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337A - 혼합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혼합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337A
KR20200064337A KR1020180150350A KR20180150350A KR20200064337A KR 20200064337 A KR20200064337 A KR 20200064337A KR 1020180150350 A KR1020180150350 A KR 1020180150350A KR 20180150350 A KR20180150350 A KR 20180150350A KR 20200064337 A KR20200064337 A KR 20200064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body
bottle end
bottle
rib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틀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틀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틀링크
Priority to KR1020180150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4337A/ko
Publication of KR20200064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73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49/4278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68Auxiliary operations during the blow-mould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3Closed containers provided with local cooperating elements i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e.g. projection and recess
    • B65D21/0231Bottles, canisters or jars whereby the neck or handle project into a cooperating cavity in th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된 바닥면을 가진 챔버를 형성하는 홀딩바디와 상기 홀딩바디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의 바닥면을 커버하는 보틀앤드를 포함하고, 다른 혼합용기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연통하는 혼합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부용기를 형성하는 프리폼 블로잉 단계; 블로잉된 프리폼을 커팅하는 단계; 커팅된 상부용기의 홀딩바디 외주면 또는 상기 보틀앤드의 내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홀딩바디를 향해 상기 보틀앤드를 펀칭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혼합용기 및 그 제조방법{Mixing bott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혼합용기 및 그 제조방법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12-0085539에는 혼합용기의 구조와 제조방법에 관한 종래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기술문헌에는 다른 혼합용기간 서로 결합되어 연통된다는 기술적 개념이 게시되어 있으며, 혼합용기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 기술에서는, 블로잉 방법만으로는 나사산이나 밀폐막을 정밀 성형할 수 없으며, 혼합용기 전체를 사출 성형하는 것은 현재의 금형기술로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즉, 혼합용기를 일체로 정밀 성형하는 것이 불가하여, 양산성 자체가 결여되어 있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산성이 높고 생산비용이 낮은 혼합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혼합용기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연통하는 혼합용기에 있어서, 개방된 바닥면을 가진 챔버를 형성하는 홀딩바디; 상기 홀딩바디의 상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챔버와 연통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체결부; 및 상기 홀딩바디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의 바닥면을 커버하는 보틀앤드;를 포함하고, 상기 보틀앤드는 상기 챔버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다른 혼합용기의 체결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와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차폐하도록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는 밀폐막; 상기 홀딩바디의 내주면 하부와 맞닿는 제1리브; 상기 제1리브에서 연장되며, 상기 홀딩바디 자유단이 안착되는 리브베이스; 상기 리브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리브; 및 상기 제2리브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리브의 반경방향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제3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딩바디의 자유단은 상기 제1리브와 상기 제2리브 사이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리브는 상기 홀딩바디의 자유단이 상기 리브베이스에 안착되도록, 상기 홀딩바디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리브와 상기 홀딩바디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착제가 도포된 후, 상기 제2리브와 상기 홀딩바디의 외주면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리브와 상기 홀딩바디의 외주면은 초음파 융착, 열융착, 마찰융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딩바디의 하단과 상기 리브베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착제가 도포된 후, 상기 홀딩바디의 하단이 상기 리브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틀앤드는 상기 밀폐막 하부에 구비된 체결부 접촉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틀앤드는 상기 밀폐막과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밀폐막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틀앤드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밀폐막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다른 혼합용기의 체결부가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면 파열되는 파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혼합용기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연통하는 혼합용기에 있어서, 개방된 바닥면을 가진 챔버를 형성하는 홀딩바디; 상기 홀딩바디의 상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챔버와 연통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체결부; 및 상기 홀딩바디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의 바닥면을 커버하는 보틀앤드;를 포함하고, 상기 보틀앤드는 상기 챔버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다른 혼합용기의 체결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와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차폐하도록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는 밀폐막;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밀폐막을 연결하는 파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와 밀폐막 그리고 파열부는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다른 혼합용기의 체결부가 상기 연결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파열부가 찢어지도록 HDPE 또는 LDPE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혼합용기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연통하는 혼합용기에 있어서, 개방된 바닥면을 가진 챔버를 형성하는 홀딩바디; 상기 홀딩바디의 상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챔버와 연통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체결부; 및 상기 홀딩바디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의 바닥면을 커버하는 보틀앤드;를 포함하고, 상기 보틀앤드는 상기 챔버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다른 혼합용기의 체결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와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차폐하도록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는 밀폐막; 상기 연결부와 상기 밀폐막을 연결하는 파열부; 및 상기 밀폐막 하부에 구비된 체결부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된 바닥면을 가진 챔버를 형성하는 홀딩바디와 상기 홀딩바디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의 바닥면을 커버하는 보틀앤드를 포함하고, 다른 혼합용기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연통하는 혼합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부용기를 형성하는 프리폼 블로잉 단계; 블로잉된 프리폼을 커팅하는 단계; 커팅된 상부용기의 홀딩바디 외주면 또는 상기 보틀앤드의 내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홀딩바디를 향해 상기 보틀앤드를 펀칭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홀딩바디 또는 상기 보틀앤드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접착제를 도포하는 노즐 개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계는 상기 홀딩바디 하단에 상기 보틀앤드를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홀딩바디를 향해 상기 보틀앤드를 펀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팅단계는 블로잉된 상부용기를 홀딩하는 단계; 및 상기 홀딩된 상부용기의 하측을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산성이 높고 생산비용이 낮은 혼합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혼합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상기 혼합용기의 보틀앤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상기 보틀앤드의 연결부와 밀폐막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혼합용기의 제조방법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른 블로잉 단계를 표현한 것이다.
도 6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른 커팅 단계를 표현한 것이다.
도 7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른 접착제 도포 단계를 표현한 것이다.
도 8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른 결합 단계를 표현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혼합용기(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혼합용기(1)는 개방된 바닥면을 가진 챔버를 형성하는 홀딩바디(10), 상기 홀딩바디(10)의 상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챔버와 연통하는 토출구(111a)을 포함하는 체결부(11), 및 상기 홀딩바디(10)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의 바닥면을 커버하며 상기 체결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보틀앤드(2)를 포함하고,
상기 보틀앤드(2)는 상기 챔버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챔버와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유입구(21a)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연결부(21), 상기 유입구(21a)를 차폐하도록 상기 연결부(21)의 상단에 형성되며, 다른 혼합용기(1')의 체결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파열되는 밀폐막(28), 상기 홀딩바디(10) 내주면 하부와 결합되는 제1리브(2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리브(231)와 상기 연결부(21)에는 보틀앤드 숄더(22)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상기 홀딩바디(10)가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숄더 경사면(2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틀앤드(2)는 상기 제1리브(231) 하단에서 그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홀딩바디(10) 자유단이 안착되는 리브베이스(25), 및 상기 홀딩바디(10)의 외주면 하부를 감싸도록 상기 리브베이스(25)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리브(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딩바디(10)의 자유단은 상기 제1리브(231)와 제2리브(232) 사이에 억지끼움될 수 있으며, 이는 혼합용기의 실링을 강화한다.
또한, 상기 제2리브(24)와 상기 홀딩바디(10) 외주면은 초음파 융착, 열융착, 마찰융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해 연결될 수 있으나, 생산성 측면에서 핫멜트를 이용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보틀앤드(2)는 상기 제2리브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리브의 반경방향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제3리브(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리브(233)는 상기 홀딩바디(10)의 자유단(10a)이 상기 리브베이스에 안착되도록 상기 홀딩바디(1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한면, 수밀성을 증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상기 보틀앤드(2)는 상기 밀폐막 하부에 구비된 체결부 접촉돌기(28b)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체결부 접촉돌기(28b)는 다른 혼합용기(1')의 체결부의 끝단과 맞닿으면서 응력이 집중되도록 한다.
즉, 파열부(28a)가 찢어질 때, 상기 체결부 접촉돌기(28b) 부근에서 먼저 찢어지도록 하여, 응력이 자연스럽게 파열부(28a)를 따라 전달되도록 한다.
이는 불특정 부위가 터지지 않도록 하여 실링을 강화하고, 미세 플라스틱 조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에 더해, 상기 보틀앤드(2)는 상기 다른 혼합용기의 체결부가 상기 연결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파열부가 자연스럽게 찢어지도록 연질 HDPE 또는 연질LDPE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틀앤드(2)에는 상기 밀폐막과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밀폐막 홀더(28c)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밀폐막(28)이 연결부(21)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보틀앤드(2)는 상기 체결부(11)의 외주면 상단과 밀착하도록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제1실링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11)는 내부가 빈 원통형의 체결부바디(111) 및 상기 체결부바디(111)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체결부리브(114)를 포함하고, 상기 보틀앤드(2)는 상기 체결부리브(114)와 밀착하도록 상기 연결부(21)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제2실링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11)는 상기 체결부바디(111)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스토퍼(115)를 포함하고, 상기 보틀앤드(2)는 상기 스토퍼(115)와 밀착하도록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연결부의 중심축에 대해 소정각도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진 제3실링부(2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혼합용기의 제조방법은 상부용기를 형성하는 프리폼 블로잉 단계(S1), 블로잉된 프리폼을 커팅하는 단계(S2), 커팅된 상부용기의 홀딩바디 외주면 또는 상기 보틀앤드의 내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3) 및, 상기 홀딩바디를 향해 상기 보틀앤드를 펀칭하는 결합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단계는 블로잉된 상부용기를 홀딩하는 단계(S21) 및, 상기 홀딩된 상부용기의 하측을 커팅하는 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3)는 상기 홀딩바디 또는 상기 보틀앤드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단계(S31) 및 접착제를 도포하는 노즐 개방 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단계는 상기 홀딩바디 하단에 상기 보틀앤드를 안착시키는 단계(S41) 및 상기 홀딩바디를 향해 상기 보틀앤드를 펀칭하는 단계(S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은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이 다른 효과를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간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따라 종래기술과 다른 새로운 효과를 가지고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상부용기 1 홀딩바디 10 체결부 11 체결부바디 111
토출구 111a 체결부나사산 113 체결부리브 114 스토퍼 115
홀딩바디숄더 12 보틀앤드 20 연결부 21 유입구 21a
제3실링부 21b 보틀앤드숄더 22 숄더 경사면 22a 제1리브 231
제2리브 232 제2리브 233a 리브베이스 25 제1실링부 26
제2실링부 27 밀폐막 28 파열부 28a 체결부 접촉돌기 28b
밀폐막 홀더 28c 연결부나사산 29 프리폼 P 블레이드 B
노즐 N 제1노즐 N1 제2노즐 N2

Claims (4)

  1. 개방된 바닥면을 가진 챔버를 형성하는 홀딩바디와 상기 홀딩바디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의 바닥면을 커버하는 보틀앤드를 포함하고, 다른 혼합용기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연통하는 혼합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부용기를 형성하는 프리폼 블로잉 단계;
    블로잉된 프리폼을 커팅하는 단계;
    커팅된 상부용기의 홀딩바디 외주면 또는 상기 보틀앤드의 내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홀딩바디를 향해 상기 보틀앤드를 펀칭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홀딩바디 또는 상기 보틀앤드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접착제를 도포하는 노즐 개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계는
    상기 홀딩바디 하단에 상기 보틀앤드를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홀딩바디를 향해 상기 보틀앤드를 펀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단계는
    블로잉된 상부용기를 홀딩하는 단계; 및
    상기 홀딩된 상부용기의 하측을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의 제조방법.
KR1020180150350A 2018-11-29 2018-11-29 혼합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643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350A KR20200064337A (ko) 2018-11-29 2018-11-29 혼합용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350A KR20200064337A (ko) 2018-11-29 2018-11-29 혼합용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337A true KR20200064337A (ko) 2020-06-08

Family

ID=7108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350A KR20200064337A (ko) 2018-11-29 2018-11-29 혼합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43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31322A1 (en) Delamination container
EP3331775B1 (en) Method for assembling a dispensing system for dispensing a fluid medium
US9377162B2 (en) Pressure vessel liner, molding die thereof, and pressure vessel
WO2013080810A1 (ja) 圧力容器及び圧力容器の製造方法
US11554553B2 (en) Tamper-evident closure
ES2352048T3 (es) Cierre para un recipiente sellado de un producto alimenticio vertible, y método para producir el mismo.
WO2017021039A1 (en) Method for assembling a dispensing system for dispensing a fluid medium
JP2020507530A (ja) 一体型排気システムを備えた容器クロージャ
US20180222647A1 (en) Valve cups and containers for use in fluid medium dispensing systems
KR20200064337A (ko) 혼합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64333A (ko) 혼합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2016222301A (ja) 二重容器
KR20200093231A (ko) 혼합용기 및 그 제조방법
WO2016167034A1 (ja) 圧力容器
US11639241B2 (en) Method for producing a cartridge and cartridge
JP2023506771A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カートリッジ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5364136B2 (ja) パンク修理キット
RU78773U1 (ru) Укупорочный колпачок
CN105324328A (zh) 用于具有气态介质供给可能性的饮料瓶的封帽
WO2019031608A1 (ja) 注出口栓及び注出口栓を備える包装容器
WO2017022736A1 (ja) 容器注出口の封止構造
JP2018192667A (ja) パンク修理用のボトルユニット
WO2010025740A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6055178B2 (ja) 詰め替え容器
JP2021187517A (ja) 注出キャッ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