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130B1 - orthodontic digital bracket - Google Patents

orthodontic digital br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130B1
KR102619130B1 KR1020210096860A KR20210096860A KR102619130B1 KR 102619130 B1 KR102619130 B1 KR 102619130B1 KR 1020210096860 A KR1020210096860 A KR 1020210096860A KR 20210096860 A KR20210096860 A KR 20210096860A KR 102619130 B1 KR102619130 B1 KR 102619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pad
tooth
pad portion
bracket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8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15573A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배기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210096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130B1/en
Priority to PCT/KR2021/014073 priority patent/WO2023003080A1/en
Publication of KR20230015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5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1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1Brackets with reinforcing structure, e.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61C7/303Elastic bands

Abstract

치열교정을 위한 시술편의성 및 정밀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면이 교정대상치아의 설측 및 순측 중 어느 일측 표면에 형합 부착되며, 상기 내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의 두께로 돌출된 몸체부에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양측으로 관통되되 외측으로 개구되는 체결홈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부착패드부; 및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대한 상기 부착패드부의 외면측 강도가 보강되도록, 상기 부착패드부의 외면측 단면적보다 작은 기설정된 단면 형상으로 상기 부착패드부의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돌출부를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을 제공한다.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precision of orthodontic treatmen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inner surface molded and attached to either the lingual or labial surface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and tension is provided to the body portion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inner surface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 attachment pad portion formed with at least one fastening groove that penetrates on both sides and opens outward so that a wire can be inserted; and a reinforcing protrusion portion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attachment pad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smaller than the out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to reinforce the outer surface side strength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against the tension of the wire. A digital bracket for correction is provided.

Description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orthodontic digital bracket}Digital bracket for orthodontics {orthodontic digital bracket}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열교정을 위한 시술편의성 및 정밀성이 개선된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gital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with improved surgical convenience and precision for orthodontic treatment.

일반적으로 교합이란 입을 다물었을 때 상악 및 하악의 치아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부정교합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 상기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상하악의 맞물림 상태가 정상의 위치를 벗어나서 기능적, 심미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정확한 교합관계를 의미한다.In general, occlusion refers to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teeth engage with each other when the mouth is closed. And, malocclusion refers to an incorrect occlusal relationship that causes functional and aesthetic problems due to the alignment of the teeth being out of alignment or the engagement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jaw being out of the normal position due to some cause.

여기서, 상기 부정교합의 원인은 유전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아의 모양이나 크기의 문제, 환경적 영향, 좋지 않은 습관, 잘못된 자세 및 선천성 장애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Here, the cause of malocclusion is known to be largely genetically influenced, but it can also occur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problems with the shape or size of teeth, environmental influences, bad habits, incorrect posture, and congenital disorders.

한편, 부정교합이 발생하면, 치열이 가지런하지 않아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기 쉽다. 또한, 정확한 칫솔질로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구강 내 치태가 증가하여 치아우식증이나 잇몸 염증 등 잇몸 질환으로 진행되기 쉽다. 더욱이, 정상 치열에서 많이 벗어난 치아가 있거나 턱의 위치가 비정상이라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치아 파절 등 치아에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도 크다.On the other hand, when malocclusion occurs, the teeth are not aligned, so it is easy for food residue to remain between the teeth. In addition, because it is not easy to keep teeth clean by brushing correctly, plaque increases in the oral cavity, which can easily lead to gum diseases such as dental caries and gum inflammation. Furthermore, if there are teeth that deviate significantly from normal alignment or the jaw is in an abnormal positi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damage to the teeth, such as tooth fracture, will occur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이에, 상기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치열 교정치료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치열 교정치료는 치아가 외력을 받으면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한다.Accordingly,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to treat the malocclusion. Here, the orthodontic treatment utilizes the property of teeth to move when subjected to external force.

상세히, 치열 교정치료는 원인이나 치료 시기에 따라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한다. 예컨대, 위아래 턱뼈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증진시키는 장치나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서서히 이동시키는 장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구강 내에 설치 및 분리 가능한 가철성 장치와 치아에 부착 후 치료 종료시 떼어내는 고정식 장치로 나뉠 수 있다.In detail, orthodontic treatment uses various devices and methods depending on the cause or treatment period. For example, it can be classified into devices that suppress or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upper and lower jaw bones or devices that gradually move teeth to a desired position. In addition, it can be divided into a removable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and detached in the oral cavity and a fixed device that is attached to the teeth and removed at the end of treatment.

한편,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브라켓이라는 장치를 이용한 고정식 치료법이다. 상기 브라켓을 이용한 고정식 치료법은 상기 브라켓을 치아에 부착하고 교정용 철사 내지 고무줄과 같은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하여 치아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치열교정치료에 흔히 사용된다.Meanwhile, the most widely used treatment currently is a fixed treatment using a device called a bracket. Fixed treatment using the bracket attaches the bracket to the teeth and moves the teeth using the tension of a wire such as an orthodontic wire or rubber band, and is commonly used in various types of orthodontic treatment.

상세히, 상기 브라켓은 교정대상치아의 표면에 각각 견고하게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정하여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교정대상이 되는 치아를 서서히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정대상치아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그 위치 및 자세가 변경되고, 치아가 조금씩 이동하면서 치열 교정치료가 이루어진다.In detail, the brackets are each firm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eeth to be corrected, and the wires are fixed to interconnect the brackets.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force applied to the wire can be variously adjusted, thereby gradually moving the tooth to be corrected. Accordingly,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is changed by the tension of the wire, and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while the tooth moves little by little.

그러나, 종래의 치열 교정치료는 시술자의 경험에 의해 수행됨에 따라 시술자 자신도 정확한 확신없이 피시술자의 치아와 결속된 와이어를 직접 잡아당기거나 풀어주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미세 조정된다. 이는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바람직한 치열구조로 조절되므로 시술시간이 증가되고 피시술자의 불편함 및 고통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conventional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based on the operator's experience, the operator himself is fine-tun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directly pulling or releasing the wire bound to the patient's teeth without exact certainty. This has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procedure time and increasing the discomfort and pain of the recipient as it is adjusted to the desired dental structure through repeated trial and error.

또한, 종래의 치열 교정치료는 시술자의 역량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객관적이지 못하며, 피시술자는 시술자의 경혐 및 능력에 전적으로 의지해야 하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바람직한 치열상태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orthodontic treatment is not objective because it relies heavily on the operator's capabilities, and because the recipient must rely entirely on the operator's experience and abilities, it is difficult to achieve a universally desirable state of teeth.

더욱이, 상기 시술자의 경험과 지식은 구체적인 자료로 기록이 어려운 정성적인 데이터이며, 시술자 개개인의 능력과 경험에 따라 상이하다. 이로 인해, 교정의 최종목적이 되는 바람직한 치열모델 자체도 시술을 수행하는 시술자의 주관적 관점 또는 경험에 의해 형성된 것이여서 치열 교정이 보편적이고 객관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Moreover, the operator's experience and knowledge are qualitative data that are difficult to record as specific data, and vary depending on the individual operator's abilities and experience. Because of this, the desirable orthodontic model itself, which is the final goal of orthodontic treatment, was formed by the subjective viewpoint or experience of the practitioner performing the procedure, so there was a problem in that orthodontic treatment was not universal and objective.

한편, 상기 브라켓은 접착제를 통해 교정대상치아의 설면 또는 순면에 부착되며, 상기 브라켓이 치아에 부착 고정된 후 상기 와이어가 결찰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릿이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가 복수개의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상기 슬릿에 삽입 체결된다.Meanwhile, the bracket is attached to the lingual or labial surface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through an adhesive, and after the bracket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tooth, the wire is ligated. At this time, a slit through which the wire is inserted is opened in the bracket. Then, the wire is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slits formed in the plurality of brackets.

여기서, 상기 슬릿은 상기 와이어가 인입되는 통로 및 상기 와이어가 삽입 고정되는 내측단부로 구비되며, 상기 통로가 상기 내측단부보다 좁은 폭으로 개구된다. 이때, 상기 슬릿의 내측단부가 상대적으로 큰 내부공간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내측단부가 형성된 몸체부의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Here, the slit is provided with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ire is introduced and an inner end into which the wire is inserted and fixed, and the passage opens to a narrower width than the inner end. At this time, while the inner end of the slit is formed as a relatively large internal space,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where the inner end is formed is formed to be thin.

이로 인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상기 브라켓, 특히 상기 브라켓의 외면측으로 가해지면서 상기 브라켓이 파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일부에서는 상기 브라켓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파절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브라켓을 두껍게 제조하는 경우 치아에 부착시 이물감이 커지면서 피시술자의 불편감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합치 또는 혀의 반복적인 접촉 또는 간섭으로 인하여 치아에 부착된 상기 브라켓이 분리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Because of thi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bracket was fractured as the tension of the wire was applied to the bracket, especially the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Accordingly, some attempted to solve the fracture problem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bracket. However, when the bracket is manufactured thick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oreign body sensation increases when attached to the tooth, increasing the patient's discomfort.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which the bracket attached to the tooth became separated due to repeated contact or interference with the opposing tooth or tongue.

더욱이, 상기 브라켓에 상기 와이어가 체결되는 슬릿이 상기 지그가 연결된 방향에 대응하여 개구되는 경우, 상기 슬릿의 개구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브라켓의 두께를 더욱 두껍게 형성해야만 한다. 이로 인해, 상기 브라켓이 과도하게 돌출되며, 이물감으로 인한 피시술자의 불편감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more, when the slit through which the wire is fastened to the bracket is opened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jig is connected, the thickness of the bracket must be made thicker in consideration of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slit.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bracket protruded excessively, increasing the patient's discomfort due to the foreign body sensation.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9058호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6905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열교정을 위한 시술편의성 및 정밀성이 개선된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digital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with improved convenience and precision for orthodontic treatment.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면이 교정대상치아의 설측 및 순측 중 어느 일측 표면에 형합 부착되며, 상기 내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의 두께로 돌출된 몸체부에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양측으로 관통되되 외측으로 개구되는 체결홈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부착패드부;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대한 상기 부착패드부의 외면측 강도가 보강되도록, 상기 부착패드부의 외면 중앙부로부터 타단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1보강리브와, 상기 제1보강리브의 일단에서 상기 부착패드부의 일측 양단으로 경사지게 분지되어 연장 돌출되는 제2보강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패드부의 외면측 단면적보다 작은 기설정된 단면 형상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돌출부; 및 상기 부착패드부가 상기 교정대상치아의 일측 표면에 기설정된 교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부착패드부의 일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교정대상치아의 단부를 감싸 형합되는 형합홈이 내면에 형성된 정렬부와, 상기 부착패드부 및 상기 정렬부를 연결하되 내면측에 도피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부착패드부 및 상기 정렬부의 각 외면측으로 편향되며 폭방향 중앙부에 상기 도피공간과 연통되는 연통홀부가 관통되도록 연장 형성된 한쌍의 연장바로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이드지그부를 포함하되, 각 상기 연장바는 상기 제2보강리브의 각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일체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ner surface molded and attached to either the lingual or labial surface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and a wire that provides tension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inner surface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 attachment pad portion formed with at least one fastening groove that penetrates as much as possible on both sides and opens outward; A first reinforcing rib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to the other end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against the tension of the wire, and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rib to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a reinforcing protrusion that includes a second reinforcing rib that is obliquely branched and extends, and is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into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And an alignment portion that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so that the attachment pad portion is disposed at a preset correction position on one surface of the tooth to be aligned, and has a fitt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o surround and fit an end of the tooth to be aligned, A pair of extensions that connect the attachment pad portion and the alignment portion, but are biased toward each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and the alignment portion so that an escape spac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extend through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escape space at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 digital bracket for orthodontics is provided, which includes a guide jig portion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provided immediately, and each of the extension bars is integrally connect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rib.

여기서, 상기 체결홈부를 경유하는 상기 와이어의 노출된 양단을 가압 구속하도록 상기 부착패드부의 외면을 감싸 고정하는 탄성밴드가 걸림 구속되는 결찰홈이 상기 부착패드부의 타단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보강리브의 타단부는 상기 결찰홈의 외면측 테두리의 타측으로 돌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Here, a ligation groove is formed concavely on the other end of the attachment pad section, into which an elastic band that wraps and secures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section to press and restrain the exposed ends of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groove section is caught and restrained. 1. Preferably, the other end of the reinforcing rib protrudes and extends to the other side of the outer edge of the ligation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한편, 상기 보강돌출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외곽 테두리의 단면형상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부의 개구측 중앙부에는 상호 마주보게 함몰된 확장개구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reinforcing protrusion preferably has a rounded cross-sectional shape on the outer edge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s it goes outward, and an expanded opening recessed to face each other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opening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부착패드부의 외면에 'Y'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보강돌출부를 통해 강도가 보강됨에 따라 종래의 브라켓보다 얇은 두께로 제작하더라도 교정기간 동안 와이어의 장력이 부착패드부의 외면측으로 가해짐으로 인한 체결홈부의 단부측 파절률이 감소되므로 컴팩트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브라켓을 제공받을 수 있다.First, as the strength is reinforced through the reinforc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in a 'Y' sha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even if it is manufactured with a thinner thickness than a conventional bracket, the tension of the wire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during the correction period, causing fastening. Since the fracture rate at the end of the groove is reduced, a compact yet highly durable bracket can be provided.

둘째, 삼방향으로 분지되는 각 보강리브가 가는 바형상으로 돌출되며, 그 외곽이 라운드진 만곡모서리로 형성되므로 브라켓의 외면측이 외곽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게 형성되어 이물감이 최소화되므로 치열교정기간 동안 불편감 및 구강내부 조직과의 간섭으로 인한 브라켓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Second, each reinforcing rib branched in three directions protrudes in the shape of a thin bar, and its outer surface is formed with a rounded curved edge, so the thicknes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gradually becomes thinner toward the outer surface, minimizing foreign body sensation and reducing the period of orthodontic treatment. It can prevent detachment of the bracket due to discomfort and interference with tissues inside the oral cavity.

셋째, 정렬부와 부착패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한쌍의 연장부로 구비되어 부착패드부의 외면에 양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보강리브의 각 단부와 각각 연속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정렬부를 브라켓에서 분리시 제2보강리브와 연결부의 경계측이 분절될 수 있어 부착패드부의 양단측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the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alignment part and the attachment pad part is provided as a pair of extension parts and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rib that extends obliquely on both sid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part, so that when the alignment part is separated from the bracket, the second reinforcement rib The boundary between the reinforcing rib and the connection part can be segmented, preventing damage to both ends of the attachment pad.

넷째, 연결부가 부착패드부의 일단 외측으로 편향 연장되어 그 내측으로 치아 표면과 이격된 도피공간이 확보됨에 따라 부착패드부를 치아에 밀착시킬 수 있으며, 브라켓의 외곽으로 배출된 잉여접착제의 제거가 용이하여 시술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Fourth, the connection part is biased and extended outward at one end of the attachment pad part, securing an escape space spaced apart from the tooth surface on the inside, allowing the attachment pad par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th, and the excess adhesiv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racket can be easily removed.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중 순측용 브라켓을 나타낸 정면도 및 사용예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중 설측용 브라켓을 나타낸 정면도 및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단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이 가이드지그부를 통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gital bracket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are front views and usage examples showing a labial bracket among digital brackets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are front views and exemplary views showing a lingual bracket among digital brackets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nd portion of a digital bracket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gital bracket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through a guide jig por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igital bracket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중 순측용 브라켓을 나타낸 정면도 및 사용예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중 설측용 브라켓을 나타낸 정면도 및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단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이 가이드지그부를 통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gital bracket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2a and 2b are front views and usage examples showing a labial bracket among the digital brackets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3a and 3b are orthodontic diagr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front view and example showing a lingual bracket among orthodontic digital brackets. And,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end of a digital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state in which the digital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through the guide jig portion. This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이때, 이하에서 설명될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과 '브라켓'은 동일한 의미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되는 '치아' 또는 '각 치아'는 '교정대상치아' 또는 '각 교정대상치아'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치아 또는 교정대상치아는 본 발명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열교정이 요구되는 치아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교정대상치아는 부정교합이 주로 발생하는 전치측 6개의 치아일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digital bracket for orthodontics' and 'bracket',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have the same meaning.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tooth' or 'each tooth',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has a meaning that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ooth to be corrected' or 'tooth to be correct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teeth or teeth to be corrected are teeth that require orthodontic treatment using th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teeth to be corrected may be the six anterior teeth where malocclusion mainly occurs.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100)은 부착패드부(110) 및 보강돌출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서 100A로 표시한 것은 순측에 부착되는 브라켓이며 100B로 표시된 것은 설측에 부착되는 브라켓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ures 1 to 5, the digital bracket 100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ttachment pad portion 110 and a reinforcing protrusion portion 140.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what is indicated as 100A in the drawing is a bracket attached to the labial side, and what is indicated as 100B is a bracket attached to the lingual side.

상세히, 상기 부착패드부(1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돌출된 몸체부(112)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112)는 후술되는 체결홈부(111)가 형성될 수 있는 최소한의 부피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 교정대상치아(t)의 전체적인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is preferably formed as a protruding body portion 112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body portion 112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to the minimum volume in which the fastening groove portion 11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formed, and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n area smaller than the overall area of each tooth to be corrected (t).

또한, 상기 몸체부(112)는 그 형상에 크게 제한을 두지 않으나, 특히 상기 설측용 브라켓(100B)의 경우 상기 치아(t)의 치근측에 대응되는 단부가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112)는 일단부가 상기 교정대상치아(t)의 교합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교정대상치아(t)의 치근측을 향하는 타단부로 갈수록 상기 몸체부(112)의 양측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12 is not greatly limited in its shape, bu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lingual bracket 100B, the end corresponding to the root side of the tooth t may be formed to be narrow. That is, the body portion 112 is disposed so that one end faces the occlusal surface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t), and as the other end faces the root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t),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12 It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ith a narrowing width.

상기 몸체부(112)의 내면에는 상기 교정대상치아(t)의 설측 및 순측 중 어느 일측 표면에 형합 부착되는 부착면(110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내면에 상기 부착면(110a)이 형성된 것과 상기 몸체부(112)의 내면에 상기 부착면(110a)이 형성된 것은 동일한 의미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착패드부(110)는 상기 몸체부(112)에 상기 부착면(110a) 및 상기 체결홈부(111)가 형성된 치열교정용 부재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attachment surface (110a)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2) to be attached to either the lingual or labial surface of the tooth (t) to be corrected. Hereinafter,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attachment surface 110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and the attachment surface 110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2 have the same meaning.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is an orthodontic member in which the attachment surface 110a and the fastening groove portion 111 are formed on the body portion 112.

그리고, 상기 몸체부(11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체결홈부(11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홈부(111)는 상기 교정대상치아(t)의 위치 및 방향이 이동되어 치열이 교정되도록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113)가 삽입되는 부분이며, 도면에서와 같이 한쌍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홈부(111)는 내측단부(111d)가 상기 몸체부(112)의 양측으로 관통되되, 상기 내측단부(111d)가 상기 몸체부(112)의 외측으로 연통되도록 기설정된 방향으로 개구부(111e)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fastening groove 111 is formed in the body 112. The fastening groove portion 111 is a portion where the wire 113 that provides tension to correct the alignment by mov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t) is inserted, and can be formed as a pair spaced apart as shown in the drawing. there is. At this time, the fastening groove 111 has an inner end 111d that penetrates both sides of the body 112, and has an opening in a preset direction so that the inner end 111d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body 112. It is preferable that (111e) is formed.

여기서, 개구부(111e)의 개구방향은 상기 와이어(113)의 장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와이어(113)가 체결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구부(111e)의 개구방향 설정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및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917274호에 개시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예컨대,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개구부(111e)는 상기 몸체부(112)의 일단 및 외측으로 개구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개구부(111e)는 상기 몸체부(112)의 일단 및 타단측으로 개구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opening 111e may be set to correspon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113 is fastened so that the tension of the wire 113 is transmitted, and the opening direction setting of the opening 111e is determined by the present applicant. Since it is disclosed in Patent No. 10-1917274 applied for and registered by ,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B, the opening 111e may be formed at one end and the outside of the body 112, and as shown in FIG. 4B, the opening 111e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112. And an opening may be formed on the other end side.

또한, 상기 개구부(111e)는 상기 내측단부(111d)의 내경보다 좁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13)가 상기 개구부(111e)를 통해 상기 내측단부(111d)로 인입되면 상기 개구부(111e)와 상기 내측단부(111d) 사이의 단차모서리에 걸림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113)의 장력이 상기 부착패드부(110)에 안정적으로 전달되면서도 상기 와이어(113)가 상기 내측단부(111d)로부터 빠져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opening 111e is preferably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end 111d. Therefore, when the wire 113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end 111d through the opening 111e, it may be caught on a step edge between the opening 111e and the inner end 111d. Through this, the tension of the wire 113 can be stably transmitted to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while preventing the wire 11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ner end portion 111d.

상기 보강돌출부(140)는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외면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강돌출부(140)는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외면측 단면적보다 작은 기설정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돌출부(140)는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외면 중앙부로부터 기설정된 삼방향으로 분지되어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강돌출부(140)는 상기 체결홈부(111)의 외측에 대응하는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의 두께로 일체로 돌출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protrusion 140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integral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110 in the outward direction. Here, the reinforcing protrusion 14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More preferably, the reinforcing protrusion 14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by branching in three predetermined directions. That is, the reinforcing protrusion 140 may protrude integrally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portion 111.

상세히, 상기 보강돌출부(140)는 제1보강리브(141)와 상기 제2보강리브(14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reinforcing protrusion 140 preferably includes the first reinforcing rib 141 and the second reinforcing rib 142.

상기 제1보강리브(141)는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외면 중앙부로부터 타단측으로 연장 돌출되며,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타단측에 형성된 체결홈부(이하, 타측 체결홈부)의 외측이 보강되도록 돌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보강리브(142)는 상기 제1보강리브(141)의 일단에서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일단 양측으로 경사지게 분지되어 연장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보강리브(142)는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일단측에 형성된 체결홈부(이하, 일측 체결홈부)의 외측이 보강되도록 구비된다.The first reinforcing rib 141 extends and protrudes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110 toward the other end, and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fasten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attachment pad 1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ther fastening groove). It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for reinforcement. Preferably, the second reinforcing rib 142 is obliquely branched and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rib 141 to both ends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The second reinforcing rib 142 is provided to reinforce the outside of the fastening groove (hereinafter referred to as one-side fastening groove) formed on one end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즉, 상기 보강돌출부(140)는 상기 제1보강리브(141)와 상기 제2보강리브(142)가 'Y'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a 또는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착패드부(110)를 외면에서 바라보면 상기 몸체부(112) 중앙부로부터 분지된 한쌍의 상기 제2보강리브(142)가 실질적으로 상기 몸체부(112)의 가로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12)의 중앙부로부터 분지된 상기 제1보강리브(141)와 상기 제2보강리브(142)가 실질적으로 상기 몸체부(112)의 세로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reinforcing protrusion 140 may be provided by extending the first reinforcing rib 141 and the second reinforcing rib 142 in a 'Y' shape. Therefore, as shown in FIG. 2A or FIG. 4A, when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is viewed from the outside, the pair of second reinforcing ribs 142 branch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2 substantially form the body portion. It may be provided in a form extending entirely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112). In addition, the first reinforcing rib 141 and the second reinforcing rib 142 branch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2 are substantially exten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12. It can be.

특히, 상기 보강돌출부(140)는 상기 와이어(113)의 장력이 상기 체결홈부(111)의 외측방향으로 가해짐으로 인하여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외면측이 파절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100)이 상기 치아의 설측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돌출부(140)를 통해 상기 와이어(113)의 당겨지는 힘에 대한 상기 체결홈부(111)의 외면측 구조가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reinforcing protrusion 140 can solve the problem of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110 being fractured due to the tension of the wire 113 being appli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fastening groove 111. . Therefore, when the bracket 100 is attached to the lingual side of the tooth, the outer structure of the fastening groove 111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113 through the reinforcing protrusion 140. can do.

이때, 상기 제1보강리브(141)는 상기 타측 체결홈부(111b)의 관통방향과 교차되도록 연장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11e)에 의해 분할된 상기 몸체부(112)의 타단 외측이 상기 제1보강리브(141)를 통해 보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보강리브(142)는 상기 일측 체결홈부(111a)의 관통방향과 교차되도록 연장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11e)에 의해 분할된 상기 몸체부(112)의 일단 외측이 상기 제2보강리브(142)를 통해 보강되므로 상기 와이어(113)의 장력에 대한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보강리브(141)와 상기 제2보강리브(142)가 교차되도록 연장 돌출된다 함은 상기 체결홈부(111)의 관통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보강리브(141)와 상기 제2보강리브(142)가 수직 또는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rst reinforcing rib 141 is preferably extended and protruded to intersect the penetrating direction of the other fastening groove portion 111b. Accordingly, the outsid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112 divided by the opening 111e can be reinforced through the first reinforcing rib 141. In addition, the second reinforcing rib 142 preferably extends and protrudes to intersect the penetrating direction of the one fastening groove portion 111a. Accordingly, since the outer end of the body portion 112 divided by the opening 111e is reinforced through the second reinforcing rib 142, durability against tension of the wire 113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At this time, the fact that the first reinforcing rib 141 and the second reinforcing rib 142 extend and protrude to intersect means that the first reinforcing rib 141 and the second reinforcing rib 142 correspond to the penetrating direction of the fastening groove 111. 2.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reinforcing ribs 142 are arranged vertically or obliquely.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112)에 상기 체결홈부(111)가 형성되어 두께가 얇아짐으로 인해 강도가 저하되더라도 상기 보강돌출부(140)를 통해 저하된 강도가 보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브라켓(100)은 상기 몸체부(112)를 기존의 브라켓(100)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하더라도 상기 와이어(113)의 장력으로 인해 상기 몸체부(112), 특히 상기 체결홈부(111)의 단부측 파절률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trength decreases due to the thickness of the body part 112 being thinned by forming the fastening groove part 111, the reduced strength can be compensated for through the reinforcing protrusion part 140. Therefore, in the brack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body portion 112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existing bracket 100, the body portion 112, especially the fastening groove portion ( 111), the end-side fracture rat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예컨대, 종래의 브라켓이 약 최대 4mm의 두께로 형성되는데 비해 본 발명은 상기 보강돌출부(140)를 적용함으로써 평균 2.5mm의 컴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보강돌출부(140)를 통해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전체적인 면적이 실질적으로 보강됨에 따라 상기 브라켓(100)의 면적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브라켓(100)이 상기 치아(t)에 부착된 상태에서 이물감이 최소화되면서도, 상기 와이어(113)의 장력을 지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우수한 브라켓(100)을 제공받을 수 있다.For example, while conventional brackets are formed with a maximum thickness of about 4 mm,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compact structure with an average thickness of 2.5 mm by applying the reinforcing protrusion 140. Moreover, as the overall area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is substantially reinforced through the reinforcing protrusion 140, the area of the bracket 100 can also be reduc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racket 100 with excellent durability that can support the tension of the wire 113 while minimizing foreign body sensation when the bracket 100 is attached to the tooth t.

또한, 상기 보강돌출부(140)는, 상기 제1보강리브(141)와 상기 제2보강리브(142)가 'Y'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협소한 바구조로 돌출 구비된다. 이때, 각 보강리브의 외곽 테두리의 단면형상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각 보강리브는 상기 제1보강리브(141)와 상기 제2보강리브(142)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protrusion 140 is provided such that the first reinforcing rib 141 and the second reinforcing rib 142 are formed in a 'Y' shape and protrude in a narrow bar structure.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uter edge of each reinforcing rib is formed to be round. Her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each of the reinforcing ribs is the first reinforcing rib 141 and the second reinforcing rib 142.

상세히, 상기 보강돌출부(140)는 외곽 테두리를 따라 라운드진 만곡모서리(143)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돌출부(140)는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100)은 상기 몸체부(112)의 외면 중앙부에서 타단 양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브라켓(100)이 상기 교정대상치아(t)에 부착된 상태에서 이물감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혀 등의 구강 내부조직과의 간섭으로 인하여 상기 치아(t)에서 박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In detail, the reinforcing protrusion 140 is formed with a curved edge 143 that is rounded along the outer edg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inforcing protrusion 140 may become smaller as it goes outward. Accordingly, the bracket 100 may be formed in a shape whose thickness gradually becomes thinner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2 to both sides of the other end. Through this, the feeling of a foreign body can be minimized while the bracket 100 is attached to the tooth to be corrected (t), and separation from the tooth (t) due to interference with internal oral tissues such as the tongue can be prevented. there is.

이때, 상기 제1보강리브(141)는 상기 치아(t)의 치근측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브라켓(10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여 단일 돌출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치근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상기 치아(t)의 표면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브라켓(100)의 타단측 구조가 협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브라켓(100)을 부착시 상기 보강돌출부(140)가 외측으로 돌출되더라도 이물감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reinforcing rib 141 is form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oot side of the tooth t,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as a single protruding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cket 100. Accordingly, the structure of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100 may be formed to be narrow in response to the surface shape of the tooth (t), whos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the tooth root. Through this, the feeling of foreign matter can be further reduced even if the reinforcing protrusion 140 protrudes outward when attaching the bracket 100.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보강돌출부는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외면을 'X'자 형에 대응하여 보강리브가 상호 교차하는 형상으로 일체로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강돌출부는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여 연장된 'I'자 형상의 보강리브가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가로질러 일체로 돌출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보강돌출부는 'I'자 형상의 보강리브가 한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따라 일체로 돌출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강돌출부가 'I'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그 양측 폭은 소정의 간격으로 조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보강돌출부(140)가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외면측 단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부(111)의 관통방향과 교차되도록 돌설되는 구조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Of course, in some cases, the reinforcing protrusion may protrude integrally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in a shape where reinforcing ribs intersect each other, corresponding to an 'X' shape. Alternatively, the reinforcing protrusion may be an 'I' shaped reinforcing rib extend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and integrally protruding across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Moreover, the reinforcing protrus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I'-shaped reinforcing ribs and may protrude integrally along both ends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when the reinforcing protrusion is formed in an 'I' shape, the widths on both sides may be adjus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is way, if the reinforcing protrusion 140 is formed with an area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and has a structure that protrudes to intersect the penetrating direction of the fastening groove portion 111,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 브라켓(100)은 가이드지그부(12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브라켓(100)은 상기 부착패드부(110), 상기 보강돌출부(140) 및 상기 가이드지그부(12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bracket 100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guide jig portion 120. That is, the brack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the reinforcing protrusion portion 140, and the guide jig portion 120.

상세히, 상기 가이드지그부(120)는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일측으로 돌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지그부(120)는 상기 부착패드부(110)가 상기 교정대상치아(t)의 일측 표면에 기설정된 교정위치에 배치되도록 가이드해주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jig part 120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attachment pad part 110. This guide jig part 120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part that guides the attachment pad part 110 to be placed at a preset correction position on one surface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t).

상세히, 상기 가이드지그부(120)는 정렬부(121)와 연결부(12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guide jig part 120 preferably includes an alignment part 121 and a connection part 122.

상기 정렬부(121)는 상기 교정대상치아의 단부(ta)를 감싸 형합되는 형합홈(121a)이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일단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교정대상치아의 단부(ta)라 함은 상기 교합면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정렬부(121)는 각 치아의 단부(ta)의 특징적인 돌출구조에 대응하여 상기 형합홈(121a)의 윤곽이 형성될 수 있다.The alignment portion 121 has a molding groove 121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surrounding the end (ta) of the tooth to be aligned, and is preferably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do.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end (ta)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is the occlusal surface. That is, the alignment portion 121 may be formed with the outline of the matching groove 121a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protruding structure of the end (ta) of each tooth.

그리고, 상기 연결부(122)는 상기 정렬부(121)와 상기 부착패드부(110)를 연결하도록 연장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연결부(122)는 일단이 상기 정렬부(121)에 일체로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부(122)는 상기 부착패드부(110) 및 상기 정렬부(121)의 각 외면측으로 편향되어 연장됨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connecting portion 122 is preferably extended to connect the alignment portion 121 and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In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22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alignment portion 121 and the other e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ortion 122 is preferably extended toward the outer surfaces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and the alignment portion 121 in a biased manner.

즉, 상기 브라켓(100)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정렬부(121)와 상기 부착패드부(110)가 상기 연결부(12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22)는 상기 정렬부(121)와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외면측으로 편향됨에 따라 내면측으로 도피공간(12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패드부(110)는 내면측 전체적인 외곽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부착패드부(110)를 부착시키기 위해 상기 부착패드부(110)와 상기 치아(t)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제 중 잉여접착제의 도피공간(1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잉여접착제는 상기 부착패드부(110)를 상기 치아(t) 표면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접착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That is, in the bracket 100, the alignment part 121 and the attachment pad part 110, which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22. At this time, as the connecting portion 122 is biased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alignment portion 121 and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an escape space 126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ccordingly, the entire outer inn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is, an escape space 126 for excess adhesive among the adhesive applied between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and the tooth (t) in order to attach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may be formed. The excess adhesive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dhesive tha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while attaching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

상세히, 상기 접착제가 상기 부착면(110a) 또는 상기 치아(t)의 표면에 도포된 후 가압됨에 따라 상기 브라켓(100)을 부착하는데 필요한 양의 접착제를 제외한 상기 잉여접착제가 상기 브라켓(100)의 내면측 외곽으로 밀려 배출된다. 이때, 상기 도피공간(126)을 통해 상기 가이드지그부(120)가 형성된 상기 브라켓(100)의 일단측으로도 상기 잉여접착제가 밀려 배출될 수 있다.In detail, as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attachment surface 110a or the surface of the tooth t and then pressed, the excess adhesive excluding the amount of adhesive required to attach the bracket 100 is removed from the bracket 100. It is pushed outward from the inner side and discharged. At this time, the excess adhesive may be push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escape space 126 to one end of the bracket 100 where the guide jig portion 120 is formed.

따라서, 상기 부착면(110a)이 상기 치아(t) 표면에 긴밀하게 밀착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접착층의 두께가 최소한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브라켓(100)이 상기 치아(t) 표면에 컴팩트하게 부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도피공간(126)으로 배출된 상기 잉여접착제를 핀셋 등의 치과기구로 긁거나 닦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시술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the attachment surface 110a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 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formed by curing the adhesive is minimal, the bracket 100 can be compact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 Moreover, since the excess adhesive discharged into the escape space 126 can be easily removed by scratching or wiping with a dental instrument such as tweezers,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이때, 상기 연결부(122)는 상기 몸체부(112)의 일단에 양측으로 이격된 한쌍의 연장바(123a,123b)로 연장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연장바(123a,123b) 사이에 내외측으로 관통된 연통홀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통홀부(124)는 상기 도피공간(126)과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피공간(126)은 상기 정렬부(121)와 상기 부착패드부(110) 사이에서 양측으로 개구됨과 동시에 상기 연통홀부(124)를 통해 외측으로도 개구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portion 122 extends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12 with a pair of extension bars 123a and 123b spaced apart on both sides. Accordingly, a communication hole 124 penetrating inward and outward may be formed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 bars 123a and 123b. Here, the communication hole portion 124 is preferably in communication with the escape space 126. That is, the escape space 126 may be opened on both sides between the alignment portion 121 and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and may also be opened outwar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portion 124.

따라서, 상기 잉여접착제가 상기 연통홀부(124)를 통해서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일단측으로 배출되는 잉여접착제 양에 상관 없이 상기 부착면(110a)이 상기 치아(t)의 일측 표면에 긴밀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22)의 내면측에 잔존하는 상기 잉여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최소화되므로 상기 연결부(122)가 상기 접착제로 인해 상기 치아(t)의 일측 표면에 부착되는 문제점이 근본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부착이 완료된 후 상기 가이드지그부(120)가 상기 교정대상치아의 단부(ta)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Therefore, the excess adhesive can be easily remo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24. Through this, the attachment surface 110a can be closel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tooth t regardless of the amount of excess adhesive discharged to one end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In addition, since the excess adhesive remain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22 is substantially minimized, the problem of the connecting portion 122 being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tooth t due to the adhesive can be fundamentally solved. . Through this, the guide jig part 120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end (ta)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after the attachment of the attachment pad part 110 is completed.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100)은 상기 도피공간(126)과 연통되는 연통홀부(124)를 통해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양에 상관 없이 상기 잉여접착제가 배출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바(123a,123b)가 한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일단 양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정렬부(121)를 통해 가이드된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부착위치가 정확하게 정렬 지지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sufficient space for the excess adhesive to be discharged regardless of the amount of adhesive applie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24 in communication with the escape space 126. You can. In addition, since the extension bars 123a and 123b are provided as a pair and spaced apart on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guided through the alignment portion 121 can be accurately aligned and supported.

더욱이, 상기 한쌍의 연장바(123a,123b)가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양단을 지지해주므로 가는 굵기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부착위치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정렬부(121)와 부착패드부(110)의 중앙부가 하나의 가는 연결수단으로 연결됨으로 인하여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브라켓의 위치가 기울어지는 등의 위치 오차 발생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pair of extension bars 123a and 123b support both ends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can be stably guided even if it is formed to be thin. Therefore, since the alignment part 121 and the central part of the attachment pad part 110 are connected by a single thin connecting means, the problem of positional error such as tilting of the position of the bracke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can be fundamentally solved. .

이때, 상기 연결부(122)가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일단 외측으로 편향되어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컷팅기구가 상기 연통홀부(124)를 통해 인입되거나 상기 그립돌출부(130)를 쥔 상태로 꺾어 파절 분리시키더라도 상기 컷팅기구의 단부 또는 파절된 상기 연장바(123)의 단부가 상기 치아(t)의 일측 표면에 접촉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치아(t)의 일측 표면이 상기 컷팅기구 또는 상기 연장바(123)의 단부에 긁혀 손상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122 is biased to the outside of one end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and is spaced apart. Therefore, even if the cutting device is inser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24 or broken and separated by bending while holding the grip protrusion 130, the end of the cutting device or the fractured end of the extension bar 123 is not connected to the tooth.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rface of one side of the tooth t from being damaged by being scratched by the cutting tool or the end of the extension bar 123.

여기서, 상기 연결부(122)는, 상기 한쌍의 연장바(123a,123b)가 기설정된 단면적 또는 직경에 대응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122)는 상기 부착패드부(110)와 상기 정렬부(121)의 두께와 상관 없이 일정한 두께로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연장바(123a,123b)는 시술자가 힘을 주어 꺾으면 상기 부착패드부(110)로부터 분리되도록 손쉽게 분절될 수 있을 정도의 굵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22)를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일단부로부터 절단 또는 분절시 과도한 힘이 요구되지 않으며, 상기 연결부(122)를 분리시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부착위치가 불필요하게 변경됨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portion 122 may be formed to extend the pair of extension bars 123a and 123b corresponding to a preset cross-sectional area or diameter. That is, the connection part 122 can be uniformly formed with a constant thickness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attachment pad part 110 and the alignment part 121. At this time, the pair of extension bars 123a and 123b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that allows them to be easily segmented to separate from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when the operator bends them with force. Therefore, excessive force is not required when cutting or dividing the connection portion 122 from one end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and the force applied when separating the connection portion 122 causes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ttachment location from being changed unnecessarily.

이때, 상기 한쌍의 연장바(123a,123b) 사이 간격을 지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부(123c)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간격유지부(123c)는 상기 연통홀부(124)를 가로질러 배치되되 양단이 상기 한쌍의 연장바(123a,123b)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부(123c)의 연장길이는 상기 한쌍의 연장바(123a,123b) 사이의 내측 간격에 대응될 수 있다.At this time, a gap maintenance portion 123c may be further formed to support the gap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 bars 123a and 123b. In detail, the gap maintenance portion 123c is disposed across the communication hole portion 124, and both ends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pair of extension bars 123a and 123b. At this time, the extension length of the gap maintenance part 123c may correspond to the inner gap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 bars 123a and 123b.

따라서, 상기 한쌍의 연장바(123a,123b) 사이 간격이 벌어지거나 비틀어지는 등의 변형이 상기 간격유지부(123c)를 통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바(123a,123b)의 변형으로 인한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위치 변경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100)을 상기 교정대상치아(t)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122)를 통해 상기 정렬부(121)와 상기 부착패드부(110)가 연결된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ly, deformation, such as widening or twisting of the gap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 bars 123a and 123b, can be prevented through the gap maintenance part 123c, and the deformation of the extension bars 123a and 123b can cause the deformation of the extension bars 123a and 123b. The problem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can be fundamentally solved. Therefore,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bracket 100 to the tooth to be corrected (t), the position where the alignment part 121 and the attachment pad part 110 ar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ng part 122 can be firmly maintained. there is.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정렬부(121)와 상기 부착패드부(110)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더라도 상기 연결부(122)를 통해 상기 부착패드부(110)가 정확한 부착위치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113)의 장력이 상기 브라켓(100)에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교정대상치아(t)가 기설정된 치열교정계획에 따라 정밀하게 교정 이동될 수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alignment part 121 and the attachment pad part 110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attachment pad part 110 can be guided to the correct attachment position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22. Through this, the tension of the wire 113 can b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bracket 100, and the tooth to be corrected (t) can be precisely corrected and moved according to a preset orthodontic plan.

여기서, 상기 한쌍의 연장바(123a,123b)는 상기 제2보강리브(142)의 각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각 상기 연장바(123a,123b)는 상기 제2보강리브(142)의 각 단부와 연속적으로 일체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상기 연장바(123a,123b)는 상기 치아(t)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두께만큼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도피공간(126)이 더욱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잉여접착제의 제거작업이 더욱 용이하며, 상기 연결부(122) 및 상기 형합홈(121a)의 내측에 상기 잉여접착제가 점착되는 것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Here, the pair of extension bars 123a and 123b are preferably connected to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end of the second reinforcement rib 142.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extension bars 123a and 123b is continuously and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rib 142. Accordingly, each of the extension bars 123a and 123b can be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tooth t by substantially the thickness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and the escape space 126 can be formed larger. there is. Through this, it is easier to remove the excess adhesive, and the excess adhesive can be further prevented from adhering to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122 and the fitting groove 121a.

또한, 상기 한쌍의 연장바(123a,123b)가 상기 제2보강리브(142)의 각 단부로부터 연장되므로 후술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가이드지그부(120)를 분리시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일단측이 상기 한쌍의 연장바(123a,123b)와 함께 분절됨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일단측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파절률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air of extension bars 123a and 123b extend from each end of the second reinforcement rib 142, when the guide jig part 120 is separated through a process described later, the attachment pad part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one end from being segmented together with the pair of extension bars 123a and 123b. Accordingly, since the thickness of one end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is maintained constant, the tension of the wire is stably supported, and the fracture rate can be further reduced.

더욱이, 상기 브라켓(100)의 설계과정에서 상기 보강돌출부(140)와 상기 가이드지그부(120)의 설계가 단순화될 수 있어 제조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100)의 설계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Furthermore, in the design process of the bracket 100, the design of the reinforcing protrusion 140 and the guide jig portion 120 can be simplified,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manufacturing convenience. The design process of this bracket 10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형합홈(121a)은 상기 부착면(110a)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치아윤곽에 대응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형합홈(121a)과 상기 부착면(110a)이 연속적인 치아윤곽에 대응되도록, 상기 브라켓(100)은 구강에 대하여 획득된 스캐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설계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tting groove (121a)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a tooth contour that is substantially continuous with the attachment surface (110a). In addition, the bracket 100 may be designed based on a scanning image obtained for the oral cavity so that the fitting groove 121a and the attachment surface 110a correspond to a continuous tooth contour.

상세히, 상기 교정대상치아(t)를 포함하는 대상악궁의 오랄스캔 이미지가 획득되며, 획득된 오랄스캔 이미지에 포함된 각 치아이미지가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에 대응되도록 가상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라 함은 피시술자의 치열이 바람직한 기능적, 심미적 교합상태로 교정되도록 수립된 치열교정시술계획에 따른 가상 치열라인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가상조절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장치인 플래닝부로 로딩될 수 있다.In detail, an oral scan image of the target dental arch including the tooth to be corrected (t) is acquired, and each tooth image included in the acquired oral scan image can be virtually adjusted to correspond to a preset continuous dentition structure. Here, the preset continuous dentition structure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virtual dentition line according to an orthodontic treatment plan established to correct the dentition of the patient to a desirable functional and aesthetic occlusion state. At this time, the oral scan image can be loaded into the planning unit, which is a simulation device that can virtually control the video or image.

그리고,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상기 브라켓의 가상설계이미지가 선택 및 추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는 치열교정시 필요한 구성부품에 대한 외형 정보가 3차원 벡터 데이터로 저장된 저장부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는 상기 플래닝부에 포함되거나 상기 플래닝부와 유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And, the virtual design image of the bracket can be selected and extracted from the digital library. At this time, the digital library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storage unit in which external shape information on components required for orthodontic treatment is stored as three-dimensional vector data. The digital library may be included in the planning unit or may be connected to the planning unit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상세히,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가 상기 플래닝부로 로딩되며 상기 연속치열구조에 대응되도록 가상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선택 및 추출된 상기 브라켓의 가상설계이미지가 상기 플래닝부로 로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설계이미지는 가상패드부, 가상정렬부 및 가상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oral scan image is loaded into the planning unit and virtually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continuous dentition structure. And, the virtual design image of the bracket selected and extracted from the digital library may be loaded into the planning unit. Here, the virtual design image may include a virtual pad portion, a virtual alignment portion, and a virtual connection portion.

여기서, 상기 가상패드부는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3차원 기초설계정보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패드부는 상기 몸체부(112)의 외형에 대응하는 블록형상에 대한 3차원 벡터 데이터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상패드부는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의 각 치아이미지에 배치시 상기 각 치아이미지와 중첩될 수 있는 부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정렬부는 상기 정렬부(121)의 3차원 기초설계정보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정렬부는 상기 정렬부(121)의 외형에 대응하는 블록형상에 대한 3차원 벡터 데이터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상정렬부는 상기 각 치아이미지의 상단 즉, 교합면측에 대응되는 이미지에 중첩 배치될 수 있다.Here,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the virtual pad part is three-dimensional basic design information of the attachment pad part 110. The virtual pad portion may be set as three-dimensional vector data for a block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body portion 112. When placed on each tooth image of the oral scan image, this virtual pad unit may be set to a volume that can overlap with each tooth image.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the virtual alignment unit is three-dimensional basic design information of the alignment unit 121. The virtual alignment unit may be set to three-dimensional vector data about the block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alignment unit 121. This virtual alignment unit may be placed overlapping the top of each tooth image, that is,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occlusal surface side.

또한, 상기 가상연결부는 상기 연결부(122)의 3차원 기초설계정보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연결부는 상기 연결부(122) 및 상기 보강돌출부(140)의 외형에 대응하는 3차원 벡터 데이터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상연결부는 상기 보강돌출부(140)의 3차원 설계정보에 대응되는 'Y'자 형상의 가상보강부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연결부는 상기 가상패드부와 실질적으로 통합되어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the virtual connection part is three-dimensional basic design information of the connection part 122. The virtual connection part may be set as three-dimensional vector data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connection part 122 and the reinforcing protrusion 140. That is, the virtual connection part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Y'-shaped virtual reinforcement part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design information of the reinforcement protrusion 140. Additionally, the virtual connection unit may be stored substantially integrated with the virtual pad unit.

이때, 상기 연속치열구조에 대응하여 가상조절된 상기 각 치아이미지의 일측 표면에 상기 가상패드부가 가상 배치되며, 상기 가상패드부의 일단측으로 상기 가상정렬부가 가상 이격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패드부와 상기 각 치아이미지가 중첩된 경계면에 대응하여 상기 부착면(110a)의 3차원 표면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정렬부과 상기 각치아이미지가 중첩된 경계면에 대응하여 상기 형합홈(121a)의 3차원 표면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가상연결부의 일단측과 상기 가상정렬부가 통합됨에 따라 상기 가상패드부와 상기 가상정렬부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브라켓(100)의 3차원 설계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irtual pad portion may be virtually arranged on one surface of each tooth image that has been virtually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continuous dentition structure, and the virtual alignment portion may be virtually spaced apart from one end of the virtual pad portion. Her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attachment surface 110a may be set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surface where the virtual pad portion and each tooth image overlap. In addition,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matching groove 121a can be set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surface where the virtual alignment unit and the angle tooth image overlap. In addition, as one end of the virtual connection part and the virtual alignment part are integrated, three-dimensional design information of the bracket 100 in which the virtual pad part and the virtual alignment part are formed integrally can be set.

여기서, 상기 가상패드부는 각 치아(t)에 개별적으로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되 와이어(113)의 설계정보인 가상와이어를 통해 세트화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가상와이어는 상기 연속치열구조에 대응하는 원호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정렬부는 각 상기 가상패드부의 상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되 세트화된 탬플릿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된 하나의 탬플릿정보가 상기 플래닝부로 로딩되면,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에 신속하게 가상정렬될 수 있다.Here, the virtual pad portion is provided in plural pieces to individually correspond to each tooth t, and can be set and stored through a virtual wire, which is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wire 113. At this time, the virtual wire is connected to the continuous dentition structure. It can be set to a corresponding arc shape. Additionally, the virtual alignment units may be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side of each virtual pad unit and may be set with set template information. Therefore, when one templat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digital library is loaded into the planning unit, it can be quickly virtual aligned to the oral scan image.

그리고, 상기 가상와이어와 상기 가상패드부의 중첩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체결홈부(111)의 3차원 설계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내측단부(111d)에 대한 3차원 설계정보는 상기 가상와이어와 상기 가상패드부의 중첩부분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11e)에 대한 3차원 설계정보는 상기 와이어(113)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방향이 고려되어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ree-dimensional design information of the fastening groove portion 111 may be set based on the overlapping area of the virtual wire and the virtual pad portion. In detail, three-dimensional design information for the inner end portion 111d may be set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virtual wire and the virtual pad portion.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design information for the opening 111e can be set by consider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113 can be easily inserted.

이러한 브라켓(100)은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3차원 프린터로 프린팅이 용이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100)의 3차원 설계정보가 3차원 프린터 등의 제조장치를 통해 출력되어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Y'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상기 보강돌출부(140), 양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기 한쌍의 연장바(123a,123b), 상기 치아(t)의 일측 표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상기 부착면(110a) 및 상기 형합홈(121a)의 형상이 정밀하면서도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This bracket 100 can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easy to print with a 3D printer, and the 3D design information of the bracket 100 is output through a manufacturing device such as a 3D printer to be integrated into one piece. can be manufactured. Therefore, the reinforcing protrusion 140 protruding in a 'Y' shape, the pair of extension bars 123a and 123b formed spaced apart on both sides, and the attachment surface formed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tooth t. The shapes of (110a) and the matching groove (121a) can be manufactured precisely and easily.

더욱이, 상기 브라켓(100)을 제조하기 위한 합성수지는 상기 치아(t)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색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100)이 상기 치아(t)의 순측 표면에 부착되더라도 상기 브라켓(100)이 과도하게 부각되지 않아 심미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합성수지는 광경화시 상기 와이어(113)의 장력을 일정 수준으로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synthetic resin for manufacturing the bracket 100 is preferably provided in a color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of the tooth t. Therefore, even if the bracket 100 is attached to the labial surface of the tooth t, the bracket 100 does not stand out excessively, and aesthetics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In addition, the synthetic resin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trength sufficient to support the tension of the wire 113 at a certain level during photocuring.

한편,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타단측에 결찰홈(114)이 오목하게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ation groove 114 is concavely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상세히, 상기 와이어(113)가 상기 체결홈부(111)에 삽입 체결되면,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양측으로 상기 와이어(113)가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13)가 상기 개구부(111e)를 통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113)를 고정하기 위한 탄성밴드(1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밴드(115)는 소재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브라켓(100)의 외측면 둘레보다 크게 탄성 확장되면서도 상기 브라켓(100)의 외측면을 감싼 상태에서는 신축되어 견고하게 압착 고정되므로 사용 및 설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wire 113 is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fastening groove portion 111, the wire 113 is exposed on both sides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Additionally, in order to prevent the wire 113 from falling out through the opening 111e, an elastic band 115 may be further provided to secure the wire 113. This elastic band 115 elastically expands to a greater extent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100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material, but expands and contracts when wrapp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100 and is firmly pressed and fixe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and installat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이때, 상기 와이어(113)는 상기 브라켓(100)의 전체적인 외측면을 감싸도록 탄발 고정되는 상기 탄성밴드(115)를 통해 상기 체결홈부(111)에 삽입된 상태가 구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밴드(115)의 일부분이 상기 결찰홈(114)에 수용되어 걸림 구속됨에 따라 상기 탄성밴드(115)가 상기 부착패드부(110)에 견고하게 탄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113)가 구속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re 113 may be restrained when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11 through the elastic band 115 elastically fixed to surround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100. Here, as a portion of the elastic band 115 is received and locked in the ligation groove 114, the elastic band 115 can be firmly elastically fixed to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and the wire ( 113) may remain detained.

여기서, 상기 제1보강리브(141)의 타단부(141a)는 상기 결찰홈(114)의 외면측 테두리의 타측으로 돌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보강리브(141)의 타단부(141a)가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타단측 테두리로부터 타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찰홈(114)의 함몰깊이가 상기 제1보강리브(141)의 타단부(141a)를 통해 상대적으로 더 깊게 형성되므로 상기 탄성밴드(115)가 더욱 안정적으로 걸림 구속될 수 있다.Here, the other end 141a of the first reinforcing rib 141 is preferably protruded and extended to the other side of the outer edge of the ligation groove 114. That is, the other end 141a of the first reinforcement rib 141 may protrude further from the edge of the other end of the attachment pad 110 to the other side. Accordingly, since the depression depth of the ligation groove 114 is formed relatively deeper through the other end 141a of the first reinforcement rib 141, the elastic band 115 can be more stably caught and restrained.

더욱이, 상기 제1보강리브(141)의 타단부(141a)가 더 돌출되는 구조를 통해 상기 결찰홈(114)의 함몰깊이를 최소한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패드부(110)에 상기 체결홈부(111)가 관통 및 개구 형성되더라도 상기 몸체부(112)의 외곽측 두께가 최대한으로 두껍게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113)의 장력이 가해짐으로 인하여 상기 몸체부(112)가 파절되는 문제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depression depth of the ligation groove 114 can be minimized through a structure in which the other end 141a of the first reinforcing rib 141 protrudes further. Therefore, even if the fastening groove 111 penetrates and opens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the outer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112 can be maintained as thick as possible. Through this, the problem of the body portion 112 being fractured due to tension applied to the wire 113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더불어, 상기 체결홈부(111)의 개구측, 즉 상기 개구부(111e)의 중앙부에는 상호 마주보게 함몰된 확장개구부(116a,116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개구부(111e)가 상기 체결홈부의 내측단부(111d) 및 상기 와이어(113)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개구되더라도 상기 확장개구부(116a,116b)를 통해 상기 개구부(111e)의 마주보는 테두리가 용이하게 탄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11e)를 통해 상기 와이어(113)를 인입시 과도한 힘이 요구되지 않으며, 상기 와이어(113) 체결시 시술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개구부(116a,116b)는 상기 개구부(111e)의 마주보는 테두리에 형성된 형상이 타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13)를 인입시 탄발 변형이 용이하면서도 각진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아 상기 와이어(113)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expanded openings 116a and 116b, which are recessed and face each other, are formed at the opening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111, that is, at the center of the opening 111e. That is, even if the opening 111e is opened at an interval smaller than the inner end 111d of the fastening groove and the diameter of the wire 113, the facing edge of the opening 111e through the expanded openings 116a and 116b. can be easily elastically deformed. Therefore, excessive force is not required when inserting the wire 113 through the opening 111e, and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when fastening the wire 113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These expanded openings 116a and 116b may be formed on opposing edges of the opening 111e to have an oval shape. Therefore, when the wire 113 is introduced, elastic deformation is easy and no angled corners are formed, so damage to the wire 113 can be prevented.

한편, 상기 정렬부(121)에는 상기 그립돌출부(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alignment part 12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the grip protrusion 130.

상세히, 상기 그립돌출부(130)는 시술자가 상기 브라켓(100)을 취부하여 상기 교정대상치아(t)측으로 운반 및 형합 배치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정렬부(121)로부터 돌출 연장된다. 상기 그립돌출부(130)는 시술자의 그립(grip)이 용이하도록 일단부가 기설정된 취부면적을 갖도록 납작한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가 상기 그립돌출부(130)를 손으로 직접 쥐어도 안정적인 그립감을 통해 손에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In detail, the grip protrusion 130 i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operator to attach the bracket 100 and transport and align it toward the tooth to be corrected (t), and protrudes and extends from the alignment portion 121. The grip protrusion 130 may be provided in a flat plate shape so that one end has a preset mounting area to facilitate the operator's grip. Therefore, even if the operator directly holds the grip protrusion 130 with his or her h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it from coming off the hand through a stable grip.

또한, 상기 그립돌출부(130)는 소정의 길이로 일측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시술자가 상기 그립돌출부(130)를 손으로 직접 취부하더라도 상기 교정대상치아(t) 및 상기 부착패드부(110)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연결부(122)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블록(125)을 통해 상기 정렬부(121)와 상기 연결부(122) 사이에 단차가 형성된다. 따라서, 시술자의 손끝이 상기 지지블록(125)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기 부착패드부(110)측으로 인접해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 protrusion 130 extends in one direction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even if the operator directly attaches the grip protrusion 130 by hand, it contacts the tooth to be corrected (t) and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It can be prevented from happening. Moreover, a step is formed between the alignment part 121 and the connecting part 122 through the support block 125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part 122.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limit the operator's fingertips from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125 and approaching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이에 따라, 상기 부착패드부(110)측이 상기 가이드지그부(120)측과 실질적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시술자의 손끝이 상기 교정대상치아(t) 또는 상기 부착패드부(110)에 접촉되어 오염됨을 방지하므로 위생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홀부(124)측으로 배출되는 상기 잉여접착제(g)가 상기 시술자의 손에 점착됨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100)을 상기 치아(t)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시술자의 불편함이 최소화되므로 시술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ttachment pad part 110 side can be substantially separated from the guide jig part 120 side. Through this, hygien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by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operator's fingertips by contacting the tooth to be corrected (t) or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cess adhesive (g) discharged toward the communication hole 124 from sticking to the operator's hands. Accordingly, the operator's discomfort is minimized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bracket 100 to the tooth t, and thus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이때, 상기 그립돌출부(130)의 단부에는 상기 각 치아(t)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안내정보가 표시되는 표식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표식부(131)는 각 상기 브라켓(100)이 부착되는 치아(t)에 대한 안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식부(131)는 각 치아(t)의 고유번호가 숫자 또는 점자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상기 표식부(131)를 가시적으로 확인하거나 손끝 감촉을 통해 인지하여 구강의 정확한 위치에 상기 브라켓(100)을 부착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표식부(131)가 돌출 또는 음각화되어 표시되면, 상기 치아(t)의 위치를 안내하는 기능과 함께 시술자의 손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시술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a marking portion 131 that displays guidance information about the type and location of each tooth t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grip protrusion 130. In detail, the marking portion 131 may include guide information about the tooth t to which each bracket 100 is attached. In this marking unit 131, the unique number of each tooth (t) may be displayed in numbers or Braille.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attach the bracket 100 to the correct position in the oral cavity by visually checking the marking portion 131 or recognizing it through the touch of the fingertip. Moreover, when the marking portion 131 is displayed in a protruding or engraved manner,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can be further improved because it simultaneously performs the function of guiding the position of the tooth t and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operator's hand from slipping. there is.

여기서, 상기 그립돌출부(130)와 상기 연결부(122)의 사이 각도가 180도 이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그립돌출부(130)와 상기 연결부(122)의 사이 각도는 150~170도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렛대 원리를 통해 상기 그립돌출부(130)에 적은 힘을 가하더라도 가는 두께의 상기 연장바(123a,123b)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일단을 경계로 하여 용이하게 분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지그부(120)를 분리하기 위한 상기 그립돌출부(130)의 회동반경이 최소화되면서도 상기 연장바(123a,123b)를 별도의 컷팅도구 없이 분리할 수 있는 힘이 전달되어 시술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between the grip protrusion 130 and the connection portion 122 is formed to be 180 degrees or less. For example, the angle between the grip protrusion 130 and the connection portion 122 may be formed in the range of 150 to 170 degrees. Therefore, even if a small force is applied to the grip protrusion 130 through the lever principle, the thin extension bars 123a and 123b can be easily segmented with one end of the relatively thick attachment pad portion 110 as a boundary. You can. In addition, the rotation radius of the grip protrusion 130 for separating the guide jig portion 120 is minimized, and the force that can separate the extension bars 123a and 123b without a separate cutting tool is transmitte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상기 브라켓(100)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교정대상치아(t)에 부착될 수 있다.Meanwhile, the bracket 100 can be attached to the tooth to be corrected (t)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먼저, 시술자가 상기 그립돌출부(130)를 취부하여 상기 브라켓(100)을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부착면(110a)과 상기 형합홈(121a)이 상기 각 치아(t)에 형합 매칭되도록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그립돌출부(130)에 상기 각 치아(t)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므로 시술자가 상기 브라켓(100)을 해당치아(t)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면(110a)과 상기 형합홈(121a)이 각 치아(t)의 특정적인 굴곡에 대응하여 형성되므로, 기설정된 치열교정계획에 따라 각 치아(t)의 정확한 위치에 정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First, the operator attaches the grip protrusion 130 and moves the bracket 100 into the patient's oral cavity. Then, the attachment surface 110a and the matching groove 121a are arranged to match each tooth t. At this time, since information about each tooth (t) is displayed on the grip protrusion 130, the operator can accurately place the bracket 100 on the corresponding tooth (t). In addition, since the attachment surface 110a and the matching groove 121a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curve of each tooth t, they are precisely placed at the exact position of each tooth t according to a preset orthodontic plan. It can be.

이때, 상기 부착면(110a) 또는 상기 치아(t)의 일측 표면에는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어 준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100)이 상기 치아(t)의 일측 표면에 형합되도록 상기 부착패드부(110)가 상기 치아(t)의 일측 표면에 밀착되면 상기 잉여접착제가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hesive may be applied and prepared on the attachment surface 110a or one surface of the tooth t. Therefore, when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tooth (t) so that the bracket 100 is molded to one surface of the tooth (t), the excess adhesive is applied to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연결부(122)의 내측으로 상기 도피공간(126)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122)에도 상기 연통홀부(124)가 형성되므로 상기 잉여접착제가 배출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패드부(110)가 상기 치아(t)의 일측 표면에 긴밀하게 부착될 수 있다. Here, the escape space 126 is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part 122, and the communication hole 124 is also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122, so that a sufficient space through which the excess adhesive can be discharged can be formed. . Accordingly,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can be closel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tooth t.

여기서,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내면측 외곽으로 배출되는 상기 잉여접착제를 긁거나 닦아 제거한다. 이때,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일단 외측으로 편향 연장되는 상기 연결부(122)의 내측으로 상기 도피공간(126)이 형성되므로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일단측으로 배출되는 상기 잉여접착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22)를 통해 상기 정렬부(121)와 상기 부착패드부(110)가 이격된 상태가 지지되므로, 상기 형합홈(121a) 내측으로 상기 잉여접착제가 유입되는 문제가 실질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지그부(120)를 분리시 상기 정렬부(121)가 상기 치아(t)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다. Here, the excess adhesive discharged to the outer inn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is removed by scraping or wiping. At this time, the escape space 126 is formed inside the connecting portion 122 that extends deviated outward from one end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to facilitate the excess adhesive discharged to one end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It can be easily removed. In addition, since the spaced state of the alignment part 121 and the attachment pad part 110 is supported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22, the problem of the excess adhesive flowing into the fitting groove 121a is substantially eliminated. It can be. Therefore, when the guide jig part 120 is separated, the alignment part 121 can be quickly separated from the tooth t.

그리고, 상기 부착패드부(110)와 상기 치아(t)의 일측 표면 사이에 적층된 상기 접착제가 경화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는 자외선 등의 경화광을 통해 경화되는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제를 신속하게 경화시킬 수 있어 시술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다.Then, the adhesive laminated between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and one surface of the tooth t is hardened. Here, the adhesive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hardens through curing light such as ultraviolet rays. Therefore, the adhesive can be cured quickly and the procedure time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한편, 시술자가 상기 그립돌출부(130)를 쥐고 구강의 외측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연결부(122)와 상기 부착패드부(110) 사이의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122)가 꺾여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돌출부(130)가 꺾이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부(122)의 타단측이 상기 부착패드부(110)의 내면측으로 가압되면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그립돌출부(130)가 분리되면서 상기 부착패드부(110)로 전달되는 압력이 상기 부착패드부(110)를 상기 치아(t)에 부착하기 위해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지그부(120)를 분리시 상기 부착패드부(110)가 상기 치아(t)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or holds the grip protrusion 130 and applies force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oral cavity, the connecting portion 122 may be bent and separated bas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122 and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there is.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122 may be separated while being presse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in respons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ip protrusion 130 is bent. That is, the pressure transmitted to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as the grip protrusion 130 is separated will substantially correspond to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attach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to the tooth (t). You can. Accordingly, the problem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110 being separated from the tooth (t) when the guide jig portion 120 is separated can be prevented.

이어서, 상기 체결홈부(111)를 통해 상기 와이어(113)가 삽입 체결되며, 상기 와이어(113)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밴드(115)가 고정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wire 113 is inserted and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groove 111, and the elastic band 115 can be fixed so that the wire 113 can be stably fixed.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equip,” or “have,” as us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Rather than excluding a component,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llowing additional inclusion of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explai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111: 부착패드부
112: 몸체부 113: 와이어
114: 결찰홈 115: 탄성밴드
116: 확장개구부 120: 가이드지그부
121: 정렬부 122: 연결부
124: 연통홀부 126: 도피공간
140: 보강돌출부
10: Digital bracket for orthodontics 111: Attachment pad portion
112: body 113: wire
114: Ligation groove 115: Elastic band
116: expansion opening 120: guide jig part
121: alignment part 122: connection part
124: Communication hole part 126: Escape space
140: Reinforcement protrusion

Claims (5)

내면이 교정대상치아의 설측 및 순측 중 어느 일측 표면에 형합 부착되며, 상기 내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의 두께로 돌출된 몸체부에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양측으로 관통되되 외측으로 개구되는 체결홈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부착패드부;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대한 상기 부착패드부의 외면측 강도가 보강되도록, 상기 부착패드부의 외면 중앙부로부터 타단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1보강리브와, 상기 제1보강리브의 일단에서 상기 부착패드부의 일측 양단으로 경사지게 분지되어 연장 돌출되는 제2보강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패드부의 외면측 단면적보다 작은 기설정된 단면 형상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돌출부; 및
상기 부착패드부가 상기 교정대상치아의 일측 표면에 기설정된 교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부착패드부의 일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교정대상치아의 단부를 감싸 형합되는 형합홈이 내면에 형성된 정렬부와, 상기 부착패드부 및 상기 정렬부를 연결하되 내면측에 도피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부착패드부 및 상기 정렬부의 각 외면측으로 편향되며 폭방향 중앙부에 상기 도피공간과 연통되는 연통홀부가 관통되도록 연장 형성된 한쌍의 연장바로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이드지그부를 포함하되,
각 상기 연장바는 상기 제2보강리브의 각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일체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The inner surface is molded and attached to either the lingual or labial surface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and a fastening groove is penetrated on both sides and opens outward so that a wire that provides tension can be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inner surface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ttachment pad portion formed with at least one additional portion;
A first reinforcing rib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to the other end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against the tension of the wire, and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rib to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a reinforcing protrusion that includes a second reinforcing rib that is obliquely branched and extends, and is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into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and
An alignment portion that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so that the attachment pad portion is disposed at a preset correction position on one surface of the tooth to be aligned, and has a fitt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o surround and fit an end of the tooth to be aligned, and the attachment portion. A pair of extension bars that connect the pad part and the alignment part, but are biased toward the outer surfaces of each of the attachment pad part and the alignment part so that an escape spac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extend so as to pass through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escape space at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Including a guide jig part including a provided connection part,
A digital bracket for orthodontic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extension bars is integrally connect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rib.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부를 경유하는 상기 와이어의 노출된 양단을 가압 구속하도록 상기 부착패드부의 외면을 감싸 고정하는 탄성밴드가 걸림 구속되는 결찰홈이 상기 부착패드부의 타단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보강리브의 타단부는 상기 결찰홈의 외면측 테두리의 타측으로 돌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According to claim 1,
A ligation groove is formed concavely on the other end of the attachment pad section, into which an elastic band that wraps and secures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section is caught and restrained to press and restrain the exposed ends of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groove section,
A digital bracket for orthodontic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rib protrudes and extends to the other side of the outer edge of the ligation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돌출부는 상기 부착패드부의 외면 중앙부로부터 상기 체결홈부의 외측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삼방향으로 분지되어 연장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외곽 테두리의 단면형상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부의 개구측 중앙부에는 상호 마주보게 함몰된 확장개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ing protrusion extends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portion in three predetermined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portion,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uter edge is round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smaller as it goes outward,
A digital bracket for orthodontics, characterized in that an expanded opening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opening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to face each other.
KR1020210096860A 2021-07-23 2021-07-23 orthodontic digital bracket KR1026191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860A KR102619130B1 (en) 2021-07-23 2021-07-23 orthodontic digital bracket
PCT/KR2021/014073 WO2023003080A1 (en) 2021-07-23 2021-10-13 Orthodontic digital br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860A KR102619130B1 (en) 2021-07-23 2021-07-23 orthodontic digital brack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573A KR20230015573A (en) 2023-01-31
KR102619130B1 true KR102619130B1 (en) 2023-12-29

Family

ID=85109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860A KR102619130B1 (en) 2021-07-23 2021-07-23 orthodontic digital bra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13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5919A (en) 2004-03-08 2005-09-15 Shigetaka Suzuki Bracket for orthodontic correction of dentition
KR101913834B1 (en) 2017-04-26 2018-10-31 주식회사 디오 digital orthodontic system
KR102209805B1 (en) 2019-09-09 2021-01-29 주식회사 디오 orthodontic digital turbo bracke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058Y1 (en) 2001-12-07 2002-03-20 배성민 Orthodontic device using multiple hooks
KR101999378B1 (en) * 2017-10-27 2019-07-11 주식회사 디오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5919A (en) 2004-03-08 2005-09-15 Shigetaka Suzuki Bracket for orthodontic correction of dentition
KR101913834B1 (en) 2017-04-26 2018-10-31 주식회사 디오 digital orthodontic system
KR102209805B1 (en) 2019-09-09 2021-01-29 주식회사 디오 orthodontic digital turbo bra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573A (en)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9470A (en) Tongue thrust oral habit retrainer
US7234934B2 (en) Computer configured appliance for orthodontic correction of malocclusions
EP3586791B1 (en)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EP0548473B1 (en) Orthodontic device for expansion of arches with imbedded wire
JP2018526035A (en) Digital bracket for orthodontics using digital libra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134873B2 (en) Orthodontic wire ligating member
CN113747854A (en) Indirect tray system
US20060046224A1 (en) Molar appliance for an orthodontic brace
WO1996041584A1 (en) Orthopedic incline appliance and method
KR101999378B1 (en)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KR102209805B1 (en) orthodontic digital turbo bracket
KR20180103761A (en) Jig integrated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21526392A (en) Orthodontic bracket
US8651857B2 (en) Dental appliance
KR102002148B1 (en) wire fixing bracket for orthodontics
EP3348225B1 (en) Orthodontic apparatus
KR102619130B1 (en) orthodontic digital bracket
KR101883943B1 (en) orthodontic digital bracket
KR102597281B1 (en) orthodontic digital bracket
KR101894039B1 (en) wire coupling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
WO2022074702A1 (en) Orthodontic mouthpiece and orthodontic means using mouthpiece
KR19990022757A (en) Tongue Relief Oral Habits Training Device
US20060068357A1 (en) Metal dental impression tray
KR102101870B1 (en)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KR102181712B1 (en) wire fixing bracket for orthodon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