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615A -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615A
KR20200061615A KR1020180147127A KR20180147127A KR20200061615A KR 20200061615 A KR20200061615 A KR 20200061615A KR 1020180147127 A KR1020180147127 A KR 1020180147127A KR 20180147127 A KR20180147127 A KR 20180147127A KR 20200061615 A KR20200061615 A KR 20200061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liquefied gas
heat exchange
fluid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1620B1 (ko
Inventor
심재홍
Original Assignee
심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홍 filed Critical 심재홍
Priority to KR1020180147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6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9/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vaporation of a refrigerant but without recovery of the vapour
    • F25B19/005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vaporation of a refrigerant but without recovery of the vapour the refrigerant being a liquefied ga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28D7/10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consisting of two coaxial conduits or modules of two coaxial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28F2009/222Particular guide plates, baffles or deflectors, e.g. having particular orientation relative to an elongated casing or conduit
    • F28F2009/228Oblique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액화가스를 이용하여 종래의 냉각장치에 사용되는 압축기, 발전기 대비 규모가 작고, 보다 나은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는 열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가 저장된 수조; 수조에 설치되고, 유체가 순환하는 제1라인; 유체라인에 설치되어 유체를 유동시키는 순환펌프; 액화가스가 저장된 가스탱크; 가스탱크에 설치되고, 액화가스가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제2라인; 및 제1라인과 제2라인이 설치되고, 액화가스가 유체와 열교환되어 기화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HEAT EXCHANGE SYSTEM USING LIQUEFIED GAS}
본 발명은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액화가스를 이용하여 종래의 냉각장치에 사용되는 압축기, 발전기 대비 규모가 작고, 보다 나은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는 열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자재가 보관되는 냉장고, 활어를 담는 어수조(魚水槽), 어수조를 탑재한 활어운송차량 등과 같이 물품의 신선도를 위해 냉각장치가 설치된다.
이 중, 활어운송차량을 기준하여 설명하면, 활어 수송 시 활어의 폐사는 어수조 내의 물의 동요에 의한 어체의 상호접촉, 수벽과의 충돌 등 물리적 충격과 CO2 농도 증가, 탁도 증가, pH증가, 수온 등 화학적 요인 및 활어 대사율의 증가 등 생리학적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요인 중 다른 요인들을 위험 수준으로 끌어 올리는 것은 수온의 상승으로, 수온의 상승에 따라 DO 결핍, 대사량 증가 및 이에 따른 대사노폐물 발생량 증가와 이에 따른 수중 암모니아 독성 증가, 호흡에 의한 CO2의 농도 증가 및 이에 따른 pH 저하를 유발하여 집단 폐사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활어 수송 중 폐사를 감소시키기 위해 어수조의 수온을 제어할 수 있는 냉각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며, 현재 개발되어 사용되는 활어운송차량은 어수조를 단열처리한 운송차량과 내부에 별도의 열교환기를 설치한 차량이 있다.
여기서, 별도의 냉각장치를 설치한 차량은 주로 일본에서 도입된 차량으로 20톤 이상의 차량이다.
국내에도 별도의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어수조의 온도를 제어하고자 하는 기술 개발이 시도된 바 있으나, 냉각을 위해 2.5~3.7㎾의 별도의 냉매 압축용 압축기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발전기를 차량에 설치하여 장치를 구동하여야 하므로 20톤 미만의 차랑에서는 적용할 수 없어 포기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236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액화가스를 이용하여 종래의 냉각시스템에 사용되는 압축기, 발전기 대비 규모가 작고, 보다 나은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는 열교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체가 저장된 수조; 수조에 설치되고, 유체가 순환하는 제1라인; 유체라인에 설치되어 유체를 유동시키는 순환펌프; 액화가스가 저장된 가스탱크; 가스탱크에 설치되고, 액화가스가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제2라인; 및 제1라인과 제2라인이 설치되고, 액화가스가 유체와 열교환되어 기화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열교환기는 제1라인 간에 설치되고, 내부를 따라 유체가 유동하는 하우징; 제2라인의 일부분이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우징을 관통하여 하우징에 유입되는 유체에 접하는 열교환부; 및 열교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열교환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2라인에 설치되어 열교환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가 저장된 수조; 수조에 설치되고, 유체가 순환하는 제1라인; 액화가스가 저장된 가스탱크; 가스탱크에 설치되고, 액화가스가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제2라인; 제1라인과 제2라인이 설치되고, 액화가스가 유체와 열교환되어 기화되는 열교환기; 및 제2라인에 설치되고, 열교환기에 유입되는 유체를 유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열교환기는 제1라인 간에 설치되고, 내부를 따라 유체가 유동하는 하우징; 제2라인의 일부분이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우징을 관통하여 하우징에 유입되는 유체에 접하고,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열교환부; 및 열교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열교환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라인의 배출라인에 설치되는 압력제어밸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은 종래의 압축기 및 발전기 대신 상대적을 규모가 작은 액화가스를 이용한 열교환기를 통해 수조내 유체를 냉각할 수 있어서 20톤 미만의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수조에 저장된 유체가 해수인 경우, 액화가스의 1톤의 해수 1도 냉각 시 필요한 액화가스는 기화열만을 고려하였을 때 약 20㎏(26L)만을 필요로 하며, 1,300원 미만의 액화가스 비용(1L당 500원)만이 소요되므로 가솔린 등을 이용하여 발전기, 압축기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냉각장치에 비하여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열교환기에서 플랜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열교환기에서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연결라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주입라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연결라인에서 주입라인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연결라인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배출라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a,b는 도 1, 6, 12에 도시된 수조, 열교환기, 가스탱크가 활어 운송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100, 이하, '시스템'이라 함)은 유체가 저장된 수조(110)와, 상기 수조(110)에 설치되고, 유체가 순환하는 제1라인(12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조(110)에 저장된 유체는 해수, 식수 등을 비롯한 냉각이 필요한 공지의 액상 물질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라인(120)은 폐회로로써, 상기 수조(110)에서 인출되는 유체는 상기 제1라인(120)을 순환하여 다시 상기 수조(110)로 회귀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제1라인(120)에 설치되어 유체를 유동시키는 순환펌프(130)와, 액화가스가 저장된 가스탱크(160)와, 상기 가스탱크(160)에 설치되고, 액화가스가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제2라인(14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순환펌프(130)는 상기 수조(110)에 저장된 유체를 상기 제1라인(120)을 통해 강제 인출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2라인(140)은 개회로로써, 상기 가스탱크(160)에 저장된 액화가스는 상기 제2라인(140)을 통해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제1라인(120)과 제2라인(140)이 설치되고, 액화가스가 유체와 열교환되어 기화되는 열교환기(15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열교환기에서 플랜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열교환기에서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기(150)는 상기 제1라인(120) 간에 설치되고, 내부를 따라 유체가 유동하는 하우징(151)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51)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라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태의 파이프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51)의 단면은 원형에 한정하지 않고, 사각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51)의 일측에는 상기 수조(110)에 저장된 유체가 상기 제1라인(12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유입구(153), 타측에는 상기 하우징(151)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가 상기 제1라인(120)으로 유출되는 유체유출구(1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50)는 상기 제2라인(140)의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151)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51)에 유입되는 유체에 접하는 열교환부(143)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15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하우징(151)을 밀폐하기 위한 플랜지(154)가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랜지(154)는 상기 하우징(151)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1플랜지(154b)와, 상기 열교환부(143)를 감싸고 상기 제1플랜지(154b)에 밀착되는 제2플랜지(154a)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2플랜지(154a,b)는 상호 밀착된 상태로 볼트체결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51)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50)는 상기 열교환부(1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열교환부(14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부(156)를 포함한다.
즉, 상기 나선부(156)를 통해 상기 하우징(151)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열교환 면적이 보다 확보되고, 나아가 유체의 유동경로 및 유동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열교환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라인(120)은 상기 수조(110)와 순환펌프(130) 간에 설치되는 초입라인(121), 상기 순환펌프(130)와 유체유입구(153) 간에 설치되는 중간라인(122), 상기 유체유출구(152)와 수조(110) 간에 설치되는 말단라인(123)을 포함한다.
상기 제2라인(140)은 상기 열교환부(143) 외에, 일측 단부가 상기 가스탱크(160)에 설치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열교환부(143)에 연결되는 주입라인(141), 일측 단부가 상기 열교환부(143)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개방된 배출라인(142)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100)은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가스탱크(160), 순환펌프(130)를 제어하는 제어반(170)을 더 포함한다.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수조(110), 열교환기(150), 제1라인(120,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유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반(170)은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과 기설정된 온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순환펌프(130)의 구동여부 및 상기 가스탱크(160)의 개폐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제어한다.
즉,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온도값 초과일 경우, 상기 가스탱크(160)를 개방하여 액화가스를 상기 제2라인(140)을 통해 유동시켜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순환펌프(130)를 구동하여 상기 수조(110)에 저당된 유체를 상기 제1라인(120)을 통해 상기 열교환기(150)로 유동시키고, 상기 열교환기(150)에 유입된 유체는 상기 나선부(156)가 형성된 상기 열교환부(143)에 접촉한 후 다시 말단라인(123)을 통해 상기 수조(110)로 유입된다.
여기서, 액화가스와 유체가 상기 열교환부(143)를 매채로 열교환이 진행됨에 따라 유체가 냉각되고, 액화가스가 기화된다.
기화된 액화가스는 상기 배출라인(14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종래의 냉각장치에 사용되는 압축기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발전기가 배제될 수 있고, 나아가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인 상기 시스템을 통해 보다 용이하여 활어수송차량에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수조에 저장된 유체가 해수인 경우, 액화가스의 1톤의 해수 1도 냉각 시 필요한 액화가스는 기화열만을 고려하였을 때 약 20㎏(26L)만을 필요로 하며, 1,300원 미만의 액화가스 비용(1L당 500원)만이 소요되므로 가솔린 등을 이용하여 발전기, 압축기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냉각장치에 비하여 경제적이다.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온도값 이하일 경우, 상기 제어반(170)이 상기 가스탱크(160)의 패쇄 및 상기 순환펌프(130)의 정지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가스탱크(160)를 패쇄하고 상기 순환펌프(130)의 구동을 정지하여 액화가스와 유체간 열교환을 중지시킨다.
이하,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시스템의 제1실시예서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애 도시된 열교환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7을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100')은 전술된 제1실시예의 구성 외에, 상기 제2라인(140')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부(143)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180)에 의해 상기 열교환부(143)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나선부(156)가 회전하여 상기 하우징(151)에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을 촉진시킬 수 있어 상기 순환펌프(130)를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온도값 초과일 경우, 상기 제어반(170)이 상기 가스탱크(160)를 개방하여 액화가스를 상기 제2라인(140')을 통해 유동시켜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80)를 구동하여 상기 열교환부(143)를 회전시키고, 상기 순환펌프(130)를 구동하여 상기 수조(110)에 저장된 유체를 상기 제1라인(120)을 통해 상기 열교환기(150)로 유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50)에 유입된 유체는 상기 나선부(156)가 형성된 상기 열교환부(143)에 접촉한 후 다시 말단라인(123)을 통해 상기 수조(110)로 유입된다.
즉, 상기 구동부(180)를 통해 상기 열교환부(143)는 유체와 열교환을 함과 동시에 상기 순환펌프(130)를 보완하여 상기 시스템(100')의 작동신뢰도를 높여줄 수 있다.
상기 구동부(180)는 엔진, 모터와 같은 공지의 구동기계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80)의 회전에 동조하여 상기 제2라인(14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라인(140')은 상기 열교환부(143), 배출라인(142) 외에, 일측 단부가 상기 가스탱크(160)에 설치되는 주입라인(141'), 일측 단부가 상기 구동부(180)의 회전축(181)에 설치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열교환부(143)에 연결되는 연결라인(14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라인(144)은 상기 구동부(180)에 체인 또는 벨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연결라인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주입라인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연결라인에서 주입라인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연결라인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주입라인(141')은 상기 가스탱크(160)에 설치되는 가스주입부(141a), 상기 가스주입부(141a)와 연통하고,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라인(144)에 설치되는 장착부(141b)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라인(144)은 상기 회전축(181)에 설치되는 축고정부(144a), 상기 열교환부(143)에 연결되는 연결부(144d), 상기 축고정부(144a)와 연결부(144d) 간에 연결되어 상기 장착부(141b)가 설치되는 홈부(144b)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141b)가 상기 홈부(144b)의 외주면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홈부(144b)가 상기 장착부(141b)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축(18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라인(144)이 회전해도 상기 연결라인(144)의 회전이 상기 주입라인(141')에 전달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홈부(144b)의 직경은 상기 장착부(141b)의 내경과 동일하고, 상기 홈부(144b)와 장착부(141b)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기밀성을 확보하고, 더 나아가 공차에 의한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홈부(144b)와 장착부(141b)간 공지의 실링부재를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액화가스가 상기 주입라인(141')을 따라 상기 연결라인(144)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홈부(144b)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통공(144c)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공(144c)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통공(144c)을 통해 일정하게 액화가스가 상기 연결라인(144)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공(144c)은 상기 홈부(144b)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공으로 구현하여 상기 연결라인(144)으로 유입되는 액화가스의 양을 보다 확보함으로써 액화가스의 원활한 유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된 제1,2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시스템의 제3실시예에서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 13을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100'')은 전술된 제2실시예에서 상기 순환펌프(130), 중간라인(122)이 생략되고, 상기 제1라인(120')은 상기 수조(110)와 열교환기(150) 간에 설치되는 상기 초입라인(121)과, 상기 말단라인(123)을 포함한다.
즉, 상기 구동부(180)에 의해 상기 열교환부(143)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나선부(156)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수조(110)에 저장된 유체를 유동시켜 상기 순환펌프(130)의 역할을 대신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온도값 초과일 경우, 상기 제어반(170)이 상기 가스탱크(160)를 개방하여 액화가스를 상기 제2라인(140')을 통해 유동시켜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80)를 구동하여 상기 열교환부(143)를 회전시켜 상기 수조(110)에 저장된 유체를 상기 제1라인(120')을 통해 상기 열교환기(150)로 유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50)에 유입된 유체는 상기 나선부(156)가 형성된 상기 열교환부(143)에 접촉한 후 다시 상기 말단라인(123)을 통해 상기 수조(110)로 유입된다.
즉, 상기 구동부(180)를 통해 상기 열교환부(143)는 유체와 열교환을 함과 동시에 상기 순환펌프(130)를 대신할 수 있어, 상기 제2실시예의 구조보다 더 작은 규모의 냉각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배출라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배출라인(142)은 단부가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일 예 외에, 단부가 폐쇄되고 압력제어밸브(142a)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반(170)이 상기 압력제어밸브(142a)의 개폐를 조절하여 액화가스의 토출량 및 상기 열교환부(143) 내에 액화가스의 정체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시스템(100'')의 열교환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라인(142)의 다른 예는 전술된 제3실시예를 비롯한 제1,2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5a,b는 도 1, 6, 12에 도시된 수조, 열교환기, 가스탱크가 활어 운송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전술된 상기 시스템은 활어수송차량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과 상기 수조(110) 간에 상기 가스탱크(160)가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150)가 상기 가스탱크(160)에 평행하게 설치되거나,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시스템은 종래의 압축기 및 발전기 대신 상대적을 규모가 작은 액화가스를 이용한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수조에 저장된 유체를 냉각할 수 있어서 20톤 미만의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수조에 저장된 유체가 해수인 경우, 액화가스의 1톤의 해수 1도 냉각 시 필요한 액화가스는 기화열만을 고려하였을 때 약 20㎏(26L)만을 필요로 하며, 1,300원 미만의 액화가스 비용(1L당 500원)만이 소요되므로 가솔린 등을 이용하여 발전기, 압축기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냉각장치에 비하여 경제적이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100',100'' :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
110 : 수조 120,120' : 유체라인
130 : 순환펌프 140, 140' : 냉매라인
150 : 열교환기 160 : 가스탱크
170 : 제어반 180 : 구동부
B : 베어링

Claims (6)

  1. 유체가 저장된 수조;
    상기 수조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가 순환하는 제1라인;
    상기 제1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를 유동시키는 순환펌프;
    액화가스가 저장된 가스탱크;
    상기 가스탱크에 설치되고, 상기 액화가스가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제2라인; 및
    상기 제1라인과 제2라인이 설치되고, 상기 액화가스가 상기 유체와 열교환되어 기화되는 열교환기;
    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제1라인 간에 설치되고, 내부를 따라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하우징;
    상기 제2라인의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유입되는 상기 유체에 접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열교환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부;
    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
  4. 유체가 저장된 수조;
    상기 수조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가 순환하는 제1라인;
    액화가스가 저장된 가스탱크;
    상기 가스탱크에 설치되고, 상기 액화가스가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제2라인;
    상기 제1라인과 제2라인이 설치되고, 상기 액화가스가 상기 유체와 열교환되어 기화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제2라인에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에 유입되는 상기 유체를 유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제1라인 간에 설치되고, 내부를 따라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하우징;
    상기 제2라인의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유입되는 상기 유체에 접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열교환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부;
    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
  6. 제 1 항, 제 3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라인의 배출라인에 설치되는 압력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는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
KR1020180147127A 2018-11-26 2018-11-26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 KR102131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27A KR102131620B1 (ko) 2018-11-26 2018-11-26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27A KR102131620B1 (ko) 2018-11-26 2018-11-26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615A true KR20200061615A (ko) 2020-06-03
KR102131620B1 KR102131620B1 (ko) 2020-07-09

Family

ID=71087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127A KR102131620B1 (ko) 2018-11-26 2018-11-26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6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447B1 (ko) * 2020-06-26 2020-11-19 오승재 해수를 이용한 열교환장치
KR102378676B1 (ko) * 2021-05-07 2022-03-25 (주)제아이엔지 액화 질소 탱크를 구비한 수소 충전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880U (ja) * 1992-08-31 1994-03-25 日本酸素株式会社 冷媒冷却装置
KR100962365B1 (ko) 2009-10-07 2010-06-10 주식회사 대일 활어수송용 컨테이너
KR20160120877A (ko) * 2015-04-09 2016-10-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1774761B1 (ko) * 2016-06-03 2017-09-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체 냉각 시스템
JP2018066496A (ja) * 2016-10-18 2018-04-26 株式会社栗本鐵工所 螺旋羽根を有するスクリューシャフト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熱交換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880U (ja) * 1992-08-31 1994-03-25 日本酸素株式会社 冷媒冷却装置
KR100962365B1 (ko) 2009-10-07 2010-06-10 주식회사 대일 활어수송용 컨테이너
KR20160120877A (ko) * 2015-04-09 2016-10-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1774761B1 (ko) * 2016-06-03 2017-09-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체 냉각 시스템
JP2018066496A (ja) * 2016-10-18 2018-04-26 株式会社栗本鐵工所 螺旋羽根を有するスクリューシャフト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熱交換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447B1 (ko) * 2020-06-26 2020-11-19 오승재 해수를 이용한 열교환장치
WO2021261683A1 (ko) * 2020-06-26 2021-12-30 오승재 해수를 이용한 열교환장치
KR102378676B1 (ko) * 2021-05-07 2022-03-25 (주)제아이엔지 액화 질소 탱크를 구비한 수소 충전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620B1 (ko)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620B1 (ko) 액화가스 열교환시스템
CN110226073B (zh) 制冷装置
US8905267B2 (en) Concentrate holder
CN108692491B (zh) 满液式蒸发器
US4742939A (en) Remote soda-circulating beverage dispenser
JP2006213345A (ja) 飲料供給装置
RU2007148548A (ru) Система розлива газированной жидкости
US7681761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toring, and dispensing soft serve frozen food product
EP2553360B1 (en) Cold water tank
KR20010106476A (ko) 냉동운송방법
US20190314773A1 (en) Water carbonation infusion pumps
EP1912032B1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a water dispenser
EP0947518A1 (en) Automatic drinks vending machine
CN104603563A (zh) 具有监控装置的制冷器具
JP3126535U (ja) 冷飲料装置
CN104565445A (zh) 制冷剂切换阀以及具备制冷剂切换阀的设备
KR101490226B1 (ko) 히팅 컨테이너
US7819205B2 (en) Apparatus for the cooling of drilling liquids
KR101871910B1 (ko) 자가 냉각형 극저온펌프 순환시험장치
US20130192290A1 (en)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Flake Ice
BRPI0417143B1 (pt) Método e planta para resfriamento de fluidos por contato direto com gases liquefeitos
JP2002310545A (ja) ドラム式製氷機
CN206875789U (zh) 一种周转运输用恒温存储系统
CN110074671A (zh) 水溶液的碳化方法及碳化装置
US20230391600A1 (en) Hydraulic unit for dispensers of carbonated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