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455A -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455A
KR20200063455A KR1020180149138A KR20180149138A KR20200063455A KR 20200063455 A KR20200063455 A KR 20200063455A KR 1020180149138 A KR1020180149138 A KR 1020180149138A KR 20180149138 A KR20180149138 A KR 20180149138A KR 20200063455 A KR20200063455 A KR 20200063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assembly
type
sub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4736B1 (ko
Inventor
고영휘
Original Assignee
고영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휘 filed Critical 고영휘
Priority to KR1020180149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7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63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동일한 프레임이 적용되는 이종의 전기 자동차를 혼류 생산 가능한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서로 동일한 프레임이 적용되는 제1차종 전기 자동차와 제2차종 전기 자동차를 혼류 조립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1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이 서로 구분되게 보관되는 자재창고; 상기 제1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 중에서 서브섀시부품이 조립되어 제1차종 섀시서브어셈블리를 준비하는 제1차종 서브섀시조립라인; 상기 제2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 중에서 서브섀시부품이 조립되어 제2차종 섀시서브어셈블리를 준비하는 제2차종 서브섀시조립라인; 상기 제1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 중에서 서브전장부품이 조립되어 제1차종 전장서브어셈블리를 준비하는 제1차종 서브전장조립라인; 상기 제2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 중에서 서브전장부품이 조립되어 제2차종 전장서브어셈블리를 준비하는 제2차종 서브전장조립라인; 상기 프레임이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분하면서 안내궤도를 따라 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대차; 상기 제1차종 전기 자동차와 상기 제2차종 전기 자동차 중의 하나로 기선택된 전기 자동차의 섀시서브어셈블리와 전장서브어셈블리가 운반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대차의 상부로 운반되어 상기 이송대차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구간별로 구분해가면서 기설정된 조립순서에 대응되게 조립되어 상기 전기 자동차를 완성하는 메인조립라인; 및 완성된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 및 배터리 성능을 검사하여 출고 여부를 판정하는 검사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 및 방법{ELECTRIC VEHICLE ASSEMBLY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Y PRODUCTION ELECTRIC VEHICLE USING SAME}
본 발명은 서로 동일한 프레임이 적용되는 이종의 전기 자동차를 혼류 생산 가능한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는 전동모터와 배터리를 주요부품으로 하여 배터리에서 제공하는 전기에너지로 전동모터를 작동시켜 구동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바디와 섀시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바디는 운전자와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부로서 메인차제, 내장부품, 외장부품 등을 포함하고 있다. 섀시는 구동에 필요한 구성부로서, 프레임, 전동모터, 감속장치, 조향장치, 제동장치, 현가장치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전기 자동차는 연료엔진 자동차와는 달리 연료엔진이 탑재되지 않고 전동모터가 탑재됨에 따라 섀시를 이루는 구성품들이 연료엔진 자동차의 대응 구성품들보다는 조립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단순함에 따라 전기 자동차마다 서로 용도가 다르더라도 크기 규격에 따라 동일한 프레임을 적용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전기 자동차는 상기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크기 규격이 유사하더라도 구조나 형태가 서로 완전히 다른 프레임이 적용됨에 따라 통상의 연료엔진 자동차와 같은 방식으로 조립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기 자동차의 조립 생산 라인을 차종마다 구분하여 별도로 마련해야 함에 따라 설비비용이 증가하고 조립 인력도 배로 필요하며 차종별 주문량에 따라 가동 또는 가동되지 않는 조립 생산 라인이 발생하여 생산량 조절이 용이하지 않고 생산효율도 저하되며 원가절감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의 크기 규격에 따라 동일한 차체프레임을 적용하여 복수 개의 차종을 하나의 조립 생산 라인에서 선택적으로 생산 가능하도록 혼류 생산이 가능한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라인의 구축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1881호, 2004.06.19.자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0638호, 2009.10.22.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설비비용을 줄이고 인건비를 절감하며 생산량 조절이 용이하고 생산효율이 향상되며 원가절감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전기 자동차의 크기 규격에 따라 동일한 프레임이 적용된 두 차종의 전기 자동차를 혼류 생산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라인은 서로 동일한 프레임이 적용되는 제1차종 전기 자동차와 제2차종 전기 자동차를 혼류 조립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1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이 서로 구분되게 보관되는 자재창고; 상기 제1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 중에서 서브섀시부품이 조립되어 제1차종 섀시서브어셈블리를 준비하는 제1차종 서브섀시조립라인; 상기 제2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 중에서 서브섀시부품이 조립되어 제2차종 섀시서브어셈블리를 준비하는 제2차종 서브섀시조립라인; 상기 제1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 중에서 서브전장부품이 조립되어 제1차종 전장서브어셈블리를 준비하는 제1차종 서브전장조립라인; 상기 제2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 중에서 서브전장부품이 조립되어 제2차종 전장서브어셈블리를 준비하는 제2차종 서브전장조립라인; 상기 프레임이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분하면서 안내궤도를 따라 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대차; 상기 제1차종 전기 자동차와 상기 제2차종 전기 자동차 중의 하나로 기선택된 전기 자동차의 섀시서브어셈블리와 전장서브어셈블리가 운반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대차의 상부로 운반되어 상기 이송대차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구간별로 구분해가면서 기설정된 조립순서에 대응되게 조립되어 상기 전기 자동차를 완성하는 메인조립라인; 및 완성된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 및 배터리 성능을 검사하여 출고 여부를 판정하는 검사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차종의 전기 자동차와 제2차종의 전기 자동차는 각각 1톤 화물차와 12인승 승합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차종의 전기 자동차와 제2차종의 전기 자동차는 각각 2.5톤 화물차와 15~35인승 승합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선택된 전기 자동차가 상기 승합차인 경우 상기 승합차의 바디는 상기 자재창고에 보관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이동대차에 의해 상기 메인조립라인을 따라 이송될 때 상기 운반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대차의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프레임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방법은 서로 동일한 프레임이 적용되는 제1차종의 전기 자동차와 제2차종의 전기 자동차를 혼류 조립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1차종 전기 자동차와 상기 제2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을 서로 구분되게 자재창고에 보관하는 단계; 상기 자재창고에 보관된 상기 제1차종 전기 자동차와 상기 제2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을 조립하여 섀시서브어셈블리와 전장서브어셈블리를 각각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을 이동대차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대차를 안내궤도를 따라 복수 개의 구간별로 구분하여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대차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차종 전기 자동차와 상기 제2차종 전기 자동차 중의 어느 하나로 기선택된 전기 자동차의 상기 섀시서브어셈블리와 전장서브어셈블리를 상기 프레임에 기설정된 조립순서에 대응되게 각각 조립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를 완성하는 단계; 및 완성된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 및 배터리 성능을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동일한 프레임을 가지는 두 차종의 전기 자동차를 혼류 방식으로 조립 생산 가능함에 따라 설비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인력배치를 효율적으로 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생산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원가절감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을 통한 전기 자동차의 조립 생산 과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전동모터와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를 조립 생산하기 위한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 및 방법은 서로 동일한 프레임이 적용되는 이종의 전기 자동차를 일부 생산 라인을 공유하면서 조립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큰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전기 자동차의 차종별로 조립라인을 서브조립라인과 메인조립라인으로 구분하되, 상기 메인조립라인을 차종에 구분없이 서로 공유하여 사용함으로써 선택된 차종의 전기 자동차를 조립 생산 가능하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방법에 대한 설명은 후술할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에 모두 포함됨에 따라 중복 기재되지 않도록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을 통한 전기 자동차의 조립 생산 과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100)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재창고(110), 제1차종 서브섀시조립라인(120), 제2차종 서브섀시조립라인(140), 제1차종 서브전장조립라인(130), 제2차종 서브전장조립라인(150), 이송대차(미도시), 메인조립라인(160) 및 검사라인(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자재창고(110)는 제1차종 전기 자동차와 제2차종 전기 자동차가 서로 공유하는 프레임과, 제1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과 제2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이 서로 구분되게 보관되는 구성이다.
다음으로, 제1차종 서브섀시조립라인(120)은 자재창고(110)의 후단에 구비되어 자재창고(110)에 보관된 제1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 중에서 프레임을 제외한 섀시 관련 부품을 개소별로 각각 조립하여 제1차종 섀시서브어셈블리를 준비하는 조립라인이다.
다음으로, 제2차종 서브섀시조립라인(140)은 자재창고(110)의 후단에 구비되어 자재창고(110)에 보관된 제2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 중에서 프레임을 제외한 섀시 관련 부품을 개소별로 각각 조립하여 제2차종 섀시서브어셈블리를 준비하는 조립라인이다.
여기서 섀시서브어셈블리에는 프런트 액슬, 리어 액슬, 휠, 타이어 등의 섀시관련 서브 어셈블리(Chassis Sub Ass'y) 와, 인스트러먼트 패널, 시트, 램프, 플로우 매트, 인테리어 패널, 스티어링 핸들, 저전압 하네스, 도어, 트림, 글래스, 범퍼 등의 캐빈관련 서브 어셈블리(Cabin Sub Ass'y)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차종 서브전장조립라인(130)은 자재창고(110)의 후단에 구비되어 자재창고(110)에 보관된 제1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 중에서 전장 관련 부품을 개소별로 각각 조립하여 제1차종 전장서브어셈블리를 준비하는 조립라인이다.
다음으로, 제2차종 서브전장조립라인(150)은 자재창고(110)의 후단에 구비되어 자재창고(110)에 보관된 제2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 중에서 전장 관련 부품을 개소별로 각각 조립하여 제2차종 전장서브어셈블리를 준비하는 부분 조립라인이다.
여기서 전장서브어셈블리에는 모터, 감속기 등의 모터와 감속기 서브 어셈블리(Motor and Reducer Sub Ass'y)와, VCU, 인버터, OBC, PDU, LDC 등의 컨트롤러 서브 어셈블리(Controller Sub Ass'y))와, 히터, 히터펌프, 전기 압축기, EPDM 호스 등의 컨디셔너 서브 어셈블리(Conditioner Sub Ass'y))와, EPS, 리저버 탱크, EVP, 체크 밸브, 진공 탱크, 진공 센서 등의 스티어링과 브레이크 서브 어셈블리 (Streeing & brake Sub Ass'y)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송대차는 제1차종 서브섀시조립라인(120)과 제1차종 서브전장조립라인(130)과 제2차종 서브섀시조립라인(140)과 제2차종 서브전장조립라인(150)를 포함하는 서브조립라인의 후단에 구비되어 제1차종 전기 자동차와 제2차종 전기 자동차가 서로 공유하는 프레임을 상부에 안착시켜 후술할 메인조립라인(160)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이송대차는 메인조립라인(160)의 바닥에 설치된 안내궤도를 따라 전동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단, 이송대차는 안내궤도를 따라 자동 이동할 때 섀시서브어셈블리와 전장서브어셈블리을 프레임에 조립할 수 있도록 메인조립라인(160) 상에 구분된 복수 개의 조립구간과 이동구간에 대응되게 이동 동작과 멈춤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대차의 상부에는 프레임을 안착 및 고정하기 위한 고정지그가 구비될 수 있다. 단, 고정지그는 프레임의 구조와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프레임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이송대차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메인조립라인(160)은 이동대차()의 상부에 안착 및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임에 서브조립라인에서 선조립된 섀시서브어셈블리와 전장서브어셈블리를 기설정된 조립순서에 맞게 차례대로 조립하여 전기 자동차를 완성하는 최종 조립라인이다.
이때 메인조립라인(160)은 선단에서 후단으로 차례대로 배치되는 제1조립구간(161)과 제2조립구간(162)과 제3조립구간(163) 및 제4조립구간(16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조립구간(161)에서는 이동대차의 상부에 매인섀시인 프레임이 안착 고정되고, 프레임에 서브조립라인에서 선조립된 섀시관련 서브 어셈블리가 조립될 수 있다. 섀시관련 서브 어셈블리가 프레임에 조립되면 프레임은 이동대차에 의해 제2조립구간(162)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조립구간(162)에서는 프레임에 파워트레인 어셈블리가 조립될 수 있다. 파워트레인 어셈블리에는 브레이크 라인, 서브조립라인에서 선조립된 모터 및 모터와 감속기 서브 어셈블리, 프로펠러 샤프트, 스티어링 기어박스가 포함될 수 있다. 단, 브레이크 라인과 프로펠러 샤프트, 스티어링 기어박스는 자재창고(110)에 보관된 상태에서 호이스트 등과 같은 운반수단에 의해 제2조립구간(162) 상으로 이동되어 프레임에 조립될 수 있다. 파워트레인 어셈블리가 프레임에 조립되면 프레임은 이동대차에 의해 제3조립구간(163)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3조립구간(163)에서는 프레임에 전장 어셈블리가 조립될 수 있다. 전장 어셈블리에는 서브조립라인에서 선조립된 스티어링과 브레이크 서브 어셈블리, 컨트롤러 서브 어셈블리, 배터리, 고전압 하네스, 냉각수 호스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도 배터리, 고전압 하네스, 냉각수 호스는 자재창고에 보관된 상태에서 호이스트에 의해 제3조립구간(163) 상으로 이동되어 프레임에 조립될 수 있다. 전장 어셈블리가 프레임에 조립되면 프레임은 이동대차에 의해 제4조립구간(164)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4조립구간(164)에서는 프레임에 캐빈 어셈블리가 조립될 수 있다. 캐빈 어셈블리는 서브조립라인에서 선조립된 캐빈관련 서브 어셈블리, 컨디셔너 서브 어셈블리가 포함될 수 있다. 캐빈 어셈블리가 프레임에 조립되면 전기 자동차의 조립이 완료되어 후술할 검사라인(170)으로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메인조립라인(160)에서 프레임에 조립되는 섀시서브어셈블리와 전장서브어셈블리는 제1차종 전기 자동차와 제2차종 전기 자동차 중에서 기선택된 어느 한 차종의 섀시서브어셈블리와 전장서브어셈블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조립라인(160)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차종 전기 자동차와 제2차종 전기 자동차 중의 어느 하나의 전기 자동차가 완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이 1톤 플랫폼으로 서로 동일한 1톤 화물차와 12인승 승합차인 경우 메인조립라인(160)을 서로 공유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1톤 화물차를 생산하거나 12인승 승합차를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이 2.5 플랫폼으로 서로 동일한 2.5톤 화물차와 15~35인승 승합차인 경우에도 메인조립라인(160)을 서로 공유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2.5톤 화물차를 생산하거나 15~35인승 승합차를 생산할 수 있다.
단, 12인승 승합차와 15~35인승 승합차의 경우 외형을 이루는 바디는 섀시서브어셈블리와 조립되는 부품보다 프레임에 조립되는 부품이 상대적으로 더 많아 자재창고(110)에 보관된 상태에서 운반수단에 의해 메인조립라인(160)의 제4조립구간(164)으로 이동된 후 독립적으로 투입되어 프레임에 조립될 수 있다.
즉, 12인승 승합차와 15~35인승 승합차가 제1차종 전기 자동차인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에 포함되는 캐빈관련 서브 어셈블리를 제1차종 서브섀시조립라인(120)에서 선조립하지 않고 제4조립구간(164)에 바로 투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검사라인(170)은 메인조립라인(160)에서 조립 완성된 제1차종 전기 자동차 또는 제2차종 전기 자동차의 성능을 시험하여 정상 출고 여부를 판단하는 최종 점검라인이다.
이때 검사라인(170)은 주행과 관련하여 브레이크와 파킹 브레이크와 ABS와 가속 및 NVH 성능 등을 검사하는 주행성능 검사라인(171)과, 배터리와 관련하여 배터리의 완충전 및 급속충전 성능 등을 검사하는 배터리성능 검사라인(17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검사라인(170)도 메인조립라인(160)과 같이 생산되는 차종에 관계없이 제1차종 전기 자동차와 제2차종 전기 자동차의 생산 라인에서 서로 공유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
110: 자재창고
120: 제1차종 서브섀시조립라인
130: 제1차종 서브전장조립라인
140: 제2차종 서브섀시조립라인
150: 제2차종 서브전장조립라인
160: 메인조립라인
161: 제1조립구간
162: 제2조립구간
163: 제3조립구간
164: 제4조립구간
170: 검사라인
171: 주행성능 검사라인
172: 배터리성능 검사라인

Claims (5)

  1. 서로 동일한 프레임이 적용되는 제1차종 전기 자동차와 제2차종 전기 자동차를 혼류 조립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1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이 서로 구분되게 보관되는 자재창고;
    상기 제1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 중에서 서브섀시부품이 조립되어 제1차종 섀시서브어셈블리를 준비하는 제1차종 서브섀시조립라인;
    상기 제2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 중에서 서브섀시부품이 조립되어 제2차종 섀시서브어셈블리를 준비하는 제2차종 서브섀시조립라인;
    상기 제1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 중에서 서브전장부품이 조립되어 제1차종 전장서브어셈블리를 준비하는 제1차종 서브전장조립라인;
    상기 제2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 중에서 서브전장부품이 조립되어 제2차종 전장서브어셈블리를 준비하는 제2차종 서브전장조립라인;
    상기 프레임이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분하면서 안내궤도를 따라 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대차;
    상기 제1차종 전기 자동차와 상기 제2차종 전기 자동차 중의 하나로 기선택된 전기 자동차의 섀시서브어셈블리와 전장서브어셈블리가 운반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대차의 상부로 운반되어 상기 이송대차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구간별로 구분해가면서 기설정된 조립순서에 대응되게 조립되어 상기 전기 자동차를 완성하는 메인조립라인; 및
    완성된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 및 배터리 성능을 검사하는 검사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종의 전기 자동차와 제2차종의 전기 자동차는 각각 1톤 화물차와 12인승 승합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종의 전기 자동차와 제2차종의 전기 자동차는 각각 2.5톤 화물차와 15~35인승 승합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선택된 전기 자동차가 상기 승합차인 경우 상기 승합차의 바디는 상기 자재창고에 보관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이동대차에 의해 상기 메인조립라인을 따라 이송될 때 상기 운반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대차의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프레임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
  5. 서로 동일한 프레임이 적용되는 제1차종의 전기 자동차와 제2차종의 전기 자동차를 혼류 조립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1차종 전기 자동차와 상기 제2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을 서로 구분되게 자재창고에 보관하는 단계;
    상기 자재창고에 보관된 상기 제1차종 전기 자동차와 상기 제2차종 전기 자동차의 부품을 조립하여 섀시서브어셈블리와 전장서브어셈블리를 각각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을 이동대차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대차를 안내궤도를 따라 복수 개의 구간별로 구분하여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대차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차종 전기 자동차와 상기 제2차종 전기 자동차 중의 어느 하나로 기선택된 전기 자동차의 상기 섀시서브어셈블리와 전장서브어셈블리를 상기 프레임에 기설정된 조립순서에 대응되게 각각 조립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를 완성하는 단계; 및
    완성된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 및 배터리 성능을 검사하여 출고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방법.
KR1020180149138A 2018-11-28 2018-11-28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 KR102134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138A KR102134736B1 (ko) 2018-11-28 2018-11-28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138A KR102134736B1 (ko) 2018-11-28 2018-11-28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455A true KR20200063455A (ko) 2020-06-05
KR102134736B1 KR102134736B1 (ko) 2020-07-16

Family

ID=7108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138A KR102134736B1 (ko) 2018-11-28 2018-11-28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7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6960A (zh) * 2020-08-28 2020-12-04 东风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新能源商用车总装车间线路布局
CN114056458A (zh) * 2020-07-30 2022-02-18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部件的组装方法及车辆用部件的组装装置
US20230128973A1 (en) * 2021-10-25 2023-04-27 Hyundai Motor Company Smart factory system for vehicl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870A (ja) * 1995-07-12 1997-01-28 Mitsubishi Motors Corp 異種車両の混流生産装置
KR19980030338A (ko) * 1996-10-29 1998-07-25 양재신 다차종 복합연속 생산 시스템
KR20040051881A (ko) 2002-12-13 2004-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공장의 생산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10638A (ko) 2008-04-18 2009-10-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조립라인 및 그 제어방법
JP2011110636A (ja) * 2009-11-25 2011-06-09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組立設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870A (ja) * 1995-07-12 1997-01-28 Mitsubishi Motors Corp 異種車両の混流生産装置
KR19980030338A (ko) * 1996-10-29 1998-07-25 양재신 다차종 복합연속 생산 시스템
KR20040051881A (ko) 2002-12-13 2004-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공장의 생산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10638A (ko) 2008-04-18 2009-10-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조립라인 및 그 제어방법
JP2011110636A (ja) * 2009-11-25 2011-06-09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組立設備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6458A (zh) * 2020-07-30 2022-02-18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部件的组装方法及车辆用部件的组装装置
CN114056458B (zh) * 2020-07-30 2024-03-15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部件的组装方法及车辆用部件的组装装置
CN112026960A (zh) * 2020-08-28 2020-12-04 东风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新能源商用车总装车间线路布局
CN112026960B (zh) * 2020-08-28 2024-04-09 东风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新能源商用车总装车间线路布局
US20230128973A1 (en) * 2021-10-25 2023-04-27 Hyundai Motor Company Smart factory system for vehicles
US11827297B2 (en) * 2021-10-25 2023-11-28 Hyundai Motor Company Smart factory system f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736B1 (ko)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55701A1 (en) Manufacturing process for electric vehicle platform
KR102134736B1 (ko)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
US9352794B2 (en) Method for assembling motor vehicles
JP5822280B2 (ja) 自動車の組立て方法
UA126934C2 (uk) Кузовна платформа автомобіля (варіанти)
CN108609049A (zh) 一种电动汽车下车体框架
US2208709A (en) Motor vehicle
CN205345039U (zh) 一种中型电动客车底盘轻量化车架结构
US20210086702A1 (en) Modular utility insert for a vehicle
EP4175843A1 (en) Modular vehicle structure
KR20230010721A (ko) 자동차 그룹
WO2017144905A1 (en) Vehicle drivetrains
CN114555455A (zh) 低地板公共汽车
CN112319615A (zh) 车辆的下车身以及具有其的车辆
US20050227539A1 (en) Bus construction
JP2009531228A (ja) 車両の積層壁
CN207433316U (zh) 车载充电机安装架及机动车
CN114611210A (zh) 一种乘用车和商用车通用化平台及其设计方法
KR20050100436A (ko) 화물 운반용 전기자동차
CN204586472U (zh) 一种五座电动轿车布局结构
GB2504997A (en) Sports car and range of sports cars
CN219172523U (zh) 车辆组装模块和车辆
KR102506239B1 (ko)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
CN212354150U (zh) 一种车辆
CN203805998U (zh) 一种全承载式纯电动客车的车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