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346A - 중공틀체 문짝 - Google Patents

중공틀체 문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346A
KR20200058346A KR1020200059391A KR20200059391A KR20200058346A KR 20200058346 A KR20200058346 A KR 20200058346A KR 1020200059391 A KR1020200059391 A KR 1020200059391A KR 20200059391 A KR20200059391 A KR 20200059391A KR 20200058346 A KR20200058346 A KR 20200058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rizontal
vertical
door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0790B1 (ko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200059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7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58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25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separate hollow frames, e.g. foam-fill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틀체 문짝에 관한 것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문짝(1)의 틀체(2)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3,4); 상기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3,4)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3,4)과 함께 상기 틀체(2)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5,6); 및 일측이 상기 제1 또는 제2 가로프레임(3,4)에 결합되고, 타측이 대응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세로프레임(5,6)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3,4)과 상기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5,6)을 연결하는 연결부재(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문짝의 문틀을 이루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연결부재으로 연결하여 틀체를 형성하므로,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연결부재에 의해 강력하고도 착탈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중공틀체 문짝{Hollow Frame Type Door}
본 발명은 중공틀체 문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짝의 틀체를 이루는 중공의 프레임 들을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함으로써, 보다 강고하고 능률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한 중공틀체 문짝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문짝은 중공의 프레임에 의해 틀체를 제작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중공프레임 문짝은 예컨대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문틀(등록특허 제10-1753315호)에서와 같이, 틀체를 만들기 위해 가로프레임(104)과 세로프레임(105)을 직접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제1 연결부재(111)와 제2 연결부재(113)를 먼저 체결하여 가로프레임(104)과 세로프레임(105)을 연결한 다음, 상호 조립된 제1 및 제2 연결부재(111,113) 뭉치에 고정볼트(115)를 체결함으로써, 가로프레임(104)과 세로프레임(105)을 결합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문틀은 가로프레임(104)과 세로프레임(105)의 연결 이음매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 및 제2 연결부재(111,113)를 가로프레임(104)과 세로프레임(105) 조립 시 접촉되는 접촉 부위에 각각 위치시키는 바, 제1 연결부재(111)는 가로프레임(104) 양단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돌출되는 높이를 짧게 할 수밖에 없고, 마찬가지로 제2 연결부재(113)도 세로프레임(105)의 문짝 중심을 향한 내측면의 양단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돌출되는 높이를 짧게 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가로프레임(104)과 세로프레임(105)을 결합하고자 할 때, 제1 및 제2 연결부재(111,113)가 가로프레임(104)과 세로프레임(105)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면서 짧게 돌출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연결부재(111,113)의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여 프레임 결합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1 및 제2 연결부재(111,113)를 조립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연결부재(111,113) 뭉치가 가로프레임(104)과 세로프레임(105) 안으로 깊숙이 위치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연결부재(111,113) 뭉치에 고정볼트(115)를 체결하는 작업의 작업성 또한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가로프레임(104)과 세로프레임(105)의 결합에 관여하는 부위가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1 및 제2 연결부재(111,113)로 한정되기 때문에, 가로프레임(104)과 세로프레임(105)을 결합하는 결합력이나 결합강도가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10-175331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틀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이들과 별체로 된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함으로써,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이음매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능률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연결부재를 위와 같이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과 별체로 제공함으로써,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 자체의 제작을 보다 합리적이면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부재가 가로프레임이나 세로프레임의 구조에 의해 크게 구애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재의 크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가로프레임이나 세로프레임과의 결합력이나 결합 강도를 충분히 증대시켜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문짝의 틀체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과 함께 상기 틀체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 및 일측이 상기 제1 또는 제2 가로프레임에 결합되고, 타측이 대응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세로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공틀체 문짝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가로부가 상기 제1 또는 제2 가로프레임의 외측판 내주면에 제1 체결수단에 의해 부착되고, 세로부가 상기 제1 또는 제2 세로프레임의 내측판 외주면에 제2 체결수단에 의해 부착되며, 상기 내측판에 인접하여 상기 제2 체결수단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내측판과 함께 상기 제2 체결수단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력판은 상기 제1 또는 제2 세로프레임의 상기 내측판 안쪽에 인접하여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끼워지며, 상기 안내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내측판과 함께 상기 제2 체결수단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공틀체 문짝에 따르면, 문짝의 문틀을 이루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이들 프레임과 별체로 되어 있는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하므로,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이음매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과 연결부재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으므로,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틀체 조립작업의 작업 효율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과 연결부재의 결합을 위한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조립 구조가 단순하므로, 이 조립 구조로 인해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구조가 복잡해 지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따라서 문짝의 조립 및 제작을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연결부재가 가로프레임이나 세로프레임과 별체로 되어 있어 가로프레임이나 세로프레임의 구조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연결부재의 크기나 내력 구조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연결부재와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과의 결합력이나 결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여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중공프레임 문짝의 프레임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틀체 문짝을 문틀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확대 도시된 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힌지핀과 핀케이스를 분해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5에서 제1 가로프레임과 제1 세로프레임을 반절하고 유리와 유리안내틀을 생략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를 다른 쪽 방향에서 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틀체 문짝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중공틀체 문짝은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3,4)과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5,6) 그리고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3,4)과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5,6)을 대응하는 것끼리 연결하는 연결부재(7)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3,4)은 문짝(1)의 상하변을 이루는 구조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수평하게 배치되어 문짝(1)의 틀체(2)를 형성하는 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ㄷ자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는 중공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3,4)은 각각 문짝(1)의 중심을 향한 내측외주면 즉, 하면 또는 상면에 제1 유리안내틀(13)을 끼우기 위한 슬롯(11)이 절결되어 있으며, 슬롯(11) 반대쪽인 외면 즉, 상면 또는 하면에 모헤어를 끼우기 위한 모헤어홈(15)이 축선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1 유리안내틀(13)은 문짝(1)의 중심을 향한 내측면에 유리(G)를 끼우기 위한 안착홈(14)이 형성된다. 한편, 문짝(1)의 상변에 위치하는 제1 가로프레임(3)은 상면의 양단에 제1 체결수단(17)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19)이 복수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5,6)은 문짝(1)의 좌우변을 이루는 구조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배치되어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3,4)과 함께 문짝(1)의 틀체(2)를 형성하는 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단 및 하단의 개방구에 힌지핀(P)이 끼워지며, 중심을 향한 내측이 평평하고 그 반대쪽 외측이 원형인 반원기둥 형태의 중공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5,6)은 문짝(1)의 중심을 향한 내측외주면 즉, 우측 또는 좌측면에 제2 유리안내틀(23)을 끼우기 위한 슬롯(21)이 축선방향으로 절결되어 있으며, 이때 제2 유리안내틀(23)은 문짝(1)의 중심을 향한 내측면에 유리(G)를 끼우기 위한 안착홈(24)이 형성된다. 한편,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5,6)은 내측외주면 상단에 제2 체결수단(25)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27)이 위 슬롯(21)을 사이에 두고 대칭을 이루도록 복수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7)는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3,4)을 각각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5,6)에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한 가로부(31)와, 가로부(31) 일단에 수직하게 일체로 절곡 형성된 세로부(33)에 의해 단면 ㄱ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 가로부(31)에 의해 제1 또는 제2 가로프레임(3,4)에 각각 결합되고, 세로부(33)에 의해 제1 또는 제2 세로프레임(5,6)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연결부재(7)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가로프레임(3)의 체결공(19)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조립공(35)이 관통되는 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부(31)가 제1 가로프레임(3)의 상판 즉, 문짝(1)의 중심에서 먼 외측판(41) 양측단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공(19)과 정렬되어 제1 체결수단(17)에 의해 제1 가로프레임(3)에 결합된다. 또한, 연결부재(7)는 제1 세로프레임(5)의 체결공(27)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조립공(37)이 관통되는 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세로부(33)가 제1 세로프레임(5)의 내측판(43) 내측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공(27)과 정렬되어 제2 체결수단(25)에 의해 제1 세로프레임(5)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 가로프레임(3)은 연결부재(7)를 통해 제1 세로프레임(5)에 강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연결부재(7)는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5,6)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력판(45)을 더 포함한다. 이 배력판(45)은 도시된 것처럼,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5,6)의 내측판(43) 안쪽에 인접하여 형성된 안내홈(28)을 따라 끼워지도록 사각 판체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체결공(27) 및 조립공(37)과 정렬되는 위치에 제2 체결수단(25)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통공(47)이 관통된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배력판(45)은 안내홈(28)에 끼워진 상태에서 통공(47)으로부터 체결공(27)을 통하여 조립공(37)으로 조립되는 제2 체결수단(25)을 통해 연결부재(7)와 체결됨으로써, 내측판(43)과 함께 제2 체결수단(25)을 지지하며, 따라서 내측판(43)을 통해 연결부재(7)에 결합되는 제1 세로프레임(5)의 지지 강도를 배가시킨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공틀체 문짝(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중공틀체 문짝(1)은 직사각형의 유리(G)를 둘러싸도록 상하좌우 4 개의 프레임으로 외곽의 틀체(2)를 형성하는 바, 이 틀체(2)는 상하로 배열되는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3,4)과, 좌우로 배열되는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5,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각 프레임은 양단 부분이 도 2 등에 도시된 것처럼 상호 연결되는 바, 이를 위해 연결부재(7)가 사용된다.
즉, 연결부재(7)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홈(28)에 배력판(45)을 끼우고, 배력판(45)의 통공(47)과 제1 세로프레임(5)의 체결공(27), 그리고 연결부재(7)의 조립공(37)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이들 구멍에 제2 체결수단(25)을 체결함으로써 세로부(33)를 통해 연결부재(7)를 제1 세로프레임(5)의 내측판(43)에 결합한다. 이때, 제2 체결수단(25)은 도시된 것과 반대로 조립공(37)으로부터 체결공(27)과 통공(47)에 끼워져 체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7)의 가로부(31)를 제1 가로프레임(3)의 외측판(41)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제1 가로프레임(3)의 양단에 각각 삽입하고, 조립공(35)과 체결공(19)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이들 구멍에 제1 체결수단(17)을 체결함으로써 가로부(31)를 통해 연결부재(7)를 제1 가로프레임(3)의 외측판(41)에 결합하고, 따라서 연결부재(7)와 제1 세로프레임(5)을 제1 가로프레임(3)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제1 및 제2 유리안내틀(13,23)을 통해 틀체(2) 내에 유리(G)를 끼움으로써 문짝(1)의 조립을 완성하며, 필요에 따라 위와 역순으로 문짝(1)을 해체할 수도 있다.
1 : 문짝 2 : 틀체
3, 4 :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 5, 6 :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
7 : 연결부재 11, 21 : 슬롯
13, 23 : 제1 및 제2 유리안내틀 15 : 모헤어홈
17, 25 : 제1 및 제2 체결수단 19, 27 : 체결공
31 : 가로부 33 : 세로부
35, 37 : 조립공 41 : 외측판
43 : 내측판 45 : 배력판
47 : 통공 G : 유리

Claims (2)

  1.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문짝(1)의 틀체(2)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3,4);
    상기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3,4)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3,4)과 함께 상기 틀체(2)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5,6); 및
    일측이 상기 제1 또는 제2 가로프레임(3,4)에 결합되고, 타측이 대응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세로프레임(5,6)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3,4)과 상기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5,6)을 연결하는 연결부재(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7)는,
    가로부(31)가 상기 제1 또는 제2 가로프레임(3,4)의 외측판(41) 내주면에 제1 체결수단(17)에 의해 부착되고,
    세로부(33)가 상기 제1 또는 제2 세로프레임(5,6)의 내측판(43) 외주면에 제2 체결수단(25)에 의해 부착되며,
    상기 내측판(43)에 인접하여 상기 제2 체결수단(25)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내측판(43)과 함께 상기 제2 체결수단(25)을 지지하는 배력판(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틀체 문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력판(45)은 상기 제1 또는 제2 세로프레임(5,6)의 상기 내측판(43) 안쪽에 인접하여 형성된 안내홈(28)을 따라 끼워지며, 상기 안내홈(28)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 체결수단(25)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7)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내측판(43)과 함께 상기 제2 체결수단(25)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틀체 문짝.
KR1020200059391A 2020-05-18 2020-05-18 중공틀체 문짝 KR102250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391A KR102250790B1 (ko) 2020-05-18 2020-05-18 중공틀체 문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391A KR102250790B1 (ko) 2020-05-18 2020-05-18 중공틀체 문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238A Division KR20200037707A (ko) 2018-10-01 2018-10-01 중공틀체 문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346A true KR20200058346A (ko) 2020-05-27
KR102250790B1 KR102250790B1 (ko) 2021-05-11

Family

ID=70910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391A KR102250790B1 (ko) 2020-05-18 2020-05-18 중공틀체 문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7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607A (ko) * 2020-11-27 2022-06-03 정영호 도어결합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190U (ja) * 1983-07-30 1985-02-26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金属製サツシ等の框のコ−ナ−接合部
KR20160003308U (ko) * 2015-03-18 2016-09-28 이채훈 미닫이문용 프레임
KR101753315B1 (ko) 2015-04-28 2017-07-05 안중식 문틀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190U (ja) * 1983-07-30 1985-02-26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金属製サツシ等の框のコ−ナ−接合部
KR20160003308U (ko) * 2015-03-18 2016-09-28 이채훈 미닫이문용 프레임
KR101753315B1 (ko) 2015-04-28 2017-07-05 안중식 문틀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607A (ko) * 2020-11-27 2022-06-03 정영호 도어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0790B1 (ko)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1935U (ko) 전기기계식 박스용 결합 프레임
KR20200058346A (ko) 중공틀체 문짝
TWI440776B (zh) Combination device
KR20180089831A (ko) 테이블 프레임
KR101233537B1 (ko)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
KR101403211B1 (ko)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
KR101835722B1 (ko) 수배전반용 조립식 프레임
KR20200037707A (ko) 중공틀체 문짝
KR20030090759A (ko) 나사에 의해 연결된 프로파일 부재로 이루어진 조합 강철프레임
KR100951363B1 (ko) 파티션의 하부서포트
JPH10205178A (ja) フェンス
KR20100103168A (ko) 모듈러 건축물용 모듈 유닛
KR101898522B1 (ko)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조립식 칸막이
KR100805214B1 (ko) 테이블 다리조립체
JP5923210B1 (ja) 組立家具
JP3892560B2 (ja) 建築用中空金物
CN220695214U (zh) 一种用于清洗机的门体结构及清洗机
CN219878080U (zh) 一种洗碗机的门框结构及洗碗机
KR100970507B1 (ko) 조립식 구조물의 커넥터 구조체
CN214888629U (zh) 一种灵活型钢丝防护组合装置
CN215304255U (zh) 一种高强度挡栏
CN211231424U (zh) 一种组合型易装配钢丝
CN215630647U (zh) 一种阳光房的框架连接结构
CN211136228U (zh) 一种减速机组装校准架
KR102351435B1 (ko) 장부 맞춤 구조를 갖는 비탈형 보 거푸집 및 이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