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403A - 다층결합수를 형성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다층결합수를 형성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403A
KR20200064403A KR1020180150499A KR20180150499A KR20200064403A KR 20200064403 A KR20200064403 A KR 20200064403A KR 1020180150499 A KR1020180150499 A KR 1020180150499A KR 20180150499 A KR20180150499 A KR 20180150499A KR 20200064403 A KR20200064403 A KR 20200064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hydrogel
water
extrac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종
민영희
오창민
이경록
한병석
김지웅
방은지
Original Assignee
(주)코바스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바스,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코바스
Priority to KR1020180150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4403A/ko
Publication of KR20200064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회복 및 개선을 위한 생약추출물을 내포하고 다층으로 구성된 다층결합수를 포함하는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는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액정유화제, 복합생약추출물, 수용성 또는 유용성 첨가제, 보습제, 방부제, 정제수, 지방산유도체 또는 오일을 포함하고, 하이드로겔 매트릭스에 포함시켜 복합생약추출물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전달할 수 있고, 피부 자극 완화, 피부 보습 증가, 손상된 피부의 회복, 피부 유연성 향상 효과가 있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결합수를 형성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 {The hydrogel cosmetic composition forming multilayered clustered-water}
본 발명은 다층으로 구성된 다층결합수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효과적인 피부 회복 및 개선을 위한 생약추출물을 내포한 다층결합수를 포함하고 라멜라 구조를 갖는 마스크시트용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마스크 또는 마스크팩 시트들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미용액을 함침시켜서 사용하는 시트마스크, 고분자 폴리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등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용 마스크는 유분감이 적고, 보습의 지속성이 부족하며 피부에 대한 자극이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상품화되고 있는 하이드로겔 마스크 시트에는 유용성 성분을 배합한다고 하여도 실제 유분을 공급하는데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유용성 성분이 배합될 경우, 유용성분이 분리되고 점탄성이 떨어지며, 피부의 부착력이 하락되는 등의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안정성 측면에서도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한편 하이드로겔 형태의 마스크 시트류를 피부에 부착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일반적인 부작용으로, 마스크 시트의 특성상 장기간 얼굴 혹은 피부에 부착하고 있는 화장료의 용도 특성이 특별하여, 얼굴이 화끈거리는 자극, 따가운 느낌, 얼굴에 홍반 또는 발진이 일어나는 현상 등의 피부자극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대한민국 특허청에는 다양한 하이드로겔용 마스크팩 조성물에 관한 발명을 개시하고 있는 바,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5834호 ‘산소 투과도가 우수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에서는 산소 투과도가 우수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 2-하이드록실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및 아크릴산나트륨(sodium acrylate) 단량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으며,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7059호 ‘하이드로겔 시트용 조성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에는 셀룰로오스 에테르(cellulose ether), 겔화제(gelling agent) 및 겔화 촉진제(gellingpromoter)를 포함하고, 상기 겔화제는 카라기난(Carrageenan), 로커스트 빈 검(Locust bean gum), 마노스(Mannose) 및 워터 체스넛 분말(water-chestnut flou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천연 고분자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시트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화장품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부자극을 해결하기 위해 자극 완화 효과가 있는 효능성분을 사용하였으나, 피부조직의 최외각은 피지막으로 되어 있어서 수용성 자극 완화 성분이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하여 자극 완화를 달성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하이드로겔 마스크도 자극 개선을 위해 자극완화 물질을 넣어 적용하지만 하이드로겔 내에서 이수현상에 의해 발생된 액은 주로 수용성 성분이기 때문에 자극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피부침투가 어렵다.
따라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조성물은 피부자극을 줄이면서도 피부침투성을 용이하게 해야함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물질을 사용하는 데에는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여, 특별하고 선택적으로 검증된 성분을 사용하여 개발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관련한 기존의 관련 연구들은 각 성분을 배합하여 얻어지는 효능에 관한 것 뿐이었다.
또한, 유화제 및 보조제를 사용하여 수상과 유상의 층상구조를 형성하여 화장료를 피부에 침투시키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최근에는 단층 구조인 O/W형 또는 W/O형 뿐만 아니라 다층 구조인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수중유중수적형(W/O/W형) 또는 유중수중유적형(O/W/O형) 등의 다양한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많은 시행 착오를 통해 수상액과 유상액의 혼합을 통하여 안정성 있는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는 다층결합수를 제조하여 층상구조 내부에 복합생약추출물을 내포하여 피부에 흡수가 용이하도록 하고자 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특허문헌 및 참고문헌은 각각의 문헌이 참조에 의해 개별적이고 명확하게 특정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5834호 (등록일자 : 2017. 01. 06)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7059호 (공개일자 : 2017. 04. 04)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매트릭스를 사용하고, 효과적인 피부회복 및 개선을 위한 복합생약추출물을 내포시킨 다층의 결합수를 포함하는 유효성분으로 제조한 화장료조성물을 이용하여 하이드로겔 메트릭스 내부에서는 안정화되고, 피부 부착 시에는 이수물로 이탈을 용이하게 하여, 피부로의 전달이 우수하면서 피부 자극이 완화되고 피부 보습력 및 피부유연성이 우수한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은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액, 액정유화제인 하이드로지네이티드 레시틴을 포함하는 유상액 및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추출물과 베리류를 포함하는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상액은 천연 레시틴, 콜레스테롤, 세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은 녹차추출물, 커피추출물, 감나무잎추출물 및 카카오추출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은 아사이베리, 블루베리, 블랙베리, 딸기 및 라즈베리추출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은 EDTA-2Na, 알로에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분홍바늘꽃추출물, 비타민E 유도체, 실리콘오일, 스쿠알란, 선플라워 오일, 그레이프시드 오일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은 글리세린, 다가 알코올, 당, 아미노산, 펩타이드 및 히알루론산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은 수용성 폴리사카라이드 고분자 및 수용성 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상기 하이드로겔 매트릭스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폴리사카라이드 고분자는 카라기난 및 한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합성 고분자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셀룰로오스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매트릭스 성분은 캐롭검, 알긴산나트륨, 구아검, 잔탄검 및 아라빅검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매트릭스 성분은 상기 수용성 폴리사카라이드 고분자 0.1 내지 10중량부 및 상기 수용성 합성 고분자 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은 유상액 1.1 내지 20중량부, 복합생약추출물 0.1 내지 5중량부 및 수상액 10.2 내지 98.4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은 수상액 10.2 내지 98.4중량부, 유상액 1.1 내지 20중량부, 복합생약추출물 0.1 내지 5중량부 및 보습제 1.0 내지 4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은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을 내포하는 다층결합수를 포함하고 라멜라 구조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에 따르면,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다층결합수를 하이드로겔 메트릭스 내부에 안정하게 고정할 수 있고, 다층결합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피부에 효과적이고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트 마스크를 피부에 부착시 피부 구조와 유사한 라멜라 구조로 형성된 다층결합수에 내포된 복합생약추출물을 하이드로겔 매트릭스로부터 용이하게 용출되어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 자극 완화, 피부 보습 증가, 손상된 피부의 회복, 피부 유연성 향상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험예 1에 따른 다층결합수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투과전자현미경(TEM)의 사진이다.
도 2는 실험예 1에 따른 다층결합수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편광현미경의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1에 따른 마스크의 투과전자현미경(TEM)의 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 1에 따른 마스크의 편광현미경의 사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은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액, 액정유화제인 하이드로지네이티드 레시틴을 포함하는 유상액 및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추출물과 베리류를 포함하는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유상액은 지방산유도체 또는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상액은 첨가제, 보습제 및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층결합수를 형성한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은 하이드로겔 매트릭스에 포함되고,
상기 하이드로겔 매트릭스를 피부에 부착시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을 내포하는 다층결합수가 피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다층결합수”는 수상액의 첨가제 및 유상액의 액정유화제 혼합에 의해 형성된 다중액정에 의해 수상층이 다중 층상으로 형성된 결합수를 의미한다.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 및 함량은 표 1과 같다.
구분 성분 함량 (중량부)
유상액 액정유화제 0.1 내지 5.0
오일 0.5 내지 20.0
지방산유도체 0.5 내지 10.0
추출물 복합생약추출물 0.1 내지 5.0
수상액 정제수 10 내지 98.4
첨가제 0.1 내지 10
보습제 1.0 내지 40
방부제 0.1 내지 5
하이드로겔
매트릭스 성분
수용성 폴리사카라이드 고분자 0.1 내지 10
수용성 합성 고분자 0.1 내지 10
0.1 내지 5
상기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은 유상액 1.1 내지 20중량부, 복합생약추출물 0.1 내지 5중량부, 수상액 10.2 내지 98.4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은 액정유화제 0.1 내지 5중량부, 오일 0.5 내지 20중량부, 지방산유도체 0.5 내지 10중량부, 복합생약추출물 0.1 내지 5중량부, 정제수 10 내지 98.4중량부, 첨가제 0.1 내지 10, 보습제 1.0 내지 40중량부 및 방부제 0.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1) 액정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액
본 발명은 수상액 및 유상액을 혼합하여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는 다층결합수의 내부에 복합생약추출물을 내포시켜 피부침투가 용이하도록 하는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한다.
유상액인 액정유화제 및 수상액을 혼합하여 수상액과 유상액의 층상구조를 형성하는 것은 안정성 유지와 변성방지를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필요로 한다.
유용성인 액정유화제는 수용성인 수상액과 혼합하여 다중 층상 구조인 다층결합수를 형성하여 결정과 액체의 중간 상태인 액정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다층결합수에 의해 라멜라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상액은 하이드로지네이티드 레시틴 또는 천연 레시틴인 액정유화제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 세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아라키딜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슈크로오스 폴리스테아레이트, 실리콘 오일 및 스쿠알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지네이티드 레시틴 또는 천연 레시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콜레스테롤, 세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실리콘 오일 및 스쿠알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시틴에 함유되어 있는 포스파티딜콜린 성분은 친수기 1개에 친유기가 꼬리부분에 2개로 이루어져 수상액 및 보조제를 혼합하면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콜레스테롤과 베헤닐알콜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는 라멜라 구조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며, 피부의 보습과 유연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라멜라 구조는 피부의 인지질, 유성막, 수성막으로 이루어진 판상구조와 유사하므로 다층결합수로 이루어진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면 피부구조와 유사하게 되어 피부에 침투가 용이하고, 라멜라 구조인 막의 유연성 때문에 조성물 방출이 용이하다. 또한 다층결합수를 만드는 액정막 유화에 사용되는 성분은 우수한 사용감과 보습효과 유지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유상액으로서 실리콘오일, 스쿠알란, 선플라워 오일 및 그레이프시드 오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오일은 윤할성 기능으로서 포함하지만 생리적으로 불활성이며 끈적거림이 없어 화장료조성물로 사용하고, 스쿠알란은 올리브유에서 추출하여 수소를 첨가한 것으로서, 피부의 수분을 보호하는 막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히 입자가 미세하여 피부 침투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유상액은 지방산유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유도체는 상업적 용도로 사용되는 모든 것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ω-하이드록시 지방산들; ω-하이드록시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들; ω-옥소 지방산들; ω-아미노 지방산들; ω-아미노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들; 알파-, 오메가-이산들(diacids)(α,ω-이산들); 오메가-카르복시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들(ω-카르복시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알파-, 오메가-디에스테르들(α,ω-디에스테르들); 알파-, 오메가-디올들(α,ω-디올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의 ω-하이드록시 지방산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1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액정유화제로서 사용된 유상액은 하이드로지네이티드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1.0g을 포함하고, 콜레스테롤(Cholesterol) 0.5g,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0.5g,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1.0g,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hohol) 0.5g, 스쿠알란(squalane) 1g, 및 실리콘 오일(silicone oil) 0.5g을 혼합한 후, 72℃에서 가열하여 유상액을 준비한다.
(2) 복합생약추출물
복합생약추출물은 폴리페놀류가 풍부하게 함유된 녹차추출물, 커피추출물, 감나무잎추출물 및 카카오추출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1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은 아사이베리, 블루베리, 블랙베리, 딸기 및 라즈베리추출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1이상을 포함한다.
피부의 재생 및 회복에 효과적인 복합생약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녹차(Camellia sinensis), 커피(Coffea arabica), 감나무잎(Diospyros kaki leaf), 카카오(Theobroma cacao), 아사이베리 (Euterpe Oleracea Fruit), 블루베리(Vaccinium Angustifolium(Blueberry) Fruit), 블랙베리(Rubus Fruticosus(Blackberry) Fruit), 딸기(Fragaria Chiloensis (Strawberry) Fruit) 및 라즈베리(Rubus Idaeus(Raspberry) Fruit)를 각각 세척 후 완전 건조시켜 분쇄하였다.
상기 녹차는 중국이 원산지로 차나무과의 상록교목인 차나무 잎을 가공하여 얻어지며, 항염, 항산화 효과 및 노화방지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다.
상기 커피는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꼭두서니과의 상록 소교목인 커피나무에서 얻어진 열매를 가공하여 얻어지며, 피부탄력 증진 효과, 항산화 효과 및 신진대사 촉진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다.
상기 감나무잎은 동아시아의 특산종으로 감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인 감나무 잎에서 얻어지며수렴효과, 노화방지 및 미백효과가 있다고 보고된다.
상기 카카오는 아메리카 열대지방이 원산으로 벽오동나무과의 교목인 카카오나무에서 얻은 열매로 항산화효과 및 노화방지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다.
상기 아사이베리는 브라질 아마존 북부의 열대 야자수에서 수확하는 과실로 다량의 영양소를 함유하고, 항염, 항산화 효과 및 독성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다.
상기 블루베리는 진달래과 산앵두나무속에 속하는 관목성 식물에서 얻은 열매로 항산화 효과, 노화방지 및 피부 재생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다.
상기 블랙베리는 쌍떡잎 식물 장미목의 딸기과의 식물에서 얻은 열매로 항산화 효과, 노화방지 및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다.
상기 딸기는 장미과의 딸기속에 속하는 식물에서 얻은 열매로 피부 진정, 항염효과 및 노화방지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다.
상기 라즈베리는 장미과의 나무딸기에서 얻은 열매로 항염증 효과, 항산화 효과 및 노화방지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다.
각각의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아사이베리, 블루베리, 블랙베리, 딸기 및 라즈베리를 분쇄시켜 제조된 가루 10g을 각각 70%의 에탄올 1,000g에 첨가한 후에 25 내지 50℃에서 12 내지 24시간 침적 추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추출물은 250메쉬(mesh) 및 0.5um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준비하고, 조성물의 제조 시에는 각각 동일한 부피(volume)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복합생약추출물을 제조하여 사용한다.
(3) 수상액
수상액은 수용성으로서 액정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액과 혼합하여 다층결합수를 형성한다.
상기 수상액은 정제수에 하기의 첨가제, 보습제 및 방부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EDTA-2Na, 감초추출물, 알로에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분홍바늘꽃추출물, 비타민E 유도체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사용되는 감초추출물은 미백효과, 항산화효과, 항균효과 및 염증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다가 알코올, 당, 아미노산, 펩타이드 및 히알루론산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보습제로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염은 화장품의 천연보습제로서 단백질과 다당류의 결합체로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이라고 불리며 진피의 연결조직 섬유질들, 즉 콜라겐과 엘라스틴에 접착되어 그 사이를 메우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방부제는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포타슘솔베이트, 소듐데하이드로아세테이트, 1,2-헥산디올 및 에틸헥산디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사용되는 페녹시에탄올은 일반적으로 화장품에 사용되는 방부제이다.
(4) 하이드로겔 매트릭스 성분
상기 하이드로겔 매트릭스는 목적하는 조성물이 잘 함유된 상태에서 피부 부착시에는 이수물로 이탈하여 피부로 전달이 우수해야하며, 또한 피부에 직접 접촉되므로 피부 자극이 완화되어야 한다.
상기 하이드로겔 매트릭스는 수용성 폴리사카라이드 고분자 및 수용성 합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폴리사카라이드 고분자는 유체를 흡수할 수 있는 고분자로서, 카라기난 및 한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사용되는 카라기난은 홍조류인 아이리스모스 (Irish moss)로 부터 얻어지는 다당류로서, 기본 구조는 galactose polymer로 구성되며, 젤리화제, 안정화제 또는 분산화제로 사용된다. 또한, 한천은 홍조류인 우뭇가사리를 동결탈수 또는 압착탈수하여 건조시킨 것으로서 응고제로서 사용된다.
상기 수용성 합성 고분자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셀룰로오스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사용되는 폴리아크릴산은 아크릴산을 중합시켜 만드는 것으로서 고형화를 위해 사용된다.
상기 하이드로겔 매트릭스는 캐롭검, 알긴산나트륨, 구아검, 잔탄검 및 아라빅검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매트릭스는 수용성 폴리사카라이드 고분자 0.1 내지 10중량부 및 상기 수용성 합성 고분자 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5)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매트릭스 제조
제1단계는 수용성 폴리사카라이드 고분자 및 수용성 합성 고분자를 60 내지 95℃에서 물에 용해시킨 겔 용액으로 하이드로겔 매트릭스를 제조하는 단계;를 구성한다.
제 2단계는 복합생약추출물을 내포시킨 다층의 결합수를 상기 하이드로겔 매트릭스에 함유시키는 단계;를 구성한다.
상기 다층의 결합수를 제조하는 방법은 70 내지 80℃로 가열한 후, 혼합하여 실온으로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다층결합수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은 라멜라 구조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다층결합수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은 마스크팩 시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로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 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실험예 1의 제조
1) 수상액의 제조
글리세린(glycerin) 20g, 감초추출물(glycyrrhiza extract) 0.1g, 히알루론산염(hyaluronate) 0.1g 및 정제수를 포함하여 최종 100g이 되도록 수상액을 준비한다.
2) 하이드로겔의 제조
상기의 수상액에 카라기난(Carrageenan) 1.5g, 한천(Agar) 1.0g, 캐롭검(Ceratonia Siliqua (Carob) Gum ) 1.0g,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0.1g 및 폴리아크릴산 1.0g을 투입하여 90℃에서 30분간 완전 용해시킨다.
3) 유상액의 제조
그리고 하이드로지네이티드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1.0g, 콜레스테롤(Cholesterol) 0.5g,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0.5g,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1.0g,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hohol) 0.5g, 스쿠알란(squalane) 1.0g 및 실리콘 오일(silicone oil) 0.5g을 혼합한 후, 72℃에서 가열하여 유상액을 준비한다.
4) 복합생약추출물의 제조
각각의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아사이베리, 블루베리, 블랙베리, 딸기 및 라즈베리를 분쇄시켜 제조된 가루 10g을 각각 70%의 에탄올 1,000g에 첨가한 후에 25 내지 50℃에서 12 내지 24시간 침적 추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추출물은 250메쉬(mesh) 및 0.5um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준비하고, 조성물의 제조 시에는 각각 동일한 부피(volume)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복합생약추출물을 제조하여 사용한다.
5) 혼합단계
상기 유상액을 수상액에 투입하고 3,000rpm 내지 3,500rmp의 속도로 3분 내지 5분간 유화시켜 균일 분산시킨 후에 복합생약추출물 3.0g,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0.5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복합생약추출물을 내포시킨 다층결합수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한다.
6) 겔(gel)화단계
균일 분산 및 용해된 혼합액을 40 내지 70℃에 이형처리가 된 PET필름에 망사섬유를 지지체로 코팅한 후 코팅면 윗면에 필름을 덥고 냉각시켜 적당한 크기로 잘라 포장한다.
(2) 비교예 1의 제조
비교예 1은 심험예 1에서 유상액 중 액정유화제 성분인 하이드로지네이티드 레시틴, 콜레스테롤,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제외하고, 알라셀 165(Arlacel 165) 1.5g을 넣은 차이점 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상기 알라셀 165(Arlacel 165)은 다층구조를 형성하지 않는 유화제로서 사용되었다.
(3) 비교예 2의 제조
비교예 2는 실험예 1에서 복합생약추출물을 제외하고 정제수를 넣은 차이점 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상기의 실험예 1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조성 및 함량은 표 2와 같다.
구분 성분명 실험예 1
(중량%)
비교예 (중량%)
1 2
유상액 (액정유화제) 하이드로지네이티드 레시틴 1.0 - 1.0
유상액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 0.5
유상액 콜레스테롤 0.5 - 0.5
유상액 세테아릴알코올 1.0 1.0 1.0
유상액 베헤닐알코올 0.5 0.5 0.5
유상액 실리콘오일 0.5 0.5 0.5
유상액 스쿠알란 1.0 1.0 1.0
복합생약추출물 녹차추출물, 커피추출물, 감나무잎추출물, 카카오추출물, 아사이베리추출물, 블루베리추출물, 블랙베리추출물, 딸기추출물 및 라즈베리추출물 3.0 3.0 -
수상액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수상액 (보습제) 글리세린 20 20 20
수상액 (보습제) 히알루론산염 0.1 0.1 0.1
수상액 (첨가제) 감초추출물 0.1 0.1 0.1
수상액 (첨가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1 0.1 0.1
방부제 페녹시에탄올 0.5 0.5 0.5
수용성 폴리사카라이드 고분자 카라기난 1.5 1.5 1.5
수용성 폴리사카라이드 고분자 한천 1.0 1.0 1.0
수용성 합성 고분자 폴리아크릴산 1.0 1.0 1.0
캐롭검 1.0 1.0 1.0
알라셀 165 - 1.5 -
하이드로겔내 액정 생성 유무
[실시예 1]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된 하이드로겔에 대한 구조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액정유화제로서 하이드로지네이티드 레시틴, 콜레스테롤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한 실험예 1 및 하이드로지네이티드 레시틴, 콜레스테롤 및 글리세리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투과전자현미경, 편광현미경을 이용하여 그 구조 및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1 내지 4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관찰방법 실험예1 비교예1
투과 전자 현미경 다층 구조 단층 구조
편광 현미경 복굴절 복굴절 없음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실험예 1은 도 1에서와 같이 다층 구조를 갖지만, 비교예 1은 도 3에서와 같이 단층 구조를 갖는다.
또한,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실험예 1은 도 2에서와 같이 다층 구조로 인해 복굴절 현상이 나타나는 반면, 비교예 1은 도 4에서와 같이 단층 구조로 인해 복굴절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고 하이드로지네이티드 레시틴, 콜레스테롤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실험예 1은 하이드로겔 내 다층 구조를 형성하지만, 복합생약추출물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은 다층 구조를 형성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라멜라 구조로 형성된 다층결합수에 복합생약추출물을 내포한 경우 (실험예 1)와 복합생약추출물을 내포하고 단층 구조로만 형성된 경우 (비교예 1) 및 다층결합수에 복합생약추출물을 내포하지 않은 경우 (비교예 2)에 대한 효능을 비교하기 위해 실험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를 통해 사용 후 결과를 확인하였다.
상기의 제조예 방법으로 각각 제조된 조성물들의 성능을 비교 및 분석하기 위하여, 각각의 실험예 1, 비고예 1 및 비교예 2를 남녀 각각 15명씩 30명의 출원인 회사직원들의 얼굴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평가 항목은 피부 자극감, 피부 보습감, 피부 유연도, 제품 사용감 및 제품 만족도로서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하여 평가되었으며,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 실험예1 비교예1 비교예2
피부 저자극 4.5 3.6 4.4
피부 보습감 4.4 3.8 4.2
피부 유연감 4.3 3.7 4.1
제품 사용감 4.4 3.6 3.9
제품 만족도 4.5 3.4 4.0
평가기준: 매우 우수하다 5점/우수하다 4점/보통이다 3점/ 불량하다 2점/매우 불량하다 1점
표 4에서와 같이, 복합생약추출물만 함유된 단층 구조를 포함하는 조성물인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모든 기준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으며, 복합생약추출물이 내포되지 않은 다층결합수를 포함하는 조성물인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제품 사용감 및 제품 만족도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복합생약추출물을 내포하는 다층결합수를 포함하는 저점도 조성물인 실험예 1의 경우에는 피부에는 거의 자극이 없으며, 피부 보습감, 피부 유연감 등이 증가하여 전반적으로 제품 사용감 및 제품 만족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들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복합생약추출물을 내포시킨 다층결합수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은 다층을 형성하여 피부 구조와 유사한 멀티 라멜라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다층의 결합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피부에 효과적으로 또한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멜라 구조에 내포된 복합생약추출물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전달하여 피부 자극 완화, 피부 보습 증가, 손상된 피부의 회복, 피부 유연성 향상 등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 또는 예시를 대표하는 의미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변형과 다른 용도가 본 명세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Claims (11)

  1.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액;
    액정유화제인 하이드로지네이티드 레시틴을 포함하는 유상액; 및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추출물 및 베리류를 포함하는 복합생약추출물;
    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액은 천연 레시틴, 콜레스테롤, 세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추출물은 녹차추출물, 커피추출물, 감나무잎추출물 및 카카오추출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베리류는 아사이베리, 블루베리, 블랙베리, 딸기 및 라즈베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은 EDTA-2Na, 알로에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분홍바늘꽃추출물, 비타민E 유도체, 실리콘오일, 스쿠알란, 선플라워 오일, 그레이프시드 오일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은 글리세린, 다가 알코올, 당, 아미노산, 펩타이드 및 히알루론산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습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은 수용성 폴리사카라이드 고분자 및 수용성 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상기 하이드로겔 매트릭스 성분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폴리사카라이드 고분자는 카라기난 및 한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합성 고분자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셀룰로오스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매트릭스 성분은 캐롭검, 알긴산나트륨, 구아검, 잔탄검 및 아라빅검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매트릭스 성분은 상기 수용성 폴리사카라이드 고분자 0.1 내지 10중량부 및 상기 수용성 합성 고분자 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은 유상액 1.1 내지 20중량부, 복합생약추출물 0.1 내지 5중량부 및 수상액 10.2 내지 98.4중량부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
KR1020180150499A 2018-11-29 2018-11-29 다층결합수를 형성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 KR20200064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499A KR20200064403A (ko) 2018-11-29 2018-11-29 다층결합수를 형성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499A KR20200064403A (ko) 2018-11-29 2018-11-29 다층결합수를 형성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403A true KR20200064403A (ko) 2020-06-08

Family

ID=71090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499A KR20200064403A (ko) 2018-11-29 2018-11-29 다층결합수를 형성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44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408B1 (ko) * 2021-06-22 2021-10-01 주식회사 바이오뷰텍 청색을 띠는 천연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봉입된 다중층 리포좀 베지클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28189B1 (ko) * 2021-06-03 2022-08-02 한국콜마주식회사 다층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834B1 (ko) 2015-11-19 2017-01-13 (주)튜링겐코리아 산소 투과도가 우수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20170037059A (ko) 2015-09-25 2017-04-04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하이드로겔 시트용 조성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7059A (ko) 2015-09-25 2017-04-04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하이드로겔 시트용 조성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95834B1 (ko) 2015-11-19 2017-01-13 (주)튜링겐코리아 산소 투과도가 우수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189B1 (ko) * 2021-06-03 2022-08-02 한국콜마주식회사 다층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2428208B1 (ko) * 2021-06-03 2022-08-04 한국콜마주식회사 다층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2307408B1 (ko) * 2021-06-22 2021-10-01 주식회사 바이오뷰텍 청색을 띠는 천연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봉입된 다중층 리포좀 베지클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9685B1 (en) Film forming complex,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it and their use as peel-off film mask
CN111166683A (zh) 一种富勒烯抗衰抗氧化美容护肤化妆品及其制备方法
US8906433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sation comprising pine-resin extract,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 and Pinus densiflora root extract
KR101240254B1 (ko) 하이드로겔 시트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498382A (zh) 一种保湿共输送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20136141A (ko) 즉각적인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4403A (ko) 다층결합수를 형성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조성물
US10765641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ombination of pongamia oil and 4-t-butylcyclohexanol for the treatment of rosacea
KR102298396B1 (ko) 바이오폴리머에 분산된 칼라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시트
KR101760190B1 (ko) 생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튼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2657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1268A (ko) 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KR101064038B1 (ko) 피부 붓기를 완화해주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8008B1 (ko) 알로에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101919113B1 (ko) 연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20180093645A (ko) 천연 파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컬러테라피용 화장료 조성물
DE102006040450B3 (de) Verwendung einer Zusammensetzung für die Hautbehandlung nach Röntgenbestrahlung
KR102525629B1 (ko) 하이드록시산을 함유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102502255B1 (ko) 상처 치유, 피부 재생 또는 자극 완화 효과를 가지는 아줄렌 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1285A (ko) 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CN107802556A (zh) 一种保湿组合物及含有该组合物化妆品
KR20140074475A (ko)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8754A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진정 및 모발 컨디셔닝 개선용 조성물
KR20110058753A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진정 및 모발 컨디셔닝 개선용 조성물
KR102297560B1 (ko) 메칠하이드로제네이티드로지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