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420A - wire fixing tube for orthodontics - Google Patents

wire fixing tube for orthodontic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420A
KR20230115420A KR1020220011879A KR20220011879A KR20230115420A KR 20230115420 A KR20230115420 A KR 20230115420A KR 1020220011879 A KR1020220011879 A KR 1020220011879A KR 20220011879 A KR20220011879 A KR 20220011879A KR 20230115420 A KR20230115420 A KR 20230115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ng
orthodontic
fixing tube
h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8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220011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5420A/en
Publication of KR20230115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4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61C7/303Elastic bands

Abstract

치열교정시 설치되는 와이어의 장력 조절이 용이하도록, 본 발명은 치아의 표면에 부착 고정되는 부착면이 내면에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외측으로 돌설되되, 치열교정을 위한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관부가 치열궁방향에 대응하는 제1방향으로 관통된 경유돌출부; 및 상기 삽입관부를 관통한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견인밴드가 걸림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에 대응하여 상호 대향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날개부를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를 제공한다.In order to easily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installed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ttachment surfac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eeth; a vi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through which an insertion tube into which a wire providing tension for orthodontic treatment is inserted penetrates in a firs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ental arch; And a hooking wing formed to face and protrude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so that a traction band provided to provide a pressing force for fixing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tube is hooked. Provides a wire fixing tube for orthodontics comprising a.

Description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wire fixing tube for orthodontics}Wire fixing tube for orthodontics {wire fixing tube for orthodontics}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열교정시 설치되는 와이어의 장력 조절이 용이한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fixing tube for orthodontic 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thodontic wire fixing tube for easily adjusting the tension of a wire installed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일반적으로 교합이란 입을 다물었을 때 상악과 하악의 치아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부정교합은 어떤 원인에 의해 상기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상하악의 맞물림 상태가 정상의 위치를 벗어나서 기능적, 심미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정확한 교합관계를 의미한다.In general, occlus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teeth of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mesh with each other when the mouth is closed. In addition, malocclusion refers to an incorrect occlusion relationship that is functionally and aesthetically problematic because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is not aligned or the interlocking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jaws is out of the normal position due to some cause.

여기서, 상기 부정교합의 원인은 유전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아의 모양이나 크기의 문제, 환경적 영향, 좋지 않은 습관, 잘못된 자세 및 치아우식증과 같은 선천성 장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Here, the cause of the malocclusion is known to have a large genetic influence, but may be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problems with the shape or size of teeth, environmental influences, bad habits, wrong posture, and congenital disorders such as dental caries.

한편, 부정교합이 발생하면, 치열이 가지런하지 않아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있기 쉽다. 또한, 정확한 칫솔질로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구강 내 치태가 증가하여 치아우식증이나 잇몸 염증 등 잇몸 질환으로 진행되기 쉽다. 더욱이, 정상치열에서 많이 벗어난 치아가 있거나 턱의 위치가 비정상이라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치아 파절 등 치아에 손상이 가해질 가능성도 크다.On the other hand, when malocclusion occurs, food debris is likely to remain between the teeth because the teeth are not aligned. In addition, since it is not easy to cleanly manage with accurate brushing, it is easy to progress to gum disease such as dental caries or gum inflammation due to an increase in plaque in the oral cavity. Moreover, if there are teeth that deviate from the normal dentition or the position of the jaw is abnormal,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damage to the teeth, such as tooth fracture, is applied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이에, 상기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해 치열교정 치료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치열교정 치료는 치아가 외력을 받으면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한다.Thus,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to treat the malocclusion. Here, the orthodontic treatment uses the property of teeth moving when receiving an external force.

상세히, 상기 치열교정 치료는 상기 부정교합의 원인이나 치료 시기에 따라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한다. 예컨대, 위아래 턱뼈의 발육을 억제 또는 증진시키는 장치나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서서히 이동시키는 장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구강 내에 설치 및 분리 가능한 가철성 장치와 상기 치아에 부착 후 치료가 끝날 때 떼어나는 고정식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In detail, the orthodontic treatment uses various devices and methods depending on the cause of the malocclusion or the treatment period. For example, it may be classified into a device that inhibits or promotes the growth of the upper and lower jaw bones or a device that slowly moves teeth to a desired position. In addition, it can be divided into a removable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and separated in the oral cavity and a fixed device that is attached to the tooth and then removed when the treatment is finished.

한편,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브라켓이라는 장치를 상기 치아에 부착하고 교정용 철사 내지 고무줄 등으로 구비되는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해 치아를 이동시키는 고정식 치료법으로, 다양한 종류의 치열교정 치료에 흔히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st used currently is a fixed treatment method in which a device called a bracket is attached to the teeth and the teeth are moved using the tension of a wire provided as an orthodontic wire or rubber band, and is commonly used in various types of orthodontic treatment.

상세히, 상기 브라켓은 교정대상 치아의 표면에 상기 장력이 가해지더라도 분리되지 않도록 각각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교정대상 치아를 서서히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치열교정 치료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가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그 위치 및 자세가 변경되고 치아가 조금씩 이동하면서 이루어진다.In detail, the brackets ar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o be aligned so as not to be separated even when the tension is applied, and the wire is fixed to interconnect the brackets.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to variously adjust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force applied to the wire, the tooth to be aligned can be gradually moved. Therefore,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while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teeth to be aligned are changed by the tension of the wire and the teeth move little by little.

한편, 종래에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에 상기 브라켓이 부착되고 상기 브라켓에 상기 와이어가 설치된 후,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접착용 레진이 사용되었다. 상세히,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에 상기 접착용 레진의 소정의 볼륨을 갖도록 점착 또는 적층 도포되어 경화되며, 경우에 따라 상기 접착용 레진이 상기 치열교정 치아의 외측에 인접한 구치의 측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가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불필요하게 분리/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가 철사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와이어의 날카로운 단부에 구강에 상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related art, after the bracket is attached to the tooth to be aligned and the wire is installed in the bracket, an adhesive resin is used to fix both ends of the wire. In detail, the adhesive or laminated coating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wire to have a predetermined volume and cured, and in some cases, the adhesive resin may be adher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posterior teeth adjacent to the outer side of the orthodontic teeth.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e from being unnecessarily separated/separated from the bracket, and when the wire is provided as a wi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wounds in the oral cavity at the sharp end of the wire.

그러나, 이러한 접착성 레진은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재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로부터 분리하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치아로부터도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is adhesive resin has a problem in that it is cumbersome to separate from the wire in order to re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and also difficult to separate from the tooth.

또한, 상기 접착용 레진을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를 고정시,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가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에 여유길이 없이 실질적으로 짧게 절단된다. 이로 인해, 상기 교정대상 치아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의 여유길이가 필요한 경우 기설치된 와이어를 제거하고 새로운 와이어로 교체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시술 공정의 증가로 인하여 시술자 및 피시술자의 불편함이 가중됨은 물론, 교정비용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both ends of the wire are fixed using the adhesive resin, both ends of the wire are cut substantially short without an extra length in order to prevent both ends of the wir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For this reason, when an extra length of the wire is required to adjust the tension applied to the tooth to be aligned, it is cumbersome to remove the previously installed wire and replace it with a new wire. Due to the increase in the treatment process, the inconvenience of the operator and the treatment person is increased, as well as an increase in correction cost, resulting in a decrease in economic feasibility.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5570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9557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열교정시 설치되는 와이어의 장력 조절이 용이한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thodontic wire fixing tube that can easily adjust the tension of a wire installed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아의 표면에 부착 고정되는 부착면이 내면에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외측으로 돌설되되, 치열교정을 위한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관부가 치열궁방향에 대응하는 제1방향으로 관통된 경유돌출부; 및 상기 삽입관부를 관통한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견인밴드가 걸림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에 대응하여 상호 대향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날개부를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ttachment surface is fix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a vi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through which an insertion tube into which a wire providing tension for orthodontic treatment is inserted penetrates in a firs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ental arch; And a hooking wing formed to face and protrude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so that a traction band provided to provide a pressing force for fixing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tube is hooked. Provides a wire fixing tube for orthodontics comprising a.

여기서, 상기 경유돌출부와 상기 걸림날개부 사이에는 상기 견인밴드의 가압력을 통해 1차 절곡된 상기 와이어의 일측이 수용되는 단차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걸림날개부의 외면에 안착된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상기 견인밴드의 가압력을 통해 2차 절곡되도록 상기 걸림날개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 사이에 절곡단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a stepped groove in which one side of the wire, which is primarily bent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traction band, is accommodated is formed between the via protrusion and the hooking wing, and the other side of the wire se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ing wing is formed. Preferably, a bending end is formed between the hooking wing and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be secondarily bent through the pressing force of the traction band.

이때, 상기 부착면과 상기 걸림날개부의 외면 사이의 제1간격은 상기 부착면과 상기 삽입관부의 인접 내주 사이의 제2간격을 초과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istance between the attachment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ing wing part exceeds the second distance between the attachment surface and the adjacent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pipe part.

또한,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에는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수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의 함몰깊이는 상기 와이어의 두께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guide groove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wire is accommodate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the depth of the guide groove is preferably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wire.

한편, 상기 걸림날개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제2방향의 일측으로 외향 경사지게 돌설된 제1윙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제2방향의 타측으로 돌설되되, 외면이 상기 제1윙부의 외면과 연속적인 경사면으로 내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단부에 상기 몸체부의 측면과 마주보게 돌출된 후크돌기가 형성된 제2윙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hooking wing portion protrudes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irection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the first wing protrudes outwardly inclined to one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i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w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wing portion extending obliquely inward with a continuous inclined surface and having a hook protrusion formed at an end portion thereof to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치아의 길이방향으로 대향 돌출된 걸림날개부에 걸림되는 견인밴드의 탄성력을 통해 와이어의 단부측이 걸림날개부의 일측 및 타측 형상에 대응하여 가압 절곡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견인밴드를 분리하기만 하면 와이어의 장력 조절을 위한 위치 이동이 용이하므로 시술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First, the end side of the wire can be firmly fixed while being pressed and bent in response to the shape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ooking wing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traction band caught on the hooking wing protruding opposit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 Since it is easy to move the position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wire by simply separating it,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can be remarkably improved.

둘째, 와이어의 단부가 걸림날개부의 일측에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 단차홈과 타측의 절곡단에 견인밴드의 탄성력을 통해 자동으로 가압되면서 다중 절곡되어 위치가 구속되므로 치열교정 치료기간 중 와이어가 임의로 이동됨을 방지하여 장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되므로 교정신뢰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Second, the end of the wire is automatically pressed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traction band to the stepped groove formed in a stepped depression on one side of the hooking wing and the bent end on the other side, and the wire is arbitrarily moved during the orthodontic treatment period because the position is restricted by multiple bending. Since the tension is stably transmitted by preventing the tension, the calibration reli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셋째, 치아의 교합단측으로 돌설된 제1윙부보다 치근측으로 돌설된 제2윙부가 치아의 표면과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잇몸내부와 인접한 제2윙부에도 걸림밴드의 결속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면서도, 제1윙부는 교합단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혀나 저작시 음식물의 간섭으로 인한 분리/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Third, since the second wing protruding toward the root side rather than the first wing protruding toward the occlusal end of the tooth is formed inclined so as to be away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a space is secured for the binding of the locking band in the second wing adjacent to the inside of the gum, The first wing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cclusion end, so separation/separation due to interference of food during chewing or tongue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를 외측에서 바라본 투영예시도.
도 4는 도 3의 A-A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를 측면에서 바라본 투영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n orthodontic wire fix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thodontic wire fix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projection view of an orthodontic wire fix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outside.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AA of Figure 3;
5 is an exemplary projection view of an orthodontic wire fix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side;
6a and 6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n attachment state of an orthodontic wire fix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이하에서 설명될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와 고정튜브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inafter, an orthodontic wire fixing tub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rthodontic wire fixing tube and the fixing tube to be described below have the same mean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n orthodontic wire fix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튜브(100)는 대상치아부(T)의 양측으로 이웃한 각 고정치아(t2)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치아부(T)를 따라 부착되는 교정용 브라켓(1)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50)의 양단측이 상기 고정튜브(100)에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fixing tube 100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each fixing tooth t2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target tooth portion T.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wire 50 installed to connect the orthodontic bracket 1 attached along the target tooth portion T to provide tension may be fixed to the fixing tube 100 .

여기서, 상기 대상치아부(T)는 치열교정이 실질적으로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정대상 치아(t1)를 포함하는 치열영역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대상치아부(T)는 구강에서 부정교합이 주로 발생하는 전치측 6개소의 치아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치아(t2)는 상기 대상치아부(T)의 치열궁방향 최외측 치아와 인접한 치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견치(canine)와 이웃한 제1소구치(first premolar)가 상기 고정치아(t2)에 해당될 수 있다.Here, the target tooth portion T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n dentition region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teeth t1 to be orthodontic that substantially require orthodontic treatment. For example, the target tooth portion T may include all or part of six teeth on the anterior side where malocclusion usually occurs in the oral cavity. In addition, the fixed tooth (t2)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tooth adjacent to the outermost tooth in the dental arch direction of the target tooth portion (T),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premolar adjacent to a canine is It may correspond to the fixed tooth t2.

한편, 상기 교정용 브라켓(1) 및 상기 와이어(50)를 이용한 치열교정 치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된다. 먼저, 상기 대상치아부(T)에 포함된 각 상기 교정대상 치아(t)의 표면에 상기 교정용 브라켓(1)이 일대일 매칭되어 부착된다. 이때, 상기 교정용 브라켓(1)은 각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설측면에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교정용 브라켓(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심미감이 개선될 수 있으며, 입술 내측이 상기 교정용 브라켓(1)에 긁히거나 간섭됨으로 인한 통증/불편감이 방지될 수 있다.Meanwhile, orthodontic treatment using the orthodontic bracket 1 and the wire 50 is perform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the orthodontic bracket 1 is matched one-to-one and attached to the surface of each target tooth t included in the target tooth portion 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rthodontic bracket 1 is attached to the lingual surface of each of the teeth to be aligned t1. Through this, the orthodontic bracket 1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aesthetics can be improved, and pain/discomfort caused by scratching or interference with the orthodontic bracket 1 can be prevented.

상기 교정용 브라켓(1)은 소정의 부피를 갖도록 구비되며, 내면에는 각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설측면에 형합되는 형합면(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교정용 브라켓(1)의 외측에 상기 와이어(50)가 관통 설치되는 결합홈부(3)가 설치된다. 이러한 교정용 브라켓(1)은 교정치료 대상자의 치열상태 및 바람직한 연속치열라인(e)이 고려되어 각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대응되도록 개별 설계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교정치료 대상자의 구강에 대하여 획득된 스캐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바람직한 연속치열라인(e)에 대응되는 치열교정 과정이 가상 시뮬레이션됨에 따라 치열교정 계획이 정밀하게 수립될 수 있다. 그리고, 수립된 계획에 대응하여 상기 와이어(50)의 장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각 상기 교정대상 치아(t1)마다 상기 교정용 브라켓(1)이 부착되는 위치가 설정됨으로써 정밀한 치열교정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orthodontic bracket 1 is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volume, and a molded surface 2 molded to the lingual surface of each of the teeth to be aligned t1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Also, a coupling groove 3 through which the wire 50 is installed is installed outside the orthodontic bracket 1 . These orthodontic brackets 1 may be individually designed and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teeth t1 to be orthodontic in consideration of the dental condition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subject and the desirable continuous dentition line e. For example, an orthodontic treatment plan can be precisely established as an orthodontic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continuous dentition line (e) is virtually simulated based on a scanning image obtained of the oral cavity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subject. In addition, the position to which the orthodontic bracket 1 is attached is set for each tooth t1 to be aligned so that the tension of the wire 50 can be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established plan, so that precise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performed. can

더욱이, 상기 와이어(50)가 상기 결합홈부(3)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교정용 브라켓(1)의 설계과정에서 상기 결합홈부(3)의 위치 및 개구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정용 브라켓(1)의 정확한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는 지그부(미도시)가 더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지그부(미도시)는 상기 교정용 브라켓(1)의 상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지그부(미도시)의 내면부가 각 상기 교정대상 치아(t)의 교합단에 형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그부(미도시)가 상기 교합단에 형합되면 상기 교정용 브라켓(1)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설면에 정확한 위치로 정렬 부착될 수 있다.Moreover, the location and opening direction of the coupling groove 3 may be set during the design process of the orthodontic bracket 1 so that the wire 50 is easi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 In addition, a jig part (not shown) for guiding the correct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1 may be further set. The jig part (not shown)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orthodontic bracket 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jig part (not shown) may be formed to match the occlusal end of each of the teeth t to be aligned. Through this, when the jig part (not shown) is molded to the occlusal end, the orthodontic bracket 1 can be aligned and attached to the lingual surface of the tooth t1 to be aligned in an accurate position.

상기 와이어(50)는 각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부착된 상기 교정용 브라켓(1)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도록 각 상기 교정용 브라켓(1)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부(3)를 경유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50)의 위치를 조절하여 장력이 제공됨에 따라 각 상기 교정대상 치아(t1)가 상기 바람직한 연속치열라인(e)에 대응되도록 위치 및 방향이 이동될 수 있다.The wire 50 is installed via the coupling groove 3 formed in each of the orthodontic brackets 1 so as to continuously connect the orthodontic brackets 1 attached to each of the orthodontic teeth t1. . In addition, as tension is provid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wire 50,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each tooth to be aligned t1 may be moved to correspond to the desired continuous teeth alignment line e.

한편, 상기 고정튜브(100)는 복수개의 상기 교정용 브라켓(1)을 경유하여 설치된 상기 와이어(50)의 양단부가 구강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각 상기 고정치아(t2)에 부착 고정된다. 즉, 상기 와이어(50)는 상기 고정튜브(100)에 형성된 삽입관부(도 2의 21)를 관통하여 후술되는 이중 절곡 구조 및 견인밴드(40)의 가압 구속구조를 통해 상기 고정치아(t2)의 설측에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xing tube 100 is attached and fixed to each of the fixed teeth t2 so that both ends of the wire 50 installed via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1 can be fixed to the oral cavity. That is, the wire 50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tube (21 in FIG. 2) formed in the fixing tube 100, and the fixed tooth t2 through the double-bending structure and the pressing and restraining structure of the traction band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fixed on the lingual side of

상세히, 상기 대상치아부(T)의 각 외곽측 교정대상 치아(t1)에 부착된 상기 교정용 브라켓(1)을 경유하는 상기 와이어(50)의 양측 단부(53)는 각 구치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50)의 일측(도 4의 51) 및 타측(도 4의 52)이 상기 고정튜브(100)에 고정되되, 각 단부(53)는 상기 고정치아(t2) 및 상기 고정치아(t2)의 인접치아(t3, 예컨대 제2소구치) 사이에 형성된 치간(interdental)으로 삽입될 수 있다.In detail, both end portions 53 of the wire 50 passing through the orthodontic bracket 1 attached to each outer tooth to be aligned t1 of the target tooth portion T extend toward each posterior tooth. In addition, one side (51 in FIG. 4) and the other side (52 in FIG. 4) of the wire 50 are fixed to the fixing tube 100, and each end 53 is connected to the fixing tooth t2 and the fixing tooth. It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dental formed between the adjacent teeth (t3, for example, the second premolar) of (t2).

따라서, 별도의 차폐부재 없이도 상기 와이어(50)의 각 단부(53)가 실질적으로 상기 치간 내에 삽입되어 차폐됨에 따라 구강 조직의 긁힘으로 인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50)의 각 단부(53)가 혀의 유동에 간섭됨으로 인하여 상기 고정튜브(100)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하므로 체결견고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as each end 53 of the wire 50 is substantially inserted into the interdental space and shielded without a separate shielding member, damage due to scratching of the oral tissue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each end 53 of the wire 5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tube 100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flow of the tongue, fastening robustness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욱이, 상기 와이어(50)는 상기 치간에 삽입 가능한 만큼의 여유길이를 더 가지도록 길게 절단될 수 있다. 따라서, 치열교정 기간 중 장력의 재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도 상기 와이어(50)의 여유길이를 활용하여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설치된 와이어를 분리하고 새로운 와이어를 재설치하는 번거로운 공정 및 이를 위한 설치시간이 생략되므로 설치편의성이 향상되며, 치열교정에 사용되는 재료의 낭비가 최소화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wire 50 may be cut long enough to have an extra length that can be inserted between the teeth. Therefore, even if readjustment of the tension is required during the orthodontic period, it can be easily adjusted by utilizing the extra length of the wire 50. Through this, the cumbersome process of separating the pre-installed wire and reinstalling the new wire and the installation time for this are omitted, thereby improving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inimizing waste of materials used for orthodontic treatmen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를 외측에서 바라본 투영예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방향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를 측면에서 바라본 투영예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때, 각 도면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내부 또는 배면이 투영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견인밴드(40)의 결합상태를 가상으로 나타낸 것이며,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와이어(50)의 결합상태를 가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에서 몸체부(10)의 타측면과 상기 몸체부(10)의 타측 단부면은 동일한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thodontic wire fix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rojection view of the orthodontic wire fix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outside, and FIG. 4 is It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A-A direction of FIG. 5 is a projection view of the orthodontic wire fix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side, and FIGS. 6a and 6b are attachments of the orthodontic wire fix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of a state. At this time, in each figure, the dotted line indicates that the inside or the rear surface is projected, the dotted line indicates the coupled state of the traction band 40 virtually, and the dotted line indicates the wir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coupling state of (50) is virtually represented.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and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are preferably understood as the same part.

도 2 내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튜브(100)는 상기 몸체부(10), 경유돌출부(20) 및 걸림날개부(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10), 상기 경유돌출부(20) 및 상기 걸림날개부(30)는 실질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2 to 6B , the fixing tube 100 includes the body part 10 , the via protrusion part 20 and the hooking wing part 30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portion 10, the via protruding portion 20, and the hooking wing portion 30 are formed substantially integrally.

한편, 상기 와이어(50)는 상기 견인밴드(4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고정튜브(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상기 견인밴드(40)는 외력을 통해 탄발확장이 가능한 탄성체인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예컨대, 상기 견인밴드(40)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폐쇄형의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견인밴드(40)의 가압력과 상기 견인밴드(40)의 탄성력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로 설명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견인밴드(40)는 결찰철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선형으로 구비되는 상기 결찰철사가 후술되는 상기 걸림날개부(30)의 양단을 경유하도록 배열된 후 상기 결찰철사의 양단부가 고정되면서 가해지는 가압력을 통해 상기 와이어(50)가 상기 고정튜브(100)에 고정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wire 50 may be fixed to the fixing tube 100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traction band 40. Hereinafter, the traction band 40 will be described as an elastic body capable of elastic expansion through external force. and shows. For example, the traction band 40 may be formed of rubber or silicone, and may be provided in a closed ring shape. Hereinafter,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sing force of the traction band 40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traction band 40 are described with substantially the same meaning. Of course, in some cases, the traction band 40 may be provided with a ligature wire. That is, after the ligating wire provided in a linear fashion is arranged to pass through both ends of the hooking wing portion 30 to be described later, the wire 50 moves through the fixing tube ( 100) may be fixed.

상세히,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고정치아(t2)에 부착되는 부분으로 내면에 부착면(11)이 형성되며, 상기 부착면(11)이 접착용 레진(r)을 통해 상기 고정치아(t2)의 표면에 부착 고정된다. 이때, 상기 부착면(11)은 상기 고정치아(t2)의 표면 윤곽, 바람직하게는 설측 표면에 형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치아(t2)의 표면과 상기 부착면(11) 사이의 간극이 최소화되므로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부착 고정될 수 있다.In detail, referring to FIGS. 2 to 5, the body portion 10 is a portion attached to the fixed tooth t2 and has an attachment surface 11 formed on an inner surface, and the attachment surface 11 is formed with an adhesive resin. It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surface of the fixed tooth t2 through (r). At this time, the attachment surface 11 may be formed to conform to the surface contour of the fixed tooth t2, preferably the lingual surface. Through this, since the gap between the surface of the fixed tooth t2 and the attachment surface 11 is minimized, it can be stably attached and fixed.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치열궁방향에 대응하는 제1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소정의 부피를 갖도록 상기 부착면(11)으로부터 외측, 즉 설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0 may extend in a first direction (x)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ental arch, and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attachment surface 11, that is, lingually, to have a predetermined volume.

상기 경유돌출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외측 일단에 상기 몸체부(10)의 돌출방향과 대응되는 외측으로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경유돌출부(20)와 상기 몸체부(10)의 외측 타면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은 상기 고정튜브(100)가 상기 고정치아(t2)에 부착시 전치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상치아부(T)와 대응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의 타단은 상기 고정튜브(100)가 상기 고정치아(t2)에 부착시 구치측과 대응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via protrusion 20 protrude to the outsid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at one end of the outer side of the body portion 10 . That is, the via protruding portion 20 and the other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may be formed stepwis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0 corresponds to the anterior side when the fixing tube 100 is attached to the fixed tooth t2, preferably corresponding to the target tooth portion T.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10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terior tooth side when the fixing tube 100 is attached to the fixed tooth t2.

상기 경유돌출부(20)에는 상기 와이어(50)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관부(21)가 상기 제1방향(x)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50)는 상기 삽입관부(21)의 일측으로 인입 및 관통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외측 타단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유돌출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타단과 대응되는 타면이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으로 경사진 경사면(22)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경유돌출부(20)는 상기 경사면(22)이 형성된 타단의 단면적이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경유돌출부(20)와 상기 걸림날개부(30) 사이에는 후술되는 단차홈(12)이 형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tube portion 21 into which the wire 50 is inserted is formed through the via protrusion 20 in the first direction (x). In addition, the wire 50 may be introduced into and passed through one side of the insertion tube part 21 and drawn out to the other outer end of the body part 10 . At this time, the via protruding portion 20 is preferably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22 inclined toward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0 as the oth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10 goes outward. That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ther end of the via protrusion 20 at which the inclined surface 22 is formed may be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outside. Through this, a stepped groove 12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formed between the via protrusion 20 and the hooking wing 30.

상기 경유돌출부(20)는 상기 제1방향(x)과 교차되는 제2방향(y)의 폭이 상기 몸체부(10)의 제2방향(y)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외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방향(y)은 상기 고정치아(t2)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경유돌출부(20)가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설측으로 더 돌출되더라도 그 부피가 컴팩트하게 형성되므로 혀의 움직임에 의한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The via protrusion 20 has a width in the second direction (y)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x) that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10 in the second direction (y), and has a rounded outer surface. It is desirable to form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second direction (y) correspond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tooth (t2). Therefore, even if the via protrusion 20 further protrudes from the body 10 to the lingual side,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tongue can be minimized because the volume is formed compactly.

상기 걸림날개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외측 타단에 상기 제2방향(y)에 대응하여 상호 대향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걸림날개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외측 타단에 상기 제2방향(y)의 일측으로 돌설된 제1윙부(31)와, 상기 몸체부(10)의 외측 타단에 상기 제2방향(y)의 타측으로 돌설된 제2윙부(3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윙부(31)는 상기 고정치아(t2)의 교합단측으로 돌설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윙부(32)는 상기 고정치아(t2)의 치근측으로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튜브(100)는,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치열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걸림날개부(30)가 상기 몸체부(10)의 외측 타단에 상기 상기 고정치아(t2)의 길이방향에 대응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고정튜브(100)는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걸림날개부(30)가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ooking wing portion 30 protrude from the other outer end of the body portion 10 to face each other in correspondence to the second direction (y). In detail, the hooking wing part 30 has a first wing part 31 protruding to one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y) at the other outer end of the body part 10 and the other outer end of the body part 1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wing portion 32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irection (y). That is, the first wing portion 31 preferably protrudes toward the occluding end of the fixed tooth t2, and the second wing portion 32 preferably protrudes toward the root side of the fixed tooth t2. Through this, in the fixing tube 100, the body portion 10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dental arch, and the locking wing portion 30 attaches to the other outer end of the body portion 10 to secure the fixed tooth t2. It may be extended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s such, the fixing tube 100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ody portion 10 and the hooking wing portion 30 intersect each other.

그리고, 상기 견인밴드(40)는 상기 제1윙부(31)와 상기 제2윙부(32)에 걸림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견인밴드(40)의 양측이 상기 제1윙부(31) 및 상기 제2윙부(32)에 각각 걸림되면, 상기 견인밴드(40)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와이어(50)가 상기 걸림날개부(30)의 외면으로 가압될 수 있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ction band 40 is caught on the first wing part 31 and the second wing part 32. When both sides of the traction band 40 are hooked to the first wing part 31 and the second wing part 32, respectively, the wire 50 is moved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traction band 40 to the hooking wing part ( 30) can be pressed to the outer surface.

여기서, 상기 경유돌출부(20)와 상기 걸림날개부(30) 사이에는 상기 단차홈(1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경유돌출부(20)의 타측면은 외측단으로 갈수록 상기 경유돌출부(20)의 일측으로 경사진 상기 경사면(22)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22)과 상기 걸림날개부(30)의 일측면 사이가 상호 이격됨에 따라 상기 단차홈(12)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ped groove 12 is formed between the via protrusion 20 and the hooking wing 30 . In detail,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via protrusion 20 is formed as the inclined surface 22 inclined toward one side of the via protrusion 20 toward the outer end. Accordingly, as the inclined surface 22 and one side surface of the hooking wing 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tepped groove 12 may be recessed.

더욱이, 상기 부착면(11)과 상기 걸림날개부(30)의 외면 사이의 제1간격(h1)은 상기 부착면(11)과 상기 삽입관부(21)의 인접 내주(21a) 사이의 제2간격(h2)을 초과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관부(21)의 인접 내주(21a)라 함은 상기 삽입관부(21)의 내주 중 상기 부착면(11)과 가장 가까운 내주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Moreover, the first distance h1 between the attachment surface 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ing wing portion 30 is the second distance h1 between the attachment surface 11 and the adjacent inner circumference 21a of the insertion tube portion 21. It is preferable to form beyond the interval h2. Her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adjacent inner circumference 21a of the insertion tube part 21 is the inner circumference closest to the attachment surface 11 among the inner circumferences of the insertion tube part 21 .

따라서, 상기 걸림날개부(30)의 외면과 상기 삽입관부(21)의 인접 내주(21a) 사이는 상기 부착면(11)을 기준으로 상기 제1간격(h1)과 상기 제2간격(h2)의 차이에 대응하는 단차간격(h3)만큼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튜브(100)는 상기 삽입관부(21)의 인접 내주(21a), 상기 단차홈(12) 및 상기 걸림날개부(30)의 외면으로 이어지는 윤곽이 상호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견인밴드(40)가 상기 제1윙부(31)와 상기 제2윙부(32)에 걸림되면 상기 견인밴드(40)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삽입관부(21)에서 인출된 상기 와이어(50)의 일측(51)이 가압되되 상기 단차간격(h3)만큼 절곡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distance h1 and the second distance h2 with respect to the attachment surface 11 ar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ing wing part 30 and the adjacent inner circumference 21a of the insertion tube part 21. It may be formed to be stepped as much as the step interval h3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in . That is, the fixing tube 100 is formed so that the contours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21a adjacent to the insertion tube part 21, the stepped groove 1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ing wing part 30 are stepwise. Through this, when the traction band 40 is caught on the first wing part 31 and the second wing part 32, the wire drawn out from the insertion tube part 21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traction band 40 One side 51 of 50) may be pressed but bent by the step interval h3.

여기서, 상기 단차홈(12)은 상기 삽입관부(21)의 인접 내주(21a)와 상기 걸림날개부(30)가 상호 단차지게 형성된 부분에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견인밴드(40)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와이어(50)의 일측(51)이 상기 단차홈(12)의 내측으로 더 가압되어 꺾인 형태로 가압 고정될 수 있다. Here, the stepped groove 12 is recessed in a portion where the adjacent inner circumference 21a of the insertion pipe part 21 and the hooking wing part 30 are mutually stepped. Therefore,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traction band 40, one side 51 of the wire 50 may be further pressed into the stepped groove 12 to be pressurized and fixed in a bent shape.

그리고, 상기 걸림날개부(30)와 상기 몸체부(10)의 타측면 사이에 절곡단(1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단(14)은 상기 걸림날개부(30)의 외면과 상기 몸체부(10)의 타측면 경계의 모서리부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단(14)은 도면에서와 같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각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And, it is preferable that a bent end 14 is formed between the hooking wing part 30 and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10. The bent end 14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corner portion of a boundary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ing wing portion 30 and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ent end 14 may be formed in a round shape, and in some cases may be formed in an angular shape.

상세히, 상기 삽입관부(21)를 관통하여 상기 걸림날개부(30)의 외면측으로 연장된 상기 와이어(50)의 타측(52)은 상기 견인밴드(40)의 가압력을 통해 상기 몸체부(10)의 타측 단부면으로 2차 절곡되어 가압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50)는 상기 절곡단(14)에 지지되어 상기 걸림날개부(30)의 외면에서 상기 몸체부(10)의 타측면에 대응하도록 2차 절곡될 수 있다. In detail, the other side 52 of the wire 50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tube 21 and exte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ing wing 30 extends to the body 10 through the pressing force of the traction band 40. It may be bent secondarily to the other end surface of and fixed by pressing. Here, the wire 50 is supported by the bending end 14 and can be bent secondarily so as to correspon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10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ing wing part 30 .

이때, 상기 제1윙부(31)와 상기 제2윙부(3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윙부(31)와 상기 제2윙부(32)의 내면측에 걸림된 상기 견인밴드(40)는 각 윙부(31,32)의 두께만큼 상기 걸림날개부(30)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부착면(11)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견인밴드(40)는 상기 제1윙부(31)와 상기 제2윙부(32)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10)의 타측 단부면의 길이방향 중앙부측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견인밴드(40)가 상기 걸림날개부(30)에 걸림되면 상기 와이어(50)의 타측(52)이 상기 견인밴드(40)의 탄성력을 통해 자동으로 2차 절곡되면서 상기 몸체부(10)의 타측 단부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wing portion 31 and the second wing portion 32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traction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ing portion 31 and the second wing portion 32 The band 4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ing wing portion 30 toward the attachment surface 11 by the thickness of each wing portion 31 and 32. That is, the traction band 40 is disposed to cross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while being caught by the first wing portion 31 and the second wing portion 32. can In addition, when the traction band 40 is caught on the hooking wing portion 30, the other side 52 of the wire 50 is automatically secondarily bent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traction band 40, and the body portion ( 10) may be tightly fixed to the other end surface.

이때, 상기 몸체부(10)의 타측 단부면에는 가이드홈(13)이 상기 몸체부(10)의 돌출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견인밴드(40)의 가압력을 통해 2차 절곡된 상기 와이어(50)의 타측(52)은 상기 가이드홈(13)에 수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50)의 타측(52)이 상기 고정치아(t2)의 길이방향으로 임의로 유동되지 않으며 연장방향이 상기 치간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groove 13 is recessed along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 on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body part 10 . Accordingly, the second side 52 of the wire 50 bent through the pressing force of the traction band 40 may be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13 . Through this, the other side 52 of the wire 50 does not flow arbitrari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tooth t2 and the extension direction can be guided to the interdental space.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13)의 함몰깊이(d1)는 상기 와이어(50)의 두께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50)의 타측(52)이 상기 가이드홈(13)의 내부에 수용되면 상기 와이어(50)의 타측(52) 외주 일면이 상기 가이드홈(13)의 내면에 접촉되되 상기 와이어(50)의 타측(52) 외주 타면이 상기 가이드홈(13)의 외측으로 미소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견인밴드(40)의 탄성력이 상기 와이어(50)에 명확하게 제공되므로 상기 제2절곡부(52)가 상기 가이드홈(13)과 상기 견인밴드(40) 사이에 가압 고정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pression depth d1 of the guide groove 13 is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wire 50. Therefore, when the other side 52 of the wire 50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13,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side 52 of the wire 5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groove 13, and the wi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side 52 of 50 may protrude slightly outward from the guide groove 13. Through this, since the elastic force of the traction band 40 is clearly provided to the wire 50, the second bent portion 52 can be pressurized and fixed between the guide groove 13 and the traction band 40. there is.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50)의 일측(51) 및 타측(52)이 상기 견인밴드(40)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단차홈(12) 및 상기 가이드홈(13)에 자동으로 다중 절곡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50)의 일측(51) 및 타측(52)이 상기 단차홈(12) 및 상기 가이드홈(13)에 수용되도록 가압력을 통해 절곡되면서 형성되는 꺾임엣지를 통해 상기 단차홈(12) 및 상기 가이드홈(13)에 걸림 구속된다.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51 and the other side 52 of the wire 50 are automatically multi-bent and accommodated in the stepped groove 12 and the guide groove 13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traction band 40. It can be. At this time, one side 51 and the other side 52 of the wire 50 are bent through a pressing force to be accommodated in the stepped groove 12 and the guide groove 13, and the stepped groove 12 ) and is caught and restrained by the guide groove 13.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50)의 치열궁방향 이동이 실질적으로 제한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5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50)는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단지 상기 견인밴드(40)가 상기 고정튜브(100)에 결찰되면서 가해지는 가압력을 통해 자동으로 절곡되는 구조를 통해 상기 고정튜브(100)에 고정되는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50)를 통해 제공되는 장력이 각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정확하게 전달됨으로써 치열교정 치료의 신뢰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rough this, as the movement of the wire 50 in the direction of the dental arch is substantially restricted, the wire 50 can be firmly fixed. That is, the wire 50 is fixed to the fixing tube 100 through a structure that is automatically bent through a pressing force applied while the traction band 40 is ligated to the fixing tube 100 without a separate adhesive. Location can be constrained. Therefore, since the tension provided through the wire 50 is accurately transferred to each of the teeth t1 to be aligned, the reliability of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remarkably improved.

한편, 상기 제1윙부(31)는 상기 몸체부(10)의 외측 타단에 상기 제2방향(y)의 일측으로 외향 경사지게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윙부(32)는 상기 몸체부(10)의 외측 타단에 상기 제2방향(y)의 타측으로 내향 경사지게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윙부(31)와 상기 제2윙부(32)는 각 외면이 연속적인 경사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외향 경사지는 것과 내향 경사지는 것은 상기 부착면(11)을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윙부(31)와 상기 부착면(11) 사이의 제1이격간격(s1)이 상기 제2윙부(32)와 상기 부착면(11) 사이의 제2이격간격(s2)보다 큰 간격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걸림날개부(30)가 상기 제2방향(y)을 따라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wing portion 31 protrudes outwardly inclined toward one side of the second direction (y) at the other outer end of the body portion 10.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wing portion 32 protrudes obliquely inward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irection (y) at the other outer end of the body portion 10.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each outer surface of the first wing portion 31 and the second wing portion 32 is formed as a continuous inclined surfac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outward inclination and the inward inclination are based on the attachment surface 11 . That is, the first separation interval (s1) between the first wing portion 31 and the attachment surface 11 is greater than the second separation interval (s2) between the second wing portion 32 and the attachment surface (11). As formed at large intervals, the hooking wing portion 30 may be inclin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y).

이때, 상기 고정튜브(100)가 상기 고정치아(t2)에 부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윙부(31)는 상기 고정치아(t2)의 표면과 상기 제1이격간격(s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윙부(31)와 상기 고정치아(t2)의 표면 사이에 상기 견인밴드(40)가 걸림 체결될 수 있는 충분한 간격이 확보되므로 설치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tube 100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fixing tooth t2, the first wing part 3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fixing tooth t2 by the first distance s1. there is. Through this, a sufficient distance is secured between the first wing portion 31 and the surface of the fixed teeth t2 to allow the traction band 40 to be hooked, and thus installation convenien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상기 제2윙부(32)는 상기 고정치아(t2)의 표면과 상기 제1이격간격(s1)보다 작은 상기 제2이격간격(s2)만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견인밴드(40)가 상기 제2윙부(32)에 걸림 체결될 수 있는 최소한의 간격은 확보되면서도 상기 견인밴드(40)가 상기 제2윙부(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wing portion 3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fixed tooth t2 by the second spacing s2 smaller than the first spacing s1.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ction band 4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wing 32 while securing a minimum distance for the traction band 40 to be engaged with the second wing 32. .

더욱이, 상기 제2윙부(32)의 단부에 후크돌기(33)가 내향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후크돌기(33)는 그 내면이 상기 몸체부(10)의 측면과 마주보게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견인밴드(40)는 상기 후크돌기(33), 상기 제2윙부(32)의 내면 및 상기 몸체부(10)의 측면 사이에 감싸지며 걸림 체결되므로 체결견고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ook protrusion 33 protrudes inward at the end of the second wing portion 32 .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protrusion 33 may protrude to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 Therefore, since the traction band 40 is wrapped and engaged between the hook protrusion 33,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wing 32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10, fastening robustness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erms such as "comprise", "comprise", "hav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possible to modify and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claim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몸체부 11: 부착면
12: 단차홈 13: 가이드홈
14: 절곡단 20: 경유돌출부
21: 삽입관부 30: 걸림날개부
31: 제1윙부 32: 제2윙부
33: 후크돌기 40: 견인밴드
50: 와이어 100: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
10: body portion 11: attachment surface
12: stepped groove 13: guide groove
14: bending end 20: via protrusion
21: insertion pipe part 30: locking wing part
31: first wing part 32: second wing part
33: hook protrusion 40: traction band
50: wire 100: orthodontic wire fixing tube

Claims (5)

치아의 표면에 부착 고정되는 부착면이 내면에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외측으로 돌설되되, 치열교정을 위한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관부가 치열궁방향에 대응하는 제1방향으로 관통된 경유돌출부; 및
상기 삽입관부를 관통한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견인밴드가 걸림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에 대응하여 상호 대향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날개부를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
Body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ttachment surface is fix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a vi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through which an insertion tube into which a wire providing tension for orthodontic treatment is inserted penetrates in a firs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ental arch; and
A hooking wing portion formed to face and protrude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corresponding to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so that a traction band provided to provide a pressing force for fixing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pipe portion is engaged Orthodontic wire fixing tub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유돌출부와 상기 걸림날개부 사이에는 상기 견인밴드의 가압력을 통해 1차 절곡된 상기 와이어의 일측이 수용되는 단차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걸림날개부의 외면에 안착된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상기 견인밴드의 가압력을 통해 2차 절곡되도록 상기 걸림날개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 사이에 절곡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
According to claim 1,
A stepped groove in which one side of the wire bent primarily through the pressing force of the traction band is accommodated is formed between the via protrusion and the hooking wing,
Orthodontic wire fixing tube characterized in that a bending end is formed between the hooking wing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wire se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ing wing is secondarily bent through the pressing force of the traction band.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면과 상기 걸림날개부의 외면 사이의 제1간격은 상기 부착면과 상기 삽입관부의 인접 내주 사이의 제2간격을 초과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
According to claim 2,
The wire fixing tube for orthodontic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distance between the attachment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ing wing is formed to exceed the second distance between the attachment surface and an adjacent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tube par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에는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수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의 함몰깊이는 상기 와이어의 두께 미만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
According to claim 2,
A wire fixing tube for orthodontics,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other side of the wir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body, and a recessed depth of the guide groove is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wi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날개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제2방향의 일측으로 외향 경사지게 돌설된 제1윙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제2방향의 타측으로 돌설되되, 외면이 상기 제1윙부의 외면과 연속적인 경사면으로 내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단부에 상기 몸체부의 측면과 마주보게 돌출된 후크돌기가 형성된 제2윙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
According to claim 1,
The hooking wing part
A first wing protruding outwardly inclined to one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The second wing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to the other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outer surface extends inwardly inclined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wing and a continuous inclined surface, and has a hook projection protruding to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at the end. Orthodontic wire fixing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rtion.
KR1020220011879A 2022-01-27 2022-01-27 wire fixing tube for orthodontics KR202301154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879A KR20230115420A (en) 2022-01-27 2022-01-27 wire fixing tube for orthodont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879A KR20230115420A (en) 2022-01-27 2022-01-27 wire fixing tube for orthodontic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420A true KR20230115420A (en) 2023-08-03

Family

ID=87568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879A KR20230115420A (en) 2022-01-27 2022-01-27 wire fixing tube for orthodontic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542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570Y1 (en) 2005-06-21 2005-09-13 정택빈 Wire ponit cap for correction of irregularities of the teet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570Y1 (en) 2005-06-21 2005-09-13 정택빈 Wire ponit cap for correction of irregularities of the tee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4804B2 (en)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US4412819A (en) Orthodontic arch wire
US8257080B2 (en) Low profile orthodontic bite corrector
KR20220003587A (en) orthodontic appliance
US20110311937A1 (en) Orthodontic Space Closing Appliances
JP4405917B2 (en) Orthodontic assembly coupler
KR101999378B1 (en)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EP3426183B2 (en) Orthopedic-orthodontic molar distalizer
JPH0371896B2 (en)
JP6643234B2 (en) Labial attachment device for use with orthodontic aids and lingual appliance systems
EP1265548A2 (en) Mandibular advancer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101763732B1 (en) A self distal driving device and self mesial driving device having spring
KR101748134B1 (en) A self distal driving device and self mesial driving device having spring
US20170209240A1 (en) Orthodontic lingual device
KR102002148B1 (en) wire fixing bracket for orthodontics
US6135767A (en) Spring loop re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062031B2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US9084649B2 (en) Orthodontic separator
KR20230115420A (en) wire fixing tube for orthodontics
US11246683B1 (en) Orthodontic band attachment device
KR101894039B1 (en) wire coupling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
KR102619130B1 (en) orthodontic digital bracket
KR102164764B1 (en)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KR102597281B1 (en) orthodontic digital bracket
KR102181712B1 (en) wire fixing bracket for orthodon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