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693A -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693A
KR20200066693A KR1020207013428A KR20207013428A KR20200066693A KR 20200066693 A KR20200066693 A KR 20200066693A KR 1020207013428 A KR1020207013428 A KR 1020207013428A KR 20207013428 A KR20207013428 A KR 20207013428A KR 20200066693 A KR20200066693 A KR 20200066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ed carbon
unit
flue gas
working conditions
uni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8354B1 (ko
Inventor
헝디 예
창츠 리우
진차오 웨이
Original Assignee
종예 창티엔 인터내셔날 엔지니어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예 창티엔 인터내셔날 엔지니어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종예 창티엔 인터내셔날 엔지니어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66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6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 B01D53/08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according to the "moving bed"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7Pressure sw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20Halogens or halogen compounds
    • B01D2257/202Single element halogens
    • B01D2257/2027Fluor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83Flu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2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tw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3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three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4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four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6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more than four be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효과적으로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를 처리할 수 있는 플루가스 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를 통해 여러 가지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복수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포함하는 집적탑과 탈거탑으로 조성된 정화 처리 시스템에 반송하여 매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 의해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서 오염물을 흡수한 활성탄이 하나의 탈거탑을 통해 활성탄의 탈거와 활성화를 진행한 다음 다시 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 반송하여 순환 사용하도록 한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정화 처리 시스템은 각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독립적으로 처리하고 각 작업 조건 플루가스의 순조로움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배출 표준이 각각 상이하도록 하며 각 작업 조건 플루가스의 운행 파라미터가 각각 상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탈거탑의 이용률과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본 발명은 활성탄 플루가스 정화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활성탄으로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정화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인 바 기체 정화 기술분야에 속한다.
강철기업은 전반 국민경제의 지주기업이지만 이가 경제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하는 동시에 엄중한 대기오염문제도 수반한다. 강철기업 내에는 수많은 공정, 예하면 소결, 펠레타이징, 코킹, 제철, 제강 및 철강 압연 등 공정에서 플루가스를 배출하게 되는데 매 공정마다에서 배출된 플루가스에는 대량의 분진, SO2와 NOX 등 오염물이 포함되어 있다. 오염 플루가스가 대기 중에 배출되면 환경을 오염시킬뿐만 아니라 인체건강에도 위협을 준다. 이를 위해 강철기업에서는 통상적으로 활성탄 플루가스 정화기술을 사용하는데, 즉 플루가스 정화장치에 흡수기능을 가지는 재료(예하면 활성탄)를 넣어 플루가스를 흡수함으로써 매 공정에서 배출된 플루가스에 대한 정화처리를 실현한다.
기존의 강철기업의 활성탄 플루가스 정화기술은 플루가스 정화 시스템에 도 1에 도시된 활성탄 플루가스 정화 시스템을 적용하며, 이 시스템은, 생가스(raw gas)를 정화하고 오염 활성탄을 배출하기 위한 흡수탑(吸收塔), 오염 활성탄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활성탄을 배출하기 위한 탈거탑(脫去塔), 오염물 SO2와 NOX를 재활용하기 위한 제산(制酸) 서브 시스템(도시하지 않았음), 및 두 대의 활성탄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시스템이 운행될 경우 제1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된 활성탄은 재료 공급장치를 거쳐 흡수탑에 진입되어 흡수탑 내에서 활성탄 재료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오염물 SO2와 NOX를 함유한 생가스는 끊임없이 흡수탑에 진입되고 진일보 활성탄 재료층에 진입됨으로써 생가스 중의 SO2와 NOX가 활성탄에 의해 흡수되어 클린가스(clean gas)로되어 배출된다. 흡수탑의 재료 배출장치는 지속적으로 작동하여 흡수탑 내의 SO2와 NOX가 농축된 오염 활성탄을 배출한 다음 다시 제2 컨베이어에 의해 탈거탑에 반송된다. 제2 컨베이어가 반송한 오염 활성탄은 재료 공급장치를 거쳐 탈거탑에 진입함으로써 SO2와 NOX 등의 오염물이 오염 활성탄에서 석출되어 활성화 활성탄으로 된다. 재료 배출장치는 탈거탑 중의 활성화된 활성탄을 배출하여 제1 컨베이어으로 흡수탑으로 반송하여 재활용한다.
도 1에 도시된 활성탄 플루가스 정화 시스템의 한가지 적용방식은 기업이 매개 플루가스 배출공정에 모두 한 세트의 흡수탑과 한 세트의 탈거탑을 설치하고 매 쌍의 흡수탑과 탈거탑은 동시에 작동하여 기업의 매개 공정에서 발생한 오염 플루가스에 대한 정화작업을 완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강철기업의 매개 공정의 규모 및 발생하는 플루가스량이 상이하므로 가장 바람직한 플루가스 정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이한 규모의 공정에 있어서 규모가 매칭되는 플루가스 정화장치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는 강철기업 내에 설치되는 플루가스 정화장치의 종류가 많아지게 된다. 매개 플루가스 정화장치를 위해 독립적 활성탄 탈거탑을 각각 배치하면 강철기업 내의 활성탄 탈거탑의 설치수량이 너무 많아져 강철기업 내의 플루가스 정화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조가 복잡해지고 매 공정마다에서 발생하는 플루가스가 단독적으로 처리되어 플루가스 정화 시스템의 운행효율이 낮아지고 탈거탑을 대량적으로 투여함에 있어서 설비 자원을 낭비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관리 난이도를 증가시켜 버린다. 따라서 플루가스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플루가스 정화 시스템을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 하는 것은 본 분야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되었다.
기존 기술에 있어서, 여러 공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병합한 다음 활성탄 흡수탑을 통해 정화 처리를 진행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공법에는 다음과 같은 결함이 존재한다. (1) 한가지 공정마다 발생하는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함량이 상이하여 여러 공정의 플루가스를 병합한 다음 오염물 함량이 적은 플루가스를 혼합하여 오염물 함량을 증가함으로써 흡수탑의 처리 부하를 증가시키고; (2) 만약 간단하게 상이한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를 하나의 말단 정화 흡수장치에 집중시키면 흐름장(Flow Field)이 서로 간섭되어 메인 공법의 배출 독특성에 영향을 줌과 동시에 각 작업 조건의 생산제도가 상이하여 간단히 플루가스를 집중시키면 메인 공법의 생산 안정성 또는 말단 정화장치의 안정적인 운행과 안전성에 영향을 주게 되며; (3) 나라와 업계에서 여러 공정에서 발생하는 플루가스에 대한 배출표준이 상이한 바, 예하면 코킹공정에서의 플루가스 배출표준은 이산화유황 함량이 30mg/Nm3보다 낮고 질소산화물 함량이 150mg/Nm3보다 낮아야 하지만, 소결공정에서의 배출표준은 이산화유황 함량이 180mg/Nm3보다 낮고 질소산화물 함량이 300mg/Nm3보다 낮아야 하며, 초저 배출 표준은 이산화유황 함량이 35mg/Nm3보다 낮고 질소산화물 함량이 50mg/Nm3보다 낮도록 요구하였다. 따라서 상이한 공정에서 발생하는 플루가스가 활성탄 흡수탑을 거쳐 처리된 후 플루가스의 오염물을 배출하는 배출표준은 상이한 바, 만약 여러 공정의 플루가스를 병합한 후 활성탄 흡수탑에 의해 정화 처리를 진행하면 처리후 배출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함량이 동일해지고, 만약 모든 공정에서 플루가스 배출표준 중의 제일 낮은 표준으로 배출하면 공기를 오염시키는 것은 자명하며 업계 표준에 부합되지 않고; 만약 모든 공정에서 플루가스 배출표준 중의 제일 높은 표준으로 배출하면 운영 코스트가 크게 증가하게 된다.
기존 기술에 있어서 플루가스 정화 처리 시스템의 투입이 크고 효율이 낮은 등 문제에 대해, 본 발명은 복수 공정에 있어서의 플루가스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플루가스 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를 통해 여러 작업 조건에서 발생하는 플루가스를 집적탑(集積塔)과 하나의 탈거탑을 포함하는 정화 처리 시스템에 반송하되, 매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하는 플루가스는 독립적으로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거쳐 처리되고, 그 다음 처리된 플루가스는 배출되고;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서 오염물을 흡수한 활성탄은 하나의 탈거탑을 통해 활성탄의 탈거와 활성화를 진행한 다음 다시 각각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으로 반송되어 재활용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은 각각의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단독적으로 처리한 다음 활성탄을 통일적으로 탈거하여 탈거탑의 투입을 대폭 절감하고 설비 자원을 절약하며 기업의 관리 난이도를 저하시킴과 동시에 탈거탑의 이용률과 작업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첫번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은 집적탑, 탈거탑, 제1 활성탄 반송설비, 제2 활성탄 반송설비,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를 포함한다. 집적탑은 병렬 설치된 복수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포함한다. 매개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상단부에는 재료 유입구가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재료 배출구가 설치된다. 모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재료 배출구는 제1 활성탄 반송설비를 통해 탈거탑의 재료 유입구와 연결된다. 탈거탑의 재료 배출구는 제2 활성탄 반송설비를 통해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재료 유입구와 연결된다.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중 매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각각 독립적으로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기체 유입구에 연결된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이 시스템은 배기 파이프, 연통을 더 포함한다.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기체 유출구에는 모두 배기 파이프가 연결되어 있다. 배기 파이프는 연통과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모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기체 유출구와 연결된 배기 파이프는 병합한 후 연통과 연결되어 통일적으로 배출한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기체 유출구와 연결된 배기 파이프는 독립적으로 하나의 연통과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배출한다.
본 발명에서 이 시스템의 집적탑은 n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포함하고 m곳의 작업 조건에서 플루가스를 발생하며 m곳의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중 매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각각 독립적으로 하나의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를 통해 h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기체 유입구에 연결하고, 여기서 n은 2 내지 10이고, 바람직하기는 3 내지 6이고 2≤m≤n이며 1≤h≤(n-m+1)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n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기체 유출구와 연결된 배기 파이프는 j개의 연통과 연결되며 1≤j≤n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n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긴밀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n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서로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바람직한 것으로서, 이웃한 상기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사이의 간극은 10 내지 5000cm이고, 바람직하기는 20 내지 3000cm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는 50 내지 2000cm 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이 시스템의 집적탑은 3개 또는 4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포함한다. A작업 조건, B작업 조건과 C작업 조건인 3곳의 작업 조건에서 플루가스를 발생한다. A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제1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를 통해 1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기체 유입구에 연결된다. B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제2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를 통해 1개 또는 2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기체 유입구에 연결된다. C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제3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를 통해 1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기체 유입구에 연결된다. A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는 1개의 연통과 연결된다. B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1개 또는 2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는 1개의 연통과 연결된다. C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는 1개의 연통과 연결된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제1 활성탄 반송설비와 제2 활성탄 반송설비는 벨트식 반송장치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제1 활성탄 반송설비와 제2 활성탄 반송설비는 “Z”형 또는 역“Z”형의 전체 컨베이어이거나 또는 제1 활성탄 반송설비와 제2 활성탄 반송설비는 각각 여러 대의 반송장치로 조성된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각각 독립적으로 일단식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거나 또는 다단식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n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서의 1-n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기체 유출구와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이단식 흡수탑과 연결된 다음 이단식 흡수탑의 기체 유출구가 다시 연통과 연결된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이 시스템은 재료 공급장치와 재료 배출장치를 더 포함한다.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상단부에는 모두 하나의 재료 공급장치가 설치된다. 제2 활성탄 반송설비는 하나의 독립적 재료 공급장치를 통해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재료 유입구와 연결된다.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재료 배출구에는 모두 하나의 재료 배출장치가 설치된다.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재료 배출구는 재료 배출장치를 통해 제1 활성탄 반송설비와 연결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두번째 실시형태에 근거하면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방법 또는 첫번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 플루가스 처리 시스템에서의 집적탑에 n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과 1개의 탈거탑을 설치하고 n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서로 독립적으로 병렬 설치하는 단계;
2) m곳의 작업 조건에서 플루가스를 발생하고 매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를 통해 h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으로 반송하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각각 연결된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가 반송한 플루가스에 대해 흡수 처리를 진행하며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 의해 처리된 플루가스를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기체 유출구로부터 배출하는 단계;
3)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에서 플루가스를 흡수한 후의 활성탄을 재료 배출구로부터 제1 활성탄 반송설비를 통해 탈거탑으로 반송하고 흡수된 후의 활성탄을 탈거탑 내에서 탈거와 활성화를 완성한 다음 탈거탑의 재료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며 다시 제2 활성탄 반송설비를 통해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재료 유입구로 반송하는 단계;
여기서 n은 2 내지 10이고, 바람직하기는 3 내지 6이고 2≤m≤n이며 1≤h≤(n-m+1)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n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기체 유출구가 배출한 처리된 후의 플루가스를 j개의 연통(3)을 통해 배출하되 1≤j≤n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단계3)은 구체적으로, h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한 곳의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를 처리하고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함량,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의 유량을 검출하여 이 작업 조건이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유량을 얻는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유량에 근거하여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의 활성탄의 유량을 확정한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플루가스 유량 및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함량에 근거하고 아래 식에 따라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유량을 산출하되,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여기서, Qs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SO2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Cs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 SO2의 함량이며, 단위는 mg/Nm3이고;
QN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 NOX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CN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 NOX의 함량이며, 단위는 mg/Nm3이고;
V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유량이며, 단위는 Nm3/h이고;
i는 작업 조건의 순번으로서 i=1~m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상기 플루가스에서의 오염물의 유량에 근거하고 아래 식에 따라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의 활성탄의 유량을 확정하되,
Figure pct00003
여기서 Qx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의 활성탄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h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개수이고;
K1은 상수로서 일반적으로 15~21를 취하고;
K2는 상수로서 일반적으로 3~4를 취한다.
본 발명에서 탈거탑 내의 활성탄의 유량은 아래 식에 따라 얻어지고,
Figure pct00004
여기서 Qx는 탈거탑 내의 활성탄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Qx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의 활성탄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Q는 탈거탑 내에 별도로 보충한 활성탄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h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개수이고;
i는 작업 조건의 순번으로서 i=1 내지 m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유량에 근거하여 제2 활성탄 반송설비에 의해 i작업 조건에서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로 반송되는 활성탄의 유량이 Qxi로 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의 활성탄의 유량에 근거하여 이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재료 공급장치와 재료 배출장치의 유량을 확정한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아래 식에 따라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재료 공급장치 및 재료 배출장치의 유량을 확정하되,
Qi진=Qi배=Qxi×j;
여기서, Qi진은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재료 공급장치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Qi배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재료 배출장치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며;
Qx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의 활성탄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j는 조절상수이며 j는 0.8 내지 1.2이고, 바람직하기는 0.9 내지 1.1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는 0.95 내지 1.0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활성탄 흡수유닛그룹으로 칭할 수도 있다. 활성탄 흡수유닛(또는 활성탄 흡수유닛그룹)은 하나의 완전한 활성탄 흡수설비로서 기능은 기존 기술에서의 하나의 완전한 활성탄 흡수탑과 유사하다. 집적탑은 복수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병렬 설치하여 복수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의 집중체를 실현하는데 이는 복수의 활성탄 흡수탑을 병렬 설치하는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집적탑은 복수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포함하여 공간 이용률이 높고 코스트를 절약함과 동시에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긴밀히 설치되고 활성탄의 흡수가 고온 조건에서 진행되어 집적탑의 설계는 열량의 산실을 절감하고 활성탄이 플루가스를 흡수 처리하는 효율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탈거 시스템은, 상기 활성탄 탈거탑, 탈거탑 내에 진입하는 오염 활성탄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재료 공급장치, 탈거탑 내에서 활성화 처리를 거친 후의 활성화된 활성탄을 배출하기 위한 재료 배출장치, 상기 재료 배출장치가 배출한 활성화된 활성탄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장치, 선별장치를 거친 후 얻은 활성화된 활성탄을 수집하기 위한 활성화 활성탄 창고, 각 공정과 대응되는 플루가스 정화장치의 출구단과 재료 공급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각 공정에서 플루가스 정화장치가 배출한 오염 활성탄을 수집하기 위한 메인 활성탄 창고, 상기 메인 활성탄 창고와 재료 공급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메인 활성탄 창고 내의 오염 활성탄을 탈거탑으로 반송하기 위한 벨트 스케일, 및 메인 활성탄 창고 위에 설치된 신규 활성탄 보충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신규 활성탄 보충장치는 메인 활성탄 창고 내로 새로운 활성탄을 보충하는 바, 즉 탈거탑 내로 활성탄을 별도로 보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매개 플루가스 배출 작업 조건에는 독립적으로 1개 또는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설치되고 복수의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 오염 활성탄을 집중적으로 처리하는 하나의 집중 탈거탑이 설치되어 전체 공장 범위 내의 부분적 또는 모든 흡수탑과 대응함으로써 탈거탑과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사이에 한쌍 이상의 대응관계를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 진입하는 생가스의 유량, 생가스 중의 오염물의 함량 및 흡수탑에서의 활성탄의 순환 유량은 플루가스 정화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소인 바, 예하면 생가스의 유량이 증거하거나 및/또는 생가스 중의 오염물의 함량이 증가할 경우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서 활성탄의 순환 유량은 동시에 정량적으로 증가해야만 플루가스 정화효과를 확보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활성탄이 이미 포화되어 생가스 중 일부 오염물이 흡수되지 않는 현상을 초래하여 정화효과를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한 곳의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것에 근거하여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함량,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의 유량을 검출함으로써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함량을 획득하고;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유량에 근거하여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의 활성탄의 유량을 확정한다. 흡수탑에서의 활성탄의 순환 유량과 생가스의 유량 등 요소의 관계를 평행시킨다.
그 다음, 탈거탑은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배출한 오염 활성탄에 대해 집중적으로 활성화 처리를 진행하는데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규모가 각각 상이하고 이가 오염 활성탄의 재료 배출유량에 대한 크기도 각각 상이하며 탈거탑이 처리한 오염 활성탄이 상이한 공정에 설치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서 유래되어 설비의 고장, 생산계획의 조절 등 요소로 인하여 상이한 공정의 흡수탑이 출력한 활성탄 수량의 안정성도 파동이 생기게 되므로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의 활성탄의 유량에 근거하여 이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재료 공급장치와 재료 배출장치의 유량, 탈거탑 내의 활성탄의 유량을 확정함으로써 탈거탑이 오염 활성탄에 대한 처리능력과 복수의 흡수탑 활성탄 배출량의 평형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정화 처리 시스템은 다중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동시에 처리하는데 이 정화 처리 시스템은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과 하나의 탈거탑을 포함하고, 복수의 활성탄 흡수탑 유닛 또는 유닛그룹과 하나의 탈거탑은 동일한 영역 내에 설치되며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과 탈거탑 사이의 활성탄 반송은 2갈래의 활성탄 반송설비(제1 활성탄 반송설비와 제2 활성탄 반송설비)에 의해 실현되는데 여기서 제1 활성탄 반송설비는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배출한 오염물을 흡수한 활성탄을 탈거탑에 반송하고 제2 활성탄 반송설비은 탈거 후의 활성탄(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서 반송한 활성탄과 별도로 보충한 새로운 활성탄을 포함)을 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으로 반송하여 2갈래의 활성탄 반송설비를 통해 전반 활성탄 운송과 반송을 완성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분산적으로 배치할 경우의 결함을 해결하고 기존 기술에서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분산적으로 배치하여 탈거 후의 활성탄을 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 하나씩 반송하는데 강철기업의 배포가 비교적 넓고 부지면적이 넓으며 반송거리가 비교적 멀고 활성탄의 사용이 장기적이고 연속적인 것이며 활성탄을 운송하는 코스트가 비교적 높고 전문적인 운송 경로를 설계해야 하므로 자원을 낭비하게 된다. 또한 기존 기술에서 하나의 활성탄 흡수탑이 하나의 탈거탑과 매칭되는 전통적인 설계를 변화시켰는 바, 본 발명의 하나의 탈거탑은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과 매칭되어 탈거탑의 투입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탈거탑의 이용률과 작업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중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를 통해 정화 처리 시스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으로 반송되는데 여기서 매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하나의 독립적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으로 반송되는 바, 바꾸어 말하면 하나 또는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한 곳의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고 매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독립적으로 처리된다. 플루가스가 독립적으로 처리되는 설계는 각 공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의 오염물의 함량이 상이하고 배출표준이 상이한 문제에 원활하게 적응한다. 예하면 코킹공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에는 이산화유황의 함량이 100mg/Nm3좌우이고, 질소산화물의 함량이 300-1500mg/Nm3이고; 소결공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에는 이산화유황의 함량이 400-2000mg/Nm3이고, 질소산화물의 함량이 300-450mg/Nm3이고; 제철공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에는 이산화유황의 함량이 80-150mg/Nm3이고, 질소산화물의 함량이 50-100mg/Nm3이다. 그러나 나라와 관련 업계가 상이한 공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에 대한 배출표준도 상이한 바, 코킹고정에서 배출한 플루가스에 있어서 이산화유황의 함량이 30mg/Nm3좌우보다 낮고 질소산화물 함량이 150mg/Nm3보다 낮으며, 소결공정에서 배출한 플루가스에 있어서 이산화유황의 함량이 180mg/Nm3보다 낮고 질소산화물 함량이 300mg/Nm3보다 낮으며, 현재 소결 플루가스 초저 배출 표준에서는 이산화유황의 함량이 35mg/Nm3보다 낮고 질소산화물 함량이 50mg/Nm3보다 낮으며 제철공정에서 배출한 플루가스에서의 이산화유황의 함량이 100mg/Nm3보다 낮고 질소산화물 함량은 300mg/Nm3보다 낮도록 요구하였다. 만약 모든 공정의 플루가스를 직접 혼합(또는 병합)한 후 흡수 처리를 진행하게 되면 무의식중에 흡수탑의 처리량을 증가한게 된다. 예하면 코킹공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 이산화유황의 함량이 적고 소결공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 이산화유황이 많고, 혼합된 후 코킹공정에서의 플루가스 중 이산화유황이 증가하게 되어 활성탄 흡수탑이 높은 이산화유황 함량의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처리량을 증가한다. 또한, 상이한 공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 각 성분(예하면 이산화유황과 질소산화물)의 함량이 상이하고 상이한 공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중점이 상이하다. 예하면 코킹공법, 소결공법, 제철공법 이 세가지 공법에서 임의의 한 공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모두 탈황과 탈질 처리를 거쳐야 하므로 매 한가지 공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의 오염물의 함량이 모두 나라에서 규정한 배출표준보다 낮아야만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공법의 원료, 환경, 처리목적 등 요소가 상이하여 코킹공법, 소결공법, 제철공법 이 세가지 공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의 오염물의 함량이 상이하므로 나라에서 이 세가지 공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에 대해 규정한 배출표준도 상이하였다.
코킹공법과 소결공법을 비교하면, 코킹공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에는 이산화유황 함량이 비교적 적고 질소산화물의 함량이 비교적 높아 흡수 처리과정에서의 중점은 질소산화물을 처리하는 것이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 분입(噴入)해야 할 암모니아 기체의 양이 비교적 많으며, 소결공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에는 이산화유황 함량이 비교적 많고 질소산화물의 함량이 비교적 적어 흡수 처리과정에서의 중점은 이산화유황을 처리하는 것이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분입해야 할 암모니아 기체의 양이 비교적 적다.
제철공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에는 이산화유황 함량과 질소산화물의 함량이 모두 비교적 낮아 흡수 처리과정에서 이 유형의 플루가스는 코킹과 소결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와 비교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바, 간단한 탈황과 탈질 처리를 진행하면 즉시 배출 가능하며 만약 이 일부의 플루가스를 코킹 및/또는 소결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와 혼합한 후 다시 처리하면 정화 흡수 시스템의 처리량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기존 기술에서 상이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혼합한 후 함께 활성탄 흡수탑을 통해 처리되도록 하는 전통적인 기술을 개진하여 상이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통해 흡수 처리하도록 하고 각각의 상이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의 특점에 근거하여 적합하게 상이한 흡수 처리방안을 사용함으로써 각 공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처리된 플루가스가 규정된 배출표준에 완전히 도달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일 경제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을 사용하여 플루가스를 처리함으로써 처리효율이 높고 코스트가 절약된다.
플루가스는 여러 가지 작업 조건에서 발생하는 것이므로 여러 가지 플루가스의 성분, 온도 등은 모두 상이한 바, 만약 여러 가지 상이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직접적으로 병합 처리하게 되면 흡수탑의 처리부하를 크게 증가시켜 자원을 낭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정화 처리 시스템에서 집적탑은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포함하는데 매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하나 또는 복수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 의해 처리되고 매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의 특점에 근거하여 이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공법조건을 선택하고 조절하여 제일 적합한 흡수환경을 선택함으로써 전반 흡수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하면 플루가스에서의 오염물의 성분 종류, 여러 가지 성분의 함량, 플루가스의 온도 등 구체적인 실제상황에 근거하여 이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서의 활성탄의 체류시간(활성탄의 재료 공급 속도와 재료 배출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통해 실현), 흡수 처리 온도(기존의 플루가스의 공기 유입 온도, 보온장치 등을 제어하는 것을 통해 실현) 등을 조절함으로써 매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에 대해 모두 제일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흡수 처리 방식을 사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하여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처리 코스트를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제 상황에 있어서의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양의 크기에 의해, 1개, 2개 또는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원활하게 선택하여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한다. 만약 어느 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양이 비교적 적어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으로 충분히 처리할 수 있으면 집적탑에서의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선택하여 이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를 처리하도록 하고, 만약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양이 적으면 처리효과를 확보하는 전제하에서 활성탄이 이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서의 체류시간을 단축시켜 흡수 처리효과를 향상시킨다. 만약 어느 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양이 비교적 많으면 실제 수요에 따라 집적탑에서의 2개 또는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선택하여 이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를 처리하고, 만약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양이 많으면 활성탄이 이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서의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흡수 처리 효과를 확보한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만약 2개(또는 복수)의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성분, 함량, 온도 등 파라미터가 유사, 즉 2개 또는 복수의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가 비교적 유사하면 분석과 판정에 근거하여 이 유형의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병합 처리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 유형의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병합한 다음 집적탑의 1개 또는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으로 반송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n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m곳의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데 플루가스를 발생하는 작업 조건의 수량은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수량과 같을 수도 있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수량보다 적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해결수단으로서 플루가스를 발생하는 작업 조건의 수량은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수량보다 많을 수 있는데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성분이 동일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병합한 후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으로 반송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이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독립적으로 처리하여 상이한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를 하나의 영역에 집중시키고 독립적 말단 정화 흡수 장치에 입력하여 흐름장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메인 공법의 배출 독특성을 보류함으로써 메인 공법의 생산 안정성과 말단 정화 장치의 안정적인 운행과 안전성을 확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집적탑은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포함하고 탈거탑 부근에 설치되며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한 곳의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독립적으로 처리하며 독립적으로 정화 처리를 진행한다. 각각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독립적으로 운행되는 것이므로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병렬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이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 함량의 특점,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 의해 처리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배기구로 배출된 기체의 오염물의 함량에 근거하여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배기구로 배출된 기체는 독립적으로 배출될 수도 있고 병합한 다음 배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통일적으로 배출된다는 것은 모든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기체 유출구와 연결된 배기 파이프가 병합된 후 함께 연통과 연결되어 하나의 연통에 의해 배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배출된다는 것은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기체 유출구와 연결된 배기 파이프가 독립적으로 하나의 연통과 연결되는 것, 바꾸어 말하면 하나의 연통이 하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기체 유출구와 연결된 배기 파이프와 대응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매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기체 유출구와 연결된 배기 파이프는 독립적으로 하나의 연통과 연결, 바꾸어 말하면 하나의 연통은 한 곳의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와 대응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서의 일부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배기 파이프를 동일한 연통에 병합한 후 배출하고 기타 나머지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배기 파이프를 다른 한 연통에 병합한 후 배출하거나 또는 기타 나머지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배기 파이프를 독립적으로 하나의 연통과 연결하여 독립적으로 배출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집적탑의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독립적으로 각각의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한 후 배출된 기체는 실제 배출상황에 따라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 의해 처리된 플루가스를 하나의 독립적 연통을 통해 배출하는 것일 수도 있고 매개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 의해 처리된 플루가스를 하나의 연통을 통해 배출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모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 의해 처리된 플루가스를 하나의 연통을 통해 배출하는 것일 수도 있다. 총체적으로 말하면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 의해 처리된 플루가스의 배출은 실제 상황에 근거하여 원활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일단식 흡수탑 일 수도 있고 다단식 흡수탑 일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서의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한정되지 않는 바 서로 독립적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모두 일단식 흡수탑으로 조성될 수도 있고 모두 다단식 흡수탑으로 조성될 수도 있으며 또 일부 일단식 흡수탑과 일부 다단식 흡수탑으로 조성될 수도 있다.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일단식 흡수탑 또는 다단식 흡수탑을 사용하여 구체적인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 함량의 수량, 이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배출표준 등 상황에 근거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일단식 흡수탑과 다단식 흡수탑의 구조는 기존 기술에서 통상적으로 설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재료 공급장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재료 공급량과 재료 공급속도를 제어하고, 재료 배출장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재료 배출량과 재료 배출속도를 제어한다. 재료 공급량, 재료 공급속도, 재료 배출량 및 재료 배출속도는 상응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함량에 근거하여 설정한 것이다.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재료 공급량, 재료 공급속도, 재료 배출량 및 재료 배출속도는 모두 이가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특정된 상황과 서로 적응된다. 이는 상이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가 독립적으로 처리되는 것이 가져온 우세이기도 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모두 독립적 흡수 처리유닛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이용하여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한 곳의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특점에 따라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함량,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의 유량을 검출함으로써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유량을 정확히 산출할 수 있고, 그 다음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유량에 근거하여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의 활성탄을 확정할 수 있다.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모두 특정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특점, 이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의 배출표준에 근거하여 이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의 특정된 활성탄의 유량(또는 언로딩 속도라고 함)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설계는 적응성이 엄청 강하고 활용성도 강하다. 특정된 작업 조건,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의 특점, 이 작업 조건이 요구하는 배출표준, 특정된 활성탄 흡수 처리공법을 제정하고 각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독립적으로 처리하게 되면 각각의 배출표준을 동시에 만족시킴과 동시에 계산을 통해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에 제일 적합한 활성탄 유량을 사용하여 코스트를 절약하고 자원과 에너지의 낭비를 절감하며 탈거탑의 처리량을 제일 적합한 상태로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의 활성탄의 유량에 근거하여 탈거탑 내의 활성탄의 유량을 정확히 산출함으로써 활성탄의 탈거속도를 과학적으로 제어하여 전반 정화 처리 시스템으로 하여금 탈거와 흡수가 동기적으로 처리되도록 완전히 배합시켜 탈거탑의 탈거가 너무 느려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탈거탑이 활성탄을 탈거하기를 기다리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탈거탑의 탈거가 너무 빨라 탈거탑이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의 활성탄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과학적인 계산을 통해 탈거탑과 흡수탑의 정상적이고 유기적인 운행을 확보하고 과학적인 관리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정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의 활성탄의 유량에 근거하여 이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재료 공급장치의 유량과 재료 배출장치의 유량을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생산공법에서 전반 정화 처리 시스템이 일정한 시간동안 운행된 후 경험 또는 검출을 통해 이 시스템에 보충해야 할 활성탄의 양을 얻을 수 있는 바, 바꾸어 말하면 탈거탑 내로 별도로 보충한 활성탄의 유량을 얻을 수 있고 별도로 보충하는 활성탄(새로운 활성탄이라고 함)은 경험 또는 계산에 의해 얻은 탈거탑 내로 별도로 보충한 활성탄의 유량에 따라 탈거탑의 재료 유입구로부터 탈거탑으로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K1, K2는 상수로서 활성탄이 황화물과 질소산화물을 흡수 처리하는 처리능력에 따라 얻을 수도 있고 경험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j는 재료 공급장치와 재료 배출장치의 조절상수로서 경험에 의해 판단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집적탑은 복수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포함하고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규격과 사이즈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으며; 실제 공법에 있어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의 특점에 따라 이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릅의 규격을 설계할 수 있다.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의 활성탄의 층수, 활성탄의 두께, 기체 유입구와 배기구의 사이즈, 기체 유입구와 배기구의 위치 등은 모두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높이와 너비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집적탑의 횡단면은 사각형 일 수도 있고 원형 일 수도 있으며 집적탑에서의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 근거하여 형상을 확정할 수도 있다.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횡단면은 사각형 일 수도 있고 원형 일 수도 있으며 기타 형상 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n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긴밀하게 설치된다는 것은, 모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전반적인 설계로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사이에 간극이 없이 긴밀히 접촉되는 바, 바꾸어 말하면 이웃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외측벽이 서로 접촉되거나 또는 이웃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동일한 측벽을 공동으로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n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서로 사이에 간격을 둔다는 것은,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서로 독립적인 것으로서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외측 주변이 모두 공기와 접촉되고 이웃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접촉하지 않으며 이웃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사이에 간극이 구비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활성탄 반송설비와 제2 활성탄 반송설비는 각각 전체적인 구조 일 수도 있고 각각 복수의 반송장치로 조성된 반송설비 일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활성탄 반송설비(또는 제2 활성탄 반송설비)는 하나의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전반적인 반송 궤적은 “Z”형 또는 역“Z”형 구조를 이루며, 제1 활성탄 반송설비(또는 제2 활성탄 반송설비)는 또 여러 대의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매개 모터는 한단락의 반송장치를 구동하며 매 한단락의 반송장치는 직선 또는 곡선 구조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활성탄 반송설비(또는 제2 활성탄 반송설비)는 기존 기술에 있어서의 임의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고 전반적인 구조 일 수도 있으며 조립구조 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일단식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단식 또는 다단식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n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또는 모든)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이단식 흡수탑과 병렬 연결되는 바, 바꾸어 말하면 플루가스는 각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거친 후 하나 또는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배기구가 배출한 기체를 독립 또는 병합한 다음 이단식 흡수탑(또는 이단식 활성탄 흡수탑)을 통해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루가스의 특점에 근거하여 플루가스가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릅에 의해 처리된 다음 연통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데 이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은 일단식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일 수도 있고 이단식 또는 다단식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플루가스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 의해 처리된 후 n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배기구가 배출한 기체는 각각 하나의 이단식 흡수탑을 통해 재처리되거나 또는 n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배기구가 배출한 기체는 이단식 흡수탑에 의해재처리될 수 있다. 또한 n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배기구가 배출한 기체는 이단식 흡수탑에 의해 재처리되고 나머지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배기구가 배출한 기체는 별도의 독립적 이단식 흡수탑에 의해 재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이단식 흡수탑은 기존 기술에서의 활성탄 흡수탑과 유사한 바, 내부 구조는 기존 기술에서의 활성탄 흡수탑과 비슷하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높이는 10 내지 50m이고, 바람직하기는 15 내지 40m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는 18 내지 30m이다.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단면적의 길이는 2 내지 20m이고, 바람직하기는 5 내지 18m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는 8 내지 15m이고, 너비는 1 내지 15m이고, 바람직하기는 3 내지 12m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는 5 내지 10m이다. 또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단면적의 직경은 1 내지 10m이고, 바람직하기는 2 내지 8m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는 3 내지 6m이다.
기존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아래와 같은 유리한 기술적 효과를 가진다.
1. 정화 처리 시스템은 동시에 다중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데 이 정화 처리 시스템은 집적탑과 하나의 탈거탑을 포함하고 집적탑은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포함하며 집적탑과 탈거탑은 동일한 영역 내에 설치되고 집적탑과 탈거탑 사이의 활성탄 운송은 2갈래의 활성탄 반송설비에 의해 전반 활성탄의 운송과 반송을 완성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플루가스를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설계는 각 공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함량이 상이하고 배출표준이 상이한 문제에 원활하게 적응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각각의 상이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의 특점에 따라 상이한 흡수 처리 방안을 적합하게 사용함으로써 각 공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처리된 플루가스를 규정된 배출표준에 완전히 도달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일 경제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을 사용하여 플루가스 처리를 달성함으로써 처리효율이 높고 코스트를 절약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 뚜렷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에서 사용할 도면을 간단히 소개하는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대해서는 창조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는 전제하에서 이러한 도면에 근거하여 기타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기존 기술에 있어서의 활성탄 플루가스 정화 시스템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종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집적탑에 있어서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독립적으로 배출하는 구조 모식도(도 1에서 A-A위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집적탑에 있어서 모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통일적으로 배출하는 구조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집적탑에 있어서 한 곳의 작업 조건에 2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사용하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독립적으로 배출하는 구조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집적탑에 있어서 한 곳의 작업 조건에 2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사용하고, 매개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독립적으로 배출하는 구조 모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집적탑에 있어서 한 곳의 작업 조건에 2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사용하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통일적으로 배출하는 구조 모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종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플루가스가 독립적으로 배출되는 공법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종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플루가스가 통일적으로 배출되는 공법 흐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종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한 곳의 작업 조건에 2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사용하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플루가스를 독립적으로 배출하는 공법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종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한 곳의 작업 조건에 2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사용하고, 매개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플루가스를 독립적으로 배출하는 공법 흐름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종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한 곳의 작업 조건에 2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사용하고, 모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 통일적으로 배출하는 공법 흐름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종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방법에 있어서 활성탄을 계산하는 흐름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종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방법에 있어서 활성탄을 제어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첫번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은 집적탑(1), 탈거탑(2),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를 포함한다. 집적탑(1)은 병렬 설치된 복수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을 포함한다. 매개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상단부에는 재료 유입구(10101)가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재료 배출구(10102)가 설치된다. 모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배출구(10102)는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를 통해 탈거탑(2)의 재료 유입구와 연결된다. 탈거탑(2)의 재료 배출구는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를 통해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유입구(10101)와 연결된다.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에 있어서 매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각각 독립적으로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입구(10103)와 연결된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이 시스템은 배기 파이프(L) 및 연통(3)을 더 포함한다.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출구(10104)에는 모두 배기 파이프(L)가 연결된다. 배기 파이프(L)는 연통(3)과 연결된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모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출구(10104)와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병합한 후 연통(3)과 연결되어 통일적으로 배출한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출구와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독립적으로 하나의 연통(3)과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배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시스템의 집적탑(1)은 n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을 포함하고, m곳의 작업 조건에서 플루가스를 발생하며 m곳의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중 매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나의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를 통해 h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입구(10103)와 연결되는데; 여기서 n은 2 내지 10이고, 바람직하기는 3 내지 6이며, 2≤m≤n이고 1≤h≤(n-m+1)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n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출구(10104)와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j개의 연통(3)과 연결되는데; 여기서 1≤j≤n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n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은 밀접하여 설치되거나 또는 n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은 서로 사이에 간격을 둔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이웃한 상기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사이의 간격은 10 내지 5000cm이고, 바람직하기는 20 내지 3000cm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는 50 내지 2000cm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이 시스템의 집적탑(1)은 3개 또는 4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을 포함한다. A작업 조건, B작업 조건 및 C작업 조건의 3곳 작업 조건에서 플루가스를 발생한다. A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제1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a)를 통해 1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입구(10103)와 연결된다. B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제2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b)를 통해 1개 또는 2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입구(10103)와 연결된다. C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제3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c)를 통해 1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입구(10103)와 연결된다. A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1개의 연통(3)과 연결된다. B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1개 또는 2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1개의 연통(3)과 연결된다. C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1개의 연통(3)과 연결된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와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는 벨트식 반송장치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와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는 “Z”형 또는 역“Z”형의 전체적 컨베이어이거나 또는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와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는 각각 여러 대의 반송장치로 조성된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은 각각 독립적으로 일단식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거나 또는 다단식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n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에서의 1 내지 n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출구(10104)와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이단식 흡수탑과 연결된 다음 이단식 흡수탑의 기체 유출구가 다시 연통(3)과 연결된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이 시스템은 재료 공급장치(4)와 재료 배출장치(5)를 더 포함한다.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상단부에는 모두 하나의 재료 공급장치(4)가 설치된다.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는 하나의 독립적 재료 공급장치(4)를 통해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유입구(10101)와 연결된다.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배출구(10102)에는 모두 하나의 재료 배출장치(5)가 설치된다.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배출구는 재료 배출장치(5)를 통해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와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 있어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높이는 10 내지 50m이고, 바람직하기는 15 내지 40m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는 18 내지 30m이다.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횡단면의 길이는 2 내지 20m이고 바람직하기는 5-18m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는 8 내지 15m이고, 너비는 1 내지 15m이고 바람직하기는 3 내지 12m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는 5 내지 10m이다. 또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의 횡단면의 지름은 1 내지 10m이고 바람직하기는 2 내지 8m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는 3 내지 6m이다.
(실시예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은, 집적탑(1), 탈거탑(2),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를 포함한다. 집적탑(1)은 병렬 설치된 4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을 포함한다. 매개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상단부에는 재료 유입구(10101)가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재료 배출구(10102)가 설치된다. 모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배출구(10102)는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를 통해 탈거탑(2)의 재료 유입구와 연결된다. 탈거탑(2)의 재료 배출구는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를 통해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유입구(10101)와 연결된다. 이 시스템은 재료 공급장치(4)와 재료 배출장치(5)를 더 포함한다.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상단부에는 모두 하나의 재료 공급장치(4)가 설치되고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는 하나의 독립적 재료 공급장치(4)를 통해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유입구와 연결된다.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배출구에는 모두 하나의 재료 배출장치(5)가 설치되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배출구는 재료 배출장치(5)를 통해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와 연결된다.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중 매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각각 독립적으로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입구(10103)에 연결된다. 이 시스템은 배기 파이프(L), 연통(3)을 더 포함한다.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출구(10104)에는 모두 배기 파이프(L)가 연결된다. 배기 파이프(L)는 연통(3)과 연결된다.
(실시예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은, 집적탑(1), 탈거탑(2),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를 포함한다. 집적탑(1)은 병렬 설치된 3개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을 포함한다. 매개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상단부에는 재료 유입구(10101)가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재료 배출구(10102)가 설치된다. 모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배출구(10102)는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를 통해 탈거탑(2)의 재료 유입구와 연결된다. 탈거탑(2)의 재료 배출구는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를 통해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유입구(10101)와 연결된다. 이 시스템은 재료 공급장치(4)와 재료 배출장치(5)를 더 포함한다.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상단부에는 모두 하나의 재료 공급장치(4)가 설치되고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는 하나의 독립적 재료 공급장치(4)를 통해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유입구와 연결된다.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배출구에는 모두 하나의 재료 배출장치(5)가 설치되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배출구는 재료 배출장치(5)를 통해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와 연결된다. 3개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중 매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각각 독립적으로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를 통해 하나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입구(10103)에 연결된다. 이 시스템은 배기 파이프(L), 연통(3)을 더 포함한다.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출구(10104)에는 모두 배기 파이프(L)가 연결된다. 매개 배기 파이프(L)는 단독적으로 하나의 독립적 연통(3)과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배출한다.
(실시예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2를 중복하는 것이지만 3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출구(10104)는 모두 배기 파이프(L)와 연결된다. 3가닥의 배기 파이프(L)는 병합한 다음 하나의 연통(3)과 연결되어 통일적으로 배출한다.
(실시예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은, 집적탑(1), 탈거탑(2),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를 포함한다. 집적탑(1)은 병렬 설치된 4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을 포함한다. 매개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상단부에는 재료 유입구(10101)가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재료 배출구(10102)가 설치된다. 모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배출구(10102)는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를 통해 탈거탑(2)의 재료 유입구와 연결된다. 탈거탑(2)의 재료 배출구는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를 통해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유입구(10101)와 연결된다. 이 시스템은 재료 공급장치(4)와 재료 배출장치(5)를 더 포함한다.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상단부에는 모두 하나의 재료 공급장치(4)가 설치되고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는 하나의 독립적인 재료 공급장치(4)를 통해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유입구와 연결된다.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배출구에는 모두 하나의 재료 배출장치(5)가 설치되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배출구는 재료 배출장치(5)를 통해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와 연결된다. 3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 제1 작업 조건(A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제1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a)를 통해 1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입구(10103)에 연결된다. 제2 작업 조건(B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제2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b)를 통해 2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입구(10103)에 연결된다. 제3 작업 조건(C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제3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c)를 통해 1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입구(10103)에 연결된다. 제1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1개의 연통(3)과 연결된다. 제2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2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각각 독립적으로 2개의 독립적 연통(3)과 연결된다. 제3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1개의 연통(3)과 연결된다.
(실시예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4를 중복하는 것이지만, 제1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1개의 연통(3)과 연결된다. 제2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2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병합된 후 1개의 연통(3)과 연결된다. 제3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1개의 연통(3)과 연결된다.
(실시예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4를 중복하는 것이지만, 제1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L), 제2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2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L), 제3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L)를 병합한 후 1개의 연통(3)과 연결하여 통일적으로 배출한다.
(실시예7)
실시예4를 중복하는 것이지만, 4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중 2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L)를 하나의 이단식 흡수탑과 연결하고 나머지 2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L)를 연통(3)과 연결한다.
(실시예8)
실시예4를 중복하는 것이지만, 4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L)를 각각 하나의 독립적 이단식 흡수탑과 연결하고 이단식 흡수탑의 배기구를 연통(3)과 연결한다.
(실시예9)
실시예4를 중복하는 것이지만, 4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L)를 병합한 후 하나의 이단식 흡수탑과 연결하고 이단식 흡수탑의 배기구를 연통(3)과 연결한다.
(실시예10)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2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 플루가스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집적탑(1)에, 서로 독립적이며 병렬 설치된 3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1개의 탈거탑(2)을 설치하는 단계;
2) 3곳의 작업 조건에서 플루가스를 발생하는데 매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를 통해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에 반송하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은 각각 연결된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에 의해 반송된 플루가스에 대해 흡수 처리를 진행하며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에 의해 처리된 플루가스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출구(10104)로부터 배출되는 단계;
3)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에서 플루가스를 흡수한 후의 활성탄을 재료 배출구로부터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를 통해 탈거탑(2)에 반송하고 흡수된 후의 활성탄은 탈거탑(2) 내에서탈거와 활성화를 완성한 다음 탈거탑(2)의 재료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며 다시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를 통해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유입구로 반송되는 단계.
3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출구가 배출한 처리 후의 플루가스는 3개의 독립적 연통을 통해 배출된다.
(실시예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3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실시예7을 중복하는 것이지만, 3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출구가 배출한 처리 후의 플루가스는 병합된 1개의 연통을 통해 통일적으로 배출된다.
(실시예11)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4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 플루가스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집적탑(1)에,서로 독립적이며 병렬 설치된 4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1개의 탈거탑(2)을 설치하는 단계;
2) 3곳의 작업 조건에서 플루가스를 발생하는데 제1 작업 조건(A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제1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a)를 통해 1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입구(10103)에 연결되고, 제2 작업 조건(B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제2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b)를 통해 2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입구(10103)에 연결되고, 제3 작업 조건(C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제3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c)를 통해 1개의 독립적인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입구(10103)에 연결되며,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은 각각 연결된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에 의해 반송된 플루가스에 대해 흡수 처리를 진행하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에 의해 처리된 플루가스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출구(10104)로부터 배출되는 단계;
3)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에서 플루가스를 흡수한 후의 활성탄은 재료 배출구로부터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를 통해 탈거탑(2)에 반송되고, 흡수 후의 활성탄은 탈거탑(2) 내에서 탈거와 활성화를 완성한 다음 탈거탑(2)의 재료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며 다시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를 통해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유입구로 반송되는 단계.
제1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에 의해 처리된 후 1개의 연통(3)을 통해 배출되고, 제2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2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에 이해 처리된 후 2개의 독립적 연통(3)을 거쳐 배출되며, 제3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에 의해 처리된 후 1개의 연통(3)을 거쳐 배출된다.
(실시예12)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5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실시예11을 중복하는 것이지만, 제1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에 의해 처리된 후 1개의 연통(3)을 통해 배출되고, 제2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2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에 의해 처리된 후 병합되어 1개의 독립적 연통(3)을 통해 배출되며, 제3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에 의해 처리된 후 1개의 연통(3)을 통해 배출된다.
(실시예13)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6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실시예11을 중복하는 것이지만, 제1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가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에 의해 처리된 후의 기체, 제2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가 2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에 의해 처리된 후의 기체 및 제3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가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에 의해 처리된 후의 기체들은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배기구로부터 배출되어 병합한 다음 1개의 연통(3)에 연결되어 통일적으로 배출된다.
(실시예14)
실시예7을 중복하는 것이지만, 단계3)은 구체적으로,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은 한 곳의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를 처리하고,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함량,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의 유량(流量)을 검출하여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유량을 취득하고,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유량에 근거하여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의 활성탄의 유량을 확정한다.
아래 식에 따라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유량을 산출한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여기서, Qs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SO2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Cs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 SO2의 함량이며, 단위는 mg/Nm3이고;
QN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 NOX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CN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 NOX의 함량이며, 단위는 mg/Nm3이고;
V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의 유량이며, 단위는 Nm3/h이고;
i는 작업 조건의 순번으로서 i=1 내지 3이다.
아래 식에 따라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의 활성탄의 유량을 확정한다.
Figure pct00007
여기서, Qx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의 활성탄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h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개수로서 1이고;
K1은 18을 취하고;
K2는 3을 취한다.
탈거탑(2) 내의 활성탄의 유량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8
여기서, Qx는 탈거탑(2) 내의 활성탄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Qx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의 활성탄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Q는 탈거탑 내에 별도로 보충한 활성탄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h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개수로서 1이고;
i는 작업 조건의 순번으로서 i=1 내지 3이다.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의 활성탄의 유량에 근거하여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가 이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로 반송하는 활성탄의 유량이 Qxi로 되도록 제어한다.
(실시예15)
실시예11을 중복하는 것이지만, 단계3)은 구체적으로,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함량,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의 유량을 검출하여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유량을 취득하고,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유량에 근거하여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의 활성탄의 유량을 확정한다.
아래 식에 따라 플루가스에서의 오염물의 유량을 산출한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여기서, Qs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SO2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Cs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 SO2의 함량이며, 단위는 mg/Nm3이고;
QN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 NOX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CN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 NOX의 함량이며, 단위는 mg/Nm3이고;
V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의 유량이며, 단위는 Nm3/h이고;
i는 작업 조건의 순번으로서 i=1~3이다.
아래 식에 따라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의 활성탄의 유량을 확정한다.
Figure pct00011
여기서, Qx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의 활성탄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h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개수이며; 여기서 제1 작업 조건(A작업 조건)에서 처리할 때 h는 1이고 제2 작업 조건(B작업 조건)에서 처리할 때 h는 2이며 제3 작업 조건(C작업 조건)에서 처리할 때 h는 1이고;
K1은 18을 취하며;
K2는 3을 취한다.
탈거탑(2) 내의 활성탄의 유량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12
여기서, Qx는 탈거탑(2) 내의 활성탄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Qx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의 활성탄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Q는 탈거탑 내에 별도로 보충한 활성탄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h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개수이며; 여기서 제1 작업 조건(A작업 조건)에서 처리할 때 h는 1이고 제2 작업 조건(B작업 조건)에서 처리할 때 h는 2이며 제3 작업 조건(C작업 조건)에서 처리할 때 h는 1이고;
i는 작업 조건의 순번으로서 i=1~3이다.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의 활성탄의 유량에 근거하여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가 이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에 반송하는 활성탄의 유량이 Qxi로 되도록 제어한다.
(실시예16)
실시예14를 중복하는 것이지만,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의 활성탄의 유량에 근거하여 이 작업 조건에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공급장치와 재료 배출장치의 유량을 확정한다.
아래 식에 따라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공급장치 및 재료 배출장치의 유량을 확정한다.
Qi진=Qi배=Qxi×j;
여기서 Qi진은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공급장치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Qi배은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배출장치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며;
Qx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의 활성탄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j는 조절 상수로서 1을 취한다.
(실시예17)
실시예16을 중복하고 실시예5를 사용하는 시스템이지만, 이 시스템은 4곳의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며 K1은 16을 취하고 K2는 4를 취하며 j는 0.9를 취한다.
(실시예18)
코킹공법, 소결공법, 제철공법을 포함하는 어느 한 강철공장의 기존의 작업 조건 공법을 사용하되, 3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과 1개의 탈거탑을 설치하고, 3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을 병렬 설치하며;
코킹공법, 소결공법, 제철공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각각 독립적으로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 반송되어 플루가스의 정화 처리를 진행하고 탈거탑은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에서 오염물을 흡수한 활성탄에 대해 탈거와 활성화를 진행한 다음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으로 순환시키며;
여기서 코킹공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이산화유황의 함량이 96mg/Nm3, 질소산화물의 함량이 830mg/Nm3, 코킹공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의 유량이 2×106Nm3/h임을 검출하고; 이 공법의 플루가스 중의 이산화유황의 유량 Qs코킹이 192kg/h, 질소산화물의 유량QN코킹이 1660kg/h임을 산출하며; 계산을 통해 이 코킹공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의 활성탄의 유량 Qx코킹이 8436kg/h임을 얻는다.
소결공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이산화유황의 함량이 1560mg/Nm3, 질소산화물의 함량이 360mg/Nm3, 소결공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의 유량이 1.3×107Nm3/h임을 검출하고; 이 공법의 플루가스 중의 이산화유황의 유량 Qs소결이 20280kg/h, 질소산화물의 유량 QN소결이 4680kg/h임을 산출하며; 계산을 통해 이 소결공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의 활성탄의 유량 Qx소결이 3.8×105kg/h임을 얻는다.
제철공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이산화유황의 함량이 112mg/Nm3, 질소산화물의 함량이 78mg/Nm3, 제철공법(용광로 열풍로)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의 유량이 2×106Nm3/h임을 검출하고; 이 공법의 플루가스 중의 이산화유황의 유량 Qs제철이 224kg/h, 질소산화물의 유량 QN제철이 156kg/h임을 산출하며; 계산을 통해 이 제철공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내의 활성탄의 유량 Qx 제철이 4500kg/h임을 얻는다.
탈거탑 내의 활성탄의 유량 Qx는 Qx코킹, Qx소결, Qx제철 삼자의 합계으로서 별도로 보충한 활성탄 Q를 더하되; Q는 일반적으로 600kg/h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시스템과 방법이 코킹공법, 소결공법, 제철공법에서 발생하는 플루가스에 대해 정화 처리를 거친 후 3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배기구가 배출한 기체를 검출하되; 여기서,
코킹공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배기구가 배출한 기체 중의 이산화유황의 함량은 26mg/Nm3이고, 질소산화물의 함량은 124mg/Nm3이고;
소결공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배기구가 배출한 기체 중의 이산화유황의 함량은 33mg/Nm3이고, 질소산화물의 함량은 97mg/Nm3이고;
제철공법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배기구가 배출한 기체에서 이산화유황의 함량은 31mg/Nm3이고, 질소산화물의 함량은 49mg/Nm3이고;
3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배기구가 배출한 기체는 모두 나라에서 규정한 배출표준에 도달하여 배출 가능하다.
1: 집적탑; 101: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 10101: 재료 유입구; 10102: 재료 배출구; 10103: 기체 유입구; 10104: 기체 유출구; 2: 탈거탑; 3: 연통; 4: 재료 공급장치; 5: 재료 배출장치; P1: 제1 활성탄 반송설비; P2: 제2 활성탄 반송설비; L: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 La: 제1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 Lb: 제2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 Lc: 제3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 L: 배기 파이프.

Claims (14)

  1. 집적탑(1), 탈거탑(2),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 및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를 포함하는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집적탑(1)은 병렬 설치된 복수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을 포함하고, 매개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상단부에는 재료 유입구(10101)가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재료 배출구(10102)가 설치되고, 모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배출구(10102)는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를 통해 탈거탑(2)의 재료 유입구와 연결되고, 탈거탑(2)의 재료 배출구는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를 통해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유입구(10101)와 연결되고,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중 매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각각 독립적으로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입구(1010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배기 파이프(L), 연통(3)을 더 포함하고,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출구(10104)에 모두 배기 파이프(L)가 연결되어 있고, 배기 파이프(L)는 연통(3)과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모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출구(10104)와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병합한 후 연통(3)과 연결되어 통일적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출구와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독립적으로 하나의 연통(3)과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 시스템의 집적탑(1)은, n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을 포함하고 m곳의 작업 조건에서 플루가스를 발생하며 m곳의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중 매개 작업 조건이 발생한 플루가스를 각각 독립적으로 하나의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를 통해 h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입구(10103)에 연결하고,
    여기서 n은 2 내지 10 또는 3 내지 6이고, 2≤m≤n이며 1≤h≤(n-m+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n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출구(10104)와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j개의 연통(3)과 연결되며1≤j≤n이고; 및/또는
    n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은 긴밀히 설치되거나 또는 n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이 서로 사이에 간격을 두거나; 또는 이웃한 상기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사이의 간격은 10 내지 5000cm 또는 20 내지 3000cm 또는 50 내지 200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이 시스템의 집적탑(1)은 3개 또는 4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을 포함하되; A 작업 조건, B작업 조건 및 C작업 조건인 3곳의 작업 조건에서 플루가스를 발생하고; 여기서 A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제1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a)를 통해 1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입구(10103)에 연결되고, B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제2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b)를 통해 1개 또는 2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입구(10103)에 연결되며, C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는 제3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c)를 통해 1개의 독립적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입구(10103)에 연결되고; A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1개의 연통(3)과 연결되고, B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1개 또는 2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1개의 연통(3)과 연결되며, C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1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1개의 연통(3)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와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는, 벨트식 반송장치이거나, 또는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와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가 "Z"형 또는 역"Z"형의 전체 컨베이어이거나 또는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와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가 각각 여러 대의 반송장치로 조성되거나; 및/또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은 각각 독립적으로 일단식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거나, 또는 다단식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이거나 또는 n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에서의 1-n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출구(10104)와 연결된 배기 파이프(L)는 이단식 흡수탑과 연결된 다음 이단식 흡수탑의 기체 유출구가 다시 연통(3)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재료 공급장치(4)와 재료 배출장치(5)를 더 포함하되;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상단부에는 모두 하나의 재료 공급장치(4)가 설치되고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는 하나의 독립적 재료 공급장치(4)를 통해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유입구(10101)와 연결되며;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배출구(10102)에는 모두 하나의 재료 배출장치(5)가 설치되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배출구는 재료 배출장치(5)를 통해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
  8. 1) 플루가스 처리 시스템에서의 집적탑(1)에 n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과 1개의 탈거탑(2)을 설치하고 n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을 서로 독립적으로 병렬 설치하는 단계;
    2) m곳의 작업 조건에서 플루가스를 발생하고 매개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를 통해 h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으로 반송하고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은 각각 연결된 플루가스 반송 파이프(L)가 반송한 플루가스에 대해 흡수 처리를 진행하며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에 의해 처리된 플루가스를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출구(10104)로부터 배출하는 단계; 및
    3)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에서 플루가스를 흡수한 후의 활성탄을 재료 배출구로부터 제1 활성탄 반송설비(P1)를 통해 탈거탑(2)으로 반송하고 흡수된 후의 활성탄을 탈거탑(2) 내에서 탈거와 활성화를 완성한 다음 탈거탑(2)의 재료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며 다시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를 통해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유입구로 반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n은 2 내지 10이거나 또는 3 내지 6이고 2≤m≤n이며 1≤h≤(n-m+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방법 또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임의의 한 항의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n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기체 유출구(10104)가 배출한 처리된 후의 플루가스를 j개의 연통(3)을 통해 배출하되 1≤j≤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방법 또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임의의 한 항의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단계3)은 구체적으로,
    h개의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이 한 곳의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를 처리하고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함량,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의 유량을 검출하여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유량을 얻으며;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유량에 근거하여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의 활성탄의 유량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방법 또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임의의 한 항의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플루가스 유량 및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함량에 근거하여 아래 식에 따라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의 유량을 산출하되,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여기서, Qs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SO2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Cs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 SO2의 함량이며, 단위는 mg/Nm3이고;
    QN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 NOX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CN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중의 오염물 NOX의 함량이며, 단위는 mg/Nm3이고;
    V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 유량이며, 단위는 Nm3/h이고;
    I는 작업 조건의 순번으로서 i=1~m이며;
    상기 플루가스 중의의 오염물의 유량에 근거하여 아래 식에 따라 이 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의 활성탄의 유량을 확정하되,
    Figure pct00015

    여기서 Qx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의 활성탄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h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개수이고;
    K1은 상수로서 일반적으로 15~21를 취하고;
    K2는 상수로서 일반적으로 3~4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방법 또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임의의 한 항의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탈거탑(2) 내의 활성탄의 유량은 아래 식에 따라 얻어지고,
    Figure pct00016
     
    여기서 Qx는 탈거탑(2) 내의 활성탄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Qx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의 활성탄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Q는 탈거탑 내에 별도로 보충한 활성탄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h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개수이며;
    I는 작업 조건의 순번으로서 i=1 내지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방법 또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임의의 한 항의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유량에 근거하여 제2 활성탄 반송설비(P2)에 의해 i작업 조건에서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로 반송되는 활성탄의 유량이 Qxi로 되도록 제어하고;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의 활성탄의 유량에 근거하여 이 작업 조건에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공급장치와 재료 배출장치의 유량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방법 또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임의의 한 항의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아래 식에 따라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공급장치 및 재료 배출장치의 유량을 확정하되,
    Qi진=Qi배=Qxi×j;
    여기서, Qi진은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공급장치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Qi배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의 재료 배출장치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Qxi는 i작업 조건에서 발생한 플루가스를 처리하는 매개 활성탄 흡수유닛 또는 유닛그룹(101) 내의 활성탄의 유량이며, 단위는 kg/h이고;
    j는 조절상수이며 j는 0.8 내지 1.2이거나 또는 0.9 내지 1.1이거나 또는 0.95 내지 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방법 또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임의의 한 항의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KR1020207013428A 2018-05-10 2019-01-04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18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443132.XA CN108607322B (zh) 2018-05-10 2018-05-10 一种多工况烟气集中独立净化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CN201810443132.X 2018-05-10
PCT/CN2019/070503 WO2019214272A1 (zh) 2018-05-10 2019-01-04 一种多工况烟气集中独立净化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693A true KR20200066693A (ko) 2020-06-10
KR102318354B1 KR102318354B1 (ko) 2021-10-27

Family

ID=6366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428A KR102318354B1 (ko) 2018-05-10 2019-01-04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KR (1) KR102318354B1 (ko)
CN (1) CN108607322B (ko)
BR (1) BR112020011439A2 (ko)
MY (1) MY194554A (ko)
PH (1) PH12020550672A1 (ko)
RU (1) RU2753521C1 (ko)
WO (1) WO20192142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07322B (zh) * 2018-05-10 2020-12-04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多工况烟气集中独立净化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CN115532000B (zh) * 2022-11-23 2023-03-03 承德石油高等专科学校 一种化工产品中间罐用油气回收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5991A (zh) * 2013-08-22 2013-11-27 上海克硫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不同烟气的活性焦高效节能综合脱硫净化系统及方法
CN107694300A (zh) * 2016-08-08 2018-02-16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活性炭脱硫脱硝系统的喷氨量控制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0052B2 (ja) * 1980-06-16 1984-09-27 株式会社荏原製作所 電子ビ−ム多段照射式排ガス脱硫脱硝法および装置
DE3447674A1 (de) * 1983-12-30 1985-07-11 Uop Inc., Des Plaines, Ill. Verfahren zur entfernung von schwefeloxiden aus einem gasstrom
SU1353477A1 (ru) * 1984-12-19 1987-11-23 Московский Институт Химическ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Способ десорбции растворителей из активированного угл
JP2005095858A (ja) * 2003-08-25 2005-04-14 Syst Enji Service Kk 揮発性炭化水素を含む排ガスの浄化方法
JP5319934B2 (ja) * 2008-02-28 2013-10-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排ガス処理方法及び装置
CN202315658U (zh) * 2011-11-08 2012-07-11 住友重机械工业株式会社 废气处理装置
CN102580455A (zh) * 2011-12-29 2012-07-18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烧结烟气处理系统和方法
CN102728217B (zh) * 2012-07-10 2014-04-23 中国华电工程(集团)有限公司 移动床活性焦联合脱硫脱硝脱汞的方法及系统
CN103191621B (zh) * 2013-04-18 2015-01-14 扬州松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吸附催化一体式废气净化装置
CN204038373U (zh) * 2014-08-08 2014-12-24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用于烟气脱硫系统的输送装置
CN106693603B (zh) * 2015-11-13 2023-05-09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活性炭法烟气净化装置及烟气净化方法
CN108607322B (zh) * 2018-05-10 2020-12-04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多工况烟气集中独立净化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CN108607325B (zh) * 2018-05-10 2020-12-04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多吸附塔并联烟气净化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5991A (zh) * 2013-08-22 2013-11-27 上海克硫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不同烟气的活性焦高效节能综合脱硫净化系统及方法
CN107694300A (zh) * 2016-08-08 2018-02-16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活性炭脱硫脱硝系统的喷氨量控制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4272A1 (zh) 2019-11-14
MY194554A (en) 2022-12-01
CN108607322A (zh) 2018-10-02
BR112020011439A2 (pt) 2020-11-24
KR102318354B1 (ko) 2021-10-27
RU2753521C1 (ru) 2021-08-17
CN108607322B (zh) 2020-12-04
PH12020550672A1 (en) 202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5136C1 (ru) Способ десульфуризации и денитрации отходящего газа и устройство
CN108939808B (zh) 一种提高余热利用率和脱硝率的活性炭处理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382875B1 (ko) 탈황, 탈질 및 암모니아 제거 시스템
KR20200066693A (ko) 다중 작업 조건의 플루가스 집중 독립 정화 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08939807B (zh) 一种提高余热利用率及脱硝率的烟气净化装置及其使用方法
WO2018000888A1 (zh) 防止腐蚀的烟气脱硫脱硝方法和装置
CN109569183B (zh) 一种双系列烧结系统烟气综合循环处理方法及处理装置
CN108745331B (zh) 一种新型活性炭解析塔以及活性炭解析工艺
CN205145970U (zh) 一种炭基催化剂脱硫脱硝系统
CN101810981B (zh) 一种高效低阻的错流式移动床脱硫塔
CN103405991B (zh) 用于不同烟气的活性焦高效节能综合脱硫净化系统及方法
KR102318293B1 (ko) 다공정 연도가스 정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5148699A (zh) 一种单塔氧化脱硫脱硝装置及其脱硫脱硝方法
CN108607325B (zh) 一种多吸附塔并联烟气净化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CN108525466B (zh) 一种低硫烟气脱硫脱硝装置
CN103801189B (zh) 一种污泥脱硝装置及其脱硝的方法
CN203425681U (zh) 用于不同烟气的活性焦高效节能综合脱硫净化系统
TR202008603T2 (tr) Merkezi̇ ve bağimsiz bi̇r çok çalişma koşulu baca gazi aritma si̇stemi̇ ve bunlarin bi̇r kontrol yöntemi̇
CN107433106A (zh) 一种烟气净化吸收塔及其处理方法
CN203635065U (zh) 一种污泥脱硝装置
CN102773005B (zh) 石灰石法烟气净化系统及其净化工艺
CN205055738U (zh) 一种烟气除尘脱硝装置
CN209857669U (zh) 一种双系列烧结系统烟气综合循环处理装置
CN113559704B (zh) 一种烧结机烟气脱硫脱硝吸附装置
CN115178089B (zh) 一种净化和再生一塔化的炭基催化剂烟气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