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319A - 부동산 거래물의 건전성을 검증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서버 - Google Patents

부동산 거래물의 건전성을 검증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319A
KR20200060319A KR1020200060969A KR20200060969A KR20200060319A KR 20200060319 A KR20200060319 A KR 20200060319A KR 1020200060969 A KR1020200060969 A KR 1020200060969A KR 20200060969 A KR20200060969 A KR 20200060969A KR 20200060319 A KR20200060319 A KR 20200060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der
real estate
server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434B1 (ko
Inventor
감민철
김연구
어기준
이명래
Original Assignee
나이스평가정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5657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90131767A/ko
Application filed by 나이스평가정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이스평가정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0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4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0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부동산 거래 사이트에 거래물을 등록할 때에 상기 부동산과 관련된 건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방법, 시스템 및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향후 부동산 거래 상대방이 건전성이 낮은 매물을 거래함에 따른 불측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상기 부동산 거래물 자체에 대한 정보는 물론, 이를 거래하고자 하는 거래자, 즉 등록자의 신용정보도 함께 미리 조회한 후 거래물의 등록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부동산 거래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부동산 거래물의 건전성을 검증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서버{A METHOD, SYSTEM AND SERVER FOR VERIFYING THE INTEGRITY OF A REAL ESTATE TRANSAC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부동산 거래 사이트에 거래물을 등록한 경우 상기 부동산 거래 사이트를 운영하는 주체가 상기 부동산과 관련된 건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방법, 시스템 및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부동산 거래 상대방이 건전성이 낮은 매물을 거래함에 따른 불측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상기 부동산 거래물 자체에 대한 정보는 물론, 이를 거래하고자 하는 거래자, 즉 등록자의 신용정보도 함께 미리 조회한 후 거래물에 대한 거래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부동산 거래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비스들이 크게 증가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분야에서의 거래를 중개하기 위한 업체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부동산 거래를 위한 중개 업체 역시 다양한 형태의 웹 사이트를 구축하여 소비자의 관심을 끌고 있는데, 이러한 부동산 중개 사이트들은 임대 또는 매도를 희망하는 사용자로부터 거래 대상이 되는 부동산 매물을 등록 받아 리스트화 하고, 임차 또는 매수를 희망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매물을 확인하여 거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운영을 하고 있다.
한편, 부동산 거래물은 거래에 필요한 비용이 적지 않은 만큼 임대차 또는 매매 계약 체결시 거래물 자체에 대한 건전성, 또는 거래자에 대한 건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절차를 필요로 하는데, 일반적으로 이는 거래가 실제 체결이 될 때에 부동산 중개소와 같은 오프라인 장소에서 중개업자가 조회를 해 주는 방식, 임대인 또는 매도인으로부터 관련 서류를 직접 받아 확인을 하는 방식, 임차인 또는 매수인이 직접 임대인 또는 매도인의 동의를 얻은 후 관할 세무서를 방문하여 미납된 국세를 열람하는 형식, 임대인 또는 매도인이 국세청홈택스 등의 사이트에 직접 로그인하여 미납된 국세 등의 체납 현황을 임차인 또는 매수인에게 보여주는 형식 등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렇게 실질적으로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거래의 건전성(거래물 건전성, 거래자 건전성)확인은 절차가 번거로워 많은 불편함이 따를 뿐만 아니라 계약 당사자의 동의를 구하기가 어려워 불편함이 따랐으며,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해 매물에 대한 건전성 확인을 생략한 채 거래가 이루어져 훗날 임차인 또는 임대인이 큰 피해를 보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본 발명은 종래 부동산 거래시 존재하여 왔던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특히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오픈형 부동산 매물 플랫폼을 활용하여 부동산 거래를 할 시에 부동산 거래물의 건전성은 물론 임대인 또는 매도인의 신용도를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온라인을 이용한 부동산 거래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도출된 것으로,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07-0049418 (2007.05.11.공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오픈형 부동산 매물 플랫폼을 이용하여 거래물을 등록하고자 할 때 또는 거래물을 등록한 이후, 상기 거래물에 대한 건전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물을 등록한 자의 신용도를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부실한 거래물 거래에 따른 피해를 예방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동산 거래물 검증 방법은 (a) 신용평가사 서버가 당해 신용평가사 서버에 접속한 부동산 거래 서버로부터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을 수신하는 - 상기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은 적어도 거래물 정보 및 거래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단계; (b)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가 상기 거래물 정보 또는 거래자 정보를 기초로 거래물 또는 거래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c)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가 수집한 정보를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동산 거래물 검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은 거래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는 상기 거래물 정보를 기초로 상기 거래물에 대한 공개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거래물에 대한 공개정보는, 상기 거래물의 소유자, 상기 거래물의 용도, 면적 또는 시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동산 거래물 검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은 거래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가 거래자의 신용정보를 조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c)단계는,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가 상기 거래자의 신용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식별코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동산 거래물 검증 방법은,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한 신용인증송부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가 부동산 거래 서버로 상기 거래자의 신용정보를 제공하는 (d)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d)단계에서 제공되는 신용정보는, 상기 거래자의 신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 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거래자의 신용정보는, 신용등급, 체납 현황, 대출 현황, 카드 보유 현황, 또는 연대 보증 현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동산 거래물 검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 신용평가사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신용인증송부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신용평가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인증을 하는 단계; 신용평가사 서버가, 상기 신용인증송부 신청에 대한 승인을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가 제공하는 링크를 통해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동산 거래물 검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 신용평가사 서버가, 임의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신용평가사 서버가, 상기 개인식별정보를 참조하여 개인식별키를 생성하는 단계; 신용평가사 서버가, 상기 개인식별키는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가 당해 신용평가사 서버에 접속한 부동산 거래 서버로부터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로부터 상기 개인식별키를 함께 수신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거래물의 건전성을 검증하는 서버는, 부동산 거래 서버로부터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 - 상기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은 거래물 정보 및 거래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거래물 정보 또는 거래자 정보를 기초로 거래물 또는 거래자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조회부; 상기 조회부에 의해 조회된 정보를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거래물 검증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거래물 정보 및 거래자 정보를 수신하고, 신용평가사 서버에 접속하여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을 전송 - 상기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은 거래물 정보 또는 거래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하는 부동산 거래 서버;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로부터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거래물 정보 또는 거래자 정보를 기초로 거래물 또는 거래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에 거래물 건전성 정보를 전송하는 신용평가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오픈형 부동산 매물 플랫폼을 이용하여 거래물을 등록하고자 할 때에, 또는 거래물을 등록한 이후에도 상기 거래물에 대한 건전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물을 등록한 자(임대인 또는 매도인)의 신용도를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임차인 또는 매수인으로 하여금 부실한 거래물 거래에 따른 피해를 예방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임차인 또는 매수인이 현실적으로 임대인 또는 매도인의 동의를 구하기 어려웠던 거래시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상에서 거래물 및 거래자의 건전성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온라인을 통한 부동산 거래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개업자의 역할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거래 당사자간 부동산 거래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동산 거래물 검증 시스템의 간략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동산 거래물 검증을 수행하는 신용평가사 서버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동산 거래물 검증 방법의 제1실시예로서 부동산 거래물 자체의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동산 거래물 검증 방법의 제2실시예로서 거래자의신용정보를 신용인증송부 방식 기반으로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상기 제2실시예의 또 다른 태양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동산 거래물 검증 방법의 제3실시예로서 부동산 거래물 자체 및 거래자의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동산 거래물 검증 방법의 제4실시예로서 거래자의 신용정보를 신용정보조회 방식 기반으로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기란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전화기(phone) 등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장치를 의미하며, 해당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동산 거래물 검증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해 필요한 신용정보사의 서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동산 거래물 검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따르면, 부동산 거래물 검증 시스템은 크게 사용자 단말기(100), 부동산 거래 서버(300), 그리고 신용평가사 서버(500)를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부동산 거래 서버(300)(오픈형 부동산 매물 플랫폼)에 거래하고자 하는 부동산 거래물의 등록을 요청하면,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상기 부동산 거래물을 등록한 후 신용평가사에 해당 거래물에 대한 건전성 정보를 요청하며, 신용평가사로부터 건전성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기초로 해당 거래물에 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즉,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사용자가 부동산 거래물을 등록하고자 요청하면 상기 부동산 거래물의 등록을 수행하고, 그 후 신용평가사로부터 건전성 정보를 받아 해당 거래물에 대한 건전성 정보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부동산 거래 결정시 이를 참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한편,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자가 부동산 거래물을 등록한 후 사후적으로 건전성을 확인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비단 부동산 거래물이 오픈형 부동산 매물 플랫폼에 등록된 후의 시점뿐 아니라, 등록 요청 이후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300)가 해당 부동산 거래물을 등록하고자 심사를 하는 시점 혹은 다른 사용자와의 온라인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점 등 다른 시점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는 임대인 또는 매도인이 부동산 거래를 위해 매물(이하 '거래물'이라 칭함)을 등록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의 종류에는 도면에서도 볼 수 있듯 스마트폰, 데스크탑 컴퓨터 등 부동산 거래 서버(300)와 네트워크 상으로 접속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란, 부동산 거래 서버(300)에 의해 운영되는 오픈형 부동산 매물 플랫폼에 거래물을 등록하기 위한 임대인, 매도인을 의미하며, 비단 임대인 또는 매도인 뿐 아니라 거래의 목적을 위해 부동산 매물을 상기 오픈형 부동산 매물 플랫폼 상에 등록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을 뜻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부동산 거래 서버(300)란 오픈형 부동산 매물 플랫폼을 운영하는 자에 의해 유지관리되는 서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오픈형 부동산 매물 플랫폼이란, 아파트/오피스텔/원룸 등 민간주택들에 대한 전월세, 매매 정보를 수집 및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접근이 쉬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운영체제로 이해될 수 있다. 부동산 거래 서버(300)에 의해 유지되는 오픈형 부동산 매물 플랫폼에는 부동산을 거래하려는 주체 또는 부동산을 중개하려는 주체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예를 들어, 임대인, 매도인, 임차인, 매수인, 그리고 부동산을 중개하는 공인중개사도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을 수 있다.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거래물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등록을 수행하며, 후술하게 될 신용평가사 서버(500)에 해당 거래물에 대한 건전성 정보요청을 전송하고, 다시 신용평가사 서버(500)로부터 상기 거래물에 대한 건전성 정보를 제공받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거래물에 대한 등록 요청에는 (i)거래물 자체에 대한 정보(이하 거래물 정보)와 (ii)거래자에 대한 기본정보(이하 거래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거래물 정보에는 부동산 위치, 명칭(건물 이름), 면적, 가격 등이 포함되고, 거래자 정보에는 로그인 정보, 이름, 생년월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신용평가사 서버(500)는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300)로부터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거래물 정보 또는 거래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거래물 또는 거래자에 대한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다시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300)에 수집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신용평가사 서버(50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따르면 신용평가사 서버(500)는 크게 수신부(510), 조회부(520), 정보제공부(530), 데이터베이스(540) 및 제어부(550)를 포함한다.
수신부(510)는 부동산 거래 서버(300)로부터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을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수신부(510)는 부동산 거래 서버(300)와의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하도록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부(510)가 수신하는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에는 앞서 언급되었던 거래물 정보 및 거래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조회부(520)는 상기 거래물 정보 또는 거래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거래물 또는 상기 거래자에 대한 관련 정보를 수집 및 조회한다.
거래물에 대한 관련 정보에는 부동산등기부등본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해당 부동산의 소유자 정보, 부동산종합공부를 조회하여 확인할 수 있는 거래물의 등록정보(주거용 여부, 면적, 명칭), 그리고 국토교통부실거래가 또는 부동산 포탈 사이트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거래물의 시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회부(520)는 위와 같은 공개된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권한이 필요 없다 할 것이나, 외부의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필요한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권한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별도로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조회부(520)는 외부 서버 측에 정보 열람을 요청한 뒤 승인 여부에 따라 해당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래자에 대한 관련 정보에는 거래자의 신용등급, 체납 현황, 대출 현황, 카드 보유 현황, 연대 보증 현황 등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들은 신용평가사 서버(500)가 내부에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540)를 탐색하여 획득하거나 또는 신용평가사 서버(500)의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접속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정보제공부(530)는 앞서 조회부(520)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300)에 제공한다. 부동산 거래 서버(300)에 제공되는 정보는 앞서 부동산 거래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거래물 건전성 정보가 제공되며, 이 때 거래물 건전성 정보에는 조회부(520)에 의해 수집된 거래물 정보 또는 거래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거래물 건전성 정보는 조회부(520)가 수집한 정보에 대한 별도의 가공 없이 그대로 포함이 될 수도 있으나, 정보제공부(530)는 상기 수집한 정보들을 가공한 후 필요한 정보만을 포함시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제공부(530)는, 수집된 정보 중 개인신상정보에 해당할 수 있는 주민등록번호를 다른 문자로 대체하거나 또는 생년월일의 일부를 가린 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거래물의 주소 중 일부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보제공부(530)는 거래물에 대한 시세정보를 제공할 때에도 당해 거래물이 주변 평균 시세와 비교할 때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퍼센티지로 표시하여 보여줄 수 있으며, 또한 거래자의 체납 현황, 대출 현황 등을 제공함에 있어 조회가 된 금액 전체를 그대로 제공하지 않고, 예를 들어 체납이 500만원을 초과하는지 여부, 대출이 1억원을 초과하는지 여부 등과 같이 체납액, 대출액이 특정 기준 금액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과만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제공부(530)는 부동산 거래 서버(300) 측에 정보를 제공할 때에 수집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550)는 수신부(510), 조회부(520), 정보제공부(53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어부(550)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제어부(550)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으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신용평가사 서버(500)는 당연한 구성으로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저장부는 제어부(5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쉬(flash) 메모리, SRAM(Static RAM),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동산 거래물 검증 방법을 순서에 따라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제1실시예로서 거래물 자체에 대한 건전성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오픈형 부동산 매물 플랫폼 상에 등록되는 거래물의 경우 관련 정보를 등록자가 입력한 내용으로밖에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향후 실제 거래를 진행할 때에 거래물의 정보에 오류가 있음에 따른 피해가 발생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존재하여 왔는데, 본 실시예는 이러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거래물이 등록된 이후 해당 거래물 자체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게 한 것이다.
가장 먼저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거래물을 등록하고자 하는 요청을 수신하는데(S310), 이 때 수신한 요청에는 거래물 정보 및 거래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거래를 위해 등록하고자 하는 부동산의 면적, 주거 타입, 위치, 건물 명칭, 거래를 희망하는 가격, 부동산 소유자 등을 포함하는 거래물 정보와 이름, 생년월일 등을 포함하는 거래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의 거래물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거래물을 등록 승인한다. (S320)
다음,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해당 거래물이 건전한 매물인지를, 즉 거래물의 건전성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신용평가사 서버(500)에 거래물 건전성 정보 요청을 송신한다. (S330) 상기 거래물 건전성 정보 요청에는 거래물 정보 및 거래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거래물 자체에 대한 건전성을 확인하는 실시예이므로 거래물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가정한다.
한편, 거래물에 대한 건전성 정보를 요청받은 신용평가사 서버(500)는 상기 거래물 정보를 기준으로 거래물에 대한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데(S340), 이 때 신용평가사 서버(500)는 자체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540) 이외에도 외부에 존재하는 타 기관의 서버, 타 기관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신용평가사 서버(500)가 수집하는 정보는 기본적으로 일반에 공개되어 있는 자료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라 할 것이나, 필요한 경우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500)는 접근 권한을 얻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500)는 부동산종합공부를 열람하여 거래물의 상세내역(주거용 여부, 면적, 위치, 건물 명칭 등)을 획득할 수 있고, 부동산등기부등본을 조회하여 해당 거래물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부동산 시세정보를 관리하는 사업자의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포털사이트 부동산 페이지, 금융기관의 부동산 페이지)에 접속하여 거래물 주변의 시세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신용평가사 서버(500)는 수집한 관련 정보를 가공한 채 혹은 가공하지 않은 채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300)에 '거래물 건전성 정보'로서 제공한다. (S350) 정보의 가공에 대해서는 앞서 정보제공부(530)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상기 거래물을 조회하는 상대방 거래자(임차인 또는 매수인)의 단말기(700)에게도 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360)
부동산 거래 서버(300)가 거래자 단말기(700)들로 거래물 건전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플랫폼 상에 업로드 되어 있는 부동산 거래물 옆에 해당 거래물의 건전성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색깔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건전성 높음', '건전성 보통', '건전성 낮음' 등의 문자로 표시하여 이를 조회하는 거래자 단말기들, 즉 타 사용자들로 하여금 해당 거래물의 건전성을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는, 비단 등록되어 있는 거래물의 리스트 상에서만 이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들이 거래를 실제 진행하고자 할 때에도 거래 페이지 상에 해당 거래물에 대한 건전성을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일련의 방법은 부동산 거래물이 등록된 이후 건전성을 조회하는 1순환의 과정을 도시한 것이나, S330 단계 내지 S360 단계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예를 들어 24시간, 12시간, 또는 1시간의 주기에 따라 순환적으로 반복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다른 한편, 도 3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거래물 건전성 정보를 요청(S330)하기에 앞서 임대인 또는 매도인들로부터 동의를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S310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100)가 거래물 등록 요청을 할 때에 '거래물 건전성 정보 요청'에 대한 동의를 표시하는 체크박스를 클릭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S320단계와 S330단계 사이에 별도의 단계를 두어 사용자 단말기(100) 측으로 '거래물 건전성 정보 요청'에 대한 당사자 동의를 먼저 구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거래물 건전성 정보 요청에 대한 동의를 한 주체에게는 부동산 거래 과정에서 발생되는 비용의 할인, 오픈형 부동산 매물 플랫폼을 이용하는 이용료의 할인 등의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회원들로 하여금 건전성 정보 요청 동의를 많이 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부동산을 임대 또는 매도하려는 주체가 자신들의 매물에 대한 건전성을 조회하는 데에 있어 거부감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도 4와 도 5는 제2실시예로서 앞선 제1실시예와 달리 거래자에 대한 건전성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오픈형 부동산 매물 플랫폼 상에 등록되는 거래물은 등록시 임대인 또는 매도인의 신용상태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향후 거래 진행시 별도로 서류를 열람하여 확인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 경우 임대인 또는 매도인의 동의가 반드시 필요함에도 실제 거래에 있어 임차인 또는 매수인이 동의를 구하기가 어려운 사정 때문에 거래 이후 피해가 발생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존재하여 왔다. 예를 들어 임대인이 국세를 미납한 채 임대를 한 경우 후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채권 순위에서 밀린 임차인은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한 채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거래물을 등록할 때에 혹은 거래물 등록 이후 사후적으로 거래자에 대한 신용도를 확인하게 함으로써 부동산 거래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거래자 건전성 정보 확인하는 방법은 신용인증송부 방식을 기반으로 한 것이며, 후술하게 될 도 7에서는 신용정보조회 방식을 기반으로 한 것임을 이해한다.
제2실시예는 가장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가 부동산 거래 서버(300)에 거래물 등록을 요청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S410) 다만 S410 단계는 필수적인 구성 단계는 아님을 재차 밝힌다.
이 후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상기 거래물 등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거래물을 등록 승인한다. (S420) 다만, 이는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불과한 것이며, 해당 단계는 구현되는 방법에 따라 후술하게 될 단계들 중 어느 하나의 단계 이후, 예를 들어 S440 단계 이후, S450 단계 이후, 또는 S490 단계 이후에도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다음으로 임대인 또는 매도인은 향후 임의의 업체 또는 기관으로부터 신용평가사 서버(500)에 요청이 있을 시 신용평가사 서버(500)가 상기 임대인 또는 매도인에 대한 신용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하도록 이를 사전에 신청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신용평가사 서버(500)에 접속하여 신용인증송부를 신청하는 단계(S430)에 의해 이루어진다. S430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직접 신용평가사 서버(500)에 접속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부동산 거래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링크를 통해 신용평가사 서버(500)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임대인 또는 매도인은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해 부동산 거래 서버(300)(오픈형 부동산 매물 플랫폼)에 접속하고, 상기 플랫폼에 표시되어 있는 신용평가사의 하이퍼링크를 클릭함으로써 신용평가사 서버(5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신용인증송부 신청 과정에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개인식별번호(예. 주민등록번호)와 이름을 입력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신용인증송부 신청을 수신한 신용평가사 서버(5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인증과정을 수행(S440)하게 되는데, S440 단계는 신용인증송부를 신청하는 당사자가 임대인 또는 매도인 본인이 맞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는 휴대폰 인증, 신용카드 인증, 공인인증서 인증 등 해당 분야에서 이미 알려진 인증 방식이 차용될 수 있다. 한편, S440 단계에서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신용평가사 서버(500)는 상기 신용인증송부 신청을 승인한다. (S450) 한편, 신용인증송부를 신청하는 단계(S430), 인증하는 단계(S440), 및 승인하는 단계(S450)는 본 실시예에서 S420 단계 이후에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설명하였으나, 해당 단계들은 사용자가 거래물 등록을 요청하기 이전에도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한다.
사용자에 의한 신용인증송부 신청과정이 종료된 후,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앞서 사용자 단말기(100)가 등록요청 한 거래물에 대해 신용평가사 서버(500) 측으로 건전성 정보요청을 송신한다. (S460) 본 실시예에서의 건전성 정보요청에는 거래자 정보가 포함된다.
한편,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을 수신한 신용평가사 서버(500)는 내부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 또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상기 거래자에 대한 신용정보를 조회한다. (S470) 일반적으로 거래자의 신용정보는 상기 신용평가사가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할 수 있을 것이나, 상기 신용평가사는 필요한 경우 다른 기관 또는 다른 업체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을 얻어 거래자의 신용정보를 추가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래자의 신용정보에는 신용등급, 체납 현황, 대출 현황, 카드 보유 현황, 연대 보증 현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거래자의 신용정보 조회를 마친 신용평가사 서버(500)는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300)에 거래물 건전성 정보를 제공(S490)하게 되는데, 이 때 S470 단계와 S490 단계 사이에서 부동산 거래 서버(300)와 신용평가사 서버(500)는 부가적으로 S481 및 S482 단계를 더 거쳐 정보 제공 과정의 보안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도 4의 A부분)
구체적으로, 신용정보 조회를 마친 신용평가사 서버(500)는 곧바로 해당 정보를 부동산 거래 서버(300)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대신 상기 거래자 신용정보에 접근할 때에 필요한 식별코드를 전송(S481)할 수 있다. 이 때의 식별코드는 상기 거래자 신용정보에 고유하게 대응되는 일련의 숫자 또는 문자 또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래자 신용정보를 포함한 보고서의 보고서 등록번호일 수 있다. 한편, 식별코드를 수신한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500)에 상기 식별코드가 포함된 신용인증송부 요청을 별도로 송신(S482)함으로써 거래물에 대한 건전성 정보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이렇게 거래자에 대한 신용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 부가적인 단계들을 삽입하는 경우 불필요한 조회 요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추가된 단계마다 사용자 의도에 따라 부가적인 본인인증 확인 수단 등을 넣음으로써 개인의 신용에 대한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500)가 부동산 거래 서버(300)에 제공하는 거래물 건전성 정보, 즉 거래자에 대한 신용정보는 애초에 수집된 정보 그 자체로도 제공이 가능하며, 또는 일부 가공이 이루어진 후 제공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거래물 건전성 정보는 (a) 거래자의 신용등급이 5등급 이상인지 여부; (b) 거래자의 체납액이 500만원 이상인지 여부; (c) 거래자의 연대보증금액이 2억 이상인지 여부; 등과 같이 기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해당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과만을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부동산 거래에 필요한 기준 값을 정하고 해당 기준만 충족시킨 것으로 조회된 경우 거래물 건전성 정보는 해당 거래자의 신용도가 양호하다는 결과물만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택하는 경우, 임대인 또는 매도인과 같은 거래자로서는 자신들의 신용정보가 구체적으로 상대방 거래자에게 드러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이는 다시 거래자들로 하여금 부담 없이 신용인증송부 신청을 하도록 하고, 임차인 또는 매수인으로 하여금 거래물과 거래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게 함으로써 전반적으로 부동산 거래의 안정성이 높아지게 되는 선순환 구조를 불러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500)로부터 거래물 건전성 정보를 제공받은 후 위의 정보를 다른 거래 상대방의 단말기(7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부동산 거래 서버(300)가 거래자 단말기(700)들로 거래물 건전성 정보, 즉 거래자에 대한 신용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플랫폼 상에 업로드 되어 있는 부동산 거래물 옆에 해당 거래물의 거래자 신용도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색깔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신용도 높음', '신용도 보통', '신용도 낮음' 등의 문자로 표시하여 이를 조회하는 거래자 단말기들, 즉 타 사용자들로 하여금 해당 거래물을 거래하고자 하는 자의 신용도를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거래를 실제 진행하고자 할 때에도 거래 페이지 상에 해당 거래자에 대한 신용도를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4의 방법 역시 1순환의 과정을 도시한 것일 뿐, S460 단계 내지 S500 단계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순환적으로 반복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특히,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개인 신용정보의 경우 앞서 설명한 도 3의 주기보다 더 짧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거래자 단말기, 즉 타 사용자들로서는 거래물을 등록한 자의 신용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3에서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4의 실시예 역시 임대인 또는 매도인의 거래물 건전성 정보를 요청하기 전(S460 단계 이전), 더 정확하게는 상기 임대인 또는 매도인의 신용정보 조회를 요청하기 전 단계에서 부동산 거래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기(100) 측으로 신용조회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신용조회에 대한 동의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부동산 거래시 발생하는 비용에 대한 할인 혜택, 오픈형 부동산 매물 플랫폼 이용료 할인 혜택 등 다양한 보상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제2실시예의 또 다른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4가 사용자의 신용인증송부 신청 과정을 모두 포함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라면, 도 5는 이미 신용인증송부 신청이 완료된 이후 부동산 거래 서버(300)가 식별코드를 이용해 신용평가사 서버(500)에 거래물 건전성 정보를 직접 요청하는 과정만을 포함한다.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100)가 부동산 거래 서버(300)에 거래물 등록을 요청하면 (S510),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상기 거래물 등록을 승인한 후 (S520), 신용평가사 서버(500)로 이미 앞서 발급받은 식별코드가 포함된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을 송신한다. (S530) 즉,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거래물 등록 요청이 있을 때마다 다시 식별코드를 발급받는 것이 아니라, 이미 한번 발급받은 식별코드를 재사용하여 신용평가사 서버(500)에 접근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거래물 신용평가사 서버(500)는 수신한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자의 신용정보를 조회(S540)하고, 조회 결과를 거래물 건전성 정보의 형태로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300)에 다시 제공(S550)한다.
도 5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과거에 이미 신용인증송부 신청을 마친 임대인 또는 매도인이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거래물을 등록하고자 부동산 거래 서버(300)에 접속하였을 때 이루어질 수 있는 실시태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은 앞서 살펴본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가 결합된 제3의 실시예로, 거래물 자체에 대한 조회 및 거래자에 대한 조회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가 부동산 거래 서버(300)에 거래물에 대한 등록을 요청하면 (S610),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상기 거래물에 대한 등록을 승인하고(S620), 신용평가사 서버(500)에 상기 거래물에 대한 건전성 정보를 요청(S630)하게 되는데, 이 때의 건전성 정보 요청에는 거래물 정보 및 거래자 정보가 모두 포함된다.
다음, 신용평가사 서버(500)는 수신한 거래물 정보 및 거래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거래물에 대한 관련 정보 및 거래자에 대한 신용정보를 수집 내지 조회(S640)하고, 그 결과를 부동산 거래 서버(300)에 제공(S650)한다.
S640 단계는 앞서 살펴본 제1실시예, 제2실시예에서와 같은 복수의 단계들을 더 포함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앞서 도 4에서 살펴본 거래자에 대한 건전성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의 실시예가 신용인증송부 방식 기반이라면 도 7의 실시예는 신용정보조회 방식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실시예를 구별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4실시예로 칭하기로 한다.
제4실시예는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가 부동산 거래 서버(300)에 거래물 등록을 요청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S710)
S710단계 이후,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상기 거래물 등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거래물을 등록 승인(S720)하는데, 이미 앞서 도 4에 대한 설명에서도 언급하였듯 S720단계는 구현 방법에 따라 후술하게 될 후속 단계들 중 어느 하나의 단계 이후에도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S720단계 이후, 임대인 또는 매도인은 향후 임의 업체 또는 기관이 신용평가사 서버(500)로 거래물에 대한 건전성 정보, 더 정확하게는 거래자의 신용정보를 조화하고자 요청하였을 때 신용평가사 서버(500)가 상기 임대인 또는 매도인에 대한 신용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개인식별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730)를 포함하는데, 이는 두 가지 방식, 즉 임대인 또는 매도인이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부동산 거래 서버(부동산 거래 플랫폼)에 접속한 후 개인식별정보를 입력하면, 부동산 거래 서버(300)가 신용평가사 서버(500)로 이를 전달하는 방식(방식1), 또는 임대인 또는 매도인이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부동산 거래 서버에 접속한 후 부동산 거래 서버가 제공한 URL을 통해 신용평가사 서버(500)에 접속하여 직접 신용평가사 서버(500)에 개인식별정보를 입력하는 방식(방식2)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S730단계는 방식1 또는 방식2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신용평가사 서버(500)에 개인식별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으로 정의된다. 한편, 이 때 상기 개인식별정보에는 임대인 또는 매도인의 성명, 생년월일, 주소, 휴대폰번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S730단계 이후, 신용평가사 서버(500)는 앞서 전달 받은 임대인 또는 매도인의 개인식별정보를 참조하여 개인식별키를 생성할 수 있다. (S740) 개인식별키란,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에 따라 주민등록번호의 수집이 어려운 업체들로 하여금 주민등록번호를 대신하여 사용하게 한 코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개인식별키는 문자, 숫자, 또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S740단계 이후, 앞서 생성된 개인식별키는 부동산 거래 서버(300)측으로 전달되며, 부동산 거래 서버(300) 측에서는 신용평가사 서버(500)를 상대로 거래물에 대한 건전성 정보를 요청할 때에 상기 개인식별키와 함께 요청을 할 수 있다. (S760)
한편, 부동산 거래 서버(300)로부터 거래물에 대한 건전성 정보 요청, 더 정확하게는 거래자에 대한 신용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이를 조회(S770)하고, 조회 결과를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300)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S780) 한편, 상기 S770단계에서 조회되는 거래자에 대한 신용정보에는 임대인 또는 매도인의 국세, 지방세 체납정보, 신용등급, 대출 현황, 카드 보유 현황, 연대 보증 현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500)로부터 제공 받은 거래물 건전성 정보(거래자 신용정보 포함)를 다른 거래 상대방의 단말기(700)에 제공할 수 있다. (S790)
한편, 도 3 및 도 4에서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7의 실시예 역시 임대인 또는 매도인의 거래물 건전성 정보를 요청하기 전(S760 단계 이전), 더 정확하게는 상기 임대인 또는 매도인의 신용정보 조회를 요청하기 전 임의의 단계에서 부동산 거래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기(100) 측으로 신용조회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300)는 신용조회에 대한 동의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부동산 거래시 발생하는 비용에 대한 할인 혜택, 오픈형 부동산 매물 플랫폼 이용료 할인 혜택 등 다양한 보상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오픈형 부동산 매물 플랫폼 이용시 부동산에 대한 건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 방법, 그리고 이를 실질적으로 검증하는 서버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 실시예에서는 각 단계가 순서에 따라 설명되었으나, 위 순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일 뿐, 본 방법 발명이 위 순서에 의해 구속받는 것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사용자단말기 100
부동산 거래 서버 300
신용평가사 서버 500
수신부 510 조회부 520 정보제공부 530
데이터베이스 540 제어부 550
거래자 단말기 700

Claims (3)

  1. 부동산 거래물의 건전성을 검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신용평가사 서버가 당해 신용평가사 서버에 접속한 부동산 거래 서버로부터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 - 상기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은 거래자 정보를 반드시 포함하고, 거래물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함 - 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가 상기 거래자 정보를 기초로 거래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c)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가 수집한 거래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c)단계는,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가 상기 거래자에 대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식별코드를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가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로부터 신용인증송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가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로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거래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거래자의 신용인증송부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상기 거래자의 인증을 하는 단계; 및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상기 거래자의 신용인증송부 신청에 대한 승인을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b)단계에서 수집된 상기 거래자에 대한 정보에 고유하게 대응되는 일련의 숫자 또는 문자 또는 또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이고,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의 상기 신용인증송부 요청은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거래자의 신용인증송부 신청은, 신용인증송부 신청이 승인된 이후에는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자에 대한 신용인증송부 요청이 있을 때마다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가 수집한 상기 거래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사전에 허락하는 것이며,
    상기 (b)단계와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거래자에 대한 정보는 상기 거래자의 세금 체납 현황 정보를 포함하는, 부동산 거래물 검증 방법.
  2. 부동산 거래물의 건전성을 검증하는 서버로서,
    부동산 거래 서버로부터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 - 상기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은 거래자 정보를 반드시 포함하고, 거래물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함 - 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거래자 정보를 기초로 거래자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조회부;
    상기 조회부에 의해 조회된 거래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제공부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거래자의 신용인증송부 신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상기 거래자의 인증을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상기 거래자의 신용인증송부 신청에 대한 승인을 하며,
    상기 거래자에 대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식별코드를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로부터 신용인증송부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로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거래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조회부가 조회한 상기 거래자에 대한 정보에 고유하게 대응되는 일련의 숫자 또는 문자 또는 또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이고,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의 상기 신용인증송부 요청은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거래자의 신용인증송부 신청은, 신용인증송부 신청이 승인된 이후에는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자에 대한 신용인증송부 요청이 있을 때마다 상기 조회부가 조회한 상기 거래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사전에 허락하는 것이며,
    상기 거래자에 대한 정보는 거래자의 세금 체납 현황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거래물 정보 및 거래자 정보를 수신하고, 신용평가사 서버에 접속하여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 - 상기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은 거래자 정보를 반드시 포함하고, 거래물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함 - 을 전송하는 부동산 거래 서버;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로부터 거래물 건전성 정보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거래자 정보를 기초로 거래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에 거래물 건전성 정보를 전송하는 신용평가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거래자의 신용인증송부 신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상기 거래자의 인증을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상기 거래자의 신용인증송부 신청에 대한 승인을 하며,
    상기 거래자에 대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식별코드를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로부터 신용인증송부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로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거래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가 수집한 상기 거래자에 대한 정보에 고유하게 대응되는 일련의 숫자 또는 문자 또는 또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이고,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의 상기 신용인증송부 요청은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거래자의 신용인증송부 신청은, 신용인증송부 신청이 승인된 이후에는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자에 대한 신용인증송부 요청이 있을 때마다 상기 신용평가사 서버가 수집한 상기 거래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부동산 거래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사전에 허락하는 것이며,
    상기 거래자에 대한 정보는 거래자의 세금 체납 현황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산 거래물 검증 시스템.
KR1020200060969A 2018-05-17 2020-05-21 부동산 거래물의 건전성을 검증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서버 KR102329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969A KR102329434B1 (ko) 2018-05-17 2020-05-21 부동산 거래물의 건전성을 검증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574A KR20190131767A (ko) 2018-05-17 2018-05-17 부동산 거래물의 건전성을 검증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서버
KR1020200060969A KR102329434B1 (ko) 2018-05-17 2020-05-21 부동산 거래물의 건전성을 검증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서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574A Division KR20190131767A (ko) 2018-05-17 2018-05-17 부동산 거래물의 건전성을 검증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319A true KR20200060319A (ko) 2020-05-29
KR102329434B1 KR102329434B1 (ko) 2021-11-19

Family

ID=7091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969A KR102329434B1 (ko) 2018-05-17 2020-05-21 부동산 거래물의 건전성을 검증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4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165B1 (ko) * 2023-08-11 2023-12-29 주식회사 아이엔 개인 신용 정보 및 부동산 목적물 등기 정보에 기초하여임대차 계약의 리스크를 제공하는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459A (ko) * 2004-09-23 2006-03-28 성열오 인터넷을 이용한 부동산 손해보험 계약 중개 방법
KR20070049418A (ko) 2005-11-08 2007-05-11 최성욱 핸드폰을 이용한 개인신용정보 조회 확인시스템
KR20120039397A (ko) * 2010-10-15 2012-04-25 나이스신용평가정보주식회사 기업정보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업정보 제공방법
KR20140002343A (ko) * 2012-06-29 2014-01-08 김인철 개인간 거래, 대출, 금전, 물품대금, 공사대금, 보증금, 채무금, 어음, 차용증, 개인간 서면 각서, 민사, 형사, 내용증명, 합의서등의 증명 서비스 및 그 방법
KR101826859B1 (ko) * 2017-07-20 2018-02-08 김동민 허위매물 방지하는 온라인상의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459A (ko) * 2004-09-23 2006-03-28 성열오 인터넷을 이용한 부동산 손해보험 계약 중개 방법
KR20070049418A (ko) 2005-11-08 2007-05-11 최성욱 핸드폰을 이용한 개인신용정보 조회 확인시스템
KR20120039397A (ko) * 2010-10-15 2012-04-25 나이스신용평가정보주식회사 기업정보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업정보 제공방법
KR20140002343A (ko) * 2012-06-29 2014-01-08 김인철 개인간 거래, 대출, 금전, 물품대금, 공사대금, 보증금, 채무금, 어음, 차용증, 개인간 서면 각서, 민사, 형사, 내용증명, 합의서등의 증명 서비스 및 그 방법
KR101826859B1 (ko) * 2017-07-20 2018-02-08 김동민 허위매물 방지하는 온라인상의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165B1 (ko) * 2023-08-11 2023-12-29 주식회사 아이엔 개인 신용 정보 및 부동산 목적물 등기 정보에 기초하여임대차 계약의 리스크를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434B1 (ko) 2021-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1057B2 (en) Method for paying cost of IoT device based on blockchain and merkle tree structure related thereto, and server, service providing terminal, and digital wallet using the same
US11004044B2 (en) Method for paying cost of IoT device based on blockchain, and server,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digital wallet using the same
US107835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nhanced loan qualification information
US200900891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ssue and Trade of Fractional Interest Real Estate Stock
KR100979504B1 (ko) 부동산 중개 정보 서비스를 이용한 부동산 계약 체결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2017033764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peer to peer real estate transactions
US20140365387A1 (en) Online system & portal to facilitate real estate transaction
US20170116691A1 (en) Network Enabled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ng Property Sales and Rentals without a Real Estate Agent
CN103154983A (zh) 支付系统、购买系统以及执行多个支付流程的方法
US200900892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ssue and Trade of Real Estate Options
US20200167861A1 (en) Secure data acquisition and processing system
US201200722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home history report
KR20070007414A (ko) 부동산 담보 대출 정보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부동산 담보 대출정보 운용서버,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90131767A (ko) 부동산 거래물의 건전성을 검증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서버
US20140279383A1 (en) Methods and systems related to lender matching
KR102329434B1 (ko) 부동산 거래물의 건전성을 검증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서버
US20230196488A1 (en) Real estate workflow with verified identification
KR102185613B1 (ko) 사설 부동산 거래정보망 및 국토교통부 전자계약시스템의 표준 연계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40076983A (ko) 인터넷뱅킹을 이용한 부동산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643710B1 (ko) 부동산 매물 검증 방법
KR100914659B1 (ko) 프로젝트금융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200134614A (ko) 온라인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사용자 단말
KR20200126847A (ko) 비식별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대출광고를 비식별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식별 사용자에게 매칭하여 주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식별 사용자 단말
KR102602116B1 (ko) 임대차계약서 안전도 평가 제공방법
KR20090060229A (ko) 분양형 부동산금융 평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65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316

Effective date: 20211014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