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764A - 연결접합 구조물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설치시스템 - Google Patents

연결접합 구조물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설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764A
KR20200065764A KR1020180152534A KR20180152534A KR20200065764A KR 20200065764 A KR20200065764 A KR 20200065764A KR 1020180152534 A KR1020180152534 A KR 1020180152534A KR 20180152534 A KR20180152534 A KR 20180152534A KR 20200065764 A KR20200065764 A KR 20200065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connection
installation
plate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8763B1 (ko
Inventor
정진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52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7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85Connections not covered by E04B1/21 and E04B1/2403, e.g. connections between structural parts of differ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부재와 보부재 중 적어도 상기 기둥부재가 설치되는 연결접합부; 및, 상기 연결접합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푸집설치부;를 포함하는 연결접합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연결접합 구조물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설치시스템{CONNECTING JOINT STRUCTURE AND CONNECTING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INSTALLAION SYSTEM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
본 발명은 시공성을 향상시킨 연결접합 구조물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설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건축 구조물의 구조체를 제작하는 공법 중 가장 경제적인 공법이 철근콘크리트기둥(RC 기둥)에 철골보를 연결하는 공법으로, 많은 특허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특허의 대부분은 기둥과 보의 연결부위에 힘의 흐름을 원활하게 풀어주는 내용이다.
기둥과 보의 접합부에는 휨, 전단력, 축력이 모두 작용하는 복잡한 부위로 3축 응력을 접합부 내에서 해결해야 한다.
선행 기술들은 현장에서 RC 기둥을 조립한 상태에서 보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이나, 선 조립된 기둥에 철골보를 연결하는 기술로 나뉘어지고 있다.
현장에서 RC 기둥을 조립하는 형태는 먼저 기둥의 철근을 배근한 후, 철근 배근 안에 철골조 접합부를 끼워넣은 후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 방법은 철골보가 자립할 수 있도록 기둥부위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현장에서의 작업이 많아 시공기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을 먼저 설치한 후 보를 설치 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에 철골을 접합시, 기둥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연결부위를 건식방법으로 일체화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KR 10-2006-0040558 A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현장에서의 작업을 최소화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시공기간을 단축시켜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연결접합 구조물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연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기둥부재와 보부재 중 적어도 상기 기둥부재가 설치되는 연결접합부; 및, 상기 연결접합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푸집설치부;를 포함하는 연결접합 구조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연결접합부는, 둘레방향으로 상기 보부재가 접합 가능한 접합본체; 및, 상기 접합본체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접합되고, 상기 거푸집설치부가 고정되는 접합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접합부와 상기 거푸집설치부는 금속재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접합부와 상기 거푸집설치부는 일체로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거푸집설치부는, 상기 접합플레이트의 테두리부분을 따라 일체로 설치되는 링상의 설치링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거푸집설치부는, 상기 거푸집설치부가 상기 접합플레이트의 테두리부분을 따라 설치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설치탭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거푸집설치부는, 상기 접합플레이트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종방향플랜지; 및, 상기 종방향플랜지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거푸집의 단부와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되는 횡방향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거푸집설치부는, 상기 접합플레이트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거푸집의 단부와 겹쳐진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되는 종방향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거푸집설치부는, 상기 횡방향플랜지와 거푸집 상단부분이 횡방향으로 함께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고정철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거푸집설치부는, 상기 종방향플랜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접합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접합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봉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거푸집설치부에서 상기 접합플레이트의 테두리부분에서 외측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상기 거푸집설치부와 함께 거푸집의 삽입영역을 형성하는 삽입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합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의 철근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철근슬리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철근슬리브부는, 상이한 직경을 가지는 철근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합플레이트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철근슬리브부는, 상기 접합플레이트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철근이 삽입되는 철근삽입홀의 크기가 상이한 적어도 2 이상의 슬리브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합플레이트는 테두리부분에는 상기 접합플레이트의 내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리브홀이 형성되고, 상기 철근슬리브부는 상기 복수 개의 슬리브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면서 철근의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연결접합 구조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설치부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연결접합부에 상기 기둥부재의 철근을 접합하는 단계;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타설콘크리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타설콘크리트의 경화가 완료시, 상기 거푸집설치부에서 거푸집을 탈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연결접합 구조물; 상기 거푸집설치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푸집; 및, 상기 연결접합부에 접합되고,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배치되는 철근;을 포함하는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설치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현장에서의 작업을 최소화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시공기간을 단축시켜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결접합 구조물에 거푸집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접합 구조물에 철근콘크리트기둥이 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접합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 다양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접합 구조물의 단면도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접합 구조물(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접합 구조물(10)은 연결접합부(100) 및 거푸집설치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연결접합 구조물(10)은 기둥부재(C)와 보부재(D) 중 적어도 상기 기둥부재(C)가 설치되는 연결접합부(100) 및, 상기 연결접합부(100)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C)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F)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푸집설치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연결접합부(100)에는 기둥부재(C)와 보부재(D)가 각각 접합될 수 있다.
연결접합부(100)의 둘레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부재(D)가 접합될 수 있고, 연결접합부(100)의 상하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부재(C)가 접합될 수 있다.
거푸집설치부(200)는 연결접합부(100)에 설치되고, 철근콘크리트기둥 등의 기둥부재(C)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F)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거푸집설치부(200)는, 판상의 접합플레이트(130)에 설치되고, 거푸집(F)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연결접합 구조물(10)이 적용되는 기둥부재(C)는 철근콘크리트기둥으로 구성되고, 보부재(D)는 철골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접합 구조물(10)을 구성하는 연결접합부(100)와 거푸집설치부(200)는 스틸 등의 강재로 구성될 수 있다.
공장 등에서 연결접합 구조물(10), 거푸집(F), 철근(C1)의 결합체가 완제품 형태로 제작된 상태로 현장으로 이동되고, 현장에서는 이송된 연결접합 구조물(10), 거푸집(F), 철근(C1)의 결합체에 콘크리트만을 타설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작업을 최소화하여 시공성을 향상키기고 시공기간을 단축시켜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결접합부(100)는, 둘레방향으로 상기 보부재(D)가 접합 가능한 접합본체(110) 및, 상기 접합본체(110)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접합되고, 상기 거푸집설치부(200)가 고정되는 접합플레이트(130)를 구비할 수 있다.
접합본체(110)는 둘레방햐으로 보부재(D)의 접합영역이 형성되면 보부재(D)가 접합될 수 있다.
접합본체(110)의 측면에 보부재(D)가 직접 접합되거나, 접합본체(110)와 접합플레이트(130)에 걸쳐서 보부재(D)가 접합될 수 있다.
접합본체(110)는 내부가 중공된 관상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관상부재의 둘레방향으로 보부재(D)가 접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접합본체(11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내부가 중공된 사각강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각강관의 둘레방향 4면에 보부재(D)가 접합될 수 있다.
물론, 사각강관의 둘레방향 4면 중 일부분에만 보부재(D)가 접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접합플레이트(130)는 거푸집설치부(200)가 설치되는 지점이다.
일례로, 접합플레이트(130)에는 거푸집설치부(200)가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접합플레이트(130)는 접합본체(1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접합되고,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콘크리트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콘크리트홀(131)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거푸집설치부(200)는 사각형 형상의 링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거푸집설치부(200)와 콘크리트홀(131)의 사이에는 적어도 일부의 접합플레이트(130)가 배치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저항할 수 있다.
접합플레이트(130)는 판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접합본체(110)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중공된 사각강관으로 구성될 경우, 접합플레이트(130)는 접합본체(1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접합되는 사각강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접합플레이트(130)는 접합본체(110)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접합플레이트(130)가 접합본체(110)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된 상태에서 접합플레이트(130)의 테두리부분이 접합본체(110)의 외주면 보다 돌출될 수 있다.
연결접합부(100)와 상기 거푸집설치부(200)는 금속재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접합부(100)와 상기 거푸집설치부(200)는 일체로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일례로, 강재로 구성된 거푸집설치부(200)는 상기 연결접합부(100)와 용접 접합 등의 방식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일례로, 공장에서 거푸집설치부(200)는 용접 접합 등의 방식에 의해 연결접합부(100)와 일체로 접합되어 연결접합 구조물(10)이 제작될 수 있다.
공장에서 일체로 제작된 연결접합 구조물(10)의 연결접합부(100)에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철근(C1)의 주철근이 용접 접합되고, 연결접합 구조물(10)의 거푸집설치부(200)에 거푸집(F)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현장으로 운송되고 현장에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철근콘크리트기둥을 타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접합 구조물(10)과, 철근(C1), 거푸집(F)이 일체로 설치된 거푸집(F)시스템에 콘크리트만을 타설하여 연결접합 구조물(10)에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이 가능해짐으로써, 현장에서의 작업을 최소화되면서 시공성이 향상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면서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거푸집설치부(200)는, 상기 접합플레이트(130)의 테두리부분을 따라 일체로 설치되는 링상의 설치링부재(200-1)로 구비될 수 있다.
링상의 설치링부재(200-1)가 접합플레이트(130)의 테두리부분에 일체로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설치링부재(200-1)는 링상의 종방향플랜지(210)로 구성될 수 있다.
설치링부재(200-1)는 링상의 종방향플랜지(210)와, 링상의 횡방향플랜지(230)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종방향플랜지(210)는 접합플레이트(130)와 교차되도록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횡방향플랜지(230)는 종방향플랭지의 단부에서 교차되도록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거푸집설치부(200)는, 상기 거푸집설치부(200)가 상기 접합플레이트(130)의 테두리부분을 따라 설치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설치탭부재(200-2)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거푸집설치부(200)는, 상기 접합플레이트(13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종방향플랜지(210) 및, 상기 종방향플랜지(210)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거푸집(F)의 단부와 체결부재(B)를 매개로 체결되는 횡방향플랜지(230)를 구비할 수 있다.
횡방향플랜지(230)는 종방향플랜지(210)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횡방향플랜지(230)와 거푸집(F)의 상단에 형성된 보강리브(F1)가 겹쳐진 상태에서 볼트부재 등의 체결부재(B)가 종방향으로 체결되면서 거푸집(F)이 횡방향플랜지(230)에 고정될 수 있다.
접합플레이트(13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종방향플랜지(210)는 접합플레이트(130)에 수직하게 설치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횡방향플랜지(230)는 종방향플랜지(210)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고, 횡방향플래지는 접합플레이트(130)와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거푸집설치부(200)는, 상기 접합플레이트(13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거푸집(F)의 단부와 겹쳐진 상태에서 체결부재(B)를 매개로 체결되는 종방향플랜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종방향플랜지(210)는 접합플레이트(130)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종방향플랜지(210)와 거푸집(F)이 겹쳐진 상태에서 볼트부재 등의 체결부재(B)가 횡방향으로 체결되면서 거푸집(F)이 종방향플랜지(210)에 고정될 수 있다.
접합플레이트(13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종방향플랜지(210)는 접합플레이트(130)에 수직하게 설치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거푸집설치부(200)는, 상기 횡방향플랜지(230)와 거푸집(F) 상단부분이 횡방향으로 함께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B)를 매개로 고정되는 고정철물(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철물(250)은 거푸집설치부(200)의 횡방향플랜지(230)와 거푸집(F) 상단부분이 횡방향으로 함께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B)가 종방향으로 체결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거푸집설치부(200)의 횡방향플랜지(230)와 상기 거푸집(F)의 상단에 형성된 보강리브(F1)가 함께 고정철물(250)의 삽입고정홈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B)가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고정철물(250)은 상부플랜지, 상부플랜지와 대향되게 이격 배치되는 하부플랜지 및,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단부를 연결하는 고정웨브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철물(250)은 상부플랜지, 고정웨브, 하부플랜지가 연결되면서 'ㄷ'자형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철물(250)은 'ㄷ'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삽입고정홈이 형성되고, 삽입고정홈에 횡방향플랜지(230)와 보강리브(F1)가 겹쳐진 상태로 삽입되고, 고정철물(250), 횡방향플랜지(230), 보강리브(F1)를 관통하여 체결부재(B)가 고정되면서 거푸집(F)과 거푸집설치부(200)는 고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거푸집설치부(200)는 상기 종방향플랜지(210)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접합플레이트(130)를 관통하여 상기 접합플레이트(13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봉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거푸집설치부(200)의 횡방향플랜지(230)는 종방향플랜지(210)의 하측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횡방향플랜지(230)는 종방향플랜지(210)에서 내측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거푸집(F)의 종방향 보강리브(F1)가 삽입되는 리브삽입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거푸집설치부(200)가 접합플레이트(130)에 용접 접합 등에 의해 일체로 설치된 경우는, 거푸집(F)의 좌측은 거푸집설치부(200)에 의해 구속되고, 거푸집(F)의 우측은 타설콘크리트(C2)에 의해 구속되면서 거푸집(F)의 탈거가 어려워질 수 있다.
즉, 거푸집설치부(200)가 접합플레이트(13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야만 거푸집(F)의 내부에 타설콘크리트(C2)가 경화되어 철근콘크리트기둥이 설치된 후에 거푸집(F)의 제거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실시예의 경우는, 거푸집(F)의 탈거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 거푸집설치부(200)가 접합플레이트(13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필요가 있다.
거푸집설치부(200)의 횡방향플랜지(230)와 거푸집(F)부재의 상단이 체결부재(B)를 매개로 고정된 상태에서, 거푸집설치부(200)의 설치봉부재가 접합플레이트(130)를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N)를 매개로 접합플레이트(130)에 고정될 수 있다.
철근콘크리트기둥의 타설콘크리트(C2)가 경화된 이후, 설치봉부재에 고정된 너트(N)를 해체하여 접합플레이트(130)에서 거푸집설치부(200)와 거푸집(F)을 함께 제거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설치봉부재는 종방향플랜지(210)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외부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N)가 설치될 수 있다.
설치봉부재는 접합플레이트(130)를 하측에서 상방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접합플레이트(130)의 상측에서 설치봉부재에 너트(N)가 설치되면서 접합플레이트(130)에 거푸집(F)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거푸집(F)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타설콘크리트(C2)가 경화된 후, 설치봉부재에서 너트(N)를 분리하여 거푸집(F)을 탈거할 수 있다.
설치봉부재에서 너트(N)를 용이하게 해체하기 위해, 설치봉부재는 접합플레이트(130)에 고정되되, 접합본체(110)를 벗어난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접합 구조물(10)은 거푸집설치부(200)에서 상기 접합플레이트(130)의 테두리부분에서 외측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상기 거푸집설치부(200)와 함께 거푸집(F)의 삽입영역을 형성하는 삽입탭부(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종방향플랜지(210)를 구비하는 거푸집설치부(200)와 삽입탭부(300)의 사이에 거푸집(F)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종방향플랜지(210)와 거푸집(F)의 체결부재(B)를 매개로 체결될 수 있다.
일례로, 삽입탭부(300)는 대향되는 거푸집설치부(200)와 같이 접합플레이트(130)의 테두리부분을 따라 일체로 설치되는 링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삽입탭부(300)는 거푸집설치부가 접합플레이트(130)의 테두리부분을 따라 설치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연결접합 구조물(10)은 접합플레이트(130)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C)의 철근(C1)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철근슬리브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철근슬리브부(400)는 접합플레이트(130)의 하측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철근슬리브부(400)는 접합플레이트(130)에 접합되어, 기둥부재(C)의 철근(C1)의 주철근이 고정되는 고정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철근슬리브부(400)는, 상이한 직경을 가지는 철근(C1)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합플레이트(130)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철근슬리브부(400)는, 상기 접합플레이트(130)에 체결부재(B)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철근(C1)이 삽입되는 철근삽입홀의 크기가 상이한 적어도 2 이상의 슬리브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철근슬리브부(400)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철근(C1-1)이 설치되는 제1 철근삽입홀이 형성된 제1 슬리브유닛(400-1)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철근(C1-2)이 설치되는 제2 철근삽입홀이 형성된 제2 슬리브유닛(400-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슬리브유닛(400-1)은 제2 슬리브유닛(400-2)에 비해 접합플레이트(13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접합플레이트(130)는 테두리부분에는 상기 접합플레이트(130)의 내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리브홀이 형성되고, 상기 철근슬리브부(400)는 상기 복수 개의 슬리브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면서 철근(C1)의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철근콘크리트 구조(RC 구조)에 설치되는 철근(C1)은 일정두께 이상의 피복두께가 확보되어야 하는데, 철근(C1)의 직경이 큰 경우가 철근(C1)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피복두께가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철근(C1)이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피복두께의 확보를 위해 복수 개의 슬리브홀 중에서 내측에 설치된 슬리브홀에 철근슬리브부(400)를 설치하여 철근(C1)의 피복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일례로, 접합플레이트(130)에는 복수 개의 슬리브홀이 형성될 수 있다.
철근슬리브부(400)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철근(C1)이 설치되는 제1 철근삽입홀이 형성된 제1 슬리브유닛(400-1)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철근(C1)이 설치되는 제2 철근삽입홀이 형성된 제2 슬리브유닛(400-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슬리브유닛(400-1)이 체결되는 제1 슬리브홀은 제2 슬리브유닛(400-2)이 체결되는 제2 슬리브홀에 비해 접합플레이트(1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은 거푸집(F)을 설치하는 단계와, 철근(C1)을 접합하는 단계와, 타설콘크리트(C2)를 형성하는 단계 및, 거푸집(F)을 탈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은 앞서 설명한 연결접합 구조물(10)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설치부(200)에 거푸집(F)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접합부(100)에 상기 기둥부재(C)의 철근(C1)을 접합하는 단계와, 거푸집(F)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타설콘크리트(C2)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타설콘크리트(C2)의 경화가 완료시, 상기 거푸집설치부(200)에서 거푸집(F)을 탈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결접합 구조물(10)을 활용한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접합부(100)와 거푸집설치부(200)를 포함하는 연결접합 구조물(10)을 준비한다.
이때, 연결접합부(100)와 거푸집설치부(200)를 준비하고, 현장에서 연결접합부(100)에 거푸집설치부(200)를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연결접합부(100)와 거푸집설치부(200)는 일체로 제작하여 현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거푸집설치부(200)에 거푸집(F)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연결접합부(100)에 기둥부재(C)의 철근(C1)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거푸집(F)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타설콘크리트(C2)를 형성하고, 경화시킨다.
다음으로, 타설콘크리트(C2)의 경화가 완료될 경우, 거푸집설치부(200)에서 거푸집(F)을 탈거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연결접합 구조물(10)에 기둥부재(C)인 RC기둥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연결접합 구조물(10)에 거푸집(F)이 설치되고, 연결접합 구조물(10)에 철근(C1)이 설치된 상태로 현장으로 이송되고, 이송된 연결접합 구조물(10), 거푸집(F), 철근(C1)의 조립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철근콘크리트기둥(RC 기둥)을 시공하는데, 사용한 거푸집(F)은 연결접합 구조물(10)의 거푸집설치부(200)에서 탈거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연결접합 구조물(10)에는 보부재(D)가 설치될 수 있는데, 보부재(D)의 설치시기는 상기한 시공과정 중에서, 연결접합부(100)가 준비된 이후이면, 연결접합부(100)에 보부재(D)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연결접합 구조물(10)을 준비하는 단계, 거푸집(F)을 설치하는 단계 및, 철근(C1)을 접합하는 단계는 공장에서 실시되고, 현장에서는 타설콘크리트(C2)를 형성하는 단계와 거푸집(F)을 탈거하는 단계만이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장에서의 작업을 최소화되면서 시공성이 향상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면서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연결접합 구조물(1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에서 활용되는 연결접합 구조물(10)의 연결접합부(100), 거푸집설치부(200)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접합 구조물(10)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그리고,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의 순서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한 시공방법으로서 예시하는 것으로, 상술한 순서 이외에도 구체적인 현장상황에 따라 다른 순서에 따라 변형실시되거나 혹은 기타 부수적인 공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설치시스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설치시스템은 연결접합 구조물(10), 거푸집(F) 및 철근(C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설치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연결접합 구조물(10)과, 상기 거푸집설치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푸집(F) 및, 상기 연결접합부(100)에 접합되고, 상기 거푸집(F)의 내부에 배치되는 철근(C1)를 포함할 수 있다.
거푸집설치부(200)에 거푸집(F)이 설치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거푸집(F)의 외부를 둘러싼 상태에서 고정하는 거푸집 고정구(미도시)에 의해 복수 개의 거푸집(F)이 고정될 수 있다.
거푸집(F)의 내부에 배치되는 철근(C1)은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주철근과 주철근을 둘러싸는 늑근으로 구성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설치시스템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연결접합 구조물(1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설치시스템에서 활용되는 연결접합 구조물(10)의 연결접합부(100), 거푸집설치부(200)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접합 구조물(10)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연결접합 구조물 100: 연결접합부
110: 접합본체 130: 접합플레이트
131: 콘크리트홀 200: 거푸집설치부
200-1: 설치링부재 200-2: 설치탭부재
210: 종방향플랜지 230: 횡방향플랜지
231: 리브삽입홈 250: 고정철물
300: 삽입탭부 400: 철근슬리브부
400-1: 제1 슬리브유닛 400-2: 제2 슬리브유닛
B: 체결부재 C: 기둥부재
C1: 철근 C1-1: 직경이 작은 철근
C1-2: 직경이 큰 철근 C2: 타설콘크리트
D: 보부재 F: 거푸집
F1: 보강리브 N: 너트

Claims (16)

  1. 기둥부재와 보부재 중 적어도 상기 기둥부재가 설치되는 연결접합부; 및,
    상기 연결접합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푸집설치부;를 포함하는 연결접합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접합부는,
    둘레방향으로 상기 보부재가 접합 가능한 접합본체; 및,
    상기 접합본체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접합되고, 상기 거푸집설치부가 고정되는 접합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연결접합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접합부와 상기 거푸집설치부는 금속재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접합부와 상기 거푸집설치부는 일체로 용접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접합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설치부는,
    상기 접합플레이트의 테두리부분을 따라 일체로 설치되는 링상의 설치링부재로 구비되는 연결접합 구조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설치부는,
    상기 거푸집설치부가 상기 접합플레이트의 테두리부분을 따라 설치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설치탭부재로 구비되는 연결접합 구조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설치부는,
    상기 접합플레이트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종방향플랜지; 및,
    상기 종방향플랜지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거푸집의 단부와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되는 횡방향플랜지;를 구비하는 연결접합 구조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설치부는,
    상기 접합플레이트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거푸집의 단부와 겹쳐진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되는 종방향플랜지를 구비하는 연결접합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설치부는,
    상기 횡방향플랜지와 거푸집 상단부분이 횡방향으로 함께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고정철물;을 더 포함하는 연결접합 구조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설치부는,
    상기 종방향플랜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접합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접합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봉부재;를 더 구비하는 연결접합 구조물.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설치부에서 상기 접합플레이트의 테두리부분에서 외측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상기 거푸집설치부와 함께 거푸집의 삽입영역을 형성하는 삽입탭부;를 더 포함하는 연결접합 구조물.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의 철근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철근슬리브부;를 더 포함하는 연결접합 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슬리브부는,
    상이한 직경을 가지는 철근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합플레이트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접합 구조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슬리브부는,
    상기 접합플레이트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철근이 삽입되는 철근삽입홀의 크기가 상이한 적어도 2 이상의 슬리브유닛을 구비하는 연결접합 구조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플레이트는 테두리부분에는 상기 접합플레이트의 내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리브홀이 형성되고,
    상기 철근슬리브부는 상기 복수 개의 슬리브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면서 철근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접합 구조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한에 기재된 연결접합 구조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설치부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연결접합부에 상기 기둥부재의 철근을 접합하는 단계;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타설콘크리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타설콘크리트의 경화가 완료시, 상기 거푸집설치부에서 거푸집을 탈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결접합 구조물;
    상기 거푸집설치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푸집; 및,
    상기 연결접합부에 접합되고,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배치되는 철근;를 포함하는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설치시스템.
KR1020180152534A 2018-11-30 2018-11-30 연결접합 구조물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설치시스템 KR102178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534A KR102178763B1 (ko) 2018-11-30 2018-11-30 연결접합 구조물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설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534A KR102178763B1 (ko) 2018-11-30 2018-11-30 연결접합 구조물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설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764A true KR20200065764A (ko) 2020-06-09
KR102178763B1 KR102178763B1 (ko) 2020-11-13

Family

ID=7108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534A KR102178763B1 (ko) 2018-11-30 2018-11-30 연결접합 구조물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설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7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932B1 (ko) * 2021-05-25 2021-12-27 주식회사 포우천개발 건축용 다목적 보거푸집
US11486130B2 (en) * 2018-05-10 2022-11-01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Self-supported PC column joint part
KR102599533B1 (ko) * 2023-08-28 2023-11-07 최종호 내진성능이 향상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153A (ko) * 1996-10-08 1998-07-15 김상식 건축물의 콘크리트기둥과 철골보 연결용 접합구조물
KR20040043202A (ko) * 2002-11-16 2004-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철근콘크리트 기둥 및 철골 보의 접합부
KR20060040558A (ko) 2005-04-07 2006-05-10 주식회사 충주산업 건축물의 원심력 중공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그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제조방법 및 철근콘크리트 기둥시공방법
KR101107567B1 (ko) * 2011-01-04 2012-01-25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Rc 구조물 역타 공법을 위한 보구조체와 수직 강재부재의 접합장치, 전용지지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153A (ko) * 1996-10-08 1998-07-15 김상식 건축물의 콘크리트기둥과 철골보 연결용 접합구조물
KR20040043202A (ko) * 2002-11-16 2004-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철근콘크리트 기둥 및 철골 보의 접합부
KR20060040558A (ko) 2005-04-07 2006-05-10 주식회사 충주산업 건축물의 원심력 중공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그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제조방법 및 철근콘크리트 기둥시공방법
KR101107567B1 (ko) * 2011-01-04 2012-01-25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Rc 구조물 역타 공법을 위한 보구조체와 수직 강재부재의 접합장치, 전용지지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6130B2 (en) * 2018-05-10 2022-11-01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Self-supported PC column joint part
KR102343932B1 (ko) * 2021-05-25 2021-12-27 주식회사 포우천개발 건축용 다목적 보거푸집
KR102599533B1 (ko) * 2023-08-28 2023-11-07 최종호 내진성능이 향상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763B1 (ko) 2020-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763B1 (ko) 연결접합 구조물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설치시스템
KR101523532B1 (ko) 기둥용 폐단면 강재조립체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101809687B1 (ko) 철골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011412B1 (ko) 매립철근의 일체화를 위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
CN101979791A (zh) 环梁、环形牛腿柱劲性连接节点及其施工方法
KR101421824B1 (ko) 원심성형 기둥용 철골보 및 기둥 동시 접합구조
KR100926750B1 (ko) 보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KR101672991B1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구조물
KR101619067B1 (ko) 보구조체의 범용 접합구조를 가진 조립 기둥구조체
KR102104382B1 (ko) 철골 보, 합성 기둥, 및 이들의 접합 구조
KR101636473B1 (ko) L형강을 이용한 중심부재가 구비된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lfc 5)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41339B1 (ko)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JP2010261270A (ja) 複合構造および複合構造建築物の施工方法
KR101458435B1 (ko)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31363B1 (ko) 고력 인장볼트로 보강한 y형띠기둥 패널존 공법
KR100747665B1 (ko)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20190052638A (ko)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04263502A (ja) 橋梁の施工方法
KR101412678B1 (ko) 탄소섬유 보강 중공피씨기둥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612938B1 (ko) 벽 및 슬라브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902747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製の柱と梁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2437398B1 (ko) 시공성이 용이한 일체형 슬라브 유로폼 시스템
KR101577704B1 (ko) 모서리 보강부재가 구비된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 및 이의 시공방법
JP202006363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部材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