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711A - 투명성이 우수한 내화학 내광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성이 우수한 내화학 내광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711A
KR20200058711A KR1020180143159A KR20180143159A KR20200058711A KR 20200058711 A KR20200058711 A KR 20200058711A KR 1020180143159 A KR1020180143159 A KR 1020180143159A KR 20180143159 A KR20180143159 A KR 20180143159A KR 20200058711 A KR20200058711 A KR 20200058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resin
based compound
resin composition
benzotriazole
triaz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0870B1 (ko
Inventor
김경태
서강준
김명욱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3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8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58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2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08K5/3475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종래 폴리카보네이트(PC) 및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얼로이의 단점인 내광성을 개선시키고, 기존 얼로이 제품의 특징인 투명성을 유지하여 금속 색감이 우수한 내화학 내광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89 중량%; (B)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39 중량%; 및 (C) 트리아진(Triazine)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화합물 및 말론산(Maronate)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UV 안정제 0.05~5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투명성이 우수한 내화학 내광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chemical and light resistance in appearance characteristics with transparency}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색감 발현이 가능하고, 기계적 물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외장재로 사용이 가능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탄성 강도와 특히, 케미칼에 대한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각종 세정제 및 화장품 등의 생활용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내열성이 낮아, 온도 변화가 심한 야외용 외장재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가 있다.
반면, 폴리카보네이트의 경우 내열성, 내충격성 등 우수한 기계적 물성으로 인하여 건설 자재, 전자기기 하우징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지만, 손소독제, 화장품, 방향제 등과 같이 생활 케미칼에 의한 물성 저하, 변색 등의 문제와 제품이 변질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두 수지의 문제점을 보완 및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며, 그 중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얼로이 하는 방법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얼로이 수지 중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얼로이는 생활 케미칼에 대한 내화학성과 내열성을 향상시켜 두 수지의 단점을 극복한 기술로 개발되어 왔으나, 광에 의한 변색 및 수지 노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어 옥외용 제품에 사용되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옥외 사용에 따른 장기 내구성 개선을 위하여 내광 특성 개선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8-0031474호는 내화학성 및 투명성을 바탕으로 우수한 금속 색감을 발현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옥외용 재료로 사용되기 위한 내광성 개선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5-0144114호는 폴리에스테르의 내후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내후성이 보강된 ASA 수지를 첨가하여 옥외 사용성을 증가시키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신규수지 사용에 따른 기계적 물성 감소 및 착색성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9-0080132호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 블렌드를 통해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제조방법 및 그 용도에 관한 기술로,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계(PCTG, PCT 등)의 다양한 조성 비율을 통해 투명성과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달성하고 있으나, 역시 옥외용 재료로 사용되기 위한 내광성에 및 칼라(메탈) 구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 폴리카보네이트(PC) 및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얼로이의 단점인 내광성을 개선시키고, 기존 얼로이 제품의 특징인 투명성을 유지하여 금속 색감이 우수한 내화학 내광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89 중량%; (B)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39 중량%; 및 (C) 트리아진(Triazine)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화합물 및 말론산(Maronate)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UV 안정제 0.05~5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트리아진(Triazine)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화합물 및 말론산(Maronate)계 화합물의 함량은 각각 0.01~2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트리아진(Triazine)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화합물 및 말론산(Maronate)계 화합물은 각각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광투과율(ASTM D1003, 3 mm 두께 사출시편, 안료 미첨가 기준)이 65% 이상이고, 하기 측정방법에 따른 내광성이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내광성 측정방법]
상기 수지 조성물의 3 mm 두께 사출시편에 대하여 내광성 촉진기기(UV-CONE)를 이용하여 14일간 UV 조사 후, UV 조사 전 인장강도에 대한 UV 조사 후 인장강도의 비율(인장강도 잔존율)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얼로이에 특정 UV 안정제를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내화학성을 유지하고 투명성이 우수하여 금속 색감의 표현이 용이하면서도 특히 옥외용 재료로 사용되기 위한 내광성이 극적으로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폴리카보네이트(PC) 및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얼로이의 단점인 내광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개발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얼로이에 특정 UV 안정제를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내화학성을 유지하고 투명성이 우수하여 금속 색감의 표현이 용이하면서도 옥외용 재료로 사용되기 위한 내광성이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89 중량%; (B)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39 중량%; 및 (C) 트리아진(Triazine)계,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및 말론산(Maronate)계를 포함하는 UV 안정제 0.05~5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광투과율(ASTM D1003, 3 mm 두께 사출시편, 안료 미첨가 기준)이 65%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고, 하기 측정방법에 따른 내광성이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72% 이상인 특성을 나타내어 금속 색감 구현이 용이하고, 후술하는 방법에 따른 내화학성 테스트 결과, 테스트 이전의 인장강도 대비 75% 이상 수준,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수준을 유지하고, 테스트 이전의 신율 대비 50% 이상 수준, 바람직하게는 55% 이상 수준을 유지하는 내화학성을 나타낸다.
[내광성 측정방법]
상기 수지 조성물의 3 mm 두께 사출시편에 대하여 내광성 촉진기기(UV-CONE)를 이용하여 14일간 UV 조사 후, UV 조사 전 인장강도에 대한 UV 조사 후 인장강도의 비율(인장강도 잔존율)을 측정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각 구성 성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수지는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유연성, 가공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며, 내후성이 뛰어나 장기간 높은 물성을 유지하고, 내열성 및 내한성이 뛰어나 심한 온도 변화에도 성능을 유지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비스페놀계 모노머와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포함하여 중합된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비스페놀계 모노머는 일례로,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 BPA),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비스페놀 Z; BPZ),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디페닐메탄 및 α,ω-비스[3-(ο-히드록시페닐)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일례로,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부틸 카보네이트, 디시클로헥실 카보네이트, 디페닐 카보네이트, 디토릴 카보네이트, 비스(클로로페닐) 카보네이트, m-크레실 카보네이트, 디나프틸 카보네이트, 비스(디페닐) 카보네이트, 카보닐 클로라이드(포스겐), 트리포스겐, 디포스겐, 카보닐 브로마이드 및 비스할로포르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일예로, 비스페놀 A의 중합체로서 중량 평균분자량(Mw)이 10,000~200,000, 바람직하게는 20,000~50,000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용융지수(300℃, 1.2 kg 하중)가 5~15 g/10min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13 g/10min일 수 있다. 상기 용융지수 범위 내에서 가공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고, 물성 밸런스가 뛰어난 효과가 있다. 용융지수가 상기 범위보다 낮을 경우 유동성이 부족하여 미성형이 발생할 수 있고, 높을 경우 충격강도가 다소 저하되는 경향을 보인다.
본 발명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최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내충격성, 가공성 등을 위해 전체 수지 조성물에서 60~89 중량% 함량으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65~84 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B)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수지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dimethylterephthalate, DMT)와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1,4-cyclohexanedimethanol, CHDM)의 에스테르 혹은 에스테르 교환 및 축중합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결정성 폴리에스터로서 매우 높은 녹는점과 매우 빠른 결정화 속도를 갖는다.
상기 PCT 수지는 범용 폴리에스테르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에 비해 뛰어난 내열성, 내화학성, 내흡습성 및 흐름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열변형온도가 245~260℃, 연속사용온도가 130~150℃로 금속 대체 가능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속한다. 이러한 PCT 수지는 다른 고분자 수지들과 비교할 때 색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고 수분 흡수율이 월등히 낮아 전기전자제품의 하우징용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PCT 수지는 전체 수지 조성물에서 10~39 중량% 함량으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15~34 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CT 수지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 내화학성 개선 정도가 미흡할 수 있고, 39 중량%를 초과할 경우 투명성 저하로 금속 색감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C) UV 안정제
본 발명에서 UV 안정제는 UV-A, UV-B 및 UV-C 영역에서 UV를 흡수하는 특징을 갖는 화합물 군으로, 특히 고분자 수지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UV-B를 흡수하는 특징을 가지며, 이를 포함하는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내광성의 특성을 부여 한다.
이와 같이,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내광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벤조페논(Benzophenone)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화합물, 벤즈옥사진(Benzoxazine)계 화합물, 말론산(Maronate)계 화합물, 트리아진(Triazaine)계 화합물 등의 내광성 첨가제 사용을 고려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특히, 트리아진(Triazine)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화합물 및 말론산(Maronate)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3종의 첨가제 포함 시 이상적인 내광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때, 상기 UV 안정제는 이상적인 내광 특성 구현을 위해 전체 수지 조성물에서 0.05~5 중량% 함량으로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0.1~3 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3종의 첨가제, 즉 트리아진(Triazine)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화합물 및 말론산(Maronate)계 화합물은 각각 0.01~2 중량% 함량으로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0.05~0.5 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트리아진(Triazine)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화합물 및 말론산(Maronate)계 화합물로서 각각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화학식 2]
Figure pat00005
[화학식 3]
Figure pat00006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그 목적하는 용도나 효과에 적합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형제, 적하방지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등을 추가로 첨가하여 다양한 용도로 응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비롯한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중량평균분자량이 33,000 및 용융지수(300℃, 1.2 ㎏f)가 10 g/10min인 비스페놀 A형의 폴리카보네이트(PC-1100S, 롯데케미칼)를 사용하였다.
(B)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수지
고유점도(IV)가 0.7 dl/g인 PCT 수지(SKYPURA 3402, SK케미칼)를 사용하였다.
(C)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고유점도(IV)가 1.1 dl/g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Kanghui petrochemical사)를 사용하였다.
(D)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고유점도(IV)가 0.8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롯데케미칼)를 사용하였다.
(E-1) Triazaine계 UV 안정제
상기 화학식 1 구조의 Triazaine계 UV 안정제(Tinuvin 1577, 독일 BASF)를 사용하였다.
(E-2) Benzotriazole계 UV 안정제
상기 화학식 2 구조의 Benzotriazole계 UV 안정제(UV-5411, CYTEC)를 사용하였다.
(E-3) Maronate계 UV 안정제
상기 화학식 3 구조의 Maronate계 UV 안정제(B-CAP, 스위스 Clariant)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9.7 중량%, (B) PCT 수지 20 중량%, (E-1) Triazaine계 UV 안정제 0.1 중량%, (E-2) Benzotriazole계 UV 안정제 0.1 중량% 및 (E-3) Maronate계 UV 안정제 0.1 중량% 비율로 정량하여 혼합하고, 270℃~300℃로 가열된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칩 상태로 만든 후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110℃에서 4시간 건조한 후 시편 제작용 몰드를 사용하여 시편을 사출 성형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6
실시예 1에서 하기 (A) 내지 (E) 성분을 하기 표 1의 함량으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성형하였다.
Figure pat00007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에 따라 용융지수, 인장강도, 신율, 내열도, 내화학성, 광투과율 및 내광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측정방법]
(1) 용융지수
ASTM D1238에 의거하여 250℃에서 2.16kg 하중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2) 인장강도 및 신율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만능재료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강도 및 신율을 측정하였다.
(3) 내열성(열변형온도, HDT)
ASTM D648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내열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내열성을 측정하였다.
(4) 내화학성 평가
제조된 펠렛을 사출기를 이용하여 사출온도 260℃에서 동일하게 사출한 후 사출된 인장강도 시편을 23±2℃, 50±5%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상태 조절을 하고 하기와 같은 방법에 준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① 내화학성 시험치구를 임계변형량 1.0%로 제작하여 인장시편을 시험치구로 고정시켰다.
② 썬크림(SPF 50) 및 방향제(자동차용으로 판매되는 일반 제품)를 상기 인장 시편에 1분 동안 각각 도포한 후 23±2℃에서 168시간 방치하였다.
③ 23±2℃에서 168시간 경과 후 인장 시편을 시험치구에서 제거한 후 23±2℃에서 약 1~2시간 동안 한번 더 방치하였다.
④ 상기와 같이 1~2시간 동안 방치한 후 썬크림 및 방향제가 도포되었던 각각의 시편의 인장 특성을 평가하였다.
⑤ 내화학성 테스트 이전의 인장 특성의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신율 특성의 50%, 바람직하게는 55% 이상의 물성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 내화학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5) 광투과율
ASTM D1003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3mm)을 만들어 광투과율을 측정하였다.
(6) 내광성
상기 내화학성 평가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내광성 촉진기기인 UV-CONE 기기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1~14일) 동안 조사 후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UV 조사전과 비교하여 인장강도 잔존율을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하였다.
[수학식 1]
인장강도 잔존율(%) = UV 조사 후 샘플의 인장강도 / UV 조사 전 샘플의 인장강도 × 100
Figure pat00008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얼로이에 특정 조합의 UV 안정제로서 트리아진(Triazine)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화합물 및 말론산(Maronate)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UV 안정제를 특정 조성으로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할 경우(실시예 1 내지 4)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광투과율 측정 결과를 고려할 때 금속 색감 구현이 매우 용이한 것을 알 수 있고, 특히 가혹 조건하에서의 인장강도 잔존율이 높아 외용 재료로 사용되기 위한 내광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UV 안정제를 포함하지 않거나(비교예 1), 포함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조합을 이루지 못할 경우(비교예 2 내지 4)에는 내광성이 현저히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특정 조합의 UV 안정제를 포함하더라도 얼로이 수지로서 PCT 수지가 아닌 일반 PBT 수지 또는 PET 수지를 사용할 경우(비교예 5 및 6)에는 내광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내열성 및 내화학성 역시 저하되는 것으로부터, 본 발명에 제시된 특정 조합의 UV 안정제 화합물은 특정 얼로이 수지, 즉 PC/PCT 얼로이 수지에 특이적으로 적합한 조성임이 확인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89 중량%;
    (B)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39 중량%; 및
    (C) 트리아진(Triazine)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화합물 및 말론산(Maronate)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UV 안정제 0.05~5 중량%;
    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진(Triazine)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화합물 및 말론산(Maronate)계 화합물의 함량은 각각 0.01~2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진(Triazine)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화합물 및 말론산(Maronate)계 화합물은 각각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9

    [화학식 2]
    Figure pat00010

    [화학식 3]
    Figure pat0001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광투과율(ASTM D1003, 3 mm 두께 사출시편, 안료 미첨가 기준)이 65% 이상이고, 하기 측정방법에 따른 내광성이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내광성 측정방법]
    상기 수지 조성물의 3 mm 두께 사출시편에 대하여 내광성 촉진기기(UV-CONE)를 이용하여 14일간 UV 조사 후, UV 조사 전 인장강도에 대한 UV 조사 후 인장강도의 비율(인장강도 잔존율)을 측정하였다.
KR1020180143159A 2018-11-20 2018-11-20 투명성이 우수한 내화학 내광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2200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159A KR102200870B1 (ko) 2018-11-20 2018-11-20 투명성이 우수한 내화학 내광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159A KR102200870B1 (ko) 2018-11-20 2018-11-20 투명성이 우수한 내화학 내광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711A true KR20200058711A (ko) 2020-05-28
KR102200870B1 KR102200870B1 (ko) 2021-01-11

Family

ID=70920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159A KR102200870B1 (ko) 2018-11-20 2018-11-20 투명성이 우수한 내화학 내광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8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0341A (ja) * 2007-03-07 2010-06-10 バイエル・マテリアルサイエンス・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紫外線吸収剤を含む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
KR20110097962A (ko) * 2008-12-22 2011-08-31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합판 유리용 적층체 및 합판 유리용 중간막
KR101780080B1 (ko) * 2009-09-30 2017-09-19 코베스트로 도이칠란드 아게 개선된 용융 안정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KR20180031474A (ko) * 2016-09-20 2018-03-28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금속 색감이 우수한 내화학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0341A (ja) * 2007-03-07 2010-06-10 バイエル・マテリアルサイエンス・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紫外線吸収剤を含む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
KR20110097962A (ko) * 2008-12-22 2011-08-31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합판 유리용 적층체 및 합판 유리용 중간막
KR101780080B1 (ko) * 2009-09-30 2017-09-19 코베스트로 도이칠란드 아게 개선된 용융 안정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KR20180031474A (ko) * 2016-09-20 2018-03-28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금속 색감이 우수한 내화학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870B1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61927A1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光学フィルム及び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
KR20100092480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JP6313971B2 (ja) 屋外設置用成形体
KR101850211B1 (ko) 금속 색감이 우수한 내화학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EP3632985B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optical molded product comprising same
JP3435273B2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1557567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2014118415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7104848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光学成形品
US20230383054A1 (en) Thermoplastic resin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2200870B1 (ko) 투명성이 우수한 내화학 내광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WO2019066493A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광학 성형품
WO2000017271A1 (fr) Composition de resine de polycarbonate et produits de colmatage de fibre de papier a base de cette composition
KR102493340B1 (ko)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광학 제품
JP2006182980A (ja) ポリアリレ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JP2008274009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1704896B1 (ko)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200890B1 (ko) 외관 특성이 우수한 내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5467572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KR102646944B1 (ko) 투명성 및 내화학성이 향상된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및 코폴리에스테르 얼로이 수지 조성물
JP6991322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光学成形品
JP5471348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よりなる嵌合部およびヒンジ部から選ばれる少なくとも1つを有する容器
KR20230047012A (ko) 열가소성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90064296A (ko) 무도장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16084377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