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361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361A
KR20200060361A KR1020207007141A KR20207007141A KR20200060361A KR 20200060361 A KR20200060361 A KR 20200060361A KR 1020207007141 A KR1020207007141 A KR 1020207007141A KR 20207007141 A KR20207007141 A KR 20207007141A KR 20200060361 A KR20200060361 A KR 20200060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ate
output
users
pl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기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60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3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9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enabling or updating specific game elements, e.g. unlocking hidden features, items, levels or v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47Cooperative playing, e.g. requiring coordinated actions from several players to achieve a common go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8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motion or position input signals, e.g. signals representing the rotation of an input controller or a player's arm motions sensed by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7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slaved to mo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e.g. head, eye

Abstract

각 유저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적응적으로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제1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는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본 개시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AR(Augmented Reality)에 관한 기술이 각종 개발되어 있다. AR에서는, 실 공간에 있어서의 유저의 위치와 관련지어 각종 정보(예를 들어 가상 오브젝트 등)를 유저에 대하여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유저의 제스처의 인식에 따라 UI(User Interface)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를 유저를 향하여 접근시키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2712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각 유저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따라 정보의 출력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은 고려되지 않았다.
그래서 본 개시에서는, 각 유저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적응적으로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이고도 개량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제1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는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제1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는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제2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출력부에, 상기 제1 장소로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정보를 출력시키는 출력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제1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는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을 프로세서가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컴퓨터를, 제1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는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르면, 각 유저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적응적으로 정보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효과여도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각 실시 형태에 공통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아이웨어(20)의 구성예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서버(10)의 구성예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와 유저 사이의 거리를 조건으로 하여 AR 오브젝트의 출력을 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와 복수의 유저의 각각의 사이의 거리를 조건으로 하여 AR 오브젝트의 출력을 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복수의 유저의 배치 형상이 직선임을 조건으로 하여 AR 오브젝트의 출력을 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복수의 유저의 배치 형상이 삼각형임을 조건으로 하여 AR 오브젝트의 출력을 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복수의 유저의 배치 형상이 소정의 삼차원 형상임을 조건으로 하여 AR 오브젝트의 출력을 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복수의 유저 및 소정의 실 오브젝트의 위치 관계가 소정의 위치 관계임을 조건으로 하여 AR 오브젝트의 출력을 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도 7에 도시한 조건이 정해져 있는 경우에 유저(2c)가 삼각형의 외측에 위치해 있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한 상황에 있어서, 유저(2c)가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통지 정보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a는 두 에어리어(50)에 각기 다른 그룹이 위치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2a에 도시한 상황에 있어서,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AR 오브젝트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c는 제1 그룹에 속하는 모든 유저가 에어리어(50b)로부터 떨어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d는 도 12c에 도시한 상황에 있어서,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에 대한 유도 정보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각 실시 형태에 공통되는 서버(10)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동일한 부호 뒤에 다른 알파벳을 붙여서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필요에 따라 아이웨어(20a) 및 아이웨어(20b)와 같이 구별한다. 단,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의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동일 부호만을 붙인다. 예를 들어 아이웨어(20a) 및 아이웨어(20b)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순히 아이웨어(20)라 칭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항목 순서에 따라 당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설명한다.
1.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
2. 제1 실시 형태
3. 제2 실시 형태
4. 적용예
5. 하드웨어 구성
6. 변형예
≪1.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
먼저, 본 개시의 각 실시 형태에 공통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은 서버(10), 아이웨어(20) 및 통신망(22)을 갖는다.
<1-1. 서버(10)>
서버(10)는, 후술하는 아이웨어(20)에 대한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에 유저가 접근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서버(10)는, 당해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해당 AR 오브젝트를 표시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후술하는 통신망(22)을 통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장소」는 실 공간 내의 장소일 수 있다.
단,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장소」는 가상 공간 내의 장소여도 된다. 이 경우, 가상 공간 내에서, 가상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에 유저가 접근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서버(10)는, 당해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당해 가상 오브젝트를 표시시켜도 된다. 이하에서는, 「장소」가 실 공간 내의 장소인 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1-2. 아이웨어(20)>
아이웨어(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부 장착형(예를 들어 안경형이나 고글형 등)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웨어(20)는 AR 글라스, 비디오 시스루형 HMD(Head Mounted Display), 또는 차폐형 HMD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본적으로 각 유저가 아이웨어(20)가 장착하고 있는 장면을 상정할 수 있다.
아이웨어(20)는, 예를 들어 서버(1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영상이나 음성 등)를 출력할 수 있다. 각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각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가, 동일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장면을 상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당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게임 애플리케이션이다. 또한 게임의 종류의 구체예로서는, 복수의 유저가 협력하면서 시가지를 이동하는 적을 쓰러뜨리는 게임, 수수께끼 풀이 미스테리 게임, 투어 게임, 크리에이션 게임, 또는 보물찾기 게임 등을 들 수 있다.
<1-3. 통신망(22)>
통신망(22)은, 통신망(22)에 접속되어 있는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의 유선 또는 무선 전송로이다. 예를 들어 통신망(22)은, 전화 회선망, 인터넷, 위성 통신망 등의 공중 회선망이나, Ethernet(등록 상표)을 포함하는 각종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통신망(22)은, IP-VPN(Internet Protocol-Virtual Private Network) 등의 전용 회선망을 포함해도 된다.
이상, 각 실시 형태에 공통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실시 형태에 따른 서버(10)는,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복수의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취득하고, 그리고 당해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는 아이웨어(20)에 의한 당해 AR 오브젝트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하여, 복수의 유저에 의한 AR 오브젝트의 공유를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AR 오브젝트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제1 정보의 일례이다.
≪2. 제1 실시 형태≫
<2-1. 구성: 아이웨어(20)>
먼저,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아이웨어(20)의 구성예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웨어(20)는 제어부(200), 통신부(220), 센서부(222), 입력부(224), 출력부(226) 및 기억부(228)를 갖는다.
{2-1-1. 센서부(222)}
센서부(222)는, 예를 들어 외향 카메라(이미지 센서), 내향 카메라, 뎁스 센서(예를 들어 time of flight 방식의 센서, structured light 방식의 센서, 또는 스테레오 카메라 등), 마이크로폰,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방위 센서, 위치 측위부, 및/또는 생체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22)는, 유저가 위치하는 환경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22)는,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아이웨어(20)의 자기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위치 정보 및 높이 정보를 센싱한다. 일례로서 센서부(222)는, (센서부(222)의)외향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화상이나 뎁스 센서에 의한 센싱 결과 등에 기초하여, 아이웨어(20)의 주변에 위치하는 특정 물체를 인식하고 당해 물체까지의 거리를 센싱한다. 그리고 센서부(222)는 당해 물체의 위치 정보를, 예를 들어 소정의 장치로부터 취득하고, 그리고 취득한 위치 정보와 당해 물체까지의 거리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아이웨어(20)의 자기 위치를 추정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부(222)의 위치 측위부는 아이웨어(20)의 위치 정보를 축차 측위해도 된다. 예를 들어 센서부(222)는, 위치 측위부에 의한 측위 결과와 자기 위치의 추정 결과를 조합함으로써 아이웨어(20)의 위치 정보를 센싱해도 된다.
여기서 위치 측위부는,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나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의, 측위 위성으로부터 측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측위부는, 1종류의 위성으로부터 측위 신호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복수의 종류의 위성에 의한 측위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수신한 신호를 조합하여 현 위치를 측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센서부(222)는, 자이로스코프에 의한 센싱 결과와 가속도 센서에 의한 센싱 결과의 조합 등에 기초하여, 아이웨어(20)가 향하고 있는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22)의 외향 카메라는, 아이웨어(20)를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동안의 유저의 전방의 영상을 촬상하고, 또한 센서부(222)의 내향 카메라는, 당해 유저의 눈의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유저의 시선 방향이 센싱될 수 있다.
{2-1-2. 제어부(200)}
제어부(200)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등의 처리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아이웨어(20)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정보 취득부(202), 출력 제어부(204) 및 송신 제어부(206)를 갖는다.
{2-1-3. 정보 취득부(202)}
정보 취득부(202)는, 센서부(222)에 의한 센싱 결과를 센서부(222)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정보 취득부(202)는, 외부의 장치(서버(10) 등)로부터 통신부(220)가 수신한 정보를, 예를 들어 수신 또는 판독 처리 등을 행함으로써 취득한다.
{2-1-4. 출력 제어부(204)}
출력 제어부(204)는, 정보 취득부(202)에 의하여 취득된 정보를 출력부(226)에 출력시킨다. 예를 들어 AR 오브젝트를 표시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가 서버(10)로부터 수신된 경우에는, 출력 제어부(204)는 당해 제어 정보에 따라 해당 AR 오브젝트를 출력부(226)에 출력시킨다.
{2-1-5. 송신 제어부(206)}
송신 제어부(206)는, 다른 장치에 대한 각종 정보의 송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송신 제어부(206)는, 센서부(222)에 의하여 센싱된 아이웨어(20)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서버(10)에 통신부(220)로 하여금 송신하게 한다. 또한 송신 제어부(206)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당해 애플리케이션의 스테이터스 정보(예를 들어 게임의 진행 정보 등)를 서버(10)에 통신부(220)로 하여금 추가로 송신하게 해도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것에 의하여 각 유저의 위치 정보, 방향 정보,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당해 애플리케이션의 스테이터스 정보가 복수의 유저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2-1-6. 통신부(220)}
통신부(220)는, 예를 들어 통신망(22)을 통하여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20)는, AR 오브젝트의 표시를 개시 또는 종료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한다.
{2-1-7. 입력부(224)}
입력부(224)는 유저에 의한 각종 입력을 접수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224)는 터치 패널, 버튼, 스위치, 또는 레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2-1-8. 출력부(226)}
출력부(226)는 출력 제어부(204)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영상 및/또는 음성 등)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출력부(226)는, 투과형 표시 장치(예를 들어 프로젝터 등) 또는 비투과형 표시 장치(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자의 경우, 출력부(226)는, 아이웨어(20)에 포함되는 우안용 렌즈 및 좌안용 렌즈의 각각(또는 고글형 렌즈)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투영면으로 하여, 출력 제어부(204)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투영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출력부(226)는, 센서부(222)의 외향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고 있는, 서버(10)의 전방의 영상을, 출력 제어부(204)의 제어에 따라 축차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26)는 음성 출력부를 가질 수 있다. 음성 출력부는, 예를 들어 스피커, 이어폰, 또는 헤드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성 출력부는 출력 제어부(204)의 제어에 따라 음을 출력한다.
{2-1-9. 기억부(228)}
기억부(228)는 각종 데이터나 각종 소프트웨어를 기억한다.
<2-2. 구성: 서버(10)>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서버(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서버(10)의 구성예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10)는 제어부(100), 통신부(120) 및 기억부(122)를 갖는다.
{2-2-1. 제어부(100)}
제어부(100)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CPU(150)나 GPU 등의 처리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서버(10)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정보 취득부(102) 및 출력 제어부(104)를 갖는다.
{2-2-2. 정보 취득부(102)}
정보 취득부(102)는, 외부의 장치(아이웨어(20) 등)로부터 통신부(120)가 수신한 정보를, 예를 들어 수신 또는 판독 처리 등을 행함으로써 취득한다. 예를 들어 정보 취득부(102)는 복수의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취득한다.
또한 정보 취득부(102)는,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복수의 장소의 각각의 위치 정보를, 예를 들어 후술하는 기억부(122)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또는 정보 취득부(102)는,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복수의 장소의 각각의 위치 정보를 외부의 기억 장치(도시 생략)에 문의함으로써 취득해도 된다.
{2-2-3. 출력 제어부(104)}
출력 제어부(104)는, 정보 취득부(102)에 의하여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1 이상의 아이웨어(20)에 의한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출력 제어부(104)는, 정보 취득부(102)에 의하여 취득된, 어떤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임의의 장소의 위치 정보와, 1 이상의 유저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1 이상의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의 각각에 의한 AR 오브젝트의 표시의 ON·OFF(예를 들어 동화상의 개시·종료 등)를 전환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종료를 전환하거나, 음성이나 음악의 출력의 ON·OFF를 전환하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스테이터스 정보를 전환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종류가 게임인 경우, 출력 제어부(104)는 이벤트나 씬 등을 전환해도 되고, 또는 게임의 룰을 추가하거나 변경해도 된다.
일례로서 출력 제어부(104)는, 정보 취득부(102)에 의하여 취득된, 어느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임의의 장소의 위치 정보와, 1 이상의 유저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1 이상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AR 오브젝트의 출력 상태를 제1 상태로부터, 당해 제1 상태와는 다른 제2 상태로 변화시킨다. 여기서, 제1 상태는, AR 오브젝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AR 오브젝트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한쪽일 수 있다. 또한 제2 상태는, 이들의 두 상태 중 어느 다른 한쪽일 수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기능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30)와 유저(2)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 D보다도 작아졌다고 하자. 이 경우, 출력 제어부(104)는, 유저(2)가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장소(30)에 관련지어져 있는)AR 오브젝트의 출력을 개시시켜도 된다. 여기서, AR 오브젝트의 출력은, AR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R 오브젝트의 출력은, AR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것, 아이웨어(20)에 포함되는 소정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점등하는 것, 예를 들어 아이웨어(20)의 주변에 위치하는 실 공간 내의 실 오브젝트를 빛나게 하는 것, 또는 당해 실 오브젝트를 소정의 동작 패턴으로 움직이는 것 등을 포함해도 된다.
(2-2-3-1. 인원수)
또는, 출력 제어부(104)는,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임의의 장소의 위치 정보와,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와, 당해 복수의 유저의 인원수에 기초하여,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AR 오브젝트의 출력 상태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AR 오브젝트의 출력 상태를 소정의 시간 내에 동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제어부(104)는 복수의 유저의 각각에 관하여, 당해 유저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당해 유저의 방향 정보가 나타내는 방향이,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 있는지 여부, 당해 장소의 위치 정보와 당해 유저의 위치 정보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의 범위 내인지 여부, 및 당해 복수의 유저의 인원수가 소정의 인원수의 범위 내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AR 오브젝트의 출력 상태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킨다.
일례로서, 복수의 유저의 인원수가 소정의 인원수의 범위 내이고,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에 관하여, 당해 유저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당해 유저의 방향 정보가 나타내는 방향이,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하나의 장소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 있고(예를 들어 당해 장소가 당해 유저의 화각 내에 들어 있는 등), 또한 당해 장소의 위치 정보와 당해 유저의 위치 정보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의 범위 내로 된 경우에 한하여,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AR 오브젝트의 출력 상태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킨다. 또한 복수의 유저의 인원수가 소정의 인원수의 범위 외인 동안에는,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AR 오브젝트의 출력 상태를 제1 상태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때,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소정의 인원수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과 당해 복수의 유저의 현재의 인원수의 차분을 통지하기 위한 통지 정보를, 당해 복수의 유저 중 적어도 1명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 또는 당해 복수의 유저가 위치하는 환경 내의 출력 장치(프로젝터 등)에 출력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소정의 인원수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과 당해 복수의 유저의 현재의 인원수의 차분에 따라 통지 정보를 변경해도 된다. 일례로서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차분이 작아질수록,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표시되고 있는 화상(광 등)의 표시 파라미터(휘도 등)의 값을 보다 크게 해도 되고, 당해 아이웨어(20)에 표시되고 있는 화상의 종류를 변경해도 되고,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하여 출력되고 있는 음의 파라미터(음량 등)의 값을 보다 크게 해도 되고, 또는 당해 아이웨어(20)에 의하여 출력되고 있는 음의 종류를 변경해도 된다. 이들 제어예에 따르면,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의 근처에 위치하는 유저에 대하여, 몇 명 더 모이면 해당 AR 오브젝트의 표시가 개시되는지를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인원수의 범위는,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마다 설정되어 있어도 되고, 애플리케이션마다 설정되어도 되고,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스테이터스 정보(예를 들어 게임의 진행 정도 등)마다 설정되어도 되고, 또는 환경 정보(예를 들어 일시, 기후, 또는 지역 등)마다 설정되어도 된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출력 제어부(104)의 기능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어느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30)와 3명의 유저의 각각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 「D」보다도 작아지고, 또한 당해 3명의 유저의 각각의 방향 정보가 나타내는 방향이 장소(30)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든 경우에 비로소 당해 AR 오브젝트의 표시가 개시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소(30)와 3명의 유저(유저(2a, 2b, 2c))의 각각의 사이의 거리가 「D」보다도 작아지고, 또한 당해 3명의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당해 유저의 방향 정보가 나타내는 방향이 장소(30)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들었다고 하자(예를 들어 각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의 화각 내에 장소(30)가 들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3명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장소(30)에 관련지어져 있는)AR 오브젝트의 출력을 개시시켜도 된다.
여기서,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30)마다, AR 오브젝트의 출력 상태(예를 들어 표시의 개시·종료 등)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당해 장소(30)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유저의 인원수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AR 오브젝트의 출력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당해 장소(30)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유저의 인원수」는 애플리케이션마다 설정되어도 되고,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스테이터스(예를 들어 게임의 진행 정도 등)마다 설정되어도 된다.
(2-2-3-2. 배치 형상)
또는, 출력 제어부(104)는,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임의의 장소의 위치 정보와,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와,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배치 형상(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AR 오브젝트의 출력 상태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저의 각각에 관하여, 당해 유저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당해 유저의 방향 정보가 나타내는 방향이,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하나의 장소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 있으며, 당해 장소의 위치 정보와 당해 유저의 위치 정보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의 범위 내이고, 또한 당해 복수의 유저의 배치 형상이 소정의 형상으로 된 경우에 한하여,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AR 오브젝트의 출력 상태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켜도 된다. 또한 당해 복수의 유저의 배치 형상이 소정의 형상이 아닌 동안에는,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AR 오브젝트의 출력 상태를 제1 상태 그대로 유지시켜도 된다.
여기서, 배치 형상은, 복수의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이차원 형상(예를 들어 직선, 원, 삼각형, 사각형 등)이어도 되고, 또는 복수의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높이 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삼차원 형상(예를 들어 구, 직육면체, 삼각뿔 등)이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배치 형상으로서,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마다 형상이 따로따로 설정되어도 되고, 애플리케이션마다 형상이 따로따로 설정되어도 되고, 애플리케이션의 스테이터스(예를 들어 게임의 진행 정도 등)마다 형상이 따로따로 설정되어도 되고, 또는 환경 정보(예를 들어 일시, 기후, 또는 지역 등)마다 형상이 따로따로 설정되어도 된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출력 제어부(104)의 기능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30)를 향하고 있는 복수의 유저(2)의 위치가 직선 근사되는 경우에 한하여, 당해 복수의 유저(2)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AR 오브젝트의 표시가 개시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저가 열을 짓거나 나란히 걷는 장면 등에 AR 오브젝트의 표시가 개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5명의 유저(2)의 각각의 화각 내에 장소(30)가 들어 있고, 또한 5명의 유저(2)의 배치 형상이 직선이라고 판정되었다고 하자. 이 경우,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5명의 유저(2)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 모두에, 장소(30)에 관련지어져 있는 AR 오브젝트의 표시를 개시시켜도 된다.
또한, 도 7은,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30)를 향하고 있는 복수의 유저(2)의 배치 형상이 삼각형인 경우에 한하여, 당해 복수의 유저(2)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AR 오브젝트의 표시가 개시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명의 유저(2)의 각각의 화각 내에 장소(30)가 들어 있고, 또한 3명의 유저(2)의 배치 형상이 삼각형이라고 판정되었다고 하자. 이 경우,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3명의 유저(2)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 모두에, 장소(30)에 관련지어져 있는 AR 오브젝트의 표시를 개시시켜도 된다.
또는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높이 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삼차원의 배치 형상(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AR 오브젝트의 출력 상태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이 정보는, 각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가 자기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취득될 수 있다. 또는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 또는 당해 장소의 부근에 소정의 마커가 붙어 있고, 그리고 당해 마커를 아이웨어(20)로 하여금 판독하게 해도 된다. 이 경우, 당해 마커를 아이웨어(20)가 판독할 때의 아이웨어(20)의 자세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아이웨어(20)를 장착하고 있는 유저의 높이 정보가 산출됨으로써, 당해 높이 정보가 취득되어도 된다.
여기서,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출력 제어부(104)의 기능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30)를 향하고 있는 복수의 유저(2)의 배치 형상이 소정의 삼차원 형상으로 된 경우에 한하여, 당해 복수의 유저(2)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AR 오브젝트의 표시가 개시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2a)가 바닥(32a) 위에 서서 장소(30)를 향해 있고, 또한 유저(2b)가 (바닥(32a) 위에 놓인)물체(32b) 위에 서서 장소(30)를 향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2명의 유저(2)의 배치 형상이 소정의 삼차원 형상으로 되었다고 판정하고, 그리고 당해 2명의 유저(2)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장소(30)에 관련지어져 있는 AR 오브젝트의 표시를 개시시켜도 된다. 이들 제어예와 같이, 복수의 유저의 배치 형상이 소정의 형상으로 된 타이밍에 AR 오브젝트의 표시를 개시시킴으로써, 당해 복수의 유저 중 1 이상이 당해 AR 오브젝트를 간과하거나 놓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2-2-3-3. 유저와 실 오브젝트의 위치 관계)
또는 출력 제어부(104)는,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의 위치 정보와, 복수의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와, 소정의 실 오브젝트(예를 들어 당해 장소에 관련되는 실 오브젝트 등)의 위치 정보의 관계성에 기초하여,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당해 AR 오브젝트의 출력 상태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기능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30)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복수의 유저(2)가 위치하고, 또한 당해 복수의 유저(2)가 장소(30)를 향해 있다고 하자. 또한 유저(2b)가 소정의 오브젝트(34)와 마주보고, 또한 나머지 2명의 유저(유저(2a 및 2c))가 오브젝트(34)을 사이에 두는 위치 관계로 3명의 유저가 위치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3명의 유저(2) 및 오브젝트(34)가 소정의 위치 관계로 되었다고 판정하고, 그리고 당해 3명의 유저(2)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 모두에, 장소(30)에 관련지어져 있는 AR 오브젝트의 표시를 개시시켜도 된다.
(2-2-3-4. 변형예)
변형예로서 출력 제어부(104)는, AR 오브젝트의 표시가 개시되기 전에, 당해 AR 오브젝트의 표시를 개시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복수의 유저의 배치 형상을 통지하기 위한 통지 정보를, 당해 복수의 유저 중 적어도 1명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표시시켜도 된다. 또는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복수의 유저가 위치하는 환경 내의 표시 장치에 당해 통지 정보를 표시시켜도 된다.
여기서,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상기 기능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예에서는, 복수의 유저의 배치 형상이, 장소(30)를 중심으로 한 삼각형으로 된 경우에 한하여, 장소(30)에 관련지어져 있는 AR 오브젝트의 표시가 개시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금 유저(2a) 및 유저(2b)가 당해 삼각형의 두 정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서 있고, 또한 유저(2c)가 당해 삼각형의 외측에 위치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 제어부(104)는, AR 오브젝트의 표시를 개시시키기 위하여 유저(2c)가 서야 할 위치를 나타내는 통지 정보(40)를, 유저(2c)에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표시시켜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복수의 유저가 어떠한 위치 관계로 된 경우에 해당 AR 오브젝트의 표시가 개시되는지를 유저(2c)에 대하여 알릴 수 있다.
{2-2-4. 통신부(120)}
통신부(120)는, 후술하는 통신 장치(1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예를 들어 통신망(22)을 통하여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유저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당해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120)는 출력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당해 아이웨어(20)에 의한 AR 오브젝트의 출력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2-2-5. 기억부(122)}
기억부(122)는, 후술하는 스토리지 장치(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억부(122)는 각종 데이터나 각종 소프트웨어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기억부(122)는,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마다, 당해 장소의 위치 정보, 당해 AR 오브젝트의 종류, 및 당해 AR 오브젝트의 출력 ON·OFF를 전환하기 위한 룰 등을 관련지어 기억한다.
<2-3. 처리의 흐름>
이상,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는 당해 유저의 조작에 기초하여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게임 애플리케이션 등)을 기동한다. 그리고 당해 복수의 아이웨어(20)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였다는 것을 서버(10)에 통지한다(S101).
그 후, 서버(10)의 정보 취득부(102)는, 예를 들어 기억부(122)에 기억되어 있는,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개개의 장소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S103).
그 후,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의 통신부(220)는, 센서부(222)에 의하여 센싱된, 아이웨어(20)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서버(10)에 축차 송신한다(S105).
그 후, 서버(10)의 출력 제어부(104)는, S103에서 취득된,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어느 장소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또한 당해 장소가 화각 내에 들어 있는 유저의 인원수를 산출한다. 산출된 인원수가 소정의 인원수 미만인 경우에는(S107: 아니오), 다시 S105 이후의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산출된 인원수가 당해 소정의 인원수 이상인 경우에는(S107: 예), 서버(10)의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해당 장소에 관련지어져 있는 AR 오브젝트의 표시 상태를 OFF(표시하지 않는 상태)에서 ON(표시하는 상태)으로 소정의 시간 내에 전환한다. 즉,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해당 AR 오브젝트의 표시를 당해 소정의 시간 내에 개시시킨다(S109).
그 후, 출력 제어부(104)는, 해당 장소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또한 당해 장소가 화각 내에 들어 있는 유저의 인원수를 다시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인원수가 소정의 인원수 이상인 경우에는(S111: 아니오), 서버(10)는 다시 S111의 처리를 행한다.
한편, 산출된 인원수가 소정의 인원수 미만으로 된 경우에는(S111: 예),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해당 AR 오브젝트의 표시 상태를 ON에서 OFF로 소정의 시간 내에 전환한다. 즉,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해당 AR 오브젝트의 표시를 당해 소정의 시간 내에 종료시킨다(S113).
<2-4.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서버(10)는,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복수의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취득하고, 그리고 당해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는 아이웨어(20)에 의한 당해 AR 오브젝트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하여, 복수의 유저에 의한 당해 AR 오브젝트의 공유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웨어(20)를 장착하고 있는 복수의 유저가 당해 AR 오브젝트를 자동적으로, 또한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각 유저의 위치 정보의 관계성, 및 각 유저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각 유저의 방향 정보와 당해 제1 장소의 관계성에 기초하여, 각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당해 AR 오브젝트의 출력 상태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소정의 시간 내에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모든 유저에 대하여 동일한 타이밍에 AR 오브젝트의 표시를 컨트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1 이상의 유저만이 당해 AR 오브젝트를 간과하거나 놓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유저에게 동일한 AR 오브젝트를 동시에 보일 수 있다.
≪3. 제2 실시 형태≫
이상,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런데 그룹 단위로 행동하는 장면에서는, 어느 그룹의 상태에 따라 다른 그룹에 대하여 이동 타이밍이나 이동처를 유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어느 그룹의 상태에 적응적으로 다른 그룹에 대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그룹이 존재하는 장면을 상정한다. 여기서, 어느 그룹에는 복수의 유저가 속해 있고 또 다른 그룹에는 1 이상의 유저가 속할 수 있다. 즉, 그룹에 속하는 유저의 인원수는 1명이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그룹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웨어(20)를 이용하여 소정의 AR 마커를 소정의 기간 내에 판독한 복수의 유저 전원이 하나의 그룹으로서 설정되어도 된다. 또는 위치 추정에 의한 에어리어 분할이 행해짐으로써, 분할 후의 에어리어마다, 당해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1 이상의 유저 전원이 하나의 그룹으로서 각각 설정되어도 된다. 또는 아이웨어(20)에 미리 그룹 정보가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1명의 유저에 의한 소정의 조작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그룹이 설정되거나 변경되어도 된다.
<3-1. 구성>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아이웨어(20)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서버(1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3-1-1. 출력 제어부(104)}
(3-1-1-1. 선행 그룹에 대한 정보의 출력)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출력 제어부(104)는, 제1 AR 오브젝트를 공유하고 있는,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정보의 출력을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제어한다. 여기서, 소정의 조건은,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에 대한 제1 AR 오브젝트의 제시가 개시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다는 것이어도 된다. 또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이 게임인 경우에는, 당해 소정의 조건은, 제1 AR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당해 복수의 유저가 클리어하였다는 것(예를 들어 적 캐릭터를 쓰러뜨렸다는 것 등)이어도 된다. 또는 당해 소정의 조건은, 제2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의 근처에, 다른 그룹(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가 접근한 것이 검출되었다는 것이 되었어도 된다. 또는 당해 소정의 조건은, 다른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당해 제2 AR 오브젝트의 출력이 개시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다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출력 제어부(104)는, 제2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제2 장소의 위치 정보와,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한 제1 AR 오브젝트의 출력 상태를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킨다. 일례로서,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제2 장소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또한 제2 장소를 향하고 있음이 검출되었을 때는, 출력 제어부(104)는,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제1 AR 오브젝트의 표시를 소정의 시간 내에 종료시켜도 된다. 또는, 이 경우, 출력 제어부(104)는,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있어서의 제1 AR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를, 당해 유저에 대하여 이동을 촉구하는 방향으로 점차 어긋나게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에 대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는 출력 제어부(104)는, 제2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제2 장소의 위치 정보와,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제2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제1 장소로부터 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유도 정보를 출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유도 정보의 출력은, 예를 들어 유도를 촉구하는 영상(예를 들어 화살표의 화상 등)의 표시, 유도를 촉구하는 음성(예를 들어 「다음 에어리어로 이동하세요」라는 음성 등)의 출력, 또는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디바이스(아이웨어(20) 등)에 의한 진동의 발생 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출력 제어부(104)는,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당해 유도 정보를 단계적으로 출력시킨다. 일례로서, 출력 제어부(104)는 먼저,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화살표의 화상을 표시시킨다. 그리고 당해 복수의 유저가 이동하지 않은 그대로 제1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유도를 촉구하는 음성을 출력시킨다. 또한 당해 복수의 유저가 이동하지 않은 그대로 제2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출력 제어부(104)는,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표시되어 있는 제1 AR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를, 당해 유저에 대하여 이동을 촉구하는 방향으로 점차 어긋나게 한다.
(3-1-1-2. 후속 그룹에 대한 정보의 출력)
또한 출력 제어부(104)는, 제1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당해 제1 AR 오브젝트를 공유하고 있던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제1 장소로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정보를 출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유도 정보의 출력은, 예를 들어 유도를 촉구하는 영상(예를 들어 화살표의 화상 등)의 표시, 유도를 촉구하는 음성(예를 들어 「다음 에어리어로 이동하세요」라는 음성 등)의 출력, 또는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디바이스(아이웨어(20) 등)에 의한 진동의 발생 등이어도 된다.
여기서, 도 12a 내지 도 12d를 참조하여 상기 기능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a에서는,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4)가 에어리어(50b) 내에 위치하고, 또한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2)가 에어리어(50a) 내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a에 도시한 시점에 있어서, 제1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30a)에, (제2 그룹에 속하는)복수의 유저(2)가 접근한 것이 검출되었다고 하자. 이 경우, 출력 제어부(104)는, 예를 들어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복수의 유저(2)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AR 오브젝트(60)(고스트(60))의 출력을 개시시킨다. 또한 출력 제어부(104)는, (제1 그룹에 속하는)복수의 유저(4)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에어리어(50b)로부터 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유도 정보를 출력시킨다. 그 후,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그룹에 속하는 모든 유저(4)가 에어리어(50b)로부터 떨어진 것이 검출되었다고 하자. 이 경우, 예를 들어 도 1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 제어부(104)는, 에어리어(50a)로부터 에어리어(50b)로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화살표의 화상(62)을, 복수의 유저(2)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표시시켜도 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출력 제어부(104)는, 복수의 유저(2)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표시되어 있는 AR 오브젝트(60)의 표시 위치를 에어리어(50b)의 방향으로 점차 이동시켜도 된다. 이 제어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복수의 에어리어를 이동하면서 AR 오브젝트를 즐기는 이벤트 애플리케이션을 복수의 그룹이 이용하고 있을 때, 개개의 그룹에 대하여 적절한 타이밍에 각 에어리어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3-2. 처리의 흐름>
이상,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가 에어리어 A 내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가 에어리어 B 내에 위치해 있는 것을 상정한다. 또한 에어리어 A 내의 어느 장소에 관련지어져 있는 AR 오브젝트의, 에어리어 A 내의 복수의 유저에 대한 표시의 개시 조건이 미리 만족되어 있을 것을 상정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서버(10)의 출력 제어부(104)는 에어리어 A 내의, 어느 장소에 관련지어져 있는 AR 오브젝트를,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표시시킨다(S201).
그 후, 출력 제어부(104)는, 에어리어 A 내에서 AR 오브젝트의 표시가 개시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3). 당해 AR 오브젝트의 표시가 개시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S203: 아니오), 출력 제어부(104)는 다시 S201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한편, 당해 AR 오브젝트의 표시가 개시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S203: 예), 출력 제어부(104)는,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해당 AR 오브젝트의 표시를 종료시킨다(S205).
그 후, 출력 제어부(104)는,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에어리어 B로부터 에어리어 A로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정보를 표시시킨다(S207).
<3-3.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서버(10)는,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취득하고, 그리고 당해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당해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는 아이웨어(20)에, 당해 제1 장소로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정보를 출력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제1 그룹의 상태에 적응적으로 제2 그룹에 대하여 제1 장소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가 제1 장소부터 떨어진 경우에 서버(10)는,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유저에 대하여 당해 제1 장소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그룹 단위로 AR 오브젝트를 공유하고 있을 때, 다른 그룹의 상황에 따라, 각 그룹에 대하여 이동을 유도하는 타이밍을 컨트롤할 수 있다.
≪4. 적용예≫
이상,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전술한 각 실시 형태의 적용예에 대하여 「4-1. 적용예 1」 내지 「4-5. 적용예 5」에 있어서 설명한다.
<4-1. 적용예 1>
먼저, 적용예 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적용예 1에서는, 아이웨어(20)를 장착하고 있는 복수의 유저가 옥외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장면을 상정한다. 적용예 1에서는,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하여 실행되고 있는 게임에 있어서의 씬의 전환의 조건으로서,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의 위치 정보와, 복수의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의 관계성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에 복수의 유저가 손을 댄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서버(10)는, 당해 복수의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의하여 실행되고 있는 게임에 있어서의 씬을 전환한다. 이것에 의하여, 씬이 전환된 것을 1 이상의 유저가 판별 불능으로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모든 유저가 동일한 AR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게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예를 들어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에 보다 많은 유저가 접근할수록, 이들 유저의 각각이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표시되어 있는 소정의 오브젝트의 표시 사이즈를 확대하거나, 당해 소정의 오브젝트 휘도를 높이거나, 아이웨어(20)에 의하여 출력되고 있는 소정의 음의 음량을 크게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보다 많은 유저가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에 접근하도록(즉, 보다 많은 유저가 AR 오브젝트를 공유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4-2. 적용예 2>
다음으로, 적용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적용예 2에서는, 복수의 그룹이 관광을 따로따로 행하는 장면을 상정한다. 이 경우, 동일한 시간대에 각 그룹이 방문하는 장소가 겹치지 않도록 조정할 것이 요망될 수 있다. 그래서 서버(10)는, 그룹 간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개개의 그룹에 대하여 이동의 유도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관광 명소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서버(10)는 당해 복수의 그룹의 절대 위치를 축차 특정한다. 다음으로, 서버(10)는 동일한 관광 명소로 복수의 그룹이 이동하려고 하는지 여부를 축차 확인한다. 그리고 동일한 관광 명소로 복수의 그룹이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서버(10)는 당해 복수의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외의 그룹에는, 다른 관광 명소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4-3. 적용예 3>
다음으로, 적용예 3에 대하여 설명한다. 적용예 3에서는, 복수의 유저가 스포츠(러닝이나 자전거 등)를 행하는 장면을 상정한다. 서버(10)는, 하나의 장소에 소정의 인원수의 유저가 모인 타이밍에 트레이닝 메뉴의 소개나 내비게이션 등을, 각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표시시킨다. 또한 서버(10)는, 예를 들어 스포츠 중에서의 각 유저의 위치 관계에 따라, 각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표시되는 정보의 내용을 축차 변화시켜도 된다.
<4-4. 적용예 4>
다음으로, 적용예 4에 대하여 설명한다. 적용예 4에서는, 1 이상의 유저가 집 안에 있고, 또한 당해 1 이상의 유저가 아이웨어(20)를 장착하고 있는 장면을 상정한다. 이 경우, 서버(10)는, 집 안에서 각 유저가 있는 장소에 따라, 각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표시시킬 AR 오브젝트(UI 등)를 전환해도 된다. 또는 서버(10)는 각 유저의 위치에 따라, 당해 유저가 AR 오브젝트를 공유하는 다른 유저를 변경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접속 부하를 저감시키거나 쓸데없는 통신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현관에 접근한 경우에는, 서버(10)는 현 위치의 일기 예보를 도어의 근처에 표시(투영)시켜도 된다. 또한 유저가 텔레비전 수신기에 접근한 경우에는, 서버(10)는 오늘의 추천 프로그램을, 당해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유저끼리의 거리가 작아진 경우에 한하여, 서버(10)는, 이들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에 AR 오브젝트의 표시(공유)를 개시시켜도 되고, 또는 어떠한 가상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을 이들 유저에게 공유시켜도 된다.
<4-5. 적용예 5>
다음으로, 적용예 5에 대하여 설명한다. 적용예 5는, 오피스에 있어서 복수의 유저에 의한 AR 오브젝트의 공유를 실현하는 예이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유저끼리의 관계성에 따라, AR 오브젝트의 공유를 허가할지 여부를 제어해도 된다. 또한 서버(10)는 회의의 스케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유저가 참가하는 원격 회의를 자동적으로 개시시키거나 종료시켜도 된다. 또한 서버(10)는, 어느 유저가 입력한 정보를, 예를 들어 AR 오브젝트를 공유하고 있는 다른 유저와 공유시켜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유저는, 복수의 유저에 의하여 공유되어 있는 AR 오브젝트를 전환하거나, 또는 공유 대상의 오브젝트로서 다른 AR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것 등이 가능해진다.
≪5. 하드웨어 구성≫
다음으로, 각 실시 형태에 공통되는 서버(10)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10)는 CPU(150), ROM(Read Only Memory)(152), RAM(Random Access Memory)(154), 버스(156), 인터페이스(158), 스토리지 장치(160) 및 통신 장치(162)를 구비한다.
CPU(150)는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며,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서버(10) 내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또한 CPU(150)는 서버(10)에 있어서 제어부(100)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CPU(15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성된다.
ROM(152)은, CPU(150)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의 제어용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RAM(154)은, 예를 들어 CPU(15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사용 중인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버스(156)는 CPU 버스 등으로 구성된다. 이 버스(156)는 CPU(150), ROM(152) 및 RAM(154)을 서로 접속한다.
인터페이스(158)는 스토리지 장치(160) 및 통신 장치(162)를 버스(156)와 접속한다.
스토리지 장치(160)는 기억부(122)로서 기능하는, 데이터 저장용 장치이다. 스토리지 장치(160)는, 예를 들어 기억 매체,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 기억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 또는 기억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삭제 장치 등을 포함한다.
통신 장치(162)는, 예를 들어 통신망(22) 등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네트워크 카드 등) 등으로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통신 장치(162)는, 무선 LAN 대응 통신 장치, LTE(Long Term Evolution) 대응 통신 장치, 또는 유선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와이어 통신 장치여도 된다. 이 통신 장치(162)는 통신부(120)로서 기능한다.
≪6. 변형예≫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이면,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음은 명백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6-1. 변형예 1>
예를 들어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은 서버(1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버(10)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아이웨어(20) 중 어느 1대가,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 따른 서버(10)의 기능(즉, 전술한 정보 취득부(102) 및 출력 제어부(104)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아이웨어(20)를 이용한 마스터 슬레이브 방식에 의하여 전술한 각 실시 형태가 실현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가장 먼저 기동한 아이웨어(20), 또는 AR 오브젝트가 관련지어져 있는 장소에 가장 먼저 접근한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아이웨어(20) 등이 마스터로서 정해져도 된다. 또한 복수의 아이웨어(20) 중 마스터는 동적으로 전환되어도 된다.
<6-2. 변형예 2>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아이웨어(20)가 정보 취득부(202), 출력 제어부(204) 및 송신 제어부(206) 모두를 포함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보 취득부(202), 출력 제어부(204) 및 송신 제어부(206) 중 어느 1 이상은, 아이웨어(20)와 통신 가능한 다른 휴대형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형 단말기 등)에 포함되고, 또한 유저가 당해 다른 휴대형 단말기를 휴대해도 된다.
<6-3. 변형예 3>
다른 변형예로서,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제1 출력부는 아이웨어(20)의 출력부(226)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당해 제1 출력부는, 유저가 휴대하는 휴대형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형 단말기 등)의 출력부(표시부 및 음성 출력부 등)여도 된다. 또한 당해 휴대형 단말기가,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 따른 아이웨어(20)의 기능을 모두 실현 가능한 경우에는, 아이웨어(20)는 이용되지 않아도 된다.
<6-4. 변형예 4>
다른 변형예로서, 도 1에서는 서버(10)가 1대만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대의 컴퓨터가 협동하여 동작함으로써, 각 실시 형태에 따른 서버(10)의 기능이 실현되어도 된다.
<6-5. 변형예 5>
다른 변형예로서, 본 개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서버(10)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정보 처리 장치는, 전술한 정보 취득부(102) 및 출력 제어부(104)를 갖는 다른 종류의 장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당해 정보 처리 장치는, 범용 PC(Personal Computer), 태블릿형 단말기, 게임기,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전화,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 스피커, 프로젝터, 스마트 시계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차량 탑재 장치(카 내비게이션 장치 등), 또는 로봇(예를 들어 휴머노이드형 로봇이나 드론 등)이어도 된다.
<6-6. 변형예 6>
또한 전술한 각 실시 형태의 처리의 흐름에 있어서의 각 스텝은, 반드시 기재된 순서에 따라 처리되지는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각 스텝은 적절히 순서가 변경되어 처리되어도 된다. 또한 각 스텝은,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대신, 일부 병렬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처리되어도 된다. 또한 기재된 스텝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스텝이 더 추가되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 따르면, CPU(150), ROM(152) 및 RAM(154) 등의 하드웨어를, 각 실시 형태에 따른 서버(10)의 각 구성과 동등한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도 제공 가능하다. 또한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억 매체도 제공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설명적 또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는 않다. 즉,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은,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 대신,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다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제1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는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
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상기 제1 장소는, 실 공간 내의 장소이고,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는, 상기 실 공간 내의 위치 정보인, 상기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3)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와는 다른 제2 상태로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는, 상기 (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4)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에 관하여, 당해 제1 유저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당해 제1 유저의 방향 정보가 나타내는 방향이 상기 제1 장소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당해 제1 유저의 위치 정보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는, 상기 (3)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5)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에 관하여, 당해 제1 유저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당해 제1 유저의 방향 정보가 나타내는 방향이 상기 제1 장소로부터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들고, 또한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당해 제1 유저의 위치 정보 사이의 거리가 제1 장소에 대응하는 거리의 범위 내로 된 경우에는,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다른 한쪽인, 상기 (4)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6)
상기 출력 제어부는,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인원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는, 상기 (4) 또는 (5)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7)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인원수가 상기 제1 장소에 대응하는 인원수의 범위 내로 된 경우에는,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에 관하여, 당해 제1 유저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당해 제1 유저의 방향 정보가 나타내는 방향이 상기 제1 장소로부터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당해 제1 유저의 위치 정보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고,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인원수가, 상기 제1 장소에 대응하는 인원수의 범위 외인 동안에는,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 그대로 유지시키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다른 한쪽인, 상기 (6)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8)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인원수가 상기 제1 장소에 대응하는 인원수의 범위 외인 동안에는,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 그대로 유지시키고, 또한,
상기 제1 장소에 대응하는 인원수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과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현재의 인원수의 차분을 통지하기 위한 통지 정보를,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적어도 1명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출력시키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다른 한쪽인, 상기 (6) 또는 (7)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9)
상기 출력 제어부는,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배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는, 상기 (4)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0)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배치 형상이, 상기 제1 장소에 대응하는 배치 형상과 동일해진 경우에는,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에 관하여, 당해 제1 유저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당해 제1 유저의 방향 정보가 나타내는 방향이 상기 제1 장소로부터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당해 제1 유저의 위치 정보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고,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배치 형상이, 상기 제1 장소에 대응하는 배치 형상과 다른 동안에는,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 그대로 유지시키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다른 한쪽인, 상기 (9)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1)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배치 형상이, 상기 제1 장소에 대응하는 배치 형상과 다른 동안에는,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 그대로 유지시키고, 또한,
상기 제1 장소에 대응하는 배치 형상을 통지하기 위한 통지 정보를,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적어도 1명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출력시키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다른 한쪽인, 상기 (9) 또는 (10)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2)
상기 출력 제어부는,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높이 정보의 관계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는, 상기 (4)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3)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높이 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삼차원의 배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다른 한쪽인, 상기 (1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4)
상기 출력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장소에 관련되는 제2 오브젝트의 상기 실 공간 내의 위치 정보의 관계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다른 한쪽인, 상기 (4)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5)
상기 복수의 제1 유저는, 제1 그룹에 속하고,
상기 출력 제어부는, 또한, 제2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는 상기 실 공간 내의 제2 장소의 위치 정보와,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제2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다른 한쪽인, 상기 (4)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6)
상기 출력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2 출력부에, 상기 제1 장소로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정보를 출력시키는, 상기 (15)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7)
상기 제1 출력부는, 두부 장착형 디바이스인, 상기 (4)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8)
제1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는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제2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출력부에, 상기 제1 장소로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정보를 출력시키는 출력 제어부
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19)
제1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는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을 프로세서가 제어하는 것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20)
컴퓨터를,
제1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는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10: 서버
20: 아이웨어
22: 통신망
100, 200: 제어부
102, 202: 정보 취득부
104, 204: 출력 제어부
120, 220: 통신부
122, 228: 기억부
206: 송신 제어부
222: 센서부
224: 입력부
226: 출력부

Claims (20)

  1. 제1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는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
    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소는, 실 공간 내의 장소이고,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는, 상기 실 공간 내의 위치 정보인, 정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와는 다른 제2 상태로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에 관하여, 당해 제1 유저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당해 제1 유저의 방향 정보가 나타내는 방향이 상기 제1 장소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당해 제1 유저의 위치 정보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에 관하여, 당해 제1 유저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당해 제1 유저의 방향 정보가 나타내는 방향이 상기 제1 장소로부터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들고, 또한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당해 제1 유저의 위치 정보 사이의 거리가 제1 장소에 대응하는 거리의 범위 내로 된 경우에는,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다른 한쪽인, 정보 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인원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인원수가 상기 제1 장소에 대응하는 인원수의 범위 내로 된 경우에는,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에 관하여, 당해 제1 유저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당해 제1 유저의 방향 정보가 나타내는 방향이 상기 제1 장소로부터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당해 제1 유저의 위치 정보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고,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인원수가, 상기 제1 장소에 대응하는 인원수의 범위 외인 동안에는,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 그대로 유지시키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다른 한쪽인, 정보 처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인원수가 상기 제1 장소에 대응하는 인원수의 범위 외인 동안에는,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 그대로 유지시키고, 또한,
    상기 제1 장소에 대응하는 인원수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과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현재의 인원수의 차분을 통지하기 위한 통지 정보를,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적어도 1명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출력시키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다른 한쪽인, 정보 처리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배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배치 형상이, 상기 제1 장소에 대응하는 배치 형상과 동일해진 경우에는,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에 관하여, 당해 제1 유저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당해 제1 유저의 방향 정보가 나타내는 방향이 상기 제1 장소로부터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당해 제1 유저의 위치 정보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고,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배치 형상이, 상기 제1 장소에 대응하는 배치 형상과 다른 동안에는,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 그대로 유지시키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다른 한쪽인, 정보 처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배치 형상이, 상기 제1 장소에 대응하는 배치 형상과 다른 동안에는,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 그대로 유지시키고, 또한,
    상기 제1 장소에 대응하는 배치 형상을 통지하기 위한 통지 정보를,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적어도 1명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출력시키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다른 한쪽인, 정보 처리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높이 정보의 관계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높이 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삼차원의 배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다른 한쪽인, 정보 처리 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장소에 관련되는 제2 오브젝트의 상기 실 공간 내의 위치 정보의 관계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다른 한쪽인, 정보 처리 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는, 제1 그룹에 속하고,
    상기 출력 제어부는, 또한, 제2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는 상기 실 공간 내의 제2 장소의 위치 정보와,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제2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변화시키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제1 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다른 한쪽인, 정보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2 출력부에, 상기 제1 장소로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정보를 출력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부는, 두부 장착형 디바이스인, 정보 처리 장치.
  18. 제1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는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제2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출력부에, 상기 제1 장소로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정보를 출력시키는 출력 제어부
    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19. 제1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는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을 프로세서가 제어하는 것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20. 컴퓨터를,
    제1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는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제1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각각이 휴대하는 제1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제1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207007141A 2017-09-29 2018-07-26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000603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90908 2017-09-29
JP2017190908 2017-09-29
PCT/JP2018/028135 WO2019064872A1 (ja) 2017-09-29 2018-07-26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361A true KR20200060361A (ko) 2020-05-29

Family

ID=65902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141A KR20200060361A (ko) 2017-09-29 2018-07-26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50020B2 (ko)
JP (1) JP7173024B2 (ko)
KR (1) KR20200060361A (ko)
CN (1) CN111108531B (ko)
DE (1) DE112018004313T5 (ko)
WO (1) WO20190648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12258S1 (en) * 2020-12-11 2024-01-23 Coway Co., Ltd. Air purif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7869A1 (en) * 2012-08-30 2014-03-06 Athe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association and history tracking i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US10726626B2 (en) * 2017-11-22 2020-07-28 Google Llc Interaction between a viewer and an object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CN114514494A (zh) * 2019-10-15 2022-05-17 索尼集团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程序
US11796333B1 (en) * 2020-02-11 2023-10-24 Keysight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in network test environments
JPWO2021220866A1 (ko) * 2020-05-01 2021-11-04
US11302077B2 (en) 2020-05-29 2022-04-12 Snap Inc. Augmented reality guidance that generates guidance markers
US11570050B2 (en) 2020-11-30 2023-01-31 Keysight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erforming cabling tasks using augmented real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7124A (ja) 2012-12-27 2014-07-0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7113B2 (ja) * 1996-02-27 2001-01-22 株式会社ナムコ ゲームシステム
JP2014178982A (ja) * 2013-03-15 2014-09-25 Sony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記憶媒体、並びに画像表示システム
JP6314394B2 (ja) * 2013-09-13 2018-04-25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設定方法、設定プログラム、システムおよび管理装置
US20150097719A1 (en) 2013-10-03 2015-04-09 Sul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ctive reference positioning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WO2016098457A1 (ja) * 2014-12-17 2016-06-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990689B2 (en) 2015-12-16 2018-06-05 WorldViz, Inc. Multi-user virtual reality processing
JP6366862B2 (ja) * 2016-01-08 2018-08-01 三菱電機株式会社 作業支援装置、作業学習装置及び作業支援システム
JP6232649B2 (ja) * 2016-02-18 2017-11-22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仮想空間表示システム
US10338392B2 (en) * 2016-06-13 2019-07-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dentification of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7124A (ja) 2012-12-27 2014-07-0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12258S1 (en) * 2020-12-11 2024-01-23 Coway Co., Ltd. Ai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50020B2 (en) 2022-09-20
CN111108531B (zh) 2023-08-04
DE112018004313T5 (de) 2020-05-07
JPWO2019064872A1 (ja) 2020-10-22
JP7173024B2 (ja) 2022-11-16
US20200294265A1 (en) 2020-09-17
CN111108531A (zh) 2020-05-05
WO2019064872A1 (ja)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0361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JP7058842B2 (ja) マークポイント位置表示方法、電子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
JP6316387B2 (ja) 広範囲同時遠隔ディジタル提示世界
CN109643161B (zh) 动态进入和离开由不同hmd用户浏览的虚拟现实环境
JP6556776B2 (ja) 拡張現実および仮想現実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058184B1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304063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WO2013028586A1 (en) Location based skins for mixed reality displays
JP661573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JP6242473B1 (ja) 仮想空間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
JP7405734B2 (ja) 表示システム及びサーバ
CN109314800B (zh) 用于将用户注意力引导到基于位置的游戏进行伴随应用的方法和系统
JP2020120336A (ja) 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13041613A (zh) 对局回顾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2915541A (zh) 跳点搜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755517A (zh) 虚拟对象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6382928B2 (ja) 仮想空間における画像の表示を制御するためにコンピュータによって実行される方法、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現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装置
CN112870712A (zh) 虚拟场景中画面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10940387B2 (en) Synchronized augmented reality gameplay across multiple gaming environments
JP747291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740081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JP2017162443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093915A (zh) 多人互动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514494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程序
JP2018106694A (ja) 仮想空間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