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937A - 해빙기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해빙기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937A
KR20200062937A KR1020180148942A KR20180148942A KR20200062937A KR 20200062937 A KR20200062937 A KR 20200062937A KR 1020180148942 A KR1020180148942 A KR 1020180148942A KR 20180148942 A KR20180148942 A KR 20180148942A KR 20200062937 A KR20200062937 A KR 20200062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data
trigger condition
data logger
lo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8785B1 (ko
Inventor
김종락
장수현
유광태
백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앤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앤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앤유
Priority to KR1020180148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7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2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장치로부터 측정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로거, 및 상기 데이터 로거로부터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비탈면의 붕괴 가능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원격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로거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장치로부터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에 대하여 설정된 트리거 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로거가 일반 모드,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 및 해빙기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빙기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Slope in Ice-melting Season}
본 발명은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해빙기에 비탈면의 붕괴 징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하여 국내에서도 국지성 폭우, 태풍 및 집중호우와 같은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발생한 재해로 인한 피해면적 및 피해규모는 점차 대형화되고 있으며, 인명·재산 피해와 더불어 도로, 주거지, 산림훼손 및 농작물에도 큰 손실을 야기한다. 한편, 우리나라는 산지가 국토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도로, 철도 등의 사회기반시설과 주거 및 상업시설 등의 효율적 개발을 위하여 자연 상태의 산지 절토를 통해 많은 비탈면이 형성되어있는데, 이러한 비탈면들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붕괴될 수 있어 인적·물적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비탈면 붕괴의 원인으로는 집중호우가 잘 알려져 있으나, 집중호우 외에도 비탈면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이 존재하며, 동결-융해에 따른 풍화, 수축-팽창에 따른 풍화 등 풍화의 영향이 비탈면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도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째, 노출된 절토면에 대해 장마철 집중호우나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호우가 내릴 경우 직접적인 붕괴를 일으키지는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풍화를 가속시키는 원인이 되며, 장기적으로 해빙기의 동결-융해에 따른 비탈면 풍화와 맞물려 안정화된 비탈면에 악영향을 미쳐 해빙기 비탈면 붕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둘째, 비탈면 내부의 불연속면 주변 틈새에 침투된 지하수는 기온변화에 따라 동결 및 융해 과정으로 간극을 팽창 및 수축시켜 비탈면이 붕괴될 수 있는 위험한 조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쌓인 눈이 녹으면서 하부 지반을 포화시켜 간극수압이 증가해 비탈면 붕괴로 이어지거나, 암반절리 사이의 수압 작용이 비탈면 붕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빙기에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비탈면 붕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세계적으로 인명과 시설물의 안전을 위하여 해빙기 비탈면의 안전성 여부를 사전에 검토 및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비탈면에 대한 정밀점검의 경우 국내는 비탈면의 개수가 방대하고 하나의 개소에서 광범위한 지역을 제한된 시간에 평가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비탈면 조성에 따른 지속적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5764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6606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일조량이 적은 해빙기에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력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으로 비탈면 붕괴 징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장치로부터 측정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로거, 및 상기 데이터 로거로부터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비탈면의 붕괴 가능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원격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로거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장치로부터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에 대하여 설정된 트리거 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로거가 일반 모드,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 및 해빙기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비탈면의 경사각, 상기 비탈면의 진동값, 상기 비탈면의 함수량, 강우량 및 상기 비탈면의 토양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비탈면의 경사각 및 상기 비탈면의 진동값에 대하여 설정된 제1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로거의 동작을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일반 모드에서는 상기 전송부가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제1 전송 주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에서는 상기 전송부가 측정대상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은 상기 비탈면의 경사각 및 상기 비탈면의 진동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비탈면의 경사각 및 상기 비탈면의 진동값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때의 조건일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비탈면의 함수량, 상기 강우량 및 상기 비탈면의 토양온도에 대하여 설정된 제2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2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로거의 동작을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해빙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해빙기 모드에서는 상기 수집부가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의 수집 주기를 늘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송부가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송 주기보다 짧은 제2 전송 주기마다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제2 트리거 조건은 상기 비탈면의 함수량, 상기 강우량 및 상기 비탈면의 토양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비탈면의 함수량, 상기 강우량 및 상기 비탈면의 토양온도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때의 조건일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 및 상기 제2 트리거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데이터 로거의 동작을 상기 해빙기 모드에서 상기 일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 및 상기 제2 트리거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은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데이터 로거의 동작을 상기 해빙기 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 태양광을 이용하여 생산된 전력을 상기 데이터 로거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방법은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장치로부터 측정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수집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에 대하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트리거 조건에 따라 데이터 로거가 일반 모드,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 및 해빙기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d)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비탈면의 붕괴 가능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비탈면의 경사각, 상기 비탈면의 진동값, 상기 비탈면의 함수량, 강우량 및 상기 비탈면의 토양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비탈면의 경사각 및 상기 비탈면의 진동값에 대하여 설정된 제1 트리거 조건 - 상기 비탈면의 경사각 및 상기 비탈면의 진동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비탈면의 경사각 및 상기 비탈면의 진동값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때의 조건 - 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로거의 동작을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일반 모드에서는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제1 전송 주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에서는 상기 데이터 로거가 측정대상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원격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b) 단계는 (b-2)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비탈면의 함수량, 상기 강우량 및 상기 비탈면의 토양온도에 대하여 설정된 제2 트리거 조건 - 상기 비탈면의 함수량, 상기 강우량 및 상기 비탈면의 토양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비탈면의 함수량, 상기 강우량 및 상기 비탈면의 토양온도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때의 조건 - 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2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로거의 동작을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해빙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해빙기 모드에서는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의 수집 주기를 늘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송 주기보다 짧은 제2 전송 주기마다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b) 단계는 (b-3)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 및 상기 제2 트리거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 및 상기 제2 트리거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은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데이터 로거의 동작을 상기 해빙기 모드에서 상기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데이터 로거의 동작을 상기 해빙기 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조량이 적은 해빙기에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력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비탈면을 붕괴 징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사후적 점검이 아니라 사전적으로 비탈면의 붕괴 징후를 모니터링하고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데이터 수집 간격에 따른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소비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데이터 전송 간격에 따른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소비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1)은 센싱 장치(10a,10b), 데이터 로거(20), 원격 서버(30) 및 전원 공급부(40)를 포함한다.
센싱 장치(10a,10b)는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센싱 장치(10a,10b)가 측정하는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는 예를 들면 비탈면의 경사각, 비탈면의 진동값, 비탈면의 함수량, 강우량 및 비탈면의 토양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데이터 외에도 비탈면이나 비탈면이 형성된 지반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장치(10a,10b)로부터 측정되는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는 후술할 데이터 로거(20)의 동작을 결정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설정하는데 사용되거나, 원격 서버(30)가 비탈면의 붕괴 가능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센싱 장치(10a,10b)가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비탈면의 경사각은 비탈면의 경사 각도와 경사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경사계를 통해 측정될 수 있고, 비탈면의 진동값은 비탈면이 위치한 지반의 진동값을 측정할 수 있는 지오폰을 통해 측정될 수 있고, 함수량은 토양의 함수비를 측정할 수 있는 함수량계를 통해 측정될 수 있고, 강우량은 측정대상 비탈면이 위치한 곳의 강우량을 측정할 수 있는 강우량계를 통해 측정될 수 있고, 비탈면의 토양온도는 비탈면의 토양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반 온도계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센싱 장치(10a,10b)는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 로거(20)로 전송한다.
데이터 로거(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장치(10a,10b)로부터 측정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로거(20)는 수집부(210), 전송부(220), 제어부(230) 및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수집부(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장치(10a,10b)로부터 측정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수집부(210)는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별도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전송부(220)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후술할 원격 서버(30)로 전송한다.
상술한 수집부(210)와 전송부(22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장치(10a,10b)나 원격 서버(30)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은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등의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이나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일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은 USB(universal serial bus),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수집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에 대하여 설정된 트리거 조건에 따라 데이터 로거(20)가 일반 모드,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 및 해빙기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제1 트리거 조건, 제2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데이터 로거(2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여 데이터 로거(20)가 해당 동작 모드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트리거 조건에 따른 제어부(230)의 제어 동작과 제어부(230)에 의해 제어되는 수집부(210) 및 전송부(220)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일반 모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제1 트리거 조건 및 제2 트리건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는 경우, 즉 비탈면의 붕괴 위험이 없거나 해빙기가 아닌 때에 제어부(230)는 데이터 로거(20)가 일반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제1 트리거 조건 및 제2 트리거 조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일반 모드에서, 제어부(230)는 수집부(210)가 실시간으로 센싱 장치(10a,10b)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전송부(220)가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특정 전송 주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일반 모드일 때 수집부(210)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는 비탈면 붕괴와 관련이 없으나, 원격 서버(30)를 통해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1)과 센싱 장치(10a,10b)의 정상 작동 여부나 계측 데이터의 유효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따라서, 일반 모드에서의 전송 주기는 초, 분 단위가 아닌 시간 단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
제어부(230)는 수집부(210)를 통해 수집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에 따라,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즉 비탈면의 붕괴 위험이 예상되는 경우 제어부(230)는 데이터 로거(20)의 동작을 일반 모드에서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로 전환한다.
제1 트리거 조건은 비탈면의 붕괴 위험성과 연관되어 있는 데이터인 비탈면의 경사각 및 비탈면의 진동값에 대하여 설정된 조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트리거 조건은 비탈면의 경사각 및 비탈면의 진동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비탈면의 경사각 및 비탈면의 진동값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때의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비탈면의 경사각이 비탈면의 경사각 대하여 설정된 임계값(SPs) 이상이거나, 비탈면의 진동값이 비탈면의 진동값에 대하여 설정된 임계값(SPv) 이상이거나, 제1 트리거 조건과 관련된 모든 데이터가 모두 임계값 이상일 때 제1 트리거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에서는 전송부(220)가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원격 서버(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즉,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1)의 소비전력을 고려하지 않고 원격 서버(30)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원격 서버(30)가 실시간으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3. 해빙기 모드
제어부(230)는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제2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에 따라,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2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즉 해빙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30)는 데이터 로거(20)의 동작을 일반 모드에서 해빙기 모드로 전환한다.
제2 트리거 조건은 빙결된 비탈면의 토양 내 수분이 융해되기 시작하는 해빙기와 연관성이 있는 데이터인 비탈면의 함수량, 강우량 및 비탈면의 토양온도에 대하여 설정된 조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트리거 조건은 비탈면의 함수량, 강우량 및 비탈면의 토양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비탈면의 함수량, 강우량 및 비탈면의 토양온도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때의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비탈면의 함수량이 비탈면의 함수량 대하여 설정된 임계값(SPw) 이상이거나, 강우량이 강우량에 대하여 설정된 임계값(SPr) 이상이거나, 비탈면의 토양온도가 비탈면의 토양온도에 대하여 설정된 임계값(SPt) 이상이거나, 제2 트리거 조건과 관련된 모든 데이터가 모두 임계값 이상일 때 제2 트리거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해빙기 모드에서는 수집부(210)가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의 수집 주기를 늘리도록 제어하고, 전송부(220)가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특정 전송 주기마다 원격 서버(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해빙기는 일조량이 비교적 적은 시기이므로, 해빙기에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이 운영될 경우 전원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정상적인 자료 수집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해빙기 모드에서는 데이터 수집 및 전송에 사용되는 전력을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해빙기 모드에서는 수집부(210)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일반 모드와 달리 데이터의 수집 주기를 보다 늘리도록 제어한다.
또한, 전송부(220)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보다 전송 주기를 늘리도록 제어한다. 다만, 해빙기 모드에서의 데이터 전송 주기는 일반 모드일 때보다 비탈면의 붕괴 위험성이 다소 증가하므로, 시간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반 모드보다는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해빙기 모드에서의 데이터 전송 주기는 초, 분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트리거 조건 및 제2 트리거 조건에 따라 제어부(230)는 데이터 로거(20)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230)는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제1 트리거 조건 및 제2 트리거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으면 데이터 로거(20)의 동작을 해빙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다시 전환한다.
여기에, 제어부(230)는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제1 트리거 조건 및 제2 트리거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은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해빙기는 일반적인 상황보다 비탈면의 붕괴 위험 가능성이 보다 높으므로, 곧바로 해빙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할 경우 추후에 빙결된 비탈면의 토양 내의 수분이 갑작스레 융해될 때와 같은 급변하는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로거(20)가 해빙기 모드에서 동작하다가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제1 트리거 조건 및 제2 트리거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230)는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제1 트리거 조건 및 제2 트리거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은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해빙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는 데이터 로거(20)의 동작을 해빙기 모드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 데이터 로거(20)는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서버(30)는 데이터 로거(20)로부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비탈면의 붕괴 가능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원격 서버(30)는 수신한 데이터를 해석하여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의 변화 양상을 사전에 탐지하고, 변화 양상에 따른 비탈면의 붕괴 가능성을 산출하여 비탈면의 안전성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다.
전원 공급부(40)는 데이터 로거(2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데이터 로거(20)에 공급한다. 일 예로서, 전원 공급부(40)는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을 데이터 로거(20)에 공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S100 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장치로부터 측정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데이터의 수집 주기는 각 동작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S150 단계는 S100 단계를 통해 수잡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비탈면의 경사각 및 비탈면의 진동값에 대하여 설정된 제1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S150 단계에서 비탈면의 경사각 및 비탈면의 진동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1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S200 단계에서는 데이터 로거의 동작을 일반 모드에서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로거는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에서 동작하므로 측정대상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원격 서버로 전송하게된다.
한편, S150 단계에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S250 단계에서는 S100 단계를 통해 수집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비탈면의 함수량, 강우량 및 비탈면의 토양온도에 대하여 설정된 제2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50 단계에서 비탈면의 함수량, 강우량 및 비탈면의 토양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2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S300 단계에서는 데이터 로거의 동작을 일반 모드에서 해빙기 모드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로거는 해빙기 모드에서 동작하므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의 수집 주기를 늘리고,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특정 전송 주기마다 원격 서버로 전송하게된다. 이때, 해빙기 모드에서의 데이터 전송 주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에서의 전송 주기보다 길고, 일반 모드일 때보다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S250 단계에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제2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즉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제1 트리거 조건 및 제2 트리거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으면 S350 단계에서는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제1 트리거 조건 및 제2 트리거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은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350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S400 단계에서는 데이터 로거의 동작을 해빙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다시 전환한다. 또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데이터 로거의 동작을 해빙기 모드로 그대로 유지한다.
S450 단계에서는 각 동작 모드에 따라 데이터 로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원격 서버가 비탈면의 붕괴 징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이다.
<실험예>
전원관리 최적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데이터 로거의 소비전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계측 및 전송시 소비전력을 실시간 로깅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CDMA 통신장비를 구동하여 원격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기에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CDMA 통신장비의 운영을 최소화하여 전체 시스템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CDMA 통신장비는 구동 후 데이터 전송까지 1분정도 소요되므로, 1분 이내 간격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는 항상 CDMA 통신장비를 켜고 운영하며, 1분 이상 간격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시에만 CDMA 통신장비를 켜고 나머지 시간에는 장비를 끄면서 운영하도록 설정하였다. CDMA 통신장비 구동 및 운영시간을 조절한 전체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소비전력 최소화 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다음 2가지 조건으로 소비전력 측정시험을 수행하였다.
- 데이터 측정(수집) 간격 : 10초, 15초, 20초, 25초, 30초, 60초
- 데이터 전송 간격 : 10초, 15초, 20초, 25초, 30초, 60초, 2분, 4분, 6분, 8분, 10분
도 3은 데이터 수집 간격에 따른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소비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4는 데이터 전송 간격에 따른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소비전력의 비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소비전력은 데이터 측정 간격과 데이터 전송 간격에 반비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 수집 주기를 1분 이내로 설정하고, 데이터 전송 주기를 10분 간격으로 설정할 때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보다 약 51%로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데이터 수집 간격을 25초나 30초로 설정할 경우 소비전력이 50% 미만으로 감소하기도 하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험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측정간격
전송간격
10초 15초 20초 25초 30초 60초
실시간 100 100 100 100 100 100
2분 65.2 56.4 54.1 54.3 54.5 54.6
4분 62.9 54.2 51.7 52.1 51.0 53.2
6분 62.0 53.0 51.7 49.7 50.6 51.1
8분 61.2 51.9 51.4 48.8 49.4 50.4
10분 60.9 50.1 51.4 48.5 49.4 50.0
즉,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보다 전체 시스템의 소비전력을 50%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원 공급부의 규모를 감소시키고 설치 및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장치로부터 측정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로거; 및
    상기 데이터 로거로부터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비탈면의 붕괴 가능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원격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로거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장치로부터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에 대하여 설정된 트리거 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로거가 일반 모드,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 및 해빙기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비탈면의 경사각, 상기 비탈면의 진동값, 상기 비탈면의 함수량, 강우량 및 상기 비탈면의 토양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비탈면의 경사각 및 상기 비탈면의 진동값에 대하여 설정된 제1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로거의 동작을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일반 모드에서는 상기 전송부가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제1 전송 주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에서는 상기 전송부가 측정대상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은 상기 비탈면의 경사각 및 상기 비탈면의 진동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비탈면의 경사각 및 상기 비탈면의 진동값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때의 조건인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비탈면의 함수량, 상기 강우량 및 상기 비탈면의 토양온도에 대하여 설정된 제2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2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로거의 동작을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해빙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해빙기 모드에서는 상기 수집부가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의 수집 주기를 늘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송부가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송 주기보다 짧은 제2 전송 주기마다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리거 조건은 상기 비탈면의 함수량, 상기 강우량 및 상기 비탈면의 토양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비탈면의 함수량, 상기 강우량 및 상기 비탈면의 토양온도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때의 조건인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 및 상기 제2 트리거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데이터 로거의 동작을 상기 해빙기 모드에서 상기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 및 상기 제2 트리거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은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데이터 로거의 동작을 상기 해빙기 모드로 유지하는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태양광을 이용하여 생산된 전력을 상기 데이터 로거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10.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장치로부터 측정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수집된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에 대하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트리거 조건에 따라 데이터 로거가 일반 모드,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 및 해빙기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d)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비탈면의 붕괴 가능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비탈면의 경사각, 상기 비탈면의 진동값, 상기 비탈면의 함수량, 강우량 및 상기 비탈면의 토양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비탈면의 경사각 및 상기 비탈면의 진동값에 대하여 설정된 제1 트리거 조건 - 상기 비탈면의 경사각 및 상기 비탈면의 진동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비탈면의 경사각 및 상기 비탈면의 진동값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때의 조건 - 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로거의 동작을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일반 모드에서는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제1 전송 주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탈면 붕괴 위험 모드에서는 상기 데이터 로거가 측정대상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원격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2)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비탈면의 함수량, 상기 강우량 및 상기 비탈면의 토양온도에 대하여 설정된 제2 트리거 조건 - 상기 비탈면의 함수량, 상기 강우량 및 상기 비탈면의 토양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비탈면의 함수량, 상기 강우량 및 상기 비탈면의 토양온도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때의 조건 - 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2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로거의 동작을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해빙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해빙기 모드에서는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의 수집 주기를 늘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송 주기보다 짧은 제2 전송 주기마다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3)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 및 상기 제2 트리거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비탈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 및 상기 제2 트리거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은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데이터 로거의 동작을 상기 해빙기 모드에서 상기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데이터 로거의 동작을 상기 해빙기 모드로 유지하는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방법.
KR1020180148942A 2018-11-27 2018-11-27 해빙기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178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942A KR102178785B1 (ko) 2018-11-27 2018-11-27 해빙기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942A KR102178785B1 (ko) 2018-11-27 2018-11-27 해빙기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937A true KR20200062937A (ko) 2020-06-04
KR102178785B1 KR102178785B1 (ko) 2020-11-13

Family

ID=71081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942A KR102178785B1 (ko) 2018-11-27 2018-11-27 해빙기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7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433A (ko) * 2013-04-01 2014-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457649B1 (ko) 2013-12-18 2014-11-07 한국도로공사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KR101466065B1 (ko) 2013-04-08 2014-11-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모관 흡수력 측정을 통한 비탈면의 안전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60040773A (ko) * 2014-10-06 2016-04-15 (주)유로스마트 다수 측정센서들과의 통신제어가 최적화된 실시간 영유아 건강관리 모니터링시스템
KR20180077647A (ko) * 2016-12-29 2018-07-09 한국도로공사 비탈면 붕괴 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433A (ko) * 2013-04-01 2014-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466065B1 (ko) 2013-04-08 2014-11-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모관 흡수력 측정을 통한 비탈면의 안전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457649B1 (ko) 2013-12-18 2014-11-07 한국도로공사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KR20160040773A (ko) * 2014-10-06 2016-04-15 (주)유로스마트 다수 측정센서들과의 통신제어가 최적화된 실시간 영유아 건강관리 모니터링시스템
KR20180077647A (ko) * 2016-12-29 2018-07-09 한국도로공사 비탈면 붕괴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785B1 (ko) 2020-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711B1 (ko) 융설 장치 및 블랙아이스 예방방법
Zhao et al. Temperature field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n frost depth of a highway tunnel in a cold region
KR102084784B1 (ko) 머신러닝기반 태양광발전운영 관리방법
KR101686041B1 (ko) 자연재해에 따른 수변구조물의 피해정보를 실시간으로 예측/관리 가능한 gis 기반의 수변구조물 통합관리시스템
CN110820615A (zh) 一种应用于光伏路面段的智能化冰雪气象预警系统及方法
KR101416926B1 (ko)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 및 관리 시스템
KR101682940B1 (ko) 도로 해빙 및 제설을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2040807B1 (ko) 스마트 사면붕괴 경보장치
Instanes Climate change and possible impact on Arctic infrastructure
JP4027107B2 (ja) 土砂異常検出装置、土砂異常検出システム、及び土砂異常検出方法
KR102178785B1 (ko) 해빙기 비탈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A3026839A1 (en) Storm outage management system
EP3853474A1 (en) Ic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for a wind turbine
Zrelli et al. A new approach of WSN deployment, K-coverage and connectivity in border area
KR101772513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노우 멜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44081B1 (ko)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안정성 측정방법
KR20220003202A (ko) 교류 메탈 히터와 면상 발열체가 조합된 혼합 동파방지 시스템
JP7206051B2 (ja) 監視システム
JP2581639B2 (ja) 路面凍結検知装置自己診断方法
JP3186061U (ja) 太陽光発電パネルの故障発見装置
KR101373573B1 (ko) 제설능력이 향상된 습염식 살수 및 살포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1326251B1 (ko) 자연 에너지를 이용한 융설 시스템
JP2015198287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770645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노우 멜팅용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
KR101634211B1 (ko)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