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211B1 -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 - Google Patents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211B1
KR101634211B1 KR1020140090378A KR20140090378A KR101634211B1 KR 101634211 B1 KR101634211 B1 KR 101634211B1 KR 1020140090378 A KR1020140090378 A KR 1020140090378A KR 20140090378 A KR20140090378 A KR 20140090378A KR 101634211 B1 KR101634211 B1 KR 101634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sensing
heat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9888A (ko
Inventor
김호준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0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2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09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2009/1492Clean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폭설, 강풍 및 고온 현상과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비닐 하우스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작물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무게 센서, 온도 센서 및 풍속 센서를 이용하여 무게, 온도 및 풍속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무게 및 온도가 기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에어콤푸레셔를 이용하여 열과 바람을 공급하는 센서 작동부; 및 상기 감지 센서부와 센서 작동부 사이를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감지 정보와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상태를 체크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폭설 및 고온시 기설정된 눈의 무게 이상시에 비닐 하우스의 내외부에서 열과 바람을 발생시킴으로써 폭설시 비닐 하우스의 붕괴를 막아 안전하게 농작물을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SYSTEM FOR CLEARING SNOW FROM THE VINYL GREENHOUSE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폭설, 강풍 및 고온 현상과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비닐 하우스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작물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차가운 눈, 바람을 차단하는 구조물로서 동절기에 과일 채소 재배용으로 사용되며 야채 및 과일과 같은 작물을 조기출하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철재 파이프를 사용하여, 양단부를 지면에 고정하는 아치 형태로 구부린 파이프와 아치 형태 파이프로 지지하는 다른 파이프로 결합하여 지지대로 구성하고 있으며, 그 위에 비닐을 덧 쒸우고 비닐을 파이프에 고정하여 비닐하우스를 만들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폭설이나 강풍에 의하여 비닐하우스가 붕괴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여름에는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 비닐하우스에 재배하고 있는 작물이 더위로 인하여 피해를 입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공개특허 : 제2007-0111055호, 공개일자 : 2007년 11월 21일, 발명의 명칭 : 비닐하우스의 폭설피해 방지장치. 2. 한국공개특허 : 제2010-0060635호, 공개일자 : 2010년 06월 07일, 발명의 명칭 : 비닐하우스용 폭설피해 방지장치. 3. 한국공개특허 : 제2013-0042744호, 공개일자 : 2013년 04월 29일, 발명의 명칭 : 폭설방지용 비닐하우스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폭설시 기설정된 눈 무게 이상을 감지하고, 기설정된 이상의 고온을 감지하여 이에 맞는 열과 바람을 조절하여 눈을 녹이거나 쓸어 버릴 수 있는 비닐 하우스 내외부에 공급할 수 있는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무게 센서, 온도 센서 및 풍속 센서를 이용하여 무게, 온도 및 풍속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무게 및 온도가 기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에어콤푸레셔를 이용하여 열과 바람을 공급하는 센서 작동부; 및 상기 감지 센서부와 센서 작동부 사이를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감지 정보와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상태를 체크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센서 작동부는 상기 비닐하우스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연결 고리부; 상기 연결 고리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방열판부; 및 상기 방열판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에어콤푸레셔부;를 포함할 경우, 상기 방열판부를 지나는 열선을 통해 발생된 상기 열을 방열판부로 공급하도록 동작되고, 상기 에어콤푸레셔부에서 상기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에어콤퓨레셔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센서 작동부를 통해 상기 방열판부에 전달된 열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에어콤푸레셔의 바람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a) 무게 센서, 온도 센서 및 풍속 센서를 이용하여 무게, 온도 및 풍속을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무게 및 온도가 기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에어콤푸레셔를 이용하여 열과 바람을 센서 작동부에서 공급하는 단계; 및 (c) 상기 감지 센서부와 센서 작동부 사이를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감지 정보와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상태를 이동 단말기에서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방열판부를 지나는 열선을 통해 발생된 상기 열을 상기 센서 작동부의 동작에 의해 방열판부로 공급하는 단계; 및 (b-2) 상기 에어콤푸레셔부에서 상기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에어콤퓨레셔부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상기 (c) 단계는 상기 방열판부로 공급된 열의 크기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조절하고, 상기 에어콤푸레셔로 공급된 바람 크기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폭설 및 고온시 기설정된 눈의 무게와 온도 이상시에 비닐 하우스의 내외부에서 열과 바람을 발생시킴으로써 폭설시 비닐 하우스의 붕괴를 막아 안전하게 농작물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비닐하우스의 재설치 비용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무게, 온도 및 풍속 상태를 이동 단말기에서 모니터링하고, 센서 작동부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해 상황과 작동 현황을 파악하고, 자연재해별 피해를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1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S100)의 S12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1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100)은 감지 센서부(110), 센서 작동부(120) 및 이동 단말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센서부(110)는 무게 센서(111), 온도 센서(112) 및 풍속 센서(113)를 이용하여 눈의 무게, 온도 및 풍속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눈의 무게는 무게 센서(111)를 통해 다음과 같은 범위안에서 측정된다. 예를 들면, 1㎡의 면적에 1cm의 눈이 오면 그 무게는 3kg으로 무게 센서(111)에서 감지하게 되고, 1㎡의 면적에 50cm의 눈이 오면 이 무게는 1㎡ × 3kg × 50cm = 150kg을 갖는다. 이와 같이 무게 센서(111)를 이용하여 눈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상기 온도 센서(112)는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에 설치되어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 온도를 자동적으로 감지하게 되고, 상기 풍속 센서(113)는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에 설치되어 불어오는 바람을 감지하여 풍속의 세기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온도 센서(112) 및 풍속 센서(113)는 자연 상태로 온도 및 풍속을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무게 센서(111), 온도 센서(112) 및 풍속 센서(113)들은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닐하우스(101)의 내부에서도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작동부(120)는 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무게가 각각 기저장된 설정 정보와 비교하여 클 경우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로 열과 바람을 공급하도록 전원 장치(140)를 통해 열 공급과 에어콤퓨레셔부(124)를 통해 바람 공급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눈의 무게가 30,000kg(30ton)이라 하고, 비닐 하우스(101)가 감당하기 힘든 무게(설정 정보)가 29,000kg이라고 가정하면, 위험 수준의 기설정된 눈의 무게보다 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눈의 무게가 크므로 이를 녹이자고자 열이 발생되거나 바람을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101)의 고정부(102)에 고정되는 연결 고리부(121)와 상기 연결 고리부(121)의 일측에 고정되는 방열판부(122)와 상기 방열판부(122)의 내측에 설치되는 열선(123) 및 상기 방열판부(122)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에어콤푸레셔부(1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작동부(120)는 방열판부(122)를 지나는 열선(123)을 통해 외부, 전원 장치(140)에서 공급된 열을 방열판부(122)로 공급하도록 동작되고, 에어콤푸레셔부(124)에서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에어콤퓨레셔부(124)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에어콤퓨레셔부(124)에서 발생된 바람은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를 덮고 있는 눈을 쓸어버리되는 사용되며, 방열판부(122)로 공급된 열은 비닐 하우스(101)의 표면을 데워 비닐 하우스(101)에 쌓인 눈을 녹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방열판부(122)와 에어콤퓨레셔부(124)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면, 폭설이 비닐 하우스(101)에 내리더라도 모두 눈을 녹일 수 있어 비닐 하우스(101)의 붕괴를 막아 농작물 피해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작동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저장된 설정 정보(예: 최저치 영하 온도, 최고지 영상 온도)와 비교하여 클 경우에 에어콤푸레셔부(124)를 동작시켜 바람을 발생시키거나 전원 장치(140)를 동작시켜 방열판부(122)로 열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에어콤푸레셔부(124)와 전원 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콤퓨레셔부(124)가 동작되는 경우는 감지된 온도가 기대이상으로 높은 경우에 동작된다. 따라서, 에어콤퓨레셔부(124)에서 발생된 바람은 비닐 하우스(101)의 온도를 떨어뜨릴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원 장치(140)가 동작되는 경우는 감지된 온도가 기대이상으로 낮은 경우에 동작된다. 따라서, 방열판부(122)에서 발생된 열은 비닐 하우스(101)안으로 공급되어 농작물이 추위로부터 어는 현상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30)는 앞서 설명한 센서 작동부(120)와 근거리 통신망을 연결된다. 이때, 근거리 통신망은 블루투스 통신망, 와이파이(wifi 통신)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130)는 감지 센서부(110)에서 발생된 감지 정보와 센서 작동부(120)에서 발생된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감지 센서부(110) 및 센서 작동부(120)의 상태를 체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크된 데이터는 웹서버(미도시)에 구축이 되어 필요할 때 이동 단말기(130)에서 조회할 수 있으며, 특히 이상상황 및 긴급상황시에 SNS, Push Service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30)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기(130)는 감지 센서부(110) 및 센서 작동부(120)의 상태를 수시로 체크하여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 조건과 상태를 매일같이 점검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S100)의 S12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S100)은 폭설, 강풍 및 고온과 같은 자연 재해로부터 비닐 하우스(101)를 보호하기 위하여 S110 단계 내지 S130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S110 단계에서는 무게 센서(111), 온도 센서(112) 및 풍속 센서(113)를 이용하여 눈의 무게, 온도 및 풍속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눈의 무게는 무게 센서(111)를 통해 다음과 같은 범위안에서 측정된다. 예를 들면, 1㎡의 면적에 1cm의 눈이 오면 그 무게는 3kg으로 무게 센서(111)에서 감지하게 되고, 1㎡의 면적에 50cm의 눈이 오면 이 무게는 1㎡ × 3kg × 50cm = 150kg을 갖는다. 이와 같이 무게 센서(111)를 이용하여 눈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상기 온도 센서(112)는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에 설치되어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 온도를 자동적으로 감지하게 되고, 상기 풍속 센서(113)는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에 설치되어 불어오는 바람을 감지하여 풍속의 세기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온도 센서(112) 및 풍속 센서(113)는 자연 상태로 온도 및 풍속을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무게 센서(111), 온도 센서(112) 및 풍속 센서(113)들은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닐하우스(101)의 내부에서도 설치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20 단계에서는 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무게 가 기저장된 설정 정보와 비교하여 클 경우에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로 열과 바람을 공급하도록 전원 장치(140)를 통해 열 공급과 에어콤퓨레셔부(124)를 통해 바람 공급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눈의 무게가 30,000kg(30ton)이라 하고, 비닐 하우스(101)가 감당하기 힘든 무게(설정 정보)가 29,000kg이라고 가정하면, 위험 수준의 기설정된 눈의 무게보다 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눈의 무게가 크므로 이를 녹이자고자 열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S120 단계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부(122)를 지나는 열선(123)을 통해 전원 장치(140)에서 공급된 열을 센서 작동부(120)의 동작에 의해 방열판부(122)로 공급하는 단계(S121)와 에어콤푸레셔부(124)에서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센서 작동부(120)에 의해 에어콤퓨레셔부(124)를 동작시키는 단계(S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에어콤퓨레셔부(124)에서 발생된 바람은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를 덮고 있는 눈을 쓸어버리되는 사용되며, 방열판부(122)로 공급된 열은 비닐 하우스(101)의 표면을 데워 비닐 하우스(101)에 쌓인 눈을 녹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방열판부(122)와 에어콤퓨레셔부(124)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면, 폭설이 비닐 하우스(101)에 내리더라도 모두 눈을 녹일 수 있어 비닐 하우스(101)의 붕괴를 막아 농작물 피해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S120 단계에서는 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저장된 설정 정보(예: 최저치 영하 온도, 최고지 영상 온도)와 비교하여 클 경우를 감지 센서부(120)에서 인신한 후, 에어콤푸레셔부(124)를 동작시켜 바람을 발생시키거나 전원 장치(140)를 동작시켜 방열판부(122)로 열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에어콤푸레셔부(124)와 전원 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콤퓨레셔부(124)가 동작되는 경우는 감지된 온도가 기대이상으로 높은 경우에 동작된다. 따라서, 에어콤퓨레셔부(124)에서 발생된 바람은 비닐 하우스(101)의 온도를 떨어뜨릴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원 장치(140)가 동작되는 경우는 감지된 온도가 기대이상으로 낮은 경우에 동작된다. 따라서, 방열판부(122)에서 발생된 열은 비닐 하우스(101)안으로 공급되어 농작물이 추위로부터 어는 현상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30 단계에서는 앞서 설명한 센서 작동부(120)간 근거리 통신망을 연결된다. 이때, 근거리 통신망은 블루투스 통신망, 와이파이(wifi 통신)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S130 단계에서는 감지 센서부(110)에서 발생된 감지 정보와 센서 작동부(120)에서 발생된 동작 정보를 이동 단말기(130)에서 수신하여 감지 센서부(110) 및 센서 작동부(120)의 상태를 체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크된 데이터는 웹서버(미도시)에 구축이 되어 필요할 때 이동 단말기(130)에서 조회할 수 있으며, 특히 이상상황 및 긴급상황시에 SNS, Push Service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30)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기(130)는 감지 센서부(110) 및 센서 작동부(120)의 상태를 수시로 체크하여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 조건과 상태를 매일같이 점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 101 : 비닐 하우스
110 : 감지 센서부 111 : 무게 센서
112 : 온도 센서 113 : 풍속 센서
120 : 센서 작동부 121 : 연결 고리부
122 : 방열판부 123 : 열선
124 : 에어콤푸레셔부 130 : 이동 단말기
140 : 전원 장치

Claims (6)

  1. 비닐 하우스에 설치되어 무게 센서, 온도 센서 및 풍속 센서를 이용하여 무게, 온도 및 풍속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무게 및 온도가 기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열과 바람을 공급하는 센서 작동부; 및
    상기 감지 센서부와 상기 센서 작동부 사이를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발생된 감지 정보와 상기 센서 작동부에서 발생된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감지 센서부와 상기 센서 작동부의 상태를 체크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작동부는,
    상기 비닐 하우스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연결 고리부와, 상기 연결 고리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방열판부 및 상기 방열판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에어콤푸레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부를 지나는 열선을 통해 전원 장치에서 공급된 상기 열을 상기 방열판부로 공급하도록 동작되고, 상기 에어콤푸레셔부에서 상기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에어콤퓨레셔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센서 작동부를 통해 상기 방열판부에 전달된 열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에어콤푸레셔의 바람 크기를 더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
  4. (a) 무게 센서, 온도 센서 및 풍속 센서를 이용하여 비닐 하우스에 적설된 눈의 무게, 상기 비닐 하우스의 온도 및 풍속을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무게 및 온도가 기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열과 바람을 센서 작동부에서 공급하는 단계; 및
    (c) 상기 감지 센서부와 상기 센서 작동부 사이를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발생된 감지 정보와 상기 센서 작동부에서 발생된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감지 센서부와 상기 센서 작동부의 상태를 이동 단말기에서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비닐 하우스에 고정 설치된 방열판부를 지나는 열선을 통해 전원 장치에서 공급된 상기 열을 상기 센서 작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방열판부로 공급하는 단계; 및
    (b-2) 상기 방열판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에어콤푸레셔부에서 상기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센서 작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에어콤퓨레셔부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방열판부로 공급된 열의 크기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조절하고, 상기 에어콤푸레셔로 공급된 바람 크기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
KR1020140090378A 2014-07-17 2014-07-17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 KR101634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378A KR101634211B1 (ko) 2014-07-17 2014-07-17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378A KR101634211B1 (ko) 2014-07-17 2014-07-17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888A KR20160009888A (ko) 2016-01-27
KR101634211B1 true KR101634211B1 (ko) 2016-06-28

Family

ID=5530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378A KR101634211B1 (ko) 2014-07-17 2014-07-17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2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8820B2 (en) 2016-11-18 2020-03-24 Industrial Cooperation Found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mount of snowfall for vinyl ho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888B1 (ko) * 2019-07-31 2021-06-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닐하우스용 자동 제설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비닐하우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079B1 (ko) 2006-05-16 2008-04-2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비닐하우스의 폭설피해 방지장치
KR20100060635A (ko) 2008-11-28 2010-06-07 반우정 비닐하우스용 폭설피해 방지장치
KR101139391B1 (ko) * 2009-11-30 2012-05-14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실 자동 제설 시스템
KR101212121B1 (ko) * 2010-03-24 2012-12-13 (주)삼화미터텍 간이구조물의 자동제설시스템
KR101298732B1 (ko) * 2011-07-04 2013-08-21 김상국 비닐하우스용 제설장치
KR101402930B1 (ko) * 2011-09-23 2014-06-02 (주) 페스코 Gtg전열망과 친환경 제설재 살포를 통한 하이브리드형 비닐하우스 제설원격관리장치 및 방법
KR101308198B1 (ko) 2011-10-19 2013-09-13 김선기 폭설방지용 비닐하우스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8820B2 (en) 2016-11-18 2020-03-24 Industrial Cooperation Found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mount of snowfall for vinyl ho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888A (ko)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211B1 (ko)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
US20110185647A1 (en) Automated telescoping tower
US20080000649A1 (en) Method, system and sprinkler head for fire protection
KR101139391B1 (ko) 온실 자동 제설 시스템
KR101800231B1 (ko)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 온도 감시 방법
KR101684427B1 (ko) 산사태 및 토석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972820A (zh) 输电线路分段除冰装置
AU2024203061A1 (en) Monitoring system for a section or a component of a pipeline for the transport of hydrocarbons in a hazard site
KR101447720B1 (ko) 하천 수위 현황 및 최근 기간 강우량을 고려한 강우 및 수위 경보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N102969556B (zh) 卫星天线喇叭口面除湿器
KR101997339B1 (ko) 절전형 배관동파방지시스템
KR101640399B1 (ko)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1409678B1 (ko) 기동전류를 제어하는 자동 전압조절부가 구비된 융설장치의 제어 시스템
KR101604305B1 (ko) 플랜트 구조물의 박스컬버트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87799B1 (ko)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위험 경보시스템
KR101447718B1 (ko) 강우 강도와 기간 강우량 분석을 통한 강우 경보 장치 및 강우 경보 생성 방법
US201301412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stricted areas below bucket trucks, lineworkers on power distribution poles or other elevated loads
JP7373897B2 (ja) 空気調和機
JP2010071019A (ja) 融雪器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004127B1 (ko) 냉해 피해 방지 시스템
JP2007249474A (ja) 家屋倒壊予知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80022078A (ko) 자동발열시스템을 갖는 제설 및 집수장치
WO2016021396A1 (ja) 蒸気利用設備の管理方法、及び、蒸気利用設備
CN112640203A (zh) 用于点对点无线电链路的天线罩加热
US20170284698A1 (en) Systems and methods to detect heater malfunction and prevent dry bu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