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399B1 -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399B1
KR101640399B1 KR1020140072071A KR20140072071A KR101640399B1 KR 101640399 B1 KR101640399 B1 KR 101640399B1 KR 1020140072071 A KR1020140072071 A KR 1020140072071A KR 20140072071 A KR20140072071 A KR 20140072071A KR 101640399 B1 KR101640399 B1 KR 101640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greenhouse
heat
weight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3072A (ko
Inventor
이준
Original Assignee
(주)아람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람솔루션 filed Critical (주)아람솔루션
Priority to KR1020140072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399B1/ko
Publication of KR2015014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폭설, 강풍 및 고온 현상과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비닐 하우스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작물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무게 센서, 온도 센서 및 풍속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닐 하우스의 외부에 설치하여 무게, 온도 및 풍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무게 및 온도가 각각 기저장된 설정 정보와 비교하여 클 경우 비닐 하우스의 내외부에서 열과 바람을 발생시키는 작동 센서부; 상기 감지 센서부와 작동 센서부를 연결시켜 감지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연결선부; 및 상기 감지 센서부와 작동 센서부의 사이를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발생된 감지 정보와 상기 작동 센서부에서 발생된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감지 센서부 및 작동 센서부의 상태를 체크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여 폭설시 비닐 하우스의 붕괴를 막아 농작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비닐하우스의 재설치 비용을 줄여줄 수 있다.

Description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PROTECTING VINYL GREENHOUSE}
본 발명은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폭설, 강풍 및 고온 현상과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비닐 하우스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작물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차가운 눈, 바람을 차단하는 구조물로서 동절기에 과일 채소 재배용으로 사용되며 야채 및 과일과 같은 작물을 조기출하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철재 파이프를 사용하여, 양단부를 지면에 고정하는 아치 형태로 구부린 파이프와 아치 형태 파이프로 지지하는 다른 파이프로 결합하여 지지대로 구성하고 있으며, 그 위에 비닐을 덧씌우고 비닐을 파이프에 고정하여 비닐하우스를 만들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폭설이나 강풍에 의하여 비닐하우스가 붕괴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여름에는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 비닐하우스에 재배하고 있는 작물이 더위로 인하여 피해를 입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공개특허 : 제2007-0111055호, 공개일자 : 2007년 11월 21일, 발명의 명칭 : 비닐하우스의 폭설피해 방지장치. 2. 한국공개특허 : 제2010-0060635호, 공개일자 : 2010년 06월 07일, 발명의 명칭 : 비닐하우스용 폭설피해 방지장치. 3. 한국공개특허 : 제2013-0042744호, 공개일자 : 2013년 04월 29일, 발명의 명칭 : 폭설방지용 비닐하우스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폭설시 기설정된 눈 무게 이상을 감지하고, 기설정된 이상의 고온을 감지하여 이에 맞는 열과 바람을 조절하여 눈을 녹이거나 쓸어 버릴 수 있는 비닐 하우스 내외부에 공급할 수 있는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풍시 기설정된 풍속 이상을 감지하여 비닐 하우스의 상측에 설치된 덮개부를 양하측으로 이동시켜 비닐 하우스를 안전하게 덮어 보호하는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무게 센서, 온도 센서 및 풍속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닐 하우스의 외부에 설치하여 무게, 온도 및 풍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무게 및 온도가 각각 기저장된 설정 정보와 비교하여 클 경우 비닐 하우스의 내외부에서 열과 바람을 발생시키는 작동 센서부; 상기 감지 센서부와 작동 센서부를 연결시켜 감지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연결선부; 및 상기 감지 센서부와 작동 센서부의 사이를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발생된 감지 정보와 상기 작동 센서부에서 발생된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감지 센서부 및 작동 센서부의 상태를 체크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작동 센서부는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풍속이 기저장된 설정 정보와 비교하여 클 경우 상기 비닐 하우스의 상측에 설치된 덮개부를 양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비닐 하우스의 외면을 덮을 수 있도록 동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은 상기 비닐하우스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연결 고리부; 상기 연결 고리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방열판부; 및 상기 방열판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에어콤푸레셔부;를 더 포함할 경우, 상기 작동 센서부는 상기 방열판부를 지나는 열선을 통해 발생된 상기 열을 방열판부로 공급하도록 동작되고, 상기 에어콤푸레셔부에서 상기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에어콤퓨레셔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동작 센서부를 통해 상기 방열판부에 전달된 열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에어콤푸레셔의 바람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a) 무게 센서, 온도 센서 및 풍속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닐 하우스의 외부에 설치하여 무게, 온도 및 풍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무게 및 온도가 각각 기저장된 설정 정보와 비교하여 클 경우 비닐 하우스의 내외부에서 열과 바람을 작동 센서부에서 발생시키는 단계; (c) 연결선부를 통해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감지 정보를 상기 작동 센서부로 송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작동 센서부와 휴대 단말기간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발생된 감지 정보와 상기 작동 센서부에서 발생된 동작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하여 상기 감지 센서부 및 작동 센서부의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보호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비닐 하우스 보호 방법은 (e)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풍속이 기저장된 설정 정보와 비교하여 클 경우 상기 비닐 하우스의 상측에 설치된 덮개부를 상기 작동 센서부에서 양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비닐 하우스의 외면을 덮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방열판부를 지나는 열선을 통해 발생된 상기 열을 상기 작동 센서부의 동작에 의해 방열판부로 공급하는 단계; 및 (b-2) 상기 에어콤푸레셔부에서 상기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에어콤퓨레셔부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상기 (d) 단계는 상기 방열판부로 공급된 열의 크기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조절하고, 상기 에어콤푸레셔로 공급된 바람 크기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폭설 및 고온시 기설정된 눈의 무게와 온도 이상시에 비닐 하우스의 내외부에서 열과 바람을 발생시킴으로써 폭설시 비닐 하우스의 붕괴를 막아 안전하게 농작물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비닐하우스의 재설치 비용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강풍시 기설정된 풍속 이상일 경우에 비닐 하우스의 상측에 설치된 덮개를 양하측으로 이동시켜 비닐 하우스의 외면을 덮도록 함으로써 비닐 하우스가 찢어지는 피해를 막아 이 또한 비닐하우스를 재설치하는 비용과 작물 피해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무게, 온도 및 풍속 상태를 휴대 단말기에서 모니터링하고, 동작 센서부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해 상황과 작동 현황을 파악하고, 자연재해별 피해를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1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100)의 추가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의 상부에 배치된 감지 센서부(110)와 작동 센서부(120)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 보호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 보호 방법(S100)의 S12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1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100)의 추가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100)은 감지 센서부(110), 작동 센서부(120), 연결선부(130) 및 휴대 단말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센서부(110)는 무게 센서(111), 온도 센서(112) 및 풍속 센서(1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 무게 센서(111), 온도 센서(112) 및 풍속 센서(113)로부터 눈의 무게, 온도 및 풍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눈의 무게는 무게 센서(111)를 통해 다음과 같은 범위안에서 측정된다. 예를 들면, 1㎡의 면적에 1cm의 눈이 오면 그 무게는 3kg으로 무게 센서(111)에서 감지하게 되고, 1㎡의 면적에 50cm의 눈이 오면 이 무게는 1㎡ × 3kg × 50cm = 150kg을 갖는다. 이와 같이 무게 센서(111)를 이용하여 눈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상기 온도 센서(112)는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에 설치되어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 온도를 자동적으로 감지하게 되고, 상기 풍속 센서(113)는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에 설치되어 불어오는 바람을 감지하여 풍속의 세기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온도 센서(112) 및 풍속 센서(113)는 자연 상태로 온도 및 풍속을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무게 센서(111), 온도 센서(112) 및 풍속 센서(113)들은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닐 하우스(101)의 내부에서도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센서부(120)는 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무게가 각각 기저장된 설정 정보와 비교하여 클 경우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로 열과 바람을 공급하도록 전원 장치(150)를 통해 열 공급과 에어콤퓨레셔(도 2의 124)를 통해 바람 공급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눈의 무게가 30,000kg(30ton)이라 하고, 비닐 하우스(101)가 감당하기 힘든 무게(설정 정보)가 29,000kg이라고 가정하면, 위험 수준의 기설정된 눈의 무게보다 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눈의 무게가 크므로 이를 녹이자고자 열이 발생되거나 바람을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101)의 고정부(102)에 고정되는 연결 고리부(121)와 상기 연결 고리부(121)의 일측에 고정되는 방열판부(122)와 상기 방열판부(122)의 내측에 설치되는 열선(123) 및 상기 방열판부(122)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에어콤푸레셔부(1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센서부(120)는 방열판부(122)를 지나는 열선(123)을 통해 외부, 전원 장치(150)에서 공급된 열을 방열판부(122)로 공급하도록 동작되고, 에어콤푸레셔부(124)에서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에어콤퓨레셔부(124)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에어콤퓨레셔부(124)에서 발생된 바람은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를 덮고 있는 눈을 쓸어버리되는 사용되며, 방열판부(122)로 공급된 열은 비닐 하우스(101)의 표면을 데워 비닐 하우스(101)에 쌓인 눈을 녹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방열판부(122)와 에어콤퓨레셔부(124)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면, 폭설이 비닐 하우스(101)에 내리더라도 모두 눈을 녹일 수 있어 비닐 하우스(101)의 붕괴를 막아 농작물 피해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센서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저장된 설정 정보(예: 최저치 영하 온도, 최고지 영상 온도)와 비교하여 클 경우에 에어콤푸레셔부(124)를 동작시켜 바람을 발생시키거나 전원 장치(150)를 동작시켜 방열판(122)으로 열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에어콤푸레셔부(124)와 전원 장치(15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콤퓨레셔부(124)가 동작되는 경우는 감지된 온도가 기대이상으로 높은 경우에 동작된다. 따라서, 에어콤퓨레셔부(124)에서 발생된 바람은 비닐 하우스(101)의 온도를 떨어뜨릴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원 장치(150)가 동작되는 경우는 감지된 온도가 기대이상으로 낮은 경우에 동작된다. 따라서, 방열판(122)에서 발생된 열은 비닐 하우스(101)안으로 공급되어 농작물이 추위로부터 어는 현상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센서부(120)는 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풍속이 기저장된 설정 정보(예: 최고 풍속)와 비교하여 클 경우에 비닐 하우스(101)의 상측에 설치된 덮개를 양하측으로 이동시켜 비닐 하우스(101)의 외면을 덮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센서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풍속이 기저장된 설정 정보와 비교하여 클 경우에 모터(125)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비닐 하우스(101)의 상측에 설치된 덮개부(127)로 전달하여 덮개부(127)가 비닐 하우스(101)의 양측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덮개부(127)를 제어하는 덮개 조작부(126)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풍이 발생하더라도 위와 같은 구성들로 인하여 비닐 하우스(101)가 파괴되는 것을 막아 농작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선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센서부(110)와 작동 센서부(120)를 연결시키는 유선 형태의 송수신 선으로서 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정보들을 작동 센서부(120)로 안전하게 송수신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40)는 앞서 설명한 동작 센서부(120)간 근거리 통신망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망 상태로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블루투스 통신망으로 한정하지 않고 와이파이(wifi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140)는 감지 센서부(110)에서 발생된 감지 정보와 동작 센서부(120)에서 발생된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감지 센서부(110) 및 동작 센서부(120)의 상태를 체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크된 데이터는 웹서버(미도시)에 구축이 되어 필요할 때 휴대 단말기(140)에서 조회할 수 있으며, 특히 이상상황 및 긴급상황시에 SNS, Push Service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40)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140)는 감지 센서부(110) 및 동작 센서부(120)의 상태를 수시로 체크하여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 조건과 상태를 매일같이 점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101)의 상부에 배치된 감지 센서부(110)와 작동 센서부(120)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100)은 무게 센서(111, 무게모듈)과 온도 센서(112, 온도모듈) 및 작동 센서부(120, 작동 모듈) 등을 복수개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들은 비닐하우스(101)의 상단 뼈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 센서부(120)는 무게 센서(111, 무게모듈)과 온도 센서(112, 온도모듈) 등에서 감지된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비닐 하우스(101)에 쌓인 눈 상태나 온도 상태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 보호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 보호 방법(S100)의 S12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 보호 방법(S100)은 폭설, 강풍 및 고온과 같은 자연 재해로부터 비닐 하우스(101)를 보호하기 위하여 S110 단계 내지 S150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S110 단계에서는 무게 센서(111), 온도 센서(112) 및 풍속 센서(1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무게 센서(111), 온도 센서(112) 및 풍속 센서(113)로부터 눈의 무게, 온도 및 풍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눈의 무게는 무게 센서(111)를 통해 다음과 같은 범위안에서 측정된다. 예를 들면, 1㎡의 면적에 1cm의 눈이 오면 그 무게는 3kg으로 무게 센서(111)에서 감지하게 되고, 1㎡의 면적에 50cm의 눈이 오면 이 무게는 1㎡ × 3kg × 50cm = 150kg을 갖는다. 이와 같이 무게 센서(111)를 이용하여 눈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상기 온도 센서(112)는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에 설치되어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 온도를 자동적으로 감지하게 되고, 상기 풍속 센서(113)는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에 설치되어 불어오는 바람을 감지하여 풍속의 세기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온도 센서(112) 및 풍속 센서(113)는 자연 상태로 온도 및 풍속을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20 단계에서는 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무게 가 기저장된 설정 정보와 비교하여 클 경우에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로 열과 바람을 공급하도록 전원 장치(150)를 통해 열 공급과 에어콤퓨레셔(124)를 통해 바람 공급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눈의 무게가 30,000kg(30ton)이라 하고, 비닐 하우스(101)가 감당하기 힘든 무게(설정 정보)가 29,000kg이라고 가정하면, 위험 수준의 기설정된 눈의 무게보다 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눈의 무게가 크므로 이를 녹이자고자 열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S120 단계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부(122)를 지나는 열선(123)을 통해 전원 장치(150)에서 공급된 열을 작동 센서부(120)의 동작에 의해 방열판부(122)로 공급하는 단계(S121)와 에어콤푸레셔부(124)에서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작동 센서부(120)에 의해 에어콤퓨레셔부(124)를 동작시키는 단계(S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에어콤퓨레셔부(124)에서 발생된 바람은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를 덮고 있는 눈을 쓸어버리되는 사용되며, 방열판부(122)로 공급된 열은 비닐 하우스(101)의 표면을 데워 비닐 하우스(101)에 쌓인 눈을 녹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방열판부(122)와 에어콤퓨레셔부(124)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면, 폭설이 비닐 하우스(101)에 내리더라도 모두 눈을 녹일 수 있어 비닐 하우스(101)의 붕괴를 막아 농작물 피해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S120 단계에서는 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저장된 설정 정보(예: 최저치 영하 온도, 최고지 영상 온도)와 비교하여 클 경우를 감지 센서부(120)에서 인식한 후, 에어콤푸레셔부(124)를 동작시켜 바람을 발생시키거나 전원 장치(150)를 동작시켜 방열판(122)으로 열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에어콤푸레셔부(124)와 전원 장치(15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콤퓨레셔부(124)가 동작되는 경우는 감지된 온도가 기대이상으로 높은 경우에 동작된다. 따라서, 에어콤퓨레셔부(124)에서 발생된 바람은 비닐 하우스(101)의 온도를 떨어뜨릴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원 장치(150)가 동작되는 경우는 감지된 온도가 기대이상으로 낮은 경우에 동작된다. 따라서, 방열판(122)에서 발생된 열은 비닐 하우스(101)안으로 공급되어 농작물이 추위로부터 어는 현상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30 단계에서는 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풍속이 기저장된 설정 정보와 비교하여 큰 경우를 감지 센서부(120)에서 인식한 후, 비닐 하우스(101)의 상측에 설치된 덮개부(127)를 양하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덮개부(127)를 덮개 조작부(126)에서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강풍이 발생하더라도 위와 같은 구성들로 인하여 비닐 하우스(101)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40 단계에서는 감지 센서(110)와 작동 센서부(120)사이를 연결선부(13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연결선부(130)를 통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된 정보들을 작동 센서부(120)로 송신되도록 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50 단계에서는 작동 센서부(120)와 휴대 단말기(140)간 그거리 통신망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시킨다. 그러나 상기 블루투스 통신으로 한정되지 않고 와이파이(wifi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S150 단계에서는 감지 센서부(110)에서 발생된 감지 정보와 작동 센서부(120)에서 발생된 동작 정보를 휴대 단말기(140)에서 수신하여 감지 센서부(110) 및 작동 센서부(120)의 상태를 체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크된 데이터는 웹서버(미도시)에 구축이 되어 필요할 때 휴대 단말기(140)에서 조회할 수 있으며, 특히 이상상황 및 긴급상황시에 SNS, Push Service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40)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S150 단계에서는 감지 센서부(110) 및 동작 센서부(120)간의 상태를 휴대 단말기(140)에서 수시로 체크함으로써 비닐 하우스(101)의 외부 조건과 상태를 매일같이 점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 101 : 비닐 하우스
110 : 감지 센서부 111 : 무게 센서
112 : 온도 센서 113 : 풍속 센서
120 : 작동 센서부 121 : 연결 고리부
122 : 방열판부 123 : 열선
124 : 에어콤푸레셔부 125 : 모터
126 : 덮개 조작부 127 : 덮개
128 : 안내부 130 : 연결선부
140 : 휴대 단말기 150 : 전원 장치

Claims (8)

  1. 무게 센서, 온도 센서 및 풍속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닐 하우스의 외부에 설치하여 무게, 온도 및 풍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무게 및 온도가 각각 기저장된 설정 정보와 비교하여 클 경우에 상기 비닐 하우스의 외부로 열과 바람을 공급하도록 전원 장치와 에어콤푸레셔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풍속이 기저장된 설정 정보와 비교하여 클 경우 상기 비닐 하우스의 상측에 설치된 덮개를 양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비닐 하우스의 외면을 덮도록 하는 작동 센서부;
    상기 감지 센서부와 상기 작동 센서부를 연결시켜 감지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연결선부; 및
    상기 감지 센서부와 상기 작동 센서부의 사이를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발생된 감지 정보와 상기 작동 센서부에서 발생된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감지 센서부 및 상기 작동 센서부의 상태를 체크하는 휴대 단말기;
    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센서부는,
    상기 비닐 하우스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연결 고리부; 상기 연결 고리부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전원 장치로부터 열을 공급받는 방열판부; 및 상기 방열판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에어콤푸레셔부;를 포함할 경우,
    상기 방열판부를 지나는 열선을 통해 발생된 상기 열을 상기 방열판부로 공급하도록 동작되고, 상기 에어콤푸레셔부에서 상기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에어콤퓨레셔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작동 센서부를 통해 상기 방열판부에 전달된 열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에어콤푸레셔의 바람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
  5. (a) 무게 센서, 온도 센서 및 풍속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닐 하우스의 외부에 설치하여 무게, 온도 및 풍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무게 및 온도가 각각 기저장된 설정 정보와 비교하여 클 경우 상기 비닐 하우스의 내외부에서 열과 바람을 작동 센서부에서 발생시키는 단계;
    (c) 연결선부를 통해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감지 정보를 상기 작동 센서부로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작동 센서부와 휴대 단말기간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발생된 감지 정보와 상기 작동 센서부에서 발생된 동작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하여 상기 감지 센서부 및 상기 작동 센서부의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및;
    (e)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풍속이 기저장된 설정 정보와 비교하여 클 경우 상기 비닐 하우스의 상측에 설치된 덮개를 상기 작동 센서부에서 양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비닐 하우스의 외면을 덮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보호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비닐 하우스에 고정 설치된 방열판부를 지나는 열선을 통해 발생된 상기 열을 상기 작동 센서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방열판부로 공급하는 단계; 및
    (b-2) 상기 방열판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에어콤푸레셔부에서 상기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에어콤퓨레셔부를 동작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 보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방열판부로 공급된 상기 열의 크기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조절하고, 상기 에어콤푸레셔로부터 공급된 상기 바람의 크기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 보호 방법.
KR1020140072071A 2014-06-13 2014-06-13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1640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071A KR101640399B1 (ko) 2014-06-13 2014-06-13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071A KR101640399B1 (ko) 2014-06-13 2014-06-13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072A KR20150143072A (ko) 2015-12-23
KR101640399B1 true KR101640399B1 (ko) 2016-07-18

Family

ID=5508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071A KR101640399B1 (ko) 2014-06-13 2014-06-13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3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495Y1 (ko) 2005-09-23 2005-12-01 김민우 비닐하우스의 제설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877B1 (ko) * 2005-04-27 2007-03-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25079B1 (ko) 2006-05-16 2008-04-2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비닐하우스의 폭설피해 방지장치
KR20100060635A (ko) 2008-11-28 2010-06-07 반우정 비닐하우스용 폭설피해 방지장치
KR101139391B1 (ko) * 2009-11-30 2012-05-14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실 자동 제설 시스템
KR101402930B1 (ko) * 2011-09-23 2014-06-02 (주) 페스코 Gtg전열망과 친환경 제설재 살포를 통한 하이브리드형 비닐하우스 제설원격관리장치 및 방법
KR101308198B1 (ko) 2011-10-19 2013-09-13 김선기 폭설방지용 비닐하우스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495Y1 (ko) 2005-09-23 2005-12-01 김민우 비닐하우스의 제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072A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424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collapse of a green house by snow load
EP2601794B1 (en) Dynamic electric power line monitoring system
US20080000649A1 (en) Method, system and sprinkler head for fire protection
EP2474790B1 (e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one or more outdoor devices, and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1800231B1 (ko)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 온도 감시 방법
US11857815B2 (en) Protective equipment comprising a sensor device
EP3400404A1 (en) Led illumination device with single pressure cavity
JP2017009305A (ja) センシング装置及びセンシングシステム
KR101634211B1 (ko) 비닐 하우스용 제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닐 하우스 제설 방법
CA2992859A1 (en) Grain bin dryer pressure control system
KR101875028B1 (ko) 전신주 도괴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101640399B1 (ko) 비닐 하우스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1731450B1 (ko) 배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배관 모니터링 방법
US87364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heat detection
US89472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stricted areas below bucket trucks, lineworkers on power distribution poles or other elevated loads
JP2019051809A5 (ja) 通信中継装置、システム及び管理装置
KR101409678B1 (ko) 기동전류를 제어하는 자동 전압조절부가 구비된 융설장치의 제어 시스템
KR101604305B1 (ko) 플랜트 구조물의 박스컬버트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004127B1 (ko) 냉해 피해 방지 시스템
JP7373897B2 (ja) 空気調和機
JP2006319871A (ja) 無線通信装置
US201402676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Monitoring of Restricted Areas Below Bucket Trucks, Lineworkers on Power Distribution Poles or Other Elevated Loads
JP2001134866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CN112640203B (zh) 用于点对点无线电链路的天线罩加热
US20130105456A1 (en) Optically-based control for defrosting solar pa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