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940A - 교정용 스크류 - Google Patents

교정용 스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940A
KR20200058940A KR1020180143675A KR20180143675A KR20200058940A KR 20200058940 A KR20200058940 A KR 20200058940A KR 1020180143675 A KR1020180143675 A KR 1020180143675A KR 20180143675 A KR20180143675 A KR 20180143675A KR 20200058940 A KR20200058940 A KR 20200058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head portion
orthodontic
ligatio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725B1 (ko
Inventor
장원건
김병수
서민규
차주영
윤상원
박나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티스
장원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티스, 장원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to KR102018014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7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58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정용 스크류에 관한 것으로서, 둥근 형태의 제1헤드부와, 상기 제1헤드부 하측에 형성되는 삼각 형태의 제2헤드부와, 상기 제2헤드부 하측에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하측에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삼각 형태의 제2헤드부가 구비되어 결찰홀 또는 슬롯 방향의 인지가 용이하여 치료시 필요한 교정용 호선의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부착치은에서 식립깊이를 결정할 수 있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교정용 스크류{screw for orthodontic treatment}
본 발명은 교정용 스크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삼각 형태의 제2헤드부가 구비되어 결찰홀 또는 슬롯 방향의 인지가 용이하여 치료시 필요한 교정용 호선의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부착치은에서 식립깊이를 결정할 수 있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할 수 있는 교정용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들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반드시 고정원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원은 일정한 힘이 가해져도 움직이지 않아야 하고, 이동시키고자 하는 치아에는 지속적인 힘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종래의 이러한 고정원으로서 어금니를 사용하거나 구외에 고정장치를 설치하는 방법 등이 있었으나, 어금니가 반작용으로 이동하는 등 효과적인 교정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심미감이 떨어져 많이 활용되지 않고는 있다.
근래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고정원으로는 치조골에 식립하는 스크류가 있다.
이는 치조골에 스크류를 식립하고 이동을 원하는 치아들 측에 소정의 브라켓을 부착한 후 브라켓과 스크류를 스프링이나 교정용 고무줄과 같은 탄성부재 등과 연결하거나 브라켓에 결찰된 와이어(이하에서는 "교정용 호선"이라고 한다)에 연결하여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를 이동시키게 된다.
교정용 스크류는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국내에서 개발이 시작되었고, anchorage control을 기본 목표로 하여 그 형태가 다양하게 개선되면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교정용 스크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다양한 형태가 나와 있는데, 일반적으로 헤드부(10)와, 이동시키고자 하는 치아와 연결시키는 교정용 호선 등이 결합되는 연결부(20)와,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결합부(30)와, 나사부(40)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교정용 스크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근과 치근 사이에 식립하는 방식으로 개발, 발전되었고, 치근 사이의 공간의 제한으로 인해 지름 1.2~1.6mm, 식립 길이 6~10mm의 미니 스크류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치근 사이에 식립하는 미니 스크류는 공간 제한으로 인해 치근의 파절 혹은 식립 강도 부족으로 인한 탈락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적응부위가 제한적이라 효과적인 치료가 어려운 면이 있었다.
즉, 치근과 평행하게 식립하기 위해서는 현재 나와 있는 디자인으로는 식립시 파절 가능성과 가용성있는 잇몸의 두께 때문에 식립 길이가 6~10mm로 짧은 종래의 미니 스크류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크류의 경우 상기 헤드부(10)나 공구결합부(30) 밑에 나사부(40)가 바로 인접하여 형성되어 헤드부(10)가 잇몸에 바로 접하거나, 헤드부(10), 공구결합부(30) 또는 공구가 잇몸을 자극하게 되어 염증을 유발시키거나 교정용 호선 등을 교체할 때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헤드부(10)와 나사부(40) 간의 거리가 짧아서 치근에 고정되는 힘이 약하여 치근 사이의 공간에 각도를 가지고 식립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치근에 평행 식립시에는 더욱 더 식립 강도가 약해서 스크류의 탈락이 일어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스크류의 경우 헤드부(10)나 공구결합부(30)의 형태가 원형이나 정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치근에 평행하게 식립하는 경우 잇몸에 기계적인 자극이 가해지게 되어 이로 인한 궤양(ulceration)과 염증(inflammation)이 유발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스크류의 경우 헤드부(10)나 공구결합부(30)의 형태가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홀(hole)이나 슬롯(slot)의 방향을 확인이 어려우며, 식립 깊이를 결정하는 것이 어려운 면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삼각 형태의 제2헤드부가 구비되어 결찰홀 또는 슬롯 방향의 인지가 용이하여 치료시 필요한 교정용 호선의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부착치은에서 식립깊이를 결정할 수 있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할 수 있는 교정용 스크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둥근 형태의 제1헤드부와, 상기 제1헤드부 하측에 형성되는 삼각 형태의 제2헤드부와, 상기 제2헤드부 하측에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하측에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헤드부는, 아랫면이 절단된 반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슬롯(slot)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헤드부는, 반구 형태의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 하측에 상기 머리부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는 결찰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결찰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결찰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헤드부는, 삼각 형태를 형성하는 제1면과,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면에 의해 생성되는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제2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면에 비해서 상기 제2면의 면적이 더 작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면과 제2면은 서로 대향되면서 평행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면 및 제2면에는, 서로 관통하는 결찰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길이는 상기 나사부의 길이에 대해 1 : 1~1.5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교정용 스크류의 길이는, 10~14mm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삼각 형태의 제2헤드부가 구비되어 결찰홀 또는 슬롯 방향의 인지가 용이하여 치료시 필요한 교정용 호선의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제2헤드부가 면적이 서로 다른 제1면과 제2면으로 이루어져 결찰홀 또는 슬롯의 방향을 일정하게 가이드해 줄 수 있고, 부착치은에서 식립깊이를 결정할 수 있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할 수 있어, 정밀하고 안정적인 식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2헤드부의 제2면을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잇몸에 기계적인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식립시 파절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 가용성있는 잇몸의 두께에도 안정적으로 식립이 되어 식립 안정성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기존의 제품들을 식립하기에 제한적인 위치(retromolar pad, buccal shelf, maxillary tuberosity)에도 효과적으로 식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쓰러진 대구치의 직립, 매복치의 견인, 토크 조절, 치아이동시 bodily movement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헤드부 하측에 소정 길이의 지지부가 형성되어 식립시 잇몸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잇몸뼈에 식립한 후 일상 생활 중에 가동적인 잇몸에 유해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점막(mucosa)에 식립해야 하는 대부분의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며, 식립 후에 생기는 염증, 촬과상,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치근과 평행하게 식립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어 치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치근의 파절을 최소화하고, 식립 강도를 최대화할 수 있어 스크류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 종래의 교정용 스크류에 대한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2 - 종래의 교정용 스크류의 적용 예시도(치근 사이 또는 치근과 각도를 이루며 식립된 상태).
도 3 내지 도 8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모식도.
도 9 -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적용 예시도.
본 발명은 교정용 스크류에 관한 것으로서, 삼각 형태의 제2헤드부가 구비되어 결찰홀 또는 슬롯 방향의 인지가 용이하여 치료시 필요한 교정용 호선의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부착치은에서 식립깊이를 결정할 수 있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길이의 지지부 및 나사부를 구비하여 치근과 평행하게 식립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어 치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치근의 파절을 최소화하고, 식립 강도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적용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는 둥근 형태의 제1헤드부(100)와, 상기 제1헤드부(100) 하측에 형성되는 삼각 형태의 제2헤드부(200)와, 상기 제2헤드부(200) 하측에 형성된 지지부(300) 및 상기 지지부(300) 하측에 형성된 나사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수직 방향은 도시된 교정용 스크류의 길이 방향(도면 상의 아래 방향)을 의미하며, 수평 방향은 이에 대해 수직한 방향(폭 방향, 도면 상의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헤드부(100)는 둥근 형태로 형성되어 주변 구강 구조물에 자극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되며, 특히 아랫면이 절단된 반구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헤드부(100)에는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슬롯(slot)(110)이 형성되어, 교정용 와이어 등이 결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헤드부(100)는 반구 형태의 머리부(120)와, 상기 머리부(120) 하측에 상기 머리부(120)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는 기둥 형태의 결찰부(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찰부(130)로는 교정용 스프링(NiTi 스프링)이 결찰되게 된다.
즉, 상기 제1헤드부(100)의 머리부(120)는 상기 결찰부(130)에 교정용 스프링이 상측으로 무단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결찰부(130)보다는 상대적으로 긴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찰부(130)에는 수평 방향으로 결찰홀(131)이 형성되어, 교정용 고무줄이나 교정용 와이어가 결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헤드부(200)는 상기 제1헤드부(100) 하측에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삼각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헤드부(200)는 상기 제1헤드부(100)의 결찰부(130)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찰부(130)에 교정용 스프링이 안정적으로 결찰될 수 있도록 상기 결찰부(130)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은 수평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헤드부(200)는 삼각 형태로 형성되어 전용 공구와 결합되어 스크류가 식립되도록 하며, 기존의 육각 형태에 비해 스크류의 방향 인식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헤드부(200)는, 삼각 형태를 형성하는 제1면(210)과,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면(210)에 의해 생성되는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제2면(2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면(210)에 비해서 상기 제2면(220)의 면적이 더 작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헤드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삼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면(210) 두개가 만나 생성되는 모서리 부위에 제2면(220)이 형성되어, 상기 제1면(210)과 제2면(220)이 교대로 형성된 형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상기 제1면(210)과 상기 제2면(220)의 면적은 상기 제1면(210)에 비해 상기 제2면(220)의 면적이 더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헤드부(200)의 형상은 원기둥 형태에서 제1면(210)을 수직으로 절삭하여 가공할 수도 있으며, 삼각기둥 형태에서 제2면(220)을 수직으로 절삭하여 가공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면(210)의 가로 길이에 대해 제2면(220)의 가로 길이는 1 : 0.3~0.6 정도의 비율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상기 제1면(210)으로는 공구에 의한 힘이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면(210)과 제2면(220)의 방향 구분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교정용 와이어 등의 결찰을 위한 결찰홀(230)을 형성할 수 있는 최소한의 비율이다.
또한, 상기 제1면(210)과 제2면(220)은 서로 대향되면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식립 부위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제2면(220)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주변 잇몸 부위에 기계적인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면(210)과 제2면(220)에는 이를 서로 관통하는 결찰홀(230)이 형성되어, 교정용 와이어 등이 결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찰홀(230)은 식립 부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면서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육각 형태 또는 원형 형태의 헤드부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삼각 형태의 제2헤드부(200)는 결찰홀(131),(230) 또는 슬롯(110) 방향의 인지가 용이하여 치료시 필요한 교정용 호선의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제2헤드부(200)가 면적이 서로 다른 제1면(210)과 제2면(220)으로 이루어져 결찰홀(131),(230) 또는 슬롯(110)의 방향을 일정하게 가이드해 줄 수 있고, 부착치은에서 식립깊이를 결정할 수 있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할 수 있어, 정밀하고 안정적인 식립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제2헤드부(200) 하측에 형성되며, machined surface를 가지며, 소정 길이로 형성된 부분으로, 이에 의해 식립시 잇몸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잇몸뼈에 식립한 후 일상 생활 중에 가동적인 잇몸에 유해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점막(mucosa)에 식립해야하는 대부분의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며, 식립 후에 생기는 염증, 촬과상,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300)의 길이는 나사부(400)의 길이에 대해 1 : 1~1.5의 길이로 형성되어, 치근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식립시 잇몸에 안정적으로 식립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스크류의 탈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부(400)는 상기 지지부(300)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헤드부(200)에 공구를 결합하고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치조골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0)의 길이에 대해 나사부(400)의 길이는 1 : 1~1.5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400)의 폭은 1.8~2mm, 길이는 10~14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교정용 스크류는 지름 1.2~1.6mm, 식립 길이 6~10mm로 형성되어 치근 사이에 치근과 각도를 형성하며 식립되는 방식으로만 사용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는 상기 지지부(300)를 구현하고, 상기 지지부(300) 및 나사부(400)의 길이 비율을 만족하면서 상기 나사부(400)의 폭 및 길이를 확대하여 치근에 평행한 방향으로도 치조골에 깊게 식립이 가능하여 식립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경우 잇몸에 식립되는 부위가 machined surface를 갖는 지지부(300)로 형성되어, 식립시 잇몸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가동적인 잇몸에 유해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는 치근과 평행하게 식립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어 치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치근의 파절을 최소화하고, 식립 강도를 최대화할 수 있어 스크류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체적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식립시 파절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 가용성있는 잇몸의 두께에도 안정적으로 식립이 되어 식립 안정성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기존의 제품들을 식립하기에 제한적인 위치(retromolar pad, buccal shelf, maxillary tuberosity)에도 효과적으로 식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쓰러진 대구치의 직립, 매복치의 견인, 토크 조절, 치아이동시 bodily movement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상기 제1헤드부(100)의 결찰부(130)에 결찰홀(131)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결찰홀(131)에는 교정용 고무줄 등이 결찰되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상기 제1헤드부(100)의 머리부(120)에 일방향으로 슬롯(110)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슬롯(110)에는 교정용 와이어 등이 결찰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상기 제2헤드부(200)의 제1면(210)과 제2면(220)을 관통하는 결찰홀(230)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결찰홀(230)에는 교정용 와이어 등이 결찰되게 된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공통적으로 둥근 형태의 제1헤드부(100)를 갖고, 삼각형태의 제2헤드부(200)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긴 지지부(300)와 나사부(40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의 경우 다른 실시예보다 상대적으로 긴 지지부 및 나사부로 구현되어 치근과 평행한 식립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치근과 평행하게 식립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어 치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치근의 파절을 최소화하고, 식립 강도를 최대화할 수 있어 스크류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구강 내 부위에 식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 적응증이 다양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9는 상기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를 치근에 평행한 방향으로 식립되는 적용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0)에 의해 식립시 잇몸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가동적인 잇몸에 유해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긴 지지부(300)와 나사부(400)에 의해 치근과 평행한 방향으로 식립이 가능하여 치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식립 강도를 최대화할 수 있어 스크류의 탈락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헤드부(200)의 삼각 형태에 의해 결찰홀(230) 방향의 인지가 용이하여 치료시 필요한 교정용 호선의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부착치은에서 식립깊이를 결정할 수 있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면서 효과적인 식립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100 : 제1헤드부 110 : 슬롯
120 : 머리부 130 : 결찰부
131 : 결찰홀 200 : 제2헤드부
210 : 제1면 220 : 제2면
230 : 결찰홀 300 : 지지부
400 : 나사부

Claims (11)

  1. 둥근 형태의 제1헤드부;
    상기 제1헤드부 하측에 형성되는 삼각 형태의 제2헤드부;
    상기 제2헤드부 하측에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하측에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부는,
    아랫면이 절단된 반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부는,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슬롯(slot)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부는,
    반구 형태의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 하측에 상기 머리부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는 결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찰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결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헤드부는,
    삼각 형태를 형성하는 제1면과,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면에 의해 생성되는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제2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면에 비해서 상기 제2면의 면적이 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7.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제2면은 서로 대향되면서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 및 제2면에는,
    서로 관통하는 결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길이는 상기 나사부의 길이에 대해
    1 : 1~1.5의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스크류의 길이는,
    10~14mm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KR1020180143675A 2018-11-20 2018-11-20 교정용 스크류 KR102179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675A KR102179725B1 (ko) 2018-11-20 2018-11-20 교정용 스크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675A KR102179725B1 (ko) 2018-11-20 2018-11-20 교정용 스크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940A true KR20200058940A (ko) 2020-05-28
KR102179725B1 KR102179725B1 (ko) 2020-11-17

Family

ID=7091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675A KR102179725B1 (ko) 2018-11-20 2018-11-20 교정용 스크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7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269B1 (ko) * 2003-11-04 2005-03-14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의료용 스크류
KR100608304B1 (ko) * 2005-10-26 2006-08-02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치아교정용 앵커
KR20080019153A (ko) * 2006-08-24 2008-03-03 토즈 엘엘씨 치열교정 기구 고정 장치 및 고정 방법
KR20090048289A (ko) * 2007-11-09 2009-05-13 주식회사 쿠보텍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KR20130055226A (ko) * 2011-11-18 2013-05-28 김진경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269B1 (ko) * 2003-11-04 2005-03-14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의료용 스크류
KR100608304B1 (ko) * 2005-10-26 2006-08-02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치아교정용 앵커
KR20080019153A (ko) * 2006-08-24 2008-03-03 토즈 엘엘씨 치열교정 기구 고정 장치 및 고정 방법
KR20090048289A (ko) * 2007-11-09 2009-05-13 주식회사 쿠보텍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KR20130055226A (ko) * 2011-11-18 2013-05-28 김진경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725B1 (ko)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8545B2 (en) Orthodontic anchor
US10485634B2 (en) Palate anchorage device for orthodontics
WO2014088116A1 (ja) スクリューの結合力維持具及び結合力維持具付きスクリュー
EP0823244A2 (en) Supporting body for use in orthodontic appliance
KR102133331B1 (ko)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US20080118885A1 (en) Orthodontic anchor
KR20100138710A (ko) 치열 교정용 지지 부재
US4084318A (en) Stabilized dental implant
US20140302451A1 (en) Removable orthodontic retainer
KR100807150B1 (ko) 오버덴쳐 시술용 임플란트
KR10066624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JP2007097987A (ja) 歯科矯正器具
KR101551381B1 (ko) 치과 교정술 또는 악안면 수술용 고정원
US8251698B2 (en) Orthodontic implant
ATE361032T1 (de) Vorrichtung zum halten einer elastischen schleife und herstellungsverfahren
JP3651640B2 (ja) 歯列矯正用支持体
CN209790046U (zh) 椭圆柱形正畸种植支抗钉
KR20200058940A (ko) 교정용 스크류
JP4125008B2 (ja) 歯科矯正装置
ES2879320T3 (es) Aparato de ortodoncia para odontología
KR200411875Y1 (ko)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
US8485817B2 (en) Orthodontic device
KR200345615Y1 (ko) 교정용 스크류
US20110244428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ental implants
CN111432746A (zh) 托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