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304A -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304A
KR20180088304A KR1020180009492A KR20180009492A KR20180088304A KR 20180088304 A KR20180088304 A KR 20180088304A KR 1020180009492 A KR1020180009492 A KR 1020180009492A KR 20180009492 A KR20180009492 A KR 20180009492A KR 20180088304 A KR20180088304 A KR 20180088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module
cooking
seating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
Original Assignee
박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 filed Critical 박한
Publication of KR20180088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이한 규격의 온수조리용기가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된 안착모듈; 상기 안착모듈에 안착된 상기 온수조리용기의 뚜껑을 관통하여 내부로 온수를 분사하는 온수노즐부와, 상기 온수공급관이 고정 형성된 승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온수분사모듈; 구동모듈; 온수생성모듈; 즉석조리 레시피 정보를 가진 바코드를 인식하는 인식모듈; 및 상기 인식모듈에 의해 인식된 즉석조리 레시피 정보의 상기 온수조리용기의 높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온수분사모듈을 상기 안착모듈에 대향하여 하강시키고, 온수분사시간 및 온수분사량을 제어하거나,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로 구성되어서, 즉석식품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높이를 갖는 온수조리용기에 맞춰서 온수분사모듈의 온수공급높이를 적응적으로 조절하여서, 온수조리 가능한 온수조리용기의 범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Apparatus for Cooking Instant Food by Induction Heating}
본 발명은,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즉석식품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높이를 갖는 온수조리용기에 맞춰서 온수분사모듈의 온수공급높이를 적응적으로 적용하여 범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현대인의 식생활 환경 변화로 인하여 패스트 푸드와 인스턴트 식품들이 애용되고 있다. 또한, 즉석조리식품을 위한 기능을 갖춘 즉석조리장치, 예컨대 전자 렌지, 전기 오븐 또는 온수기가 이용되고 있는데, 특히, 단순히 온수로 익히거나 데우는 차원이 아닌 그 이상의 즉석조리식품의 미각적인 한계를 넘어서 식품의 고유의 풍미를 느끼게 하도록 온수 분사를 이용한 즉석식품 조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즉석식품 조리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0250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조리장치로는 다양한 식품을 조리하기 어렵고, 한정된 즉석식품에만 적용될 수 있으며, 용기와 조리물을 별도로 준비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조리용기 크기 또는 외형이 한종류에 국한되어 다양한 크기와 디자인의 조리용기를 가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온수분사조리를 위한 즉석식품이 다양화되고, 상온, 냉장 또는 냉동 식품에 따라 이를 수용하는 온수조리용기의 규격이 상이한데, 높이가 길고 직경이 작은 온수조리용기 또는 높이가 짧고 직경이 큰 온수조리용기를 하나의 즉석식품 조리장치에서 적응적으로 온수분사높이를 조절하여 온수가열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온수노즐부 또는 온수공급관의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일정 온도 이상을 항상 유지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08-0000250호(2008.03.03 공개)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규격이 상이한 온수조리용기를 수용하여 범용적으로 온수분사조리할 수 있고, 온수노즐부 또는 온수공급관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소정 형상의 본체; 상이한 규격의 온수조리용기가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된 안착모듈; 상기 안착모듈에 안착된 상기 온수조리용기의 뚜껑을 관통하여 내부로 온수를 분사하는 온수노즐부와, 상기 온수노즐부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관과, 상기 온수노즐부로의 온수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온수공급관이 고정 형성된 승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온수분사모듈; 상기 승강판에 형성된 스크류 체결홈에 체결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로 토크를 전달하는 정역모터 및 감속기와, 상기 스크류 및 상기 승강판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가 형성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판의 승강 높이를 감지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리미트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구동모듈; 히터와, 물탱크로부터 급수되는 용수를 상기 히터로 주입하는 입수구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상기 전자밸브로 공급하는 출수구로 이루어지는 온수생성모듈; 상기 안착모듈 하부에 단열부재를 개재하여 배치되어 상기 안착모듈을 가열하는 인덕션 코일과, 상기 인덕션 코일 하단에 배치되는 냉각팬으로 이루어지는 인덕션모듈; 상기 본체의 전면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온수조리용기의 외면에 인쇄된 즉석조리 레시피 정보를 가진 바코드를 인식하는 인식모듈; 및 상기 인식모듈에 의해 인식된 즉석조리 레시피 정보의 상기 온수조리용기의 높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온수분사모듈을 상기 안착모듈에 대향하여 하강시키고, 상기 온수생성모듈을 구동하여 온수분사시간 및 온수분사량을 제어하거나, 상기 인덕션모듈을 구동하여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로 구성되는,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지지 프레임 후면에 적어도 둘 이상의 제1 내지 제N 리미트 스위치로 배치 구성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온수조리용기의 높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온수분사모듈을 제(N-1) 단으로 상기 안착모듈에 대향하여 하강시키고, 상기 온수생성모듈을 구동하여 온수분사시간 및 온수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착모듈 내측에, 상기 안착모듈로의 상기 온수조리용기의 안착여부와 높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온수조리용기의 높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온수분사모듈을 상기 안착모듈에 대향하여 하강시키고, 상기 온수생성모듈을 구동하여 온수분사시간 및 온수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생성모듈의 히터는 판형 히터이고, 상기 판형 히터는 상기 온수노즐부와 최단거리의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 하단 또는 후단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거나, 상기 승강판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노즐부 또는 상기 온수공급관은 테프론을 포함하고, 상기 온수노즐부 또는 상기 온수공급관을 일정 온도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웜히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대체하여, 포토센서 또는 상기 정역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에 의해 상기 승강판의 승강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즉석식품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높이를 갖는 온수조리용기에 맞춰서 온수분사모듈의 온수공급높이를 적응적으로 조절하여서, 온수조리 가능한 온수조리용기의 범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판형 히터를 온수노즐부와 최단거리로 결합시켜 관로 길이를 최소화하여 열손실을 제거하여서, 온수 온도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항상 유지할 수 있고, 별도의 살균처리없이 관로를 지속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온수노즐부 또는 온수공급관을 테프론으로 구성하고, 온수노즐부 또는 온수공급관에 웜히터를 인접하여 형성하여 온수분사직전까지 온수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의 온수분사모듈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의 구동모듈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의 온수생성모듈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의 인덕션모듈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1의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의 온수분사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의 온수분사모듈을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의 구동모듈을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1의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의 온수생성모듈을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도 1의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의 인덕션모듈을 확대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1의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의 온수분사를 예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는, 전체적으로, 소정 형상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0)와, 온수조리용기(10)가 안착되는 안착모듈(110), 온수조리용기(10) 내부로 온수를 분사하는 온수분사모듈(120), 온수분사모듈(120)을 승강하는 구동모듈(130), 온수를 생성하여 온수분사모듈(120)로 공급하는 온수생성모듈(140), 온수조리용기(10)를 가열하는 인덕션모듈(150), 레시피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모듈(160), 및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70)로 구성된다.
우선, 본체(100)는, 체결구(101)에 의해 상호 체결된 전면 프레임(102) 및 후면 프레임(103)으로 구성되고, 후술하는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다음, 안착모듈(110)은 상이한 규격의 즉석 온수조리용 식품이 수용된 온수조리용기(10)가 안착되는 공간으로서 후술하는 인덕션모듈(150) 상부에 형성된다. 예컨대, 안착모듈(110)은 즉석식품 종류에 따라 높이와 직경이 상이한 다양한 형태의 온수조리용기(10)를 수용할 수 있다.
다음, 온수분사모듈(120)은, 안착모듈(110)에 안착된 온수조리용기(10)의 뚜껑을 관통하여 내부로 온수를 분사하는 온수노즐부(121)와, 온수노즐부(121)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관(122)과, 온수노즐부(121)로의 온수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밸브(123)와, 온수공급관(122)이 고정 형성된 승강판(124)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온수노즐부(121)는 안착모듈(110)에 안착된 온수조리용기(10)의 높이보다 낮게 하강하고, 온수조리용기(10)의 뚜껑을 관통하여 내부로 온수를 분사한다.
여기서, 온수노즐부(121)의 상단은 전자밸브(123)와 체결되고, 온수노즐부(121)의 하단에는 온수를 분사하는 온수 분사공이 단부에 다수 형성된 첨예부(121a)가 형성되어, 첨예부(121a)가 하강하면서 온수조리용기(10)의 뚜껑을 관통하여 내부로 온수 분사공이 내부로 온수를 분사한다.
온수공급관(122)의 일단에는 온수노즐부(121)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전자밸브(123)가 결합된다.
전자밸브(123)는, 제어모듈(170)의 제어에 의해, 온수노즐부(121)로의 온수 공급량 또는 온수 공급시간을 조절한다.
승강판(124)은, 본체(100)에 고정 형성된 'ㄷ' 형상의 지지 프레임(136) 내에서 승강하도록 형성되고, 승강판(124)에는 온수공급관(122)이 고정 형성된다.
여기서, 온수노즐부(121) 또는 온수공급관(122)은 테프론을 포함하고, 온수노즐부(121) 또는 온수공급관(122)을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웜히터(미도시)를 온수노즐부(121) 또는 온수공급관(122)과 인접하도록 형성하여서, 온수분사직전까지 온수를 일정 온도, 예컨대 90도 이상으로 유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온수노즐부(121) 또는 온수공급관(122)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별도의 살균처리없이 관로를 지속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다음, 구동모듈(130)은, 승강판(124)에 형성된 스크류 체결홈에 체결하여 회전에 의해 승강판(124)을 승강시키는 스크류(132)와, 스크류(132)로 토크를 전달하는 정역모터(133) 및 감속기(134)와, 스크류(132) 및 승강판(124)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135)가 형성된 지지 프레임(136)과, 지지 프레임(136)에 결합되어 승강판(124)의 승강 높이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승강판(124)에는 스크류 체결홈이 내측에 형성된 부시(131)가 고정 형성될 수 있고, 정역모터(133)는 지지 프레임(136) 상측에 고정 형성되어 스크류(132)로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스크류(132)는 정역모터(133)의 구동축(미도시)과 연결된 감속기(134)로부터 토크를 전달받아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승강판(124)을 승강시킨다.
한편,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135)는 지지 프레임(136) 내측에 배치되어 승강판(124)의 승강을 가이드한다. 여기서, 승강판(124)에는 가이드 샤프트(134)가 관통 삽입되는 가이드 부시(138)가 고정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미트 스위치는, 지지 프레임(136) 후면에 적어도 둘 이상의 제1 내지 제N 리미트 스위치로 배치 구성되고, 제어모듈(170)은 온수조리용기(10)의 높이에 따라 구동모듈(130)을 구동하여 온수분사모듈(120)을 제(N-1) 단으로 안착모듈(110)에 대향하여 하강시키고, 온수생성모듈(140)을 구동하여 온수분사시간 및 온수분사량을 제어한다.
예컨대, 지지 프레임(136) 후면에는 제1 내지 제3 리미트 스위치(137a,137b,137c)가 각각 고정 형성되며, 온수분사를 위해 승강판(124)이 하강하여 승강판(124)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승강 로드(139)가 온수조리용기(10)의 높이에 상응하는 리미트 스위치(제1 또는 제2 리미트 스위치(137a,137b))에 접촉하면 정역모터(133)는 구동을 중지하게 되고, 온수분사 완료 후 승강판(124)이 상승하여 제3 리미트 스위치(137c)에 접촉하면 정역모터(133)는 구동을 중지하게 된다.
한편, 안착모듈(110)에 안착된 온수조리용기(10)의 다양한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가 안착모듈(110) 측면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인식모듈(160)에 의해 인식된 온수조리용기(10)의 높이 또는 감지센서에 의해 인식된 온수조리용기(10)의 높이에 따라, 제어모듈(170)이 승강판(124)의 승강 높이를 제어하되, 승강판(124) 높이는 적어도 둘 이상의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모듈(170)로 승강판(124)의 높이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리미트 스위치가 4개가 형성되고, 온수조리용기(10)의 높이가 최하단의 리미트 스위치의 감지정보에 상응하는 높이라면, 제어모듈(170)은 최하단의 리미트 스위치 상단의 3개의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전송되는 높이정보를 바이패스하여 정역모터(133)를 계속 구동하고, 최하단의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전송되는 높이정보를 전송받아 정역모터(133)의 구동을 중지하여서, 승강판(124)이 온수조리용기(10)의 높이에 상응하여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구동모듈(130)의 구조에 의하면, 2단의 상이한 규격의 온수조리용기(10)의 높이에 상응하는 깊이로 온수분사모듈(120)을 하강시켜서, 온수를 온수조리용기(10) 내측에 외부 유출없이 분사할 수 있다.
한편, 리미트 스위치를 대체하여, 포토센서(미도시) 또는 정역모터(133)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미도시)를 구성하여 승강판(124)의 승강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안착모듈(110) 내측에, 안착모듈(110)로의 온수조리용기(10)의 안착여부와 높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미도시)를 형성하고, 제어모듈(170)은, 인식모듈(160)에 의한 바코드 정보가 아닌,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수조리용기(10)의 높이에 따라 구동모듈(130)을 구동하여 온수분사모듈(120)을 안착모듈(110)에 대향하여 하강시키고, 온수생성모듈(140)을 구동하여 온수분사시간 및 온수분사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 온수생성모듈(140)은, 히터(141)와, 물탱크(142)로부터 급수되는 용수를 히터(141)로 주입하는 입수구(143)와, 히터(141)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전자밸브(123)로 공급하는 출수구(14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히터(141)는 판형 히터이고, 판형 히터는 온수노즐부(121)와 최단거리의 지지 프레임(136)의 상단, 하단 또는 후단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거나, 승강판(124)에 결합하여서, 온수노즐부(121)로의 온수의 공급시, 온수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히터(141)의 금속재질의 히터발열판 이면에 나노히터 또는 루데녹스히터가 지그재그 형태로 인쇄되며 세라믹코팅으로 절연처리되고, 지그재그 형태의 나노히터 또는 루데녹스히터 라인을 따라 용수이동통로를 배치하여서, 물탱크(142) 또는 외부 급수관(미도시)으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용수를 순간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한다.
따라서, 판형 히터의 순간 가열에 의해 온수를 생성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 인덕션모듈(150)은, 안착모듈(110) 하부에 단열부재(151)를 개재하여 배치되어 안착모듈(110)을 가열하는 인덕션 코일(미도시)과, 인덕션 코일 하단에 배치되어 인덕션 코일의 과열을 방지하는 냉각팬(15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온수조리용기(10)의 하단에는 은박지 재질의 전도부재(미도시)가 형성되어서, 온수분사에 의한 온수즉석조리뿐만 아니라 인덕션모듈(150)에 의한 인덕션 가열 즉석조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 인식모듈(160)은, 본체(100)의 전면 프레임(102)에 형성되어 온수조리용기(10)의 외면에 인쇄된 즉석조리 레시피 정보를 가진 바코드를 인식한다.
한편, 바코드에는 온수조리용기(10)의 조리용기종류, 즉석식품종류 또는 레시피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레시피 정보는 온수공급량, 온수온도, 또는 인덕션가열시간을 포함한다.
즉, 인식모듈(160)은, 바코드 리더기 또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온수조리용기(10)의 외면에 인쇄된 즉석조리 레시피 정보를 가진 바코드를 스캔하여 바코드에 해당하는 즉석조리 레시피 정보를 후술하는 제어모듈(170)로 전송한다.
다음, 제어모듈(170)은, 인식모듈(160)에 의해 인식된 즉석조리 레시피 정보의 온수조리용기(10)의 높이에 따라 구동모듈(130)을 구동하여 온수분사모듈(120)을 안착모듈(110)에 대향하여 하강시키며, 온수생성모듈(150)을 구동하여 온수분사시간 및 온수분사량을 제어하거나, 인덕션모듈(150)을 구동하여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을 제어한다.
한편, 본체(100)의 전면 프레임(102)에 디스플레이부(180)를 추가로 형성하여, 즉석조리관련 광고 또는 즉석조리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본체(100)의 후면 프레임(103)에는 송풍팬(미도시)과 통풍구(미도시)가 형성되어 본체(100) 내부로 외부 공기를 흡기하여 본체(100) 내부의 습기 또는 열기를 제거하거나, 통풍구를 통해서 배기하여서, 본체(100) 내부를 구성하는 전술한 구성 요소의 산화, 부식, 또는 누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90)가 안착모듈(110)과 수직으로 대향하는 본체(100)의 일측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어, 온수조리용기(10)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고, 송풍부재(195)가 온수조리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본체(100) 내측으로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외측으로 송풍할 수 있다.
추가로, 인식모듈(160)에 의해 바코드가 인식된 음료용 조리용기를 수용하는 별도의 홀더부재(미도시)와, 홀더부재를 온수분사모듈(120)의 분사위치로 슬라이딩시키거나 회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본체 110 : 안착모듈
120 : 온수분사모듈 130 : 구동모듈
140 : 온수생성모듈 150 : 인덕션모듈
160 : 인식모듈 170 : 제어모듈

Claims (6)

  1. 소정 형상의 본체;
    상이한 규격의 온수조리용기가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된 안착모듈;
    상기 안착모듈에 안착된 상기 온수조리용기의 뚜껑을 관통하여 내부로 온수를 분사하는 온수노즐부와, 상기 온수노즐부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관과, 상기 온수노즐부로의 온수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온수공급관이 고정 형성된 승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온수분사모듈;
    상기 승강판에 형성된 스크류 체결홈에 체결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로 토크를 전달하는 정역모터 및 감속기와, 상기 스크류 및 상기 승강판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가 형성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판의 승강 높이를 감지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리미트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구동모듈;
    히터와, 물탱크로부터 급수되는 용수를 상기 히터로 주입하는 입수구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상기 전자밸브로 공급하는 출수구로 이루어지는 온수생성모듈;
    상기 안착모듈 하부에 단열부재 개재하여 배치되어 상기 안착모듈을 가열하는 인덕션 코일과, 상기 인덕션 코일 하단에 배치되는 냉각팬으로 이루어지는 인덕션모듈;
    상기 본체의 전면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온수조리용기의 외면에 인쇄된 즉석조리 레시피 정보를 가진 바코드를 인식하는 인식모듈; 및
    상기 인식모듈에 의해 인식된 즉석조리 레시피 정보의 상기 온수조리용기의 높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온수분사모듈을 상기 안착모듈에 대향하여 하강시키고, 상기 온수생성모듈을 구동하여 온수분사시간 및 온수분사량을 제어하거나, 상기 인덕션모듈을 구동하여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로 구성되는,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지지 프레임 후면에 적어도 둘 이상의 제1 내지 제N 리미트 스위치로 배치 구성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온수조리용기의 높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온수분사모듈을 제(N-1) 단으로 상기 안착모듈에 대향하여 하강시키고, 상기 온수생성모듈을 구동하여 온수분사시간 및 온수분사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모듈 내측에, 상기 안착모듈로의 상기 온수조리용기의 안착여부와 높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온수조리용기의 높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온수분사모듈을 상기 안착모듈에 대향하여 하강시키고, 상기 온수생성모듈을 구동하여 온수분사시간 및 온수분사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생성모듈의 히터는 판형 히터이고,
    상기 판형 히터는 상기 온수노즐부와 최단거리의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 하단 또는 후단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거나, 상기 승강판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노즐부 또는 상기 온수공급관은 테프론을 포함하고, 상기 온수노즐부 또는 상기 온수공급관을 일정 온도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웜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대체하여, 포토센서 또는 상기 정역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에 의해 상기 승강판의 승강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KR1020180009492A 2017-01-25 2018-01-25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KR201800883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12139 2017-01-25
KR1020170012139 2017-0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304A true KR20180088304A (ko) 2018-08-03

Family

ID=63250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492A KR20180088304A (ko) 2017-01-25 2018-01-25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83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884A (ko) * 2018-11-16 2020-05-27 주식회사 대산기계 조리용기 인식형 스팀 가열 즉석식품 조리장치
KR20200058619A (ko) * 2018-11-16 2020-05-28 주식회사 대산기계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250U (ko) 2008-02-12 2008-03-03 윤태용 라면조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250U (ko) 2008-02-12 2008-03-03 윤태용 라면조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884A (ko) * 2018-11-16 2020-05-27 주식회사 대산기계 조리용기 인식형 스팀 가열 즉석식품 조리장치
KR20200058619A (ko) * 2018-11-16 2020-05-28 주식회사 대산기계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8591A (ko) 스팀가열식 및 인덕션가열식 복합형 즉석식품 조리장치
TW386332B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driving of a tray of a microwave oven
KR20080025603A (ko) 가열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88304A (ko)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CN110664270A (zh) 空气炸锅
KR20180088592A (ko) 스팀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US20120125312A1 (en) Cooking appliance and an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CN206120079U (zh) 烹饪器具
KR20180088594A (ko) 정수기능을 구비한 즉석식품 조리장치
KR101525350B1 (ko) 스팀 조리기
CN204520263U (zh) 一种炒菜机器人
JP2009011400A (ja) システムキッチン
EP2088370A1 (en) Cooking oven comprising steam generating system
KR20200057885A (ko) 조리용기에 따라 온수공급노즐이 승강되는 즉석식품 조리장치
KR20180001247A (ko) 스팀 조리기
CN211933709U (zh) 空气炸锅
KR101516363B1 (ko) 조리기기
KR102239609B1 (ko) 조리용기 인식형 인덕션 즉석식품 조리장치
CN105042650A (zh) 设有炒菜装置的微波炉
CN201911867U (zh) 电蒸炉
KR101710039B1 (ko) 개폐형 인덕션 가열부를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KR101710036B1 (ko) 개폐형 스팀 가열부를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CN105509115B (zh) 智能环保集成灶
CN204889600U (zh) 一种电磁加热炒锅
CN212186130U (zh) 连续烹饪装置及自动化烹饪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