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615Y1 - 교정용 스크류 - Google Patents

교정용 스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615Y1
KR200345615Y1 KR20-2003-0036694U KR20030036694U KR200345615Y1 KR 200345615 Y1 KR200345615 Y1 KR 200345615Y1 KR 20030036694 U KR20030036694 U KR 20030036694U KR 200345615 Y1 KR200345615 Y1 KR 200345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connector
head
continuously
gingiv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진
백재호
김수홍
Original Assignee
김수홍
전영진
백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홍, 전영진, 백재호 filed Critical 김수홍
Priority to KR20-2003-0036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6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6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19Blade implants
    • A61C8/0021Blade implants with self-incising cutt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조골에 식립되어 치아교정시 고정원으로 사용되는 교정용 스크류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걸림구(110)와, 상기 걸림구(110)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결찰구(120)와, 상기 결찰구(120)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연결구(130)로 구성된 머리부(100)와; 상기 머리부(100) 측면에 형성되고, 중심방향으로 함몰되어 수직형성된 공구결합부(200)와; 상기 머리부(100) 측면 중앙에 형성되고, 수평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고정부(300)와; 상기 연결구(130) 하부에 연속하여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부는 상기 연결부 하면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하향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된 치은보호부(400)와; 상기 치은보호부(400) 하부에 연속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치은보호부(400) 하부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나사기둥(510)과, 상기 나사기둥(510)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치은보호부(400) 하부의 지름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나사산(520)과, 끝단부가 경사절단되어 형성된 첨예구(530)로 구성된 나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스크류를 치조골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식립하여 치아 교정시 확실한 고정원으로 사용할 수 있고, 치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염증 및 환자의 통증을 최소화하여 치조골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교정용 스크류{screw for orthodontic treatment}
본 고안은 치조골에 식립되어 치아교정시 고정원으로 사용되는 교정용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된 전치부 등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나 치아들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반드시 고정원이 필요하게 된다. 즉 어떤 한 부분은 고정원으로서 움직이지 않아야 하고 이동시키고자 하는 치아에는 지속적인 힘이 주어져야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고정원으로서 어금니를 주로 사용하여 왔다. 즉 어금니와 이동시키고자 하는 치아에 소정의 브라켓을 부착한 후, 상기 브라켓에 스프링이나 고무줄과 같은 탄성부재나 여러가지 호선 등을 연결하여 어금니가 고정원이 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고정원으로서 어금니가, 이동시키고자 하는 치아를 당기는 작용과 함께, 이동시키고자 하는 치아로부터 어금니가 당겨지는 반작용이 반드시 함께 발생하기 때문에, 고정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어금니가 다소 이동하게 된다. 고정원으로서 사용되는 어금니가 이동되는 경우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입술이 앞으로 나와있는 환자들은 치아를 발치한 후 효과적으로 입술을 후방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
이처럼 고정원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외에 고정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비심미적이고 불편하여 환자의 협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치료가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구내에 고정원을 설치하는 방법 중에서도, 치조골에 스크류를 식립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스크류를 치조골에 식립하고 이동을 원하는 치아들 측에 소정의 브라켓을 부착한 후 브라켓과 스크류를 스프링이나 교정용 고무줄 등으로 된 탄성부재와 연결하거나 브라켓에 결찰된 와이어에 연결하여 소정의 힘으로 잡아 당겨 치아, 주로 전치부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크류를 고정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구치부의 이동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이 간단하고 단시간 내에 교정력을 효과적으로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는 종래 다양한 형태가 나와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머리부(10)와, 이동시키고자하는 치아와 연결시키는 탄성부재등이 결합되는 연결부(20)와,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결합부(30)와, 그 하단에 나사부(40)로 구성되어 있거나, 머리부와 공구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스크류 형상은, 공구결합부(30)가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원형의 머리부(10) 중앙에 육각 또는 사각 형상으로 함몰된 공구결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는 스크류를 치조골에 식립할 때 공구와 공구결합부(30)간에 확실한 고정부위가 없어서 헛돌게 되거나 혹은 너무 단단하게 고정되어 스크류 매식 후 공구와 스크류의 탈착이 용이하지 않게 되기도 하며, 공구결합부(30)와 공구의 모서리를 똑바로 맞추어 결합하는 것이 곤란하여 자칫하면 스크류가 손상되거나 식립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스크류 형상은 머리부(10) 또는 공구결합부(30) 하단에 바로 나사부(4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머리부(10) 또는 공구결합부(30)가 치은에 바로 닿게 되는데, 이는 치은을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키거나 연결부에 연결된 탄성부재 등을 교환할 때 환자에게 통증을 야기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가동성 조직의 범위가 넓은 하악 구치부 후방 혹은 측방 부위에서는 기존의 스크류들이 이런 구조상 결함으로 인해 많은 환자들의 통증을 비롯한 많은 문제점들을 발생시키고 있다.
또한 스크류를 식립하기 위한 가장 좋은 치조골 부위는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스크류의 머리부(10)가 치은면에 평행하게 되지 않고 경사지게 식립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치은에 닿는 부분은 자극을 심하게 받게 되고 닿지 않는 부분은 좁은 틈이 형성되어 이 부분에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스크류 형상은 나사부(40)의 지름이 상기 머리부(10)나 공구결합부(30) 등과 비교 했을 때 매우 가늘며, 하향할수록 좁아져 단단한 피질골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파절될 위험이 있다. 이렇게 파절될 위험을 없애고자 나사부(40)를 두껍게 하면 치조골에 식립시 드릴링 과정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치조골이 손실되거나 술식이 더욱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또한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중심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공구결합부와, 소정 길이로 형성된 치은보호부와, 끝단부가 경사절단된 나사부가 형성되어 치조골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식립할 수 있고, 치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치조골을 보호할 수 있는 교정용 스크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 종래 교정용 스크류의 형상을 나타낸 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정면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상면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사시도.
도 5 -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머리부의 다른 실시예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머리부 20 : 연결부
30 : 공구결합부 40 : 나사부
100 : 머리부 110 : 걸림구
120 : 결찰구 130 : 연결구
200 : 공구결합부 300 : 고정부
400 : 치은보호부 500 : 나사부
510 : 나사기둥 520 : 나사산
530 : 첨예구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걸림구(110)와, 상기 걸림구(110)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결찰구(120)와, 상기 결찰구(120)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연결구(130)로 구성된 머리부(100)와; 상기 머리부(100) 측면에 형성되고, 중심방향으로 함몰되어 수직형성된 공구결합부(200)와; 상기 머리부(100) 측면 중앙에 형성되고, 수평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고정부(300)와; 상기 연결구(130) 하부에 연속하여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부는 상기 연결부 하면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하향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된 치은보호부(400)와; 상기 치은보호부(400) 하부에 연속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치은보호부(400) 하부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나사기둥(510)과, 상기 나사기둥(510)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치은보호부(400) 하부의 지름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나사산(520)과, 끝단부가 경사절단되어 형성된 첨예구(530)로 구성된 나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머리부(100)는, 상향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구결합부(200)는, 상기 걸림구(110) 상단에서부터 연속하여 상기 연결구(130) 하단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00)는, 상호 수직되게 하나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스크류를 치조골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식립하여 치아 교정시 확실한 고정원으로 사용할 수 있고, 치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염증 및 환자의 통증을 최소화하여 치조골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교정용 스크류의 형상을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상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의 머리부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스크류는 머리부(100), 공구결합부(200), 고정부(300), 치은보호부(400), 나사부(50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머리부(1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걸림구(110), 결찰구(120), 연결구(130)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구(1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찰구(120)는 상기 걸림구(110)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00)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찰구(120) 하부에는 연속하여 형성된 연결구(130)가 형성된다.
상기 결찰구(120)에는 이동되어져야 하는 치아와 연결되는 스프링, 천연고무소재의 고무줄 등의 탄성부재나 와이어 등이 결찰되는 부분으로서, 탄성부재나 와이어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결찰구(120) 상부에는 걸림구(110)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탄성부재나 와이어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결찰구(120)는 상기 걸림구(110)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부(100)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향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다양한 형태를 가진 치공구와의 결합을 더욱더 용이하게 하고, 치은 표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부위의 표면적을 되도록 작게하여 환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일정 정도 해소시키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공구결합부(200)는, 상기 머리부(100) 측면에 형성되고, 중심방향으로 다소 함몰되어 수직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공구를 전체 머리부분과 결합시켜 회전가압에 의해 스크류가 식립되게 되는데, 이때 공구의 돌출부분이 상기 공구결합부(200)에 수용되어, 공구와 공구결합부(200)간에 확실한 고정부위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형상은 공구결합부(200)만 공구와 맞추면 되므로 공구를 결합하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스크류의 식립이 용이하고, 공구의 분리시 스크류에 무리하게 힘이 가해지지 않아 스크류의 식립이 견고하게 된다. 또한 공구에 돌출부분이 형성되어 있다면 공구와 머리부의 사이즈가 다소 차이가 나더라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구결합부(200)는 상기 머리부(100) 측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공구의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구결합부(20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 다양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공구사용시 적은 힘으로도 많은 힘을 스크류에 전달할 수 있고, 어느 정도의 공구회전력에 의하더라도 스크류 상단이 파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폭은 대략 상기 머리부(100)의 반지름의 반정도가 적당하며, 길이는 상기 걸림구(110) 상단에서부터 연속하여 상기 연결구(130) 하단까지, 즉 머리부(100) 전체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머리부(100) 측면 중앙에 형성되고, 수평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00)는 이동되어져야 하는 치아와 연결되는 스프링, 천연고무소재의 고무줄 등의 탄성부재나 와이어 등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머리부(100) 측면에 다양한 크기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호 수직되게 하나 더 형성되게 한다. 이로써 상기 머리부(100)의 파절을 방지하면서, 개개인마다 식립위치가 달라도 와이어가 휘거나 방향이 뒤틀리지 않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치은보호부(4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치은보호부(400)는 상기 연결구(130) 하부에 연속하여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부는 상기 연결구(130) 하면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하향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된 대략 원뿔 형상이다.
상기 치은보호부(400)는 상기 머리부(100) 또는 공구결합부(200)와 별도로 그 하단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머리부(100) 또는 공구결합부(200)가 치은에 바로 닿는 것을 막고, 상기 탄성부재나 와이어등이 직접 치은면에 닿는 것을 막아주어, 치은을 자극하거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향으로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치은 자극에 의해 연조직 병변이 발생하거나 탄성부재 등을 교환할 때 환자에게 통증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가동 조직의 범위가 큰 하악 구치부 후방 혹은 측방 그리고 조직이 두꺼운 상악 구개부에도 부작용없이 모두 사용되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나사부(5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나사부(500)는 상기 치은보호부(400) 하부에 연속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나사기둥(510)과 나사산(520), 첨예구(530)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기둥(510)은 상기 치은보호부(400) 하부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기둥(510)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치은보호부(400) 하부의 지름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나사산(52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나사기둥(510)의 지름은 대략 상기 나사산(520)을 제외한 정도의 크기므로 상기 치은보호부(400)의 지름과 비교하여 조금 좁게 형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로써 스크류를 치조골은 물론 골질이 단단한 하악 협측 피질골에 식립시킬 때나 외부 자극시에도 파절될 위험을 없앴다.
상기 첨예구(530)는 상기 나사부(500) 끝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경사절단되어 날카로운 각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스크류의 파절위험을 없애고자 상기와 같이 나사기둥(510)을 다소 두껍게 형성하였으므로, 치조골에 식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사지게 절단하여 끝(cutting edge)을 날카롭게 형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스크류의 구성은, 환자의 식립환경이나 식립조건에 따라그 치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개수 또한 적당히 증감하여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또한 상기 스크류의 재료는 인체친화적이며 견고한 티타늄이나 티타늄합금 등이 적당하다.
이로써 전방으로 돌출된 전치부 등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나 치아들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피질골에 스크류를 식립하여 구내에 견고한 고정원을 확보하여 치료 목적을 원활히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스크류를 치조골은 물론 골질이 단단한 하악 협측 피질골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식립하여 치아 교정시 확실한 고정원으로 사용할 수 있고, 치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염증 및 환자의 통증을 최소화하여 치조골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걸림구(110)와, 상기 걸림구(110)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결찰구(120)와, 상기 결찰구(120)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연결구(130)로 구성된 머리부(100)와;
    상기 머리부(100) 측면에 형성되고, 중심방향으로 함몰되어 수직형성된 공구결합부(200)와;
    상기 머리부(100) 측면 중앙에 형성되고, 수평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고정부(300)와;
    상기 연결구(130) 하부에 연속하여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부는 상기 연결부 하면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하향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된 치은보호부(400)와;
    상기 치은보호부(400) 하부에 연속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치은보호부(400) 하부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나사기둥(510)과, 상기 나사기둥(510)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치은보호부(400) 하부의 지름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나사산(520)과, 끝단부가 경사절단되어 형성된 첨예구(530)로 구성된 나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100)는,
    상향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결합부(200)는,
    상기 걸림구(110) 상단에서부터 연속하여 상기 연결구(130) 하단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0)는,
    상호 수직되게 하나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스크류.
KR20-2003-0036694U 2003-11-24 2003-11-24 교정용 스크류 KR2003456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694U KR200345615Y1 (ko) 2003-11-24 2003-11-24 교정용 스크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694U KR200345615Y1 (ko) 2003-11-24 2003-11-24 교정용 스크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615Y1 true KR200345615Y1 (ko) 2004-03-18

Family

ID=49427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694U KR200345615Y1 (ko) 2003-11-24 2003-11-24 교정용 스크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6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1693A1 (en) * 2004-07-27 2006-02-02 Jeil Medical Corporation Bone screw for medical treatm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1693A1 (en) * 2004-07-27 2006-02-02 Jeil Medical Corporation Bone screw for medical treatm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1924B2 (en) Intermaxillary fix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11751911B2 (en) Intermaxillary fix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7258545B2 (en) Orthodontic anchor
US6827574B2 (en) Skeletal transmucosal orthodontic plate and method
US5853291A (en) Subperiosteal bone anchor
WO2014088116A1 (ja) スクリューの結合力維持具及び結合力維持具付きスクリュー
US20070264607A1 (en) System and process for three dimensional teeth movements using a spring retained device attached to an orthodontic micro implant
US20060199138A1 (en) Orthodontic microscrew
KR101551381B1 (ko) 치과 교정술 또는 악안면 수술용 고정원
JP4125008B2 (ja) 歯科矯正装置
JPH11164843A (ja) 歯科矯正用支持体
KR200345615Y1 (ko) 교정용 스크류
EP1535586A2 (en) Orthodontic microscrew
KR101993711B1 (ko) 치아교정용 스크류
US20040197726A1 (en) Clip type orthodontic anchor
Hernández-Alfaro et al. Transalveolar screw: A new concept for orthodontic anchorage
Sanap et al. Temporary anchorage devices in orthodontics–a brief review
CN216933534U (zh) 磨牙直立簧
JP6664937B2 (ja) ドーム型結合力維持具を備えたアンカースクリュー装置
Dhayal et al. Mini Implants in Orthodontics-A Review
KR200211698Y1 (ko) 치열교정용 볼트
Erverdi et al. Expanding the limits for esthetic strategies by skeletal anchorage
KR20200058940A (ko) 교정용 스크류
JP2016077630A (ja) スクリューの結合力維持具及び歯科矯正用支持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