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864A - 재봉틀용 밑실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용 밑실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864A
KR20200063864A KR1020180150098A KR20180150098A KR20200063864A KR 20200063864 A KR20200063864 A KR 20200063864A KR 1020180150098 A KR1020180150098 A KR 1020180150098A KR 20180150098 A KR20180150098 A KR 20180150098A KR 20200063864 A KR20200063864 A KR 20200063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lower thread
bobbin case
sewing machine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스타
Priority to KR1020180150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3864A/ko
Publication of KR20200063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8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틀용 밑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방으로는 입구가 형성되고, 입구 가장자리 상부에는 요홈(32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요홈(320) 내부 일측에 밑실(b)이 인출되는 인출구(330)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보빈케이스(300)와, 상기 요홈(320)에 끼워지는 돌조(720)를 구비하고 재봉틀에 일단이 고정되어 보빈케이스(300)의 회전을 제한하는 돌조(720)를 구비하는 가마잡이(700)를 포함하되, 상기 돌조(720)는 일측면(722)이 요홈(320) 내부에서 인출구(330)가 형성되는 쪽 면에 면접하는 형상을 이루면서 인출구(330) 입구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되는 한편 끝단으로 갈수록 얇아지게 형성되어,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는 밑실이 재봉과정에서 인출구의 입구에 걸리지 않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재봉질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재봉틀용 밑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봉틀용 밑실 공급장치{Under thread feeder of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틀에 사용되는 밑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밑실이 안정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재봉틀용 밑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봉틀에 사용되는 밑실 공급장치는 재봉틀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바늘에 걸린 상태로 하강하는 윗실을 걸어 끌고 가는 후크바디와, 상기 후크바디에 수용되고 내부로부터 밑실이 인출되는 보빈케이스를 포함하는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바디(200)는 내부가 비어 전방으로 입구가 형성된 것으로서, 후방으로 재봉틀의 구동축이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후크바디(200)에는 후크(210)가 형성되는바, 바늘(600)이 윗실(a)이 끼워진 상태로 하강하였다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후크(210)가 윗실(a)을 걸어 끌고 가면서 회전을 하게 된다.
후크(210) 상면으로는 윗실가이드(220)가 형성된다. 윗실가이드(220)는 끝단에서 후크바디(200) 전방 쪽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후크(210)와 일정한 간격을 이루게 형성된다. 상기 윗실가이드(220)는 후크(210)에 걸린 윗실(a) 중 재봉된 원단 쪽 윗실(a2)을 후크바디(200)의 전방영역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보빈케이스(300)는 상기 후크바디(200)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으로 전방으로는 입구가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 밑실(b)을 공급하는 수단이 내부에 형성된다. 밑실(b)을 공급하는 수단으로는 밑실(b)이 감긴 보빈일 수 있고, 보빈이 채택되지 않는 경우 외부에서 보빈케이스(300) 내부로 밑실(b)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빈케이스(300) 외주면 둘레를 따라서는 후크가이드레일(370)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가이드레일(370)은 보빈케이스(300)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가이드레일(360)의 끝단부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윗실(a)을 후크(210)가 걸어 끌고 갈 때 실패 쪽 윗실(a1)이 후크바디(200)와 보빈케이스(300)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보빈케이스(300)의 후방영역을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보빈케이스(300) 입구 가장자리에는 인출구(330)와 바늘통공(340)이 형성된다. 인출구(330)를 통해 보빈케이스(300) 내부에서 밑실(b)이 인출되고, 바늘통공(340)으로는 윗실(a)이 끼워진 채 하강하는 바늘(600)이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출구(330)는 상기 바늘(600)이 인출구(330)의 앞쪽에서 인출구(330)에서 인출되는 밑실(b)의 좌측으로 하강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윗실(a)이 인출구(330)에서 인출되는 밑실(b)의 앞쪽 좌측에서 후크(210)에 걸려 끌려가게 된다. 상기 구성은 인출구(330)가 보빈케이스(300)가 회전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바늘통공(340)과 동일 선상에서 뒤쪽에 형성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보빈케이스(300)는 후크바디(200)가 회전할 때 회전되지 않게 설치된다. 이 구성은 가마잡이(70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마잡이(700)는 재봉틀에 일단이 고정되는 한편 타단에는 돌조(720)가 형성되어 상기 돌조(720)가 보빈케이스(300)의 입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요홈(320)에 끼워짐으로써 보빈케이스(300)를 잡아주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인출구(330)는 상기 요홈(320)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밑실 공급장치로 원단을 재봉하는 과정은,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바디(200)가 회전할 때 보빈케이스(300)는 회전이 저지되어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인출구(330)는 바늘(600)이 하강하는 위치보다 뒤쪽에 위치되고, 밑실(b)은 인출구(330)를 통해 재봉된 원단 쪽으로 인출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실(a)이 끼워진 바늘(600)이 하강하면 상기 바늘(600)은 밑실(b) 좌측으로 하강을 하게 된다. 따라서 재봉된 원단 쪽 윗실(a2)과 실패 쪽 윗실(a1) 모두 밑실(b)의 좌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윗실(a) 중 재봉된 원단 쪽 윗실(a2)이 바늘(600)을 기준으로 보빈케이스(300)의 후방영역 쪽에 배치되는 반면 실패 쪽 윗실(a1)은 보빈케이스(300) 전방영역 쪽에 배치된 상태로 하강을 하게 된다.
이어서 후크바디(200)가 계속 회전하면서 윗실(a)을 걸어 끌고 가게 되는데,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된 원단 쪽 윗실(a2)은 윗실가이드(220)에 의하여 보빈케이스(300)의 전방영역으로 유도되고, 실패 쪽 윗실(a1)은 후크바디(200)와 보빈케이스(300)의 틈 사이로 안내되면서 보빈케이스(300) 후방영역으로 안내된다. 그 결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패 쪽 윗실(a1)이 밑실(b)의 우측에서 아래로 돌아 좌측으로 상승하며 밑실(b)을 한 바퀴 감은 다음 이미 재봉된 원단 쪽 윗실(a2)과 밑실(b) 사이로 통과하면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실(a)이 밑실(b)을 홀치기 방식으로 실채기하면서 땀이 형성되며 재봉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종래의 구성에서 인출구(330)를 통해 인출되는 밑실(b)은 재봉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보빈의 움직임이나 윗실(a)에 의해 당겨지면서 인출구(330) 내에서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구(330)에서 이탈된 밑실(b)이 인출구(330) 입구 부근에서 요홈(320)에 끼워진 가마잡이(700) 돌조(720)와 요홈(320)의 벽 사이에 형성되는 틈 사이로 밑실(b)이 빠져 걸리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재봉틀의 작동을 멈추고 밑실(b)을 다시 인출구(330)에 정확히 끼워주어야 하는 불편이 유발된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8483호(2018.2.12.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는 밑실이 재봉과정에서 인출구의 입구에서 요홈의 벽면과 가마잡이의 돌조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재봉질이 가능하도록 하는 재봉틀용 밑실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방으로는 입구가 형성되고 입구 가장자리 상부에는 요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요홈 내부 일측에 밑실이 인출되는 인출구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보빈케이스와, 상기 요홈에 끼워지는 돌조를 구비하고 재봉틀에 일단이 고정되어 보빈케이스의 회전을 제한하는 돌조를 구비하는 가마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돌조는 일측면이 요홈 내부에서 인출구가 형성되는 쪽 면에 면접하는 형상을 이루면서 인출구 입구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되는 한편 끝단으로 갈수록 얇아지게 형성되는 재봉틀용 밑실 공급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는 밑실이 재봉과정에서 인출구의 입구에 걸리지 않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재봉질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밑실 공급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밑실 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밑실 공급장치에서 밑실의 인출방향과 위실이 후크에 걸리는 위치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 내지 9는 밑실 공급장치에 의한 땀 형성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은 밑실이 가마잡이 돌조와 요홈의 벽 사이에 형성되는 틈 사이에 빠져 걸리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마잡이의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가마잡이 돌조와 보빈케이스 요홈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가마잡이 돌조가 보빈케이스의 요홈에 결합된 상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가마잡이 돌조가 보빈케이스의 요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밑실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가마잡이 돌조와 요홈의 다른 실시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보빈케이스의 요홈 내에 형성되어 있는 인출구로 인출되는 밑실이 재봉과정에서 인출구와 가마잡이의 돌조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재봉질이 가능하도록 하는 재봉틀용 밑실 공급장치를 얻기 위해,
전방으로는 입구가 형성되고 입구 가장자리 상부에는 요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요홈 내부 일측에 밑실이 인출되는 인출구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보빈케이스와, 상기 요홈에 끼워지는 돌조를 구비하고 재봉틀에 일단이 고정되어 보빈케이스의 회전을 제한하는 돌조를 구비하는 가마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돌조는 일측면이 요홈 내부에서 인출구가 형성되는 쪽 면에 면접하는 형상을 이루면서 인출구 입구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되는 한편 끝단으로 갈수록 얇아지게 형성되는 재봉틀용 밑실 공급장치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마잡이의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마잡이(700)는 일정 길이로 된 몸체 일측에 돌조(720)가 상기 몸체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종래와 다름 없는 구조를 가지지만, 상기 돌조(720)의 형상에 있어 종래와 차이를 보인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가마잡이 돌조와 보빈케이스 요홈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가마잡이 돌조가 보빈케이스의 요홈에 결합된 상태 예시도이다.
보빈케이스(300)는 후크바디(200)에 결합되게 되는바, 이러한 기본 구성은 종래와 다름 없다.
보빈케이스(300)는 전방으로 입구가 형성되고, 입구 가장자리 상부에 요홈(320)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요홈(320) 내부 일측(도면에서 좌측)에는 밑실(b)이 인출되는 인출구(330)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보빈케이스(300) 원주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 2~5mm 깊이의 홈이다.
가마잡이(700)는 도시되지 않은 재봉틀에 일단이 고정되어 돌조(720)가 상기 요홈(320)에 끼워짐으로써 보빈케이스(300)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러한 돌조(720)는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도면상 좌·우 방향 두께)가 얇아져 상단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형상은 돌조(720) 일측면(722), 즉 인출구(330) 쪽에 접하는 면이 요홈(320) 내부에서 인출구(330)가 형성되는 쪽 면에 면접하는 형상을 이루고, 그 반대면인 타측면(724)이 경사진 면을 이루게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돌조(720)는 인출구(330) 입구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어, 일측면(722)이 요홈(320) 내부에서 인출구(330)가 형성되는 쪽 면에 면접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가마잡이(700)가 보빈케이스(300)의 회전을 제한하게 설치되더라도 돌조(720)의 상단이 인출구(330)로 돌출되지 않게 됨과 아울러 돌조(720)의 일측면(722)과 요홈(320) 내부 벽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인출구(330)의 입구로 돌출되는 부분이 형성되지 않음과 아울러 인출구(330) 입구측에 틈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돌조(720)의 끝단은 인출구(330) 입구에서 1~2mm 이내로 약간 낮은 위치에 끝단이 위치되도록 그 길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타측면(724)은 오목한 호형을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보빈케이스(300)와 가마잡이(700)에서 요홈(320)과 돌조(720)가 접하는 면에는 턱이 형성될 수 있다. 돌조(720)의 일측면(722)이 요홈(320)의 내부 벽면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구조는 요홈(320)에서 상기 돌조(720)의 일측면(722)이 접하는 면에는 안착턱(323)이 형성되고, 상기 돌조(720)의 일측면(722)에는 걸림턱(723)이 형성되는 것인바, 상기 안착턱(323)은 요홈(320) 벽면이 '「 '와 같은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걸림턱(723)은 그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돌조(720)에 형성된 걸림턱(723)이 안착턱(323)에 맞물려 걸리게 된다. 따라서 돌조(720)가 요홈(320)에 끼워져 결합될 때 요홈(320) 내부 쪽으로 진입하는 정도가 제한되고, 그 결과 돌조(720)가 요홈(320) 내부로 끝까지 진입하더라도 그 끝단이 인출구(330) 입구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가마잡이 돌조가 보빈케이스의 요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밑실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밑실(b)은 보빈케이스(300) 요홈(320)에 형성된 인출구(330)를 통해 인출되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재봉질이 진행되면 그 과정에서 밑실(b)이 보빈의 움직임이나 윗실에 의해 당겨지면서 인출구(330) 내에서 움직임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인출구(330)에서 이탈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출구(330) 밖으로 이탈된 밑실(b)은 요홈(320) 내부에서 이리저리 움직이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본 발명에 의하면 가마잡이(700) 돌조(720)와 요홈(320)의 벽 사이, 즉 인출구(330) 입구측에 틈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밑실()이 걸리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인출구(330) 밖으로 이탈된 밑실(b)은 밑실(b)이 다시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면 인출구(330)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돌조(720)의 타측면(724) 부근에 밑실(b)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 경사진 타측면(724)을 따라 자연스럽게 상승하면서 인출구(330)로 진입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가마잡이 돌조와 요홈의 다른 실시 예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가마잡이(700) 돌조(720)와 보빈케이스(300)에 형성되는 요홈(320)의 구조를 앞서 설명한 바와 달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요홈(320)에서 상기 돌조(720)의 일측면(722)이 접하는 면이 수직인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조(720)의 일측면(722)도 수직인 면으로 형성되어 서로 맞닿아 면접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가마잡이(700) 몸체가 요홈(320)의 입구에 걸리면서 돌조(720)의 진입 거리가 제한된다.
200 : 후크바디, 300 : 보빈케이스
320 : 요홈, 323 : 안착턱,
330 : 인출구, 700 : 가마잡이,
720 : 돌조, 722 : 일측면,
723 : 걸림턱, 724 : 타측면.

Claims (3)

  1. 전방으로는 입구가 형성되고, 입구 가장자리 상부에는 요홈(32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요홈(320) 내부 일측에 밑실(b)이 인출되는 인출구(330)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보빈케이스(300)와,
    상기 요홈(320)에 끼워지는 돌조(720)를 구비하고 재봉틀에 일단이 고정되어 보빈케이스(300)의 회전을 제한하는 돌조(720)를 구비하는 가마잡이(700)를 포함하되,
    상기 돌조(720)는 일측면(722)이 요홈(320) 내부에서 인출구(330)가 형성되는 쪽 면에 면접하는 형상을 이루면서 인출구(330) 입구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되는 한편 끝단으로 갈수록 얇아지게 형성되는 재봉틀용 밑실 공급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조(720)의 타측면(724)은 오목한 호형을 이루는 재봉틀용 밑실 공급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조(720)의 일측면(722)에는 걸림턱(723)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320)에서 상기 일측면(722)이 접하는 면에는 안착턱(323)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723)이 안착턱(323)에 걸리는 상태로 돌조(720)가 요홈(320)에 끼워져 돌조(720)가 요홈(320) 내부로 진입하는 정도가 제한되는 재봉틀용 밑실 공급장치.
KR1020180150098A 2018-11-28 2018-11-28 재봉틀용 밑실 공급장치 KR202000638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098A KR20200063864A (ko) 2018-11-28 2018-11-28 재봉틀용 밑실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098A KR20200063864A (ko) 2018-11-28 2018-11-28 재봉틀용 밑실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864A true KR20200063864A (ko) 2020-06-05

Family

ID=7108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098A KR20200063864A (ko) 2018-11-28 2018-11-28 재봉틀용 밑실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386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483B1 (ko) 2017-06-14 2018-02-12 허필호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483B1 (ko) 2017-06-14 2018-02-12 허필호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483B1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KR20200063864A (ko) 재봉틀용 밑실 공급장치
KR102189146B1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JP5131406B1 (ja) 回転釜の潤滑装置
KR101828484B1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및 재봉방법
JP4277292B2 (ja) オーバロックミシン
TWI489021B (zh) Sewing machine under the line supply device
CN107858792A (zh) 一种缝纫机底线供给装置和缝纫方法
US3199480A (en) Rotary hook construction
US20180371660A1 (en) Vertical full-rotation shuttle, stitches made by vertical full-rotation shuttle and stitch forming method
KR101733702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JPH0496791A (ja) ミシン
JP2017029658A (ja) ボビンレス下糸連続供給装置
KR100961154B1 (ko) 단사 방지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WO2022114335A1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KR101909650B1 (ko) 수직 전회전 북집
JPH0496790A (ja) ミシン
JP2960363B2 (ja) ボビンケース
JPH0875Y2 (ja) ミシンの糸切断装置
CN201908208U (zh) 具有环形凹槽的旋梭内梭压板
KR100559999B1 (ko) 일부개방형 안전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회전북장치
US983739A (en) Shuttle-race cover.
US2327768A (en) Thread guide for sewing machines
EP1004696A1 (en) An improved needle for a tufting machine
US1597805A (en) Thread retainer for sewing mach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