한다. 라이프 로그의 혼잡은, 카 내비게이션이 기동시에 손목 시계형 활동량계나 스마트폰 등의 라이프 로그 취득 장치를 인식한 경우에 자동적으로, 혹은 유저에 의해 임의로 카 내비게이션 및 라이프 로그 취득 장치의 쌍방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행하여진다.
본 발명은, 유저가 오피스(2)나 직장에서 자택(1)으로 귀가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외출처, 출장처, 여행처 등을 목적지로 설정한 경우에도 적용된다. 그 경우, 카 내비게이션은, 요금, 혼잡도, 정체 등을 고려하여 주차장을 제안하고, 그곳으로부터 라이프 로그에 기초하여 도보나 자전거 등의 이동 수단을 제안한다. 물론, 그 경우에 피트니스나 산책이 가능한 장소나 트레킹 루트 등도 제안 후보로 한다.
또한, 손목 시계형 활동량계나 스마트폰 등의 라이프 로그 취득 장치를 휴대 하여 유저의 이동 상태를 상시 기록하고, 카 내비게이션은 기록 축적된 이동 속도나 가속도 등의 정보로부터,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이동 수단을 특정하여 그 이동 수단을 학습한다. 학습 정보로서 유저가 차량(4)을 운전한 후, 언제 어느 이동 수단을 선택하는 것이 많은지, 예를 들면 도보, 조깅, 자전거 등의 이용 이동 수단을 특정하여 그 이용 일시 등을 기록 보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카 내비게이션은, 유저가 운전하는 차량(4)에서 그대로 목적지에 직행하는 것을 전제로 경로 안내를 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운동이나 다른 이동 수단을 포함한 경로(6)를 선택 사항으로서 선택하도록 하는 것으로, 목적지까지 시간의 여유가 있는 경우, 나머지의 시간을 운동 등에 활용할 수 있어, 도착 시간까지의 시간 조정에 이용할 수도 있어, 시간 절약도 된다.
또한, 목적지의 직전까지 운전 차량(4)을 이용하지 않고, 요금, 혼잡도, 정체 등을 고려한 근처의 주차장을 이용하는 것으로, 차량(4)의 연비 향상, 유저의 소비 칼로리의 증가 등을 꾀할 수 있어, 파크 앤드 라이드의 사상에 기초하는 환경을 배려한 행동도 된다. 더욱이, 이동 시간이 경로상에서 정체가 상정되는 시간대가 되는 것이 명확한 경우, 운전 차량에서의 이동 시간을 운동 시간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시간의 유효 이용을 꾀하게도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경로 안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경로 안내 시스템은 카 내비게이션 장치(10), 웨어러블 장치(30a), 휴대 정보 단말 장치(30b) 등으로 구성된다.
카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제어부(11), 기억부(12), 입력부(13), 출력부(14), 인터페이스부(15), 통신부(16), 센서(17) 등으로 구성되고, 해당하는 하드웨어 및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된 라이프 로그 정보 입수 수단(21), 라이프 로그 정보 반영 수단(22), 조건 설정 수단(23), 경로 안내 수단(24), 경로 이력 기억 수단(25) 등으로 구성된다.
웨어러블 장치(30a)는 복수의 센서를 내장한 손목 시계형의 활동량계이며, 활동량계 기능으로서 보행 피치, 보행 거리, 보행 시간, 보행 속도 등을 계측·연산하고, 신장/체중의 등록에 의해 소비 칼로리 등을 계산한다. 또한, GPS 등의 GNSS 수신기를 내장하는 것으로, 정확한, 위치, 고도, 시각을 취득한다. 더욱이, 생체 정보로서 맥박이나 운동에 관한 정보로서 가속도를 계측하는 것으로, 웨어러블 장치(30a)를 장착한 유저의 운동 상태나 건강 상태 등의 컨디션을 판단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웨어러블 장치(30a)에서 취득된 정보는, 라이프 로그 정보로서 카 내비게이션 장치(10)의 기동시 또는 유저에 의해 임의로 카 내비게이션 장치(10)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재하여 전송되고,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크래들에 웨어러블 장치(30a)를 장착하는 것으로 USB 등의 유선 통신이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직접 스마트폰이나 PC(퍼스널 컴퓨터)에 전송되고, 더욱이 인터넷이나 무선 통신 사업자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클라우드 상의 서버에 보존됨과 함께, 서버에서 유저가 소망하는 표시 형태로 처리되어 다시 스마트폰이나 PC로 전송되어 표시된다.
휴대 정보 단말 장치(30b)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단말이며, 여러가지 센서를 내장하는 스마트폰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 하는 것으로, 웨어러블 장치(30a)에 짜 넣어진 활동량계 일부의 기능이 구현되고, 또한 일반적인 기능으로서 유저의 예정이나 행동을 기록한 스케쥴러, 메일이나 전화의 송수신 기록 등이 포함된다.
휴대 정보 단말 장치(30b)에서 취득된 정보는, 라이프 로그 정보로서 카 내비게이션 장치(10)의 기동시 또는 유저에 의해 임의로 카 내비게이션 장치(10)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재하여 전송되고,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USB 등의 유선 통신에 의해 PC를 개재하여 인터넷이나 무선 통신 사업자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클라우드 상의 서버에 보존됨과 함께, 서버에서 유저가 소망하는 표시 형태로 처리되고 다시 휴대 정보 단말 장치(30b)나 PC로 전송되어 표시된다.
제어부(11)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10) 전체의 제어를 맡아, 각 하드웨어의 제어나 정보의 수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및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와의 제휴에 의해 기능하는 각 수단을 구현한다.
기억부(12)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이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코드를 보존하는 ROM,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존하는 RAM,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생성되는 데이터나 어플리케이션이 이용하는 데이터를 항구적으로 보존하는 플래쉬 메모리나 SSD(Solid State Drive) 등을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 카드나 USB 인터페이스에 의한 외부 기억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입력부(13)은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구성된 터치 패널을 포함한 조작 패널, 음성 인식을 위한 마이크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14)는 각종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그 외의 경고 램프, 음성 출력으로서 스피커, 경고 버저 등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5)는 차량 내장의 컴퓨터와 통신하고, 예를 들면 ECU(Electorical Controll Unit)로부터 ODB(On-board diagnostics, 2)를 개재하여 차량의 정보 수수를 행한다.
통신부(16)은 외부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을 개재하여 정보의 수수를 행한다. 유선 통신 수단에는 USB 인터페이스가 포함되고, USB를 개재하여 음악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무선 통신 수단에는, IEEE 802. 15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포함되고, 손목 시계형 활동량계 등의 웨어러블 장치(30a),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정보 단말 장치(30b)와 통신하여 정보의 수수를 행한다.
센서(17)은 복수의 센서로 이루어지고, 차량의 전후 또는 주위를 포함한 차량의 내외를 촬영하는 카메라, 위치·고도 및 시각 정보를 취득하는 GNSS 센서, 차량 상태를 검지하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충격 센서, 주위 상태를 검지하는 온도센서, 습도 센서 등을 포함한다.
라이프 로그 입수 수단(21)은 통신부(16)을 개재하여 IEEE 802. 15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활동량계 기능을 갖춘 손목 시계형 웨어러블 장치(30b)로부터, 유저의 보행 피치, 이동 거리, 이동 시간, 이동 속도, 이동 경로, 이동 시각, 소비 칼로리, 심박수 등의 라이프 로그 정보를 취득하여 기억부(12)에 보존한다. 또한,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정보 단말 장치(30b)의 스케쥴러나 메일 기록으로부터 통신부(16)을 개재하여 IEEE 802. 15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유저의 예정이나 행동 기록 등의 라이프 로그 정보를 취득하여 기억부(12)에 보존한다.
라이프 로그 반영 수단(22)는 웨어러블 장치(30a) 및 휴대 정보 단말 장치(30b)를 포함한 라이프 로그 취득 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재하여 카 내비게이션 장치(10)에 전송되어 짜 넣어진 라이프 로그 정보를, 조건 설정 수단(23)에 반영시킨다. 라이프 로그 입수 수단(21)에 의해 짜 넣어진 라이프 로그 정보는, 유저에게 제안하는 경로에 반영되고, 유저가 제안된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조건의 우선도에 반영된다.
조건 설정 수단(23)은 라이프 로그 반영 수단(22)에 의해 유저의 라이프 로그에 기초하여 설정된 우선도에 기초하여 후보가 된 경로에 대해, 경로 안내를 위한 이동 조건 및 유저의 액티비티에 관한 조건을 포함한 복수의 조건을 유저에게 제시하고, 제시된 복수의 조건 중에서 유저의 선택에 의해 적어도 1개의 조건이 설정된다.
경로 안내 수단(24)은 조건 설정 수단(23)을 개재하여 유저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경로 중의 하나 이상의 조건에 기초하여, 미리 대응하는 라이프 로그 정보와 함께 기억부(12)에 등록된 경유지의 정보를 검색하여, 유저의 라이프 로그 정보가 반영된 1개이상의 경로를 제안한다.
경로 이력 기억 수단(25)은 유저가 실제로 이동한 경로를 이력 정보로서 유저가 평가한 만족도와 함께 기억부(12)에 보존한다. 유저가 이동한 경로에 대한 만족도는, 라이프 로그 정보 반영 수단(22) 및 조건 설정 수단(23)에 피드백되고, 유저가 평가한 만족도에 기초하여 경로 안내의 우선도에 반영된다. 유저가 평가하는 만족도로서 내비게이션 장치(10)의 지도상의 해당하는 위치에 북마크하는 기능을 이용한다. 만족도의 랭크에는 색 구분 등의 속성 정보를 부여한다.
또한, 카 내비게이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방법 등, 그 외의 각종 기능이나 구체적인 조작 방법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가 애매하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또한, 도 2의 실시 형태에서는, 라이프 로그 취득 장치로서 웨어러블 장치(30a)와 휴대 정보 단말 장치(30b)로 나누어 도시하고 있지만, 웨어러블 장치(30a)에 스케쥴러를 짜 넣을지, 혹은 휴대 정보 단말 장치(30b)에 활동량계를 짜 넣는 등에 의해, 웨어러블 장치(30a) 및 휴대 정보 단말 장치(30b)는 1개의 라이프 로그 취득 장치로서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10)의 경로 안내의 발생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목적지까지의 이동에 일정 이상의 시간적 여유가 있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유저가 서두르고 있는 경우, 카 내비게이션 장치(10)의 경로 안내 수단(24)은 통상과 같이, 고속도로 우선, 일반도로 우선, 시간 우선, 요금 우선, 정체 회피 등의 복수의 경로 중에서 유저가 선택 가능한 경로 안내를 실시한다.
카 내비게이션 장치(10)의 경로 안내 수단(24)은 여유 시간의 판단으로서 라이프 로그 정보 입수 수단(21)을 개재하여 휴대 정보 단말 장치(30b)로부터 취득된 라이프 로그에 매일 기록된 귀가 시각의 이력으로부터 산출된 평균적인 귀가 시각을 참조하여,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의 평균적인 도달시간과 비교하여 평균적인 귀가 시각까지 충분한 시간이 있는 경우에, 라이프 로그 정보 반영 수단(22) 및 조건 설정 수단(23)을 개재하여 경로 안내를 제안한다. 또한, 경로 안내 수단(24)은 휴대 정보 단말 장치(30b)로부터 취득된 스케줄 관리 데이터를 참조하여 예정이 없는 경우, 여유 시간으로 판단하여 경로를 제안한다. 예를 들면, 회사에서 자택으로 귀가할 때에 일상적으로 귀가하는 시각을 기록하고, 그 시각보다 빨리 귀가할 수 있는 경우에 목적지까지의 도달시간, 식사의 시간대, 평상시의 행동 이력을 참조하여, 유저의 루틴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후보를 제안한다.
경로 안내 수단(24)은 안내 경로의 주변에 주차장이나 운동이 가능한 공원이 있는 경우,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 및 경유하는 길이 되는 장소의 왕복 시간에 유저가 선택한 운동 시간을 더한 시간의 확보가 가능한 경우에만, 조건 설정 수단(23)을 개재하여 선택 사항을 표시한다. 즉, 여유 시간을 이용하여 운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운동이 가능한 장소를 경유지로서 설정한다.
경로 안내 수단(24)은 차량의 주차가 가능하고 운동 가능한 장소를 우선하여 선택하고, 차량의 주차요금이 목적지의 주차요금과 동등한 경우는, 돌아가는 길에 발생하는 주차요금이 최소가 되는 장소를 선택한다.
다음에, 카 내비게이션 장치(10)의 경로 제안의 우선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경로 안내에 있어서의 경로의 우선도로서 스코어의 개념을 도입한다. 유저가 목적지를 지정한 시점에서, 카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이하의 파라미터(parameter)에 대한 스코어(우선도)를 계산하여, 우선 순위를 정한다. 단, 운전자가 운동을 강하게 희망하는 경우는 스코어의 무시도 가능하다.
(1) 목적지까지의 도달시간
차량의 이동 시간≥이동 시간+운동 지점까지의 왕복 시간+운동 시간이 되도록 설정한다. 이때에 운동 지점이 공원인 경우는 이동에 환산되지 않기 때문에 시간 소비가 저스코어이며, 운동과 함께 이동도 가능한 경우는 스코어가 높아진다.
(2) 유저의 취향에 따른 운동 수법을 제안
라이프 로그의 결과로부터, 평균적인 소비 칼로리나 심박수 등을 참조하여, 걷기, 조깅, 자전거 등의 이동 경로나 아슬레틱 필드, 피트니스 클럽, 스포츠 짐 등의 경유지에 우선 순위를 정하고, 유저가 선호한다고 생각되는 액티비티 수단을 제안한다. 또한, 이동 장소가 옥외 등인 경우는, 일몰 시각이나 기온이 좌우되는 계절 정보, 비나 외기 온도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후도 스코어에 가미한다.
(3) 운동으로 얻을 수 있는 에너지적인 가치
차량의 연비 절감량 및 유저가 스스로 소비할 수 있는 에너지를 고려하여, 예를 들면 연비를 향상시키면 운동 부하가 높아지는 등의 스코어를 준다.
(4) 비용의 부담
운동할 때에 필요한 주차요금 및 시설 이용요금 등, 비용의 발생을 고려한 경로를 제안한다.
(5) 과거의 만족도
1회 실시한 운동 및 경로에 대하여 경로 이력 기억 수단(25)을 개재하여 기억부(12)에 그 이력을 보존하고, 실제로 이용한 후, 다음번부터 유저의 만족도를 경로 안내에 피드백하고, 만족도가 높은 경우에 이용한 경로, 장소, 운동 수단에 대한 스코어의 비중을 늘려, 다음번부터 스코어가 높아지도록 한다.
여기서, 라이프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안내를 제안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라이프 로그에 포함되는 정보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의 생체 정보, 스케줄, 메일의 송수신 기록, 하루의 생활에 있어서의 운동이나, 출발지 및 목적지 등의 위치 정보, 이동 시간 및 이동 수단 등의 이동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카 내비게이션 장치(10)의 경로 안내에 유저의 라이프 로그 정보의 이력을 연동시키는 구체적인 예를 이하에 열거한다.
(a) (스케줄 이력 연동) 매년, 같은 계절이 되면, A 스포츠 짐에 X시경에 다니는 회수가 증가한다. →유저가 운전하는 차량이 A 스포츠 짐의 근처를 X시 부근에 지나는 일이 있는 경우, 카 내비게이션 장치(10)는 A 스포츠 짐을 경로 후보에 포함하여 제안한다.
(b) (위치 정보 이력 연동) 지난달까지 유저가 운전하는 차량으로 근처의 C유료 주차장까지 가서, 거기에서부터 천천히 걸어 목적지까지 도달하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조금 멀지만 주차요금이 저렴한 D 유료 주차장에 주차하고 빠른 걸음으로 걷게 되었다. →카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주차요금의 절약 혹은 감히 운동을 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동등한 거리이지만 더욱 주차요금이 저렴한 주차장을 제안한다.
(c) (이동 이력 연동으로 시간 우선) 유저의 라이프 로그 정보를 참조하여, 누가 운전하는 차량에 탑승하여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도, 특정의 목적지로 이동할 때에 카 내비게이션 장치(10)에 미리 내장된 경로 후보에 나오지 않는 루트를 지나고 있고 또한 시간이 단축되는 경우는, 현지 주민이 이용하는 지름길이라고 판단하여, 다음번부터 경로 후보에 포함하여 제안한다.
(d) (생체 정보 이용) 운동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경로를 유저가 승낙하고, 미리 승낙을 얻을 수 있었던 경우에 한하여, 누가 운전하는 차량에 탑승하여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도, 카 내비게이션 장치(10)는 특정의 목적지로 이동할 때에 에어콘과 연동하여 유저가 차량으로 돌아오는 타이밍에 차량 실내의 온도를 운동 후에 유저가 쾌적한 온도가 되도록 조정한다.
(e) (생체 정보 이용) 유저의 운동량에 대한 소비 칼로리, 차량의 연비, 및 이동 거리를 산출하여, 간식 등의 여분의 식사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에코(ECO)라고 판단하고, 그 이외의 경우는 차량의 연비가 에코라고 판단한다.
(f) (비용 최소화) 생체 정보 및 이동 이력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A라고 하는 운동 후는 칼로리가 높은 카테고리의 식사를 하는 경향이 있는 등으로부터 유저의 예상 소비 칼로리를 산출하고, 차량 이동보다 운동을 선택하는 것으로 오히려 비용이 소요되는 것 같은 선택을 하는지, 그렇지 않으면 그대로 차량 이동하는지를 각각 제안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경로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에로의 경로 안내의 제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카 내비게이션 장치(10)의 경로 안내 수단(24)은 조건 설정 수단(23)을 개재하여, A. 「통상과 같이」/B. 「시간 우선(시간 최소화)」/C. 「운동 수단 우선(선호하는 운동 방법)」/D. 「에코 우선(연비, 소비 에너지)」/E. 「비용 우선」중에서 유저가 소망하는 조건을 선택시킨다. 각 선택 사항에는, 유저가 설정 가능한 파라미터가 있고, 스코어 계산에 반영된다.
A. 「통상과 같이」는 유저가 서두르고 있는 경우 등, 목적지까지 어디에도 들르지 않고 유저가 운전하는 차량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B. 「시간 우선」은 유저에게 도착 예정 시각을 입력시키고, 내비게이션 장치(10)는 그 시각까지 도착하는 가장 효율적인 경로가 되도록 최적화한다. C. 「운동 수단 우선」은, 보행, 조깅, 피트니스 등의 운동 수단을 포함한 액티비티 수단을 유저에게 입력시킨다. D. 「에코 우선」은 연비를 우선시킬지 또는 운동량을 우선시킬지를 유저에게 선택시킨다. E. 「비용 우선」은 비용이 들지 않는 수단을 제안한다.
먼저, 유저가 차량에 탑재된 카 내비게이션 장치(10)를 조작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 검색을 개시(S302 단계)하면, 카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검색을 행한다(S304 단계). 카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30a)나 휴대 정보 단말 장치(30b) 등의 라이프 로그 취득 장치로부터 라이프 로그 정보 입수 수단(21)에 의해 받아들여져 보존된 기억부(12)의 라이프 로그를 참조하고, 라이프 로그 정보 반영 수단(22)에 의해 일상적인 행동 및 스케줄 중에서 다음의 예정을 추정한다(S306 단계).
카 내비게이션 장치(10)는 목적지까지의 시간에 여유가 있고, 다음의 예정이 추정되는 경우(S308 단계), 「시간 우선(S320 단계)」, 「운동 수단 우선(S330 단계)」, 「에코 우선(S340 단계)」, 「비용 우선(S350 단계)」 중에서 조건 설정 수단(23) 및 경로 안내 수단(24)을 개재하여 유저에게 그 조건을 선택시킨다. S308 단계에서, 목적지까지의 시간에 여유가 없고, 다음의 예정이 추정되지 않는 경우, 통상과 같이 유저가 운전하는 차량으로 그대로 목적지까지 직행하는 최단 후보를 제안한다(S310 단계). 카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이동 경로가 선택되면 경로 제안을 종료하고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를 개시한다(S312 단계).
「시간 우선(S320 단계)」이 선택되면, 카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유저에게 목적지에의 도착 예정 시각을 입력시키고(S322 단계), 도달 예정 시각부터 이동 시간을 역산하여 여유 시간을 산출하고(S324 단계), 라이프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여유 시간내에 왕복, 이동 가능한 이동 수단을 미리 기억부(12)에 등록된 정보로부터 검색하여(S326 단계), 유저에게 1개이상의 경로를 제안하여 선택시킨다(S328 단계). 카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이동 경로가 선택되면 경로 제안을 종료하여 경유지를 거친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를 개시한다(S312 단계).
「운동 수단 우선(S330 단계)」가 선택되면, 카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유저에게 경유지에서의 보행, 조깅, 피트니스 등의 운동 수단을 포함한 액티비티 수단을 입력시키고(S332) 단계), 유저가 입력한 운동 수단 및 라이프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가능한 장소의 후보와 왕복 시간 및 운동 가능한 시간을 미리 기억부(12)에 등록된 정보로부터 검색하여(S336 단계), 유저에게 1개이상의 경로를 제안하여 선택시킨다(S338 단계). 카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이동 경로가 선택되면 경로 제안을 종료하고 경유지를 거친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를 개시한다(S312 단계).
「에코 우선(S340 단계)」이 선택되면, 카 내비게이션 장치(10)는 라이프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자전거나 도보 등, 미리 기억부(12)에 기억된 정보로부터 유저가 운전하는 차량을 사용하지 않고 목적지로 이동 가능한 경로를 미리 기억부(12)에 등록된 정보로부터 검색하여(S346 단계), 유저에게 1개이상의 경로를 제안하여 선택시킨다(S348 단계). 카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이동 경로가 선택되면 경로 제안을 종료하고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를 개시한다(S312 단계).
「비용 우선(S350 단계)」가 선택되면, 카 내비게이션 장치(10)는 라이프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모든 이동 수단 중에서 비용이 최소가 되는 경로를 미리 기억부(12)에 등록된 정보로부터 검색하고(S356 단계), 유저에게 1개이상의 경로를 제안하여 선택시킨다(S358 단계). 카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이동 경로가 선택되면 경로 제안을 종료하고 경유지를 거친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를 개시한다(S312 단계).
상기 유저가 선택하는 조건은,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으로 복수 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라이프 로그를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의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동작예를 몇 개를 열거한다.
(a) 돌아가는 길에 시간의 여유가 있어 운동하기로 했다. 유저는 내비게이션 장치(10)에 자택에의 도착 예정 시각을 입력하고, 내비게이션 장치(10)는 도착 예정 시각까지 귀가 가능한 범위에 있는 공원에서의 조깅을 제안한다.
(b) 일상적으로 조깅을 하는 경우, 어떤 시점에서 자전거 운동을 제안한다. 자전거의 이동도가 도보나 조깅에 비해 높은 것으로부터, 자동차에서의 이동을 자전거로 바꾸면, 비용의 삭감과 운동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c) 관광지에 가기 위해서 시가지의 중심부를 목적지로 설정.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시가지의 중심부로부터 도보로 15분 정도 멀어진 주차장을 이용하여, 거기에서 강가의 산책길로의 도보 이동을 제안한다. 이것에 의해 주차요금이 저렴해지고, 정체를 피하게 되고, 따라서 도착 시각도 앞당겨져, 관광의 관점에서도 유저의 만족도가 향상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라이프 로그를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은, 목적지까지 들르도록 제안한 도중의 경로의 이동 시에, 휴대 정보 단말 장치(30b)에 경로 안내 시스템에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 하는 것으로, 카 내비게이션 장치(10)로부터 휴대 정보 단말 장치(30b)의 보행자 내비게이션에 연속하여 유저를 안내할 수도 있다. 그 경우, 보행자 내비게이션 중에 차량을 주차한 장소로 돌아갈 때까지의 시간을 표시하는 것이나, 시간을 알려주는 주의 환기 메세지나 알람을 울릴 수도 있다.
또한, 경로 안내에 있어서의 경유지의 후보에 계절, 기후, 요일, 시간대 등의 요인을 가미하는 것으로, 박물관의 휴관일이나 개폐관 시각, 정원의 휴원일이나 개폐원시각, 추천하는 야경, 꽃가루 알레르기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장소 등을 고려한 제안을 하는 일도 가능하다. 더욱이, 카 내비게이션에 짜 넣어진 라이프 로그 정보 및 라이프 로그에 기초하여 학습된 정보는, 카 내비게이션 본체가 아닌 취출이 가능한 메모리 카드 등에 보존하여, 차량의 교환 또는 카 내비게이션을 교환할 때에, 이행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자택 2 : 회사(오피스)
3 : 공원 4 : 자동차(유저가 운전하는 차량)
5 : 통상 그대로의 경로
6 : 라이프 로그 정보에 기초하는 경로
10 : 카 내비게이션(카 내비게이션 장치)
11 : 제어부 12 : 기억부
13 : 입력부 14 : 출력부
15 : 인터페이스부 16 : 통신부
17 : 센서 21 : 라이프 로그 정보 입수 수단
22 : 라이프 로그 정보 반영 수단 23 : 조건 설정 수단
24 : 경로 안내 수단 25 : 경로 이력 기억 수단
30a : 웨어러블 장치(활동량계) 30b : 휴대 정보 단말 장치(스마트폰)

Claims (12)

  1. 유저의 라이프 로그 정보에 연동시킨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경로 안내 시스템이며,
    유저의 라이프 로그 정보를 라이프 로그 취득 장치로부터 카 내비게이션 장치에 짜 넣는 수단과,
    경로 안내를 위한 이동 조건 및 유저의 액티비티에 관한 조건을 포함한 복수의 조건중에서 적어도 1개의 조건이 유저에 의해 선택되어 설정되는 조건 설정 수단과,
    상기 라이프 로그 정보 및 상기 조건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 안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로 안내 수단은, 유저에 의해 설정된 목적지 및 상기 목적지까지의 도달 예정 시각에 기초하여, 유저가 운전하는 차량 이외의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할지 또는 나머지의 시간을 운동에 소비하는 장소를 유저에게 제안하는 경로 안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 로그 정보는 유저의 생체 정보, 운동에 관한 정보, 이동 이력, 및 스케줄 정보 중의 적어도 1개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설정 수단의 복수의 조건은, 상기 유저가 운전하는 차량만의 이동 수단을 이용하는 통상과 같이, 도착 예정 시각을 설정하는 시간 우선, 유저의 운동 수단을 선택하는 운동 수단 우선, 차량의 연비 또는 유저의 운동량을 우선하는 에코 우선, 및 비용이 최소가 되는 비용 우선의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유저가 이동한 경로 이력을 유저가 평가한 만족도와 함께 기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저가 이동한 경로 이력은, 상기 유저가 평가한 만족도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 안내의 우선도에 반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 로그 취득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 또는 휴대 정보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카 내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라이프 로그 취득 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재하여 상기 라이프 로그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시스템.
  6. 유저의 라이프 로그 정보로 연동시킨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경로 안내 방법이며,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목적지까지 경로 검색을 시작하는 단계와,
    저장된 유저의 라이프 로그 정보를 참조하여 유저의 일상적인 행동 및 스케줄로부터 다음 예정이 추정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다음 예정으로 추정된 경우 복수의 경로 안내 조건을 표시하고 유저에게 선택하게 하는 단계와,
    다음 예정으로 추정되지 않을 경우, 목적지까지 직행하는 경로 후보를 표시하고 유저에게 선택하게 하는 단계와,
    경로 검색을 종료하고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라이프 로그 정보를 외부의 라이프 로그 취득 장치로부터 카 내비게이션 장치에 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 로그 정보는 유저의 생체 정보, 운동에 관한 정보, 이동 이력, 및 스케줄 정보 중 적어도 1개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경로 안내 조건을 표시하고 유저에게 선택하게 하는 단계는,
    유저에 의하여 설정된 목적지 및 그 목적지 도달 예정 시간에 근거하여, 유저가 운전하는 차량 이외의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하거나, 남는 시간을 운동으로 소비하는 장소를 유저가 선택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경로 안내 조건을 표시하고 유저에게 선택하게 하는 단계는,
    경로 안내를 위한 이동 조건 및 유저의 행동에 관한 조건을 포함한 복수의 경로 안내 조건 중에서 적어도 1가지 조건을 유저에게 선택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경로 안내 조건을 표시하고 유저에게 선택하게 하는 단계는,
    유저가 운전하는 차량만 이동 수단으로 이용할 때인 통상과 같이, 도착 예정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 우선, 유저의 운동 수단을 선택하는 운동 수단 우선, 차량의 연비 또는 유저의 운동량을 우선하는 에코 우선, 및 비용이 최소로 되는 비용 우선 중에서 적어도 1가지 조건을 유저에게 선택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이동한 경로 이력을 유저가 평가한 만족도와 함께 기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저가 이동한 경로 이력은 상기 유저가 평가한 만족도에 근거하여 상기 경로 안내의 우선도에 반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KR1020180010765A 2017-05-18 2018-01-29 라이프 로그를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 KR202000672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99253A JP2018194471A (ja) 2017-05-18 2017-05-18 ライフログを利用した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経路案内方法
JPJP-P-2017-099253 2017-05-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258A true KR20200067258A (ko) 2020-06-12

Family

ID=64271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765A KR20200067258A (ko) 2017-05-18 2018-01-29 라이프 로그를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07982B2 (ko)
JP (1) JP2018194471A (ko)
KR (1) KR202000672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5471B2 (en) 2017-05-09 2019-12-03 Uber Technologies, Inc. Destination changes in autonomous vehicles
WO2020157992A1 (ja) * 2019-02-01 2020-08-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健康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7293068B2 (ja) * 2019-09-20 2023-06-19 クリタ・ビーエムエス株式会社 蒸気質評価装置及び蒸気質評価方法
US11195152B2 (en) * 2019-10-21 2021-12-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lendar aware activity planner
CN111750888B (zh) * 2020-06-17 2021-05-04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信息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3991A (ja) 2006-05-12 2007-11-22 Fujitsu Ten Ltd 消費カロリー算出機能付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234009A (ja) 2007-03-16 2008-10-02 Denso Corp 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
WO2009147711A1 (ja) 2008-06-02 2009-12-1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4025799A (ja) 2012-07-26 2014-02-06 Nissan Motor Co Ltd 経路探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3345A (zh) 2012-11-26 2015-07-29 P·弗莱彻 用于奖励通勤者的系统和方法
KR20120135396A (ko) 2012-12-03 2012-12-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심리적 상태를 고려한 스마트폰용 앱 자동 추천시스템
CN105229422B (zh) * 2013-03-15 2018-04-27 大众汽车有限公司 自动驾驶路线规划应用
US20150127191A1 (en) * 2013-11-06 2015-05-07 Saswat Misra Vehicular network
CN107004242B (zh) 2014-12-09 2021-02-26 庆熙大学校产学协力团 以移动通信终端为基础的生活指导方法、移动通信终端及记录该方法的计算机可读取的记录介质
US10753749B2 (en) * 2017-02-13 2020-08-25 Conduent Business Services, Llc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recommended exercise with transportation direc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3991A (ja) 2006-05-12 2007-11-22 Fujitsu Ten Ltd 消費カロリー算出機能付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234009A (ja) 2007-03-16 2008-10-02 Denso Corp 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
WO2009147711A1 (ja) 2008-06-02 2009-12-1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4025799A (ja) 2012-07-26 2014-02-06 Nissan Motor Co Ltd 経路探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07982B2 (en) 2021-02-02
US20180335310A1 (en) 2018-11-22
JP2018194471A (ja) 2018-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7258A (ko) 라이프 로그를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
US99893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navigation
US99707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exercise routes
JP3233048B2 (ja) 経路案内装置
WO2012124259A1 (ja) 情報端末、情報提供サーバ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9638542B2 (en) Method and system of route scheduling and presenting route-based fuel information
US20180043212A1 (en)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recommending a route based on a user's physical condition
US20120150429A1 (en) Method and arrangement relating to navigation
JP2015011699A (ja) コンテンツ提供装置、その提供方法及びサーバ
CN102413231A (zh) 移动终端和日程提醒方法
JP2008175773A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11248918B2 (en) Integrated training navigation system
WO2018159366A1 (ja) 施設評価装置及び施設評価方法
JP2017000353A (ja) スポーツ活動記録装置、スポーツ活動記録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ーが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
CN110431376A (zh) 信息分析装置和路径信息分析方法
US8949026B2 (en) Navigation server, navigation apparatus, and navigation system
US20180047194A1 (en) Information output system, information output method, and information output program
JP6036010B2 (ja) 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システム、会員端末、サーバー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8025517A (ja) 情報出力システム、情報出力方法、及び情報出力プログラム
JP5355826B2 (ja) 情報提示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6161378A (ja) 電子機器、計算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12867A (ja) ナビサーバ、ナビ装置およびナビシステム
JP2014235161A (ja) 経路案内装置、サーバ及び経路案内方法
JP2009068861A (ja) 移動距離に応じて変化する変化量を算出する変化量算出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および情報配信サーバならびに変化量算出方法
US10390703B2 (en)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display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