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799B1 -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위험 경보시스템 - Google Patents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위험 경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799B1
KR101587799B1 KR1020140116703A KR20140116703A KR101587799B1 KR 101587799 B1 KR101587799 B1 KR 101587799B1 KR 1020140116703 A KR1020140116703 A KR 1020140116703A KR 20140116703 A KR20140116703 A KR 20140116703A KR 101587799 B1 KR101587799 B1 KR 101587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pse
alarm
building
snow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천용
Original Assignee
우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천용 filed Critical 우천용
Priority to KR1020140116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건축물 집단 권역내의 특정위치에 하나만 설치되어 적설에 따른 실시간 하중을 측정하여 적설하중 값을 붕괴경보제어장치에 보내는 적설하중측정기; 상기 적설하중측정기에서 보낸 실시간 적설하중 값을 수신하여 미리 저장된 각 개별 건축물의 붕괴를 발생시키는 좌굴이 시작되기 이전의 기준하중 값과 비교하여 건축물별로 붕괴위험을 예측하고, 붕괴위험이 예측된 해당 건축물의 경보장치에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붕괴경보제어장치; 붕괴경보제어장치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경보장치를 포함하며, 적설하중측정기와 붕괴경보제어장치 및 경보장치를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따른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의 붕괴위험 경보시스템으로 하나의 적설하중측정기만을 설치하여 일정 권역내의 건축물 집단 각각의 건축물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적설하중에 의한 붕괴위험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붕괴위험이 예상되는 특정 건축물에 우선적으로 신속하고 집중적인 안전조치를 취할 있게 함은 물론, 개별 건축물 각각에 적설하중을 감지하는 장치를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고 나아가 다수의 적설하중 감지장치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위험 경보시스템{building collapse due to snow alarm system}
본 발명은 적설에 의한 건축물의 붕괴위험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 건축물 집단 권역의 적설에 의한 실시간 하중을 측정하여 개별 건축물의 붕괴위험에 대한 예측을 하고, 개별 건축물별로 붕괴 이전에 경보를 발령하여 해당 건축물에 신속하고 집중적인 제설, 대피 등 사전초치가 가능하도록 한 적설하중에 따른 건축물 붕괴위험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좁은 지역에 단시간 내에 집중적으로 폭설이 내리는 국지성 폭설로 인해 건축물의 붕괴 등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인명, 재산상의 손실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적설하중은 건물이 눈에 견디는 정도를 말하는데 건축구조설계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 모든 건축물의 지붕은 1㎡당 최소 102㎏의 무게를 견뎌야 하며, 조건에 따라 기준을 완화해도 최소한 61㎏은 버틸 수 있어야 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실제로 평균 45㎝의 적설량은 약 65㎏/㎡의 하중에 달하며 눈이 내린지 오래됐거나 습기를 포함한 경우의 실제하중인 습설하중은 이보다 훨씬 더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정을 반영하여 정부는 건축구조기준을 개정해 그동안 적설하중만을 감안해 지붕에 가해지는 무게를 지탱할 기둥 간격을 정했던 것을 앞으로는 모든 신축 건축물에 대해 습설하중까지 고려한 설계기준을 새로 마련하고 있지만, 이러한 기준은 신축 건축물에 반영되는 것이며 기존의 건축물들은 적설에 의한 하중에 취약한 상태에 놓여 있는 실정이므로 학교, 숙박시설, 체육관, 쇼핑몰, 공연장 등과 같은 다중이용 기존 건축물에 대하여는 폭설에 대비한 시설물의 안전관리 강화가 크게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폭설과 같은 이상기후가 예상되는 경우 사전에 제설, 대피와 같은 적절한 조치에 의하여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자동화제설설비 등과 같은 사전조치설비는 설치비가 고가여서 모든 건축물에 설치하기에는 경제적인 어려움이 따르며, 기상예보 등에 준한 지역별 경보 또는 주의보의 경우는 최근에 발생한 폭설이 기상이변의 영향으로 국지적으로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내려 예측이 어려운 게릴라성 폭설인 경우가 많아 큰 효용성이 없는 실정이다.
폭설 등 외력으로 인한 시설물 구조체의 붕괴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하는 종래기술의 일예로는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6-0099053호(2006.09.19. 공개)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시설물 구조체의 적정위치에 장착되어 외력에 의한 구조체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센싱부; 센싱부로부터 검출된 구조체의 측정값과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구조체의 측정값이 기준값 초과하는 경우 외부에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로 이루어진 시설물 구조체의 안전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6-0099053호(2006.09.19. 공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시설물 구조체의 특정 위치에 장착하여 외력에 의한 구조체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센싱부를 가진 것으로 안전감시 대상 개별시설물 각각에 센싱부를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의 시스템은 하나의 구조체에 대해서만 개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과 같이 일정 권역에 하나의 적설하중측정기만을 설치하여 권역내의 모든 건축물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적설하중에 의한 붕괴위험을 예측하는 방식에는 적용할 수 없는 기술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적설에 의한 하중(본 발명에서는 "적설에 의한 하중"을 습설하중 개념을 포함하여 편의상 "적설하중"으로 칭한다)으로 인해 발생하는 건축물의 붕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관리대상 건축물 집단이 있는 일정 권역의 한 지점에 하나의 적설하중측정기만을 설치하여 적설에 의한 실시간 하중을 측정하여 각각의 건축물이 견딜 수 있는 한계하중인 개별 건축물별의 기준하중과 비교하여 건축물별로 붕괴위험에 대한 예측을 하고, 붕괴위험이 있는 개별 건축물별로 붕괴발생 이전에 경보를 발령하여 신속한 사전조치가 가능하도록 한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의 붕괴위험 경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관리대상 건축물이 집단을 이루고 있는 일정 권역에 하나의 적설하중측정기만을 설치하여 각각의 개별 건축물에 대한 적설하중에 의한 붕괴위험을 예측하여 사전초치가 필요한 건축물을 선별하여 우선적으로 신속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설비와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의 붕괴위험 경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의 붕괴위험 경보시스템은 일정 권역의 특정위치 한곳에 설치되어 적설에 따른 실시간 현재 하중을 측정하여 붕괴경보제어장치에 보내는 적설하중측정기; 상기 적설하중측정기에서 보낸 실시간 적설하중을 수신하여 각 개별 건축물의 붕괴를 발생시키는 좌굴이 시작되기 이전의 건축물별 기준하중과 비교하여 건축물별로 붕괴위험을 예측하고, 붕괴위험이 예측된 해당 건축물의 경보장치에 경보신호를 보내는 붕괴경보제어장치; 붕괴경보제어장치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경보장치를 포함하고, 이들이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적설하중측정기는 관리대상 건축물 집단이 있는 권역내의 한 지점에 하나만 설치되고, 단위면적의 적설판에 쌓인 눈의 적설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측정부, 하중측정부에서 측정한 적설하중 값을 설정된 통신포맷에 맞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붕괴경보제어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이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붕괴경보제어장치는 적설하중측정기에서 전송된 적설하중 값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건축물의 붕괴를 발생시키는 좌굴이 시작되기 이전의 한계하중을 근거로 산정한 각 개별 건축물별 기준하중 값 및 건축물관리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데이터베이스, 상기 통신부에 의해 적설하중측정기로부터 적설하중 값이 수신되면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건축물별 기준하중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건축물의 붕괴위험에 대한 예측을 제어하는 붕괴위험판단부, 붕괴위험판단부에 의해 특정 건축물에 대하여 붕괴위험이 예측되면 해당 건축물에 대한 붕괴위험 경보발령을 제어하는 경보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경보장치는 관리대상 각 건축물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경보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붕괴경보제어장치로부터 경보신호가 수신되면 건축물의 붕괴위험을 알리는 경보를 발령한다.
상기 붕괴경보제어장치에는 경보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건축물 붕괴위험에 대한 경보메시지를 생성하고, 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건축물관리자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관리자 전화번호로 경보메시지를 전송하는 경보메시지생성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대상 건축물 집단이 있는 권역내의 한 지점에 하나의 적설하중측정기만을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현재 적설하중을 측정하여 권역내의 개별 건축물에 대한 적설하중에 의한 붕괴위험을 예측하여 건축물 붕괴현상 발생 이전에 해당 건축물에 대한 경보를 발령함으로써 각각의 건축물별로 신속하게 대응하여 사전조치가 가능하도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위험 경보시스템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적설하중측정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붕괴경보제어장치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의 붕괴위험 경보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일정 권역에 다수의 건축물이 집단을 이루고 있는 학교를 일예로 들었다.
통상 학교의 경우 일정 권역에 본관, 강의실, 강당, 체육관, 창고, 식당 등 다양한 용도의 건축물이 집단을 이루고 있으며, 이들 각각의 건축물이 용도에 따라 각기 철골, 철근, 조적벽돌, 샌드위치패널, 목조 등 강도가 다른 구조체로 되어있을 경우 적설에 의한 하중에 견디는 정도가 각기 다르므로 적절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가 발생하는 시점 또한 건축물별로 각각 다를 수밖에 없다.
이러한 학교 권역에 폭설이 내려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위험이 예상될 경우 권역내의 모든 건축물에 대하여 동시에 제설 및 사용통제 등 안전초치를 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지만 한정된 설비나 인력으로 일시에 모든 건축물에 대하여 제설 등 안전조치를 취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현재상태의 적설하중 정도에는 문제가 없는 건축물에 대해서까지 일률적으로 사용을 통제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의 적설하중을 측정하여 권역내의 개별 건축물별로 적설하중에 의한 붕괴위험을 미리 예측하여 붕괴가 예상되는 건축물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위험경보를 발령하고 시설과 인력을 집중적으로 투입하여 제설 등 안전조치를 취하고 붕괴위험이 예측되는 건축물에 대해서만 선별적으로 사용을 통제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위험 경보시스템은 일정한 권역내에 적설하중에 견디는 구조체 강도가 각기 다른 다수의 건축물이 집단을 이루고 있을 경우 적설하중에 의한 붕괴위험이 예측되는 해당 건축물에 대하여만 선별적 안전관리가 필요한 상황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위험 경보시스템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따른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의 붕괴위험 경보시스템은 크게 적설하중측정기(10), 네트워크(20), 붕괴경보제어장치(30) 및 경보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적설하중측정기(10)는 관리대상 건축물 집단의 권역내의 특정위치에 하나만 설치되어 그 권역의 적설하중을 측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적설하중측정기는 권역내의 건축물 집단 중에서 특정 건축물을 선정하여 그 건축물의 지붕에 설치하거나 사방이 트인 권역내의 공터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적설하중측정기는 단위면적인 1㎡당 적설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눈이 내려 쌓이는 1㎡ 면적의 적설판(11); 적설판에 쌓인 눈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측정부(12); 하중측정부에서 측정한 적설하중 값을 설정된 통신포맷에 맞는 신호로 변환하여 붕괴경보제어장치(30)에 전송하는 통신모듈(13); 상기 하중측정부 및 통신모듈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전원부(14)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신모듈(13)은 유선통신모듈 및 무선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무선통신모듈로 구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유무선이 복합된 통신모듈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붕괴경보제어장치(30)는 적설하중측정기(10)에서 측정한 적설하중 값에 대응하는 각각의 건축물의 기준하중 값을 비교하여 개별 건축물별로 붕괴위험을 예측하여 붕괴위험이 예측되는 건축물에 대하여 경보가 발령될 수 있도록 경보신호를 보내고, 건축물관리자에게 경보메시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붕괴경보제어장치(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설하중측정기(10)에서 전송된 적설하중 값을 수신하고, 경보장치(40)에 경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31); 각각의 건축물의 붕괴를 발생시키는 좌굴이 시작되기 이전의 압축하중에 근거하여 산정한 건축물별 기준하중 값 및 건축물관리자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32);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데이터베이스(33); 통신부에 의해 적설하중측정기(10)로부터 적설하중 값이 수신되면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건축물별 기준하중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건축물의 붕괴위험에 대한 예측을 제어하는 붕괴위험판단부(34); 특정 건축물의 붕괴위험이 예측되면 붕괴위험 경보발령을 제어하는 경보제어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붕괴경보제어장치(30)는 상기 경보제어부(35)의 제어에 따라 건축물 붕괴위험에 대한 경보메시지를 생성하고, 정보데이터베이스(33)로부터 건축물관리자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관리자 전화번호로 통신부(31)를 통해 경보메시지를 전송하는 경보메시지생성부(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네트워크(20)는 적설하중측정기(10)와 붕괴경보제어장치(30) 및 경보장치(40) 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LAN과 같은 내부통신망일 수 있고 인터넷이나 공중전화망, 이동통신망과 같은 외부통신망일 수도 있지만 효율적인 면에서 외부통신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 내부통신망과 외부통신망이 복합된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경보장치(40)는 관리대상 각 건축물마다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경보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붕괴경보제어장치(30)로부터 경보신호가 수신되면 건축물의 붕괴위험을 알리는 경보를 발령하는데, 경보수단은 싸이렌과 같은 청각적 신호 또는 경광등과 같은 시각적 신호 등 다양한 신호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 신호방법을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위험 경보시스템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적설하중측정기(10)를 권역내의 건축물 중에서 하나를 선정하여 그 건축물의 지붕에 설치하거나 또는 권역내의 사방이 트인 공간을 선정하여 설치한다. 상기 적설하중측정기에서 측정된 적설하중은 그 권역내의 모든 건축물이 현재 받고 있는 적설하중으로 간주되므로 건축물이 적설에 의해 실제로 받는 하중과 동일한 조건이 되게 건축물의 지붕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로 내린 눈이 그대로 쌓일 수 있는 외부공간에 설치해도 무방하다.
적설하중측정기(10)가 설치된 상태에서, 배터리와 같은 전원공급장치인 전원부(14)에 의해 하중측정부(12)와 통신모듈(13)에 구동용 전원이 공급되면 하중측정부(12)는 그 상부에 연계된 1㎡ 면적의 적설판(11)에 쌓인 눈의 무게를 측정하는데, 하중을 측정하는 장치는 다양한 기기를 이용할 수 있지만 디지털계량장치나 디지털저울과 같은 무게측정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적설판은 하중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가급적 무게가 나가지 않는 재질의 평평한 패널로 형성하면 된다.
눈을 받는 적설판(11)에 눈이 쌓이면 하중측정부(12)에서 그 무게를 측정하고, 그 무게를 적설하중 값으로 실시간 또는 정해진 주기로 통신모듈(13)을 통해 붕괴경보제어장치(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적설하중 값은 ㎏/㎡를 말하는데, 적설판(11)의 면적이 1㎡이므로 하중측정부(12)에서 측정된 하중이 그대로 적설하중 값이 되며, 적설하중 값의 전송은 실시간으로 할 수도 있으나 미리 시간 및 무게 단위로 구간을 설정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예를 들면, 측정된 적설하중 값을 30분 단위로 전송하되 동시에 적설하중 값이 10㎏, 20㎏, 30㎏과 같이 10㎏단위로 변할 때마다 전송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적설하중측정기(10)를 구현하는 통신모듈(13)은 무선통신방식과 유선통신방식 모두가 가능한데, 유선통신방식으로 구현하면 근거리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붕괴경보제어장치(30)를 원거리에 구비할 수 없는 거리제약이 따르므로 무선통신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설하중측정기(10)로부터 측정한 적설하중 값을 통신부(31)를 통해 수신한 붕괴경보제어장치(30)의 붕괴위험판단부(34)에서는 수신된 적설하중 값과 정보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개별 건축물의 기준하중 값을 비교하여 기준하중 값이 수신된 적설하중 값보다 이하인 건축물에 대하여는 붕괴위험이 있는 것으로 예측하며, 특정 건축물이 붕괴위험이 있는 것으로 예측되면 경보제어부(35)는 통신부(31)를 제어하여 해당 건축물에 설치된 경보장치(40)에 경보발령 신호를 보내도록 하고, 동시에 경보메시지생성부(36)를 통해 경보메시지를 생성하여 정보데이터베이스(33)로부터 추출한 건축물관리자 전화번호로 경보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통신부(31)를 제어한다.
정보데이터베이스(34)에는 사전에 권역내의 관리대상 모든 건축물에 대하여 건축물별로 건축물식별번호, 기준하중 값, 관리자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검색이나 저장의 용이함을 위해 건축물식별번호를 인덱스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건축물의 붕괴위험을 예측하는 기준이 되는 개별 건축물의 기준하중 값은 각 건축물별로 구조물의 붕괴를 발생시키는 좌굴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압축하중, 즉 건축구조물이 외력으로부터 버틸 수 있는 한계하중을 기준으로 한계하중보다 조금 낮은 하중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건축물별 한계하중은 각 건축물의 건축설계에 반영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거나 적절한 하중조사를 실시하여 산출한 하중을 이용하여 기준하중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붕괴위험판단부(34)에서 붕괴위험을 예측한 결과 특정 건축물의 붕괴위험이 예측되는 경우에는 그 붕괴위험이 예측된 건축물에 대한 붕괴위험 신호를 생성하여 경보제어부(35)에 전달하고, 경보제어부(35)는 붕괴위험판단부(34)로부터 특정 건축물에 대한 붕괴위험 신호가 전달되면 즉시 통신부(31)를 제어하여 해당 건축물에 설치된 경보장치(40)에 경보신호를 전송토록 하고, 동시에 경보메시지생성부(36)를 제어하여 특정 건축물의 붕괴위험에 대한 경보메시지를 생성하게 하고 정보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해당 건축물관리자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경보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부(31)에 전달한다.
경보장치(40)는 권역내의 모든 건축물에 각각 설치되며, 붕괴경보제어장치(30)로부터 붕괴위험 경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경보를 발령하는 경보부로 이루어져 있다. 붕괴경보제어장치(30)로부터 붕괴위험 경보신호가 수신되면 경보부가 작동하여 경보를 발령하게 되는데 경보수단은 싸이렌과 같은 청각적 신호 또는 경광등과 같은 시각적 신호 등 다양한 신호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 신호방법을 복합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특정 건축물에 대하여 붕괴위험에 대한 경보가 발령되면, 건축물 관리자는 해당 건축물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인력과 설비를 집중적으로 투입하여 신속하게 제설 및 대피 등의 안전조치를 취함으로써 적설하중으로 인한 건축물 붕괴 및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해당 건축물 관리자가 경보장치(40)와 멀리 떨어져 있어 경보를 인지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붕괴경보제어장치(30)는 경보장치(40)에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경보제어부(35)에서 경보메시지생성부(36)를 제어하여 특정 건축물의 붕괴위험에 대한 경보메시지를 생성하게 하고 정보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해당 건축물관리자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통신부(31)를 통해 관리자에게 경보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경보메시지는 [1번 건축물 붕괴위험 경보발령]과 같은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리대상 건축물 집단이 있는 일정 권역내의 특정 지점에 하나의 적설하중측정기만을 설치하여 그 권역의 적설하중을 측정하여 미리 저장된 권역내의 각 개별 건축물 기준하중과 비교하여 적설하중에 의한 붕괴위험을 예측하여 특정 건축물의 붕괴현상 발생 이전에 해당 건축물에 대한 붕괴위험 경보를 발령함으로써 해당 건축물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설비와 인력을 투입하여 신속하고 집중적인 안전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경보시스템 방식은 하나의 적설하중측정기만을 설치하여 일정 권역내의 건축물 집단 각각의 건축물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적설하중에 의한 붕괴위험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붕괴위험이 예상되는 특정 건축물에 우선적으로 신속하고 집중적인 안전조치를 취할 있게 함은 물론, 개별 건축물 각각에 적설하중을 감지하는 장치를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고 나아가 다수의 적설하중 감지장치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위험 경보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상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러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 : 적설하중측정기
11 : 적설판
12 : 하중측정부
13 : 통신모듈
14 : 전원부
20 : 네트워크
30 : 붕괴경보제어장치
31 : 통신부
32 : 입력부
33 : 정보데이터베이스
34 : 붕괴위험판단부
35 : 경보제어부
36 : 경보메시지생성부
40 : 경보장치

Claims (4)

  1. 관리대상 건축물집단 권역내의 특정지점에 하나만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그 권역의 적설하중을 측정하여 붕괴경보제어장치(30)로 적설하중 값을 전송하는 적설하중측정기(10) ;
    적설하중측정기(10)로부터 수신된 적설하중 값과 정보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각 개별 건축물의 기준하중 값을 비교하여 건축물별로 붕괴위험을 예측하고, 붕괴위험이 예측되는 해당 건축물의 경보장치(40)에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붕괴경보제어장치(30) ;
    각 개별 건축물에 각각 설치되어 붕괴경보제어장치(30)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위험경보를 발령하는 경보장치(40) ;
    상기 적설하중측정기(10)와 붕괴경보제어장치(30) 및 경보장치(40)를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네트워크(20)로 이루어지되 ;
    붕괴경보제어장치(30)는 적설하중측정기(10)에서 전송된 적설하중 값을 수신하고, 경보장치(40)에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31) ;
    권역내의 각 개별 건축물별로 건축물식별번호, 기준하중 값, 관리자전화번호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32) ;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데이터베이스(33) ;
    적설하중측정기(10)로부터 수신된 적설하중 값과 정보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각 개별 건축물별 기준하중 값을 비교하여 특정 건축물의 붕괴위험을 예측하는 붕괴위험판단부(34) ;
    특정 건축물의 붕괴위험이 예측되면 경보장치(40)에 경보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31)를 제어하는 경보제어부(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위험 경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설하중측정기(10)는 눈이 내려 쌓이는 단위면적의 적설판(11); 적설판에 쌓인 눈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측정부(12); 하중측정부에서 측정한 적설하중 값을 설정된 통신포맷에 맞는 신호로 변환하여 붕괴경보제어장치(3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13); 하중측정부(12)와 통신모듈(13)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위험 경보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붕괴경보제어장치(30)는, 경보제어부(35)의 제어에 따라 특정 건축물 붕괴위험에 대한 경보메시지를 생성하고 정보데이터베이스(33)로부터 해당 건축물 관리자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통신부(31)를 통해 관리자 전화번호로 경보메시지를 전송하는 경보메시지생성부(3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위험 경보시스템.
KR1020140116703A 2014-09-03 2014-09-03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위험 경보시스템 KR101587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703A KR101587799B1 (ko) 2014-09-03 2014-09-03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위험 경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703A KR101587799B1 (ko) 2014-09-03 2014-09-03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위험 경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799B1 true KR101587799B1 (ko) 2016-01-22

Family

ID=5530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703A KR101587799B1 (ko) 2014-09-03 2014-09-03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위험 경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7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288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중량식 적설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2000259B1 (ko) 2019-01-15 2019-07-15 김미경 설 하중으로 인한 붕괴방지를 위한 기능성 텐트
KR20200095061A (ko)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적설위험 정보 데이터의 수집, 분석, 재난예보를 지원하는 기상위험정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053A (ko) 2005-03-10 2006-09-19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시설물 구조체의 안전 감시 시스템
KR20090092924A (ko) * 2008-02-28 2009-09-02 (주)씨에스아이디산업 지붕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053A (ko) 2005-03-10 2006-09-19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시설물 구조체의 안전 감시 시스템
KR20090092924A (ko) * 2008-02-28 2009-09-02 (주)씨에스아이디산업 지붕 구조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288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중량식 적설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2001096B1 (ko) * 2017-12-21 2019-07-18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중량식 적설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2000259B1 (ko) 2019-01-15 2019-07-15 김미경 설 하중으로 인한 붕괴방지를 위한 기능성 텐트
KR20200095061A (ko)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적설위험 정보 데이터의 수집, 분석, 재난예보를 지원하는 기상위험정보 시스템
KR102219233B1 (ko) 2019-01-31 2021-02-24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적설위험 정보 데이터의 수집, 분석, 재난예보를 지원하는 기상위험정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697B1 (ko) 강우강도와 토양함수율을 이용한 경사지 경보시스템
US201401599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hensively monitoring slopes based on wireless network
AU2009248705B2 (en) Tsunami warn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sunami warnings
KR100806255B1 (ko) 상수도시설용 통합관리시스템
KR101587799B1 (ko) 적설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위험 경보시스템
CN203104909U (zh) 消防应急照明和疏散指示系统
KR101288025B1 (ko) 재난 알림 전광판
CN106651104A (zh) 一种基于rfid的电力作业现场智能警示装置
KR101298069B1 (ko) 자동 수위관측을 통한 재난 경보 장치
KR102006201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
KR102203589B1 (ko) 지하공동구 원격감시 시스템
JP2002228497A (ja) 落石防護ネット警報装置
KR20110095435A (ko) Usn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JP2007039175A (ja)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運転システム
KR102150173B1 (ko) 건물 안전상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673768B1 (ko)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
KR101207374B1 (ko) 통신 이중화가 가능한 자동 우량 또는 수위 경보장치 및 방법
CN204163415U (zh) 具有自动报警功能的卸料平台
JP5871780B2 (ja) 防災情報伝達システム
JP2009271628A (ja) 安全監視システム
JP2008293056A (ja) 災害事前検知システム
KR102467350B1 (ko) 하수관거공사 관리 시스템
KR101880571B1 (ko) 맨홀 침수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191374Y1 (ko) 구축물 이상발생 경보 시스템
KR100406187B1 (ko) 도로 통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