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5226A - Microscrew for orthodontics - Google Patents

Microscrew for orthodontic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5226A
KR20130055226A KR1020110120874A KR20110120874A KR20130055226A KR 20130055226 A KR20130055226 A KR 20130055226A KR 1020110120874 A KR1020110120874 A KR 1020110120874A KR 20110120874 A KR20110120874 A KR 20110120874A KR 20130055226 A KR20130055226 A KR 20130055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t
fastening
thread
locking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8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경
서진우
우성주
Original Assignee
김진경
우성주
서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경, 우성주, 서진우 filed Critical 김진경
Priority to KR1020110120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5226A/en
Publication of KR20130055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2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5Self-screwing with multiple thr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microscrew for orthodontics is provided to reduce time for orthodontics and to improve workability of the orthodontics. CONSTITUTION: A microscrew for orthodontics comprises a first fixing part(110) that is primarily in contact to a teeth bone by including a first screw thread at an outer circumference at a lower part that is extend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fixing part(120) that is extended from an upper part of the first fixing part, has a second screw thread that has different pitches with the first screw thread at an outer circumference, and is fixed in contact with an alveolar bone; a third fixing part(130) that is extended from an upper part of the second fixing part and has multiple guiding holes and multiple hanging parts. The first fixing part, second fixing part, and third fixing part are integrally formed.

Description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MICROSCREW FOR ORTHODONTICS}Orthodontic Micro Screws {MICROSCREW FOR ORTHODONTICS}

본 발명은 치아 교정에 사용되는 스크류를 개선하여 치아 교정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rthodontic micro screw that can improve the workability of orthodontics by improving the screw used for orthodontics.

일반적으로 골격성 부정교합 또는 치아의 이상으로 인한 구강활동이나 발음에 많은 영향을 주는 치아의 배열상태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치아 보정용 장치를 사용한다. In general, a device for correcting teeth is used to uniformize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which greatly affects oral activity or pronunciation due to skeletal malocclusion or abnormalities of the teeth.

종래에는 불균일한 치아의 배열상태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와 이에 인접한 다수의 치아에 브라켓을 접착하여 메탈밴드와 연결된 교정용 철사를 정상치아에 연결하여 사용함에 따라 치아를 교정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치아 교정장치는 다수의 정상적인 치아가 흔들림이나 손상으로 인해 교합상태가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브라켓을 치아에 접착함으로서 치료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uniformly arrange an uneven tooth, a bracket is attached to a tooth to be corrected and a plurality of teeth adjacent thereto, and a tooth is corrected by connecting a straightening wire connected with a metal band to a normal tooth. However, the conventional dental orthodontic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occlusal state is unstable due to shaking or damage of a number of normal teeth. In addition, by attaching a large number of brackets to the teeth there were a number of problems such as a lot of time and cost in treatment.

치아 교정에 사용되는 스크류의 고정부와 안내구멍을 각각 복수로 형성하여 불필요하게 식립되는 스크류의 수량을 감소시키고, 주변 치아의 연동없이 특정 치아만 교정력이 전달되도록 치조골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치아 교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치아 교정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를 제공한다.Reduce the number of unnecessary screws by forming a plurality of fixing parts and guide holes of the screw used for orthodontic teeth, and firmly fixing the alveolar bone so that only specific teeth are transmitted without interlocking of surrounding teeth. It provides a micro screw for orthodontics that can shorten the time and improve the workability of orthodontic treat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는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하부에서 외주에 제1 나사산을 구비하여 치아의 골조직에 1차적으로 접촉하여 고정되는 제1 고정부, 제1 고정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외주에 제1 나사산과 서로 다른 피치를 갖는 제2 나사산을 구비하며, 치조골에 접하여 고정되는 제2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복수의 안내구멍과 복수의 걸림부를 구비한 제3 고정부를 포함하며,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 및 제3 고정부는 일체로 형성한다.Micro-orthodontic micro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thread on the outer periphery from the lower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fixing portion, the first fixing portion fixed in primary contact with the bone tissue of the tooth A second screw thread having a pitch different from the first screw thread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the second fixing part being fixed to the alveolar bone, and exte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part, And a third fixing part including a locking part, wherein the first fixing part, the second fixing part, and the third fixing part are integrally formed.

제1 고정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테이퍼형상을 가지며, 제1 나사산은 제1 고정부의 테이퍼형상을 따라 1중 나사산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고정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테이퍼형상을 가지며, 제2 나사산은 제2 고정부의 테이퍼형상을 따라 2중 나사산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나사산의 피치는 제2 나사산의 피치보다 더 크게 형성하며, 제1 나사산의 피치는 0.3㎜ 내지 0.6㎜으로 할 수 있고, 제2 나사산의 피치는 0.1㎜ 내지 0.3㎜으로 할 수 있다. 제1 나사산의 나사골들을 고정부의 길이방향으로 이은 연장선과 고정부의 길이방향 중심축선 사이의 경사각은 1도 내지 4도로 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ortion has a tapered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screw thread may be formed as a single thread along the tapered shape of the first fixing portion. The second fixing portion has a tapered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screw thread may be formed as a double thread along the tapered shap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The pitch of the first thread may be larger than the pitch of the second thread, the pitch of the first thread may be 0.3 mm to 0.6 mm, and the pitch of the second thread may be 0.1 mm to 0.3 mm.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screw bones of the first threa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and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fixing part may be 1 degree to 4 degrees.

제3 고정부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제2 고정부에 연장형성되며, 높이방향 단부에서 라운드형상을 갖고 외주방향으로 신장되는 안착부, 안착부의 상면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안착부의 원주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1 걸림부, 제1 걸림부의 상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신장되며, 외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체결공구가 결합되는 체결면을 갖는 체결부, 체결부의 상면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제1 걸림부의 원주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 걸림부, 제2 걸림부의 상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신장되며, 외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2 걸림부에 걸린 교정구의 이탈을 단속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의 상부 직경은 체결부의 직경보다 더 크며, 체결부의 직경은 가이드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제2 걸림부의 외주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부의 직경이 양단의 직경보다 작은 오목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third fixing portion has a cylindrical shape and extends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has a round shape at the en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has a seat portion extending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 cylindrical shape projecting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nd a circumference of the seating portion. A first locking port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a fastening portion having a fastening surface protru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which the fastening tool is coupled, and a cylinder projecting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A guide having a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locking portion, and protruding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intercept the release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caught in the second locking portion; It may include wealth. The upper diameter of the seating portion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diameter of the fastening portion can be mad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lock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center port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both 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체결부에는 제3 고정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 안내구멍이 관통되며, 제2 걸림부에는 제3 고정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안내구멍이 관통될 수 있다. 제1 안내구멍의 직경은 제2 안내구멍의 직경보다 더 크게 할 수 있다. 제1 안내구멍은 제2 안내구멍과 서로 직교하는 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의 하부에는 체결면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6개의 체결면을 가지며, 걸림턱은 6개의 체결면 가운데 제1 안내구멍이 관통된 체결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6개의 체결면을 가지며, 걸림턱은 6개의 체결면 가운데 제1 안내구멍이 관통된 체결면에 인접한 4개의 체결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hole may pass through the fastening par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fixing part, and the second guide hole may pass through the second catching par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fixing part. The diameter of the first guide hole can be mad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guide hole. The first guide hole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guide hole.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fastening surface. The fastening part has six fastening surfac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ocking jaw may be formed on the fastening surface through which the first guide hole passes. The fastening part has six fastening surfac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ocking jaw may be formed on four fastening surfaces adjacent to the fastening surface through which the first guide hole passes.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는 복수의 걸림부와 복수의 안내구멍을 구비하므로써 치열 교정을 위한 마이크로 스크류 하나만으로도 치아 이동을 위한 탄성체 및 와이어를 여러 개 걸 수 있어 교정 효율을 높이면서 환자의 고통과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orthodontic micro screw has a plurality of locking portions and a plurality of guide holes, so that only one micro screw for orthodontics can hang several elastic bodies and wires for movement of the teeth, thereby improving orthodontic efficiency and patient pain and discomfort. Can be reduced.

또한, 마이크로 스크류의 나사부 피치간격을 다르게 하여 제1 고정부가 해면골에 삽입될 때 제1 고정부의 상측으로 연결된 제2 고정부가 피질골에 삽입되고 제2 고정부의 상측으로 연결된 안착부가 잇몸에 긴밀하게 삽입 고정됨에 따라 입안의 음식 찌거기가 피질골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fix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cancellous bone by changing the thread pitch of the micro screw, the second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fix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cortical bone and the seating part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fixing part is closely connected to the gum. As the insert is fixed, food debris in the mouth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cortical b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와 탄성체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와 탄성체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ntal orthodontic micro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orthodontic micro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ight side view of the orthodontic micro screw shown in FIG. 2.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orthodontic micro scr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orthodontic micro screw and the elastic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orthodontic micro screw and the elastic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term "comprising" embod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 / 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further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evant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very formal meanings unless defined otherwis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의 보다 정확한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의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10)는 제1 고정부(110), 제2 고정부(120), 제3 고정부(130)를 포함하며,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 및 제3 고정부(130)는 일체로 형성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rthodontic micro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a plan view and a bottom surface showing a more accurate shape of the orthodontic micro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a figure. 3 is a right side view of the orthodontic micro screw shown in FIG. 2. 1 to 3, the orthodontic micro screw 10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110, a second fixing part 120, and a third fixing part 130, and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 110, the second fixing part 120 and the third fixing part 130 are integrally formed.

제1 고정부(110)는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하부에서 외주에 제1 나사산(112)을 구비하여 치아의 골조직에 1차적으로 접촉하여 고정된다. 제1 고정부(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테이퍼형상을 가지며, 제1 나사산(112)은 제1 고정부(110)의 테이퍼형상을 따라 1중 나사산으로 형성한다. 제1 고정부(110)의 길이방향 단부는 스크류가 뼈에 드릴링을 할 수 있도록 끝부분이 날카롭게 형성되며, 이중 수나사 구조로 된 드릴나사부가 형성된다. 제1 고정부(110)의 나사 형성부분은 길이방향 끝 부분이 뾰족한 침상부가 형성되어 치조골에 쉽게 식립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고정부(110)에는 나사산의 일부분이 끝부분을 향해서 절개된 커팅플루트가 형성된다. 커팅플루트는 제1 고정부(110)가 치조골에 삽입될 때 발생되는 뼈를 축적하여 이뼈로 하여금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10)와 뼈가 잘 응집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제1 고정부(110)의 제1 나사산(112)의 직경과 길이 및 나사산의 방향(왼나사, 오른나사)은 설계 변경될 수 있으며, 굵기와 길이를 포함한 형상 또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art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thread 112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ixed in primary contact with the bone tissue of the tooth. The first fixing part 110 has a tapered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thread 112 is formed as a single thread along the tapered shape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has a sharp end portion so that the screw can drill in the bone, and a drill screw part having a double male thread structure is formed. The screw forming part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is formed with a needle point of the sharp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placed in the alveolar bone. The first fixing part 110 is formed with a cutting flute in which a portion of the thread is cut toward the end. The cutting flute accumulates bones generated when the first fixing part 110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thereby helping the bones to coagulate well with the orthodontic micro screw 10. The diameter and length of the first thread 112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and the direction of the thread (left, right) may be changed in design, and various shapes including thickness and length may also be formed.

제2 고정부(120)는 제1 고정부(11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외주에 제1 나사산(112)과 서로 다른 피치를 갖는 제2 나사산(122)을 구비하며, 치조골에 접하여 고정된다. 제2 고정부(120)는 길이방향을 따라 테이퍼형상을 가지며, 제2 나사산(122)은 제2 고정부(120)의 테이퍼형상을 따라 2중 나사산으로 형성한다. 제1 나사산(112)의 피치는 제2 나사산(122)의 피치보다 더 크게 형성하며, 제1 나사산(112)의 피치는 0.3㎜ 내지 0.6㎜으로 하고, 제2 나사산(122)의 피치는 0.1㎜ 내지 0.3㎜으로 한다. 마이크로 스크류(10)는 제1 나사산(112)과 제2 나사산(122)이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마이크로 스크류(10)는 나사산의 피치가 0.1mm 내지 0.6mm인 것이 좋다. 마이크로 스크류(10)의 나사산 피치가 0.1mm보다 작으면, 치조골에 대한 체결력이 떨어질 수 있고, 마이크로 스크류(10)의 나사산 피치가 0.6mm보다 크면, 식립 이후 마이크로 스크류(10)가 탈락될 가능성이 높다. 제2 나사산(122)의 깊이는 5㎛ 내지 10㎛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나사산(122)의 깊이가 5㎛ 내지 10㎛의 범위를 벗어나면, 마이크로 스크류(10)의 효과가 감소된다. 또한, 제2 나사산(122)의 피치가 0.03㎜ 보다 작은 경우에는, 가공하기 어렵고 인체조직과의 결합효과가 감소된다. 반면에 제2 나사산(122)의 피치가 0.07㎜ 보다 큰 경우에는 인접하는 구성인 마이크로 스크류(10)와 구조적 차별화가 되지 않아 주변 조직의 적응도가 떨어질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art 120 extends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and has a second thread 122 having a different pitch from the first thread 112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 The second fixing part 120 has a tapered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thread 122 is formed as a double thread along the tapered shape of the second fixing part 120. The pitch of the first thread 112 is formed larger than the pitch of the second thread 122, the pitch of the first thread 112 is 0.3mm to 0.6mm, the pitch of the second thread 122 is 0.1 It is set to mm-0.3 mm. The micro screw 10 has a first thread 112 and a second thread 122 are continuously formed in the first fixing part 110 and the second fixing part 120. The micro screw 10 preferably has a pitch of the threads of 0.1 mm to 0.6 mm. If the thread pitch of the micro screw 10 is smaller than 0.1 mm, the fastening force to the alveolar bone may drop, and if the thread pitch of the micro screw 10 is larger than 0.6 mm,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icro screw 10 may fall off after implantation. high. The depth of the second screw thread 122 may be 5 μm to 10 μm. If the depth of the second thread 122 is out of the range of 5 μm to 10 μm, the effect of the micro screw 10 is reduced. In addition, when the pitch of the second thread 122 is smaller than 0.03 mm, it is difficult to process and the coupling effect with the human tissue is reduc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pitch of the second thread 122 is greater than 0.07 mm, structural differentiation from the adjacent micro screw 10 may not be achieved, and thus adaptability of surrounding tissues may be reduced.

한편, 제1 나사산(112)의 나사골들을 제1 고정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이은 연장선과 제1 고정부(110)의 길이방향 중심축선 사이의 경사각(θ)은 1도 내지 4도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스크류(10)의 나사골들을 이은 연장선과 제1 고정부(110)의 중심축선 사이의 경사각은 1도 내지 4도인 것이 좋다. 경사각이 1도 보다 작으면 식립시 많은 힘이 들어가고, 뼈의 밀도가 높아 뼈가 단단한 경우는 식립이 어려울 수 있다. 경사각이 4도 보다 크면 마이크로 스크류(10)의 끝쪽이 너무 뾰족하여 치조골내에서 파손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나사산(112)의 나사골들을 이은 연장선과 마이크로 스크류(10)의 길이방향 중심축선 사이의 경사각은 4도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clination angle θ between the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screw bones of the first thread 1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and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is 1 degree to 4 degrees. Can be. As described above,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screw bones of the micro screw 10 and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may be 1 to 4 degrees. If the angle of inclination is less than 1 degree, a lot of force is entered during implantation, the bone density is high, it may be difficult to place the bone is hard. If the inclination angle is greater than 4 degrees, the end of the micro screw 10 is too sharp, there is a fear of damage in the alveolar b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screw valleys of the first thread 112 and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micro screw 10 is 4 degrees.

제3 고정부(130)는 제2 고정부(12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복수의 안내구멍과 복수의 걸림부를 구비한다. 제3 고정부(130)는 안착부(131), 제1 걸림부(133), 체결부(135), 제2 걸림부(137), 가이드부(139)를 포함한다. The third fixing part 130 extends over the second fixing part 12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holes and a plurality of locking parts. The third fixing part 130 includes a seating part 131, a first locking part 133, a fastening part 135, a second locking part 137, and a guide part 139.

안착부(131)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제2 고정부(120)에 연장형성되며, 높이방향 단부에서 라운드형상을 갖고 외주방향으로 신장된다. 안착부(131)는 제2 고정부(120)의 길이방향 상부에서 형성되어 치은조직이 접하는 비(非)나사부이며, 제3 고정부(130) 방향으로 상향할수록 그 외경이 점차 커지면서 만곡되게 형성한다. 안착부(131)는 마이크로 스크류(10)가 식립된 상태에서 염증 및 자극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한 설계변경을 통해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131 has a cylindrical shape and extends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120, and has a round shape at an en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extends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eating part 131 is a non-screw part which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part 120 to be in contact with the gingival tissue, and is formed to be curved while the outer diameter thereof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third fixing part 130. do. The seating part 131 may be formed differently through various design changes as long as the micro screw 10 has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inflammation and stimulation in a state where the micro screw 10 is placed.

제1 걸림부(133)는 안착부(131)의 상면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안착부(131)의 원주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제1 걸림부(133)는 안착부(131)의 상부와 체결부(135)의 하부에 형성되는데 안착부(131)에서 체결부(135) 방향으로 상향할수록 외경이 커지도록 만곡되게 형성하여 탄성체의 한쪽을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는 고무줄(rubber bend), 파워 체인(power chain), 니켈티타늄 코일스프링(NiTi coil spring) 등을 포함한다. 제1 걸림부(133)는 체결부(135)의 하부와 제1 걸림부(133)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체결부(135) 방향으로 상향할수록 그 외경이 점차 커지는 만곡부(135c)를 형성한다. 만곡부(135c)는 일종의 리브 기능을 하며 탄성체의 결합에 따른 보강 기능을 한다.The first locking portion 133 has a cylindrical shape projecting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31, and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seating portion 131. The first locking portion 133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13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135. The elastic body is formed to be curved so as to increase in outer diameter as it is upward from the seating portion 131 toward the fastening portion 135. Can be fixed by hanging on one side. Here, the elastic body includes a rubber bend, a power chain, a nickel titanium coil spring, and the like. The first locking portion 133 forms a curved portion 135c in which the outer diameter thereof gradually increases as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133 moves upward in the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35 at a portion w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35 and the first locking portion 133 are connected. The curved portion 135c functions as a kind of rib and reinforces according to the coupling of the elastic body.

체결부(135)는 제1 걸림부(133)의 상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신장되며, 외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체결공구가 결합되는 체결면을 갖는다. 체결부(135)는 치공구로 마이크로 스크류(10)를 치조골에 식립할 때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에 큰 힘을 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육각형이나 사각형 등 다각형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135)는 육각형으로 형성한다. 체결부(135)는 각부에 버(Burr) 또는 찍힘이 없도록 형성한다. 체결부(135)에는 고정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 안내구멍(135a)이 관통된다. 제1 안내구멍(135a)은 교정용 연결 와이어(ligature wire)를 끼울 수 있도록 구멍을 관통하여 형성한다. 제1 안내구멍(135a)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모양으로 다양하게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다. 체결부(135)의 하부에는 체결면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35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135b)은 제1 걸림부(133)에 걸린 탄성체가 용이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체결부(135)는 원주방향을 따라 6개의 체결면을 가지며, 걸림턱(135b)은 6개의 체결면 가운데 제1 안내구멍(135a)이 관통된 체결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135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part 133 and protrud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has a fastening surface to which the fastening tool is coupled. The fastening part 135 is formed in a polygon such as a hexagon or a quadrangle so that the micro screw 10 can be rotated by applying a large force to the first fixing part 110 and the second fixing part 120 when the micro screw 10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with a tool. do. Fastening portion 13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hexagon. The fastening part 135 is formed so that there is no burr or nailing in each part. The first guide hole 135a penetrates the fastening part 135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The first guide hole 135a is formed through the hole so as to fit the ligature wire. The first guide hole 135a may be variously changed into a circular, elliptical, and square shape.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art 135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rojection 135b protru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fastening surface. The locking jaw 135b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elastic body caught in the first locking portion 133 from easily falling out. The fastening part 135 may have six fastening surfac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ocking jaw 135b may be formed on the fastening surface through which the first guide hole 135a penetrates among the six fastening surfaces.

제2 걸림부(137)는 체결부(135)의 상면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제1 걸림부(133)의 원주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크류(10)는 교정력을 부여하기 위해 제1 걸림부(133)와 제2 걸림부(137)에 각각 거는 탄성체의 종류와 치조골에 식립되는 마이크로 스크류(10)의 위치와 방향(각도) 등을 고려하여 제1 걸림부(133)와 제2 걸림부(137)의 일부분을 오목한 홈으로 형성하는 등 그 형태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2 걸림부(137)의 외주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부의 직경이 양단의 직경보다 작은 오목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걸림부(137)는 체결부(135)의 상부와 가이드부(139)의 하부에 형성된다. 제2 걸림부(137)는 제1 걸림부(133)와는 별도로 형성되며, 또 다른 탄성체의 한쪽을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제2 걸림부(137)에는 고정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안내구멍(137a)이 관통된다. 제1 안내구멍(135a)의 직경은 제2 안내구멍(137a)의 직경보다 더 크게 할 수 있다. 제1 안내구멍(135a)은 제2 안내구멍(137a)과 서로 직교하는 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locking portion 137 has a cylindrical shape projecting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135, and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133. The micro screw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ype of elastic body hanging on each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133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137 and the micro screw 10 to be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to impart orthodontic force.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angle), the shape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133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137 may be formed in a concave groov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locking portion 137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center port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both 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locking portion 137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135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139. The second locking portion 137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rst locking portion 133, and can be fixed by hooking one side of another elastic body. The second guide portion 137 penetrates through the second locking portion 137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portion. The diameter of the first guide hole 135a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guide hole 137a. The first guide hole 135a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guide hole 137a.

가이드부(139)는 제2 걸림부(137)의 상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신장되며, 외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2 걸림부(137)에 걸린 교정구의 이탈을 단속한다. 가이드부(139)는 상부가 둥근 형태가 되게하여 잇몸의 자극이나 상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가이드부(139)의 직경을 제2 걸림부(137) 보다 크게하여 탄성체가 제2 걸림부(137)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안착부(131)의 상부 직경은 체결부(135)의 직경보다 더 크며, 체결부(135)의 직경은 가이드부(139)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The guide part 139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locking part 137 and protrudes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control the removal of the orthodontic tool caught in the second locking part 137. The guide portion 139 may have a rounded upper portion to prevent irritation or injury of the gums, and the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139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locking portion 137 so that the elastic body may have a second locking portion ( 137) so that it does not easily escape. The upper diameter of the seating portion 131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astening part 135, and the diameter of the fastening part 135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guide part 139.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10)는 골조직에 1차적으로 접촉하여 고정되며, 외주에 제1 나사산(112)이 구비된 제1 고정부(110), 제1 고정부(110)에 연장 형성되어 외주에 제2 나사산(122)이 구비된 제2 고정부(120), 제2 고정부(120)에 연결되어 복수의 안내구멍과 복수의 걸림부를 구비한 제3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제3 고정부(130)의 상부에는 고정용 탄성체를 설치하는 걸림부 및 교정용 연결 와이어를 끼울 수 있는 안내구멍이 복수로 형성되어 교정용 탄성체와 와이어를 여러 개 설치할 수 있다. 즉, 제3 고정부(130)에 제1 걸림부(133), 제2 걸림부(137) 및 제1 안내구멍(135a)과 제2 안내구멍(137a)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한 개의 마이크로 스크류(10)를 식립하여 치아 이동을 위한 탄성체를 여러 개 걸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스크류(10)는 골조직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110)의 제1 나사산(112)보다 더 미세한 크기의 제2 나사산(122)을 구비한 제2 고정부(120)를 형성하여 마이크로 스크류(10)와 치조골과의 접합성을 향상시키고 마이크로 스크류(10)와 커팅플루트 사이에 모여있는 뼈로 인하여 골유착이 안정적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rthodontic micro screw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in primary contact with bone tissue, and has a first fixing part 110 provided with a first thread 112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1, the second fixing part 120, which is formed in the fixing part 110 and provided with a second thread 122 on the outer circumference,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120, and has a plurality of guide holes and a plurality of locking parts. The third fixing part 130 is included. The upper part of the third fixing part 13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uide holes through which the engaging portion for installing the fixing elastic body and the connecting connection wire for the correction may be formed, and thus, a plurality of the correcting elastic body and the wire may be installed. That is, the first fixing part 133, the second locking part 137, and the first guide hole 135a and the second guide hole 137a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third fixing part 130, so that one micro screw ( It is possible to hang several elastic bodies for tooth movement by inserting 10). In addition, the micro screw 10 forms a second fixing part 120 having a second thread 122 of a finer size than the first thread 112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fixed to the bone tissue. The adhesion between the micro screw 10 and the alveolar bone is improved, and bone adhesion is stable due to the bone gathered between the micro screw 10 and the cutting flut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2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10)와 대부분 유사하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20)는 제3 고정부(230)의 상세 형상에서 차이점이 있다. 체결부(235)의 하부에는 체결면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35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235b)은 제1 걸림부(233)에 걸린 탄성체가 용이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체결부(235)는 원주방향을 따라 6개의 체결면을 가지며, 걸림턱(235b)은 6개의 체결면 가운데 제1 안내구멍(235a)이 관통된 체결면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체결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턱(235b)은 제1 안내구멍(235a)이 관통된 체결면에 인접한 4개의 체결면에 형성된다. 제1 안내구멍(235a)은 걸림턱(235b)에 간섭되지 않는 체결면에 형성됨에 따라 가공성을 높일 수 있으며,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orthodontic micro scr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 orthodontic micro screw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stly similar to the orthodontic micro screw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orthodontic micro screw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ce in the detailed shape of the third fixing part 230.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235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rojection 235b protru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fastening surface. The locking jaw 235b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elastic body caught in the first locking portion 233 from easily falling out. The fastening part 235 has six fastening surfac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ocking jaw 235b is formed on the remaining four fastening surfaces except for the fastening surface through which the first guide hole 235a is passed. Can be. That is, the locking jaw 235b is formed at four fastening surfaces adjacent to the fastening surface through which the first guide hole 235a penetrates. As the first guide hole 235a is formed in a fastening surfac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ocking step 235b, the workability can be increased, and the first guide hole 235a can be designed to obtain sufficient strengt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10)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교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부정교합된 치열을 교정할 때 고정원을 보강하기 위해 치아 사이의 치조골에 마이크로 스크류(10)를 식립한다. 이어서, 치열 교정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스크류(10)의 제1 고정부(110)를 치조골에 식립한다. 계속해서 제1 고정부(110)를 치조골에 식립하게 되면, 제2 고정부(120)도 치조골에 식립된다. 치조골은 해면골과 피질골을 포함하는데, 제1 고정부(110)는 해면골에 식립되고, 제2 고정부(120)는 피질골에 식립된다. 제2 고정부(120)가 치조골에 식립되고, 안착부(131)가 잇몸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3 고정부(130)의 나머지 부분들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3 고정부(130)에는 탄성체가 걸리는 복수의 걸림부와 안내구멍이 형성된다. 제3 고정부(130)의 제1 걸림부(133), 제2 걸림부(137), 제1 안내구멍(135a) 및 제2 안내구멍(137a)에 각각 탄성체를 걸거나 와이어를 끼운 다음 치아를 이동시키게 된다. 만약, 탄성체를 걸거나 와이어가 끼워지는 안내구멍이 하나씩 있는 상태에서 치아의 견인방향과 각도 등 교정조건이 복잡한 경우라면, 이러한 조건에 맞추기 위해서는 또 다른 마이크로 스크류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복수의 탄성체를 걸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면 그만큼 교정시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고, 환자에게 고통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3 고정부(130)에 복수의 걸림부와 복수의 안내구멍을 구비하므로써 치열 교정을 위한 마이크로 스크류(10) 하나만으로도 치아 이동을 위한 탄성체 및 와이어를 여러 개 걸 수 있으므로 교정 효율을 높이면서 환자의 고통과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It describes a process of implanting the orthodontic micro screw 10 in the alveolar b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micro screw 10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between the teeth in order to reinforce the fixed circle when correcting the malocclusion. Subsequently, the first fixing part 110 of the micro screw 10 used for orthodontics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Subsequently, when the first fixing part 110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the second fixing part 120 is also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The alveolar bone includes a cancellous bone and a cortical bone, wherein the first fixing part 110 is implanted in the cancellous bone, and the second fixing part 120 is implanted in the cortical bone. The second fixing part 120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and the rest of the third fixing part 130 is maintained while the seating part 131 is inserted into the gum. The third fixing part 1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portions and guide holes through which the elastic body is caught. Hook the elastic body or wire into the first locking portion 133, the second locking portion 137, the first guide hole 135a and the second guide hole 137a of the third fixing part 130, and then Will be moved. If there are complicated correction conditions, such as the direction and angle of tooth tooth, with a guide hole through which an elastic body is hooked or a wire is inserted, in order to meet this condition, another micro screw should b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to hang a plurality of elastic bodies. This happens. This can not only be a long time for cor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suffers the patient. Sinc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ocking portions and a plurality of guide holes in the third fixing portion 130, only one micro screw 10 for orthodontics can hang several elastic bodies and wires for tooth movement. The patient's pain and discomfort can be reduced while improving calibration efficiency.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부정교합된 치아(102)를 교정하기 위해 치아(102)가 위치되는 치조골(104)에 마이크로 스크류(10)를 고정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마이크로 스크류(10)에서 제1 고정부(110)를 해당되는 치조골(104)에 위치시키고 체결부(135)에 랜치와 같은 통상의 치공구로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를 치조골(104)에 고정한다. 마이크로 스크류(10)의 제1 고정부(110)는 해면골(104a)에 삽입되며, 제1 고정부(110)의 상측으로 연결된 제2 고정부(120)는 피질골(104b)에 삽입된다. 제2 고정부(120)의 상측으로 연결된 안착부(131)는 잇몸에 긴밀하게 삽입 고정된다.5 and 6, a process of correcting orthodontics by fixing the micro screw 10 to the alveolar bone 104 where the tooth 102 is positioned to correct the malocclusion teeth 102 will be described. First, in the micro screw 10, the first fixing part 110 is placed on the corresponding alveolar bone 104, and the first fixing part 110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formed with a conventional tool such as a wrench on the fastening part 135. Fix 120 to the alveolar bone 104. The first fixing part 110 of the micro screw 10 is inserted into the cancellous bone 104a, and the second fixing part 120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is inserted into the cortical bone 104b. The seating part 131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fixing part 120 is tightly inserted and fixed to the gum.

이러한 상태에서 치아(102)의 간격이 벌어진 상태를 교정하려고 하면 벌어진 치아(102)의 치조골(104)에 고정시킨 마이크로 스크류(10)를 탄성체(100, 100a)를 통해 벌어진 치아(102)와 반대편의 치아에 고정된 브라켓(103)에 각각 연결한다. 그러면, 각각의 탄성체(100, 100a)와 교정용 와이어(105)의 복원력 방향으로 벌어진 치아(102)의 간격이 서서히 줄어들어 정상치의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다. 탄성체(100, 100a)를 마이크로 스크류(10)에 연결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복수의 걸림부(133, 137)와 안내구멍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해당되는 탄성체(100, 100a)를 연결함으로서 정상치아와 벌어진 치아(102)의 간격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교정용 연결 와이어(미도시됨)를 치아(102)의 교정형태에 맞게 선택하여 제1 안내구멍(135a) 또는 제2 안내구멍(137a)에 삽입할 수 있다. 교정용 연결 와이어는 브라켓(103, bracket)의 슬롯에 끼워지는 교정용 와이어(105)와는 달리 브라켓(103)과 교정용 와이어(105)를 연결하거나 탄성체(10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교정용 연결 와이어는 교정용 와이어(105)보다 더 얇게 형성되며, 제1 안내구멍(135a) 또는 제2 안내구멍(137a)에 삽입한 후 꼬아서 후크형태로 만들어 사용한다. 교정용 연결 와이어의 후크에는 탄성체(100)를 다시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 걸림부(133) 또는 제2 걸림부(137)에 연결되는 탄성체(100)와 교정용 연결 와이어를 걸어 교정용 연결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으로 치조골(104)에 삽입 고정된 마이크로 스크류(10)를 축으로 브라켓(103)에 묶인 교정용 와이어(105)의 복원력 방향으로 부정교합된 치아(102)가 서서히 이동함에 따라 정상 치아의 손상됨이 없이 이와 동일한 배열로 교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치아 교정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된 와이어와 탄성체(100, 100a)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마이크로 스크류(10)의 걸림부(133, 137)들과 안내구멍들에 각각 고정시켜 정상배열을 가진 치아(102)로 교정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gap between the teeth 102 is attempted to be corrected, the micro screw 10 fixed to the alveolar bone 104 of the gaped teeth 102 is opposite to the teeth 102 unrolled through the elastic bodies 100 and 100a. Connect to each of the brackets 103 fixed to the teeth of. Then, the spacing of the teeth 102 in the restoring force direction of each of the elastic bodies 100 and 100a and the orthodontic wire 105 may be gradually reduced to adjust the spacing of the normal values. In connecting the elastic bodies 100 and 100a to the micro screw 10, the user selects a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133 and 137 and guide holes as appropriate and connects the corresponding elastic bodies 100 and 100a to the normal teeth. The gap between the gaping teeth 102 may be constantly adjusted. If necessary, an orthodontic connection wire (not shown) may be select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hole 135a or the second guide hole 137a according to the type of correction of the tooth 102. Orthodontic connection wire, unlike the calibration wire 105 that is inserted into the slot of the bracket (103,) serves to connect the bracket 103 and the calibration wire 105 or the elastic body 100. Orthodontic connection wire is formed thinner than the orthodontic wire 105,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hole (135a) or the second guide hole (137a) and twisted to form a hook. The elastic body 100 may be connected to the hook of the straightening connection wire again. That is, the calibration connecting wire may be fixed by hanging the elastic connecting member 100 connected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133 or the second locking portion 137 and the calibration connecting wire. In this series of motions, the non-occlusal tooth 102 in the restoring force direction of the orthodontic wire 105 tied to the bracket 103 around the microscrew 10 fixed to the alveolar bone 104 is gradually moved as it slowly moves. This same arrangement can be corrected without damaging the teeth. As described above, variously divided wires and elastic bodies 100 and 100a ar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orthodontic shape, and fixed to the engaging portions 133 and 137 and the guide holes of the micro screw 10, respectively, to be normally arranged. It can be corrected with a tooth (102).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y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마이크로 스크류, 110; 제1 고정부
112; 제1 나사산, 120; 제2 고정부
122; 제2 나사산, 130; 제3 고정부
131; 안착부, 133; 제1 걸림부
135; 체결부, 135a; 제1 안내구멍
135b; 걸림턱, 135c; 만곡부
137; 제2 걸림부, 137a; 제2 안내구멍
139; 가이드부
10; Micro screw, 110; The first fixing part
112; First thread, 120; The second fixing portion
122; Second thread, 130; The third fixing part
131; Seating section, 133; First catching part
135; Fastening portion 135a; First guide hole
135b; Hanging jaw, 135c; bend
137; Second locking portion 137a; 2nd guide hole
139; Guide portion

Claims (17)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하부에서 외주에 제1 나사산을 구비하여 치아의 골조직에 1차적으로 접촉하여 고정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외주에 상기 제1 나사산과 서로 다른 피치를 갖는 제2 나사산을 구비하며, 치조골에 접하여 고정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복수의 안내구멍과 복수의 걸림부를 구비한 제3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3 고정부를 일체로 형성한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
A first fixing part having a first screw threa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par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xed in primary contact with the bone tissue of the tooth;
A second fixing part exten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having a second screw thread having a different pitch from the first screw thread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fixed to contact the alveolar bone;
A third fixing part exten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fixing part and having a plurality of guide holes and a plurality of locking parts;
Including;
The orthodontic micro screw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fixing part, the second fixing part and the third fix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나사산은 상기 제1 고정부의 테이퍼형상을 따라 1중 나사산으로 형성된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fixing part has a tapered shap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thread is formed of a single thread along the tapered shape of the first fixing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나사산은 상기 제2 고정부의 테이퍼형상을 따라 2중 나사산으로 형성된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fixing part has a tapered shap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second thread is formed of double threads along the tapered shape of the second fix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산의 피치는 상기 제2 나사산의 피치보다 더 큰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itch of the first thread is greater than the pitch of the second threa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산의 피치는 0.3㎜ 내지 0.6㎜인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screw thread pitch is 0.3mm to 0.6mm orthodontic micro screw.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사산의 피치는 0.1㎜ 내지 0.3㎜인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screw thread has a pitch of 0.1mm to 0.3mm orthodontic micro scre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산의 나사골들을 상기 제1 고정부의 길이방향으로 이은 연장선과 상기 제1 고정부의 길이방향 중심축선 사이의 경사각은 1도 내지 4도인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screw bones of the first threa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first fixing part is 1 degree to 4 degre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고정부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고정부에 연장형성되며, 높이방향 단부에서 라운드형상을 갖고 외주방향으로 신장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안착부의 원주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1 걸림부;
상기 제1 걸림부의 상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신장되며, 외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체결공구가 결합되는 체결면을 갖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상면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걸림부의 원주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 걸림부;
상기 제2 걸림부의 상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신장되며, 외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부에 걸린 교정구의 이탈을 단속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rd fixing part
A seating portion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extending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having a round shape at an end portion in a height direction and extending in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 first locking portion having a cylindrical shape projecting in a height direction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nd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seating portion;
A fastening part extending in a height direction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part and protruding in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having a fastening surface to which a fastening tool is coupled;
A second locking portion having a cylindrical shape protruding in a height direction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and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A guide part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locking part and protruding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control separation of the orthodontic tool caught in the second locking part.
Orthodontic micro screw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상부 직경은 상기 체결부의 직경보다 더 크며, 상기 체결부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upper diameter of the seating portion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astening portion, the diameter of th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in the orthodontic micro screw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제2 걸림부의 외주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부의 직경이 양단의 직경보다 작은 오목형상으로 형성하는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locking portion is a dental orthodontic micro screw, which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whose diameter of the center port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both 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제3 고정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 안내구멍이 관통되는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first guide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fastening par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length direction of the third fixing par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에는 상기 제3 고정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안내구멍이 관통되는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second guide hole penetrating the second locking portion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third fixing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구멍의 직경은 상기 제2 안내구멍의 직경보다 더 큰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guide hole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guide ho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구멍은 상기 제2 안내구멍과 서로 직교하는 위치로 구비되는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first guide hole is provided at a position orthogonal to the second guide ho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하부에는 상기 체결면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
The method of claim 11,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micro screw for orthodontic treatmen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fastening surfa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6개의 체결면을 가지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6개의 체결면 가운데 상기 제1 안내구멍이 관통된 체결면에 각각 형성되는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astening part has six fastening surfac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ocking jaw is formed on the fastening surface through which the first guide hole passes among the six fastening surfaces, respectively.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6개의 체결면을 가지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6개의 체결면 가운데 상기 제1 안내구멍이 관통된 체결면에 인접한 4개의 체결면에 각각 형성되는 치아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astening part has six fastening surface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ocking jaw is formed on four fastening surfaces adjacent to the fastening surface through which the first guide hole penetrates among the six fastening surfaces, respectively.
KR1020110120874A 2011-11-18 2011-11-18 Microscrew for orthodontics KR201300552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874A KR20130055226A (en) 2011-11-18 2011-11-18 Microscrew for orthodont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874A KR20130055226A (en) 2011-11-18 2011-11-18 Microscrew for orthodontic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226A true KR20130055226A (en) 2013-05-28

Family

ID=4866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874A KR20130055226A (en) 2011-11-18 2011-11-18 Microscrew for orthodontic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5226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597B1 (en) * 2012-06-25 2013-11-15 권순용 Anchorage of orthodontic treatment
KR101993711B1 (en) 2019-03-25 2019-06-26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Screw for straightening teeth
KR20200058940A (en) *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덴티스 screw for orthodontic treatment
KR20200141555A (en) 2019-06-10 2020-12-21 (주) 서한케어 Artificial dis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62352A (en) * 2019-11-21 2021-05-31 문성철 Mini-screw for fixing orthodontic appliance
KR20220048418A (en) * 2020-10-12 2022-04-19 주식회사 대명테크 Orthodontic anchoring screw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597B1 (en) * 2012-06-25 2013-11-15 권순용 Anchorage of orthodontic treatment
KR20200058940A (en) *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덴티스 screw for orthodontic treatment
KR101993711B1 (en) 2019-03-25 2019-06-26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Screw for straightening teeth
KR20200141555A (en) 2019-06-10 2020-12-21 (주) 서한케어 Artificial dis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62352A (en) * 2019-11-21 2021-05-31 문성철 Mini-screw for fixing orthodontic appliance
KR20220048418A (en) * 2020-10-12 2022-04-19 주식회사 대명테크 Orthodontic anchoring scre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3939B1 (en) Dental implant
US10588665B2 (en) Intermaxillary fix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220226077A1 (en) 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6863528B2 (en) Orthodontic pin
KR20130055226A (en) Microscrew for orthodontics
US8235714B2 (en) Convertible buccal tube orthodontic bracket
JP2005185705A (en) Orthodontic support body
US20080138759A1 (en) Eyelet for coil spring and methods associated therewith
US8992582B1 (en) Fixation devices and method
CA2713050A1 (en) Orthodontic bone anchor plate with mesh pad
EP2957253B1 (en) Orthodontic lingual device
KR101551381B1 (en) Anchorage for orthodontic treatment or maxillofacial surgery
KR102092592B1 (en) Tube Type Orthodontic Appliance For Supporting Orthodontic Wire
KR101479598B1 (en) Appliance for Protraction of maxillary bone
KR200459306Y1 (en) Screw for Anchor of Orthodontic Treatment
KR101108104B1 (en) Instrument For Orthodontic Treatment
KR200437950Y1 (en) Microimplant for orthodontics
KR102091169B1 (en) Anchorage For Orthodontic Treatment
KR200345615Y1 (en) screw for orthodontic treatment
WO2023099858A1 (en) Dental implant
KR20230115420A (en) wire fixing tube for orthodontics
GB2599172A (en) Dental implant
KR20200030526A (en) Tube Type Orthodontic Appliance For Supporting Orthodontic Wire
JP2019180673A (en) Orthodontic implant device
IL229758A (en) Dental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