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338A - 다차종 복합연속 생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차종 복합연속 생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338A
KR19980030338A KR1019960049719A KR19960049719A KR19980030338A KR 19980030338 A KR19980030338 A KR 19980030338A KR 1019960049719 A KR1019960049719 A KR 1019960049719A KR 19960049719 A KR19960049719 A KR 19960049719A KR 19980030338 A KR19980030338 A KR 19980030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assembly
assembly line
part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9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8999B1 (ko
Inventor
유인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49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8999B1/ko
Publication of KR19980030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차종의 부품을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다차종 복합연속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 조립라인(1) 측편에서 주 조립라인(1) 쪽으로 중간조립체를 공급해주는 중간조립체 공급라인 최종단계에 검사공정(4)이 배치되고,이 검사공정(4)에는 주 조립라인(1)으로 진행하는 주 경로(흑색화살표)와는 다른 별도의 보조경로(백색화살표)가 분기되며, 이 별도의 보조경로(백색화살표)에 불량품이나 수리부품 또는 다른 차종의 중간조립체를 처리하기위한 보조 지그(6)가 구비 되어, 여러 차종의 부품을 주 조립라인(1)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여러 차종을 연속적으로 조립생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여러 차종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더라도 서로 다른 차종의 부품이 잘못 조립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차종 복합연속 생산 시스템(A sequential manufacturing system of various models )
본 발명은 자동차 조립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차종의 부품을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하나의 조립라인에서 서로 다른 차종의 부품이 하나의 조립품에 섞여서 조립되는 불량을 방지하면서 하나의 조립라인에서 여러 차종을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다차종 복합연속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립라인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조립라인(1)위에서 차체 프레임이 조립되어 이송되는 과정중에, 이 주 조립라인(1) 측편에서 다른 부품의 중간조립체,예컨데 여기서는 사이드 도어조립체가 상기 주 조립라인(1)상에서 이송하고 있는 차체 프레임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차종을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른 차종의 부품 또는 중간조립체를 기존의 라인에 투입하여 본체에 조립하게 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한 조립라인에는 형상이나 크기가 약간씩 다른 여러 가지 차종의 여러 가지 부품이 혼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사이드 도어조립체의 조립라인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다수의 공정이 직렬로 배치되어 각각의 공정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조립라인 최종공정은 이송되어 온 도어조립체가 적합한 모델의 것인지 또는 불량인지를 검사하는 검사공정(4)으로 되어 있다.
상기 검사공정(4)으로 이송되어 온 부품이 현재 조립되고 있는 차종이 아닌 타 차종의 부품 또는 불량부품이면 상기 검사공정(4)의 작업자가 이 불량부품 또는 타 차종의 부품을 검사공정(4)옆에 별도로 구비된 래크(10)에 옮겨서 보관하도록 되어 있다.즉 부품의 불량 여부 혹은 모델에 적합한지를 작업자가 오판하여 적합하지 않는 부품이 주 조립라인(1)에 잘못 공급되거나 타 차종의 부품이 공급되게 되면,불량인 상태로 완성품으로 조립되는 문제점이 있다.이는 불량을 적시에 발견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손실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뿐만아니라 종래의 직렬 생산시스템은 작업자가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불량여부를 오판하는 등 작업자에 숙련도나 주의력에 전적으로 의존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주 조립라인(1)으로 공급되어 완성품으로 조립되는 공정이 아닌,수리부품 조립라인인 경우에 상기 종래 생산시스템은 공정설비가 직렬방식으로 배치되어 다른 차종의 부품이나 수리부품의 생산공급을 위해서는 기존의 부품투입 및 공정흐름을 중단하여야 하였으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자동차 생산시스템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여러 차종의 부품을 주 조립라인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여러 차종을 연속적으로 조립생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여러 차종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더라도 서로 다른 차종의 부품이 잘못 조립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한 다차종 복합연속 생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 조립라인 측편에서 주 조립라인 쪽으로 중간조립체를 공급해주는 중간조립체 공급라인 최종단계에 검사공정이 배치되고,이 검사공정에는 주 조립라인으로 진행하는 주 경로와는 다른 별도의 보조경로가 분기(分岐)되어 ,이 별도의 보조경로에 불량품이나 수리부품 또는 다른 차종의 중간조립체를 처리하기위한 보조 지그(JIG)가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차종의 중간조립체를 주 조립라인에 공급하고자하는 경우에는, 그 중간조립체를 상기 보조지그에 로딩(loading)한 후, 주 경로와는 다른 별도의 보조 경로를 통해 주 조립라인으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부품을 잘못 식별하여 발생하는 불량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그리고 주 조립라인에 공급되는 중간조립체가 아닌 수리부품으로 사용될 중간조립체를 생산하고자하는 경우에는 ,주 조립라인으로 향하는 주 경로를 폐쇄하고 보조경로만을 개방한 상태에서 중간조립체를 공정흐름시키면 이 중간조립체는 검사공정에서 상기 보조 경로를 따라 최종적으로 보조지그로만 공급되므로 이 수리부품이 주 조립라인으로 공급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주 조립라인으로 공급되어 완성품으로 조립될 중간조립체중 일부를 수리부품용으로 공급하고자 하면, 상기 주 경로와 보조경로를 모두 개방한 후 검사공정으로 공급되어 진 중간조립체를 주 경로와 보조경로에 선택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두 종류의 공정흐름을 단속없이 연속적으로 수행하게하여 생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시스템의 개략적인 설비레이아웃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2 는 종래 자동차 조립생산 시스템의 개략적인 설비레이아웃을 도시한 블록선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 조립라인 2a : 도어조립체가 조립되기 전의 차체
2b : 도어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차체
3 : 도어조립체 조립공정 4 : 검사공정
5 : 도어조립체 투입공정 6 : 보조 지그(JIG)
7 : 검사공정 작업자 8 : 보조 지그 작업자
10 : 불량품 또는 수리부품 보관용 랙크
흑색화살표 : 주 차종의 공급경로 백색화살표 : 수리부품의 공급경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복합연속 생산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시스템의 개략적인 설비레이아웃을 도시한 블록선도이고,도 2 는 종래 자동차 조립생산 시스템의 개략적인 설비레이아웃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본 발명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복합연속 생산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주 조립라인(1) 측편에, 이 주 조립라인(1) 쪽으로 중간조립체를 공급해주는 중간조립체 공급라인이 배치되고, 이 중간조립체 공급라인의 최종단계에 검사공정(4)이 배치되며, 이 검사공정(4)에는 주 조립라인(1)으로 진행하는 주 경로와는 다른 별도의 보조경로가 분기되어, 이 별도의 보조경로에 불량품이나 수리부품 또는 다른 차종의 중간조립체를 처리하기위한 보조 지그(JIG)가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지그(6)는 상기 검사공정(4)에서 이송되는 중간조립체를 이송시켜주는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고, 이 컨베이어 벨트가 설치된 상판은 하부에 실린더가 연결설치되어, 이 실린더가 연장함에 따라 상기 상판이 베이스위에서 틸팅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이 보조 지그(6)에 조립체를 로딩 또는 언로딩 하기 쉽게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 지그(6)는 양쪽 선단에 이송되는 중간조립체를 정지시켜주는 스토퍼가 각각 구비되어, 한쪽 스트퍼는 한 차종의 중간조립체만을 위치결정해주고,다른쪽 스토퍼는 다른 차종의 중간조립체만을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송되어 온 중간조립체가 멈춤된 위치를 보면 어느 차종의 중간조립체인지를 식별할 수 있어, 부품식별을 잘못해서 생기는 불량을 원천적으로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복합연속 생산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첫째 : 주 조립라인(1)에 주 차종의 중간조립체를 공급하는 경우의 공정흐름(흑색화살표).
중간조립라인에서 조립된 중간조립체(여기서는 편의상 도어조립체 한가지로 특정함, 이하 도어조립체라 함)를 도 1에 도시된 주 경로(흑색화살표)를 거쳐 최종단계인 검사단계로 이송시킨다. 검사단계에서 상기 도어조립체를 검사하여 양품은 주 경로(흑색화살표)를 통하여 주 조립라인(1)측으로 투입하여 차체에 조립하고, 불량품은 주 경로(흑색화살표)와는 다른 경로(점선화살표)를 거쳐 보조 지그(6)쪽으로 이송시킨 후, 연속해서 검사단계로 이송되어 오는 후속 도어조립체를 검사한다. 즉 검사단계에서 불합격 판정된 불량품을 상기 보조 지그(6)로 이송하여 언로딩한 후 수리작업을 하는 동안에 공정중단없이 상기 검사공정(4)을 계속해서 진행시킬 수 있으므로 손실작업시간의 발생을 없앨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불량품이 수리공정을 거쳐 양품으로 되면 이 양품은 상기 보조 지그(6)에 로딩하여 점선화살표 경로를 따라 상기 검사공정(4)쪽으로 이송시켜 재검사한 후 합격하면 상기 주 경로(흑색화살표)를 따라 주 조립라인(1)으로 투입시킨다.
둘째 : 주 조립라인(1)에 다른 차종의 중간조립체를 공급하는 경우의 공정흐름(점선화살표).
상기 주 경로(흑색화살표)를 통하여 주 차종(이하 A차종이라 함)의 도어조립체를 주 조립라인(1)쪽으로 공급하다가 주 조립라인(1)에 다른 차종(이하, B차종이라 함)의 차체가 투입되면 그에 맞추어 도어조립체도 그 변경된 차종에 맞추어 공급하여야 하는 데,이 경우 상기 보조 지그(6)에 B차종의 도어조립체를 로딩한 후 점선화살표 경로를 거쳐 주 조립라인(1)쪽으로 공급하면 상기 주 경로(흑색화살표)에서 이송되는 A차종의 도어조립체와 혼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 주 조립라인(1)에 공급되는 도어조립체를 수리부품으로 전환하는 경우의 공정흐름(백색화살표).
도어조립체를 상기 주 경로(흑색화살표)를 통하여 주 조립라인(1)으로 공급하다가 그 도어조립체를 수리부품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검사공정(4)에서 주 조립라인(1)으로 통하는 주 경로(흑색화살표)를 폐쇄하고 보조 경로(백색화살표)를 개방시키면 주 조립라인(1)으로 공급되는 도어조립체는 상기 주 경로(흑색화살표)쪽으로는 공급되지 않고, 상기 보조 경로(백색화살표)를 거쳐 보조 지그(6)로 이송되어 수리부품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복합연속 생산시스템은 여러 차종의 부품을 주 조립라인(1)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여러 차종을 공정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조립생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여러 차종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더라도 서로 다른 차종의 부품이 잘못 조립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주 조립라인(1) 측편에, 이 주 조립라인(1) 쪽으로 중간조립체를 공급해주는 중간조립체 공급라인이 배치되고, 이 중간조립체 공급라인의 최종단계에 검사공정(4)이 배치되며,이 검사공정(4)에는 주 조립라인(1)으로 진행하는 주 경로(흑색화살표)와는 다른 별도의 보조경로(백색화살표)가 분기되는 한편, 이 별도의 보조경로(백색화살표)에는 불량품이나 수리부품 또는 다른 차종의 중간조립체를 처리하기위한 보조 지그(6)가 구비된 다차종 복합연속 생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그(6)는 상기 검사공정(4)에서 이송되는 중간조립체를 이송시켜주는 컨베이어 벨트가 상판위에 구비되고, 상기 상판은 하부에 실린더가 연결설치되어, 이 실린더가 연장함에 따라 상기 상판이 베이스위에서 틸팅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종 복합연속 생산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그(6)는 양쪽 선단에 이송되는 중간조립체를 정지시켜주는 스토퍼가 각각 구비되어, 한쪽 스트퍼는 한 차종의 중간조립체만을 위치결정해주고, 다른쪽 스토퍼는 다른 차종의 중간조립체만을 접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종 복합연속 생산시스템.
KR1019960049719A 1996-10-29 1996-10-29 다차종 복합연속 생산 시스템 KR100208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719A KR100208999B1 (ko) 1996-10-29 1996-10-29 다차종 복합연속 생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719A KR100208999B1 (ko) 1996-10-29 1996-10-29 다차종 복합연속 생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338A true KR19980030338A (ko) 1998-07-25
KR100208999B1 KR100208999B1 (ko) 1999-07-15

Family

ID=1947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9719A KR100208999B1 (ko) 1996-10-29 1996-10-29 다차종 복합연속 생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89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120A (ko) * 2002-11-04 2004-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생산 데이터 생성 방법
KR20200063455A (ko) * 2018-11-28 2020-06-05 고영휘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553B1 (ko) * 2011-03-10 2018-04-05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체 승강용 리프트 및 이를 구비한 프로토 타입 차체 조립용 스테이지
KR101803563B1 (ko) * 2011-03-10 2017-12-01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프로토 타입 차체 조립 라인 및 차체 조립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120A (ko) * 2002-11-04 2004-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생산 데이터 생성 방법
KR20200063455A (ko) * 2018-11-28 2020-06-05 고영휘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8999B1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4749B1 (en) Vehicle assembly line
US6915571B2 (en) Automobile assembling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automobiles
US5723154A (en) Tire mold transporter
KR19980030338A (ko) 다차종 복합연속 생산 시스템
JPH11227065A (ja) 空気入りタイヤの生産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おける生産設備
KR102280506B1 (ko) 자동차 모듈용 체결수단 가조립 자동화 시스템
US5575053A (en) Method for producing vehicles in a plurality of production lines
KR102040716B1 (ko) 가스통 자동 교체방법
US10073445B2 (en) Quality control system and method
JPS6121869A (ja) 車両の組立ライン
KR100701893B1 (ko) 인라인 형태로 구성된 액정표시소자의 검사장치
KR100506317B1 (ko) 그린타이어 검사용 검사장치
KR101880272B1 (ko) 통신장비용 pcb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pcb 제조방법
KR100186647B1 (ko) 자동차 후방의 외부부품 검사용 게이지
KR100435667B1 (ko) 차량용 사이드 아우터 어셈블리 시스템
KR100674578B1 (ko)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989427B2 (ja) 車両の組立ライン
JPH05105138A (ja) 組立ラインの搬送方法
KR100535385B1 (ko) 자동차 공장의 생산 시스템
JP4089940B2 (ja) 製品の自動組立・分解システム
KR102439747B1 (ko) 전기자동차용 로터 샤프트 자동 고주파 열처리 시스템
JPH0857725A (ja) 生産ラインにおけるライン構造
KR0153737B1 (ko) 생산제어시스템
JPH04143031A (ja) プレス成形品の自動積み込み装置
KR100459599B1 (ko) 자동차용 부품 생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