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081B1 -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안정성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안정성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081B1
KR102144081B1 KR1020190118708A KR20190118708A KR102144081B1 KR 102144081 B1 KR102144081 B1 KR 102144081B1 KR 1020190118708 A KR1020190118708 A KR 1020190118708A KR 20190118708 A KR20190118708 A KR 20190118708A KR 102144081 B1 KR102144081 B1 KR 102144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module
stability
wal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구
Original Assignee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18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4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 안정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듈 및 옹벽 안정성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옹벽의 내부에 설치되어 옹벽의 물리적 및 전기적 변화량의 값을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모듈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안정성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안정성 측정방법 {Module for monitoring the stability of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the stabiligy of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옹벽 안정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듈 및 옹벽 안정성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옹벽의 내부에 설치되어 옹벽의 물리적 및 전기적 변화량의 값을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모듈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안정성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擁壁)은 흙이 자체의 압력에 의하여 무너지지 않도록 조성한 벽체로서, 깎기 또는 쌓기를 한 비탈면이 흙의 압력으로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한 벽체이다.
이러한 옹벽은 수압이나 토압 등에 저항하여 사면이 무너지지 않도록 벽 자체의 무게와 바닥면의 마찰력 등을 이용하여 안정을 유지하는 항토압 구조물이며, 벽에 작용하는 수압이나 토압과 그 흙 위에 실린 하중, 지지력, 지반의 지지력 등을 조건으로 하여 구조부재의 안전성과 벽 전체가 쓰러지거나 미끄러지는 데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옹벽을 조성하는 재료에 따라서 철근 콘크리트조, 철근을 사용하지 않은 콘크리트조, 벽돌조, 석조 등이 있다.
그런데, 옹벽은 하절기 집중호우나 해빙기 또는 지진 등으로 발생되는 산사태나 토석류로 인하여 붕괴될 가능성이 있으며, 붕괴시 옹벽 하부에 조성된 도로나 시설물은 물론 인명 피해가 야기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옹벽의 붕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기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지중의 변위, 경사, 지표의 변위, 경사 및 지중의 지하수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판독하여 송출하는 복수의 독립 로거; 우량계와 강우감지센서를 구비하는 중앙 로거; 상기 독립 로거 및 상기 중앙 로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들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니터링 서버; 및 상기 독립 로거 및 상기 중앙 로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독립 로거와 상기 중앙 로거의 작동을 제어하는 관리자용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 10-2008-93715 호의 강우에 의한 사면 붕괴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지기술은 센서에 의하여 지중 및 지표의 변위와 경사만을 이용하는 단순한 방법이며, 더구나, 붕괴 감시가 우천시에만 한정되는 제약이 있는 기술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93715
본 발명은 집중호우, 해빙기 그리고 자연 재해에 옹벽의 붕괴를 방지하고자 옹벽의 안정성을 모니터링하기위한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모듈을 이용하여 옹벽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토압의 변화를 3가지 계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옹벽의 안정성 모니터링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용 모듈은, 옹벽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듈로서, 상기 모듈은 옹벽의 물리적 및 전기적 변화량의 값을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듈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비저항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탄성파 측정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토압 측정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듈은, 상기 센서들로부터 발생된 센서신호들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옹벽 모니터링 방법은, 옹벽의 물리적 및 전기적 변화량의 값을 센서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센싱하고, 해당 센서 신호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여 옹벽의 안정성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전기비저항 측정센서이고, 상기 전기비저항 측정센서에 의하여 발생된 전기비저항 값의 변화량에 따라서 옹벽의 안정성을 모니터링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탄성파 측정센서이고, 상기 탄성파 측정센서에 의하여 발생된 탄성파 값의 변화량에 따라서 옹벽의 안정성을 모니터링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토압 측정센서이고, 상기 토압 측정센서에 의하여 발생된 토압 변화량에 따라서 옹벽의 안정성을 모니터링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에 전기비저항 측정센서, 탄성파 측정센서, 토압 측정센서 및 통신부를 내장한 모듈을 이용하여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을 실시하기 위한 실내 실험 방법으로서, 상기 모듈을 설치할 수 있는 모형 옹벽을 구비하되, 상기 모형 옹벽은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적층된 제 1 벽체, 제 2 벽체, 제 3 벽체, 제 4 벽체 및 제 5 벽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모듈을 상기 모형 옹벽의 어느 하나의 벽체 내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모형 옹벽을 붕괴시켜, 상기 전기비저항 측정센서, 탄성파 측정센서, 토압 측정센서의 센서 신호들을 분석하여 모형 옹벽의 안정성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을 위한 실내 실험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안정성 측정방법은, 모듈을 이용하여 3 가지 계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옹벽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토압의 변화를 측정하게 되므로,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을 이용하여 옹벽의 안정성을 실시간으로 평가함으로써 도로 및 시설물의 안전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을 이용한 옹벽 안정성 측정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옹벽의 상태 평가를 경제적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옹벽 안정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듈의 사시도 및 블럭다이어그램,
도 2 는 본 발명의 옹벽 안정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형 옹벽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모듈을 이용하여 측정한 그래프로서, 도 3 의 (a)는 건조조건에서의 압축파의 에너지 손실의 그래프, 도 3 의 (b)는 건조조건에서의 전기비저항 변화량의 그래프, 도 3 의 (c)는 건조조건에서의 토압 변화량의 그래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모듈을 이용하여 측정한 그래프로서, 도 4 의 (d)는 포화조건에서의 압축파의 에너지 손실의 그래프, 도 4 의 (e)는 포화 조건에서의 전기비저항 변화량의 그래프, 도 4 의 (f)는 포화 조건에서의 토압 변화량의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안정성 측정방법의 구성을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옹벽 안정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듈(1)은 옹벽의 내부에 설치되어 옹벽의 물리적 및 전기적 변화량의 값을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모듈(1)은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10)의 내부에 전기비저항 측정센서(20), 탄성파 측정센서(30) 및 토압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는 토압 측정센서(4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모듈(1)은 가로, 세로 및 높이의 길이가 각각 5 cm 인 정육면체 형상의 하우징(10)을 이용하였다.
또한, 상기 전기비저항 측정센서(20), 탄성파 측정센서(30) 및 토압변화량센서(40)로부터 생성되는 센서신호들은 하우징(10)에 내장된 통신부(50)에 의하여 모듈(1) 외부의 서버(미도시)로 전송되고, 서버는 수신된 상기 센서신호들을 분석하여 옹벽의 안정성을 모니터링하게 된다. 상기 통신부(50)는 공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이 모두 이용가능하다.
도 2 는 본 발명의 옹벽 안정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형 옹벽의 단면도이다.
상기 모형 옹벽(100)은 본 발명의 모듈(1)을 이용한 실내 실험을 진행하기 위한 토조 및 옹벽의 모형으로서, 본 발명 실시예의 모형 옹벽(100)은 폭 15cm, 높이 30cm 이고, 모형 옹벽(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적층된 제 1 벽체(w1), 제 2 벽체(w2), 제 3 벽체(w3), 제 4 벽체(w4) 및 제 5 벽체(w5)를 가지고 있으며, 각 벽체들의 설치지점에서 토조의 붕괴가 발생될 경우를 측정 모사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모듈(1) 및 모형 옹벽(100)을 이용하여 옹벽 안정성 측정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옹벽 안정성 측정방법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전기비저항 측정센서(20), 탄성파 측정센서(30), 토압 측정센서(40) 및 통신부(50)를 내장한 모듈(1)을 옹벽에 설치하고, 상기 모듈(1)로부터 발생되는 센서신호들을 분석하여 옹벽의 안정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모듈을 이용하여 측정한 그래프로서, 도 3 의 (a)는 건조조건에서의 압축파의 에너지 손실의 그래프, 도 3 의 (b)는 건조조건에서의 전기비저항 변화량의 그래프, 도 3 의 (c)는 건조조건에서의 토압 변화량의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모듈(1)을 이용하여 옹벽의 변형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기 위하여 상기 모형 옹벽(100)을 이용하여 옹벽의 모니터링을 실내 실험을 하였으며, 전기비저항 측정센서(20)를 이용하여 전자기적인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탄성파 측정센서(30)를 이용하여 압축파의 속도를 측정하였으며, 토압변화량센서(40)를 이용하여 옹벽의 변형률을 측정하였다.
또한, 건조상태조건일 경우 실험이 제한적임을 고려하여 모듈(1)의 위치를 모형 옹벽(100)의 중간 위치인 제 3 벽체(w3)의 내측 구간에 설치한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제 4 벽체(w4) 위치 지점에서 옹벽을 붕괴시켜, 모듈(1)로부터 발생된 센서 신호를 모니터링하였다.
그 결과, 도 3 의 (a)의 건조조건에서의 압축파의 에너지 손실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모듈(1)을 설치한 제 3 벽체(w3)의 하부에 위치한 제 4 벽체(w4)의 위치에서 압축파의 에너지 손실이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3 의 (b)의 건조조건에서의 전기비저항 변화량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모듈(1)을 설치한 제 3 벽체(w3)의 하부에 위치한 제 4 벽체(w4)의 위치에서 전기비저항의 값이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3 의 (c)의 건조조건에서의 토압 변화량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모듈(1)을 설치한 제 3 벽체(w3)의 하부에 위치한 제 4 벽체(w4)의 위치에서 토압이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모듈(1)로부터 발생된 각 센서들의 센서신호를 토대로 모형 옹벽(100)의 안정성을 모니터링한 결과, 건조조건에서는 공통적으로 모듈(1)의 설치위치인 제 3 벽체(w3)의 하부 위치인 제 4 벽체(w4)에서 각 신호들의 값이 최대값으로 측정되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옹벽 모니터링용 모듈(1)의 설치위치가 옹벽의 인위적인 붕괴 위치와 근접할수록 센서신호의 변화량이 크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 결과는 본 발명의 모듈(1)이 모형 옹벽(100)의 붕괴 직전의 상황을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옹벽의 포화 조건에서의 본 발명의 모듈(1)를 이용한 옹벽의 모니터링 실험을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모듈을 이용하여 측정한 그래프로서, 도 4 의 (d)는 포화조건에서의 압축파의 에너지 손실의 그래프, 도 4 의 (e)는 포화 조건에서의 전기비저항 변화량의 그래프, 도 4 의 (f)는 포화 조건에서의 토압 변화량의 그래프이다.
포화조건일 경우의 실험 역시 전술한 건조 조건일 경우의 실험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모듈(1)을 이용하여 옹벽의 변형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기 위하여 상기 모형 옹벽(100)을 이용하여 옹벽의 모니터링을 실내 실험을 하였으며, 전기비저항 측정센서(20)를 이용하여 전자기적인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탄성파 측정센서(30)를 이용하여 압축파의 속도를 측정하였으며, 토압측정센서(40)를 이용하여 옹벽의 변형률을 측정하였다.
또한, 포화상태조건일 경우도 마찬가지로 실험이 제한적임을 고려하여 모듈(1)의 위치를 모형 옹벽(100)의 최상부에 위치한 제 1 벽체(w1)의 바로 하측에 위치한 제 2 벽체(w2)의 내측에 설치하고 제 3 벽체(w3)를 인위적으로 붕괴시켜 실험을 실시하고, 다음으로 모듈(1)을 제 2 벽체(w2)의 하측에 위치한 제 3 벽체(w3)의 내측에 설치하여 실험을 실시하고 제 4 벽체(w4)를 인위적으로 붕괴시켜 실험을 실시하고, 다음으로 모듈(1)을 제 3 벽체(w3)의 하측에 위치한 제 4 벽체(w4)의 내측에 설치하고 제 5 벽체(w5)를 인위적으로 붕괴시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4 의 (d)의 포화조건에서의 압축파의 에너지 손실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제 2 벽체(w2)의 모듈을 설치한 경우의 그래프(청색 그래프)의 값이 붕괴전(점선)보다 붕괴후(실선) 제 3 벽체(w3)의 위치에서 압축파의 에너지 손실이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제 3 벽체(w3)의 모듈을 설치한 경우의 그래프(녹색 그래프)의 값이 붕괴전(점선)보다 붕괴후(실선) 제 4 벽체(w4)의 위치에서 압축파의 에너지 손실이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제 4 벽체(w4)의 모듈을 설치한 경우의 그래프(적색 그래프)의 값이 붕괴전(점선)보다 붕괴후(실선) 제 5 벽체(w5)의 위치에서 압축파의 에너지 손실이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도 4 의 (e)의 포화조건에서의 전기비저항 변화량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제 2 벽체(w2)의 모듈을 설치한 경우의 그래프(청색 그래프)의 값이 붕괴전(점선)보다 붕괴후(실선) 제 3 벽체(w3)의 위치에서 전기비저항값이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제 3 벽체(w3)의 모듈을 설치한 경우의 그래프(녹색 그래프)의 값이 붕괴전(점선)보다 붕괴후(실선) 제 4 벽체(w4)의 위치에서 전기비저항값이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제 4 벽체(w4)의 모듈을 설치한 경우의 그래프(적색 그래프)의 값이 붕괴전(점선)보다 붕괴후(실선) 제 5 벽체(w5)의 위치에서 전기비저항값이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이어서, 도 4 의 (f)의 포화조건에서의 토압 변화량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제 2 벽체(w2)의 모듈을 설치한 경우의 그래프(청색 그래프)의 값이 붕괴전(점선)보다 붕괴후(실선) 제 3 벽체(w3)의 위치에서 토압이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제 3 벽체(w3)의 모듈을 설치한 경우의 그래프(녹색 그래프)의 값이 붕괴전(점선)보다 붕괴후(실선) 제 4 벽체(w4)의 위치에서 토압이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제 4 벽체(w4)의 모듈을 설치한 경우의 그래프(적색 그래프)의 값이 붕괴전(점선)보다 붕괴후(실선) 제 5 벽체(w5)의 위치에서 토압이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술한 포화조건에서의 본 발명의 모듈(1)의 모형 옹벽(100)의 안정성의 모니터링 결과는 전술한 건조조건에서의 모형 옹벽(100)의 안정성 모니터링 결과와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었는 바, 공통적으로 모듈(1)의 설치위치의 바로 하부 위치인 제 3 벽체(w3), 제 4 벽체(w4) 및 제 5 벽체(w5)에서 각 신호들의 값이 최대값으로 측정되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옹벽 모니터링용 모듈(1)의 설치위치가 옹벽의 인위적인 붕괴 위치와 근접할수록 센서신호의 변화량이 크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모듈(1)이 전술한 건조 조건 뿐만 아니라 포화 조건에서도 모형 옹벽(100)의 붕괴 직전의 상황을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 모듈(1)이 모형 옹벽(100)의 인위적인 붕괴 위치와의 차이가 클수록 측정된 결과의 변화량이 작게 나타난다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모듈(1)이 건조와 포화토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외부의 이벤트(붕괴 등) 발생시 옹벽 내부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유추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결과를 가지는 본 발명의 모듈(1)을 옹벽의 “안정성 통신 모듈”이라는 의미에서 "Safety Connection Module" (SCM)이라 명명하였으며, 본 발명의 모듈(1)은 역학적 및 전자기적 센서가 결합된 모듈로서, 옹벽의 안정성 평가용으로 신뢰성 높은 거동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 본 발명 옹벽모니터링용 모듈
10; 하우징
20; 전기비저항 측정센서
30; 탄성파 측정센서
40; 토압 측정센서
50; 통신부

Claims (10)

  1. 옹벽의 내부에 설치되며 직육면체 형상인 하우징(10) 및,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비저항 측정센서(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듈(1)로서,
    상기 모듈(1)은 옹벽의 물리적 및 전기적 변화량의 값을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전기비저항 측정센서(20)는 상기 옹벽 내부의 전자기적인 변화를 측정하고,
    상기 옹벽이 변형되는 경우, 상기 전기비저항 측정센서(20)의 센서신호 변화량을 측정하여 상기 전기비저항 측정센서(20)와 상기 옹벽의 붕괴 위치 간 근접 정도를 분석하며, 전기비저항 측정센서(20)의 센서신호의 형상 분석으로 상기 옹벽 내 토양에 대해 건조토 또는 포화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용 모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1)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 탄성파 측정센서(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용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1)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 토압 측정센서(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용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1)은,
    상기 센서(20,30,40)들로부터 발생된 센서신호들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용 모듈.
  6. 청구항 1의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용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옹벽의 물리적 및 전기적 변화량의 값을 센서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센싱하고, 해당 센서 신호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여 옹벽의 안정성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 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탄성파 측정센서(30)이고,
    상기 탄성파 측정센서(30)에 의하여 발생된 탄성파 값의 변화량에 따라서 옹벽의 안정성을 모니터링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토압 측정센서(40)이고,
    상기 토압 측정센서(40)에 의하여 발생된 토압 변화량에 따라서 옹벽의 안정성을 모니터링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 방법.
  10. 청구항 1의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용 모듈을 이용하여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을 실시하기 위한 실내 실험 방법으로서,
    상기 모듈(1)을 설치할 수 있는 모형 옹벽(100)을 구비하되, 상기 모형 옹벽(100)은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적층된 제 1 벽체(w1), 제 2 벽체(w2), 제 3 벽체(w3), 제 4 벽체(w4) 및 제 5 벽체(w5)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모듈(1)을 상기 모형 옹벽(100)의 어느 하나의 벽체 내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모형 옹벽(100)을 붕괴시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전기비저항 측정센서(20), 탄성파 측정센서(30), 토압 측정센서(40)의 센서 신호들을 분석하여 모형 옹벽(100)의 안정성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을 위한 실내 실험 방법.
KR1020190118708A 2019-09-26 2019-09-26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안정성 측정방법 KR102144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708A KR102144081B1 (ko) 2019-09-26 2019-09-26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안정성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708A KR102144081B1 (ko) 2019-09-26 2019-09-26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안정성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081B1 true KR102144081B1 (ko) 2020-08-13

Family

ID=72043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708A KR102144081B1 (ko) 2019-09-26 2019-09-26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안정성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0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723A (ko) * 2021-02-19 2022-08-2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옹벽관리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2441680B1 (ko) * 2022-04-21 2022-09-08 (주)성지콘크리트 재난방지용 콘크리트 옹벽블록 운영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6899A (ja) * 1996-01-19 1997-07-31 Hitachi Eng & Services Co Ltd 土壌移動状況検出方法、土壌内状況検出器、土壌内状況監視装置
JP2000046597A (ja) * 1998-07-28 2000-02-18 Hitachi Ltd 河川堤防広域遠方監視システム、河川広域遠方総合監視システム
KR20080093715A (ko) 2007-04-18 2008-10-22 (주)바이텍코리아 강우에 의한 사면 붕괴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KR20140131125A (ko) * 2013-05-03 2014-11-12 권영억 매립형 변위계를 이용한 터널변위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6899A (ja) * 1996-01-19 1997-07-31 Hitachi Eng & Services Co Ltd 土壌移動状況検出方法、土壌内状況検出器、土壌内状況監視装置
JP2000046597A (ja) * 1998-07-28 2000-02-18 Hitachi Ltd 河川堤防広域遠方監視システム、河川広域遠方総合監視システム
KR20080093715A (ko) 2007-04-18 2008-10-22 (주)바이텍코리아 강우에 의한 사면 붕괴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KR20140131125A (ko) * 2013-05-03 2014-11-12 권영억 매립형 변위계를 이용한 터널변위 측정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723A (ko) * 2021-02-19 2022-08-2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옹벽관리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2468891B1 (ko) * 2021-02-19 2022-11-1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옹벽관리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2441680B1 (ko) * 2022-04-21 2022-09-08 (주)성지콘크리트 재난방지용 콘크리트 옹벽블록 운영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081B1 (ko) 옹벽 안정성 모니터링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안정성 측정방법
US10526763B2 (en) Structural foundation monitoring sensor system
EP3450630B1 (en) Geomorphological structure monitoring system
JP3894494B2 (ja) 土砂災害予知システム、地域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土砂災害予知方法
US11022721B2 (en) Spatially diverse snowpack sensing system
JP5473760B2 (ja) 間隙水圧測定装置、それを用いた軟弱地盤の改良工法、地下埋設物が埋設される地盤の動態把握方法、及び盛土構造物が造成される地盤の動態把握方法
JP5369027B2 (ja) 土留構造物の安全性評価方法
KR100812389B1 (ko) 사면 붕괴 감시를 위한 측정방법
CN106033637A (zh) 无线缆、可长期独立工作的滑坡灾害监测预警方法及系统
KR20110050046A (ko) 진동센서를 이용한 토석류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674866B1 (ko) 토석류 모니터링 시스템
US5783945A (en) Earthquake forecast method and apparatus with measurement of electrical, temperature and humidity parameters of soil
CN107269015A (zh) 一种基于市政道路工程的基坑安全防护装置
CN110144898A (zh) 基坑工程施工安全实时报警系统及方法
KR101191131B1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의 변위 계측장치
CN204112362U (zh) 一种可检测土压力的路基挡土墙
KR102321116B1 (ko) 비탈면 붕괴 감지 시스템
KR100798473B1 (ko) 지피에스 측량결과의 데이터 편차를 이용하는 지형지물의변경확인시스템
KR101204424B1 (ko) 하천제방 붕괴 방지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US20080092656A1 (en) System for Monitoring Level Variations in a Soil Subjected to Erosive and Sedimentary Agents, and Monitoring Method and Element
CN108230626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泥石流预警系统
KR101390171B1 (ko) 변형률계를 이용한 사방댐, 변형률계를 이용한 사방댐 유지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지관리 방법
CN207992771U (zh) 一种智能高桩码头损伤监测系统
Scott et al. The use of moisture probes to infer changes in suction due to controlled inundation behind a full scale trial retaining wall
JP2019002732A (ja) 地滑り検知部材および地滑り検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