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718B1 - 강우 강도와 기간 강우량 분석을 통한 강우 경보 장치 및 강우 경보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강우 강도와 기간 강우량 분석을 통한 강우 경보 장치 및 강우 경보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718B1
KR101447718B1 KR1020140101586A KR20140101586A KR101447718B1 KR 101447718 B1 KR101447718 B1 KR 101447718B1 KR 1020140101586 A KR1020140101586 A KR 1020140101586A KR 20140101586 A KR20140101586 A KR 20140101586A KR 101447718 B1 KR101447718 B1 KR 101447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fall
amount
intensity
event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큐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큐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큐솔루션
Priority to KR1020140101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07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measuring the level variations of storage tanks relative to the ti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Landscapes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우 경보 장치 및 강우 경보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강우량을 측정하는 강우량 센서; 강우 경보를 발령하기 위한 이벤트 정보가 강우 강도에 따라 단계별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 미리 설정해 둔 일정 강우량이 관측될 때 마다의 시간을 저장하는 강우량 감지 시간 테이블; 최근 일정 기간의 강우량에 따라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최근 기간 강우량 기준 테이블; 단위 시간의 누계우량을 기록하는 단위 시간 강우량 데이터베이스; 및 강우량 센서에서 강우량이 관측될 때 강우 강도를 산출하고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산출된 강우 강도에 상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강우 경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강우 경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강우 강도와 기간 강우량 분석을 통한 강우 경보 장치 및 강우 경보 생성 방법{RAINFALL ALARM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RAINFALL ALARM USING ANALYSIS OF RAINFALL INTENSITY AND PERIOD RAINFALL}
본 발명은 강우 강도와 기간 강우량 분석을 통한 강우 경보 장치 및 강우 경보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악 지대의 계곡이나 하천 등에서 폭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재난 경보 시스템에서 효과적이고 적절하게 경보를 발령할 수 있도록 강우 경보를 생성하는 강우 경보 장치 및 강우 경보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우로 인한 하천 범람 등과 같은 재해에 따른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막기 위한 재난 경보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로 구축되어 주민들의 안전을 도모하여 왔다.
종래의 재난 경보 시스템은, 등록 특허 공보 10-0271534호(2000.10.16.공고)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보통 재해 위험 지역에 경보를 방송하는 경보국과, 하천 상류와 같은 지역의 강우량을 관측하는 관측국과, 관측국으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하여 경보국으로 경보를 발령하도록 하는 통제국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재해 위험 지역의 수위 상태를 미리 예측하여 주민들에게 대피 및 피해에 대한 대응 활동을 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써 하천 상류의 강우량에 따른 재해 위험 지역의 하천 수위량을 예측하여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하천 상류의 강우량의 기준을 관측국에 설정하고 관측국에서 미리 설정해 둔 해당 기준 이상의 강우량이 관측되었을 때 경보 발령 이벤트를 통제국에 전송하고 통제국에서 해당 이벤트에 따른 경보 방송 명령을 경보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매우 합리적인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경보 발령을 위한 이벤트 발생 기준이 고정되어 있어서 예컨대 건조한 날씨가 장기간 지속된 상태이거나 장마 기간과 같이 장시간 지속적인 많은 비가 내리고 있는 상태에서도 동일한 기준에 의한 경보 발령 이벤트를 생성하고 있다.
건조한 날씨가 장기간 지속된 상태는 토양 또는 식물들이 마른 상태가 유지되게 되고 이때 강우량이 발생하더라도 거의 대부분 토양과 식물들로 수분이 흡수되므로 하천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은 매우 적게 되며 반대로 강우량이 지속적으로 장기간 발생되었을 시에는 토양과 식물들이 충분한 수분을 보유하게 됨에 따라 적은 양의 비가 내리더라도 하천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은 많아지게 된다.
또한, 하천의 수위가 건천인 상태에서 일정 위험 수위가 도달하기 위한 강우량의 정도와 일정 수위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일정 위험 수위로 도달하기 위한 강우량은 다르다.
이런 이유로 종래의 기술은 우기철의 환경에 맞추어서 설정된 이벤트 발생 기준 조건으로 건기철에 하천의 변화가 별다른 변화가 발생되지 않더라도 경보를 발생하는 오보가 자주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강우량에 의한 경보 이벤트를 발생함에 있어서 해당 지역의 환경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이벤트 발생 기준을 다르게 설정하여 오보가 발생되는 횟수를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존의 기술은 강우량이 감지되면 일정 시간대별로 강우량을 업데이트 및 카운트하여 저장하고 설정된 시간동안 측정된 강우량값으로부터 총 강우량값을 산출하여 경보 발령을 위한 기준값과 비교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매 강우량 감지시 이벤트 발생 기준값과 일정 기간 동안의 총강우량값을 비교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단계별 이벤트(일반적으로 경계, 위험, 중위험의 단계의 3단계 이벤트로 구성되어짐)가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비가 순식간에 내리는 게릴라성 폭우가 발생하는 경우 짧은 시간에 경계, 위험, 중위험의 경보 방송이 이루어짐으로써 경보 방송을 듣는 주민들이 재난 상황을 판단함에 있어서 혼돈이 발생이 되어 재난 상황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경보 시스템의 신뢰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신뢰도의 하락은 곧 주민들이 재난 경보 방송에 따른 대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주민들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의 피해로 연결되어 질 수 있게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271534호(2000.10.16.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강우 강도와 최근 일정 기간의 강우량을 고려하여 강우 경보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강우 강도와 기간 강우량 분석을 통한 강우 경보 장치 및 강우 경보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우 강도를 산출하여 경보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긴급한 순간에 최고 단계의 위험신호를 바로 송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나기와 지나가는 비와 같이 순간적인 높은 강우 강도는 발생되나 비의 양은 적은 상황에서 경보가 발생되는 상황을 최소화함으로써, 최근 일정량의 강우량이 관측되었을 동안의 시간을 구하고 이를 강우 강도로 환산하도록 하여 오보가 발생되는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우 경보 장치로서, 강우량을 측정하는 강우량 센서; 강우 경보를 발령하기 위한 이벤트 정보가 강우 강도에 따라 단계별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 미리 설정해 둔 일정 강우량이 관측될 때 마다의 시간을 저장하는 강우량 감지 시간 테이블; 최근 일정 기간의 강우량에 따라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최근 기간 강우량 기준 테이블; 단위 시간의 누계우량을 기록하는 단위 시간 강우량 데이터베이스; 및 강우량 센서에서 강우량이 관측될 때 강우 강도를 산출하고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산출된 강우 강도에 상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강우 경보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은, 강우 강도에 따라 위험 정도를 단계별로 구분한 이벤트 정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은, 최근 일정 기간의 강우량에 기초한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부는, 강우량 센서에서 매 일정량의 강우량이 관측될 때 강우량 감지 시간을 강우량 감지 시간 테이블에 저장하고 강우 강도를 산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강우 강도는, 일정량의 강우량이 관측된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부는, 단위 시간의 누계 우량을 단위 시간 강우량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최근 기간 강우량을 단위 시간 강우량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산출한 후 최근 기간 강우량을 최근 기간 강우량 기준 테이블과 비교하여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에서 상기 산출된 강우 강도를 참조하여 이벤트 정보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이벤트 정보와 이전에 설정되어 있던 이벤트 정보의 단계를 비교하여 선택된 이벤트 정보가 더 높은 단계인 경우 해당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를 통해 통제국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술한 강우 경보 장치에서 강우 경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기준값에 상응하는 강우량이 관측된 경우, 강우량 감지 시간을 강우량 감지 시간 테이블에 기록하는 제1 단계; 강우 강도를 산출하는 제2 단계; 단위시간 강우량을 카운트하여 단위 시간 강우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3 단계; 최근 기간 강우량을 산출하는 제4 단계; 상기 산출된 최근 기간 강우량에 기초하여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을 선택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강우 강도를 선택된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과 비교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강우 경보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제4 단계에서 산출된 최근 기간 강우량의 단계가 이전 과정에서의 최근 기간 강우량의 단계보다 높은 경우 해당하는 최근 기간 강우량에 해당하는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을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산출된 강우 강도에 해당하는 강우 강도의 단계가 이전 과정에서 판별되었던 강우 강도의 단계보다 높은 경우 해당하는 강우 강도의 단계를 이벤트 정보로서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우 강도와 최근 일정 기간의 강우량을 고려하여 강우 경보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강우 강도와 기간 강우량 분석을 통한 강우 경보 장치 및 강우 경보 생성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강우 강도를 산출하여 경보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긴급한 순간에 최고 단계의 위험신호를 바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나기와 지나가는 비와 같이 순간적인 높은 강우 강도는 발생되나 비의 양은 적은 상황에서 경보가 발생되는 상황을 최소화함으로써, 최근 일정량의 강우량이 관측되었을 동안의 시간을 구하고 이를 강우 강도로 환산하도록 하여 오보가 발생되는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강우 경보 장치(10)가 사용되는 재난 경보 시스템(100)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강우 경보 장치(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최근 기간 강우량 기준 테이블(173)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강우 경보 장치(10)에서 이루어지는 강우 경보 생성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강우 경보 장치(10)을 실제 테스트한 경우 이벤트 정보가 생성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강우 경보 장치(10)가 사용되는 재난 경보 시스템(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강우 경보 장치(10)가 사용되는 재난 경보 시스템(100)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재난 경보 시스템(100)은 강우 경보 장치(10), 통제국(20) 및 경보국(30)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강우 경보 장치(10)는 예컨대, 하천이나 계곡의 상류 또는 인근의 능선에 주로 설치되어 해당 지역의 강우량을 계측하고 이에 기초하여 강우 경보 발령을 위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통제국(20)으로 전송한다. 물론 강우 경보 장치(10)는 복수개의 지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제국(20)은 강우 경보 장치(10) 및 경보국(30)이 설치된 인근의 예컨대 동/읍/면사무소 등에 설치되고, 강우 경보 장치(10)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이벤트 정보에 따른 경보를 발령할 것을 알리는 경보 신호를 경보국(30)에 지시한다.
경보국(30)은 야영장이나 침수 예상 지역 등에 설치되며, 통제국(20)으로부터의 경보 신호에 따라 경보를 발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의 재난 경보 시스템(100)은 일반적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통제국(20) 및 경보국(30)은 전술한 형태 이외의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강우 경보 장치(1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강우 경보 장치(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강우 경보 장치(10)는, 강우 감지 센서(11), 강우량 센서(12), 센서 수신부(13), 중앙 제어부(14), RTC(Real Time Clock,15), 통신부(16) 및 메모리부(17)를 포함한다.
강우 감지 센서(11)는 강우 여부를 감지 즉, 강우가 시작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이며 강우량 센서(12)는 강우량을 계측하는 센서이다. 이들 센서(11,12)는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진 것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의 직접적인 목적은 아니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강우 감지 센서(11)는 생략할 수 있다.
센서 수신부(13)는 강우 감지 센서(11)와 강우량 센서(12)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중앙 제어부(14)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중앙 제어부(14)는 강우 경보 장치(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강우가 이루어질 때 메모리부(17)에 저장되어 있는 값에 기초하여 강우 경보 발령을 위한 이벤트를 생성하게 된다. 중앙 제어부(14)와 메모리부(17)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RTC(Real Time Clock, 15)는 현재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 강우 감지 센서(11)와 강우량 센서(1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강우량 감지 시간 테이블(172)에 기록하기 위한 시각 정보를 얻는다.
삭제
통신부(16)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통제국(20)과의 통신을 위한 수단으로서 중앙 제어부(14)에서 강우 경보 발령을 위한 이벤트가 생성된 경우 해당 이벤트를 통제국(2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5)는 VHF 또는 이동 통신망 등의 다양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해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부(17)는 강우 경보 장치(10)에서 강우 경보 발령을 위한 이벤트 생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부(17)는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 강우량 감지 시간 테이블(172), 최근 기간 강우량 기준 테이블(173) 및 단위 시간 강우량 DB(174)를 구비한다.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은 강우 경보를 발령하기 위한 이벤트 정보가 강우 강도에 따라 단계별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여기에서, "강우 강도"라 함은 일정한 시간에 내린 강우량을 의미하며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 수식 1과 같다.
[수식 1]
강우 강도 = 강우량(mm)/관측 시간(hour)
한편, 본 발명에서는 미리 설정해 놓은 기준값에 해당하는 강우량, 예컨대 4mm가 관측된 시간에 대한 강우 강도를 사용할 수 있다.
"이벤트 정보"는 강우 강도에 따라 위험 정도를 단계별로 구분한 것으로서 예컨대, 경계, 위험, 대피 등과 같이 3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은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는데, 각각의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은 최근 일정 기간의 강우량이 얼마인지에 따라 다른 값을 갖도록 구성된다.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간 강우량 기준 테이블(173)을 참조하여 선택된다.
도 3은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은 4개로 구성되며 각각의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은 강우 강도에 따라 이벤트 정보가 다르게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은 동일한 이벤트 정보에 대해 서로 다른 강우 강도가 대응되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최근 일정 기간의 강우량에 따라 설정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최근 기간 강우량 기준 테이블(173)에 의해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지 여부와 어떠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예컨대, 최근 일정 기간(예컨대 7일) 동안 강우량이 많았던 경우에는 강우 강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에도 위험이나 대피 이벤트 정보를 발령해야 할 경우가 있고 최근 일정 기간 동안 강우량이 적었던 경우에는 강우 강도가 비교적 높은 경우에도 이벤트 정보를 발령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있다. 이는 최근 일정 기간의 강우량이 적은 경우에는 토양에 수분 함유율이 낮아서 강우 강도가 비교적 높은 경우에도 경보의 정도를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 일정 기간의 강우량이 높았다면 토양의 수분 함유율이 높기 때문에 강우 강도가 낮더라도 경보를 조기에 발령할 필요가 있다.
강우량 감지 시간 테이블(172)은, 강우량이 감지되는 것에 따라 강우량 감지 시간을 저장하는 테이블로서, 일정 강우량이 관측될 때의 시간을 연속적으로 저장한다. 예컨대, 강우량 센서(12)가 일정량, 예컨대 1mm 단위로 강우량을 계측하는 센서인 경우 1mm의 강우량이 관측될 때의 시간을 기록해 둔다. 이 때, 관측된 시간은 RTC(15)로부터 얻는다.
최근 기간 강우량 기준 테이블(173)은, 최근 일정 기간의 강우량에 따라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값을 갖는다.
도 4는 최근 기간 강우량 기준 테이블(173)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최근 일정 기간(7일간)의 강우량에 따라 대응되는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이 다르게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 최근 7일간의 강우량이 10mm 이하인 경우는 건기로 볼 수 있으며 이 경우는 도 3의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의 ID 중 첫번째에 대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강우량이 10mm 이상, 40mm 이상, 100mm 이상인 경우 각각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의 2,3 및 4의 ID에 대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단위 시간 강우량 데이터베이스(DB)(174)는 단위 시간의 누계우량을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단위 시간에 측정되는 누계 우량을 강우량이 관측됨에 따라 연속적으로 단위 시간마다 저장한다. 여기서 단위 시간의 누계 우량은 예컨대 분간우량 또는 시간우량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강우 경보 장치(1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우선, 강우량 센서(12)에서 매 일정량(예컨대 0.5mm 또는 1mm)의 강우량이 관측될 때, RTC(15)에서 강우량이 관측된 시각을 구하고, 강우량 감지 시간을 강우량 감지 시간 테이블(172)에 저장하고 강우 강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단위 시간의 누계 우량을 단위 시간 강우량 데이터베이스(174)에 카운트(또는 업데이트)하고, 최근 기간 강우량을 단위 시간 강우량 데이터 베이스(174)를 통해 산출한 후 최근 기간 강우량을 최근 기간 강우량 기준 테이블(173)과 비교하여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앞서 산출된 강우 강도를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을 참조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다.
도 5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강우 경보 장치(10)에서 이루어지는 강우 경보 생성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강우 감지 센서(11)가 강우를 감지하고 강우량 센서(12)가 강우량을 계측한다. 이후 미리 설정해 둔 기준값에 상응하는 일정 단위량의 강우량(예컨대 1mm 단위)이 관측되면(S100), 중앙 제어부(14)는 해당 단위 강우량이 관측되는 시간인 강우량 감지 시간을 강우량 감지 시간을 강우량 감지 시간 테이블(172)에 기록한다(S110).
그리고 중앙 제어부(14)는 강우 강도를 산출한다(S120). 전술한 바와 같이 강우 강도는 강우량(mm)/관측 시간(hour)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정량의 강우량(예컨대 4mm)이 관측된 시간의 값을 사용한다. 중앙 제어부(14)는 산출된 강우 강도를 메모리부(17)에 임시 저장해 둔다.
다음으로, 중앙 제어부(14)는 단위 시간 강우량을 카운트하고 이를 단위 시간 강우량 데이터베이스에 추가(업데이트)한다(S130).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위 시간(예컨대 1분) 마다의 누계 우량을 카운트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중앙 제어부(14)는 최근 기간 강우량을 산출한다(S140).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위 시간 강우량 데이터베이스(174)를 참조하여 최근 일정 기간의 강우량 예컨대 최근 7일간의 기간 강우량을 계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최근 기간의 기간 강우량이 산출되면 중앙 제어부(14)는 산출된 최근 기간 강우량을 최근 기간 강우량 기준 테이블(173)을 참조하여 해당하는 기간 강우량의 단계를 분석한다(S150). 예컨대 최근 기간 강우량이 14mm인 경우, 도 4의 최근 기간 강우량 기준 테이블(173)을 참조하면 해당하는 기간 강우량의 단계는 1단계(보통)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중앙 제어부(14)는 분석된 기간 강우량의 단계가 이전 과정에서 분석되어 있던 기간 강우량의 단계보다 높은 단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60). 이를 위하여 메모리부(17)는 이전 기간 강우량의 단계의 값을 저장해 두었다가 분석된 기간 강우량의 단계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분석된 기간 강우량의 단계가 이전 과정에서의 기간 강우량의 단계보다 높은 경우 중앙 제어부(14)는 해당하는 기간 강우량의 단계에 상응하는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을 선택한다(S170).
예컨대 앞서 예를 든 바와 같이 도 4에서 최근 기간 강우량이 14mm이고 이전 단계가 "0단계(건기)"인 경우, 분석된 단계(1단계(보통))가 이전 단계(0단계(건기)보다 높은 경우이므로 상응하는 ID 2의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을 선택한다.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이 선택되면 중앙 제어부(14)는 상기 단계(S120)에서 산출된 강우 강도를 단계(S170)에서 선택된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과 비교하여 강우 강도의 단계를 판별한다(S180).
앞서의 예에서 ID 2의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이 선택된 경우 도 3에 해당하는 ID 2의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을 참조하면 강우 강도별로 이벤트 정보의 단계(강우 강도의 단계)가 단계별로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강우 강도가 70mm인 경우 해당 강우 강도의 단계는 "위험(2단계)"으로 판별된다.
한편, 단계(S160)에서 분석된 단계가 이전 단계보다 같거나 더 낮은 단계인 경우에는 단계(S170)를 생략하고 단계(S180)을 수행한다. 이는 기존에 선택되어 있던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171)을 그대로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강우 강도의 단계가 판별되면, 중앙 제어부(14)는 판별된 강우 강도의 단계와 이전 과정에서 판별되었던 강우 강도의 단계를 비교하여 판별된 강우 강도의 단계가 이전 과정에서의 강우 강도보다 높은 단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90). 이를 위하여 메모리부(17)는 이전 과정의 강우 강도의 단계의 값을 저장해 두었다가 판별된 강우 강도의 단계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판별된 강우 강도의 단계가 이전 과정에서의 강우 강도보다 높은 단계인 경우 중앙 제어부(14)는 판별된 강우 강도의 단계 즉, 앞서의 예에서는 "위험(2단계)"를 이벤트 정보로서 생성하고 이를 통신부(16)를 통해 통제국(20)으로 전송한다(S200).
만약, 단계(S190)에서 판별된 강우 강도의 단계가 이전 과정에서의 강우 강도의 단계와 같거나 그보다 낮은 경우에는 단계(S200)을 생략하고 단계 A로 이동하여 단계(S100)부터의 과정을 반복하도록 한다. 이는 이전 과정에서의 이벤트 정보가 그대로 유지되어 새로운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한편, 도 5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외부 명령에 의해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해당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에 의해 강우 강도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명령에 의해 최근 기간 강우량의 단계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하는 최근 기간 강우량 단계와 이전 기간 강우량의 단계를 비교하여 더 높은 단계인 경우 해당하는 기간의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을 선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강우 경보 장치(10)는 강우량이 관측되면 강우 강도를 산출하고 최근 일정 기간의 강우량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 있는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을 참조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으므로, 최근 일정 기간의 강우량과 강우 강도에 기초하여 정확하고 효율적인 강우 경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강우 경보 장치(10)을 실제 테스트한 경우 이벤트 정보가 생성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오전 8:13:39에 최초 강우가 감지되었으며 이후 "강우량 발생 시각"에 매 일정량(1mm)의 강우량이 관측된 시각이 기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오전 8:23:30에 4mm의 강우량이 관측되고 그 때의 강우 강도는 "25"로 계산된다. 해당하는 강우 강도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선택된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을 참조하면 "경계(1단계)"에 해당하며 이에 해당하는 이벤트 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이후 강우가 계속되어 4mm의 강우 강도가 계측된 시간별로 강우 강도에 따라 이벤트 정보가 순차적으로 "위험"-->"대피"의 순으로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후 강우가 계속되지만 소강 상태로 접어들고 강우 강도도 약해지지만 이벤트 정보는 "대피"로 계속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이후 마찬가지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이벤트 정보가 생성되고 유지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최근 기간 강우량 기준 테이블을 이용하여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을 선택하였으나 이를 대신하여 토양의 수분 함유량의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토양의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토양에 설치해 두고 해당 센서의 값에 기초하여 다른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을 대응하도록 저장해 두고 강우량이 계측될 때 해당 시점에서의 토양 수분 함유량 값에 기초하여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최근 기간 강우량을 단순히 누계하여 비교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최근 기간 강우량을 기간별로 구분해 두고 각 기간마다 가중치를 설정하여 고려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예컨대, 최근 7일간의 최근 기간 강우량을 고려하는 경우 현재로부터 매 1일마다 가중치를 점차 낮아지도록 설정하면 최근의 강우량이 더 높은 가중치를 갖고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강우 감지 센서(11)는 생략하고 강우량 센서(12)만으로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강우 감지 센서(11)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 강우가 최초 감지되는 시점을 감지하는 구성이고 이에 의해 계측되는 시간은 강우 강도의 계산이나 단위 시간 누계 우량을 산출할 때의 시점으로 작용하게 되지만 이를 생략하고 강우량 센서(12)만으로도 강우 강도의 계산이나 단위 시간 누계 우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100...재난 경보 시스템
10...강우 경보 장치
20...통제국
30...경보국
11...강우 감지 센서
12...강우량 센서
13...센서 수신부
14...중앙 제어부
15...RTC
16...통신부
17...메모리부

Claims (11)

  1. 강우 강도와 기간 강우량 분석을 통한 강우 경보 장치로서,
    강우량을 측정하는 강우량 센서;
    강우 경보를 발령하기 위한 이벤트 정보가 강우 강도에 따라 단계별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
    미리 설정해 둔 일정 강우량이 관측될 때 마다의 시간을 저장하는 강우량 감지 시간 테이블;
    최근 일정 기간의 강우량에 따라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최근 기간 강우량 기준 테이블;
    단위 시간의 누계우량을 기록하는 단위 시간 강우량 데이터베이스; 및
    강우량 센서에서 강우량이 관측될 때 강우 강도를 산출하고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산출된 강우 강도에 상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 제어부
    를 포함하는 강우 경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은, 강우 강도에 따라 위험 정도를 단계별로 구분한 이벤트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 경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은, 최근 일정 기간의 강우량에 기초한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 경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강우량 센서에서 매 일정량의 강우량이 관측될 때 강우량 감지 시간을 강우량 감지 시간 테이블에 저장하고 강우 강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 경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우 강도는, 일정량의 강우량이 관측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 경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단위 시간의 누계 우량을 단위 시간 강우량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최근 기간 강우량을 단위 시간 강우량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산출한 후 최근 기간 강우량을 최근 기간 강우량 기준 테이블과 비교하여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 경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에서 상기 산출된 강우 강도를 참조하여 이벤트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 경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이벤트 정보와 이전에 설정되어 있던 이벤트 정보의 단계를 비교하여 선택된 이벤트 정보가 더 높은 단계인 경우 해당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를 통해 통제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 경보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강우 경보 장치에서 강우 경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기준값에 상응하는 강우량이 관측된 경우, 강우량 감지 시간을 강우량 감지 시간 테이블에 기록하는 제1 단계;
    강우 강도를 산출하는 제2 단계;
    단위시간 강우량을 카운트하여 단위 시간 강우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3 단계;
    최근 기간 강우량을 산출하는 제4 단계;
    상기 산출된 최근 기간 강우량에 기초하여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을 선택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강우 강도를 선택된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과 비교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제6 단계
    를 포함하는 강우 경보 생성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제4 단계에서 산출된 최근 기간 강우량의 단계가 이전 과정에서의 최근 기간 강우량의 단계보다 높은 경우 해당하는 최근 기간 강우량에 해당하는 강우 강도 이벤트 기준 테이블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 경보 생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산출된 강우 강도에 해당하는 강우 강도의 단계가 이전 과정에서 판별되었던 강우 강도의 단계보다 높은 경우 해당하는 강우 강도의 단계를 이벤트 정보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 경보 생성 방법.
KR1020140101586A 2014-08-07 2014-08-07 강우 강도와 기간 강우량 분석을 통한 강우 경보 장치 및 강우 경보 생성 방법 KR101447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586A KR101447718B1 (ko) 2014-08-07 2014-08-07 강우 강도와 기간 강우량 분석을 통한 강우 경보 장치 및 강우 경보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586A KR101447718B1 (ko) 2014-08-07 2014-08-07 강우 강도와 기간 강우량 분석을 통한 강우 경보 장치 및 강우 경보 생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718B1 true KR101447718B1 (ko) 2014-10-07

Family

ID=5199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586A KR101447718B1 (ko) 2014-08-07 2014-08-07 강우 강도와 기간 강우량 분석을 통한 강우 경보 장치 및 강우 경보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7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920B1 (ko) * 2016-04-20 2016-11-01 대한민국 호우 예경보 장치 및 방법
CN106971510A (zh) * 2017-03-30 2017-07-21 河海大学 一种双模式山洪预警控制系统及方法
KR20210086419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월드텍 차량형 이동식 강우 관측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254A (ko) * 2001-08-27 2003-03-06 (주)이레인 폭우 자동경보 시스템 및 경보 발령 방법
KR101059142B1 (ko) 2010-11-01 2011-08-25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개발 자동 우량 및 수위 경보장치 통신이중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98069B1 (ko) 2012-10-16 2013-09-02 선진테크 주식회사 자동 수위관측을 통한 재난 경보 장치
KR20140000543A (ko) * 2012-06-25 2014-01-03 강정철 강우 강도 및 강우량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254A (ko) * 2001-08-27 2003-03-06 (주)이레인 폭우 자동경보 시스템 및 경보 발령 방법
KR101059142B1 (ko) 2010-11-01 2011-08-25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개발 자동 우량 및 수위 경보장치 통신이중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00543A (ko) * 2012-06-25 2014-01-03 강정철 강우 강도 및 강우량 감지 장치
KR101298069B1 (ko) 2012-10-16 2013-09-02 선진테크 주식회사 자동 수위관측을 통한 재난 경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920B1 (ko) * 2016-04-20 2016-11-01 대한민국 호우 예경보 장치 및 방법
CN106971510A (zh) * 2017-03-30 2017-07-21 河海大学 一种双模式山洪预警控制系统及方法
KR20210086419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월드텍 차량형 이동식 강우 관측 장치
KR102435673B1 (ko) * 2019-12-31 2022-08-29 주식회사 월드텍 차량형 이동식 강우 관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5069B2 (en) Evacuation system with sensors
US109571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ldfire detection and management
KR101103697B1 (ko) 강우강도와 토양함수율을 이용한 경사지 경보시스템
CN102037501B (zh) 海啸警报系统和用于提供海啸警报的方法
US20080309502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Forest Fires
KR102268116B1 (ko) 선행강우를 고려한 홍수경보 시스템
KR101447720B1 (ko) 하천 수위 현황 및 최근 기간 강우량을 고려한 강우 및 수위 경보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JPH0923483A (ja) 管路破断検知システム
KR101832337B1 (ko)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KR101447718B1 (ko) 강우 강도와 기간 강우량 분석을 통한 강우 경보 장치 및 강우 경보 생성 방법
TW201546769A (zh) 災害應對系統及災害應對方法、災害偵知裝置以及其處理方法
JP6760643B2 (ja) 傾斜地災害予知システム
JP6635296B2 (ja) 土石流発生予測システムおよび土石流発生予測方法
US7797116B2 (en) System and method of acoustic detection and location of fire sprinkler water discharge
US9123228B2 (en) Security alarm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and utilizing condition data
JP4027107B2 (ja) 土砂異常検出装置、土砂異常検出システム、及び土砂異常検出方法
JP2010048632A (ja) 防災体制判断支援システム
KR20180061091A (ko) 센서를 이용한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US103977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sound levels
JP4639891B2 (ja) 放流警報システムおよび放流警報プログラム
KR20160114375A (ko) 실시간 낙석 피해 경고/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61092A (ko) 건축공정에서 시공되는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EP1290660B1 (en) A system and an arrangement to determine the level of hazard in a hazardous situation
AU201126553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forest fires
KR102042160B1 (ko) 레이저 거리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