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619A -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619A
KR20200058619A KR1020180141905A KR20180141905A KR20200058619A KR 20200058619 A KR20200058619 A KR 20200058619A KR 1020180141905 A KR1020180141905 A KR 1020180141905A KR 20180141905 A KR20180141905 A KR 20180141905A KR 20200058619 A KR20200058619 A KR 20200058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unit
cooking
cooking container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9609B1 (ko
Inventor
박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산기계
박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산기계, 박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산기계
Priority to KR1020180141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609B1/ko
Publication of KR20200058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8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adapted to discharge d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05B6/108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for heating a flui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63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il 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oker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본체와, 서로 다른 크기의 조리용기가 안착되고, 내부에는 인덕션 코일이 구비되는 인덕션 가열부와, 지지프레임에 정역모터로 구덩되는 스크류가 설치되고,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에 감지되는 승강로드가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스크류에 연결되어 정역모터의 구동에 따라 승강되며, 일측에는 승강로드가 연결되고, 전방에는 온수공급관이 구비되며, 온수공급관의 하단에는 첨예부를 가지는 온수노즐부가 구비되고, 상단에는 전자밸브가 구비되는 온수분사부와, 입수부와 출수부와 히터로 구성되는 온수생성부와, 조리용기의 외면에 구비된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조리용기의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통해 상기 온수노즐부를 하강시켜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온수생성부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상기 온수노즐부를 통해 분사되는 시간을 제어하며, 상기 인덕션 가열부를 통해 상기 조리용기 내 온수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Cooking container recognition type induction fast food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즉석식품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즉석식품이라 함은 즉석에서 간단히 조리할 수 있고, 저장이나 휴대에도 간편하며, 전처리와 복잡한 조리단계의 작업이 필요 없고, 데우거나 끓이는 등의 간단한 조리단계를 거쳐 음식을 섭취할 수 있도록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이러한 즉석식품에는 가열과정 없이 그대로 섭취할 수 있는 즉석섭취식품, 단순가열이나 간단한 조리과정을 거쳐 섭취할 수 있는 즉석조리식품 및 전처리 가공 공정만으로도 그대로 섭취할 수 있는 신선 편의식품 등이 있다.
한편, 즉석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종래의 즉석식품 조리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를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조리 내용물의 종류나 그 양이 제한됨에 따라 즉석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17-0009031호(2017.01.25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즉석식품 조리장치가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를 인식하고, 그러한 조리용기에 의한 정보에 따라 즉석조리를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를 통해 다양한 즉석식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되는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저면과 이격되는 상면 전방에는 열전도부재를 가진 서로 다른 크기의 조리용기가 안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조리용기 내에 공급되는 온수를 가열하는 인덕션 코일이 구비되며, 바닥면에는 냉각팬이 구비되는 인덕션 가열부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여 정역모터를 통해 스크류가 회전되는 구동부와,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며, 온수가 공급되는 전자밸브와 연결되고, 선단에 첨예부를 가지는 온수노즐부가 구비된 온수분사부와,
한쪽에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용수가 유입되는 입수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입수부를 통해 입수되어 히터에 의해 가열된 용수가 상기 전자밸브로 이동될 수 있도록 출수부가 형성된 온수생성부와,
상기 본체의 전면 프레임 형성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외면에 구비된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조리용기의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통해 상기 온수노즐부를 하강시켜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온수생성부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상기 온수노즐부를 통해 분사되는 시간을 제어하며, 상기 인덕션 가열부를 통해 상기 조리용기 내 온수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는 이격된 상면과 저면이 후면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과 저면에는 상기 스크류가 관통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의 상부에는 감속기와 함께 상기 정역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후면에는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와 슬라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감지되는 승강로드가 상기 슬라이드공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온수분사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과 저면 사이에 수평 하게 설치되면서 후방에 상기 스크류가 관통되도록 나사결합되고, 일측에는 상기 승강로드가 결합되는 승강판이 구비되며, 상기 승강판의 전방에는 온수공급관이 구비되고, 상기 온수공급관의 하단에는 상기 온수노즐부가 구비되며, 상기 온수공급관의 상측에는 상기 전자밸브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조리용기의 정보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로 구성되며, 조리용기의 높이정보와 내용물에 따른 조리정보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의 발열 온도와 상기 인덕션 코일의 전류세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온수노즐부를 통해 분사되는 온수의 온도 및 상기 조리용기 내 온수의 가열온도가 단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온수생성부는 판형의 순간가열히터로 구성되며, 상기 온수생성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 후면 또는 저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거나, 상기 승강판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인덕션 가열부의 상면에는 단열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단열부재는 동심원을 이루면서 단차진 다수의 용기 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저면에는 상기 인덕션 가열부의 상면에 놓여지는 조리용기가 정 위치에 놓이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즉석식품 조리장치에 사용되는 조리용기에 대한 정보를 인식한 후 조리용기의 정보에 따라 온수노즐부의 승강 높이가 조절되면서 조리용기 내로 필요한 양의 온수가 공급되고, 필요에 따라 인덕션 가열부를 통해 조리용기 내의 온수를 가열시켜 조리용기 내의 조리물을 조리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를 통해 다양한 즉석식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즉석식품 조리장치의 성능을 개선 시켜 소비자의 만족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여기서,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온수분사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온수분사부와 구동부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온수생성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인덕션 가열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사용 상태를 타나낸 요부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의 구성요소는 본체와, 그러한 본체 하부에 설치되는 인덕션 가열부와,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면서 인덕션 가열부에 놓이는 조리용기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분사부와, 공급된 용수를 가열하여 온수분사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해주는 온수생성부와, 조리용기의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조리용기의 정보에 따라 구동부와 온수분사부와 온수생성부와 인덕션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를 예시된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체(100)는,
체결구(101)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전면 프레임(102)과 후면 프레임(103)으로 구성되며, 전면 프레임(102)은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어 후술되는 구동부(130)와 온수분사부(120)가 수용되고, 후면 프레임(103) 또한 공간부가 구비되어 후술되는 온수생성부(140)와 물탱크(142) 및 제어부(170)가 수용되며, 후면 프레임(103)의 후면은 후판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전면에는 제어부(170)와 연결되는 다수의 기능버튼과 함께 디스플레이부(18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조리용기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부(170)와 연결되는 인식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인덕션 가열부(150)는,
전술한 본체(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면 후방은 후면 프레임(103)의 저면과 결합되고, 상면 전방은 전면 프레임(102)의 저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그러한 상면 전방에는 조리용기(10)가 놓이게 된다.
인덕션 가열부(150)는 제어부(170)의 제어를 받으면서 전원의 공급을 통해 동작되는 인덕션 코일이 내부에 구비되고, 바닥면에는 인덕션 코일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냉각팬(152)이 구비된다.
인덕션 코일의 동작에 따라 조리용기(10)에 수용된 온수는 가열되며, 조리용기(10)에는 바닥면이나 외주면에 인덕션 코일의 작동을 통해 발열될 수 있는 열전도부재가 구비된다.
인덕션 가열부(150)의 상면 전방에는 사용중 화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열부재(151)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인덕션 가열부(150)의 상면 전방에는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10)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동심원을 이루며 서로 단차지는 다수의 용기 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큰 용기 수용홈의 안쪽으로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는 작은 용기 수용홈이 동심원을 그리면서 이격되어 형성함으로써, 큰 조리용기나 작은 조리용기를 큰 용기 수용홈 또는 작은 용기 수용홈에 실수 없이 간단하고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큰 용기 수용홈보다 작은 용기 수용홈이 더 깊게 형성되어 단차를 이루도록 구성하게 되면 큰 조리용기가 큰 용기 수용홈에 안착될 때 최대높이와 작은 조리용기가 작은 용기 수용홈에 안착될 때 최대높이가 서로 동일한 높이가 되면서 서로 다른 조리용기를 사용하기 위해 온수분사부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때 인덕션 코일은 큰 용기 수용홈과 작은 용기 수용홈의 단차 형상에 따라 그러한 형상과 상응하게 단차지도록 구성하여 큰 용기 수용홈과 작은 용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온수의 가열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다른 실시 예로는 전술한 본체(100)의 전면 프레임(102) 저면에 전방이 개방되는 반원형의 가이드홈을 가지는 가이드부재(190)를 설치함으로써, 인덕션 가열부(150)의 전방 상면에 조리용기(10)를 올려놓을 때 조리용기(10)의 후방을 가이드부재(190)의 가이드홈에 안착시키게 되면 조리용기(10)가 인덕션 가열부(150)의 전방 상면에서 정확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어 조리용기(10)에 온수의 공급이 정확해지고, 인덕션 코일을 통한 내부 조리용기(10) 내의 온수 가열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구동부(130)는,
후술되는 온수분사부(120)의 승강판(124)을 승강시켜주며, 전면과 양측면이 개방되는 형태로 상면과 저면과 후면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ㄷ" 자 형상의 지지프레임(136)이 구비되고, 그러한 지지프레임(136)의 상면에서 저면을 향하여 수직 하방으로 스크류(132)가 관통 설치되어 제자리 회전되며, 스크류(132)의 상부에는 감속기(134)를 통해 정역모터(133)가 설치되어 스크류(132)는 정역모터(133)의 작동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스크류(132)에는 후술되는 온수분사부(120)의 승강판(124)에 관통되면서 나사결합됨에 따라 스크류(13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승강판(124)이 승강 작용을 하게 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36)의 상면과 저면은 복수의 가이드샤프트(135)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샤프트(135)는 승강판(124)에 관통 연결됨으로써, 승강판(124)이 승강될 때 가이드샤프트(135)의 안내를 받아 안정되게 승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프레임(136)의 후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공이 관통 형성되며, 그러한 슬라이드공에는 후술되는 승강판(124)과 연결되는 승강로드(139)가 슬라이드공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며 설치되고, 지지프레임(136)의 후면에는 슬라이드공을 따라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137a)(137b)(137c)가 설치되면서 승강로드(139)의 승강에 의해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137a)(137b)(137c) 중 선택되는 리미트 스위치(137a)(137b)(137c)가 작동될 수 있다.
온수분사부(120)는,
조리용기(10)에 온수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며, 승강판(124)이 전술한 지지프레임(136)의 상면과 저면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서 후방 상면에 설치된 부시(131)를 통해 전술한 구동부(130)의 스크류(132)가 관통되도록 나사결합되고, 양측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부시(138)에는 전술한 가이드샤프트(135)가 관통된다.
승강판(124)의 전방에는 온수공급관(122)이 하향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온수공급관(122)의 하단에는 첨예부(121a)를 가지는 온수노즐부(121)가 구비된다.
첨예부(121a)는 온수노즐부(121)가 조리용기(10)의 뚜껑을 관통하여 조리용기(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해주며, 첨예부(121a)에는 온수노즐부(121)와 연통되는 분사노즐공이 구비됨에 따라 이러한 분사노즐공을 통해 온수가 조리용기(10) 내부에서 분사된다
온수공급관(122)의 상부에는 전자밸브(123)가 설치되며, 이러한 전자밸브(123)는 후술되는 제어부(170)의 제어를 받아 개폐되면서 온수노즐부(121)를 통해 조리용기(10) 내에 공급되는 온수의 분사시간이 조절된다.
전자밸브(123)는 후술되는 온수생성부(140)와 연결되어 온수생성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온수를 공급받아 제어부(170)의 제어를 통해 개방되면 온수노즐부(121)로 온수가 공급된다.
온수노즐부(121) 또는 온수공급관(122)은 테프론과 같은 열손실 방지 재질로 구성되어 온수노즐부(121)를 통해 분사되는 온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온수노즐부(121)나 온수공급관(122)의 외부 표면 또는 외부 표면에 인접하여 열선이나 웜히터를 설치함으로써, 온수노즐부(121)를 통해 배출되는 온수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켜 열손실을 방지하고, 관로의 살균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승강판(124)의 일측은 전술한 구동부(130)의 승강로드(139)와 연결되면서 승강판(124)의 승강에 의해 승강로드(139)가 슬라이드공을 따라 승강하게 되며, 승강로드(139)의 승강은 지지프레임(136)의 후면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137a)(137b) (137c)를 작동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지지프레임(136)의 후면에는 슬라이드공과 인접하여 제1 리미트 스위치(137a)와 제2 리미트 스위치(137b)와 제3 리미트 스위치(137c)가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정역모터(133)의 구동에 따라 승강판(124)이 하강될 때 조리용기(10)의 높이에 따라 하강하는 승강판(124)과 연결된 승강로드(139)가 제1 리미트 스위치(137a) 또는 제2 리미트 스위치(137b)에 접촉되면 정역모터(133)의 구동이 중지되면서 승강판(124)의 하강이 멈추게 되고, 이후, 온수노즐부(121)를 통해 온수가 일정시간 분사된다.
온수의 분사가 완료된 후에는 정역모터(133)의 구동에 따라 승강판(124)이 다시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던 승강판(124)에 연결된 승강로드(139)가 제3 리미트 스위치(137c)에 접촉되면서 정역모터(133)는 구동을 중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용기(10)의 높이 판단은 조리용기(10)에 구비된 정보를 제어부(170)가 판단한 후, 정역모터(133)를 제어하여 온수노즐부(12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조리용기(10)의 물리적인 높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인덕션 가열부(150)와 인접하는 후면 프레임(103)의 전방 아래쪽에 제어부(170)와 연결되는 감지센서를 둘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리미트 스위치(137a)(137b)(137c)는 포토센서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정역모터(133)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로 리미트 스위치(137a)(137b) (137c)를 대체할 수도 있다.
온수생성부(140)는,
전술한 본체(100)의 후면 프레임(103) 내부에 위치하며, 물탱크(142)와 연결된 한쪽을 통해 공급된 용수는 소정의 온도로 순간 가열된 후 다른 한쪽과 연결된 전자밸브(123)로 이동된다.
온수생성부(140)는 히터(141)와 물탱크(142)에서 공급되는 용수가 히터(141)쪽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해주는 입수부(143) 및 히터(141)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온수가 전자밸브(123)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해주는 출수부(144)로 구성될 수 있다.
온수생성부(140)는 전자밸브(123)와 최대한 근접되어 열손실이 방지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36)의 상면이나 후면이나 저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거나, 승강판(124)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승강판(124)에 결합시에는 물탱크(142)와 입수부(143) 및 출수부(144)와 전자밸브(123)를 연결하는 관로가 승강판(124)의 승강에 따른 온수생성부(140)의 위치변화에 방해되지 않도록 충분한 길이나 신축성을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히터(141)는 판형의 순간가열 기능을 가지는 히터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재질의 히터 발열판 이면에 나노히터 또는 루데녹스히터가 지그재그 형태로 인쇄되고, 세라믹코팅으로 절연처리되며, 지그재그형태의 나노히터 또는 루데녹스히터 라인을 따라 용수가 이동되는 통로를 배치하여 물탱크(142) 또는 외부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용수를 순간적으로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식부(160)는,
전면 프레임(102)에 위치하여 조리용기(10)의 외면에 구비된 조리용기(10)의 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즉, 인식부(160)는 제어부(170)와 연결되어 조리용기(10)의 높이정보와 내용물에 따른 조리정보를 판단한 후 그 정보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조리용기(10)의 조리정보는 즉석식품의 종류, 레시피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레시피정보는 최적의 온수공급량과 인덕션 코일에 의한 최적의 가열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인식부(160)는 바코드 인식기 또는 QR코드 인식기나 감지카메라 또는 감지센서가 될 수 있으며, 조리용기(10)의 외면에는 바코드나 QR코드나 감지카메라 또는 감지센서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해당 정보가 구비된다.
제어부(170)는,
전술한 인식부(160)의 의해 인식된 조리용기(10)의 정보에 따라 구동부(130)의 정역모터(133)를 구동시켜 온수분사부(120)를 승강시키며, 온수분사부(120)의 전자밸브(123)를 제어하여 온수생성부(140)를 통해 가열되어 공급된 온수를 온수분사부(120)를 통해 조리용기(10)의 내부에 공급되도록 제어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인덕션 가열부(150)의 인덕션 코일을 구동시켜 조리용기(10)에 공급된 온수를 필요한 온도로 가열시켜줄 수 있다.
제어부(170)는 조리용기(10)의 조리정보를 판단하여 조리용기(10)에 온수만을 공급하여 조리할 경우에는 온수분사부(120)를 통한 온수의 분사시간을 제어하게 되며, 온수의 공급과 함께 인덕션 가열부(150)를 통한 온수의 가열이 필요한 경우에는 인덕션 가열부(150)를 통한 조리용기(10) 내 온수의 가열시간을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제어부(170)는 조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히터(141)의 발열 온도 또는 인덕션 코일 자기장 세기를 개별적 또는 복합적으로 단계적 또는 비단계적으로 조절하여 온수노즐부(121)를 통해 분사되는 온수의 온도 및 조리용기(10) 내 온수의 가열온도를 개별적 또는 복합적으로 단계적 또는 비단계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조리용기(10)의 조리정보를 인식부(160)가 인식하고, 제어부(170)를 통해 해당 조리용기(10)에 맞춰 온수분사부(120)가 하강시켜 조리용기(10)에 온수를 공급함으로써, 조리용기(10) 내부의 조리물이 조리되도록 하거나, 조리용기(10)에 공급된 온수를 인덕션 가열부(150)를 통해 가열하여 조리물이 조리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따라 다양한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즉석 조리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본체 101 : 체결구
102 : 전면 프레임 103 : 후면 프레임
120 : 온수분사부 121 : 온수노즐부
121a : 첨예부 123 : 전자밸브
124 : 승강판 130 : 구동부
132 : 스크류 133 : 정역모터
134 : 감속기 135 : 가이드샤프트
136 : 지지프레임 137a : 제1 리미트 스위치
137b : 제2 리미트 스위치 137c : 제3 리미트 스위치
139 : 승강로드 140 : 온수생성부
141 : 히터 142 : 물탱크
143 : 입수부 144 : 출수부
150 : 인덕션 가열부 151 : 단열부재
152 : 냉각팬 160 : 인식부
170 : 제어부

Claims (7)

  1. 서로 결합되는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저면과 이격되는 상면 전방에는 열전도부재를 가진 서로 다른 크기의 조리용기가 안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조리용기 내에 공급되는 온수를 가열하는 인덕션 코일이 구비되며, 바닥면에는 냉각팬이 구비되는 인덕션 가열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여 정역모터를 통해 스크류가 회전되는 구동부;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며, 온수가 공급되는 전자밸브와 연결되고, 선단에 첨예부를 가지는 온수노즐부가 구비된 온수분사부;
    한쪽에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용수가 유입되는 입수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입수부를 통해 입수되어 히터에 의해 가열된 용수가 상기 전자밸브로 이동될 수 있도록 출수부가 형성된 온수생성부;
    상기 본체의 전면 프레임 형성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외면에 구비된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조리용기의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통해 상기 온수노즐부를 하강시켜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온수생성부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상기 온수노즐부를 통해 분사되는 시간을 제어하며, 상기 인덕션 가열부를 통해 상기 조리용기 내 온수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이격된 상면과 저면이 후면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과 저면에는 상기 스크류가 관통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의 상부에는 감속기와 함께 상기 정역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후면에는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와 슬라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감지되는 승강로드가 상기 슬라이드공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온수분사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과 저면 사이에 수평 하게 설치되면서 후방에 상기 스크류가 관통되도록 나사결합되고, 일측에는 상기 승강로드가 결합되는 승강판이 구비되며, 상기 승강판의 전방에는 온수공급관이 구비되고, 상기 온수공급관의 하단에는 상기 온수노즐부가 구비되며, 상기 온수공급관의 상측에는 상기 전자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정보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로 구성되며, 조리용기의 높이정보와 내용물에 따른 조리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의 발열 온도와 상기 인덕션 코일의 전류세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온수노즐부를 통해 분사되는 온수의 온도 및 상기 조리용기 내 온수의 가열온도가 단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
  5.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온수생성부는 판형의 순간가열히터로 구성되며, 상기 온수생성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 후면 또는 저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거나, 상기 승강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가열부의 상면에는 단열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단열부재는 동심원을 이루면서 단차진 다수의 용기 수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저면에는 상기 인덕션 가열부의 상면에 놓여지는 조리용기가 정 위치에 놓이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
KR1020180141905A 2018-11-16 2018-11-16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 KR102239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905A KR102239609B1 (ko) 2018-11-16 2018-11-16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905A KR102239609B1 (ko) 2018-11-16 2018-11-16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619A true KR20200058619A (ko) 2020-05-28
KR102239609B1 KR102239609B1 (ko) 2021-04-15

Family

ID=7092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905A KR102239609B1 (ko) 2018-11-16 2018-11-16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6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031A (ko) 2015-07-15 2017-01-25 서민호 레시피의 선택을 통한 즉석식품 내용물 조리기기
KR20170109149A (ko) * 2016-03-18 2017-09-28 주식회사 보카프 복층구조를 갖는 슬림형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KR20170109199A (ko) * 2016-03-18 2017-09-28 주식회사 보카프 개폐형 인덕션 가열부를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KR20180088304A (ko) * 2017-01-25 2018-08-03 박한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KR20180088591A (ko) * 2017-01-26 2018-08-06 박한 스팀가열식 및 인덕션가열식 복합형 즉석식품 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031A (ko) 2015-07-15 2017-01-25 서민호 레시피의 선택을 통한 즉석식품 내용물 조리기기
KR20170109149A (ko) * 2016-03-18 2017-09-28 주식회사 보카프 복층구조를 갖는 슬림형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KR20170109199A (ko) * 2016-03-18 2017-09-28 주식회사 보카프 개폐형 인덕션 가열부를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KR20180088304A (ko) * 2017-01-25 2018-08-03 박한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KR20180088591A (ko) * 2017-01-26 2018-08-06 박한 스팀가열식 및 인덕션가열식 복합형 즉석식품 조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609B1 (ko)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9825B2 (ja) 加熱調理装置
EP1685781B9 (en) An intelligent cooking method
EP2327934A1 (en) Cooking device
KR20200057885A (ko) 조리용기에 따라 온수공급노즐이 승강되는 즉석식품 조리장치
US20190014940A1 (en) Food Steamer Device
CN108143259A (zh) 分体式电压力锅
KR20180088591A (ko) 스팀가열식 및 인덕션가열식 복합형 즉석식품 조리장치
KR101624581B1 (ko) 즉석식품용 스팀 조리장치
KR101541615B1 (ko) 중탕기
EP2088370A1 (en) Cooking oven comprising steam generating system
KR20200058620A (ko) 조리용기 위치설정이 가능한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
KR20200058619A (ko)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
WO2008110067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e commande de la puissance du feu
KR20180088592A (ko) 스팀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KR20180088594A (ko) 정수기능을 구비한 즉석식품 조리장치
KR20180088304A (ko)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KR102255631B1 (ko) 조리용기 인식형 스팀 가열 즉석식품 조리장치
US20230234011A1 (en) Machine for processing liquid or semi-liquid food products and method for processing liquid or semi-liquid food products
KR102241123B1 (ko) 스팀온도가 제어되는 즉석식품 조리장치
EP2050373B1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a cooking liquid in an apparatus for cooking food
US20190290058A1 (en) Food cooker with detachable stirrer
CN110547664A (zh) 烹饪器具、烹饪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057888A (ko) 조리용기 가변 안착형 즉석식품 조리장치
US20120018424A1 (en) Cooking apparatus with steam generating device
JP5811685B2 (ja) 圧力式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