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764B1 -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764B1
KR102164764B1 KR1020190039979A KR20190039979A KR102164764B1 KR 102164764 B1 KR102164764 B1 KR 102164764B1 KR 1020190039979 A KR1020190039979 A KR 1020190039979A KR 20190039979 A KR20190039979 A KR 20190039979A KR 102164764 B1 KR102164764 B1 KR 102164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ion
band
wire
orthodontic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9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배기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90039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7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7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61C7/303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2Buccal tubes

Abstract

To improve accuracy of orthodontic treat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thodontic apparatus, which comprises: a correction body part having one surface fixed to the surface of a target tooth to be corrected; a plurality of bracket parts integrally extending and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correction body part from both sides of a width direction of the correction body part, and having coupling holes penetrating along a width direction so that a correction wire providing tension is inserted and fixed; and a band fixing part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correction body part and a wire arrangement line between the bracket parts, and formed with each fastening part recessed radially inwar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both ends of a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traction band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traction and pressurization of the correction wire is fastened.

Description

치열 교정장치{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Orthodontic device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본 발명은 치열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열 교정치료의 정확성이 개선되는 치열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thodontic appliance in which the accuracy of orthodontic treatment is improved.

일반적으로 교합이란 입을 다물었을 때 상악 및 하악의 치아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부정교합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 상기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상하악의 맞물림 상태가 정상의 위치를 벗어나서 기능적, 심미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정확한 교합관계를 의미한다. In general, occlus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teeth of the upper and lower jaw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mouth is closed. In addition, malocclusion refers to an inaccurate occlusal relationship in which the alignment of the teeth is uneven due to some reason or the interlocking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jaws is out of the normal position, causing functional and aesthetic problems.

여기서, 상기 부정교합의 원인은 유전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아의 모양이나 크기의 문제, 환경적 영향, 좋지 않은 습관, 잘못된 자세 및 선천성 장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Here, the cause of the malocclusion is known to have a large genetic effect, but may be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a problem of the shape or size of a tooth, an environmental influence, a bad habit, an incorrect posture and a congenital disorder.

한편, 부정교합이 발생하면, 치열이 가지런하지 않아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기 쉽다. 또한, 정확한 칫솔질로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구강 내 치태가 증가하게 되어 치아우식증이나 잇몸 염증 등 잇몸 질환으로 진행되기 쉽다. 더욱이, 정상 치열에서 많이 벗어난 치아가 있거나 턱의 위치가 비정상이라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치아 파절 등 치아에 손상이 가해질 가능성도 크다. On the other hand, when malocclusion occurs, the teeth are not even, and food waste tends to remain between the teeth. In addition, since it is not easy to cleanly manage with accurate brushing, plaque in the oral cavity increases, and it is easy to progress to gum disease such as dental caries or inflammation of the gums. Moreover, if there is a tooth that deviates from the normal dentition or the position of the jaw is abnormal,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tooth such as tooth fracture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이에, 상기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해 치열 교정치료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치열 교정치료는 치아가 외력을 받으면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Accordingly,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to treat the malocclusion. Here, the orthodontic treatment uses the property of moving when a tooth receives an external force.

상세히, 치열 교정치료는 원인이나 치료 시기에 따라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한다. 예컨대, 위아래 턱뼈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증진시키는 장치나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서서히 이동시키는 장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구강 내에 설치 및 분리 가능한 가철성 장치와 치아에 부착 후 치료가 끝날 때 떼어내는 고정식 장치로 나뉠 수 있다. In detail, orthodontic treatment uses a variety of devices and methods depending on the cause or timing of treatment. For example, it may be classified as a device that inhibits or enhances the development of the upper and lower jawbones, or a device that gradually moves the teeth to a desired position. In addition, it can be divided into a removable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and removed in the oral cavity and a fixed device that is attached to a tooth and removed at the end of treatment.

한편,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브라켓이라는 장치를 치아에 부착하고 교정용 철사 내지 고무줄 등의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해 치아를 이동시키는 고정식 치료법으로, 다양한 종류의 치열 교정치료에 흔히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st widely used currently is a fixed therapy in which a device called a bracket is attached to the teeth and the teeth are moved using the tension of a wire such as an orthodontic wire or a rubber band, and can be commonly used in various types of orthodontic treatment.

상세히, 상기 브라켓은 교정대상 치아의 표면에 각각 견고하게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정하여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교정대상 치아를 서서히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그 위치 및 배열 형태가 변경되고 치아가 조금씩 이동되면서 치열 교정치료가 이루어진다. In detail, the brackets are each firm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eeth to be corrected, and the wires are fixed to interconnect the brackets.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to variously adjust the direction and size of the force applied to the wire, the tooth to be corrected may be gradually moved. Accordingly, the position and arrangement of the teeth to be corrected are changed by the tension of the wire, and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while the teeth are gradually moved.

그러나, 치열 교정치료 과정에서 교정대상 치아의 배열 위치가 상기 와이어에 의해 교정되어 변형됨에 따라 상기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서서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교정 기간이 경과될수록 치열 교정치료를 위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감소되므로 치열 교정 치료의 시술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urse of orthodontic treatment, as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teeth to be corrected is corrected and deformed by the wi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nsion of the wires interconnecting the brackets is gradually reduced. Accordingly, as the correction period elapses, the tension of the 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decreases,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bility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decreases.

더욱이, 교정대상 치아가 변형될 때마다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보정하기 위해 피시술자가 치과에 내방해야 하며 시술자에 의한 상기 와이어의 장력 조정작업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므로 치료가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Moreover, whenever the tooth to be corrected is deformed, the person to be treated must visit the dentist to correct the tension of the wire, and since the tension adjustment of the wire by the operator is additionally required, treatment becomes cumbersome.

한국 등록특허 제10-099144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9144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열 교정치료의 정확성이 개선되는 치열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s a solution to provide an orthodontic device with improved accuracy of orthodontic treatment.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면이 교정대상 치아의 표면에 고정되는 교정몸체부; 상기 교정몸체부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상기 교정몸체부의 타측으로 일체로 연장 돌설되며, 장력을 제공하는 교정와이어가 삽입 및 고정되도록 횡방향을 따라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는 복수개의 브라켓부; 및 상기 브라켓부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교정와이어를 견인 가압하도록 경유하는 탄성재질의 견인밴드가 걸림되도록 양단부에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는 밴드고정부를 포함하는 치열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thodontic body portion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A plurality of bracket portions extending integrally from both sides of the correction body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other side of the correction body portion and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therethrough along a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a correction wire providing tension is inserted and fixed; And a band fix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bracket portions and having locking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so that a traction band of an elastic material passing through to traction and pressurization of the correction wire is engaged.

여기서, 상기 밴드고정부의 외면은 상기 교정와이어와 이격 배치되되, 상기 밴드고정부의 양단부는 상기 교정와이어가 상기 견인밴드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견인 가압되도록 상기 교정몸체부의 종방향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노출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band fixing unit The outer surface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calibration wire, and both ends of the band fixing portion are preferably exposed to each protrude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libration body so that the calibration wire is continuously traction and pressuriz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raction band.

그리고, 상기 결합홀에 배치된 상기 교정와이어 및 상기 밴드고정부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치각도는, 상기 견인밴드가 상기 교정와이어에 제공하는 견인력이 최적화되도록 기설정된 각도 범위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nd, the arrangement angle formed between the straightening wire disposed in the coupling hole and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d fixing portion is formed within a preset angle range so that the traction force provided by the traction band to the correction wire is optimized. desirable.

또한, 상기 견인밴드의 양측이 각 상기 걸림부에 각각 걸림 및 고정되며, 상기 견인밴드의 중앙측이 상기 교정와이어에 견인력을 제공하며 가압 접촉되되, 상기 교정와이어는 상기 견인밴드에 의해 상기 교정몸체부의 일방향으로 견인 가압되도록 상기 밴드고정부 및 상기 견인밴드 사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traction band are respectively engaged and fixed to each of the locking portions, and the central side of the traction band provides a traction force to the calibration wire and is brought into pressure contact, the calibration wire being the calibration body by the traction band. It is preferably disposed between the band fixing portion and the traction band so as to be traction and pressurized in one direction of the negative.

그리고, 상기 교정몸체부의 타측에는 상기 교정몸체부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상기 교정몸체부의 일방향으로 함몰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의 함몰 깊이는 상기 견인밴드가 상기 교정와이어에 제공하는 견인력이 제공되기 위한 각도 및 간격이 확보되도록 상기 밴드고정부의 최대 직경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nd, the other side of the correction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that is depressed in one direction of the correction body portion toward the center from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rrection body portion, the depression depth of the receiving portion is the traction force provided by the traction band to the correction wir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diameter of the band fixing part so as to secure an angle and a gap to be provided.

또한, 상기 밴드고정부는 치열 교정치료를 위한 상기 견인밴드의 견인력이 최적화된 각도로 형성되도록 상기 교정몸체부의 일면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and fixing part is preferably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orthodontic body part so that the traction force of the traction band for orthodontic treatment is formed at an optimized angl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mea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브라켓부의 결합홀에 삽입되어 교정대상 치아에 장력을 제공하는 교정와이어가 밴드고정부의 양단부에 걸림되는 탄성재질의 견인밴드에 의해 지속적으로 견인 가압됨에 따라 치열 교정과정 경과에 따른 교정대상 치아의 변형시에도 교정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치열 교정치료시 연속성 및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First, as the orthodontic wire tha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bracket and provides tension to the tooth to be corrected is continuously traction and pressurized by the traction band of elastic material that is caught on both ends of the band fixing part, Even in the case of deformation, the corrective effect is maintained continuously, so that continuity and efficiency can be improved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둘째, 상기 교정대상 치아의 배치 위치가 변형됨에 따라 교정와이어의 장력이 느슨해져 치열 교정치료 작용이 중단되던 종래와 달리, 교정와이어에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견인밴드의 견인력에 의해 치열 교정치료 작용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수행되므로 교정치료의 연속성이 개선되어 교정 치료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Second, unlike the prior art, in which the orthodontic treatment action was stopped due to the loosening of the tension of the orthodontic wire as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orthodontic tooth is deformed, the orthodontic treatment action is substantially reduced by the traction force of the traction band continuously provided to the orthodontic wire. Since it is performed continuously, the continuity of orthodontic treatment is improved, and the period of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shortened.

셋째, 교정와이어 및 교정몸체부 사이에 구비된 밴드고정부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형성되어 견인밴드가 걸림되는 각 걸림부가 교정몸체부의 종방향 외측으로 각각 노출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교정와이어에 견인밴드에 의한 견인력이 제공되기 위한 최적화된 간격 및 각도가 확보됨에 따라 치열 교정치료를 위한 교정와이어의 장력이 교정대상 치아에 지속적으로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Third, it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nd fix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calibration wire and the calibration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ach of the locking portions to which the traction band is engaged is formed in a position exposed to the longitudinal outer side of the calibration body. Therefore, as an optimized distance and angle for providing traction by the traction band on the orthodontic wire is secured, the tension of the orthodontic 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continuously and uniformly provided to the teeth to be corrected.

넷째, 탄성 재질의 견인밴드가 걸림되도록 양단부에 걸림부가 형성된 밴드고정부가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견인밴드가 치열 교정치료를 위한 최적화된 각도로 배치되어 교정와이어를 견인 가압하므로 치열 교정치료의 정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Fourth, the traction band is arranged at an optimized angle for orthodontic treatment, as the band fixing part formed at both ends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traction band made of elastic material is entangled, thereby traction and pressure of the orthodontic wire. The accuracy of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다섯째, 교정대상 치아의 변형으로 인한 상기 교정와이어의 장력을 보정하는 작업이 실질적으로 요구되지 않아 치열 교정 치료를 위한 치과 내방 횟수가 최소화되므로 시술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Fifth, since the operation of correcting the tension of the orthodontic wire due to deformation of the orthodontic tooth is substantially not required, the number of visits to the dentist for orthodontic treatment is minimiz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나타낸 상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top view showing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usage example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top view showing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usage example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100)는 교정몸체부(10), 브라켓부(20), 및 밴드고정부(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100)는 교정와이어(40) 및 견인밴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 to 4, the orthodontic applian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rthodontic body portion 10, a bracket portion 20, and a band fixing portion 30. In addition, the orthodontic applian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rrection wire 40 and a traction band 50.

여기서, 상기 교정와이어(40)는 치열 교정치료를 위한 장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브라켓부(20)에 횡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결합홀(21)에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orthodontic wire 40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1 formed through the bracket 20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to provide tension for orthodontic treatment.

그리고, 상기 견인밴드(50)는 상기 교정와이어(40)를 가압하여 견인력을 제공하도록 기설정치 이상의 탄성복원력을 갖는 링형의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견인밴드(50)는 양측이 상기 밴드고정부(30)의 양단부에 형성된 걸림부(33)에 각각 걸림되되 중앙부가 상기 교정와이어(40)에 견인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교정와이어(40)에 가압 접촉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traction band 5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ing-shaped elastic material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so as to provide a traction force by pressing the correction wire 40. In addition, the traction band 50 is the calibration wire 40 so that both sides are respectively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s 33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nd fixing unit 30, and the central portion provides a traction force to the calibration wire 40. It is preferable to contact with pressur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100)는 특히 전치측의 치아에 발생하는 부정교합 중 전방으로 돌출된 부정교합의 치열 교정치료시 사용될 수 있으며, 교정대상 치아를 구강의 후방 즉, 설근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rthodontic applian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orthodontic treatment of malocclusion protruding forward during malocclusion occurring in the teeth of the anterior teeth side, and the teeth to be corrected may be moved to the rear of the oral cavity, that is, to the lingual muscle side. It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이때, 상기 치열 교정장치(100)를 이용한 치열 교정치료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t)를 포함하는 대상치아부의 양측 소구치를 발치하여 발치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발치공간이 폐쇄되도록 상기 대상치아부를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치열 교정장치(100)가 설치되어 상기 교정대상 치아(t) 또는 상기 대상치아부의 후방이동을 견인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orthodontic treatment using the orthodontic device 100, an extraction space is formed by extracting premolar teeth on both sides of the target tooth portion including the orthodontic tooth t. In addition, the orthodontic appliance 100 is installed to move the target tooth portion so that the tooth extraction space is closed, so that the tooth to be corrected t or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target tooth portion may be pulled.

여기서, 상기 대상치아부는 치열 교정치료가 실질적으로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정대상 치아(t)를 포함하는 부정교합 치열영역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대상치아부는 구강 내부에서 부정교합 치열이 주로 발생하는 전치측 6개소의 치아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target tooth portion is preferably understood to be a malocclusion area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teeth to be orthodontic (t) substantially in need of orthodontic treatment. That is, the target tooth part may include all or part of the teeth at 6 locations on the anterior teeth side where malocclusion dentition mainly occurs in the oral cavity.

한편, 상기 교정몸체부(1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상기 교정대상 치아(t)의 표면에 고정되도록 기설정된 폭방향 길이의 육면체 등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정대상 치아(t)의 표면이라 함은 구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전면과 구강의 설측에 배치되는 후면을 포괄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orthodontic body 10 may be provided in a shape such as a hexahedr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direction to be fixed to the surface of at least one or more, preferably a pair of teeth to be corrected (t). At this time, the surface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t is preferably understood as encompassing the front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ral cavity and the rear surface disposed on the lingual side of the oral cavity.

여기서,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일면에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t)의 표면에 고정되도록 형합면(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형합면(11)은 상기 교정대상 치아(t)의 표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a mating surface 1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orthodontic body 10 so as to be fix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 to be corrected. Here, the mating surface 11 may be formed as an outer surface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profile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t).

따라서, 상기 형합면(11)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t)의 표면에 형합되어 바람직한 위치에 정렬 고정됨으로써 상기 교정와이어(40)의 장력이 정확하게 전달되므로 치열 교정치료의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mating surface 11 is fitted to the surface of the orthodontic tooth t and aligned and fixed in a desired position, the tension of the orthodontic wire 40 is accurately transmitted, so that the reliability of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remarkably improved. .

이러한 형합면(11)에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t)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치열 교정장치(100)에 가해지는 상기 교정와이어(40)의 장력에 의해 상기 교정대상 치아(t)의 표면으로부터 분리가 방지되도록 치과용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교정대상 치아(t)로부터 상기 교정몸체부(10)가 분리됨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안정적인 치열 교정치료가 수행될 수 있다. The surface of the orthodontic tooth t by the tension of the orthodontic wire 40 applied to the orthodontic device 100 while being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orthodontic tooth t on the mating surface 11 A dental adhesive may be applied to prevent separation from. Accordingly, since separation of the orthodontic body part 10 from the orthodontic tooth t is prevented in advance, a stable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performed.

그리고, 상기 교정몸체부(10)의 타측에는 상기 밴드고정부(30)가 배치되도록 상기 교정몸체부(10)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일방향으로 함몰되는 수용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nd fixing part 3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libration body 10, so that the band fixing part 30 is disposed, the receiving that is depressed in one direction of the calibration body 10 toward the center from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libration body part 10 The portion 12 may be formed.

이때, 상기 교정몸체부(10)의 타측은 상기 교정대상 치아(t)의 표면에 부착되는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일면과 반대되는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일방향은 상기 교정몸체부(1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의 방향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other side of the orthodontic body part 10 means a part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orthodontic body part 10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orthodontic tooth t, and one direction of the orthodontic body part 10 Means a direction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rrection body 10 to one side.

여기서, 상기 수용부(12)는 상측에서 바라보는 경우 전체 형상이 'U'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12)의 폭방향 중앙측 표면 프로파일은 상기 밴드고정부(30)의 외주 프로파일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교정몸체부(10) 및 상기 밴드고정부(30) 간의 연결면이 최대화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Here,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receiving portion 12 may be formed to have a'U' shape in its entirety. In addition, the central side surface profile of the receiving portion 12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profile of the band fixing part 30. Accordingly, the connection surface between the corrective body portion 10 and the band fixing portion 30 is maximized,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더욱이, 상기 밴드고정부(30)가 상기 교정몸체부(10)의 내측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수용부(12)는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일방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Moreover, the receiving portion 12 is preferably formed to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one direction of the correction body portion 10 so that the band fixing portion 30 is disposed inside the correction body portion 10.

여기서, 상기 수용부(12)의 함몰 깊이는 상기 견인밴드(50)가 상기 교정와이어(40)에 제공하는 견인력이 제공되기 위한 각도 및 여유 간격이 확보되도록 상기 밴드고정부(30)의 최대 직경 이상으로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두께가 상기 밴드고정부(30)의 최대 직경을 초과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depression depth of the receiving part 12 is the maximum diameter of the band fixing part 30 so that an angle and a clearance gap for providing the traction force provided by the traction band 50 to the correction wire 40 are secured. It is most preferable to be formed abov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correction body part 10 exceeds the maximum diameter of the band fixing part 30.

이를 통해, 기설정된 깊이로 상기 교정몸체부(10)에 함몰 형성된 상기 수용부(12)에 상기 밴드고정부(30)가 배치됨에 따라 상기 견인밴드(50)가 상기 교정와이어(40)에 제공하는 견인력이 제공되기 위한 간격이 확보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traction band 50 is provided to the calibration wire 40 as the band fixing part 30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part 12 recessed in the calibration body part 10 to a predetermined depth. A gap for providing a traction force can be secured.

그리고, 상기 수용부(12)는 상기 밴드고정부(30)가 기설정된 각도로 배치되도록 종방향을 따라 상기 교정몸체부(10)의 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12)는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상측에서 하측, 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교정몸체부(10)의 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portion 1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correction body portion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band fixing portion 3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at is, the accommodating part 1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calibration body 10 as it go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r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calibration body part 10.

또한, 상기 교정몸체부(10)는 상기 수용부(12)를 기준으로 폭방향 양측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정몸체부(10)의 폭방향 일측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t)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폭방향 타측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t) 중 인접한 다른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정몸체부(10)의 폭방향 일측 및 타측이 상호간 일체로 연결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rrection body 10 may be divided into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based on the receiving part 12. Here,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rthodontic body 10 may be fixed to any one of the teeth to be corrected (t), and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fixed to the other adjacent one of the teeth to be corrected (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rrection body 1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브라켓부(20)는 복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교정몸체부(10)로부터 상기 교정몸체부(10)의 타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bracket portion 20 is provided in a plurality, it is preferable that each protruding integrally extends from the correction body portion 10 to the other direction of the correction body portion 10.

상세히, 상기 브라켓부(20)는 상기 교정몸체부(10)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상기 교정몸체부(10)의 타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부(20)가 한쌍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In detail, the bracket part 20 is preferably protruded integrally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orthodontic body part 10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other direction of the orthodontic body part 10. In this case, a case in which the bracket parts 20 are provided in a pai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an example.

여기서, 상기 교정몸체부(10) 및 상기 브라켓부(20) 사이의 경계면은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브라켓부(20)의 각 모서리는 구강내 배치시 피시술자의 연조직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interface between the orthodontic body portion 10 and the bracket portion 20 may be formed to be stepped, and in some cases, may be formed as a continuous outer surface profile. Moreover, each corner of the bracket part 20 may be formed to be rounded so as to prevent damage to the soft tissue of the person to be treated when placed in the oral cavity.

또한, 각 상기 브라켓부(20)의 폭방향 내측면 형상은 폭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각 상기 브라켓부(20)의 폭방향 내측면은 상기 수용부(12)에 대응되어 종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inner side surface in the width direction of each of the bracket portions 2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of the correction body portion 10 toward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Moreover, the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bracket portions 20 in the width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receiving portion 12 an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각 상기 브라켓부(20)에는 장력을 제공하는 상기 교정와이어(40)가 삽입 및 고정되도록 횡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홀(21)이 각각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횡방향이라 함은 피시술자의 치열궁에 대응되는 폭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holes 21 are respectively formed through the brackets 20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correction wire 40 providing tension is inserted and fixed. In this case, the transverse direction is preferably understood as the width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ental arch of the person to be treated.

여기서, 상기 브라켓부(20)는 상기 교정몸체부(10)의 폭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제1브라켓부(20a)와, 상기 교정몸체부(10)의 폭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제2브라켓부(20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홀(21)은 상기 제1브라켓부(20a)에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결합홀(21a)과, 상기 제2브라켓부(20b)에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결합홀(21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bracket part 20 includes a first bracket part 20a form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libration body part 10, and a second bracket part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libration body part 1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20b). In addition, the coupling hole 21 includes a first coupling hole 21a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bracket portion 20a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a second coupling hole 21a penetrating through the second bracket portion 20b in a transverse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upling hole (21b).

상세히, 각 상기 결합홀(21)은 치열 교정치료시 장력을 제공하는 상기 교정와이어(40)가 삽입되도록 각 상기 브라켓부(20)의 기설정된 위치에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상기 결합홀(21)은 상기 교정와이어(40)가 내삽 및 고정되도록 관통 형성된 내주가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홀(21)의 내경은 상기 교정와이어(40)의 외경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each of the coupling holes 21 is preferably formed transversely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each of the brackets 20 so that the orthodontic wire 40 that provides tension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is inserted. In addition, each of the coupling holes 21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inner circumference formed therethrough so that the calibration wire 40 is inserted and fixed. At this time,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ing hole 21 is preferably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alibration wire (40).

또한, 상기 교정용 브라켓(100)의 설계 과정에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t)의 부정교합 정도에 따라 상기 교정와이어(40)의 장력이 정밀하게 전달되도록 각 상기 결합홀(21)의 개구위치 및 개구방향이 개별적으로 설계 및 제조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design process of the orthodontic bracket 100, the opening position of each of the coupling holes 21 and the tension of the orthodontic wire 40 are accurately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locclusion of the orthodontic tooth t. The opening direction can be individually designed and manufactured.

여기서, 상기 교정와이어(40)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t)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며 각 상기 결합홀(21)에 삽입 및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교정와이어(40)가 각 상기 결합홀(21)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교정대상 치아(t)에 치열 교정치료를 위한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Here, the orthodontic wire 40 is provided to provide a tension for adjusting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orthodontic tooth t, and is preferably inserted and fixed in each of the coupling holes 21. Accordingly, as the orthodontic wire 4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each of the coupling holes 21, tension for orthodontic treatment may be provided to the orthodontic tooth t.

또한, 경우에 따라 각 상기 브라켓부(20)에는 상기 교정와이어(40)가 복수개 배치되도록 상기 결합홀이 상하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각 상기 브라켓부(20)마다 복수개의 결합홀이 상호간 상하방향을 따라 정렬되어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the correction wires 40 are disposed in each of the bracket parts 20. That is, for each of the bracket portions 20,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may be aligned and formed throug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상기 밴드고정부(30)는 각 상기 브라켓부(20) 사이의 와이어배치라인(s) 및 상기 교정몸체부(10)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밴드고정부(30)는 각 상기 결합홀(21)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교정와이어(40) 및 상기 교정몸체부(10) 사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band fixing part 30 is preferably provided between the wire arrangement line (s) between each of the brackets 20 and the correction body 10. That is, the band fixing part 30 is preferably disposed between the calibration wire 40 and the calibration body 10 in a state inserted into each of the coupling holes 21.

이때, 각 상기 브라켓부(20) 사이에는 가상 공간인 와이어배치라인(s)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배치라인(s)은 상기 교정와이어(40)가 치열 교정치료 과정 초기에 배치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각 상기 결합홀(21) 사이에 횡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wire arrangement line s, which is a virtual space, may be formed between each of the bracket parts 20. The wire arrangement line (s) refers to an area in which the orthodontic wire 40 is disposed at the beginning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process, and may preferabl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each of the coupling holes 21. .

그리고, 상기 교정와이어(40)는 치열 교정치료 과정 초기에 상기 와이어배치라인(s)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종래에는 치열 교청치료 과정에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교정대상 치아(t)의 위치가 변형됨에 따라 상기 교정와이어(40)가 느슨해지며 장력이 약화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 교정와이어(40)가 상기 교정몸체부(10)의 타방향으로 이탈되므로 추가적인 장력의 보정작업이 요구되었다.In addition, the orthodontic wire 40 may be disposed along the wire arrangement line (s) at the beginning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process. At this time, in the prior art, as the position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t) is deformed as time elapses in the process of dental bridge treatment, the orthodontic wire 40 is loosened and the tension is weakened. Accordingly, since the calibration wire 40 is separat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calibration body 10, an additional tension correction operation is required.

여기서, 치열 교청치료 과정의 경과에 따른 교정대상 치아(t)의 위치 변형과 실질적으로 관계없이 교정와이어(40)의 장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견인력을 제공하는 견인밴드(50)의 양단부가 걸림되는 밴드고정부(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Here, both ends of the traction band 50 providing a traction force so that the tension of the orthodontic wire 40 is continuously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positional deformation of the orthodontic tooth t along the course of the dentition orthodontic treatment proc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band fixing part 30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밴드고정부(30)는 상기 교정와이어(40)를 경유하여 상기 밴드고정부(30)의 양단부에 걸림되는 상기 견인밴드(50)가 상기 교정와이어(40)에 제공하는 견인력이 확보되도록 상기 와이어배치라인(s)과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band fixing part 30 secures the traction force provided to the calibration wire 40 by the traction band 50 that is caught on both ends of the band fixing part 30 via the calibration wire 40 It is preferabl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ire arrangement line (s).

이때, 경유한다는 말은 양측이 밴드고정부(30)의 양단부에 걸림되어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견인밴드(5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중앙측이 횡방향으로 배치된 교정와이어(40)에 걸림되도록 'ㄱ'자 형상으로 각도지게 배치됨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word passing means that both sides are hooked to both ends of the band fixing part 30 and one side of the traction band 50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eferably the center side is caught in the calibration wire 40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means that it is arranged at an angle in the shape of “a” as possible.

그리고, 상기 밴드고정부(30)에는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되어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몸체부(3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부(31)는 상기 교정와이어(40)를 견인 가압하는 상기 견인밴드(50)가 상기 밴드고정부(3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걸림되도록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되어 종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and fixing part 30 is provided with a fixing body part 31 which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dispos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xing body 31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such that the traction band 50 for traction and pressurization of the correction wire 40 is engag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d fixing part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placed.

상세히, 상기 밴드고정부(30)의 교정몸체부(31)는 상기 교정몸체부(10) 및 상기 와이어배치라인(s)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교정몸체부(10)의 타면 중앙부, 즉 상기 수용부(12)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correction body portion 31 of the band fixing portion 30 is disposed between the correction body portion 10 and the wire arrangement line (s), the central port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correction body portion 10, that is, the accommodation It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part 12.

여기서, 상기 밴드고정부(30)의 교정몸체부(31)가 상기 수용부(12)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교정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정몸체부(10) 및 상기 밴드고정부(30)가 개별 구비되어 상호간 결합될 수도 있다. Here, the correction body portion 31 of the band fixing portion 3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12 to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rrection body portion 10, and in some cases, the correction body portion (10) and the band fixing part 30 may be separately provided and combined with each other.

이에 따라,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기 교정와이어(40)를 견인 가압하는 견인밴드(50)가 걸림되는 상기 밴드고정부(30)가 치열 교정치료를 위해 장력을 제공하는 상기 교정와이어(40)와의 간섭이 방지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band fixing portion 30, in which the traction band 50 for traction and pressurization of the correction wire 40 is engag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terferes with the correction wire 40 to provide tension for orthodontic treatment It can be placed in a prevented position.

따라서, 각 상기 브라켓부(20) 사이의 와이어배치라인(s) 및 상기 교정몸체부(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밴드고정부(30)의 외면은 상기 와이어배치라인(s)과 상호간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밴드고정부(30)의 외면은 상기 교정와이어(40)와 상호간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교정와이어(40)에 상기 견인밴드(50)에 의한 견인력이 제공되기 위한 간격이 확보될 수 있다. Therefore,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ire arrangement line (s) between each of the bracket portion 20 and the correction body (10). In this case, the outer surface of the band fixing part 3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rom the wire arrangement line (s).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band fixing part 3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rom the calibration wire 40. Through this, a gap for providing a traction force by the traction band 50 to the calibration wire 40 may be secured.

또한, 상기 밴드고정부(30)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상기 견인밴드(50)가 연결되어 상기 교정와이어(40)에 견인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종방향 외측으로 각각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d fixing part 30 are respectively exposed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rection body 10 so that the traction band 50 is connected to provide a traction force to the correction wire 40 Do.

상세히, 상기 밴드고정부(3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밴드고정부(30)의 고정몸체부(31)로부터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각 연장 돌설되는 연장돌설부(32)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장돌설부(32)는 제1연장돌설부(32a)와 제2연장돌설부(32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extension protrusions 32 protruding from the fixing body 31 of the band fixing part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nd fixing part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sion protrusion 32 includes a first extension protrusion 32a and a second extension protrusion 32b.

여기서, 각 상기 연장돌설부(32)는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종방향 외측으로 각각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연장돌설부(32)의 종방향 단부가 상기 교정대상 치아(t)의 외측으로 노출됨이 방지되도록 각 상기 연장돌설부(32)의 종방향 길이는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ere, each of the extension protrusions 32 is preferably exposed to the out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rection body 1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longitudinal length of each of the extension protrusions 32 is preferably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longitudinal end of each of the extension protrusions 32 is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ooth t to be corrected. .

또한, 상기 교정몸체부(31) 및 상기 연장돌설부(32)의 길이방향 각 단부에 형성된 모서리는 구강내 배치시 피시술자의 연조직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rners formed at each end of the orthodontic body part 31 and the extension protrusion part 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rounded to prevent damage to the soft tissue of the patient when placed in the oral cavity.

그리고, 상기 밴드고정부(30)의 양단부측에는 상기 교정와이어(40)를 견인 가압하는 견인밴드(50)가 걸림되도록 길이방향 양단부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기 걸림부(33)가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ocking portion is formed to be recessed radially in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traction bands 50 for traction and pressurization of the calibration wire 40 are engaged at both end sides of the band fixing part 30 ( 33) is preferably formed respectively.

상세히, 상기 걸림부(33)는 상기 고정몸체부(31) 및 각 상기 연장돌설부(32) 사이의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각각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portions 33 are formed respectively recessed radially in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outer circumference between the fixed body portion 31 and each of the extension protrusions 32.

여기서, 상기 걸림부(33)는 상기 고정몸체부(31) 및 상기 제1연장돌설부(32a) 사이의 외주에 함몰 형성되는 제1걸림부(33a)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부(33)는 상기 고정몸체부(31) 및 상기 제2연장돌설부(32b) 사이의 외주에 함몰 형성되는 제2걸림부(33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portion 33 includes a first locking portion 33a recessed in the outer periphery between the fixed body portion 31 and the first extension protrusion 32a.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portion 33 includes a second locking portion 33b recessed in the outer periphery between the fixed body portion 31 and the second extension protruding portion 32b.

이러한 각 상기 연장돌설부(32) 및 각 상기 걸림부(33)는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종방향 외측으로 각각 노출된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밴드고정부(3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견인밴드(50)가 걸림되는 상기 걸림부(33)가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종방향 외측으로 각각 노출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교정와이어(40)에 상기 견인밴드(50)에 의한 견인력이 제공되기 위한 각도가 확보될 수 있다. Each of the extension protrusions 32 and each of the locking portions 33 are preferably formed at positions exposed to the out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rection body 10. Accordingly, the locking portions 33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d fixing portion 30 to which the traction band 50 is engaged are formed at positions exposed to the longitudinal outer side of the correction body portion 10, respectively. Can be. Accordingly, an angle for providing the traction force by the traction band 50 to the correction wire 40 may be secured.

이를 통해, 상기 견인밴드(50)가 각 상기 브라켓부(20) 사이에 배치된 상기 교정와이어(40), 및 상기 교정몸체부(10) 사이에 구비된 상기 밴드고정부(3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형성된 걸림부(33)에 각각 걸림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traction band 50 is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correction wire 40 disposed between each of the brackets 20, and the band fixing portion 30 provided between the correction body 10 Each of the locking portions 33 formed at both ends may be locked.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33)가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종방향 외측으로 각각 노출된 위치에 형성되므로 상기 견인밴드(50)가 상기 교정와이어(40)에 제공하는 견인력이 제공되기 위한 간격 및 각도가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치열 교정치료를 위한 상기 교정와이어(40)의 장력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t)에 지속적으로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locking portion 33 is formed in a position exposed to the out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rection body portion 10, the traction band 50 is to provide a traction force provided to the correction wire 40 Spacing and angles can be secured. Accordingly, the tension of the orthodontic wire 40 for orthodontic treatment may be continuously and uniformly provided to the orthodontic tooth t.

여기서, 상기 제1걸림부(33a)에는 링형의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상기 견인밴드(50)의 일측이 걸림 또는 권취되며, 상기 제2연장돌설부(32b)에는 상기 견인밴드(50)의 타측이 걸림 또는 권취됨이 바람직하다.Here, one side of the traction band 50 provided with a ring-shaped elastic material is caught or wound on the first locking part 33a, and the other side of the traction band 50 is provided in the second extension protrusion 32b. It is preferable to be caught or wound up.

그리고, 양측이 각 상기 걸림부(33)에 걸림 또는 권취된 상태의 상기 견인밴드(50)의 중앙측이 상기 결합홀(21)에 배치된 상기 교정와이어(40)보다 상기 교정몸체부(10)의 타방향으로 더 이동된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교정와이어(40)가 상기 밴드고정부(30) 및 상기 견인밴드(50)의 사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And, the central side of the traction band 50 in a state in which both sides are hooked or wound on each of the locking portions 33 is the calibration body 10 than the calibration wire 40 disposed in the coupling hole 21 ) It is preferable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further moved in the other direction. That is, the calibration wire 40 is preferably disposed between the band fixing portion 30 and the traction band 50.

이에 따라, 양측이 각 상기 걸림부(33)에 걸림 또는 권취된 상태의 상기 견인밴드(50)의 중앙측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일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를 통해, 상기 교정와이어(40)가 상기 견인밴드(50)에 의해 견인 가압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entral side of the traction band 50 in a state in which both sides are locked or wound by each of the locking portions 33 are pressed in one direction of the correction body 10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Through this, the correction wire 40 may be traction and pressurized by the traction band 50.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홀(21)에 배치된 상기 교정와이어(40) 및 상기 밴드고정부(30)의 길이방향 양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배치각도는 기설정된 각도 범위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와이어배치라인(s) 및 한쌍의 각 상기 걸림부(33) 사이에 형성되는 배치각도가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referring to FIG. 2, it is preferable that the alignment angle formed between the straightening wire 40 disposed in the coupling hole 21 and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d fixing portion 30 is formed within a preset angle range. Do.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arrangement angle formed between the wire arrangement line s and the pair of each of the locking portions 33 is 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각도 범위는 0~180°사이의 배치각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견인밴드(50)가 상기 교정와이어(40)에 제공하는 견인력이 최적화되는 배치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preset angle range may be formed at an arrangement angle between 0 and 180°, and most preferably, the traction band 50 is formed at an arrangement angle in which the traction force provided to the correction wire 40 is optimized. Can be.

예컨대, 상기 교정와이어(40) 및 상기 밴드고정부(30)의 길이방향 양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배치각도가 90°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정와이어(40)가 배치된 위치의 수평면에서 상기 밴드고정부(30)의 길이방향 양단부 까지의 배치각도가 각각 45°로 구분될 수 있으며, 또는 각각 30°및 60°로 구분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an arrangement angle formed between both ends of the calibration wire 40 and the band fixing part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set to 90°. At this time, the angle of arrangement from the horizontal plane of the position where the calibration wire 40 is arranged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d fixing part 30 may be divided into 45°, or may be divided into 30° and 60°, respectively. May be.

따라서, 상기 견인밴드(50)가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일방향으로 작용하는 견인력의 코사인(cosine) 성분이 최적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교정와이어(40) 및 상기 밴드고정부(30)의 길이방향 양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배치각도가 기설정된 각도 범위내로 형성되므로 상기 견인밴드(50)가 상기 교정와이어(40)에 제공하는 견인력이 최적화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sine component of the traction force that the traction band 50 acts in one direction of the correction body 10 can be optimized. Accordingly, the traction band 50 is provided to the calibration wire 40 because the arrangement angle formed between the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libration wire 40 and the band fixing part 30 is formed within a preset angular range. Traction can be optimized.

한편, 상기 밴드고정부(30)는 치열 교정치료를 위한 상기 견인밴드(50)의 견인력이 최적화된 각도로 형성되도록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일면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각도는 상기 견인밴드(50)가 상기 교정와이어(40)에 제공하는 치열 교정치료를 위한 최적화된 각도로 설정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band fixing part 30 is preferably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orthodontic body part 10 so that the traction force of the traction band 50 for orthodontic treatment is formed at an optimized angle.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determined angle is set to an optimized angle for orthodontic treatment provided by the traction band 50 to the correction wire 40.

여기서, 상기 밴드고정부(30)는 종방향을 따라 상기 교정몸체부(10)의 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수용부(12)에 배치됨에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밴드고정부(30)는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상측에서 하측, 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교정몸체부(10)의 타방향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Her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band fixing part 3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as it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part 12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correction body part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band fixing part 30 may be disposed in a state inclined inclin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correction body 10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correction body part 10.

이에 따라, 탄성 재질의 상기 견인밴드(50)가 걸림되도록 양단부에 상기 걸림부(33)가 형성된 상기 밴드고정부(30)가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일면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견인밴드(50)가 치열 교정치료를 위한 최적화된 각도로 배치되어 상기 교정와이어(40)를 견인 가압하므로 치열 교정치료의 정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band fixing portion 30 having the locking portions 33 formed at both ends so that the traction band 50 of an elastic material is locked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correction body 10 Can be deployed in a true state. Accordingly, since the traction band 50 is disposed at an optimized angle for orthodontic treatment to traction and press the orthodontic wire 40, the accuracy of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여기서, 상기 교정와이어(40)는 치열 교정치료를 위한 장력을 제공하도록 각 상기 브라켓부(20)에 횡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결합홀(21)에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교정와이어(40)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브라켓부(20)에 치열 교정치료를 위한 장력이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orthodontic wire 40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1 formed through the bracket portion 20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to provide tension for orthodontic treatment. Through this, tension for orthodontic treatment may be provided to the plurality of bracket portions 20 by the orthodontic wire 40.

또한, 상기 견인밴드(50)는 상기 교정와이어(40)를 가압하여 견인력을 제공하도록 기설정치 이상의 탄성복원력을 갖는 링형의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견인밴드(50)의 양측은 각 상기 걸림부(33)에 걸림 또는 권취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링형으로 구비된 상기 견인밴드(50)의 중앙측은 상기 교정와이어(40)에 걸림되어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일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밴드(50)의 중앙측이 상기 교정와이어(40)에 의해 걸림되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ction band 5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ing-shaped elastic material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to provide a traction force by pressing the correction wire 40. 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traction band 50 are preferably fixed by being hooked or wound on each of the locking portions 33. At the same time, the central side of the traction band 50 provided in a ring shape may be caught by the calibration wire 40 and pressed in one direction of the calibration body part 10.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central side of the traction band 50 may be caught by the correction wire 40 to be bent in a'L' shape.

이를 통해, 각 상기 걸림부(33)에 걸림 또는 권취된 상기 견인밴드(50)의 양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교정와이어(40)에 걸림된 상기 견인밴드(50)의 중앙측이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일방향으로 탄성복원되며 견인력이 작용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central side of the traction band 50 caught in the calibration wire 40 while both sides of the traction band 50 hooked or wound on each of the locking portions 33 are fixed, the calibration body It is elastically restored in one direction of the part 10 and a traction force may be applied.

한편,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치열 교정장치(100)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교정몸체부(10)의 형합면(11)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t)의 표면에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부(20)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21)에 상기 교정와이어(4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교정와이어(40)가 치열 교정치료를 위한 장력이 작용하여 상기 교정대상 치아(t)가 교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First, the mating surface 11 of the orthodontic body part 10 is fix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t, and the orthodontic wire 40 is in the coupling hole 21 formed in the bracket part 20 Can be inserted. Accordingly, the orthodontic wire 40 acts as a tension for orthodontic treatment, so that the teeth to be corrected t can be corrected.

그리고, 상기 밴드고정부(3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걸림부(33)에 상기 견인밴드(50)의 양측이 각각 걸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밴드(50)의 중앙측이 상기 교정와이어(40)에 접촉되어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일방향으로 견인 가압될 수 있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traction band 50 may be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s 33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nd fixing part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central side of the traction band 50 may be in contact with the calibration wire 40 to be traction and pressurized in one direction of the calibration body part 10.

여기서, 상기 교정와이어(40)가 상기 밴드고정부(30) 및 상기 견인밴드(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견인밴드(50)에 의해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일방향으로 견인 가압될 수 있다.Here, the correction wire 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nd fixing portion 30 and the traction band 50 to be traction and pressurized in one direction of the correction body portion 10 by the traction band 50. .

따라서, 상기 브라켓부(20)의 결합홀(21)에 삽입되어 교정대상 치아(t)에 장력을 제공하는 상기 교정와이어(40)가 상기 밴드고정부(30)의 양단부에 걸림되는 탄성재질의 견인밴드(50)에 의해 지속적으로 견인 가압된다.Therefore, the correction wire 40 tha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1 of the bracket part 20 to provide tension to the tooth t to be correcte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caught on both ends of the band fixing part 30. It is continuously traction and pressurized by the traction band 50.

이에 따라, 치열 교정치료 과정 경과에 따른 상기 교정대상 치아(t)의 배치 위치 변형시에도 상기 교정와이어(30)의 장력이 지속적으로 균일하게 유지되므로 치열 교정치료의 연속성 및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t)의 배치 위치가 변형됨에 따라 상기 교정와이어(30)의 장력이 느슨해져 치열 교정치료 작용이 중단되는 기간 없이 치열 교정치료가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수행되므로 효율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tension of the orthodontic wire 30 is continuously uniformly maintained even when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orthodontic tooth t along the course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process is changed, the continuity and efficiency of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improved. . That is, as in the prior art, as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orthodontic tooth (t) is deformed, the tension of the orthodontic wire 30 is loosened, so that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substantially continuously performed without a period in which the orthodontic treatment action is stopped, so efficiency is improved I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따라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t)의 배치 위치가 변형됨에 따라 상기 교정와이어(40)의 장력이 느슨해져 치열 교정치료 작용이 중단되던 종래와 달리, 치열 교정치료 작용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교정와이어(40)에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상기 견인밴드(50)의 견인력에 의해 교정치료의 연속성이 개선되어 교정 치료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Therefore, unlike the prior art in which the orthodontic treatment action was stopped due to the loosening of the tension of the orthodontic wire 40 as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orthodontic tooth t is deformed, the orthodontic treatment action can be substantially continuously performed. . Through this, the continuity of orthodontic treatment is improved by the traction force of the traction band 50 that is continuously provided to the orthodontic wire 40, so that the period of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shortened.

더욱이, 교정대상 치아(t)의 변형으로 인한 상기 교정와이어(30)의 장력을 보정하는 작업이 실질적으로 요구되지 않아 치열 교정 치료를 위한 치과 내방 횟수가 최소화되므로 시술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operation of correcting the tension of the orthodontic wire 30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orthodontic tooth t is not substantially required, the number of visits to the dentist for orthodontic treatment is minimiz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밴드고정부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교정와이어(40)에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재질의 탄성견인로프(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견인로프(미도시)가 상기 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some cases, a through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band fixing part along the length direction. Here, an elastic traction rope (not shown)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providing traction force to the correction wire 40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e elastic traction rope (not shown)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not shown). I can.

그리고, 상기 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된 상기 탄성견인로프(미도시)의 양단부가 상호간 결속되되, 상기 교정와이어(40)의 외측에 상기 탄성견인로프(미도시)가 걸림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elastic traction rope (not shown)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not shown) are bound to each other, and the elastic traction rope (not shown)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alibration wire 40 so that the elastic traction rope (not shown) is engaged. have.

이에 따라, 상기 교정와이어(40)가 상기 탄성견인로프(미도시)에 의해 상기 교정몸체부(10)의 일방향으로 견인 가압되므로 치열 교정치료 과정에서의 최종 단계까지 상기 교정와이어(40)에 지속적인 견인력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치열 교정치료의 정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correction wire 40 is traction and pressurized in one direction of the correction body part 10 by the elastic pull rope (not shown), the correction wire 40 continues to the final stage in the orthodontic treatment process. Traction can be provided. Therefore, the accuracy of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욱이, 상기 탄성견인로프(미도시)가 상기 교정와이어(40)를 견인 가압하는 상태에서 각 상기 걸림부(33)에 한쌍의 보조견인밴드(미도시)가 각각 배치되어 상기 보조견인밴드(미도시)가 상기 탄성견인로프(미도시)를 가압할 수도 있다. Moreover,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traction rope (not shown) traction and presses the calibration wire 40, a pair of auxiliary traction bands (not shown) are disposed on each of the locking portions 33, respectively, so that the auxiliary traction band (not shown) Si) may press the elastic pull rope (not shown).

이를 통해, 상기 탄성견인로프(미도시)가 상기 교정와이어(40)에 제공하는 견인력이 상기 보조견인밴드(미도시)를 통해 지속적으로 보강됨에 따라 교정대상 치아(t)의 변형시에도 상기 교정와이어(40)의 장력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치열 교정치료의 정확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rough this, as the traction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traction rope (not shown) to the calibration wire 40 is continuously reinforced through the auxiliary traction band (not shown), the correction even when the tooth t to be corrected is deformed. The tension of the wire 40 can be maintained uniformly. Therefore, the accuracy of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improved.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are not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possible to be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claim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치열 교정장치 10: 교정몸체부
11: 형합면 20: 브라켓부
21: 결합홀 30: 밴드고정부
32: 연장돌설부 33: 걸림부
40: 교정와이어 50: 견인밴드
100: orthodontic appliance 10: correction body
11: mating surface 20: bracket
21: coupling hole 30: band fixing unit
32: extension protrusion 33: locking portion
40: calibration wire 50: traction band

Claims (6)

일면이 교정대상 치아의 표면에 고정되는 교정몸체부;
상기 교정몸체부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상기 교정몸체부의 타측으로 일체로 연장 돌설되며, 장력을 제공하는 교정와이어가 삽입 및 고정되도록 횡방향을 따라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는 복수개의 브라켓부; 및
상기 브라켓부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교정와이어를 견인 가압하도록 경유하는 탄성재질의 견인밴드가 걸림되도록 양단부에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는 밴드고정부를 포함하는 치열 교정장치.
An orthodontic body portion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A plurality of bracket portions extending integrally from both sides of the correction body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other side of the correction body portion and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therethrough along a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a correction wire providing tension is inserted and fixed; And
Doedoe provided between the brackets, the orthodontic appliance comprising a band fixing portion each formed at both ends to engage the traction band of an elastic material passing through to traction and pressurizing the correction wi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고정부의 외면은 상기 교정와이어와 이격 배치되되,
상기 밴드고정부의 양단부는 상기 교정와이어가 상기 견인밴드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견인 가압되도록 상기 교정몸체부의 종방향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f the band fixation The outer surface is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calibration wire,
Orthodontic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ends of the band fixing unit are exposed to each protrude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rection body so that the correction wire is continuously traction and pressuriz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raction ba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에 배치된 상기 교정와이어 및 상기 밴드고정부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치각도는,
상기 견인밴드가 상기 교정와이어에 제공하는 견인력이 최적화되도록 기설정된 각도 범위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arrangement angle formed between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libration wire and the band fixing part disposed in the coupling hole,
Orthodontic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ction band is 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so that the traction force provided to the correction wire is optimiz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밴드의 양측이 각 상기 걸림부에 각각 걸림 및 고정되며, 상기 견인밴드의 중앙측이 상기 교정와이어에 견인력을 제공하며 가압 접촉되되,
상기 교정와이어는 상기 견인밴드에 의해 상기 교정몸체부의 일방향으로 견인 가압되도록 상기 밴드고정부 및 상기 견인밴드 사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Both sides of the traction band are respectively engaged and fixed to each of the locking portions, and the central side of the traction band provides a traction force to the calibration wire and is in pressure contact,
The orthodontic orthodontic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ction wire is disposed between the band fixing portion and the traction band so as to be traction and pressurized by the traction band in one direction of the correctio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몸체부의 타측에는 상기 교정몸체부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상기 교정몸체부의 일방향으로 함몰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의 함몰 깊이는 상기 견인밴드가 상기 교정와이어에 제공하는 견인력이 제공되기 위한 각도 및 간격이 확보되도록 상기 밴드고정부의 최대 직경 이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other side of the calibration body part, a receiving part is formed which is recessed in one direction of the calibration body part from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libration body part toward the center part,
An orthodontic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ression depth of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diameter of the band fixing portion so that an angle and a gap for providing the traction force provided by the traction band to the correction wire are secur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고정부는 치열 교정치료를 위한 상기 견인밴드의 견인력이 최적화된 각도로 형성되도록 상기 교정몸체부의 일면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nd fixing part is an orthodontic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ction band for orthodontic treatment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orthodontic body so that the traction force of the traction band is formed at an optimized angle.
KR1020190039979A 2019-04-05 2019-04-05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KR1021647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979A KR102164764B1 (en) 2019-04-05 2019-04-05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979A KR102164764B1 (en) 2019-04-05 2019-04-05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764B1 true KR102164764B1 (en) 2020-10-14

Family

ID=7284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979A KR102164764B1 (en) 2019-04-05 2019-04-05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764B1 (en)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752B1 (en) * 2006-09-08 2008-02-21 김옥경 Orthodontic device
KR100845600B1 (en) * 2007-04-27 2008-07-10 강애리 A tooth bracket of tangled tooth for realignment
JP2009532134A (en) * 2006-03-31 2009-09-10 アールエムオー,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Orthodontic bracket with liner archwire slot and cover
KR100991447B1 (en) 2008-08-13 2010-11-04 주보훈 correction apparatus for anterior teeth and/or lip profusion and the method thereof
KR20120110982A (en) * 2011-03-31 2012-10-10 정재욱 Member to cover wire and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having the same
KR20140011181A (en) * 2012-07-18 2014-01-28 김종호 A orthodontic bracket
KR20140014581A (en) * 2012-07-25 2014-02-0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Orthodontic dual slot bracket assembly
KR101381322B1 (en) * 2012-04-20 2014-04-04 (주)덴토스 Molar teeth lingual bracket with multi functions for orthodontics
KR20160141693A (en) * 2016-11-29 2016-12-09 권순용 Dental Wire Supporter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792417B1 (en) * 2016-05-24 2017-11-0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KR101804990B1 (en) * 2016-01-04 2017-12-06 권순용 Dental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2134A (en) * 2006-03-31 2009-09-10 アールエムオー,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Orthodontic bracket with liner archwire slot and cover
KR100805752B1 (en) * 2006-09-08 2008-02-21 김옥경 Orthodontic device
KR100845600B1 (en) * 2007-04-27 2008-07-10 강애리 A tooth bracket of tangled tooth for realignment
KR100991447B1 (en) 2008-08-13 2010-11-04 주보훈 correction apparatus for anterior teeth and/or lip profusion and the method thereof
KR20120110982A (en) * 2011-03-31 2012-10-10 정재욱 Member to cover wire and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having the same
KR101381322B1 (en) * 2012-04-20 2014-04-04 (주)덴토스 Molar teeth lingual bracket with multi functions for orthodontics
KR20140011181A (en) * 2012-07-18 2014-01-28 김종호 A orthodontic bracket
KR20140014581A (en) * 2012-07-25 2014-02-0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Orthodontic dual slot bracket assembly
KR101804990B1 (en) * 2016-01-04 2017-12-06 권순용 Dental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792417B1 (en) * 2016-05-24 2017-11-0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KR20160141693A (en) * 2016-11-29 2016-12-09 권순용 Dental Wire Supporter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3317B2 (en) Class II malocclusion correction appliance for removable aligners
EP3586791B1 (en)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US8257080B2 (en) Low profile orthodontic bite corrector
US20200085538A1 (en) Maxillary teeth orthodontic device
TWI697323B (en)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KR20190080789A (en) Orthodontic space closure device
KR101137926B1 (en) Buccal supporting device for orthodontics
US201402727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malocclusions and teeth alignment
KR102209805B1 (en) orthodontic digital turbo bracket
WO20160856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malocclusions and teeth alignment
KR102164764B1 (en)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KR101249175B1 (en) Orthodontic apparatus
US11246683B1 (en) Orthodontic band attachment device
KR101655307B1 (en) Orthodontic apparatus for malocclusion
US11298214B2 (en) Overdenture holder device
KR101479598B1 (en) Appliance for Protraction of maxillary bone
CN110840591A (en) Palatal side bracket type implant anchorage
KR102181712B1 (en) wire fixing bracket for orthodontics
KR102246987B1 (en) orthodontics system and multi retainer manufacturing method applied to thereof
KR102092395B1 (en) Orthodontic device
KR102101870B1 (en)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KR102619130B1 (en) orthodontic digital bracket
CN219184213U (en) Molar remote-moving device for mandibular dentition defect
KR20230115420A (en) wire fixing tube for orthodontics
CN113349955A (en) Device for correcting tooth lingual dislo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