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378B1 -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378B1
KR101999378B1 KR1020170141065A KR20170141065A KR101999378B1 KR 101999378 B1 KR101999378 B1 KR 101999378B1 KR 1020170141065 A KR1020170141065 A KR 1020170141065A KR 20170141065 A KR20170141065 A KR 20170141065A KR 101999378 B1 KR101999378 B1 KR 101999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ing
traction
tooth
orthodontic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0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7325A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배기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70141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378B1/en
Publication of KR2019004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3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3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1Brackets with reinforcing structure, e.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전치측의 교정대상 치아를 구강의 후방측으로 견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정대상 치아의 표면에 고정되는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의 외면에 돌출되되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제2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교정용 브라켓; 및 구강 내부에 고정되는 견인 고정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교정대상 치아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1견인방향에 대하여 견인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제2베이스부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견인캡부를 포함하는 치열 교정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pull the tooth to be corrected on the anterior side toward the back side of the oral cavit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base portion fix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o be aligned, A calibration bracket including a second base portion having a groove formed therein; And a traction cap portion connected to the traction fastening means fixed to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so as to be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second base portion so as to transmit a traction force in a first traction direction in which the subject tooth is moved backward, Lt; / RTI >

Description

치열 교정장치{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Apparatus for orthodontic treatment

본 발명은 치열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치측의 교정대상 치아를 구강의 후방측으로 견인하기 위한 치열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thodontic appliance for pulling a tooth to be orthodontic to the anterior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oral cavity.

일반적으로 교합이란 입을 다물었을 때 상악 및 하악의 치아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부정교합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 상기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상하악의 맞물림 상태가 정상의 위치를 벗어나서 기능적, 심미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정확한 교합관계를 의미한다.Generally, occlus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ir mouths are closed. Malocclusion refers to an inaccurate occlusal relationship in which the tooth arrangement is not aligned due to a certain cause, or the engagement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is out of the normal position, resulting in functional and aesthetic problems.

여기서, 상기 부정교합의 원인은 유전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아의 모양이나 크기의 문제, 환경적 영향, 좋지 않은 습관, 잘못된 자세 및 치아우식증과 같은 선천성 장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Here, the cause of the malocclusion is known to have a large genetic influence, but it can be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the shape and size of teeth, environmental effects, bad habits, wrong postures, and congenital disorders such as dental caries.

한편, 부정교합이 발생하면, 치열이 가지런하지 않아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기 쉽다. 또한, 정확한 칫솔질로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구강 내 치태가 증가하게 되어 치아우식증이나 잇몸 염증 등 잇몸 질환으로 진행되기 쉽다. 더욱이, 정상치열에서 많이 벗어난 치아가 있거나 턱의 위치가 비정상이라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치아 파절 등 치아에 손상이 가해질 가능성도 크다.On the other hand, if malocclusion occurs, dentition is likely to remain between the teeth because the teeth are not aligned. In addition, since it is not easy to manage cleanly with accurate brushing, it is easy to progress to gum disease such as dental caries or inflammation of the gums due to an increase in the plaque in the oral cavity. Furthermore, if there is a tooth that deviates much from the normal dentition or if the position of the jaw is abnormal,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tooth may be damaged, such as tooth fracture,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이에, 상기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해 치열 교정치료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치열 교정치료는 치아가 외력을 받으면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한다.Thus, an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to treat the malocclusion. Here, the orthodontic treatment utilizes a property that a tooth moves when receiving an external force.

상세히, 치열 교정치료는 원인이나 치료 시기에 따라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한다. 예컨대, 위아래 턱뼈의 발육을 억제 또는 증진시키는 장치나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서서히 이동시키는 장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구강 내에 설치 및 분리 가능한 가철성 장치와 치아에 부착 후 치료가 끝날 때 떼어내는 고정식 장치로 나뉠 수도 있다.In detail, orthodontic treatment uses various devices and methods depending on cause and treatment timing. For example, it can be classified into a device for suppressing or enhancing the development of the jawbone, or a device for gradually moving the tooth to a desired position. It can also be divided into a removable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and removed in the oral cavity, and a fixed device that attaches to the tooth and removes it at the end of treatment.

한편,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브라켓이라는 장치를 치아에 부착하고 교정용 철사 내지 고무줄 등의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해 치아를 이동시키는 고정식 치료법으로, 다양한 종류의 치열 교정치료에 흔히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st widely used type is a fixed treatment method in which a device called a bracket is attached to a tooth and a tooth is moved by the tension of a wire such as an orthodontic wire or an elastic band, and can be used in various kinds of orthodontic treatment.

상세히, 상기 브라켓은 교정대상 치아의 표면에 각각 견고하게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교정대상 치아를 서서히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그 위치 및 자세가 변경되고 치아가 조금씩 이동하면서 치열 교정치료가 이루어진다.In detail, the brackets are each firm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o be aligned, and the wires are fixed to interconnect the brackets. In addition, by regulat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the direction and size of the force applied to the wire can be variously adjusted to gradually move the tooth to be aligned. Accordingly,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while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tooth to be aligned is changed by the tension of the wire and the tooth moves little by little.

그러나, 종래의 치열 교정치료는 치과 의사와 같은 시술자의 경험에 의해 수행됨에 따라, 시술자 자신도 정확한 확신 없이 환자의 치아와 결속된 와이어를 직접 당기거나 풀어주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치열을 미세조절하게 된다. 이는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바람직한 치열구조로 조절되므로 시술시간이 증가되고 피시술자의 불편함 및 고통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by the experience of a practitioner such as a dentist, the practitioner himself can finely adjust the dentition by repeating the process of pulling or releasing the wire tied to the patient's tooth without any certainty . This is because it is regulated to the desired dental structure through repeated trial and error, which increases the procedure time and increases the inconvenience and suffering of the patient.

또한, 종래의 치열 교정치료는 시술자의 역량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객관적이지 못하며, 피시술자는 시술자의 경험 및 능력에 전적으로 의지해야 하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바람직한 치열상태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orthodontic treatment depends on the competence of the practitioner so that it is not objective and the physician has to fully rely on the experience and ability of the practitioner, so that it is difficult to universally implement the desired dental condition.

더욱이, 상기 시술자의 경험과 지식은 구체적인 자료로 기록이 어려운 정성적인 데이터이며, 시술자 개개인의 능력과 경험에 따라 상이하다. 이로 인해, 교정의 최종목적이 되는 바람직한 치열모델 자체도 시술을 수행하는 시술자의 주관적 관점 또는 경험에 의해 형성된 것이어서 치열 교정결과가 보편적이고 객관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Moreover,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he practitioner are qualitative data that is difficult to record as concrete data, and it differs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ability and experience. As a result, the desired dental model itself, which is the end goal of the correction, is formed by the subjective viewpoint or experience of the practitioner performing the procedure, and the result of orthodontic correction is not universal and objective.

한편, 치열 교정치료 중 비정상적으로 전방 돌출된 전치부의 치아를 설측, 예컨대 구개측으로 이동시키는 교정을 설측 견인이라 한다. 이러한 설측 견인은 양측 소구치를 발치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측으로 돌출된 전치를 후방이동시키면서 바람직한 치열상태로 교정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rrection to move the teeth of the anterior portion protruding abnormally during the orthodontic treatment to the lingual side, for example, the palatal side, is referred to as lingual pulling. Such lingual traction is performed by extracting both premolar teeth to form a space, and to correct the dentition to a desired dentition while moving the protruding protrusion toward the space side.

이때, 종래의 설측 견인은 각 치아에 부착된 브라켓에 장력을 제공하는 상기 와이어에 구개측으로의 견인력이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상기 와이어가 단선되거나 초기 설정된 장력위치가 변경되어 교정대상 치아의 뒤틀림 또는 기울어짐이 발생하는 등 바람직한 치열교정이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in the conventional lingual pulling, pulling force to the palatal side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wire which provides tension to the bracket attached to each tooth.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eferred orthodontic correction can not be performed because the wire is cut or the initial tension position is changed to cause a distortion or inclination of the tooth to be aligned.

또한, 견인력에 의한 와이어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상기 와이어와 상기 브라켓을 고강도의 접착제 등을 이용해 실질적으로 고정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위치수정 또는 단선된 와이어를 교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 고강도의 접착제 및 와이어를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제거하기 어려워 새로운 브라켓을 상기 치아에 재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place the wire or replace the broken wire by fixing the wire and the bracket substantially by using a high-strength adhesive or the like so as to prevent the wire from being separated by the pulling force. 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high-strength adhesive and the wire from the bracket, it is troublesome to reattach a new bracket to the tooth.

더욱이, 와이어의 변형 및 단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방으로 견인되는 힘을 약하게 조절하는 경우 상기 공간측으로 전치가 견인되는 기간이 현저히 증가함으로 인해 환자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전치가 후방으로 견인되는 견인력이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위치에 제한적으로 전달됨으로 인하여 치열의 기울어짐이나 수직위치의 불균형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when the rearward pulling force is weakly adjusted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wi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convenience of the patient is increased because the period of pulling the transposition to the space side is remarkably increased.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tractive force of pulling back the anterior teeth is limitedly transmitted to the position where the wires are engaged, resulting in unevenness of the dentition or vertical position.

한국 등록특허 제10-0991447호Korean Patent No. 10-099144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치측의 교정대상 치아를 구강의 후방측으로 견인하기 위한 치열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orthodontic correction for pulling a tooth to be orthodontic on the anterior side to the posterior side of the oral cavity.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정대상 치아의 표면에 고정되는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의 외면에 돌출되되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제2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교정용 브라켓; 및 구강 내부에 고정되는 견인 고정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교정대상 치아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1견인방향에 대하여 견인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제2베이스부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견인캡부를 포함하되, 상기 교정용 브라켓에는 상기 제1베이스부와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제2베이스부의 단면적보다 좁게 형성되어 단차진 외주 테두리를 따라 걸림홈이 형성된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견인캡부에는 상기 제2베이스부의 외면이 커버되도록 삽입되는 수용홈부의 테두리를 따라 돌설되어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되 전단부에 상기 제2베이스부의 전단부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돌출부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oth for a tooth to be aligned, comprising: a first base portion fixed to a surface of a tooth to be aligned; a second base portion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ortion, An orthodontic bracket included; And a traction cap portion connected to the traction fixing means fixed to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and selectively secured to the second base portion so that a traction force is transmitted in a first traction direction in which the to-be-corrected tooth is moved backward, Wherein the second base portion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base portion and has a connecting portion formed to be narrower than a cross sectional area of the second base portion and formed with a latching groove along a stepped peripheral edge, And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along the rim of the receiving groove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and having the front end of the second base part fixed to the front end thereof.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견인캡부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의 외측을 소정의 면적으로 감싸 고정된 상태로 구강 후방측으로 견인됨으로써 치아 전체에 견인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되므로 교정대상 치아의 기울어짐 또는 뒤틀림 없이 신속하게 후방 이동될 수 있어 치열 교정치료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First, since the traction cap is pull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oral cavity with the outside of the orthodontic bracket wrapped around the orthodontic bracket in a predetermined area, the traction force is stably transmitted to the entire tooth, so that the subject can be quickly moved backward without tilting or twisting The reliability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improved.

둘째, 와이어의 결합홈이 일체로 형성된 교정용 브라켓으로부터 상기 견인캡부를 분리하기만 하면 각 치아의 개별교정을 위한 와이어를 용이하게 체결/분리 및 위치를 수정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후방견인수단을 구강으로부터 분리한 후 와이어 체결이 가능한 브라켓으로 교체 설치하던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교정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Secondly, the wire for individual calibration of each tooth can be easily fastened / detached and its position can be modified simply by separating the pulling cap portion from the orthodontic bracket where the coupling grooves of the wire are formed integrally. Therefore, conventionally, The disassembly and installation of the bracket can be completed and the convenience of calibration can be improved.

셋째, 상기 견인캡부 및 교정용 브라켓의 각 전단부가 걸림 고정되어 견인력을 통한 상호간의 결합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치아를 동시에 후방견인할 수 있도록 하나의 견인조립체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견인캡부 및 교정용 브라켓의 각 슬라이드 결합방향이 평행하게 형성되므로 한번의 조작으로 상기 견인조립체를 한꺼번에 결합 및 견인할 수 있어 설치편의성 및 교정신속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ird,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traction cap portion and the orthodontic bracket are engaged and fixed so that the mutually engaged state can be more firmly supported through the traction force. In addition, when the traction cap is provided as one traction assembly for simultaneously pulling the plurality of teeth backward Since the pulling cap assemblies and the orthodontic brackets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sliding, the pulling assembly can be combined and pulled at a time by one operation, so that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quickness of calibration can be remarkably improved.

넷째, 상기 치열 교정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 및 구개측으로 이어지는 프로파일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므로 구강 내 컴팩트하게 설치되어 이물감 및 이로 인한 교정대상자의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Fourthly, since the overall shape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profile leading to the tooth to be calibrated and the palatal side, it can be compactly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to minimize the foreign body sensation and the discomfort of the subject to be corrected.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가 교정대상 치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의 결합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5a 및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에 의한 치열 교정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FIG. 1A and FIG. 1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cross-sectional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tooth to be calibrated; FIG.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of combining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C are views illustrating an orthodontic process performed by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가 교정대상 치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의 결합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tooth to be calibrated And FIG.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ombin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100)는 교정용 브라켓(10)과 견인캡부(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1A to 3, the orthodontic applian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libration bracket 10 and a traction cap 2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는 특히 전치측의 치아에 발생하는 부정교합 중 전방으로 돌출된 부정교합의 치열 교정치료시 사용될 수 있으며, 교정대상 치아를 구강의 후방 즉, 설근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치열 교정장치를 이용한 치열 교정치료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를 포함하는 대상치아부(도 5a의 T)의 양측 소구치를 발치하여 발치공간(도 5a의 5)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발치공간(도 5a의 5)이 폐쇄되도록 상기 대상치아부(도 5a의 T)를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치열 교정장치(100,도 5a의 200)가 설치되어 상기 교정대상 치아(도 5a의 t1) 또는 상기 대상치아부(도 5a의 T)의 후방이동을 견인할 수 있다.Meanwhile,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orthodontic treatment of malocclusion protruding forward during malocclusion particularly in the anterior teeth, and it is possible to move the orthodontic tooth to the back of the oral cavity, that is,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orthodontic treatment us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extracts bilateral premolars of the target tooth portion (T in Fig. 5A) including the tooth to be corrected to form an extraction space (5 in Fig. 5A). 5A) to move the target tooth portion (T in Fig. 5A) so that the extraction space (5 in Fig. 5A) is closed, and the orthodontic appliance 100 Or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target tooth portion (T in Fig. 5A).

여기서, 상기 대상치아부(도 5a의 T)는 치열 교정치료가 실질적으로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정대상 치아(t1)를 포함하는 부정교합 치열영역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대상치아부(도 5a의 T)는 구강 내부에서 부정교합 치열이 주로 발생하는 전치측 6개소의 치아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되는 고정치아(도 5a의 2)는 구치측 2~3개소의 치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후술되는 견인 고정수단(도 5a의 240)이 고정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arget tooth portion (T in FIG. 5A) is understood to be a malocclusion dental area including at least one tooth t1 to be orthodontically practically required. That is, the target tooth portion (T in FIG. 5A) may include all or a part of teeth of six premolars on which malocclusive dentition mainly occurs in the oral cavity. The fixed teeth (2 in FIG. 5A) to be described later are preferably understood to be teeth at two to three positions on the molar side, and the pull fixing means (240 in FIG. 5A) described later can be fixed.

도 1a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100)는 교정용 브라켓(10)과 견인캡부(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1A to 3, the orthodontic applian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libration bracket 10 and a traction cap 20.

여기서,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은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결합된다. Here, the orthodontic bracket 10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orthodontic tooth t1, and a wire is attached to provide a tension for adjusting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tooth to be orthodontic t1.

상세히,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은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표면에 고정되는 제1베이스부(11)와, 상기 제1베이스부(11)의 외면(11a)에 돌출되되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홈(14)이 형성된 제2베이스부(12)를 포함한다. The orthodontic bracket 10 includes a first base portion 11 fix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o be aligned t1 and a second base portion 11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11a of the first base portion 11, And a second base portion 12 having an engaging groove 14 formed therein.

이때, 상기 제1베이스부(11)의 내면은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표면 프로파일에 형합되는 형합면(11b)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치아마다 상이한 표면 프로파일에 따라 개별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형합면(11b)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특정한 표면 프로파일에 형합되어 바람직한 위치에 정렬 고정됨으로써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정확하게 전달되므로 치열 교정치료의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형합면(11b)에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치열 교정장치(100)에 가해지는 견인력 및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치아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접착력을 갖는 치과용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t1)로부터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이 분리됨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치열 교정치료가 수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art 11 may be formed as a mold surface 11b which is matched with the surface profile of the tooth to be calibrated t1, and may be individually designed according to a different surface profile for each tooth . Accordingly, since the mold surface 11b is aligned and fixed at a desired position in accordance with a specific surface profile of the tooth to be aligned t1, the tension of the wire is accurately transmitt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remarkably improved. The mold surface 11b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force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tooth surface due to the pulling force applied to the orthodontic appliance 100 and the tensile force of the wire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o be aligned t1 A dental adhesive can be applied. Therefore, the orthodontic bracket 1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ooth to be orthodonticized (t1), so that stable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performed.

여기서, 상기 제1베이스부(11)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설측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형합면(11b)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설측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이스부(11)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설측면을 일정 면적으로 감쌀 수 있는 단면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치열 교정장치의 견인력 및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을 통하여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전체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치열 교정과정에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기울어짐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base portion 11 may be designed so that the mold surface 11b corresponds to the tongue profile of the tooth to be calibrated so as to be attached to the tongue side of the tooth to be calibrated t1. The first base 11 may have a cross-sectional area that can cover a surface of the tooth to be calibrated t1 by a predetermined area. Accordingly, as the traction force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and the tension of the wire are transmitted to the orthodontic tooth t1 as a whole through the orthodontic bracket 10, the inclination of the orthodontic tooth t1 during the orthodontic treatment The same problem can be avoided.

그리고, 상기 제2베이스부(12)는 상기 제1베이스부(11)의 외면(11a) 외측으로 돌출되되 외면측에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홈(1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14)은 상기 제2베이스부(12)의 횡방향으로 관통되되 전후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다단으로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의 설계 과정에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부정교합 정도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정밀하게 전달되도록 상기 결합홀(14)의 개구위치 및 개구방향이 개별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베이스부(12)는 구강 내 돌출된 상태에서 이물감이 최소화되고, 상기 견인캡부(20)가 결합된 상태의 전체적인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제1베이스부(11)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base portion 12 may be formed with an engagement groove 14 protruding outside the outer surface 11a of the first base portion 11 and having an outer surface coupled with the wire. Here, the engaging groove 14 may ext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econd base portion 12 and may open at least one or more ends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In addition, in the designing process of the orthodontic bracket 10, the opening position an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oupling hole 14 are individually adjusted so that the tension of the wire is accurately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locclusion of the tooth t1 to be aligned Can be designed. The second base portion 12 has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first base portion 11 so that the overall volume of the second base portion 12 when the pull cap 20 is engaged is minimized, .

더불어, 상기 제1베이스부(11)와 상기 제2베이스부(1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3)는 상기 제2베이스부(12)의 단면적보다 좁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베이스부(12)와 단차지게 형성되며, 단차진 외주 테두리에 걸림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은 횡단면이 상기 제2베이스부(12)가 상기 제1베이스부(11)보다 좁은 'H'형상으로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onnecting portion 13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base portion 11 and the second base portion 12 is provided. The connecting portion 13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base portion 12 so as to be stepp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ase portion 12, and the latching groove 15 is formed on the stepped peripheral edge . That is, the orthodontic bracket 1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a cross-sectional shape such that the second base portion 12 is narrower than the first base portion 11 in an 'H' shape.

한편, 상기 견인캡부(20)는 상기 제2베이스부(12)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교정대상 치아(t1)가 구강 내 후방으로 견인되는 제1견인방향(f1)에 대하여 견인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제2베이스부(12)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된다. 이러한 견인캡부(20)는 구강 내부에 고정되는 견인 고정수단(도 5a의 240)에 연결되어 상기 제1견인방향(f1)으로의 견인력이 전달될 수 있다.The pull cap portion 20 is provided to cover the second base portion 12 so that the pulling force is transmitted in the first pulling direction f1 in which the to-be-corrected tooth t1 is pulled backward in the oral cavity And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second base portion 12. This traction cap 20 can be connected to a traction fastening means (240 in FIG. 5A) that is secured within the oral cavity and is capable of delivering traction in the first traction direction f1.

상세히, 상기 견인캡부(20)는 내면측이 개구되어 상기 제2베이스부(12)의 외면을 커버하는 수용홈부(21)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부(21)의 테두리를 따라 걸림돌출부(23)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돌출부(23)가 상기 걸림홈(15)에 걸림 고정됨에 따라 상기 견인캡부(20)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detail, the pull cap 20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21 having an inner surface opened and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12, and a hooking protrusion 23 Is preferable. That is, as the latching protrusion 23 is engaged with the latching groove 15, the pulling cap 20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10.

여기서, 상기 수용홈부(21)는 후면으로 개구되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상기 걸림돌출부(23)가 돌설된 슬롯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견인캡부(20)는 상기 수용홈부(21)의 개구부(23a)측이 상기 제2베이스부(12)의 전단부측에 배치되되 상기 견인캡부(2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용홈부(21)에 상기 제2베이스부(12)가 삽입될 수 있다.Here, the receiving groove 21 may be formed as a slot having an opening on the rear surface and protruding from the engaging projection 23 along both sides. Therefore, the pull cap portion 20 is formed such that the opening 23a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21 is dispos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second base portion 12 while the pull cap portion 20 is moved rearward, The second base portion 12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base portion 21.

이때, 상기 수용홈부(21)의 횡방향 간격(w3)은 상기 제2베이스부(12)의 횡방향 폭(w5)에 대응되며, 상기 걸림돌출부(23) 사이의 이격 간격(w2)은 상기 연결부(13)의 횡방향 폭(w1)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horizontal distance w3 of the receiving groove 21 corresponds to the transverse width w5 of the second base 12 and the spacing w2 between the engaging protrusions 23 corresponds to the width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transverse width (w1) of the connecting portion (13).

따라서, 상기 견인캡부(20)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걸림돌출부(23)가 상기 걸림홈(15)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13)와 단차진 상기 제2베이스부(12)의 내면에 걸림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견인캡부(20)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전달되는 견인력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전달됨에 따라 구강 내 후방으로의 견인 이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ull cap 20 is mov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orthodontic bracket 10, the engaging protrusion 23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15, And can be engag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portion 12. Accordingly, as the pulling force transmit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pulling direction f1 in the state where the pulling cap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10 is transmitted to the tooth to be aligned t1, Can be stably carried out.

더욱이, 상기 걸림돌출부(23)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2베이스부(12)의 전단부가 걸림 고정되는 전단걸림부(23b)가 상기 개구부(23a)측으로 돌설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베이스부(12)의 전단부가 상기 전단걸림부(23b)에 걸림 고정된 상태가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는 견인력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구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교정용 브라켓(10) 및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상기 제1견인방향으로의 견인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되며,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교정기간 중 상기 교정용 브라켓(10)과 상기 견인캡부(20)가 상호 분리됨 없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end of the latching protrusion 23 may be provided with a front end stop 23b to which the front end of the second base portion 12 is fixed. Therefore, the state in which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econd base portion 12 is engaged with the front end stop portion 23b can be more firmly restrained by the pull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ulling direction f1. In this way, the pulling force in the first pulling direction is stably transmitt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10 and the tooth to be aligned t1, and the orthodontic bracket 10, The pull cap portion 20 can be firmly coupl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더불어, 상기 견인캡부(20)의 외면측 전단부(20b)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부착된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에 상기 견인캡부(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견인캡부(20)의 라운드진 외면측 전단부(20b)와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단부가 단차지지 않고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urface side front end portion 20b of the pull cap portion 20 is rounded. 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traction cap 20 is coupl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10 attached to the tooth to be aligned t1, the rounded outer surface side front end portion 20b of the traction cap portion 20, The end of the tooth t1 to be aligned can b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continuous profile without stepping.

또한, 상기 견인캡부(20)의 후면(20d)은 내면측으로부터 외면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견인캡부(20)의 경사진 후면(20d)은 상기 교정대상 치아(t1)가 구개(3)측으로 이어지는 잇몸부의 프로파일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므로, 상기 치열 교정장치(100)가 구강 내 컴팩트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치열 교정장치(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저작 또는 교합시 구강 내 조직과의 간섭 및 이로 인한 이물감이 최소화되므로 치열 교정치료 중 교정대상자의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surface 20d of the pull cap portion 20 extends obliquely rearward from the inner surface side toward the outer surface side. Therefore, the inclined rear surface 20d of the pull cap portion 20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profile of the gingival portion of the tooth to be calibrated t1 leading to the palate 3 side, so that the orthodontic appliance 100 is compact in the oral cavity . Accordingly, since the interference with the intraoral tissue during the mastication or occlusion in the state where the orthodontic appliance 100 is installed, and the foreign object due to the interference are minimized, the inconvenience of the subject to be corrected during the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minimized.

한편, 상기 걸림돌출부(23)와 상기 걸림홈(15)의 슬라이드 결합방향(f3)은 상기 제1견인방향(f1)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liding direction f3 of the engaging projection 23 and the engaging groove 15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pulling direction f1.

상세히, 상기 제1베이스부(11)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치과용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적이 확보되도록,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설측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상기 형합면(11b)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웃하는 교정대상 치아(t1)에 각각 부착되는 상기 제1베이스부(11)의 단면적, 부착방향 및 상기 형합면(11b) 형상은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base portion 1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ingual side profile of the tooth to be aligned t1 so as to secure an attachment area that can be attached by the dental adhesive to the to- A mating face 11b is formed. Therefore, the cross-sectional area, the attachment direction, and the shape of the mold-assembled surface 11b of the first base portion 11, which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adjacent teeth to be aligned t1, can be designed differently.

이때, 상기 제2베이스부(12)는 상기 제1베이스부(11)의 부착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홈(15) 역시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베이스부(12) 및 상기 연결부(13)의 횡단면과 상기 수용홈부(21) 및 상기 걸림돌출부(23)의 횡단면이 상호 대응되므로, 상기 걸림돌출부(23)와 상기 걸림홈(15)의 슬라이드 결합방향(f3)이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base portion 12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ulling direction f1 irrespective of the attachment direction of the first base portion 11, And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ction direction f1. Since the transverse sections of the second base portion 12 and the connecting portion 13 correspond to the transverse surfaces of the receiving groove 21 and the latching protrusion 23, the latching protrusion 23 and the latching groove 23 15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pulling direction f1.

따라서, 상호 이웃하는 교정대상 치아(t1)에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이 개별 부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견인캡부(20)의 슬라이드 결합방향(f3)은 실질적으로 상호평행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각 배열위치 및 각도가 상이하더라도 구강 내 후방측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견인될 수 있으며, 견인 과정에서의 각 치아의 기울어짐 또는 뒤틀림이 방지되어 치열 교정치료의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orthodontic bracket 10 is separately attached to the mutually adjacent tooth to be aligned t1, the sliding engagement direction f3 of the traction cap portion 20 can be set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ccordingly, even if the positions and angles of the teeth (t1) to be aligned are different, they can be stably trained in the same direction to the back side of the oral cavity, and the tilting or twisting of the teeth in the traction process is prevented,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에 상기 결합홈(14)이 형성된 제2베이스부(12)가 일체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견인캡부(20)를 분리하기만 하면 각 치아의 개별교정을 위한 와이어를 용이하게 체결/분리 및 위치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후방견인수단을 구강으로부터 분리한 후 와이어 체결이 가능한 브라켓으로 교체 설치하던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교정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Even if the second base portion 12 having the coupling groove 14 formed therein is integrally formed in the orthodontic bracket 10, the wire for individual calibration of each tooth can be separated Can be easily fastened / detached and the position can be modified. Therefore, the convenience of calibration can be improved by eliminating the hassle of replacing the rear pulling means with the bracket capable of wire fastening after separating the rear pulling means from the oral cavity in the past.

한편, 상기 견인캡부(20)에는 상기 제1견인방향(f1)과 대응되도록 후측으로 연장되어 견인력을 전달하는 견인테일부(2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견인테일부(22)는 상기 견인캡부(20)의 외면(20a)과 기설정된 둔각(d)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견인캡부(20)의 경사진 후면(20d)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t1)가 구개(3)측으로 이어지는 잇몸부의 프로파일에 최대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연장되므로, 상기 치열 교정장치(100)가 구강 내 더욱 컴팩트하게 설치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ull cap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pull tab portion 22 which extends to the rear side to correspond to the first pull direction f1 and transmits the pulling force. At this time, the pull tab part 22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obtuse angle (d) with the outer surface 20a of the pull cap part 20 so that the pull tab part 22 is substantially continuous with the inclined rear face 20d of the pull cap part 20 Lt; / RTI > profile. Therefore, the orthodontic appliance 100 can be installed more compactly in the oral cavity since the orthodontic tooth t1 is extended so as to be locat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profile of the gingival portion leading to the palate 3 side.

또한, 상기 견인테일부(22)의 일단부(22a)는 상기 견인캡부(20)의 후단부측 외면 면적과 소정의 중첩간격(w4)으로 중첩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첩간격(w4)은 상기 견인캡부(20)의 후단부측 면적에 대하여 30~40%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견인방향(f1)으로 가해지는 견인력이 상기 견인캡부(20)에 전체적으로 전달되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가 안정적으로 견인되면서도, 상기 견인력에 의해 상기 견인테일부(22)가 상기 견인캡부(20)로부터 파단됨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견인테일부(22)가 상기 견인캡부(20)의 외면(20a)과 둔각(d)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견인테일부(22)가 과도하게 두꺼워지지 않더라도 상기 중첩간격(w4)을 확보할 수 있어 구강 내 이물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The one end 22a of the pull tab 22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side of the pull cap 20 by a predetermined overlap distance w4. More preferably, the overlapping interval w4 may be set in the range of 30 to 40% with respect to the area of the trailing end side of the traction cap portion 20. [ Accordingly, the pulling force applied in the first pulling direction f1 is entirely transmitted to the pulling cap portion 20 so that the pulling face portion 22 can be pulled by the pulling force even when the tooth to be aligned t1 is stably pulled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from the pull cap portion 20. Further, since the pull tab part 22 extends at an obtuse angle d with the outer surface 20a of the pull cap part 20, the overlapping interval w4 can be ensured even if the pull tab part 22 is not excessively thickened. The foreign body sensation in the oral cavity can be minimiz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a 및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에 의한 치열 교정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A and 5C are views illustrating an orthodontic procedure performed by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는 전치측에 복수개로 존재하며, 상기 교정용 브라켓(10)과 상기 견인캡부(220)는 상기 복수개의 교정대상 치아(t1)에 대응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치열 교정장치(200)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교정대상 치아(t1)를 포함하는 대상치아부(T)를 전체적으로 동시에 후방으로 견인할 수 있다.4 to 5C, a plurality of teeth to be aligned t1 are present on the anterior side and the orthodontic bracket 10 and the traction cap unit 220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eeth to be aligned t1,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subject tooth portion T including the plurality of to-be-corrected teeth t1 can be pulled back at the same time as a whole us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200. [

여기서, 상기 치열 교정장치(200)는 상기 복수개의 견인캡부(220)를 일체로 연결하는 견인조인트부(230)가 더 구비된 견인조립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견인조립체라 함은 상기 복수개의 교정용 브라켓(10)과 상기 복수개의 견인캡부(220),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견인캡부(220)를 일체로 연결하는 상기 견인조인트부(230)가 하나의 세트로 구비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견인조립체의 양측에는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연장된 견인가이드바(23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orthodontic appliance 200 may be provided with a traction assembly that further includes a pull joint 230 that integrally connects the plurality of pull caps 220. The traction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10, a plurality of traction cap portions 220, and a traction joint portion 230 integr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raction cap portions 220. As shown in FIG. On both sides of the traction assembly, a traction guide bar 232 extending rearward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ction direction f1 is preferably provided.

상세히, 상기 견인조인트부(230)는 상기 복수개의 견인캡부(220)를 상기 대상치아부(T)의 치열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도록 연결하는 고정부(231)를 포함한다.그리고, 상기 제1견인방향(f1)으로의 견인력이 상기 고정부(231)를 통해 연결된 상기 복수개의 견인캡부(220)에 동시에 전달되도록 후방이동되는 상기 견인가이드바(232)가 구비된다. 즉, 상기 견인조립체의 양측에 상기 견인가이드바(232)가 구비된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견인조인트부(230)의 양측에 상기 견인가이드바(232)가 구비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pull joint 230 includes a fixing portion 231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ull cap portions 220 so as to b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tooth positions of the target tooth portion T. [ And the pull guide bar 232 is moved backward so that the pulling force in the pulling direction f1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pulling cap portions 220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231. [ That is, the pulling guide bar 23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ulling assemb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ulling guide bar 23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ulling joint 230.

이때, 상기 견인가이드바(232)는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연장되되, 상기 견인조립체의 양측 최외단에 구비되는 견인캡부(220)로부터 구개정준선의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링크부(232a)를 통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견인가이드바(232)가 구강 내 구치부 및 상기 구치부측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41)을 회피하여 구개측의 상대적으로 넓은 설근측 공간으로 연장되므로 설치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ulling guide bar 232 extends in the first pulling direction f1, and extends from the pulling cap part 220 provided at the outermost ends of the pulling assembly to both sides of the pulling guide bar 232, And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hrough the extension link portion 232a of the second link portion 232a. Therefore, since the pulling guide bar 232 prevents the fixing bracket 241 fixed to the mouth portion and the mouth portion of the mouth, it can be extended to a relatively wide space on the palate side, thereby improving installation convenience.

또한, 상기 견인가이드바(232)의 후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견인력에 의해 상기 견인가이드바의(232)의 후단부가 상기 설근측으로 인접하게 이동되더라도 구개측 조직에 접촉 또는 가압되어 통증 및 이물감이 발생함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견인가이드바(232)는 전단부측이 구강 내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조가 아닌, 후단부측이 구강 내 후방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견인 고정수단(240)에 관통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상치아부(T)가 구강 내 후방으로 전체적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견인가이드바(232)의 전단부가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의 설측면에 접촉되어 후방이동이 제한되거나 간섭됨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iling end of the pulling guide bar 232 is rounded. Accordingly, even if the trailing end of the pull guide bar 232 is moved adjacent to the sallow side by the pulling fo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ain and a foreign body from being generated due to contact or pressure on the palate side tissue. Further, the pulling guide bar 232 may be connected to the pulling fastening means 240 so that the rear end side of the pulling guide bar 232 is moved toward the back side of the mouth, rather than the front side of the pulling guide bar 232 being slid forward. Accordingly, in the course of the entire movement of the target tooth portion T in the oral cavity backward, the front end of the pulling guide bar 23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ngue side of the to-be-corrected tooth t1 to prevent the backward movement from being limited or interfered can do.

그리고, 상기 견인가이드바(232)는 상기 한쌍의 연장링크부(232a)가 경사지게 연장되어 구개정준선에 대응하는 교차지점으로부터 후방으로 하나로 연장될 수도 있으나, 상기 교정대상 치아(t1)가 동시에 안정적으로 후방이동되어 견인되도록 한쌍으로 대칭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pair of extension link portions 232a of the pulling guide bar 232 may extend obliquely to extend backward from the intersection corresponding to the spherical rectilinear line, the teeth to be aligned t1 may be stable So as to be pulled backward.

또한, 상기 고정부(231)는 양단부가 상호 이웃하는 상기 견인캡부(220)의 후단부측에 연결되되 중앙부가 상기 견인가이드부(232)의 후단부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호 이웃하는 교정대상 치아 사이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의 치간사이가 차폐되는 영역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치열 교정치료 기간 중 치실 등을 이용한 구강 내 위생작업이 용이하다. 더욱이, 상기 고정부(231)가 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면서 양단부가 상기 제1견인방향(f1)과 근접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으므로 후방으로의 견인력이 각 견인캡부(220)에 더욱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The fixing part 231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side of the pull cap part 220 which is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231. The center part of the fixing part 231 is rounded toward the rear end side of the pull guide part 232, And can be spaced apart from between the teeth. Therefore, the region where the interdental spaces between the teeth to be aligned can be minimized, and the intraoral oral hygiene work using the dental floss is easy during the orthodontic treatment period. Further, since the fixing portion 231 is rounded rearward, the both ends may extend in the direction close to the first pulling direction f1, so that the pulling force of the rearward direction is more stably transmitted to each pulling cap portion 220 It is possible.

이때, 상기 고정부(231)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견인캡부(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고정부, 상기 연장링크부, 상기 견인가이드바 및 상기 제1연장걸이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견인캡부는 별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견인캡부(220)가 상기 고정부의 각 연결지점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교정용 브라켓(10)과 슬라이드 결합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fixing portion 23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ulling cap portion 220 as shown in the drawing. In some cases, the fixing portion, the extending link portion, the pulling guide bar, And a plurality of pull cap portions may be separately provided. Accordingly, the pull cap 220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10 while being fixed to the respective connection points of the fixing portion.

더욱이,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견인캡부의 결합방향 역시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의 연결지점이 상기 견인캡부의 전방으로부터 슬라이드 결합되되 후방측에 상호 걸림 구속되는 스토퍼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1견인방향(f1)의 견인력에 의한 상호 고정력이 더욱 견고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Further, the direction of engagement between the fixing portion and the pulling cap portion may also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pulling direction f1. Since the connecting point of the fixing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stopper means which is slidably engaged from the front of the pulling cap portion and is engaged with the rear side of the pulling cap portion, mutual fixing force by the pulling force in the first pulling direction f1 is more firmly formed .

한편, 상기 견인가이드바(232)가 관통 연결되되,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대상치아부(T)의 양측 후방으로 형성된 고정영역에 고정되는 상기 견인 고정수단(240)이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The pulling guide bar 232 is connected to the pulling guide bar 232. The pulling guide bar 232 is fixed to the fixed reg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arget tooth T to provide a pull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ulling direction f1, Preferably, the means 240 is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견인 고정수단(240)은 한쌍의 고정브라켓(241), 견인연결바(242), 가이드부(243) 그리고 인장연결부(244)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한쌍의 고정브라켓(241)은 상기 고정영역의 양측으로 고정되며, 상기 견인연결바(242)가 상기 한쌍의 고정브라켓(241)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영역은 도면에서와 같이, 양측 구치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구개측에 상기 고정브라켓(241)이 고정 나사 등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The pull fastening means 240 may include a pair of fastening brackets 241, a pull connecting bar 242, a guide portion 243, and a tension connecting portion 244. In detail, the pair of fixing brackets 241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fixing region, and the pulling connection bars 242 are provided to connect the pair of fixing brackets 241. At this time, the fixed region may be formed as a mating portion at both sides,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fixing bracket 241 may be fixed to the palatal side through a fixing screw or the like.

더불어, 상기 고정브라켓(241)의 고정력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고정브라켓(241)의 전후방향으로 보강브라켓(246)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인장연결부(244)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견인 고정수단(240)이 구강 내 전방측으로 역으로 견인됨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reinforcing bracket 246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fixing bracket 241 to reinforce the fixing force of the fixing bracket 241.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ull fastening means 240 from being pulled back to the forward side in the oral cavity by the tensile force of the tension connecting portion 244. [

그리고, 상기 견인연결바(242)의 양측에는 상기 견인가이드바(232)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관통홀(243a)이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243)가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인장연결부(244)는 상기 견인가이드바(232)가 상기 가이드부(243)에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후방이동되도록 상기 견인가이드바(232)와 상기 견인연결바(242)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된다.The guide portion 243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pulling connection bar 242 and has a through hole 243a through which the pulling guide bar 232 is inserted and slidably mov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pulling direction f1. . The pulling connection portion 244 is connected to the pulling guide bar 232 so that the pulling guide bar 232 is moved backward corresponding to the first pulling direction f1 while passing through the guide portion 243, And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connect the tow connection bar 242.

상세히, 상기 견인가이드바(232)의 전단부측에는 상기 인장연결부(244)의 일단부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1인장걸이부(23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견인연결바(242)에는 상기 인장연결부(244)의 타단부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2인장걸이부(245)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인장걸이부(233) 및 상기 제2인장걸이부(245)에 상기 인장연결부(244)가 체결되면 상기 인장연결부(244)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견인가이드바(232)가 구강 내 설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대상치아부(T)가 전체적으로 동시에 후방 견인될 수 있다.In detail, the pulling guide bar 232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tensioning hook 233 selectively fastened at one end of the tension connection 244 to the front end of the pulling guide bar 232. The pulling connection bar 242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tension hook 245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connection 244 is selectively coupled. When the tension connection portion 244 is fastened to the first tension hook portion 233 and the second tension hook portion 245, the pull guide bar 232 is pulled by the tensile force of the tension connection portion 244, The target tooth portion T can be pulled back at the same time as the slide portion is slid toward the inner thigh muscle side.

여기서, 상기 인장연결부(244)는 탄성적으로 인장되는 고무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각 인장걸이부(233,245)에 체결되는 길이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견인가이드바(232)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와이어 또는 체인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인장연결부(244)는 각 교정대상 치아(t1)가 원래의 돌출된 위치로 돌아가려는 힘보다 큰 인장력을 가짐으로써 상기 대상치아부(T)가 후방으로 안정적으로 견인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견인가이드바(232)의 전단부측과 상기 견인연결바(242) 사이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기 견인가이드바(232)가 후방이동됨에 따라 상기 견인조립체가 전체적으로 구강 내 후방으로 견인될 수 있다.Here, the tension connection portion 244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stretched, and a pulling force may be applied to the pulling guide bar 232 by adjusting a length interval of the tensioning portion 244 to be selectively fastened to the tensioning hooks 233 and 245 Or may be provided with a wire or a chain. At this time, the tension connection portion 244 has a tensile force larger than a force to return the originally projected position of each tooth to be aligned t1 so that the target tooth portion T can be stably pulled backward . Therefor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pulling guide bar 232 and the pulling connection bar 242 is narrowed, the pulling guide bar 232 is moved backward, so that the pulling assembly can be pulled backward in the oral cavity as a whole .

한편, 상기 복수개의 교정용 브라켓(10) 및 상기 복수개의 견인캡부(220)의 각 슬라이드 결합방향(f3)은 상기 견인방향(f1)과 동시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each of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10 and the plurality of pulling cap portions 220 is formed so that the sliding direction f3 thereof corresponds to the pulling direction f1.

상세히,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은 교정대상자의 구강을 스캐닝하여 획득된 스캐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되는 각 교정대상 치아 이미지상에 개별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정대상 치아에 개별 설계된 상기 교정용 브라켓의 설계정보에 상기 견인캡부의 설계정보가 가상 배치되며, 상기 견인캡부의 설계정보를 상호 연결하는 상기 고정부의 설계정보가 가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견인캡부의 설계정보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에 개별 설계된 상기 교정용 브라켓과 대응되는 위치정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견인가이드바, 상기 연장링크부 및 상기 제2연장걸이부의 설계정보가 가상 배치되어 상기 견인조인트부의 설계가 완료되면 이를 기반으로 실물의 견인조인트부(230)가 제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rthodontic bracket 10 can be individually designed on each orthodontic tooth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based on the scanning image obtained by scanning the orthodontist's mouth.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pulling cap part is virtually arranged in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designed individually for the tooth to be aligned, and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fixing part interconnecting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pulling cap part can be virtually arranged . In this case,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pulling cap portion is preferably understood as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rthodontic bracket designed individually for the tooth to be aligned. In addition, when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pulling guide bar, the extending link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hook portion is virtually disposed and the design of the pulling joint portion is completed, the real pulling joint portion 230 can be manufactured.

따라서, 상기 견인조인트부(230)는 상기 복수개의 견인캡부(220)의 위치가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각각 부착된 상기 복수개의 교정용 브라켓(10)의 위치와 정밀하게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견인조립체가 구강 후방측으로 동시에 이동되므로 상기 치아대상부(T)가 전체적으로 견인되어 치열 교정치료가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Therefore, the pull joint 230 can precisely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10 attached to the orthodontic tooth t1, respectively, by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pull cap parts 220 . Accordingly, since the traction assembly is simultaneously moved to the back side of the mouth, the tooth target portion T is pulled as a whole, and the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rapidly performed.

또한,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은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대응하여 위치 및 방향이 상이하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견인캡부(220)의 슬라이드 결합방향(f3)은 실질적으로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후방견인 과정에서 각 치아의 기울어짐 또는 뒤틀림이 방지되어 치열 교정치료의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orthodontic bracket 10 has different positions and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teeth to be aligned t1, the sliding engagement direction f3 of the pulling cap unit 220 is formed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Therefore, the tilting or twisting of each tooth is prevented during the posterior traction, and the reliability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더욱이, 상기 견인캡부(220)의 각 위치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이 부착된 각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로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견인캡부(220)가 상기 복수개의 교정용 브라켓(10)에 동시에 슬라이드 결합되므로 설치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Further, the respective positions of the pull cap part 220 are arrang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positions to which the orthodontic bracket 10 is attached. Therefore, since the plurality of pull cap parts 220 are simultaneously slid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10, the installation convenien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한편,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교정대상 치아(t1)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기 대상치아부(T)의 양측 소구치가 발치되어 상기 발치공간(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영역 양측의 각 고정치아(2)에 상기 한쌍의 고정브라켓(241)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고정브라켓(241)의 각 내면은 상기 고정치아(2)의 고정면과 형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고정브라켓(241)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견인연결바(242)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부(243)의 관통방향이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5A to 5C, the extraction spaces 5 are formed by extracting the premises of both sides of the target tooth portion T protruding forward from the plurality of to-be-aligned teeth t1. The pair of fixing brackets 241 are fixed to the respective fixed teeth 2 on both sides of the fixed region. At this time, each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fixing brackets 241 may be designed to be in conformity with the fixing surface of the fixed tooth 2. Therefore, the penetration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243 of the pulling connection bar 242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fixing brackets 241 may be set to correspond to the first pulling direction f1.

이때, 상기 대상치아부(T)의 각 교정대상 치아(t1)에는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이 개별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의 각 내면이 상기 각 교정대상 치아(t1)의 설측면과 개별 형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베이스부(12)는 전후연장방향이 상기 제1견인방향(f1)과 대응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rthodontic bracket 10 is separately attached to each tooth t1 of the target tooth T to be aligned. Each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orthodontic bracket 10 is formed so as to be independently formed from the tongues of the teeth to be aligned t1 and the second base portion 12 is formed so that its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s in the first traction direction f1 As shown in Fig.

더불어, 상기 견인조인트부(230)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견인캡부(220)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이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부(221)의 후단부측 개구부가 상기 제2베이스부(12)의 전단부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견인가이드바(232)가 상기 가이드부(243)의 관통홀(243a)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복수개의 견인캡부(220)가 상기 복수개의 교정용 브라켓(10)에 형성된 제2베이스부(12)를 동시에 커버하면서 걸림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pull cap parts 22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where the orthodontic bracket 10 is installed by the pull joint part 230, the rear end sid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part 221 Is dispos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second base portion (12). When the pulling guide bar 232 is moved backward in a state where the pulling guide bar 23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43a of the guide portion 243, the plurality of pulling cap portions 220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10 The second base portion 12 can be engaged and fixed while simultaneously covering the second base portion 12 formed.

이때, 상기 제1인장걸이부(233)와 상기 제2인장걸이부(244)에 상기 인장연결부(244)의 각 단부가 연결되어 인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견인가이드부(232)가 상기 관통홀(243a)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견인방향(f1)에 대응하여 구강 내 후방으로 견인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대상치아부(T)에 포함된 복수개의 교정대상 치아(t1)가 동시에 설근측으로 견인 이동되어 상기 발치공간(5)을 폐쇄하면서 돌출된 전치측의 위치가 1차 교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each end of the tension connection portion 244 is connected to the first tension spring portion 233 and the second tension spring portion 244 so that the pulling force is applied, the pull guide portion 23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is pulled backward in the mou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pulling direction f1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mouth 243a. Therefore, a plurality of teeth to be aligned (t1) included in the target tooth portion (T) are simultaneously pulled toward the sallow muscle side, and the position of the protruding front side can be firstly corrected while closing the extraction space (5).

즉, 본 발명은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에 걸림 고정되는 상기 견인캡부(220)를 통해 후방측으로 견인되는 견인력이 전달된다. 이때, 상기 견인캡부(220)가 상기 제2베이스부(12)의 전체적인 외면을 커버하도록 슬라이드 결합되므로 상기 견인력이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의 전체적인 면적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t1)가 뒤틀림 또는 기울어짐 없이 전체적으로 상기 제1견인방향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견인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브라켓을 연결하는 얇은 와이어에 견인력이 가해짐으로 인한 단선 또는 초기에 계획되었던 치열 교정위치 변경 등의 문제점이 해소되므로 치열 교정치료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traction force that is pulled backward is transmitted through the pull cap unit 220 which is fix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10. At this time, since the pull cap unit 220 is slidably coupled to cover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unit 12, the pulling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entire area of the orthodontic bracket 10. Therefore, the tooth to be aligned t1 can be stably pull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ulling direction as a whole without being twisted or inclined. In addition, reliability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improved since disadvantages such as disconnection due to application of a pulling force to a thin wire connecting a bracket in the past or change of an initially planned orthodontic position can be solved.

그리고, 상기 대상치아부(T)의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견인가이드부(232)를 전방측으로 역가압하면, 상기 복수개의 견인캡부(220)가 상기 복수개의 교정용 브라켓(10)의 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동시에 분리될 수 있다.When the pulling guide portion 232 is pressed in the forward direction while the target tooth portion T is moved backward, the plurality of pulling cap portions 220 are pressed against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10, And can be separated at the same time.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견인캡부(220)가 분리된 상기 복수개의 교정용 브라켓(10)을 연결하도록 상기 결합홈(14)에 상기 와이어(16)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6)로부터 전달되는 장력에 의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가 바람직한 연속치열구조에 대응되도록 각 치아에 개별적으로 설정되는 제2견인방향에 대응하여 위치 및 방향이 교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견인방향이라 함은 각 교정대상 치아(t1)가 상기 연속치열구조에 대응되도록 위치 및 각도가 이동될 수 있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The wires 16 ar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s 14 so a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10 from which the plurality of pull cap parts 220 are separated. The position and direction can be correct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ulling direction individually set to each tooth so that the tooth to be aligned t1 corresponds to the desired continuous dentition structure by the tension transmitted from the wire 16 . Here, the second traction direction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 and angle can be shifted so that each tooth to be aligned t1 corresponds to the continuous dentition structure.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와이어(16)를 통하여 상기 대상치아부(T)가 상기 바람직한 연속치열구조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견인방향에 대응하여 먼저 위치 및 방향이 교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견인캡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상기 견인조인트부에 의해 전체적으로 구강 내 후방으로 견인 이동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전달되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 상기 제2견인방향에 대응하여 교정됨과 동시에 상기 대상치아부(T)의 전체적인 위치가 상기 제1견인방향에 대응하여 후방 견인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견인캡부에 의해 상기 교정용 브라켓에 형성된 결합홈의 개구측이 실질적으로 커버될 수 있으므로 상기 견인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may be first calibrated in advan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action direction so that the target tooth portion T corresponds to the desired continuous tooth structure via the wire 16 as the case may be. The traction joint portion integr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raction cap portions may be pulled backward in the oral cavity as a whole. Further, the tension of the wire is transmitted to correct the orthodontic tooth t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action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entire position of the target tooth T is trailed backward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ction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In this case, since the opening side of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orthodontic bracket can be substantially covered by the pull cap portion, the wir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rthodontic bracket by the pulling force.

더욱이, 상기 와이어(16)가 상기 결합홈(14)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견인조인트부(230)가 제거된 견인캡부(220)를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에 결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와이어(16) 자체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에 직접 고정되는 구조가 아니라 단지 상기 견인캡부(220)에 의해 상기 결합홈(14)이 차폐된 구조이므로, 상기 견인캡부(220)를 분리하기만 하면 상기 와이어(16)의 결합/교체 또는 위치이동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traction cap part 220 from which the pull joint part 230 has been remov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10 in a state where the wire 16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4. That is, since the wire 16 itself is not directly fix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10 but the coupling groove 14 is shielded by the pulling cap unit 220, The joining / replacement or the movement of the wire 16 may be easily performed.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견인캡부(20,220)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의 외측을 소정의 면적으로 감싸 고정된 상태로 구강 후방측으로 견인된다. 따라서, 치아 전체에 견인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되므로 교정대상 치아(t1)의 기울어짐 또는 뒤틀림 없이 신속하게 후방 이동될 수 있어 치열 교정치료의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 cap portion 20, 220 is pulled to the rear side of the oral cavity with the outside of the orthodontic bracket 10 wrapped around a predetermined area. Accordingly, since the traction force is stably transmitted to the entire teeth, the teeth can be quickly moved backward without tilting or twisting of the tooth to be aligned t1, and the reliability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상기 와이어(16)의 결합홈(14)이 일체로 형성된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으로부터 상기 견인캡부(20,220)를 분리하기만 하면 각 치아의 개별교정을 위한 와이어(16)를 용이하게 체결/분리 및 위치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후방견인수단을 구강으로부터 분리한 후 와이어 체결이 가능한 브라켓으로 교체 설치하던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교정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종래에 브라켓을 연결하는 얇은 와이어에 치아의 후방이동을 위한 견인력이 가해짐에 의해 발생하던 와이어의 파단 등을 방지하여 교정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wire 16 for individual calibration of each tooth by simply separating the pull cap portions 20 and 220 from the orthodontic bracket 10 formed with the coupling grooves 14 of the wire 16 Fastening / dismounting and position modification. Therefore, the convenience of calibration can be improved by eliminating the hassle of replacing the rear pulling means with the bracket capable of wire fastening after separating the rear pulling means from the oral cavity in the pas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e from being broken due to the application of a pulling force for rearward movement of the tooth to the thin wire connecting the bracket in the past, and the correction stability can be improved.

이때, 상기 견인캡부(20,220)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측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방향(f3)과 후방으로의 제1견인방향(f1)이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견인캡부(20,220) 및 교정용 브라켓(10)의 각 전단부가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견인됨과 동시에 강한 결합력이 가해지므로 교정기간 중 상호간의 분리됨 없이 안정적으로 교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rection (f3) in which the pulling cap portion (20, 220) is slidably engaged from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10 to the rear end portion corresponds to the first pulling direction f1 in the backward direction. Therefore, since the front ends of the traction cap portions 20 and 220 and the orthodontic bracket 10 are pulled in a locked state and a strong coupling force is applied thereto, they can be stably calibrat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during the calibration period.

더욱이, 복수개의 치아를 동시에 후방견인할 수 있도록 하나의 견인조립체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견인캡부(220) 및 교정용 브라켓(10)의 각 슬라이드 결합방향(f1)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한번의 조작으로 상기 견인조립체를 한꺼번에 결합 및 견인할 수 있어 설치편의성 및 교정신속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single traction assembly is provided to allow a plurality of teeth to be simultaneously trailed backward, each of the plurality of traction cap portions 220 and the orthodontic bracket 10 are form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sliding direction f1. Therefore, the pulling assembly can be combined and pulled at once by a single operation, so that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quickness of calibration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상기 견인캡부(20,220)를 상기 교정용 브라켓(10)의 전방측으로 이동시켜 분리하기만 하면 상기 와이어(16)의 결합/분리 및 결합위치 수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merely moving the pull cap part (20, 220) to the front side of the orthodontic bracket (10) and separating it can facilitate joining / disassembling and fixing of the wire (16).

더불어, 상기 치열 교정장치(100,200)의 전체적인 형상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 및 구개(3)측으로 이어지는 프로파일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므로 구강 내 컴팩트하게 설치되어 이물감 및 이로 인한 교정대상자의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verall shape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100, 200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profile leading to the teeth to be calibrated t1 and the palate 3 side, it is compactly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to minimize the sense of foreign body and the discomfort of the subject to be corrected .

한편,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having", or "having" as used in the above description mean that the constituent elem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ta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mponents but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교정용 브라켓 20,220 : 견인캡부
21 : 수용홈부 22 : 견인테일부
230 : 견인조인트부 231 : 고정부
232 : 견인가이드바 240 : 견인 고정수단
241 : 고정브라켓 242 : 견인연결바
243 : 가이드부 243a : 관통홀
244 : 인장연결부 100,200 : 치열 교정장치
10: orthodontic bracket 20, 220: traction cap
21: receiving groove 22:
230: pull joint portion 231:
232: pulling guide bar 240: pulling fixing means
241: Fixing bracket 242: Towing connection bar
243: guide portion 243a: through hole
244: Tension connection 100, 200: orthodontic appliance

Claims (10)

교정대상 치아의 표면에 고정되는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의 외면에 돌출되되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제2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교정용 브라켓; 및
구강 내부에 고정되는 견인 고정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교정대상 치아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1견인방향에 대하여 견인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제2베이스부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견인캡부를 포함하되,
상기 교정용 브라켓에는 상기 제1베이스부와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제2베이스부의 단면적보다 좁게 형성되어 단차진 외주 테두리를 따라 걸림홈이 형성된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견인캡부에는 상기 제2베이스부의 외면이 커버되도록 삽입되는 수용홈부의 테두리를 따라 돌설되어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되 전단부에 상기 제2베이스부의 전단부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돌출부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
A first base portion fixed to a surface of a tooth to be aligned; and a second base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ortion and having a coupling groove for coupling a wire to provide tension, And
And a traction cap portion connected to the traction fastening means fixed to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and selectively secured to the second base portion to transmit a traction force in a first traction direction in which the subject tooth is moved backward,
The orthodontic bracket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base portion and narrow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base portion and formed with a latching groove along a stepped peripheral edge,
The pulling cap portion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along the rim of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to be inserted so as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portion and being coupled to the latching groove and a front end portion of the second base portion is fastened to the latching protrusion portion. Orthodontic applian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부는 후면으로 개구되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상기 걸림돌출부가 돌설된 슬롯홈으로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출부가 상기 걸림홈에 슬라이드 결합되며,
상기 걸림돌출부와 상기 걸림홈의 슬라이드 결합방향은 상기 제1견인방향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is formed as a slot groove which is opened to the rear surface and has the latching protrusion protruded along both side edges, the latching protrusion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latching groove,
And the slide engagement direction of the latch projection and the latch groov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pulling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출부의 횡방향 이격 간격은 상기 연결부의 횡방향 폭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ateral spacing distance of the latching protrusions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ateral width of the connec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캡부에는 상기 제1견인방향과 대응되도록 후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견인력을 전달하는 견인테일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l cap portion is provided with a pull-tail portion extending rearwardly to correspond to the first pulling direction and transmitting the pulling for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테일부는 상기 견인캡부의 외면과 기설정된 둔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ulling tail portion is inclined at an obtuse angle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pulling cap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브라켓과 상기 견인캡부는 복수개의 교정대상 치아에 대응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복수개의 견인캡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견인조인트부가 더 구비된 견인조립체로 구비되며,
상기 교정용 브라켓 및 상기 견인캡부의 각 슬라이드 결합방향은 상기 제1견인방향과 동시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rthodontic bracket and the traction cap portion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traction assembli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teeth to be aligned, the traction assembly further including a traction joint portion integr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raction cap portions,
Wherein the slidable engagement direc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and the pull cap por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pulling direction at the same tim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조립체의 양측에는 상기 제1견인방향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연장된 견인가이드바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pulling guide bar extending rearward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pulling direc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ulling assembl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고정수단은 상기 견인가이드바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견인방향에 대응하여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교정대상 치아의 후방으로 형성된 고정영역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raction fastening means is fixed to a fixed region formed behind the plurality of to-be-tested teeth in order to provide a traction for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ction direction, the traction guide bar being selectively connected thereto.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영역의 양측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한쌍의 고정브라켓을 연결하는 견인연결바와,
상기 견인연결바의 양측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견인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견인가이드바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견인가이드바와 상기 견인연결바를 탄성적으로 인장되도록 연결하는 인장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ull fastening means
A pair of fixing brackets fixed to both sides of the fixed region,
A pulling connection bar connecting the pair of fixing brackets,
A guide portion provided at both side portions of the pulling connection bar, the guide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 sliding the pulling guide bar corresponding to the first pulling direction,
And a tension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pulling guide bar and the pulling connection bar so as to be elastically tensioned.
KR1020170141065A 2017-10-27 2017-10-27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KR1019993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065A KR101999378B1 (en) 2017-10-27 2017-10-27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065A KR101999378B1 (en) 2017-10-27 2017-10-27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325A KR20190047325A (en) 2019-05-08
KR101999378B1 true KR101999378B1 (en) 2019-07-11

Family

ID=6658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065A KR101999378B1 (en) 2017-10-27 2017-10-27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3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805B1 (en) * 2019-09-09 2021-01-29 주식회사 디오 orthodontic digital turbo bracket
CN111110375A (en) * 2019-12-31 2020-05-08 大同腾屹医疗器械有限公司 Combined corrector for lingual side
CN112545684B (en) * 2020-12-04 2022-04-01 河北省眼科医院 Forward traction and molar distal movement combined oral orthodontic device
KR102619130B1 (en) * 2021-07-23 2023-12-29 주식회사 디오 orthodontic digital bracket
WO2023003080A1 (en) * 2021-07-23 2023-01-26 주식회사 디오 Orthodontic digital bracket
KR102597281B1 (en) * 2021-07-23 2023-11-02 주식회사 디오 orthodontic digital brack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4746A1 (en) * 2001-08-31 2003-03-06 Leonard Marotta User removable fasteners
US20040013992A1 (en) 2002-06-20 2004-01-22 Claus Schendell-Groling Mounting aid for mounting an orthodontic bracket to a tooth
US20070009848A1 (en) 2005-06-15 2007-01-11 Tuneberg Lee H Packaging system for pre-pasted orthodontic bracket
KR101158725B1 (en) 2010-11-25 2012-06-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Orthodontic Apparatus for Lingual Retra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447B1 (en) 2008-08-13 2010-11-04 주보훈 correction apparatus for anterior teeth and/or lip profusion and the method thereof
KR101374836B1 (en) * 2012-04-25 2014-03-17 (주)덴토스 Orthodontics bracket with double hook mea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4746A1 (en) * 2001-08-31 2003-03-06 Leonard Marotta User removable fasteners
US20040013992A1 (en) 2002-06-20 2004-01-22 Claus Schendell-Groling Mounting aid for mounting an orthodontic bracket to a tooth
US20070009848A1 (en) 2005-06-15 2007-01-11 Tuneberg Lee H Packaging system for pre-pasted orthodontic bracket
KR101158725B1 (en) 2010-11-25 2012-06-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Orthodontic Apparatus for Lingual Retra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325A (en) 201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378B1 (en)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KR101723674B1 (en) Lingual orthodontic system
JP6539294B2 (en)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KR100918966B1 (en) Orthodontic device
US10932887B2 (en)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KR101200379B1 (en) Orthodontic Wire for Mouth Protrusion Using Lingual Retractor And Orthodontic System Having The Same
US20110005527A1 (en) Orthodontic appliances
US8257080B2 (en) Low profile orthodontic bite corrector
JPH01259856A (en) Treatment instrument of teeth of infant and orthodontic method
KR102209805B1 (en) orthodontic digital turbo bracket
KR101641350B1 (en) Apparatus for orthodontic treatment
KR100737442B1 (en) A hook for molar of orthodontic
CN211633664U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orthodontic device comprising same
JP2002538935A (en) Orthodontic attachment device for interdental appliances
US6168430B1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treating overjet
KR102002148B1 (en) wire fixing bracket for orthodontics
KR101760251B1 (en) Apparatus for orthodontic treatment
KR102487282B1 (en)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894039B1 (en) wire coupling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
KR10125194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rthodontic Kit And Orthodontic Kit Using The Same
KR102101870B1 (en)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KR101108104B1 (en) Instrument For Orthodontic Treatment
KR200211697Y1 (en) Fixing plate for correction of irregularities of teeth
KR102619130B1 (en) orthodontic digital bracket
KR102055497B1 (en) Apparatus for 2in1 type orthodontic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