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749B1 -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749B1
KR102076749B1 KR1020190136631A KR20190136631A KR102076749B1 KR 102076749 B1 KR102076749 B1 KR 102076749B1 KR 1020190136631 A KR1020190136631 A KR 1020190136631A KR 20190136631 A KR20190136631 A KR 20190136631A KR 102076749 B1 KR102076749 B1 KR 102076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information
inclination
uni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훈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벨
Priority to KR1020190136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imbal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4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 정보를 기초로 개별 건물 위치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개별 위험도를 판별하고, 판별된 위험도에 따라 단말들에 대해 알림을 수행하는,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 {Building Collapse Precursor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 정보를 기초로 개별 건물 위치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개별 위험도를 판별하고, 판별된 위험도에 따라 단말들에 대해 알림을 수행하는,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 붕괴, 폭발 및 환경오염사고 등은 많은 인명피해와 재산상의 손실을 가져온다는 점에서 큰 위험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재난사고로 야기되는 피해를 감소하기 위하여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재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재난 경보 서비스는 재난 발생 지역을 기준으로 지역 거주자 또는 인근 지역 거주자에게 문자메시지 형태의 재난정보를 제공하므로 실제 재난 발생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거주자에게는 재난정보가 스팸 메시지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종래 재난 경보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재난정보는 재난 발생 정보 또는 재난 피해 예방을 위한 매뉴얼 정보에 불과하므로 실제 재난 발생 위치 및 시간과 이에 따른 최적의 대피 경로와 같은 정보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실제 재난상황에서 실효성이 낮다.
현재 건물의 안전 진단은 전문가가 육안으로 건물에 6mm 이상 벌어진 크랙(균열)이 있는지 확인하고, 매번 검사 때마다 균열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또한, 건물의 내진 설계는 건물의 이상적인 수치를 기반으로 내진 성능을 평가하고 있으며, 기존 건물에 대한 내진 성능 평가 또한 이뤄지고 있다.
한편, 현재 노후 건물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안전 진단 대상에 속하지 않는 상업용/개인 건물이 태반인 상태이다.
그러나,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건물의 안전 진단 및 이에 따른 적절한 알림에 대한 시스템은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KR 101613307 B1
본 발명은 경사 정보를 기초로 개별 건물 위치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개별 위험도를 판별하고, 판별된 위험도에 따라 단말들에 대해 알림을 수행하는,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에 배치될 수 있는 1 이상의 감지단말, 상기 감지단말을 건물에 부착하는 브라켓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으로서, 상기 감지단말은, 부착된 벽면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경사센서부; 상기 경사센서부에서 센싱 된 값에 기초하여 해당 건물의 종합위험도를 도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도출된 종합위험도 혹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위험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혹은 청각적으로 위험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위험표시부; 및 상기 관리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감지단말을 고정하는 감지단말고정부; 상기 브라켓을 벽면에 부착하는 벽면부착부; 및 상기 감지단말을 눈 및 비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감지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범위를 도출하는 위험범위판별부; 상기 위험범위에 속하는 감지단말에 대하여 위험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제어부; 및 상기 위험범위에 속하는 사용자단말기에 대하여 위험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알림부; 를 포함하는,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사센서부는, 기설정된 제1시간간격에 따라 측정된 벽면의 기울기를 상기 감지단말의 초기 설치 시 측정된 기울기와 비교하여 경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사센서부에서 기설정된 제2시간간격동안 측정된 경사정보의 대푯값에 기초하여 경사위험도를 도출하는 경사위험도판별부; 상기 경사센서부에서 기설정된 제3시간간격동안 측정된 경사정보의 산포도에 기초하여 진동위험도를 도출하는 진동위험도판별부; 및 상기 진동위험도, 경사위험도, 상기 건물의 층수정보, 및 상기 건물의 연식정보에 기초하여 종합위험도를 산출하는 종합위험도판별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종합위험도판별부는, 상기 경사정보의 산포도가 기설정된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경사정보의 대푯값이 기설정된 제2기준값 이상이더라도 기설정된 제4시간간격동안 상기 제2기준값 이상으로 유지되지 않는 경우 종합위험도를 낮게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감지단말은, 시간에 따라 측정된 상기 경사정보를 저장하는 이력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력저장부는, 계절에 따른 상기 경사정보의 변화를 분석하여 계절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종합위험도판별부는 상기 계절이력정보를 고려하여 종합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부는, 상기 감지단말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면보호부; 및 상기 감지단말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측면보호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보호부는 경사를 가짐으로써 빗물 및 눈으로부터 상기 감지단말을 보호하고, 눈이나 빗물이 고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브라켓은, 하나의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위험범위판별부는, 상기 종합위험도에 기초하여 도출된 위험범위의 크기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경사센서부에 의하여 센싱 된 경사정보에 기초하여 위험범위의 방향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범위의 크기 및 상기 위험범위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범위를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열화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위험 표시 장치를 확인 사용자뿐만 아니라 해당 건물에 위치 혹은 관련자들에게 모두 신속하게 알림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센서부만으로 진동을 판별하고 이를 위험도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정보의 측정 이력을 기록하여 위험 발생 시 위험의 원인을 판독하기 위하여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정보의 측정 이력을 기록하여 계절 또는 온도에 따라 변동하는 경사를 고려하여 위험도를 산출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단말을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브라켓에 보호부가 구비되어 비나 눈 등의 기상 환경으로부터 감지단말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단말의 설치 시 별도의 배선을 필요로 하지 않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수행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정보의 측정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위험도판별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범위판별부의 동작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부”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은 복수의 감지단말(1000), 상기 감지단말(1000)을 건물에 부착하는 브라켓(2000) 및 관리서버(4000)를 포함한다.
상기 도 1에서는 건물의 4개의 구역에 감지단말(1000)이 배치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구역에서 건물의 위험을 판단하고 이를 해당 구역에서만 알리는 것이 아니라, 이를 관리서버(4000)에 전달하고, 관리서버(4000)는 관련된 구역을 결정한 후에, 해당 구역에 존재하는 감지단말(1000)에 위험 알림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감지단말(1000)은 도 2에서 상술하는 구성을 가지고, 시각적, 청각적 등의 방법으로 사람에게 위험이 있음을 알려주는 수단, 예를 들어 사이렌, 스피커, LED조명, 디스플레이패널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단말(1000)은 상기 관리서버(40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단말(1000)은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4000)와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지단말(1000)은 이와 같이 무선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건물에 배치될 때 별도의 배선을 필요치 않고 건물의 벽에 부착하는 것 만으로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건물 붕괴감지 시스템은 건물에 배치될 수 있는 1 이상의 감지단말(1000) 및 관리서버(4000)를 포함하는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감지단말(1000)은 일종의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서 건물의 해당 구역의 특정 벽면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단말(100)은 상기 브라켓(2000)을 통해 용이하게 상기 건물의 벽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감지단말(1000)은, 부착된 벽면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경사센서부(1200); 상기 경사센서부(1200)에서 센싱 된 값에 기초하여 해당 건물의 종합위험도를 도출하는 제어부(1400); 상기 제어부(1400)에 의하여 도출된 종합위험도 혹은 상기 관리서버(4000)로부터 수신한 위험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혹은 청각적으로 위험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위험표시부(1300); 상기 관리서버(40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500); 및 상기 감지단말(10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600); 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센서부(1200)는 부착된 벽면의 기울기를 측정한다. 이와 같은 경사센서부(1200)는 바람직하게는 3축 경사센서로서 X축, Y축 및 Z축의 경사센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경사센서는 MEMS형 경사센서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센서부(1200)는, 기설정된 제1시간간격에 따라 측정된 벽면의 각각의 축의 기울기를 상기 감지단말(1000)의 초기 설치 시 측정된 기울기와 비교하여 경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40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400)는 상기 경사센서부(1200)에서 센싱 된 값에 기초하여 해당 건물의 종합위험도를 도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400)는, 상기 경사센서부(1200)에서 기설정된 제2시간간격동안 측정된 경사정보의 대푯값에 기초하여 경사위험도를 도출하는 경사위험도판별부(1420); 상기 경사센서부(1200)에서 기설정된 제3시간간격동안 측정된 경사정보의 산포도에 기초하여 진동위험도를 도출하는 진동위험도판별부(1410); 상기 진동위험도, 경사위험도, 상기 건물의 층수정보, 및 상기 건물의 연식정보에 기초하여 종합위험도를 산출하는 종합위험도판별부(1430); 및 시간에 따라 측정된 상기 경사정보를 저장하는 이력저장부(1440);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이력저장부(1440)는 측정된 상기 경사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추후 건물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건물의 영향을 준 진동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점에서의 측정된 경사정보의 산포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고(진동 감지), 이 후 건물의 기울기가 점진적으로 변하게 되는 경우 상기 특정 시점에서의 진동이 건물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종합위험도판별부(1430)는, 상기 경사정보의 대푯값이 기설정된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종합위험도를 높게 산출할 수 있다. 즉, 벽면에 부착된 감지단말(1000)을 통해 측정된 기울기의 변화가 기설정된 기준을 넘게 되면, 직접적으로 건물의 위험도를 높게 판단하도록 하여 건물의 붕괴 위험을 알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종합위험도판별부(1430)는, 상기 경사정보의 산포도가 기설정된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경사정보의 대푯값이 기설정된 제2기준값 이상이더라도 기설정된 제4시간간격동안 상기 제2기준값 이상으로 유지되지 않는 경우 종합위험도를 낮게 산출할 수 있다. 이는 진동이 심하게 발생한 경우, 측정되는 기울기가 진동에 의해 일시적으로 높게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에, 단지 기울기가 높게 나타나는 것 만으로 건물의 위험도를 높게 판단하게 되면 붕괴 위험이 없거나 낮은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위험을 표시하여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정보의 산포도가 기설정된 제1기준값 이상으로 진동이 강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사정보의 대푯값이 제2기준값 이상이더라도,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않고,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종합위험도를 낮게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경사정보의 대푯값이 제2기준값 이상으로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건물의 위험도를 높게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종합위험도판별부(1430)는 판별된 종합위험도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위험표시부(1300)에 위험함 표시 혹은 종합위험도정보에 따른 위험 정도 표시를 수행하고, 상기 통신부(1500)를 통하여 관리서버(4000)에 종합위험도정보 및 경사도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위험표시부(1300)는 상기 제어부(1400)에 의하여 도출된 종합위험도 혹은 상기 관리서버(4000)로부터 수신한 위험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혹은 청각적으로 위험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상기 위험표시부(1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각적, 청각적 등의 방법으로 사람에게 위험이 있음을 알려주는 수단, 예를 들어 사이렌, 스피커, LED조명, 디스플레이패널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500)는 외부 장치와 상기 제어부(14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모듈에 해당한다. 상기 통신부(1500)는 WIFI모듈, 블루투스모듈, 통신사 네트워크 망 통신(LTE, 5G 등)모듈, 및 LPWA통신모듈 중 1 이상의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어부(1400)에서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거나 혹은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40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배터리부(1600)는 상기 감지단말(10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외부의 전원 공급 없이 내장된 배터리부(1600)에 의해 전원을 공급 받기 때문에 상기 감지단말(1000)은 건물에 배치될 때 별도의 배선을 필요치 않고 건물의 벽에 부착하는 것 만으로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수행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제어부(1400)는, 상기 경사센서부(1200)에서 기설정된 제2시간간격동안 측정된 경사정보의 대푯값에 기초하여 경사위험도를 도출하는 경사위험도판별부(1420)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센서부(1200)는 기설정된 제1시간간격에 따라 측정된 벽면의 기울기를 상기 감지단말(1000)의 초기 설치 시 측정된 기울기와 비교하여 경사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단계 S20에서 상기 제어부(1400)는 제1시간간격으로 상기 경사센서부(1200)가 측정한 벽면의 기울기에 대한 경사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수신하는 기울기에 대한 정보는 상기 감지단말(1000)의 초기 설치 시 측정된 기울기와 현재 측정된 기울기의 차이에 대한 정보로서, 이를 통해 현재의 건물의 기울기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단말(1000)을 건물의 벽면에 설치 후 초기설정을 함으로써 초기 설치 기울기를 입력하고, 이후의 측정에서는 측정된 기울기를 초기 설치 기울기와 비교하여 기울기의 변화량을 도출할 수 있다.
단계 S21에서는 기설정된 제2시간간격동안 상기 경사센서부(1200)에 의해 측정된 경사정보의 대푯값을 도출한다. 상기 제2시간간격은 상기 제1시간간격보다 더 긴 시간간격으로서, 상기 제2시간간격동안 상기 경사센서부(1200)는 복수의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2시간간격동안 측정된 경사정보의 대푯값을 도출하여 해당 시간간격에서의 경사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경사정보의 대푯값을 사용함으로써 노이즈 등의 측정 오차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대푯값으로는 평균, 중앙값 또는 최빈값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S22에서는, 기설정된 제3시간간격동안 상기 경사센서부(1200)에 의해 측정된 경사정보의 산포도를 도출한다. 단계 S21에서와 마찬가지로 제3시간간격동안 측정된 경사정보의 산포도를 도출하여 해당 시간간격에서의 진동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건물에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측정되는 경사정보는 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설정된 제3시간간격동안 측정된 경사정보의 값의 산포도를 통해 측정되는 경사정보가 얼마나 심하게 변동되는지를 알 수 있고 이를 건물의 진동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시간간격동안 상기 경사센서부(1200)에 의해 측정된 경사정보 자체의 산포도를 도출하여 진동정보로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상기 제3시간간격동안 상기 단계 S21에서 도출된 대푯값들의 산포도를 도출하여 진동정보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정보의 측정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서는 시간(t)의 흐름에 따라 상기 경사센서부(1200)가 기설정된 제1시간간격(t1)에 따라 벽면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벽면의 기울기는 a11 내지 a45와 같이 표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경사센서부(1200) 중 X축의 경사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값에 대하여 설명하나 이는 Y축의 경사센서 및 Z축의 경사센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이 당 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시간간격(t1)에 따라 측정된 X축의 기울기가 도 4의 하단에 표로 정리되어 있다. 측정된 단위는 10-3°이다. 즉 최초 측정된 기울기 a11은 2×10-3°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2시간간격(t2)동안 제1시간간격(t1)에 따라 측정된 기울기의 대푯값을 도출하여 경사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시간간격(t2)은 상기 제1시간간격(t1)의 5배이고, 상기 제2시간간격(t2)동안 측정된 기울기는 5개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시간간격(t1)은 0.2초이고, 상기 제2시간간격(t2)은 1초일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이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시간간격(t1) 및 상기 제2시간간격(t2)은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푯값으로 평균값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균값을 사용하는 경우 도 4의 실시예에서 첫 번째 제2시간간격(t2)의 기울기(a11, a12, a13, a14, a15)의 대푯값은 1.8이고, 두 번째 제2시간간격(t2)의 대푯값은 0.4이고, 세 번째 제2시간간격(t2)의 대푯값은 0이고, 네 번째 제2시간간격(t2)의 대푯값은 0.8이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푯값으로 중앙값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앙값을 사용하는 경우 도 4의 실시예에서 첫 번째 제2시간간격(t2)의 대푯값은 2이고, 두 번째 제2시간간격(t2)의 대푯값은 1이고, 세 번째 제2시간간격(t2)의 대푯값은 0이고, 네 번째 제2시간간격(t2)의 대푯값은 1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측정된 기울기를 직접적인 자료로 사용하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간격(t2)동안 측정된 기울기의 대푯값을 사용하여 종합위험도를 판별함으로써, 노이즈 등에 의한 오류를 줄여 정확한 위험도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3시간간격(t3)동안 제1시간간격(t1)에 따라 측정된 기울기의 산포도를 도출하여 진동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3시간간격(t3)은 상기 제1시간간격(t1)의 20배이고, 상기 제2시간간격(t2)의 4배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시간간격(t1)은 0.2초이고, 상기 제2시간간격(t2)은 1초이고, 상기 제3시간간격(t3)은 4초일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이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시간간격(t1) 및 상기 제2시간간격(t2)은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시간간격(t1)은 0.2초이고, 상기 제2시간간격(t2)은 1초이고, 상기 제3시간간격(t3)은 60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산포도로 표준편차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준편차를 사용하는 경우 도 4의 실시예에서 제3시간간격(t3)의 산포도는 2.256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속도 센서나 진동 센서와 같이 진동을 직접적으로 감지하는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경사센서부(1200)에서 감지한 기울기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 즉 시간에 따라 측정된 기울기의 산포도를 통해 진동을 감지함으로써 구성을 간소화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3시간간격(t3)동안 제2시간간격(t2)에 따라 도출된 대푯값의 산포도를 도출하여 진동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평균값을 대푯값으로 사용하고, 표준편차를 산포도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3시간간격(t3)의 산포도는 0.669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측정된 기울기 자체가 아닌 제2시간간격(t2)에서의 대푯값의 산포도를 도출함으로써, 노이즈 등에 의한 오류를 줄여 정확한 진동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정확한 위험도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위험도판별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종합위험도판별부(1430)는 상기 진동위험도, 경사위험도, 상기 건물의 층수정보, 및 상기 건물의 연식정보에 기초하여 종합위험도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합위험도판별부(1430)는 종합위험도수치를 도출할 수 있고, 이는 하기의 식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종합위험도 = (제1계수 * 진동위험도 + 제2계수 * 경사위험도) * 층수정보 및 연식정보에 따른 제3계수
만약, 상기 경사위험도가 X축의 경사정보, Y축의 경사정보 및 Z축의 경사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2계수 * 경사위험도는 상기 제2계수 * (X 축의 경사위험도 + Y 축의 경사위험도 + Z 축의 경사위험도)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0)는 상기 층수정보 및 상기 연식정보에 따라 제3계수를 산출하는 테이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계수는 상기 층수정보 및 상기 연식정보에 의하여 도출될 수 있고, 이를 도출하는 테이블 정보는 하기 표 1과 같다.
0~10년 10~20년 20~30년 30~40년
5층 이하 1 1.2 1.4 1.6
6층 ~ 15층 1.3 1.5 1.7 1.9
16층 ~ 30층 1.6 1.8 2 2.2
30층 이상 1.9 2.1 2.3 2.5
즉, 상기 종합위험도는 건물층수정보, 건물연식정보, 진동위험도, 및 경사위험도가 각각 높아질수록 높아지는 수치에 해당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력저장부(1440)는, 계절 및/또는 기온에 따른 상기 경사정보의 변화를 분석하여 계절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종합위험도판별부(1430)는 상기 계절이력정보를 고려하여 종합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건물의 경우 기온에 따라 수축과 팽창이 일어나면서 벽면의 경사가 변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기온의 변화에 따른 벽면의 경사 변화를 이력저장부(1440)에 저장 된 이력에 기초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종합위험도를 산출하는데 반영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종합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단말(1000)은 기온을 감지하는 기온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기온정보를 획득하거나, 혹은 상기 관리서버(4000)로부터 기온정보를 전송 받아 기온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이력저장부(1440)는 상기 기온정보 및 상기 이력저장부(1440)에 저장 된 이력에 기초하여 기온에 따른 경사정보의 변화를 분석할 수도 있고, 혹은 날짜정보 및 상기 이력저장부(1440)에 저장 된 이력에 기초하여 계절에 따른 경사정보의 변화를 분석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관리서버(4000)는, 상기 감지단말(10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범위를 도출하는 위험범위판별부(4100); 상기 위험범위에 속하는 감지단말(1000)에 대하여 위험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제어부(4200); 및 상기 위험범위에 속하는 사용자단말기에 대하여 위험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알림부(4300); 를 포함한다.
상기 위험범위판별부(4100)는 상기 감지단말(1000)로부터 수신한 위험도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종합위험도 정보 및 상기 감지단말(1000)로부터 수신한 경사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X축 경사정보, Y축 경사정보 및 Z축 경사정보에 기초하여 위험범위를 도출한다.
이는 특정 감지단말(1000)이 설치된 해당 건물 혹은 해당 영역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추가적인 피해가 예상될 수 있는 영역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상기 단말제어부(4200)는 상기 위험범위에 속하는 감지단말(1000)에 대하여 위험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감지단말(1000) #1, 감지단말(1000) #2, 및 감지단말(1000) #3이 있는 경우에, 상기 감지단말(1000) #1이 위험을 판단하고, 관련정보를 관리서버(4000)에 전송한다.
이후 관리서버(4000)의 위험범위판별부(4100)는 수신한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위험범위를 도출한다. 이후 상기 단말제어부(4200)는 도출된 상기 위험범위에 속하는 감지단말(1000)을 식별하고, 이들에게 위험정보를 송신한다.
이후, 각각의 감지단말(1000)은 제어부(1400)의 동작에 의하여 위험표시부(13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정보는 위험하다는 것 자체 및/또는 위험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알림부(4300)는 상기 위험범위에 속하는 사용자단말기에 대하여 위험정보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단말알림부(4300)는,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험범위에 속하는 사용자단말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위험범위에 속하는 사용자단말기에게 현재 위험상태임을 알리는 푸시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GPS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이고, 사용자단말기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특정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관리서버(4000)의 요청 혹은 특정 시간 간격으로 현재의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400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해당 감지단말(1000)에 접속된 단말뿐만 아니라 불특정 다수의 관련 단말에 대해서도 위험 알림을 수행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범위판별부의 동작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위험범위판별부(4100)는, 상기 종합위험도에 기초하여 도출된 위험범위의 크기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경사센서부(1200)에 의하여 센싱 된 기울기정보에 기초하여 위험범위의 방향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범위의 크기 및 상기 위험범위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범위를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합위험도는 수치값을 포함하고, 상기 위험범위판별부(4100)는 상기 종합위험도의 수치값에 기초하여 위험범위의 크기를 산출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합위험도는 수치값을 포함하고, 상기 위험범위판별부(4100)는 상기 종합위험도의 수치값 및 상기 기울기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수치값 혹은 경사위험도를 모두 고려하여 위험범위의 크기를 산출한다.
이후, 상기 상기 위험범위판별부(4100)는 기울기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건물 혹은 구조체가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져있는지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건물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경우는 위험범위는 오른쪽 방향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서는 기울기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영역의 방향성을 북쪽으로 결정하여 이에 대한 위험영역을 도출하였고, 도 7의 (B)에서는 기울기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영역의 방향성을 남쪽으로 결정하여 이에 대한 위험영역을 도출한다.
위와 같은 위험영역을 도출한 후에, 상기 관리서버(4000)는 추가 알림을 수행하여야 할 감지단말(1000)들로서 위험영역에 위치하는 감지단말(1000)들을 도출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브라켓(2000)은, 상기 감지단말(1000)을 고정하는 감지단말고정부(2200); 상기 브라켓(2000)을 벽면에 부착하는 벽면부착부(2300); 및 상기 감지단말(1000)을 눈 및 비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2100);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부(2100)는, 상기 감지단말(1000)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면보호부(2110); 및 상기 감지단말(1000)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측면보호부(212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면보호부(2110)는 경사를 가짐으로써 빗물 및 눈으로부터 상기 감지단말(1000)을 보호하고, 눈이나 빗물이 고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면보호부(2110)는 상기 측면보호부(2120) 간의 간격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고 상기 상면보호부(2110)의 양측 단은 상기 측면보호부(2120)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상면보호부(2110)와 상기 측면보호부(2120)의 틈 사이로 눈이나 빗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보호부(2100)는 상기 상면보호부(2110) 및 상기 측면보호부(2120)가 없는 전면 및 하면은 오픈 되어 있어 상기 감지단말(1000)이 설치 된 상태로 사용자가 상기 감지단말(1000)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감지단말(1000)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정비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감지단말(1000)을 통해 위험을 표시할 때 용이하게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단말고정부(2200)는 상기 감지단말(1000)을 상기 브라켓(2000)에 고정시킨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단말고정부(2200)는 상기 브라켓(2000)에 구비된 볼트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감지단말(1000)은 상기 볼트구멍을 통해 체결부재(볼트 등)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브라켓(20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벽면부착부(2300)는 앵커볼트를 포함하여 건물의 벽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앵커볼트를 상기 감지단말(1000)을 설치할 벽면에 고정하여 상기 브라켓(2000)을 고정하여 감지단말(1000)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2000)은, 하나의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단말고정부(2200) 및 상기 벽면부착부(2300)가 구비되는 후면판재의 서로 마주 보는 양 측면에 각각 측면보호부(2120)가 마련되고, 상기 측면보호부(2120)가 마련되지 않은 후면판재의 일 측면에 상면보호부(2110)가 마련되고, 상기 측면보호부(2120) 및 상기 상면보호부(2110)를 상기 감지단말(1000)이 부착되는 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열화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위험 표시 장치를 확인 사용자뿐만 아니라 해당 건물에 위치 혹은 관련자들에게 모두 신속하게 알림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센서부만으로 진동을 판별하고 이를 위험도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정보의 측정 이력을 기록하여 위험 발생 시 위험의 원인을 판독하기 위하여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정보의 측정 이력을 기록하여 계절 또는 온도에 따라 변동하는 경사를 고려하여 위험도를 산출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단말을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브라켓에 보호부가 구비되어 비나 눈 등의 기상 환경으로부터 감지단말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단말의 설치 시 별도의 배선을 필요로 하지 않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삭제
  2. 건물에 배치될 수 있는 1 이상의 감지단말, 상기 감지단말을 건물에 부착하는 브라켓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으로서,
    상기 감지단말은,
    부착된 벽면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경사센서부;
    상기 경사센서부에서 센싱 된 값에 기초하여 해당 건물의 종합위험도를 도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도출된 종합위험도 혹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위험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혹은 청각적으로 위험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위험표시부; 및
    상기 관리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감지단말을 고정하는 감지단말고정부;
    상기 브라켓을 벽면에 부착하는 벽면부착부; 및
    상기 감지단말을 눈 및 비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감지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범위를 도출하는 위험범위판별부;
    상기 위험범위에 속하는 감지단말에 대하여 위험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제어부; 및
    상기 위험범위에 속하는 사용자단말기에 대하여 위험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알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센서부는,
    기설정된 제1시간간격에 따라 측정된 벽면의 기울기를 상기 감지단말의 초기 설치 시 측정된 기울기와 비교하여 경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사센서부에서 기설정된 제2시간간격동안 측정된 경사정보의 대푯값에 기초하여 경사위험도를 도출하는 경사위험도판별부;
    상기 경사센서부에서 기설정된 제3시간간격동안 측정된 경사정보의 산포도에 기초하여 진동위험도를 도출하는 진동위험도판별부; 및
    상기 진동위험도, 경사위험도, 상기 건물의 층수정보, 및 상기 건물의 연식정보에 기초하여 종합위험도를 산출하는 종합위험도판별부; 를 포함하는,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종합위험도판별부는,
    상기 경사정보의 대푯값이 기설정된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종합위험도를 높게 산출하고,
    상기 경사정보의 산포도가 기설정된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경사정보의 대푯값이 기설정된 제2기준값 이상이더라도 기설정된 제4시간간격동안 상기 제2기준값 이상으로 유지되지 않는 경우 종합위험도를 낮게 산출하는,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에 따라 측정된 상기 경사정보를 저장하는 이력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력저장부는,
    계절에 따른 상기 경사정보의 변화를 분석하여 계절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종합위험도판별부는 상기 계절이력정보를 고려하여 종합위험도를 산출하는,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
  5. 삭제
KR1020190136631A 2019-10-30 2019-10-30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 KR102076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631A KR102076749B1 (ko) 2019-10-30 2019-10-30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631A KR102076749B1 (ko) 2019-10-30 2019-10-30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749B1 true KR102076749B1 (ko) 2020-02-12

Family

ID=6956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631A KR102076749B1 (ko) 2019-10-30 2019-10-30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7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522B1 (ko) 2020-10-21 2021-01-22 주식회사 케이벨 온도변화를 고려한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
KR102651990B1 (ko) * 2023-11-08 2024-03-27 주식회사 심플비트 이벤트 기반 시설물 위험성 평가 및 액션리스트 기반 자동 대응 시스템 및 시설물 위험 관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4967A (ja) * 1995-03-24 1996-10-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ビル設備監視機器の固定構造
KR20110086997A (ko) * 2010-01-25 2011-08-02 경남정보대학산학협력단 전기식 센서를 사용한 경사도 계측에 의한 원격관리용 구조물 안정성 감시 시스템
KR101613307B1 (ko) 2015-08-17 2016-04-29 희 남 건물 위험 상황 통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4967A (ja) * 1995-03-24 1996-10-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ビル設備監視機器の固定構造
KR20110086997A (ko) * 2010-01-25 2011-08-02 경남정보대학산학협력단 전기식 센서를 사용한 경사도 계측에 의한 원격관리용 구조물 안정성 감시 시스템
KR101613307B1 (ko) 2015-08-17 2016-04-29 희 남 건물 위험 상황 통지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522B1 (ko) 2020-10-21 2021-01-22 주식회사 케이벨 온도변화를 고려한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
KR102651990B1 (ko) * 2023-11-08 2024-03-27 주식회사 심플비트 이벤트 기반 시설물 위험성 평가 및 액션리스트 기반 자동 대응 시스템 및 시설물 위험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4930A1 (en) Building integrity assessment system
JP6082191B2 (ja) 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1062721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onitoring movement of physical structures by laser deflection
KR102076749B1 (ko)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
JP6058885B2 (ja) 危険な状態を検出するロケーションベースの無線システム
US20170102234A1 (en) Enhanced power transmission tower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or overhead power systems
KR101832337B1 (ko)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US20180375316A1 (en) Utility pole with tilt meters and related methods
US7071701B2 (en) Online fiber optic sensor for detecting partial discharge and similar events in large utility station transformers and the like
KR101815121B1 (ko) 통합 스마트 센서 및 관제서버를 통한 건축물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US11615699B2 (en) Smoke detector availability test
JP2009093594A (ja) 防災監視システム及び防災監視方法
WO2021190004A1 (zh) 一种基坑施工中人员定位系统及风险评估方法
KR102097039B1 (ko) 공간정보 기반의 지능형 구조물 안전 모니터링 플랫폼
JP4405658B2 (ja) 住宅管理方法
KR101910892B1 (ko) IoT 기반의 모바일 스마트 태양광 발전 관리 시스템
KR101497539B1 (ko) 이중 구조의 암실을 갖는 연기 감지기
JP6664642B2 (ja) 動作検知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TWI679400B (zh) 建築物結構安全的偵測系統及方法
KR20180061091A (ko) 센서를 이용한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KR101933670B1 (ko) 건축공정에서 시공되는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KR101543383B1 (ko) 센서를 이용하여 레이더의 베어링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KR101497107B1 (ko) 건물 안전도 측정시스템
JP4701759B2 (ja) 免震効果評価装置、振動測定システム
KR102206522B1 (ko) 온도변화를 고려한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