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388A -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및 농업용 하우스 - Google Patents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및 농업용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388A
KR20200058388A KR1020207006137A KR20207006137A KR20200058388A KR 20200058388 A KR20200058388 A KR 20200058388A KR 1020207006137 A KR1020207006137 A KR 1020207006137A KR 20207006137 A KR20207006137 A KR 20207006137A KR 20200058388 A KR20200058388 A KR 20200058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sin film
light
agricultural
fluori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6069B1 (ko
Inventor
고이치 오다
주네츠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8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0/00Agriculture-related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3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oi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처마 높이가 높은 하우스에 있어서도, 작물의 수확량을 늘릴 수 있는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및 농업용 하우스의 제공.
불소 수지를 함유하고, 편방의 표면에 요철면 (1a) 을 갖는 수지 필름으로서, 파장 300 ∼ 800 ㎚ 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20 ∼ 70 % 이고, 하기 투과율 T2 가 75 % 이상인,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투과율 T2 : 상기 수지 필름의 요철면 (1a) 을 물로 완전히 채우고, 그 위에 두께 50 ㎛ 의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으로서, 파장 300 ∼ 800 ㎚ 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94 % 이고 양방의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가 0.04 ㎛ 인 시험용 필름을 적층한 적층체의, 파장 300 ∼ 800 ㎚ 에 있어서의 투과율.

Description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및 농업용 하우스
본 발명은,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및 농업용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하우스 (이하, 간단히 「하우스」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의 피복재에는,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 수지 필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수지 필름에는, 하우스 내의 작물에 충분한 양의 광을 도달시킬 것이 요구된다. 또, 태양광선의 직사에 의한 잎타기나 밑둥썩음, 상부 잎의 그늘로 인한 하부 잎의 생육 저해의 억제도 중요하다.
농업용 수지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재 필름과 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의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표면에 요철을 갖는 농업용 수지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15838호
최근, 토마토나 오이 등을 재배하는 농업용 하우스로는, 작물의 키를 크게 하여 수확량을 늘릴 목적에서, 처마 높이가 높은 하우스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농업용 수지 필름을 처마 높이가 높은 하우스에 적용하면, 수확량이 그다지 증가하지 않는 것을 깨달았다. 그 이유는, 확산된 투과광 중, 지표에 도달하기 전에 하우스의 측면으로부터 밖으로 나오는 광의 비율이 많아, 지표 가까이의 작물에 광이 충분히 도달하기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동계의 오전 중에는, 일조 시간이 짧고, 태양광선도 약하기 때문에, 광량이 부족하기 쉽다. 처마 높이가 높은 하우스에서 수확량을 올리려면, 그러한 시간대이더라도 하우스 내의 작물에 도달하는 충분한 광량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특히 하계에 있어서는, 태양광선의 직사에 의한 잎타기나 밑둥썩음의 억제가 중요하다.
본 발명은, 처마 높이가 높은 하우스에 있어서도, 태양광선의 작물에 대한 직사가 강한 기간이나 일조 시간이 짧은 기간도 포함하여 작물의 수확량을 늘릴 수 있는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및 그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을 사용한 농업용 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1] ∼ [12] 의 구성을 갖는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및 농업용 하우스를 제공한다.
[1] 불소 수지를 함유하고, 편방의 표면에 요철을 갖는 수지 필름으로서, 파장 300 ∼ 800 ㎚ 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20 ∼ 70 % 이고, 하기 투과율 T2 가 7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투과율 T2 : 상기 수지 필름의 요철을 갖는 면을 물로 완전히 채우고, 그 위에 두께 50 ㎛ 의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으로서, 파장 300 ∼ 800 ㎚ 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94 % 이고 양방의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가 0.04 ㎛ 인 시험용 필름을 적층한 적층체의, 파장 300 ∼ 800 ㎚ 에 있어서의 투과율.
[2] 헤이즈가 15 ∼ 60 % 인, [1] 의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3] 상기 요철을 갖는 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가 0.30 ∼ 2.0 ㎛ 인, [1] 또는 [2] 의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4] 상기 요철을 갖는 면의 최대 높이 조도 Rz 가 1 ∼ 8 ㎛ 인, [1] ∼ [3] 중 어느 하나의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5] 상기 불소 수지가,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인, [1] ∼ [4] 중 어느 하나의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6] 자외선 흡수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1] ∼ [5] 중 어느 하나의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7] 광원으로부터 발해진 광을, 상기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요철을 갖는 면과 반대측의 표면에 대해 입사각 0 도에서 입사시켰을 때, 확산각 0 도의 투과광의 광선 강도의 10 % 에 상당하는 광선 강도로 확산되는 투과광의 확산각 θ 가 6 ∼ 10 도인, [1] ∼ [6] 중 어느 하나의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8] 광원으로부터 발해진 광을 입사시켰을 때, 확산각이 2.5 도 이하인 투과광 중의 평행 광선 투과율이 15 ∼ 55 % 인,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9] 두께가 25 ∼ 130 ㎛ 인, [1] ∼ [8] 중 어느 하나의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10] 상기 [1] ∼ [9] 중 어느 하나의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을 사용한 농업용 하우스.
[11] 하우스의 처마 높이가 4 m 이상인, [10] 의 농업용 하우스.
[12] 유리창의 내측에 상기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이 전개되어 펼쳐진 [10] 또는 [11] 의 농업용 하우스.
본 발명의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을 사용하면, 처마 높이가 높은 하우스에 있어서도, 태양광선의 작물에 대한 직사가 강한 기간이나 일조 시간이 짧은 기간도 포함하여 작물의 수확량을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업용 하우스에서는, 처마 높이가 높아도, 태양광선의 작물에 대한 직사가 강한 기간이나 일조 시간이 짧은 기간도 포함하여 작물의 수확량을 늘릴 수 있다.
도 1 은, 필름의 파장 300 ∼ 800 ㎚ 에 있어서의 투과율을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는, 투과율 T2 의 측정에 사용하는 적층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 는, 확산각 0 도의 투과광의 광선 강도의 10 % 에 상당하는 광선 강도로 확산되는 투과광의 확산각 θ 를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B) 는, 투과광의 확산각과 투과광의 광선 강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하기의 용어의 의미는 이하와 같다.
「산술 평균 조도 Ra」및 「최대 높이 조도 Rz」는, JIS B0601 : 2013 (ISO4287 : 1997, Amd. 1 : 2009)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의미한다.
「헤이즈」는, JIS K 7136 : 2000 (대응 국제 규격 : ISO 14782 : 1999) 에 따라서 측정되는 값을 의미한다.
농업용 하우스의 「처마 높이」란, 하우스 내의 지표로부터 하우스 구조체의 처마부까지의 높이를 의미한다.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본 발명의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이하, 「본 발명의 필름」으로도 기재한다) 은, 불소 수지를 함유하고, 편방의 표면에 요철을 갖는 필름이다. 본 발명의 필름은, 농업용 하우스에 있어서, 요철을 갖는 면 (이하, 「요철면」으로도 기재한다) 이 하우스 내를 향하도록 적용된다.
불소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폴리불화비닐, 불화비닐리덴-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 (이하, 「ETFE」라고도 한다),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계 공중합체,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불소 수지는, 1 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이어도 된다.
불소 수지로는, 저비용이고, 저온 성형성이 우수하며, 강도가 높은 필름이 얻어지기 쉬운 점에서, E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계 공중합체,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ETFE 가 특히 바람직하다.
불소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00 ∼ 1,000,000 이 바람직하고, 100,000 ∼ 700,000 이 특히 바람직하다. 불소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필름의 강도가 보다 높아진다. 불소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성형 가공성이 보다 우수하다.
본 발명의 필름은, 내후성이 우수한 점에서, 불소 수지에 더하여, 자외선 흡수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산화세륨, 산화아연, 산화철 등의 무기 자외선 흡수제나, 시판되는 유기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1 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필름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의 필름의 100 질량부에 대한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0.4 ∼ 5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5 ∼ 3 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내후성이 우수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헤이즈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아, 하우스 내에 광을 충분히 취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파장 300 ∼ 800 ㎚ 에 있어서의 투과율 (이하, 「투과율 T1」로도 기재한다) 은, 20 ∼ 70 % 이고, 30 ∼ 70 % 가 바람직하고, 40 ∼ 70 % 가 보다 바람직하며, 50 ∼ 70 % 가 특히 바람직하다. 투과율 T1 이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투과광이 과도하게 확산되지 않기 때문에, 처마 높이가 높은 하우스에 있어서도 투과광을 지표 근처까지 충분히 도달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작물에 있어서의 지표 가까이의 부분에서도 생육이 충분히 촉진된다. 투과율 T1 이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태양광선의 직사에 의한 잎타기나 밑둥썩음을 억제할 수 있다.
투과율 T1 은, 예를 들어, 수지 필름의 요철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및 최대 높이 조도 Rz 를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Ra 및 Rz 를 작게 할수록, 투과율 T1 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투과율 T2 는, 75 % 이상이고, 80 % 이상이 바람직하다. 투과율 T2 가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외기온이 낮아, 요철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에 효율적으로 광이 하우스 내로 취입되기 때문에, 동계 등의 일조 시간이 짧은 기간에 있어서도 하우스 내의 광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투과율 T1 및 투과율 T2 의 측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하의 측정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광을 차단하는 박스와, 상기 박스 내에 형성된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일부를 통과시키는 슬릿을 갖는 슬릿판과, 상기 슬릿을 통과한 광을 집광 시키는 토로이달 미러와, 상기 토로이달 미러에 의해 집광된 광이, 입사창에 대해 입사각 0 도에서 입사하도록 배치된 적분구와, 상기 토로이달 미러와 상기 적분구 사이의 광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토로이달 미러에 의해 집광된 광의 전부를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샘플 폴더를 구비하고, 상기 입사창의 크기가 세로 15 ㎜ × 가로 17.5 ㎜ 이고, 광로 상에 상기 샘플 폴더 이외에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상기 토로이달 미러에 의해, 상기 슬릿을 통과한 광이 상기 입사창에 있어서 폭 3 ㎜ × 길이 12.5 ㎜ 의 범위로 집광되는 측정 장치.
예를 들어, 도 1(A) 에 예시한 측정 장치 (100) 를 사용한다. 측정 장치 (100) 는, 외광을 차단하는 박스 (10) 와, 광원 (12) 과, 슬릿 (13a) 을 갖는 슬릿판 (13) 과, 토로이달 미러 (14) 와, 사방이 세로 15 ㎜ × 가로 17.5 ㎜ 인 입사창 (16a) 를 갖는 적분구 (16) 와, 사방이 10 ㎜ × 30 ㎜ 인 개구부 (18a) 를 갖는 샘플 폴더 (18) 를 구비한다. 광원 (12), 슬릿판 (13), 토로이달 미러 (14), 적분구 (16) 및 샘플 폴더 (18) 는, 모두 박스 (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적분구 (16) 의 입사창 (16a) 에 대해 수직인 직선 상에, 샘플 폴더 (18) 와 토로이달 미러 (14) 가 이 순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광원 (12) 은, 적분구 (16) 의 입사창 (16a) 에 수직인 직선에 대해, 토로이달 미러 (14) 의 위치에서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슬릿판 (13) 은, 광원 (12) 과 토로이달 미러 (1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측정 장치 (100) 에 있어서는, 광원 (12) 으로부터 발해진 광의 일부가 슬릿판 (13) 의 슬릿 (13a) 을 통과하고, 토로이달 미러 (14) 에 의해 집광되어, 집광 된 광의 전부가 샘플 폴더 (18) 의 개구부 (18a) 를 통과하여 적분구 (16) 의 입사창 (16a) 에 대해 입사각 0 도에서 입사하게 되어 있다. 슬릿 (13a) 을 통과한 광이, 토로이달 미러 (14) 에 의해, 입사창 (16a) 에 있어서 폭 3 ㎜ × 길이 12.5 ㎜ 의 범위로 집광되게 되어 있다.
토로이달 미러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광원의 위치는 토로이달 미러의 방향이나 수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광원으로부터 발해지는 광이, 박스내에 설치된 2 개 이상의 토로이달 미러로 순차 집광된 후에 적분구의 입사창에 대해 입사각 0 도에서 입사하도록 해도 된다.
투과율 T1 은, 하기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장치에 있어서 측정 파장을 300 ∼ 800 ㎚ 로 하고, 상기 토로이달 미러와 상기 입사창 사이의 광로 상에 샘플 폴더 이외에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광원으로부터 발해진 광 중, 적분구에 들어간 광의 광량 QA0 을 측정한다 (「공정 a」). 이어서, 필름을, 상기 샘플 폴더의 상기 입사창측에, 개구부를 덮도록 장착하여 광로 상에 배치한다. 필름의 요철면은 상기 입사창측을 향하게 하여, 상기 입사창과 평행하게 하고, 또한 상기 입사창으로부터 상기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요철면과 반대측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180 ㎜ 로 한다. 필름을 배치한 것 이외에는 상기 공정 a 와 동일한 조건에서 상기 적분구에 들어간 광량 QA1 을 측정한다 (「공정 b」, 도 1(B)). 이어서, 하기 식 1 에 의해 투과율 T1 (%) 을 산출한다 (「공정 c」).
T1 = QA1/QA0 × 100 식 1
또한, 광로에 아무것도 없는 상태란, 어떠한 부재도 배치되지 않아, 공기 이외에는 아무것도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 QA1 은 QA0 의 전에 측정해도 된다.
투과율 T2 는, 상기한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필름의 요철면 전체를 완전히 물로 채운다. 이어서 필름의 요철면측에, 두께 50 ㎛ 의 ETFE 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으로서, 파장 300 ∼ 800 ㎚ 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94 % 이고 양방의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가 0.04 ㎛ 인 시험용 필름을 적층하여 적층체로 한다 (「공정 d」). 이어서, 상기 적층체를, 상기 샘플 폴더의 상기 입사창측에, 개구부를 덮도록 장착하여 광로 상에 배치한다. 상기 적층체의 상기 요철면은 상기 입사창측을 향하게 하여, 상기 입사창과 평행하게 하고, 또한 상기 입사창으로부터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요철면과 반대측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180 ㎜ 로 한다. 상기 적층체를 배치한 것 이외에는 상기 공정 a 와 동조건에서 상기 적분구에 들어간 광량 QA2 를 측정한다 (「공정 e」). 이어서, 하기 식 2 에 의해 투과율 T2 (%) 를 산출한다 (「공정 f」).
T2 = QA2/QA0 × 100 식 2
공정 d 에 있어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1) (이하, 「필름 (1)」으로도 기재한다) 의 요철면 (1a) 의 전체에 물을 융합시킨 후, 필름 (1) 의 요철면 (1a) 측에 시험용 필름 (2) 을 겹쳐, 필름 (1) 과 시험용 필름 (2) 사이에 수막 (3) 이 형성된 적층체 (4) 로 한다. 투과율 T2 의 측정에서는, 필름 단체 대신에, 이와 같은 적층체를 사용한다. 그 적층체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필름과 시험용 필름 사이에 수막이 형성되어 있다. 투과율 T2 의 측정은, 본 발명의 필름의 요철을 갖는 면에 결로가 발생하여 수막이 형성된 상태를 상정한 것이다.
(헤이즈)
본 발명의 필름의 헤이즈는, 15 ∼ 60 % 가 바람직하고, 15 ∼ 50 % 가 보다 바람직하며, 15 ∼ 40 % 가 특히 바람직하다. 헤이즈가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성장점에서의 산란광이 얻어진다. 헤이즈가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처마 높이가 높은 하우스에 있어서도 투과광을 지표 근처까지 충분히 도달시킬 수 있다.
(표면 조도)
본 발명의 필름에 있어서의 요철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는, 0.30 ∼ 2.0 ㎛ 가 바람직하고, 0.8 ∼ 1.8 ㎛ 가 보다 바람직하며, 1.0 ∼ 1.6 ㎛ 가 특히 바람직하다. 요철면의 Ra 가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태양광선의 직사에 의한 잎타기나 밑둥썩음을 억제하기 쉽다. 요철면의 Ra 가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처마 높이가 높은 하우스에 있어서도 투과광을 지표 근처까지 충분히 도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에 있어서의 요철면의 최대 높이 조도 Rz 는, 1 ∼ 8 ㎛ 가 바람직하고, 4 ∼ 7 ㎛ 가 보다 바람직하며, 4 ∼ 6 ㎛ 가 특히 바람직하다. 요철면의 Rz 가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태양광선의 직사에 의한 잎타기나 밑둥썩음을 억제하기 쉽다. 요철면의 Rz 가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처마 높이가 높은 하우스에 있어서도 투과광을 지표 근처까지 충분히 도달시킬 수 있다.
(확산각 θ)
본 발명의 필름은, 광원으로부터,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요철면과 반대측의 표면에 대해 입사각 0 도로 광을 입사시켰을 때, 확산각 0 도의 투과광의 광선 강도의 10 % 에 상당하는 광선 강도로 확산되는 투과광의 확산각 θ 가 6 ∼ 10 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각이 0 ∼ θ 도의 범위인 투과광은, 확산각 0 도의 투과광의 광선 강도에 대해 10 % 이상의 광선 강도를 갖는 광이다. 확산각 θ 가 작을수록 투과광의 확산의 정도가 작고, 확산각 θ 가 클수록 투과광의 확산의 정도가 큰 것을 의미한다. 확산각 θ 가 상기 범위 내이면, 처마 높이가 높은 하우스에 있어서도, 태양광선의 직사에 의한 잎타기나 밑둥썩음을 억제하면서, 지표 근처까지 광을 충분히 도달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작물의 생육이 충분히 촉진되어, 수확량이 더욱 증대된다. 상기 확산각 θ 는, 6 ∼ 8 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확산각 θ 는, 도 3(A) 에 예시한 측정 장치 (200) 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측정 장치 (200) 는, 광원 (50) 과, 광원 (50) 의 하방에 형성된 수광기 (52) 를 구비하고 있고, 광원 (50) 과 수광기 (52) 사이에 필름 (1) 을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필름 (1) 은, 요철면 (1a) 이 수광기 (52) 측, 요철면 (1a) 과 반대측의 표면 (1b) 이 광원 (50) 측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측정 장치 (200) 에 있어서는, 필름 (1) 의 요철면 (1a) 에 있어서의, 광원 (50) 으로부터 표면 (1b) 에 입사각 0 도에서 입사한 광이 도달하는 지점 P 로부터, 반경 R 의 원주 상을 수광기 (52) 가 이동하고, 확산각이 -85 ∼ 85 도의 범위인 투과광의 광선 강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산각이 -85 ∼ 85 도의 범위인 투과광의 광선 강도는, 투과광의 확산각이 0 도일 때에 가장 커진다. 확산각이 0 도일 때의 투과광의 광선 강도를 S 로 했을 때, 0.1S 에 상당하는 확산각을 확산각 θ 로서 구한다. 측정 장치 (200) 에 있어서의 확산각이 0 ∼ -85 도의 범위인 투과광의 광선 강도는, 확산각이 0 ∼ 85 도의 범위인 투과광의 광선 강도와 대칭인 결과가 된다.
(확산각이 2.5 도 이하인 투과광 중 평행 광선 투과율)
본 발명의 필름은, 광원으로부터 발해진 광을 입사시켰을 때, 확산각이 2.5 도 이하인 투과광 중 평행 광선 투과율 (이하, 「협각도 산란」으로도 기재한다) 이, 15 ∼ 55 % 가 바람직하고, 20 ∼ 55 % 가 특히 바람직하다. 평행 광선 투과율이 상기 범위이면, 필름에 대해 비스듬하게 입사한 광이어도 하우스 내에 취입되기 쉬워져, 작물의 수확량이 보다 증대된다.
(필름의 두께)
본 발명의 필름의 두께는, 25 ∼ 130 ㎛ 가 바람직하고, 50 ∼ 100 ㎛ 가 특히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의 두께가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기 쉽다. 수지 필름의 두께가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투과성이 우수하고, 또 시공시의 핸들링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필름은, 요철면에 유적재가 도공된 필름이어도 된다. 유적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카 미립자나 알루미나 미립자 등의 무기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요철면에 유적재를 도공하는 경우, 도공 전의 필름에 유적재의 도공성을 높이기 위한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표면 처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플라즈마 처리, 오존 처리, 화염 처리, 화성 처리, 프라이머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플라즈마 처리한 후에 추가로 프라이머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프라이머 처리로는, 예를 들어, 실란 커플링제의 도공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름의 요철면에, 실란 커플링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또한 실리카 미립자나 알루미나 미립자 등의 무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유적재를 도공해도 된다.
(작용 효과)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필름은, 투과율 T1 이 20 ∼ 70 % 이기 때문에, 처마 높이가 높은 하우스에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태양광선의 작물에 대한 직사를 저감시키면서, 지표 근처까지 광이 충분히 도달한다. 또, 투과율 T2 가 75 % 이상이기 때문에, 요철면에 결로가 생겨, 수막이 형성된 상태에서 하우스 내에 효율적으로 광을 취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동계의 오전 중 등, 일조 시간이 짧아 광량이 부족하기 쉬운 시간대에 있어서도, 하우스 내의 작물에 도달하는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필름은, 불소 수지를 함유하기 때문에, 투습성이 우수하다. 그 때문에, 결로수나 하우스 내의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하우스 밖으로 효율적으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하우스 내의 온도가 상승했을 때에 습도가 과잉으로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물이 궤양병 등의 병에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수지 필름은, 불소 수지를 함유하기 때문에 내후성도 우수하다. 그 때문에, 하우스 내로의 광의 취입 효율이나 우수한 투습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처마 높이가 높은 하우스에 있어서도, 태양광선의 작물에 대한 직사가 강한 기간이나 일조 시간이 짧은 기간도 포함하여 작물의 수확량을 늘릴 수 있다.
[농업용 하우스]
본 발명의 농업용 하우스는, 처마 높이가 4 m 이상인 높은 처마 높이의 농업용 하우스로서 특히 유효하다. 처마 높이가 높아도, 태양광선의 작물에 대한 직사를 저감시키면서 지표 근처까지 광이 충분히 도달하여, 하우스 내가 고온 다습해지는 것을 억제하고, 또 일조 시간이 짧은 기간이어도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업용 하우스로는, 본 발명의 필름이 하우스 전체면에 전개되어 펼쳐진 농업용 비닐 하우스 외에, 유리창의 내측의 전체면에 본 발명의 필름이 전개되어 펼쳐진 농업용 유리 하우스로 할 수도 있다. 그 농업용 유리 하우스에 있어서는, 하우스 내에 있어서의 수분을 포함한 공기가 필름을 투과하고, 이어서 유리창과 골조 부분의 간극을 통해서 하우스 밖으로 나온다. 그 때문에, 그 농업용 유리 하우스에 있어서도, 하우스 내가 고온 다습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기재에 의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 1 ∼ 13 및 21 ∼ 24 중, 예 1 ∼ 4 및 21 은 실시예, 예 5 ∼ 13 및 22 ∼ 24 는 비교예이다.
[평가 방법]
(산술 평균 조도 Ra, 최대 높이 조도 Rz)
각 예의 필름에 대해, 표면 조도 측정기 (제품명 「480A」, 도쿄 정밀사 제조) 를 사용하여, 도공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및 최대 높이 조도 Rz 를 측정하였다.
(헤이즈)
각 예의 필름에 대해, 헤이즈미터 (제품명 「NDH5000」, 닛폰 전색사 제조) 를 사용하여 헤이즈 (DRY) 를 측정하였다.
또, 도공면의 전체에 물을 융합시킨 필름의 도공면측에, 두께 50 ㎛ 의 시험용 필름 (제품명 「에프클린」, AGC 그린테크사 제조) 을 겹쳐, 수지 필름과 시험용 필름 사이에 수막이 형성된 적층체로 하고, 그 적층체의 헤이즈 (WET) 를 측정하였다.
광원 : 백색 LED 를 사용한 D65 광원
(투과율 T1 및 T2)
각 예의 필름의 투과율 T1 및 T2 를 이하와 같이 측정하였다.
외광을 차단하는 박스로서 대형 시료실 (제품명 「MPC-3100」,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을 사용하였다. 또, 박스의 내부에 하기의 분광 광도계를 설치하고, 도 1 에 나타낸 측정 장치 (100) 와 동등한 측정 장치를 구성하였다. 그 분광 광도계에 있어서는, 광원으로부터 발해진 광의 일부가 슬릿을 통과하여, 토로이달 미러에 의해, 적분구의 입사창에 있어서 폭 3 ㎜ × 길이 12.5 ㎜ 의 범위로 집광되어, 입사창에 대해 입사각 0 도에서 입사한다.
<분광 광도계>
제품명 : 「UV-3600」(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입사창 : 사방 세로 15 ㎜ × 가로 17.5 ㎜
입사창으로부터 토로이달 미러까지의 거리 : 350 ㎜
입사창으로부터 샘플 폴더까지의 거리 : 180 ㎜
샘플 폴더의 개구부 : 사방 10 ㎜ × 30 ㎜
슬릿 조건 : 슬릿 파장 8 ㎚
광원 : 중수소 방전관 램프 (190 ㎚ ∼ 450 ㎚) 와 텅스텐 할로겐 램프 (350 ㎚ ∼ 2300 ㎚)
상기 측정 장치에 있어서, 토로이달 미러와 입사창 사이의 광로 상에 샘플 폴더 이외에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측정 파장을 300 ∼ 800 ㎚ 로 하여, 광원으로부터 발해진 광 중, 입사창으로부터 적분구에 들어간 광의 광량 QA0 을 측정하였다. 이어서, 샘플 폴더의 적분구측에, 개구부를 덮도록 필름을 장착하였다. 필름의 장착은, 유적재를 도공한 표면 (이하, 「도공면」으로도 기재한다) 이 입사창측을 향하고, 또한 입사창과 평행이 되고, 입사창으로부터 필름에 있어서의 도공면과 반대측의 표면까지의 거리가 180 ㎜ 가 되도록 실시하였다. 필름이 배치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상기 광량 QA0 의 측정과 동조건에서, 입사창으로부터 적분구에 들어간 광의 광량 QA1 을 측정하고, 하기 식 1 에 의해 투과율 T1 (%) 를 산출하였다.
T1 = QA1/QA0 × 100 식 1
필름의 도공면의 전체에 물을 융합시킨 후, 그 필름의 도공면측에, 시험용 필름 (제품명 「에프클린」, AGC 그린테크사 제조, 두께 : 50 ㎛, 파장 300 ∼ 800 ㎚ 의 전광선 투과율 : 94 %,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 0.04 ㎛ 의 ETFE 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을 겹쳐, 필름과 시험용 필름 사이에 수막이 형성된 적층체를 얻었다.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샘플 폴더의 적분구측에,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적층체를 장착하였다. 적층체의 장착은, 그 적층체의 필름에 있어서의 도공면이 입사창측을 향하고, 또한 입사창과 평행이 되고, 입사창으로부터 필름에 있어서의 도공면과 반대측의 표면까지의 거리가 180 ㎜ 가 되도록 실시하였다. 상기 적층체가 배치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상기 광량 QA0 의 측정과 동조건에서, 입사창으로부터 적분구에 들어간 광의 광량 QA2 를 측정하고, 하기 식 2 에 의해 투과율 T2 (%) 를 산출하였다.
T2 = QA2/QA0 × 100 식 2
(확산각 θ)
도 3 에 나타내는 측정 장치 (200) 로서, 변각 광도계 (제품명 「GC-5000L」, 닛폰 전색사 제조) 를 사용하여, 도공면이 수광기측, 도공면과 반대측의 표면이 광원측을 향하도록 필름을 설치하였다. 변각 광도계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 필름에 있어서의 도공면과 반대측의 표면에 대해 입사각 0 도로 광을 입사시켜, 확산각 θ 의 2 분의 1 이 0 ∼ 90 도의 범위에서 투과광의 광선 강도를 측정하였다. 확산각 0 도의 투과광의 광선 강도를 100 % 로 했을 때의, 10 % 에 상당하는 광선 강도로 확산된 투과광의 확산각 θ 를 구하였다 (측정되는 각도는 θ/2 이다).
광원 : 텅스텐 할로겐 램프를 사용한 D65 광원
(협각도 산란)
각 예의 필름에 대해, 헤이즈-가드 i (테츠타니사 제조) 를 사용하여 협각도 산란을 측정하였다.
광원 : 백색 LED 를 사용한 D65 광원
[각 예에서 사용한 표면 엠보스 백 롤]
롤 A : Ra 가 2.6 ㎛, Rz 가 19.5 ㎛ 인 롤
롤 B : Ra 가 0.35 ㎛, Rz 가 2.4 ㎛ 인 롤
[예 1]
불소 수지로서 ETFE (제품명 「FluonETFE C-88AX」, 아사히 유리사 제조) 를 사용하여, 필름상으로 압출한 수지를, 1 쌍의 금속 롤과 표 1 에 나타내는 종류의 표면 엠보스 백 롤을 회전시키면서 그것들 사이에 통과시키는 T 다이식 압출 성형법에 의해, 편방의 면에 요철을 갖는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또한, 표 1 에 있어서의 「미사용」이란, 표면 엠보스 백 롤 대신에, 표면에 엠보스가 없는 백 롤을 사용한 것을 의미한다. 성형 조건으로는, 다이 온도를 310 ℃, 금속 롤의 온도를 50 ℃, 표면 엠보스 백 롤의 온도를 50 ℃, 롤간의 에어 갭을 150 ㎜ 로 하고, 인취 속도를 표 1 에 나타내는 값으로 하였다. 수지 필름의 요철면에는, 코로나 방전 처리한 후, 유적재 (제품명 「에프클린용 유적재」, AGC 그린테크사 제조) 를 그라비아 코트법으로 도공하고, 70 ℃ 에서 30 초간 건조시켜 두께 0.3 ㎛ 의 층을 형성하여, 유적재 형성 필름을 얻었다.
[예 2]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얻은 수지 필름의 요철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한 후, 하기 언더코트액을 그라비아 코트법으로 도공하고, 이어서 80 ℃ 에서 5 초간 건조시켜, 도공량 0.03 g/㎡ 의 언더코트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하기 유적재를 그라비아 코트법으로 도공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유적재 형성 필름을 얻었다.
언더코트액 : 아미노실란 (제품명 「KBM903」,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의 1 질량부, 레벨링제 (제품명 「선페놀 420」,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의 0.05 질량부, 공업용 에탄올 (제품명 「솔믹스 AP-1」, 니혼 알코올 판매사 제조) 의 98.95 질량부를 혼합한 액.
유적재 : 하기 액 1 과 액 2 를 혼합한 액.
액 1 : 이온 교환수의 16.1 질량부에 1 N 질산의 1.5 질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실리카 졸 (제품명 「스노텍스 S」, 닛산 화학사 제조, pH 10, 고형분 농도 : 30 질량%) 의 9.7 질량부를 첨가하고, 30 분 교반을 계속한 후, 실온 (25 ℃ 에서 1 일 정치 (靜置) 하였다.
액 2 : 이온 교환수의 2.75 질량부에 1 N 질산의 2 질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공업용 에탄올 (제품명 「솔믹스 AP-1」, 니혼 알코올 판매사 제조) 의 50 질량부, 베마이트 (제품명 「케이스타치 Z20A」, 케이아이 화성사 제조, pH 4.0, 고형분 농도 : 20 질량%) 의 17.8 질량부, 아미노실란 (제품명 「KBM903」,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의 0.2 질량부를 첨가하고, 30 분 교반을 계속한 후, 실온 (25 ℃) 에서 1 일 정치하였다.
[예 3 ∼ 5]
표면 엠보스 백 롤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고, 또, 인취 속도를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일방의 면에 요철을 갖는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 수지 필름의 요철면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코로나 방전 처리한 후에 유적재를 도공하여, 유적재 형성 필름을 얻었다.
[예 6]
인취 속도를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고, 표면 엠보스 백 롤을 사용하지 않고 편측 금속 롤만으로 압출 성형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 수지 필름에서는, 금속 롤에 접하지 않았던 면에 대해 Ra 및 Rz 를 측정하였다. 그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Ra 및 Rz 를 측정한 표면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코로나 방전 처리한 후에 유적재를 도공하여, 유적재 형성 필름을 얻었다.
[예 7 ∼ 13]
수지 필름으로서, 세키스이 필름사 제조의 제품명 「슈퍼키리나시」(예 7), 세키스이 필름사 제조의 제품명 「하나야카 (등록 상표)」(예 8), 미츠비시 수지 아그리드림사 제조의 제품명 「산란광 농업용 비닐 SUNRUN (등록 상표)」(예 9), 미츠비시수지 아그리드림사 제조의 제품명 「미선런이스타 (등록 상표)」(예 10), 미츠비시수지 아그리드림사 제조의 제품명 「미선런다이아스타 (등록 상표)」(예 11), CI 화성사 제조의 제품명 「카게나시 5」(예 12), 선테라사 제조의 제품명 「클린테이트 (등록 상표) SK」(예 13) 를 준비하였다.
「슈퍼키리나시」(예 7) 와 「하나야카 (등록 상표)」(예 8) 의 요철면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코로나 방전 처리한 후에 유적재를 도공하여, 유적재 형성 필름을 얻었다. 또, 「산란광 농업용 비닐 SUNRUN (등록 상표)」(예 9), 「미선런이스타 (등록 상표)」(예 10), 「미선런다이아스타 (등록 상표)」(예 11), 「카게나시 5」(예 12), 「클린테이트 (등록 상표) SK」(예 13) 의 산술 평균 조도 Ra 및 최대 높이 조도 Rz 를 측정한 표면에도,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코로나 방전 처리한 후에 유적재를 도공하여, 유적재 형성 필름을 얻었다.
각 예의 표면 엠보스 백 롤의 종류 및 사용 유무, 인취 속도, 수지 필름의 두께, 산술 평균 조도 Ra, 최대 높이 조도 Rz, 헤이즈, 투과율 T1 및 T2, 협각도 산란, 산란각 θ 의 측정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확산각 θ 가 「0 도」라는 것은, 투과광이 전혀 확산되지 않았던 것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 1 ∼ 4 의 수지 필름은, 투과율 T1 이 20 ∼ 70 % 이고, 또한 투과율 T2 가 75 % 이상이었다. 한편, 예 5 ∼ 13 의 수지 필름은, 투과율 T1 및 투과율 T2 의 적어도 일방의 조건이 만족되어 있지 않았다.
[예 21]
예 1 에서 얻은 유적재 형성 필름을 사용하여, 하우스에 의한 토마토 재배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을, 요철면 (유적재의 도공면) 을 내측으로 하여 전개되어 펼친 처마 높이가 4 m 인 농업용 지붕형 비닐 하우스에 있어서, 하이 와이어 유인 (誘引) 을 사용하여 장기 다단 채취하는 재배 방법에 의해 토마토를 재배하였다. 토마토 재배에 있어서는, 하우스에서 8 월에 정식을 실시하고, 11 월 초순 ∼ 6 월 중순에 걸쳐 수확을 실시하였다. 토마토 품종은 「마이록」으로 하고, 재식 (栽植) 개수는 10a 당 2,400 개로 하였다. 매월 10a 당의 수확량과, 동계 (1 월 ∼ 2 월), 하계 (5 월 ∼ 6 월) 및 수확의 전체 기간에 있어서의 10a 당의 합계 수확량 (t) 을 표 2 에 나타낸다.
[예 22 ∼ 24]
유적재 형성 필름을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토마토를 재배하였다. 매월 10a 당의 수확량과, 동계 (1 월 ∼ 2 월), 하계 (5 월 ∼ 6 월) 및 수확의 전체 기간에 있어서의 10a 당의 합계 수확량 (t) 을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과율 T1 이 20 ∼ 70 % 이고, 투과율 T2 가 75 % 이상인 유적재 형성 필름을 사용한 예 21 에서는, 그것들의 적어도 일방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예 22 ∼ 24 에 비해, 수확의 전체 기간의 토마토의 합계 수확량이 많았다. 또, 예 21 에서는, 동계 (1 월 ∼ 2 월) 및 하계 (5 월 ∼ 6 월) 의 수확량도 예 22 ∼ 24 에 비해 많았다. 이것은, 예 21 에서는, 전체 기간에 걸쳐서 하우스 내의 지표 근처까지 충분히 광이 도달하여 하부에 있어서도 생육이 충분히 촉진된 것, 하우스 내가 고온 다습해져 토마토가 궤양병 등의 병에 걸리는 것이 억제되었던 것이 요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 하계에는 태양광선이 충분히 확산됨으로써 토마토의 잎이나 과실에 대한 직사에 의한 잎타기나 밑둥썩음이 억제된 것, 동계에는 필름의 요철면에 결로가 생겼을 때에 충분한 광량이 확보된 것도 요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예 22 에서는, 태양광선의 직사에 의한 잎타기나 밑둥썩음의 영향으로 인해, 예 21 에 비해 수확량이 적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예 23 에서는, 하우스 내의 지표 근처까지 광이 잘 도달하지 않았던 영향으로 인해, 예 21 에 비해 수확량이 적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예 24 에서는, 특히 동계에 있어서 하우스 내의 광량이 불충분했던 영향으로 인해, 예 21 에 비해 수확량이 적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2017년 09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7-185017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1 :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1a : 요철면
1b : 요철면과 반대측의 표면
2 : 시험용 필름
3 : 수막
4 : 적층체
100, 200, 300 : 측정 장치
10 : 박스
12 : 광원
13 : 슬릿판
13a : 슬릿
14 : 토로이달 미러
16 : 적분구
16a : 입사창
18 : 샘플 폴더
18a : 개구부
50 : 광원
52 : 수광기

Claims (12)

  1. 불소 수지를 함유하고, 편방의 표면에 요철을 갖는 수지 필름으로서, 파장 300 ∼ 800 ㎚ 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20 ∼ 70 % 이고, 하기 투과율 T2 가 7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투과율 T2 : 상기 수지 필름의 요철을 갖는 면을 물로 완전히 채우고, 그 위에 두께 50 ㎛ 의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으로서, 파장 300 ∼ 800 ㎚ 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94 % 이고 양방의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가 0.04 ㎛ 인 시험용 필름을 적층한 적층체의, 파장 300 ∼ 800 ㎚ 에 있어서의 투과율.
  2. 제 1 항에 있어서,
    헤이즈가 15 ∼ 60 % 인,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을 갖는 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가 0.30 ∼ 2.0 ㎛ 인,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을 갖는 면의 최대 높이 조도 Rz 가 1 ∼ 8 ㎛ 인,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가,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인,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 발해진 광을, 상기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요철을 갖는 면과 반대측의 표면에 대해 입사각 0 도에서 입사시켰을 때, 확산각 0 도의 투과광의 광선 강도의 10 % 에 상당하는 광선 강도로 확산되는 투과광의 확산각 θ 가 6 ∼ 10 도인,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 발해진 광을 입사시켰을 때, 확산각이 2.5 도 이하인 투과광 중의 평행 광선 투과율이 15 ∼ 55 % 인,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가 25 ∼ 130 ㎛ 인,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을 사용한, 농업용 하우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하우스의 처마 높이가 4 m 이상인, 농업용 하우스.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유리창의 내측에 상기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이 전개되어 펼쳐진, 농업용 하우스.
KR1020207006137A 2017-09-26 2018-09-13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및 농업용 하우스 KR102626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85017 2017-09-26
JP2017185017 2017-09-26
PCT/JP2018/034051 WO2019065281A1 (ja) 2017-09-26 2018-09-13 農業用フッ素樹脂フィルムおよび農業用ハウ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388A true KR20200058388A (ko) 2020-05-27
KR102626069B1 KR102626069B1 (ko) 2024-01-16

Family

ID=65902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137A KR102626069B1 (ko) 2017-09-26 2018-09-13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및 농업용 하우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91758B2 (ko)
EP (1) EP3689133A4 (ko)
JP (1) JP7081608B2 (ko)
KR (1) KR102626069B1 (ko)
CN (1) CN111031786B (ko)
TW (1) TWI776956B (ko)
WO (1) WO20190652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0799A (zh) * 2022-08-04 2022-11-01 浙江纺织服装职业技术学院 一种农业大棚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289B1 (ko) * 1995-02-18 1998-04-24 위계성 무기둥 단동 유리온실
JP2006115838A (ja) 2004-09-01 2006-05-11 Jts Kk 農業用光散乱性複合フイルム
KR20070023501A (ko) * 2005-08-24 2007-02-28 제이티에스 가부시키가이샤 농업용 광산란성 복합필름
KR20110083630A (ko) * 2008-10-21 2011-07-20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농업용 광산란 불소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16189728A (ja) * 2015-03-31 2016-11-10 三菱製紙株式会社 調光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0940A (en) * 1977-11-10 1979-06-07 Yoshitane Kurimoto Greenhouse apparatus
JPS59150816U (ja) * 1983-03-29 1984-10-09 タキロン株式会社 農園芸ハウス等の屋根板材
JPS60141753U (ja) * 1984-02-29 1985-09-19 東発工機株式会社 ビニ−ルハウス用フイルム掛け装置
US5316825A (en) * 1991-06-19 1994-05-31 Mitsubishi Kasei Vinyl Company Anti-fogging film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JPH0731295A (ja) * 1993-07-13 1995-02-03 Nippon Carbide Ind Co Inc ハウス内張フィルム
DE69425446T2 (de) * 1994-02-21 2001-01-25 Asahi Glass Green Tech Co Landwirtschaftliches bedeckungsmaterial
DE602004018092D1 (de) * 2003-12-26 2009-01-15 Agc Green Tec Co Ltd Gebäude bedeckt mit Kunststoff-Folie
US20060057343A1 (en) 2004-09-01 2006-03-16 Hideoki Tsuji Light-scattering composite agricultural film
US8790766B2 (en) * 2006-12-28 2014-07-29 Mgc Filsheet Co., Ltd. Polymer film
JP3996632B2 (ja) * 2007-01-09 2007-10-24 旭硝子株式会社 フッ素樹脂フィルム
WO2010067803A1 (ja) * 2008-12-08 2010-06-17 旭硝子株式会社 フッ素樹脂フィルム及びその使用
JP5434245B2 (ja) * 2009-05-11 2014-03-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制御シート及び建物
JP5638901B2 (ja) * 2010-09-29 2014-12-10 三菱樹脂アグリドリーム株式会社 農業用フィルム
JP5963042B2 (ja) * 2012-04-02 2016-08-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農業用太陽光制御フィルム
JP6716326B2 (ja) 2016-04-05 2020-07-01 株式会社三共 スロットマシン
WO2018016617A1 (ja) * 2016-07-22 2018-01-25 デンカ株式会社 農業用フッ素含有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農業用被覆資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289B1 (ko) * 1995-02-18 1998-04-24 위계성 무기둥 단동 유리온실
JP2006115838A (ja) 2004-09-01 2006-05-11 Jts Kk 農業用光散乱性複合フイルム
KR20070023501A (ko) * 2005-08-24 2007-02-28 제이티에스 가부시키가이샤 농업용 광산란성 복합필름
KR20110083630A (ko) * 2008-10-21 2011-07-20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농업용 광산란 불소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16189728A (ja) * 2015-03-31 2016-11-10 三菱製紙株式会社 調光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65281A1 (ja) 2019-04-04
RU2020109729A3 (ko) 2021-11-17
KR102626069B1 (ko) 2024-01-16
CN111031786A (zh) 2020-04-17
US11491758B2 (en) 2022-11-08
EP3689133A4 (en) 2021-06-02
TW201919470A (zh) 2019-06-01
CN111031786B (zh) 2022-09-20
JPWO2019065281A1 (ja) 2020-11-26
EP3689133A1 (en) 2020-08-05
US20200198287A1 (en) 2020-06-25
JP7081608B2 (ja) 2022-06-07
RU2020109729A (ru) 2021-10-27
TWI776956B (zh) 202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99774B (zh) 光学体、制造其的方法、窗构件、建具和遮阳装置
US10684399B2 (en) Chromatic facade and window units
EP2743568A2 (en) High aspect ratio daylight collectors
CN206788509U (zh) 透光率调整元件
CN102177397B (zh) 调光方法、调光系统及建筑物
CN102289012A (zh) 光学体、壁构件、建筑配件、日光遮蔽装置、以及建筑物
Teitel et al. Greenhouse and screenhouse cover materials: Literature review and industry perspective
DE60221780T2 (de) Wärmestrahlen blockierender Fluorharzfilm
JPWO2016208619A1 (ja) 採光装置
KR20200058388A (ko) 농업용 불소 수지 필름 및 농업용 하우스
Antón et al. Direct and diffuse light transmission of insect-proof screens and plastic films for cladding greenhouses
JP2012010609A (ja) 農業用シート
RU2773637C2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пленка из фторсодержащей смолы и теплица
CN104542091A (zh) 温室
Tantau et al. Solar transmittance of greenhouse covering materials
CN210094176U (zh) 一种辐射制冷幕布
Mohan et al. Opt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commercial polymer film, modeling the albedo effect
US20230345884A1 (en) Ground cover materials
KR102254578B1 (ko) 냉방 및 보온 효율이 증진된 시설원예용 하이브리드형 장기성 코팅 필름
JPH10174530A (ja) 遮光資材
Hasegawa et al. Ultraviolet radiation on an urban street with high-rise buildings in Asia
Tétreault et al. Ultraviolet filters
JPH06114992A (ja) 紫外線遮断膜の形成方法
Kusznier et al. Application Possibilities of Using Smart Glass Materials for Shading Sunlight Control
Jellea et al. Assessment of Durability of Indoor Building Materials and Inventory by Selecting Adequate Solar Material Protection Factors for Window Panes and Glass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