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940A - screw for orthodontic treatment - Google Patents

screw for orthodontic trea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940A
KR20200058940A KR1020180143675A KR20180143675A KR20200058940A KR 20200058940 A KR20200058940 A KR 20200058940A KR 1020180143675 A KR1020180143675 A KR 1020180143675A KR 20180143675 A KR20180143675 A KR 20180143675A KR 20200058940 A KR20200058940 A KR 20200058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head portion
orthodontic
ligatio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9725B1 (en
Inventor
장원건
김병수
서민규
차주영
윤상원
박나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티스
장원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티스, 장원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to KR102018014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725B1/en
Publication of KR20200058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9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7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w for orthodontic treatment, including: a round first head unit; a triangular second head unit formed under the first head unit; a support unit formed under the second head unit; and a screw unit formed under the suppo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triangular second head unit to easily recognize a ligation hole or a slot direction, thereby efficiently using orthodontic lines required for treatment and acting as a stopper capable of determining a placement depth from attached gingivae.

Description

교정용 스크류{screw for orthodontic treatment}Screw for orthodontic treatment

본 발명은 교정용 스크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삼각 형태의 제2헤드부가 구비되어 결찰홀 또는 슬롯 방향의 인지가 용이하여 치료시 필요한 교정용 호선의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부착치은에서 식립깊이를 결정할 수 있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할 수 있는 교정용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screw, and in particular, a second head portion of a triangular shape is provided to facilitate recognition of a ligation hole or a slot, so that the use of an orthodontic arc required for treatment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nd the implantation depth at the attached gingiva It relates to a corrective screw that can act as a stopper (stopper) to determine.

일반적으로 치아들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반드시 고정원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원은 일정한 힘이 가해져도 움직이지 않아야 하고, 이동시키고자 하는 치아에는 지속적인 힘을 줄 수 있어야 한다.In general, when moving the teeth in a specific direction, a fixed circle is necessarily required. Such a stationary circle should not move even when a certain force is applied, and it must be able to apply a constant force to the tooth to be moved.

종래의 이러한 고정원으로서 어금니를 사용하거나 구외에 고정장치를 설치하는 방법 등이 있었으나, 어금니가 반작용으로 이동하는 등 효과적인 교정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심미감이 떨어져 많이 활용되지 않고는 있다.As a conventional fixation source, there has been a method of using a molar or installing a fixation device on the premises, but it is difficult to expect an effective correction effect such as the molar moving as a reaction, and the aesthetic sense is poor and is not utilized much.

근래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고정원으로는 치조골에 식립하는 스크류가 있다.The most commonly used fixing source in recent years is a screw placed in the alveolar bone.

이는 치조골에 스크류를 식립하고 이동을 원하는 치아들 측에 소정의 브라켓을 부착한 후 브라켓과 스크류를 스프링이나 교정용 고무줄과 같은 탄성부재 등과 연결하거나 브라켓에 결찰된 와이어(이하에서는 "교정용 호선"이라고 한다)에 연결하여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를 이동시키게 된다.This is to install a screw in the alveolar bone and attach a predetermined bracket to the teeth to be moved, then connect the bracket and screw to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or an elastic rubber band, or a wire ligated to the brack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rrection wire"). Is called) to move the teeth to be corrected.

교정용 스크류는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국내에서 개발이 시작되었고, anchorage control을 기본 목표로 하여 그 형태가 다양하게 개선되면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The orthodontic screw has been develope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and many developments have been made as the shape of the anchorage control is improved variously.

이러한 교정용 스크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다양한 형태가 나와 있는데, 일반적으로 헤드부(10)와, 이동시키고자 하는 치아와 연결시키는 교정용 호선 등이 결합되는 연결부(20)와,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결합부(30)와, 나사부(40)로 구성되어 있다.As for the orthodontic screw, various forms are conventionally shown, as shown in FIG. 1. In general, the head portion 10, a connection portion 20 to which an orthodontic arc for connecting a tooth to be moved, and the like are coupled, and a tool It is composed of a tool coupling portion 30 is coupled, and the screw portion 40.

종래의 교정용 스크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근과 치근 사이에 식립하는 방식으로 개발, 발전되었고, 치근 사이의 공간의 제한으로 인해 지름 1.2~1.6mm, 식립 길이 6~10mm의 미니 스크류를 사용하고 있다.The conventional orthodontic screw was developed and developed as a method of placing between the roots and the roots as shown in FIG. 2, and due to the space limitation between the roots, mini-screws of 1.2 to 1.6 mm in diameter and 6 to 10 mm in length were placed. I am using it.

이러한 치근 사이에 식립하는 미니 스크류는 공간 제한으로 인해 치근의 파절 혹은 식립 강도 부족으로 인한 탈락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적응부위가 제한적이라 효과적인 치료가 어려운 면이 있었다.The mini-screw placed between these roots has a problem that frequent fractures occur due to fracture of the roots or lack of placement strength due to space limitation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effective treatment is difficult due to limited adaptive sites.

즉, 치근과 평행하게 식립하기 위해서는 현재 나와 있는 디자인으로는 식립시 파절 가능성과 가용성있는 잇몸의 두께 때문에 식립 길이가 6~10mm로 짧은 종래의 미니 스크류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be placed parallel to the roo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resent design cannot be used with a conventional mini screw having a short insertion length of 6 to 10 mm due to the possibility of fracture during implantation and the thickness of a soluble gum.

또한 종래의 스크류의 경우 상기 헤드부(10)나 공구결합부(30) 밑에 나사부(40)가 바로 인접하여 형성되어 헤드부(10)가 잇몸에 바로 접하거나, 헤드부(10), 공구결합부(30) 또는 공구가 잇몸을 자극하게 되어 염증을 유발시키거나 교정용 호선 등을 교체할 때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crew, the head portion 10 or the tool portion 30, the screw portion 40 is formed immediately adjacent to the head portion 10 is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gum, the head portion 10, the tool coupling The part 30 or the tool stimulates the gums to cause inflammation or to cause pain to the patient when replacing orthodontic lines.

또한, 상대적으로 헤드부(10)와 나사부(40) 간의 거리가 짧아서 치근에 고정되는 힘이 약하여 치근 사이의 공간에 각도를 가지고 식립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치근에 평행 식립시에는 더욱 더 식립 강도가 약해서 스크류의 탈락이 일어나는 원인이 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portion 10 and the screw portion 40 is relatively short, the force fixed to the root is weak, so that the implantation strength is even greater when placed at an angle in the space between the roots and parallel to the root. It is weak, causing the screw to fall off.

또한 종래의 스크류의 경우 헤드부(10)나 공구결합부(30)의 형태가 원형이나 정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치근에 평행하게 식립하는 경우 잇몸에 기계적인 자극이 가해지게 되어 이로 인한 궤양(ulceration)과 염증(inflammation)이 유발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crew, the shape of the head portion 10 or the tool coupling portion 30 is formed in a circular or hexagonal shape, and when placed parallel to the root, mechanical stimulation is applied to the gums, resulting in ulceration and Inflammation is being induced.

또한 종래의 스크류의 경우 헤드부(10)나 공구결합부(30)의 형태가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홀(hole)이나 슬롯(slot)의 방향을 확인이 어려우며, 식립 깊이를 결정하는 것이 어려운 면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crew, the shape of the head portion 10 or the tool coupling portion 30 is formed symmetrically, making it difficult to check the direction of a hole or slot, an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placement depth. hav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삼각 형태의 제2헤드부가 구비되어 결찰홀 또는 슬롯 방향의 인지가 용이하여 치료시 필요한 교정용 호선의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부착치은에서 식립깊이를 결정할 수 있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할 수 있는 교정용 스크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second head portion of the triangular shape is provided, it is easy to recognize the ligation hole or slot direction, so that the use of orthodontic lines required for treatment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nd the implantation depth at the attached gingiva.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thodontic screw that can act as a stopper.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둥근 형태의 제1헤드부와, 상기 제1헤드부 하측에 형성되는 삼각 형태의 제2헤드부와, 상기 제2헤드부 하측에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하측에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irst head portion of a round shape, a second head portion of a triangular shap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head portion, a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head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Technical screw is a screw for calib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crew formed on the lower side.

또한, 상기 제1헤드부는, 아랫면이 절단된 반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슬롯(slot)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head portion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in which the lower surface is cut, and it is preferable that a slot is formed in one direction or both directions.

또한, 상기 제1헤드부는, 반구 형태의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 하측에 상기 머리부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는 결찰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결찰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결찰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head portion is formed of a hemisphere-shaped head portion and a ligation portion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below the head portion.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ation hole is formed in the ligation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2헤드부는, 삼각 형태를 형성하는 제1면과,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면에 의해 생성되는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제2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면에 비해서 상기 제2면의 면적이 더 작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면과 제2면은 서로 대향되면서 평행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head portion is made of a first surface forming a triangular shape, and a second surface formed at a corner portion generated by the first surface adjacent to each other, the second surface compared to the first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of is formed smaller, and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re preferably formed in parallel while facing each other. In addition, the second surface is preferably formed to be round.

또한, 상기 제1면 및 제2면에는, 서로 관통하는 결찰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re formed with ligation holes penetrating each other.

또한, 상기 지지부의 길이는 상기 나사부의 길이에 대해 1 : 1~1.5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교정용 스크류의 길이는, 10~14mm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length of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a length of 1: 1 to 1.5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screw portion, and the length of the orthodontic screw is preferably 10 to 14 mm.

본 발명은 삼각 형태의 제2헤드부가 구비되어 결찰홀 또는 슬롯 방향의 인지가 용이하여 치료시 필요한 교정용 호선의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제2헤드부가 면적이 서로 다른 제1면과 제2면으로 이루어져 결찰홀 또는 슬롯의 방향을 일정하게 가이드해 줄 수 있고, 부착치은에서 식립깊이를 결정할 수 있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할 수 있어, 정밀하고 안정적인 식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riangular second head portion so that it is easy to recognize the ligation hole or slot direction, so that the use of orthodontic lines required for treatment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Consists of the second side, it can guide the direction of the ligation hole or slot constantly, and can serve as a stopper that can determine the placement depth in the attached gingiva, thereby enabling precise and stable placement.

또한, 제2헤드부의 제2면을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잇몸에 기계적인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echanical stimulation of the gum by forming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head portion round.

또한, 전체적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식립시 파절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 가용성있는 잇몸의 두께에도 안정적으로 식립이 되어 식립 안정성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기존의 제품들을 식립하기에 제한적인 위치(retromolar pad, buccal shelf, maxillary tuberosity)에도 효과적으로 식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쓰러진 대구치의 직립, 매복치의 견인, 토크 조절, 치아이동시 bodily movement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t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as a whole, and while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fracture at the time of implantation, it can be stably implanted even in the thickness of a soluble gum, thereby maximizing the implantation stability, and restricting the position of the existing products (retromolar pad, buccal) Shelf and maxillary tuberosity) can be effectively placed so that the upright of the collapsed molars, traction of the ambush teeth, torque control, and bodily movement during tooth movement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또한 헤드부 하측에 소정 길이의 지지부가 형성되어 식립시 잇몸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잇몸뼈에 식립한 후 일상 생활 중에 가동적인 잇몸에 유해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점막(mucosa)에 식립해야 하는 대부분의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며, 식립 후에 생기는 염증, 촬과상,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ort portion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ead to minimize harmful irritation to the movable gum during daily life after implanting in the gum bone without irritating the gum during implantation, and to be placed on the mucosa. Most treatments are possible, and inflammation, abrasion, and pain after implantation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치근과 평행하게 식립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어 치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치근의 파절을 최소화하고, 식립 강도를 최대화할 수 있어 스크류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placed in parallel with the root can be minimized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the root, thereby minimizing fracture of the root and maximizing the placement strength, thereby preventing the screw from falling off. It works.

도 1 - 종래의 교정용 스크류에 대한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2 - 종래의 교정용 스크류의 적용 예시도(치근 사이 또는 치근과 각도를 이루며 식립된 상태).
도 3 내지 도 8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모식도.
도 9 -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적용 예시도.
1-Schematic diagram showing various shapes for a conventional orthodontic screw.
Figure 2-Application example of a conventional orthodontic screw (positioned between the roots or at an angle with the roots).
3 to 8-A schematic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correcting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Application example of the orthodontic scr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교정용 스크류에 관한 것으로서, 삼각 형태의 제2헤드부가 구비되어 결찰홀 또는 슬롯 방향의 인지가 용이하여 치료시 필요한 교정용 호선의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부착치은에서 식립깊이를 결정할 수 있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screw, and a triangular second head portion is provided to facilitate recognition of a ligation hole or slot direction, so that the use of an orthodontic arc required for treatment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nd the implantation depth can be adjusted from the attached gingiva. It is to be able to act as a stopper that can be determin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길이의 지지부 및 나사부를 구비하여 치근과 평행하게 식립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어 치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치근의 파절을 최소화하고, 식립 강도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upport portion and a screw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placed in parallel with the root can be minimized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the root, thereby minimizing fracture of the root and maximizing the placement strength. It is to b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적용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3 to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orthodontic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hows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orthodontic scr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는 둥근 형태의 제1헤드부(100)와, 상기 제1헤드부(100) 하측에 형성되는 삼각 형태의 제2헤드부(200)와, 상기 제2헤드부(200) 하측에 형성된 지지부(300) 및 상기 지지부(300) 하측에 형성된 나사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the orthodontic scr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ead portion 100 of a round shape, a second head portion 200 of a triangular shape formed under the first head portion 100, and the agent 2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portion 30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ead portion 200 and the screw portion 40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300.

본 발명에서 수직 방향은 도시된 교정용 스크류의 길이 방향(도면 상의 아래 방향)을 의미하며, 수평 방향은 이에 대해 수직한 방향(폭 방향, 도면 상의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direction means the longitudinal direction (downward direction on the drawing) of the illustrated orthodontic screw,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means the vertical direction (width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drawing).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헤드부(100)는 둥근 형태로 형성되어 주변 구강 구조물에 자극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되며, 특히 아랫면이 절단된 반구형태로 형성된다.The first head por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round shape to minimize irritation to the surrounding oral structures, and in particular, the lower surface is formed in a cut hemisphere shape.

상기 제1헤드부(100)에는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슬롯(slot)(110)이 형성되어, 교정용 와이어 등이 결찰되게 된다.A slot 110 is formed in the first head portion 100 in one direction or in both directions, so that a calibration wire or the like is ligated.

또한, 상기 제1헤드부(100)는 반구 형태의 머리부(120)와, 상기 머리부(120) 하측에 상기 머리부(120)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는 기둥 형태의 결찰부(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찰부(130)로는 교정용 스프링(NiTi 스프링)이 결찰되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head portion 100 is a hemisphere-shaped head portion 120 and a pillar-shaped ligation portion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120 below the head portion 120 ( 130), and the ligation portion 130 will be ligated spring (NiTi spring).

즉, 상기 제1헤드부(100)의 머리부(120)는 상기 결찰부(130)에 교정용 스프링이 상측으로 무단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결찰부(130)보다는 상대적으로 긴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head portion 120 of the first head portion 100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onger diameter than the ligation portion 130 so that the orthodontic spring is not stepped away from the upper side of the ligation portion 130.

상기 결찰부(130)에는 수평 방향으로 결찰홀(131)이 형성되어, 교정용 고무줄이나 교정용 와이어가 결찰되게 된다. A ligation hole 131 is formed in the ligation part 130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a rubber band for calibration or a wire for calibration is ligated.

그리고 상기 제2헤드부(200)는 상기 제1헤드부(100) 하측에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삼각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헤드부(200)는 상기 제1헤드부(100)의 결찰부(130)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찰부(130)에 교정용 스프링이 안정적으로 결찰될 수 있도록 상기 결찰부(130)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은 수평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head portion 200 is formed under the first head portion 100 and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s a whole. That is, the second head portion 200 is formed under the ligation portion 130 of the first head portion 100, and the ligation portion so that the orthodontic spring can be stably ligated to the ligation portion 130 It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wid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than 130.

또한, 상기 제2헤드부(200)는 삼각 형태로 형성되어 전용 공구와 결합되어 스크류가 식립되도록 하며, 기존의 육각 형태에 비해 스크류의 방향 인식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head portion 200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to be combined with a dedicated tool to allow the screw to be placed, and has the advantage of easy recognition of the screw direc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hexagonal shape.

또한, 상기 제2헤드부(200)는, 삼각 형태를 형성하는 제1면(210)과,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면(210)에 의해 생성되는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제2면(2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면(210)에 비해서 상기 제2면(220)의 면적이 더 작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head portion 200, the first surface 210 forming a triangular shape, and the second surface 220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generated by the first surface 210 adjacent to each other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of the second surface 22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surface 210.

즉, 상기 제2헤드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삼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면(210) 두개가 만나 생성되는 모서리 부위에 제2면(220)이 형성되어, 상기 제1면(210)과 제2면(220)이 교대로 형성된 형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상기 제1면(210)과 상기 제2면(220)의 면적은 상기 제1면(210)에 비해 상기 제2면(220)의 면적이 더 작게 형성된다. That is, the second head portion 200 is formed as a triangular pillar as a whole, as shown, the second surface 220 is formed at the corner where two first surfaces 210 meet and is formed. The one side 210 and the second side 220 are alternately formed. Here, the area of the first surface 210 and the second surface 22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surface 210.

이러한 제2헤드부(200)의 형상은 원기둥 형태에서 제1면(210)을 수직으로 절삭하여 가공할 수도 있으며, 삼각기둥 형태에서 제2면(220)을 수직으로 절삭하여 가공할 수도 있다.The shape of the second head portion 200 may be processed by vertically cutting the first surface 210 in the form of a cylinder, or vertically cutting the second surface 220 in the form of a triangular prism.

여기에서 상기 제1면(210)의 가로 길이에 대해 제2면(220)의 가로 길이는 1 : 0.3~0.6 정도의 비율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상기 제1면(210)으로는 공구에 의한 힘이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면(210)과 제2면(220)의 방향 구분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교정용 와이어 등의 결찰을 위한 결찰홀(230)을 형성할 수 있는 최소한의 비율이다.Her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econd surface 22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irst surface 210 is formed at a ratio of 1: 0.3 to 0.6, so that the relatively large area of the first surface 210 A ligation hole 230 for ligation of a correction wire or the like is formed while allowing the force by the tool to be stably transmitted and making it easy to distinguish the directions of the first surface 210 and the second surface 220. This is the minimum ratio you can do.

또한, 상기 제1면(210)과 제2면(220)은 서로 대향되면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식립 부위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제2면(220)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주변 잇몸 부위에 기계적인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rst surface 210 and the second surface 220 are preferably formed in parallel while facing each oth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at various angles according to the implantation site. The surface 220 is formed to be round, to minimize mechanical stimulation to the surrounding gum area.

또한, 상기 제1면(210)과 제2면(220)에는 이를 서로 관통하는 결찰홀(230)이 형성되어, 교정용 와이어 등이 결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찰홀(230)은 식립 부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면서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ligation hole 230 penetrating each other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210 and the second surface 220, so that a correction wire or the like can be ligated. The ligation hole 230 may be formed at various angles while penetr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implantation site.

이와 같이 기존의 육각 형태 또는 원형 형태의 헤드부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삼각 형태의 제2헤드부(200)는 결찰홀(131),(230) 또는 슬롯(110) 방향의 인지가 용이하여 치료시 필요한 교정용 호선의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Unlike the conventional hexagonal or circular head portion, the triangular second head portion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recognize in the ligation hole 131, 230, or slot 110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use the corrective line needed for treatment.

특히 제2헤드부(200)가 면적이 서로 다른 제1면(210)과 제2면(220)으로 이루어져 결찰홀(131),(230) 또는 슬롯(110)의 방향을 일정하게 가이드해 줄 수 있고, 부착치은에서 식립깊이를 결정할 수 있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할 수 있어, 정밀하고 안정적인 식립이 가능하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second head portion 200 is made of a first surface 210 and a second surface 220 having different areas to guide the direction of the ligation hole 131, 230, or slot 110 constantly. It can serve as a stopper that can determine the placement depth in the attached gingiva, allowing precise and stable placement.

그리고,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제2헤드부(200) 하측에 형성되며, machined surface를 가지며, 소정 길이로 형성된 부분으로, 이에 의해 식립시 잇몸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잇몸뼈에 식립한 후 일상 생활 중에 가동적인 잇몸에 유해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점막(mucosa)에 식립해야하는 대부분의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며, 식립 후에 생기는 염증, 촬과상,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nd, the support part 30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head part 200, has a machined surface, and is a part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whereby it is placed on the gingival bone without irritating the gums during implanta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harmful irritation to the movable gums during daily life, and to enable most treatments that need to be placed on the mucosa, and to minimize inflammation, abrasions, and pain that occur after implantation.

또한, 상기 지지부(300)의 길이는 나사부(400)의 길이에 대해 1 : 1~1.5의 길이로 형성되어, 치근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식립시 잇몸에 안정적으로 식립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스크류의 탈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upport portion 300 is formed in a length of 1: 1 to 1.5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screw portion 400, and serves to support to be stably placed on the gum when plac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ot. Since it can be performed, it serves to prevent the screw from falling off.

그리고, 상기 나사부(400)는 상기 지지부(300)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헤드부(200)에 공구를 결합하고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치조골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0)의 길이에 대해 나사부(400)의 길이는 1 : 1~1.5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400)의 폭은 1.8~2mm, 길이는 10~14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screw 40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300, is a part that is securely fixed to the alveolar bone by coupling the tool to the second head portion 200 and rotating it.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support part 300, the length of the screw part 400 is formed to be 1: 1 to 1.5, the width of the screw part 400 is 1.8 to 2 mm, and the length is formed to be 10 to 14 mm. desirable.

기존의 교정용 스크류는 지름 1.2~1.6mm, 식립 길이 6~10mm로 형성되어 치근 사이에 치근과 각도를 형성하며 식립되는 방식으로만 사용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는 상기 지지부(300)를 구현하고, 상기 지지부(300) 및 나사부(400)의 길이 비율을 만족하면서 상기 나사부(400)의 폭 및 길이를 확대하여 치근에 평행한 방향으로도 치조골에 깊게 식립이 가능하여 식립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Existing orthodontic screws are formed with a diameter of 1.2 to 1.6 mm and a planting length of 6 to 10 mm to form a root and an angle between the roots, and thus can be used only in an implanted manner. Implementation, while increasing the width and length of the screw part 400 while satisfying the length ratio of the support part 300 and the screw part 400, it is possible to deeply implant the alveolar bone eve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ot, thereby increasing the placement stability. It becomes possibl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경우 잇몸에 식립되는 부위가 machined surface를 갖는 지지부(300)로 형성되어, 식립시 잇몸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가동적인 잇몸에 유해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portion to be placed on the gum is formed of a support portion 300 having a machined surface, so that it is possible to minimize irritation harmful to the movable gum without irritating the gum during implant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는 치근과 평행하게 식립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어 치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치근의 파절을 최소화하고, 식립 강도를 최대화할 수 있어 스크류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orthodontic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placed in parallel with the root so as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the root, thereby minimizing fracture of the root and maximizing the strength of the placement, thereby releasing the screw. Should be prevented.

또한, 전체적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식립시 파절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 가용성있는 잇몸의 두께에도 안정적으로 식립이 되어 식립 안정성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기존의 제품들을 식립하기에 제한적인 위치(retromolar pad, buccal shelf, maxillary tuberosity)에도 효과적으로 식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쓰러진 대구치의 직립, 매복치의 견인, 토크 조절, 치아이동시 bodily movement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t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as a whole, and while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fracture at the time of implantation, it can be stably implanted even in the thickness of a soluble gum, thereby maximizing the implantation stability, and restricting the position of the existing products (retromolar pad, buccal) Shelf and maxillary tuberosity) can be effectively placed so that the upright of the collapsed molars, traction of the ambush teeth, torque control, and bodily movement during tooth movement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상기 제1헤드부(100)의 결찰부(130)에 결찰홀(131)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결찰홀(131)에는 교정용 고무줄 등이 결찰되게 된다.3 and 4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orthodontic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shows that a ligation hole 131 is formed in the ligation part 130 of the first head part 100, and a rubber band for correction or the like is ligated in the ligation hole 131.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상기 제1헤드부(100)의 머리부(120)에 일방향으로 슬롯(110)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슬롯(110)에는 교정용 와이어 등이 결찰되게 된다.5 and 6 show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orthodontic scr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shows that the slot 110 is formed in one direction on the head portion 120 of the first head portion 100, and the orthodontic wire or the like is ligated to the slot 110.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상기 제2헤드부(200)의 제1면(210)과 제2면(220)을 관통하는 결찰홀(230)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결찰홀(230)에는 교정용 와이어 등이 결찰되게 된다.7 and 8 show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orthodontic scr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shows that the ligation hole 230 penetrating the first surface 210 and the second surface 220 of the second head part 200 is formed, and the ligation hole 230 has a calibration wire or the like. Will be ligated.

상기의 실시예들은 공통적으로 둥근 형태의 제1헤드부(100)를 갖고, 삼각형태의 제2헤드부(200)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긴 지지부(300)와 나사부(40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embodiments are characterized by having a first head portion 100 in a round shape in common, a second head portion 200 in a triangular shape, and a relatively long support portion 300 and a screw portion 400. do.

특히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의 경우 다른 실시예보다 상대적으로 긴 지지부 및 나사부로 구현되어 치근과 평행한 식립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치근과 평행하게 식립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어 치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치근의 파절을 최소화하고, 식립 강도를 최대화할 수 있어 스크류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구강 내 부위에 식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 적응증이 다양할 것으로 기대된다.In particular, the embodiment of FIGS. 7 and 8 is implemented with a relatively long support portion and a screw portion than the other embodiments to form a structure capable of placing parallel to the root. As a result,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placed parallel to the root can be minimized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the root, thereby minimizing fracture of the root and maximizing the placement strength, thereby preventing the screw from falling off, and various It is expected that the indications will be varied by allowing implantation in the oral cavity.

도 9는 상기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를 치근에 평행한 방향으로 식립되는 적용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0)에 의해 식립시 잇몸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가동적인 잇몸에 유해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긴 지지부(300)와 나사부(400)에 의해 치근과 평행한 방향으로 식립이 가능하여 치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식립 강도를 최대화할 수 있어 스크류의 탈락을 방지하게 된다.9 shows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the orthodontic scre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S. 7 and 8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ot, as shown, stimulation to the gums during implantation by the support 30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harmful stimulation to the movable gum without giving, and the relatively long support part 300 and the screw part 400 can be plac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ot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the root. ,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placement strength, thereby preventing the screw from falling off.

또한, 상기 제2헤드부(200)의 삼각 형태에 의해 결찰홀(230) 방향의 인지가 용이하여 치료시 필요한 교정용 호선의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부착치은에서 식립깊이를 결정할 수 있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면서 효과적인 식립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easy to recognize the direction of the ligation hole 230 by the triangular shape of the second head part 200, so that the utilization of the correction line required for treatment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nd the implantation depth can be determined from the attached gingiva. It was able to act as a stopper, so that more stable and effective planting was possible.

100 : 제1헤드부 110 : 슬롯
120 : 머리부 130 : 결찰부
131 : 결찰홀 200 : 제2헤드부
210 : 제1면 220 : 제2면
230 : 결찰홀 300 : 지지부
400 : 나사부
100: first head portion 110: slot
120: head 130: ligation part
131: ligation hole 200: second head
210: first side 220: second side
230: ligation hole 300: support
400: thread

Claims (11)

둥근 형태의 제1헤드부;
상기 제1헤드부 하측에 형성되는 삼각 형태의 제2헤드부;
상기 제2헤드부 하측에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하측에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A first head portion in a round shape;
A second head portion of a triangular shape formed under the first head portion;
A support portion formed under the second head portion; And
Screw for calib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crew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부는,
아랫면이 절단된 반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head portion,
Orthodontic screw,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is formed in a cut hemisphere sha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부는,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슬롯(slot)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head portion,
Orthodontic screw,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t (slot) is formed in one direction or both direct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부는,
반구 형태의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 하측에 상기 머리부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는 결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head portion,
Hemispherical head,
Orthodontic screw,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ligation portion having a relatively small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below the hea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찰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결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igation unit,
Screw for cor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ation hol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헤드부는,
삼각 형태를 형성하는 제1면과,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면에 의해 생성되는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제2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면에 비해서 상기 제2면의 면적이 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head portion,
A first surface forming a triangular shape,
It is made of a second surface formed on the edge portion generated by the first surface adjacent to each other,
The orthodontic screw,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of the second surface is formed smaller than the first surfa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제2면은 서로 대향되면서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8. The orthodontic screw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re formed in parallel while facing each oth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8. The orthodontic screw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econd surface is round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 및 제2면에는,
서로 관통하는 결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rthodontic screw,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igation holes penetrating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길이는 상기 나사부의 길이에 대해
1 : 1~1.5의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The length of the suppor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screw portion
1: 1 ~ 1.5 screw for calibr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ength.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스크류의 길이는,
10~14mm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The length of the orthodontic screw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Orthodontic screw,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10 ~ 14mm.

KR1020180143675A 2018-11-20 2018-11-20 screw for orthodontic treatment KR1021797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675A KR102179725B1 (en) 2018-11-20 2018-11-20 screw for orthodontic trea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675A KR102179725B1 (en) 2018-11-20 2018-11-20 screw for orthodontic treat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940A true KR20200058940A (en) 2020-05-28
KR102179725B1 KR102179725B1 (en) 2020-11-17

Family

ID=7091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675A KR102179725B1 (en) 2018-11-20 2018-11-20 screw for orthodontic trea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72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269B1 (en) * 2003-11-04 2005-03-14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Bone screw for medical care
KR100608304B1 (en) * 2005-10-26 2006-08-02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Anchor for orthodontics
KR20080019153A (en) * 2006-08-24 2008-03-03 토즈 엘엘씨 Anchor apparatus and method for orthodontic appliances
KR20090048289A (en) * 2007-11-09 2009-05-13 주식회사 쿠보텍 Fixing device for orthodontic
KR20130055226A (en) * 2011-11-18 2013-05-28 김진경 Microscrew for orthodontic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269B1 (en) * 2003-11-04 2005-03-14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Bone screw for medical care
KR100608304B1 (en) * 2005-10-26 2006-08-02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Anchor for orthodontics
KR20080019153A (en) * 2006-08-24 2008-03-03 토즈 엘엘씨 Anchor apparatus and method for orthodontic appliances
KR20090048289A (en) * 2007-11-09 2009-05-13 주식회사 쿠보텍 Fixing device for orthodontic
KR20130055226A (en) * 2011-11-18 2013-05-28 김진경 Microscrew for orthodon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725B1 (en)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8545B2 (en) Orthodontic anchor
US10485634B2 (en) Palate anchorage device for orthodontics
WO2014088116A1 (en) Fastening force maintaining device for screw, and screw equipped with fastening force maintaining device
EP0823244A2 (en) Supporting body for use in orthodontic appliance
KR102133331B1 (en)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US7637741B2 (en) Orthodontic anchor
KR20100138710A (en) Support member for orthodontics
US4084318A (en) Stabilized dental implant
US20140302451A1 (en) Removable orthodontic retainer
KR100807150B1 (en) Implant for overdenture
KR100666245B1 (en) Dental implant fixture
JP2007097987A (en) Orthodontic appliance
KR101551381B1 (en) Anchorage for orthodontic treatment or maxillofacial surgery
US8251698B2 (en) Orthodontic implant
ATE361032T1 (en) DEVICE FOR HOLDING AN ELASTIC LOOP AND METHOD OF PRODUCTION
JP3651640B2 (en) Orthodontic support
CN209790046U (en) Elliptic cylindrical orthodontic implantation anchorage nail
KR20200058940A (en) screw for orthodontic treatment
JP4125008B2 (en) Orthodontic appliance
ES2879320T3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dentistry
KR200411875Y1 (en) Supporting device for monent resisting orthdontic microimplan
US8485817B2 (en) Orthodontic device
KR200345615Y1 (en) screw for orthodontic treatment
US20110244428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ental implants
CN111432746A (en)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