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092A - 건축공정에서 시공되는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공정에서 시공되는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092A
KR20180061092A KR1020180019151A KR20180019151A KR20180061092A KR 20180061092 A KR20180061092 A KR 20180061092A KR 1020180019151 A KR1020180019151 A KR 1020180019151A KR 20180019151 A KR20180019151 A KR 20180019151A KR 20180061092 A KR20180061092 A KR 20180061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quake
building
display unit
specific event
seis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3670B1 (ko
Inventor
성창준
Original Assignee
성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창준 filed Critical 성창준
Priority to KR1020180019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670B1/ko
Publication of KR20180061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V1/00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01Measuring or predicting earthquak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16Receiving elements for seismic signals;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receiving el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ophys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건축물의 지진감이 알림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은 상기 건축물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진감지 센서부; 상기 건축물의 적어도 일 영역에 설치되는 유도등 표시부; 상기 유도등 표시부와 인접한 영역에 설치되는 대피로 표시부; 상기 건축물의 적어도 일 영역에 설치되는 경고음 출력부; 및 특정 이벤트에 의해 상기 지진감시 센서부에서 감지된 지진계수 값을 수신하고, 상기 지진계수 값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이벤트의 알림 레벨을 설정하며, 설정된 알림 레벨에 따라 상기 대피로 표시부, 상기 유도등 표시부 또는 상기 경고음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공정에서 시공되는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EARTHQUAKE DETECTION SYSTEM CONSTRUCTED IN BUILDING WORKS}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에 부착 또는 시공되어 지진을 감지하고 지진 발생 시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진이란 지구 내부에서 급격한 지각변동이 생겨 그 충격으로 생긴 파동이 지표면까지 전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지진의 규모는 민감한 지진계로만 검출되는 아주 작은 규모의 지진부터 광범위한 지역에 큰 피해를 주는 대규모의 지진까지 다양하다.
최근 국내 일부 지역에서는 유례없는 대규모의 지진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대부분의 건축물에서는 이러한 지진에 대한 내진성 설계가 충분하게 구비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지진을 사전에 감지하기 위해서 지진조기경보시스템(Earthquake Early Warning System, EEWS)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은 지진발생 시 피해는 작지만 빠르게 전파하는 P파를 신속하게 탐지분석하여 큰 피해를 입히며 상대적으로 느린 S파가 도달하기 전에 이에 대한 경보를 피해 예상 지역이나 시설물에 전달하는 관측/분석/제어기술을 총망라하는 통합시스템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오차 범위가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으며, 대형 시스템과 별도로 일반 건축물에서 자체적으로 사전에 지진을 감지하고 알릴 수 있는 사전적 예방차원의 시스템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3550호, 2015.11.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건축물에서 자체적으로 지진을 감지하고, 지진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은 상기 건축물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진감지 센서부; 상기 건축물의 적어도 일 영역에 설치되는 유도등 표시부; 상기 유도등 표시부와 인접한 영역에 설치되는 대피로 표시부; 상기 건축물의 적어도 일 영역에 설치되는 경고음 출력부; 및 특정 이벤트에 의해 상기 지진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지진계수 값을 수신하고, 상기 지진계수 값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이벤트의 알림 레벨을 설정하며, 설정된 알림 레벨에 따라 상기 대피로 표시부, 상기 유도등 표시부 또는 상기 경고음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은 상기 특정 이벤트에 대해 복수의 구간 별로 상기 지진계수 값이 기록되는 정보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간은 상기 특정 이벤트에 의해 최초 지진계수 값이 감지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주기 별로 구획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DB 상에서 복수의 구간 별로 기록된 지진계수 값의 신뢰도를 산정하며, 산정된 신뢰도를 상기 각 구간의 지진계수 값에 반영하여 상기 특정 이벤트에 대한 알림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알림 레벨은, 상기 참조 값이 제1 기준값 이상 제2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경고음 출력부만을 활성화시키는 제1 레벨; 상기 참조 값이 상기 제2 기준값 이상 제3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경고음 출력부 및 상기 유도등 표시부를 활성화시키는 제2 레벨; 및 상기 참조 값이 상기 제3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유도등 표시부, 상기 대피로 표시부 및 상기 경고음 출력부 모두를 활성화시키는 제3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레벨은, 상기 참조 값이 상기 제1 기준값과 상기 제2 기준값 사이에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경고음 출력부를 통해 상기 특정 이벤트의 알림음을 출력하는 제1-1레벨; 및 상기 참조 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경고음 출력부를 통해 상기 특정 이벤트의 경고음을 출력하는 제1-2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경고음은 상기 알림음보다 더 높은 오디오 출력 세기를 가지며, 소정 주기동안 지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지진감지 센서부는, 기울기센서, 진동센서, P파/S파 감지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건축물은 콘크리트, 목조 또는 스틸하우스 형태의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지진감지 센서부, 상기 대피로 표시부, 상기 유도등 표시부, 상기 경고음 출력부 또는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건축물의 건축공정에 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은 특정 이벤트의 지진계수 값을 기반으로 알림 레벨을 결정하고, 결정된 알림 레벨에 따라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을 단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지진감지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이벤트에 대하여 복수의 구간에서 감지되는 지진계수 값에 소정의 가중치를 산정함으로써 상기 특정 이벤트가 지진인지 아니면 다른 요인에 의한 일시적인 진동 이벤트인지를 보다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에서 지진을 감지하여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에서 특정 이벤트의 알림 레벨을 설정하는 구체적인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의 정보 DB에 구간별로 기록되는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레벨 등급표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은 지진감지 센서(110), 경고음 출력부(120), 유도등 표시부(130), 대피로 표시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은 지진등과 같은 이벤트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도에 따라 건축물의 사용자에게 단계적으로 지진감지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은 건축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지진감지 센서(110), 경고음 출력부(120), 유도등 표시부(130), 대피로 표시부(140) 및 제어부(150)는 건축물의 신축 시공 과정 또는 증축 및 개축 시공 과정뿐만 아니라 기존 건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 1의 구성들은 건축물의 외벽, 프레임, 천장, 바닥 등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시공 과정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의 적어도 일부 구성들은 건축물의 내부 구조에 부착되거나 연결되는 형태로 시공되거나 건축물의 외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이 시공되는 건축물은 콘크리트(RC), 목조 또는 스틸하우스 주택 건축물 형태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도 1과 달리 건축물의 외부에 위치한 서버에 포함되어 구현됨으로써 지진감지 센서(110), 경고음 출력부(120), 유도등 표시부(130) 및 대피로 표시부(140)를 통신을 통해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은 제어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통신 연결 가능한 정보 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DB는 건축물 내부에 위치하여 제어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건축물 외부의 서버(미도시)에 저장되어 제어부(150)의 요청하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제어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지진감지 센서(110)는 건축물의 프레임에 설치되거나 연결되어 건축물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진감지 센서(110)는 건축물의 프레임에 설치됨으로써 건축물에 가해지는 미세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진감지 센서(110)는 기울기 센서, 진동센서, P파/S파 감지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진 등의 진동 이벤트에 따라 지진계수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지진계수 값으로 가속도 센서를 통한 가속도 계수를 예시로서 기재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수 값이 가속도 계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외부 요인에 의한 진동을 수치로 산정할 수 있는 다양한 값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진감지 센서(110)는 감지된 지진계수 값을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는 유선통신 모듈 또는 무선통신 모듈(예: 블루투스 모듈, 와이파이 모듈, 지그비 모듈, RF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경고음 출력부(120)는 건축물의 적어도 일 영역에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경고음 출력부(120)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특정 이벤트의 알림 레벨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출력 세기를 가지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유도등 표시부(130)는 건축물의 적어도 일 영역에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등 표시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활성화되어 특정 이벤트의 알림 레벨에 따라 온/오프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도등 표시부(130)는 건축물 상에서 이벤트의 지진 계수 값 또는 알림 레벨이 비교적 크지 않은 경우 즉, 미세한 지진이 발생한 경우에 활성화(예: 발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유도등 표시부(130)는 제어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유선 또는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온/오프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유도등 표시부(130)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하는 광원이 외부로 확산될 수 있는 투명성의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도등 표시부(130)의 덮개 외부에는 지진에 따라 대피해야 함을 식별하거나 직감할 수 있는 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다.
대피로 표시부(140)는 지진 발생시 사용자가 건축물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경로가 지도 또는 도면 형태로 발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피로 표시부(140)는 대피로가 인쇄된 인쇄 화면; 상기 인쇄 화면에 광원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광원 소자; 및 상기 인쇄 화면과 광원소자를 보호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대피로 표시부(140)는 소정 규모 이상의 지진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이벤트 발생 시 제어부(150)에 제어 하에 활성될 수 있다. 대피로 표시부(140) 또한 유선 또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제어부(150)에 제어 하에 온오프된다.
제어부(150)는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의 전원공급 제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동작 및 사용자 단말(100)의 내부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DC 또는 AC 전원 모듈(미도시)을 통해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지진감지 센서(110), 경고음 출력부(120), 유도등 표시부(130) 및 대피로 표시부(140)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과 같은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의 구성을 기반으로 이하 도 2를 통해 구체적인 지진감지 동작과 알림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에서 지진을 감지하여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먼저,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은 특정 이벤트에 의해 발생하는 지진계수 값을 확인할 수 있다(S210).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지진등과 같은 진동 이벤트 발생 시 지진감지 센서(110)에서 감지되는 지진계수 값(예: 가속도 계수)을 확인할 수 있다. 지진감지 센서(110)가 지진 등의 이벤트에 따른 진동 또는 충격을 감지하는 것은 종래 다양한 지진감지 원리들 중 하나를 채택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은 특정 이벤트의 알림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S23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진 등과 같은 특정 이벤트의 알림 레벨을 설정함으로써 건축물의 사용자에게 상황별로 맞춤형 지진감지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지진감지 알림 정보는 전술한 도 1의 경고음 출력부(120), 유도등 표시부(130) 또는 대피로 표시부(14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되거나 표시되는 광원 또는 오디오 신호 등을 포함한다. 특정 이벤트의 알림 레벨을 설정하는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은 해당 특정 이벤트의 알림 레벨에 따라 건축물 내부에 설치된 구성들을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S250).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함으로써 결정된 알림 레벨이 제 1 기준값 미만이라면,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의 구성들을 동작시키지 않거나 유휴상태로 운용할 수 있다. 만약 알림 레벨이 제1 기준값 이상 제2 기준값 미만이라면, 제어부(150)는 경고음 출력부(120)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알림 레벨이 제2 기준값 이상 제3 기준값 미만이라면, 제어부(150)는 경고음 출력부(120)와 유도등 표시부(130)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알림 레벨이 제3 기준값 이상이라면 경고음 출력부(120), 유도등 표시부(130) 및 대피로 표시부(140) 모두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알림 레벨에 따른 제어의 대상 또는 순서는 예시적인 것이며,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의 관리자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변경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알림 레벨에 따라 제어의 대상 또는 순서 뿐만 아니라, 동일한 제어 대상의 출력을 다르게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경고음 출력부(150)를 제어하되, 소정 임계값을 기준으로 알림음을 출력하거나 아니면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알림음과 경고음은 서로 다른 문구의 오디오 정보일 수 있으며, 알림음은 경고음보다 더 낮은 오디오 출력 세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이벤트에 따라 결정된 알림 레벨이 소정 임계 값 미만의 알림 레벨(예: 1-1레벨)인 경우, 경고음 출력부(120)는 “현재 가벼운 진동이 발생하고 있습니다”라는 오디오를 소정 데시벨 미만으로 건축물 내에서 방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특정 이벤트에 따라 결정된 알림 레벨이 소정 임계 값 이상의 알림 레벨(예: 1-2레벨)인 경우, 경고음 출력부(120)는 “지진으로 의심되는 진동이 발생합니다. 대피를 준비하십시오”라는 오디오를 소정 데시벨 이상으로 건축물 내에서 방송할 수 있다. 또한, 경고음 출력부(120)는 이러한 경고음을 소정 주기동안 지속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은 지진등과 같은 이벤트에 의해 발생되는 지진계수 값을 기반으로 알림 레벨을 결정하고, 결정된 알림 레벨에 따라 단계적으로 지진감지 알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이상적인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에서 특정 이벤트의 알림 레벨을 설정하는 구체적인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3의 설명을 위해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의 정보 DB에 시간에 따른 각 구간별로 기록되는 정보의 예시도이고, 도 5는 특정 이벤트의 알림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레벨 등급표의 예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은 정보 DB 상에서 복수의 구간별로 기록된 지진계수 값을 확인할 수 있다(S310). 이러한 복수의 구간은 특정 이벤트에 대해서 소정 시간을 주기로 지진계수 값이 기록되도록 임의적으로 설정한 구간일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이벤트(401)에 따른 구간에서의 지진계수 값과 제2 이벤트(403)에 따른 구간에서의 지진계수 값이 도시된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데이터들은 정보 DB에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제1 이벤트(401)와 제2 이벤트(402)는 서로 다른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한 진동 이벤트임을 전제한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구간은 소정 시간(t0, t1, t2, t3, t4)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구간들을 구획하는 소정 시간들의 주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t0는 최초로 지진계수 값이 감지된 시점(예: 특정 시각)을 나타내며, t1는 t0로부터 1초가 지난 시점을 나타내며, t2는 t1으로부터 1초가 지난 시점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t3는 t2로부터 1초 후의 시점, t4는 t3로부터 1초 후의 시점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시간의 간격을 1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특정 이벤트에 기초하여 감지되는 지진계수 값임을 구분할 수 있는 다른 시간의 단위로 책정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은 각 구간에서의 지진계수 값의 신뢰도를 산정할 수 있다(S330). 미세한 진동이 발생했을 경우 이러한 진동이 지진에 의한 진동인지 아니면 다른 요인에 의한 일시적인 진동인지를 구분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하기와 같은 수학식 1에 의해 각 구간에서의 신뢰도를 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Rx는 각 구간에서의 신뢰도(x=1, 2, 3 ,,, n, n은 자연수)이고, tx는 해당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의 시각(x=1, 2, 3 ,,, n, n은 자연수)이며, t0는 최초 진동이 감지된 시각(즉, 최초 지진계수 값이 감지된 시각)이다.
상기와 같이 최초 진동이 감지된 시각 이후로 갈수록 가중치를 더 높게 함으로써, 지진에 의한 진동인지 다른 요인에 의한 일시적인 진동인지를 구체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은 지진계수 값과 신뢰도를 기반으로 특정 이벤트의 참조 값을 산정할 수 있고(S350), 미리 준비된 레벨 등급표에서 해당 참조 값을 확인하여 특정 이벤트의 알림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S370).
참조 값은 해당 특정 이벤트의 알림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참조되는 수치이며, 모든 구간에서의 지진계수 값과 모든 구간에서의 신뢰도를 기반으로 계산되어진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 2에 의해 특정 이벤트의 참조 값(M)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 M은 특정 이벤트의 참조 값이며, n은 총 구간 수이고, Rx는 각 구간에서의 신뢰도이며, Gx는 각 구간에서의 지진계수 값이다. 즉, 특정 이벤트의 참조 값은 각 구간에서의 지진계수 값과 신뢰도 값을 곱한 값을 모든 구간에서 합산한 수치를 의미한다.
일 예시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제1 이벤트(401)에서 제1 구간 내지 제4 구간에 각각 0.10, 0.03, 0.01, 0의 지진계수 값이 기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신뢰도는 각각 0.1, 0.2, 0.3, 0.4로 산정된다. 따라서, 참조값은 0.10*0.1+0.03*0.2+0.01*0.3+0인 0.019값이 산출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이벤트(403)의 참조값을 산출하면 0.71의 값이 도출된다. 제1 이벤트(401)에서는 제1 구간 이후로 급격하게 지진계수 값이 감소하였고, 제2 이벤트(403)에서는 제1 구간 이후에도 지진계수 값이 어느 정도 유지되었다. 따라서, 제1 이벤트는 특정 요인에 따른 일시적인 진동이고, 제2 이벤트는 소정 규모(예: 진도)를 가지는 지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를 참조하면 각 참조값에 따른 알림 레벨이 설정된 레벨 등급표(501)가 도시된다. 이러한 레벨 등급표(501)의 내용은 관리자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임의적으로 변경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도 4에서 전술한 예시를 적용하면, 제1 이벤트(401)의 참조값은 0.5미만이므로 제1-1레벨에 해당되고, 제2 이벤트(403)의 참조값은 0.5~0.8에 해당하므로 1-2레벨에 해당한다. 제어부(150)는 이렇게 결정된 알림 레벨을 기반으로 각 특정 이벤트에 응답하여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의 구성요소를 단계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제1 이벤트(401)에 대해서는 알림음을 출력하도록 경고음 출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고, 제2 이벤트(403)에 대해서는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경고음 출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은 특정 이벤트의 지진계수 값을 기반으로 알림 레벨을 결정하고, 결정된 알림 레벨에 따라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10)의 각 구성요소들을 단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지진감지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이벤트에 대하여 복수의 구간에서 감지되는 지진계수 값에 소정의 가중치를 산정함으로써 상기 특정 이벤트가 지진인지 아니면 다른 요인에 의한 일시적인 진동 이벤트인지를 보다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110: 지진감지 센서
120: 경고음 출력부 130: 유도등 표시부
140: 대피로 표시부 150: 제어부

Claims (1)

  1.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축물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진감지 센서부;
    상기 건축물의 적어도 일 영역에 설치되는 유도등 표시부;
    상기 유도등 표시부와 인접한 영역에 설치되는 대피로 표시부;
    상기 건축물의 적어도 일 영역에 설치되는 경고음 출력부; 및
    특정 이벤트에 의해 상기 지진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지진계수 값을 수신하고, 상기 지진계수 값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이벤트의 알림 레벨을 설정하며, 설정된 알림 레벨에 따라 상기 대피로 표시부, 상기 유도등 표시부 또는 상기 경고음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은 상기 특정 이벤트에 대해 복수의 구간 별로 상기 지진계수 값이 기록되는 정보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간은 상기 특정 이벤트에 의해 최초 지진계수 값이 감지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주기 별로 구획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DB 상에서 복수의 구간 별로 기록된 지진계수 값의 신뢰도를 산정하며, 산정된 신뢰도를 상기 각 구간의 지진계수 값에 반영하여 상기 특정 이벤트에 대한 알림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하기 [식 1]에 의해 상기 각 구간에서의 신뢰도(Rx)를 산정하고, 하기 [식 2]에 의해 상기 특정 이벤트의 참조 값(M)을 산정하며, 미리 정의된 레벨 등급표에서 상기 산정된 참조 값(M)을 확인하여 상기 특정 이벤트의 알림 레벨을 결정하며,
    상기 건축물은 콘크리트, 목조 또는 스틸하우스 형태의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지진감지 센서부, 상기 대피로 표시부, 상기 유도등 표시부, 상기 경고음 출력부 또는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건축물의 건축공정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식 1]
    Figure pat00003

    Rx: 각 구간에서의 신뢰도 (x=1, 2, 3 ,,, n, n은 자연수)
    tx: 해당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의 시각 (x=1, 2, 3 ,,, n, n은 자연수)
    t0: 최초 진동이 감지된 시각
    [식 2]
    Figure pat00004

    M: 이벤트의 참조 값
    n: 총 구간 수
    Rx: 각 구간에서의 신뢰도
    Gx: 각 구간에서의 지진계수 값
KR1020180019151A 2018-02-19 2018-02-19 건축공정에서 시공되는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KR101933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151A KR101933670B1 (ko) 2018-02-19 2018-02-19 건축공정에서 시공되는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151A KR101933670B1 (ko) 2018-02-19 2018-02-19 건축공정에서 시공되는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975A Division KR101832337B1 (ko) 2016-11-28 2016-11-28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092A true KR20180061092A (ko) 2018-06-07
KR101933670B1 KR101933670B1 (ko) 2018-12-28

Family

ID=6262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151A KR101933670B1 (ko) 2018-02-19 2018-02-19 건축공정에서 시공되는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6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933A (ko) * 2018-10-02 2020-04-10 주식회사 제이드솔루션 음성인식형 스피커를 이용한 객실관리시스템
DE202022104692U1 (de) 2022-08-18 2022-08-31 Biswaranjan Acharya Kostengünstiges System zur Erkennung von Erdbeben und zur Warnung durch maschinelles Lern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869B1 (ko) * 2007-12-17 2008-10-30 (주)이노센싱 건축물용 지진 감지 경보 시스템
JP2008310586A (ja) * 2007-06-14 2008-12-25 Funayama Kk 警報処理装置及び警報処理システム
KR100971623B1 (ko) * 2010-03-19 2010-07-21 (주)동남티디에스 고층건물의 재난 자동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KR101468792B1 (ko) * 2013-01-02 2014-12-09 전용균 비상구 유도 시스템
JP2014238356A (ja) * 2013-06-10 2014-12-18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地震警報装置
KR20150123550A (ko) 2014-04-25 2015-11-04 주식회사 코어밸런스 도시건축물에 적용되는 지진데이터 측정 및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6303A (ko) * 2016-09-19 2016-10-07 서규선 지진 예경보 및 대피 방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10586A (ja) * 2007-06-14 2008-12-25 Funayama Kk 警報処理装置及び警報処理システム
KR100865869B1 (ko) * 2007-12-17 2008-10-30 (주)이노센싱 건축물용 지진 감지 경보 시스템
KR100971623B1 (ko) * 2010-03-19 2010-07-21 (주)동남티디에스 고층건물의 재난 자동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KR101468792B1 (ko) * 2013-01-02 2014-12-09 전용균 비상구 유도 시스템
JP2014238356A (ja) * 2013-06-10 2014-12-18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地震警報装置
KR20150123550A (ko) 2014-04-25 2015-11-04 주식회사 코어밸런스 도시건축물에 적용되는 지진데이터 측정 및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6303A (ko) * 2016-09-19 2016-10-07 서규선 지진 예경보 및 대피 방송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933A (ko) * 2018-10-02 2020-04-10 주식회사 제이드솔루션 음성인식형 스피커를 이용한 객실관리시스템
DE202022104692U1 (de) 2022-08-18 2022-08-31 Biswaranjan Acharya Kostengünstiges System zur Erkennung von Erdbeben und zur Warnung durch maschinelles Ler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670B1 (ko)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337B1 (ko)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US11024141B2 (en) Smoke device and smoke detection circuit
US10234388B2 (en) System for determining abnormality in a monitored area
KR101647704B1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US20120047083A1 (en) Fire Situation Awareness And Evacuation Support
KR20180061091A (ko) 센서를 이용한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KR101923833B1 (ko) 층간 소음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1933670B1 (ko) 건축공정에서 시공되는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KR20150078964A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알림 장치
US778219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on using fire modeling
US11846541B2 (en) Optical fiber sensing system with improved state detection
KR20160095480A (ko) 층간소음경보 시스템
KR102076749B1 (ko)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
US20220163375A1 (en) Augmented reality-based acoustic performance analysis
JP7268793B2 (ja) 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システム、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装置及び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方法
TWI622964B (zh) 地震警報方法及其地震警報廣播系統
WO20150746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rusion and fire detection
KR101828510B1 (ko) 실시간 지진 감지 알림 시스템
KR101328462B1 (ko) 무게센서를 구비한 알람침대 및 이를 이용한 알람발생방법
KR20080020344A (ko) 화재 경보 시스템 및 방법
JP2013109558A (ja) 洪水発生警報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洪水発生警報システム
KR101363276B1 (ko) 광전식 화재 감지기
JP2012088752A (ja) 火災警報器及び携帯電話
JP2007249623A (ja) 火災警報器
GB2623232A (en) Building security and emergency detection and advis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