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972A -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972A
KR20200057972A KR1020180142329A KR20180142329A KR20200057972A KR 20200057972 A KR20200057972 A KR 20200057972A KR 1020180142329 A KR1020180142329 A KR 1020180142329A KR 20180142329 A KR20180142329 A KR 20180142329A KR 20200057972 A KR20200057972 A KR 20200057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ent
user terminal
server
digital
res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범재룡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프리카리퍼블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프리카리퍼블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프리카리퍼블릭
Priority to KR1020180142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7972A/ko
Publication of KR20200057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생성하는 저작권자 서버와, 상기 저작권자 서버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콘텐츠와 해당 1차 저작권을 구매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로 판매하는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구매된 디지털콘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재판매하고, 상기 저작권자 서버와, 상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와,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어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거래내역정보를 분산하여 공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의 디지털콘텐츠와 2차 저작권에 거래 요청시 해당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상기 거래내역정보의 각 해시값이 상호 일치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당 디지털콘텐츠의 2차 저작권에 대한 사용료를 상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해당 디지털콘텐츠가 전송되고 상기 저작권자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2차 저작권이 전송되어서,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간 상호 재판매 거래가 수행되는,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System for resaling multitrack digital sound source contents by using blockchain technology}
본 발명은 디지털콘텐츠 저작권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간 디지털콘텐츠의 재판매 절차를 간소화하고, 해킹과 위변조없이 디지털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료와 거래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소비자의 요구에 따른 다양한 디지털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콘텐츠 산업이 발전해 오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콘텐츠의 무단 불법복제와 무단 배포 행위로 인해 디지털콘텐츠 저작권자와 제작자와 제공자에게 경제적 손실을 야기시키며 창작 의지를 심각하게 저하시키고, 궁극적으로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
또한, 트렌드의 변화와 소비에 따른 효용의 급격한 저하에 따라 소비자가 구매한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소비주기가 단축되고 있어서,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하면서도 소비자가 디지털콘텐츠를 직접 재판매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재판매 관련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제10-2007-0015488호(디지털저작권관리 기반의 사용자제작컨텐츠 및 디지털컨텐츠 연속순환거래방법)가 개시되어 있는데, 도 1을 참조하면,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KMID(Korea Music ID), FingerPrint, Watermark 및 PKI (Public Key Infrastructure)의 저작권관련 기술의 기반 위에서 지적 재산권이 부여된 디지털콘텐츠를 고객이 미사용한 경우에 디지털콘텐츠를 재판매거래, 직거래, 중개 거래 및 경매거래 방식으로 디지털콘텐츠의 거래 또는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디지털콘텐츠의 재판매를 위해서는 별도의 재판매 거래사이트에 가입하고 디지털콘텐츠를 등록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디지털콘텐츠 거래 서버와 연계된 과금 결제 DB 서버에서 결제하여 해킹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재판매 신청에 대해 승인을 인가받아야 하는 절차상의 불편함이 있다.
한국공개특허제10-2007-0015488호(디지털저작권관리 기반의 사용자제작컨텐츠 및 디지털컨텐츠 연속순환거래방법)(공개일 2007. 02. 05)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간 디지털콘텐츠의 재판매 절차를 간소화하고, 해킹과 위변조없이 디지털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료와 거래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사용자간 디지털콘텐츠인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의 재판매 절차를 간소화하고, 해킹과 위변조없이 디지털콘텐츠인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료와 거래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디지털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생성하는 저작권자 서버와, 상기 저작권자 서버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콘텐츠와 해당 1차 저작권을 구매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로 판매하는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구매된 디지털콘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재판매하고, 상기 저작권자 서버와, 상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와,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어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거래내역정보를 분산하여 공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의 디지털콘텐츠와 2차 저작권에 거래 요청시 해당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상기 거래내역정보의 각 해시값이 상호 일치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당 디지털콘텐츠의 2차 저작권에 대한 사용료를 상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해당 디지털콘텐츠가 전송되고 상기 저작권자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2차 저작권이 전송되어서,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간 상호 재판매 거래가 수행되는,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거래내역정보는,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자명을 포함하는 저작권자 상세정보와, 장르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콘텐츠 상세정보와, 저작권만료일, 재판매 가능횟수제한 또는 재판매 유효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권 상세정보와, 상기 디지털콘텐츠를 구매한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관련 상세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 디지털콘텐츠의 재판매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가 거래비용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한 가상화폐를 상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로 제공하여 결제하고, 상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결제된 거래비용을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가 2차 저작권에 대한 사용료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한 가상화폐로 상기 저작권자 서버 또는 상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작권자 서버는 상기 디지털콘텐츠인 음원을 DRM 패키저에 의해 암호화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재생 요청시, 상기 음원에 대한 DRM 저작권을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 발급하여 전송하는 DRM 저작권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작권자 서버는 상기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재판매여부에 대한 속성을 구분하여 상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구매된 디지털콘텐츠와 해당 2차 저작권을 구매한 이후에, 일정기간 경과후에만 또는 일정횟수 재생후에만,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재판매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N-1 사용자 단말기는 제N 사용자 단말기로 디지털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재판매하고, 상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제1 내지 제N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콘텐츠와 해당 저작권를 직접 재구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의 디지털콘텐츠와 2차 저작권에 거래 요청시 해당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상기 거래내역정보의 각 해시값이 상호 일치하면, 상기 저작권자 서버 또는 상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해당 디지털콘텐츠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디지털콘텐츠의 재판매시, 해당 디지털콘텐츠 정보를 SNS를 통해서 공유하여 흥보 또는 광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간 디지털콘텐츠의 재판매 절차를 간소화하고, 해킹과 위변조없이 디지털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료와 거래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거래내역정보의 분산 공유에 의해서, 디지털콘텐츠의 실제 보유여부와, 구매 및 재판매 상세내역과, 재판매에 따른 거래비용 및 저작권 사용료에 대한 해킹과 위변조가 불가능하여서, 디지털콘텐츠의 사용자간 재판매 거래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당 디지털콘텐츠 정보를 SNS를 통해서 공유하여 흥보 또는 광고하도록 하여서,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재판매 거래를 촉진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판매시에도, 저작권자 서버 또는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가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2차 저작권을 직접 통제하도록 하여서 디지털콘텐츠의 무분별한 복제와 배포를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디지털저작권관리 기반의 사용자제작컨텐츠 및 디지털컨텐츠 연속순환거래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의 순차적인 재판매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에 의한 재판매의 개략적인 순서도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저작권자 서버(110)와,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와,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131,132)로 구성된다.
저작권자 서버(110)는 저작권자의 디지털콘테츠를 관리하는데, 음악, 영상, 사진(Digital Picture) 또는 문서(E-BOOK)를 포함하는 다양한 디지털콘텐츠의 저작권관련 필수정보를 해싱알고리즘에 의해 가공처리하여 해당 해시값을 생성하는 해시처리모듈(111)과, 해시값 및 암호화하여 생성된 디지털콘텐츠를 카테고리화하여 분류 저장하는 DB(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작권자 서버(110)는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재판매여부에 대한 속성을 구분하여 후술하는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로 제공할 수 있는데, 즉 사용자 단말기간 재판매가 가능한지 아니면 불가능한지에 대한 속성을 디지털콘텐츠 또는 해시값에 부여하여 저작권과 함께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로 제공한다.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는, 저작권자 서버(110)로부터 암호화되 디지털콘텐츠와 해당 1차 저작권을 구매하여 디지털콘텐츠를 실질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131)로 스트리밍방식 또는 다운로드방식으로 선택적으로 판매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131)로부터 해당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사용료를 저작권자 서버(110) 또는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가상화폐에 의해 제공되어 결제될 수 있다.
한편, 제1 사용자 단말기(131)는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로부터 구매된 디지털콘텐츠와 해당 2차 저작권을 일정기간 경과후 또는 일정횟수 재생후, 제2 사용자 단말기(132)로 재판매할 수 있다. 여기서, 2차 저작권이란 사용자 단말기간 거래에 따른 디지털콘텐츠의 해당 저작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저작권자 서버(110)로부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로 양도된 저작권을 1차 저작권으로, 사용자 단말기간 거래에 따른 저작권을 2차 저작권으로 구분하되, 2차 저작권은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132)로 제공된다.
여기서, 제1 사용자 단말기(131)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132)로 디지털콘텐츠와 해당 2차 저작권을 재판매하도록 하는 블록체인을 적용한 구성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저작권자 서버(110)와,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와,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131,132)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어 해당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거래내역정보를 분산하여 공유한다.
여기서, 거래내역정보는,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자명을 포함하는 저작권자 상세정보와, 장르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콘텐츠 상세정보와, 저작권만료일, 재판매 가능횟수제한 또는 재판매 유효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권 상세정보와, 디지털콘텐츠를 구매한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관련 상세정보로 구성된다.
예컨대, 저작권자 상세정보는 저작권자명, 저작권등록일, 및 저작권자의 주소와 연락처와 URL정보를 포함하고, 디지털콘텐츠 상세정보는 음악, 영상, 사진, 또는 문서의 세부적인 장르정보, 및 인코딩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기 관련 상세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의 기기정보, 재생가능여부, 및 OS정보를 포함한다.
우선, 제1 사용자 단말기(131)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132)로의 디지털콘텐츠와 2차 저작권에 거래 요청시에, 해당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거래내역정보의 각 해시값이 상호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서, 저작권자 서버(110),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 제1 사용자 단말기(13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132)에 분산 공유되는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거래내역정보의 각 해시값이 모두 일치하는지 판단하여서 일치하면, 제1 사용자 단말기(131)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132)로 해당 디지털콘텐츠가 전송되고 저작권자 서버(110)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132)로 2차 저작권이 전송되어서,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간 상호 재판매 거래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저작권자 서버(110) 또는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132)로 해당 디지털콘텐츠가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간 디지털콘텐츠의 재판매시, 제2 사용자 단말기(132)가 거래비용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한 가상화폐를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로 제공하여 결제하고,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가 제1 사용자 단말기(131)로 앞서 결제된 거래비용을 제공하여서,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가 재판매에 따른 거래비용결제를 통제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132)가 거래비용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한 가상화폐를 제1 사용자 단말기(131)로 제공하여 결제하고, 제2 사용자 단말기(132)가 2차 저작권에 대한 사용료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한 가상화폐로 저작권자 서버(110) 또는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로 직접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콘텐츠의 거래비용과 2차 저작권의 사용료는 가상화폐이외에 재판매 연관 포인트 또는 통상적인 결제방식에 의해 지급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사용자 단말기(131)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132)로의 디지털 콘텐츠의 재판매시에도, 저작권자 서버(110) 또는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가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2차 저작권을 직접 통제하도록 하여서 디지털콘텐츠의 무분별한 복제와 배포를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저작권자 서버(110)는 디지털콘텐츠인 음원을 DRM 패키저(Digital Rights Management Packager)에 의해 암호화하고, DRM 저작권 서버(140)는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131,132)로부터의 디지털콘텐츠의 재생 요청시, 음원에 대한 DRM 저작권을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131,132)로 발급하여 전송한다.
또한, 재판매 제한조건으로서, 제1 사용자 단말기(131)는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로부터 구매된 디지털콘텐츠와 해당 2차 저작권을 구매한 이후에, 일정기간 경과후에만 또는 일정횟수 재생후에만, 제2 사용자 단말기(132)로 재판매가능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의 순차적인 재판매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N-1 사용자 단말기(133)는 제N 사용자 단말기(134)로 디지털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재판매하고,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는 제1 내지 제N 사용자 단말기(131 내지 134)로부터 디지털콘텐츠와 해당 저작권를 직접 재구입하여서, 추후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재유통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디지털콘텐츠의 사용자 단말기간의 순차적인 재판매 및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의 재구입에 따른 거래비용과 사용료 결제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와 제1 사용자 단말기(131)와 제2 사용자 단말기(132) 상호간의 거래비용과 사용료 결제 방식과 동일하다.
한편, 제1 사용자 단말기(131)로부터 제N 사용자 단말기(134) 까지의 순차적인 재판매시 거래비용과 사용료는 전단계 판매에 따른 비용의 80%에 해당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에 의한 재판매의 개략적인 순서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에 의한 재판매 순서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저작권자 서버(110)는 저작권자의 디지털콘테츠를 관리하는데, 음악, 영상, 사진 또는 문서를 포함하는 다양한 디지털콘텐츠의 저작권관련 필수정보를 해싱알고리즘에 의해 가공처리하여 해당 해시값을 생성하고, 해시값 및 암호화하여 생성된 디지털콘텐츠를 카테고리화하여 분류 저장한다(S110).
다음, 저작권자 서버(110)가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재판매여부에 대한 속성을 구분하여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로 제공하는데, 즉 사용자 단말기간 재판매가 가능한지 아니면 불가능한지에 대한 속성을 디지털콘텐츠에 부여하여 저작권과 함께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로 제공한다(S120).
다음,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가, 저작권자 서버(110)로부터 암호화되 디지털콘텐츠와 해당 1차 저작권을 구매하여 디지털콘텐츠를 실질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131)로 스트리밍방식 또는 다운로드방식으로 선택적으로 판매한다(S130).
여기서, 제1 사용자 단말기(131)는 디지털콘텐츠의 재판매시, 해당 디지털콘텐츠 정보를 SNS를 통해서 제2 사용자 단말기(132)와 다른 사용자 단말기와 공유하여 흥보 또는 광고하도록 하여서(S135),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재판매 거래를 촉진하고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다음, 제1 사용자 단말기(131)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132)로의 디지털콘텐츠와 2차 저작권에 거래 요청시에, 해당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거래내역정보의 각 해시값이 상호 일치하는지 판단하고(S141), 제1 사용자 단말기(131)는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로부터 구매된 디지털콘텐츠와 해당 2차 저작권을 일정기간 경과후 또는 일정횟수 재생후, 제2 사용자 단말기(132)로 재판매할 수 있다(S142).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서, 저작권자 서버(110),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 제1 사용자 단말기(13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132)에 분산 공유되는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거래내역정보의 각 해시값이 모두 일치하는지 판단하여서 일치하면, 제1 사용자 단말기(131)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132)로 해당 디지털콘텐츠가 전송되고 저작권자 서버(110)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132)로 2차 저작권이 전송되어서,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간 상호 재판매 거래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저작권자 서버(110) 또는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132)로 해당 디지털콘텐츠가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
다음, 제2 사용자 단말기(132)가 거래비용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한 가상화폐를 제1 사용자 단말기(131), 저작권자 서버(110) 또는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로 제공하여 결제하고(S151), 제2 사용자 단말기(132)가 2차 저작권에 대한 사용료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한 가상화폐로 저작권자 서버(110) 또는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120)로 제공할 수 있다(S152).
한편, 저작권자 서버(110)는 디지털콘텐츠인 음원을 DRM 패키저(Digital Rights Management Packager)에 의해 암호화하고, DRM 저작권 서버(140)는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131,132)로부터의 디지털콘텐츠의 재생 요청시, 음원에 대한 DRM 저작권을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131,132)로 발급하여 전송한다(S160).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 따라,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거래내역정보의 분산 공유에 의해서, 디지털콘텐츠의 실제 보유여부와, 구매 및 재판매 상세내역(최초 구매 후 사용기간과 재판매여부와 재판매 회차)과, 재판매에 따른 거래비용 및 저작권 사용료에 대한 해킹과 위변조가 불가능하여서, 디지털콘텐츠의 사용자간 거래시에도 보안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해당 디지털콘텐츠 정보를 SNS를 통해서 공유하여 흥보 또는 광고하도록 하여서,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재판매 거래를 촉진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고, 사용자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판매시에도, 저작권자 서버 또는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가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2차 저작권을 직접 통제하도록 하여서 디지털콘텐츠의 무분별한 복제와 배포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저작권자 서버(110) 120 ;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
131 내지 134 : 제1 내지 제N 사용자 단말기
140 : DRM 저작권 서버

Claims (5)

  1. 디지털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생성하는 저작권자 서버와,
    상기 저작권자 서버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콘텐츠와 해당 1차 저작권을 구매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로 판매하는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구매된 디지털콘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재판매하고, 상기 저작권자 서버와, 상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와,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어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거래내역정보를 분산하여 공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의 디지털콘텐츠와 2차 저작권에 거래 요청시 해당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상기 거래내역정보의 각 해시값이 상호 일치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당 디지털콘텐츠의 2차 저작권에 대한 사용료를 상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해당 디지털콘텐츠가 전송되고 상기 저작권자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2차 저작권이 전송되어서,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간 상호 재판매 거래가 수행되는,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내역정보는,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자명을 포함하는 저작권자 상세정보와, 장르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콘텐츠 상세정보와, 저작권만료일, 재판매 가능횟수제한 또는 재판매 유효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권 상세정보와, 상기 디지털콘텐츠를 구매한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관련 상세정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 디지털콘텐츠의 재판매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가 거래비용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한 가상화폐를 상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로 제공하여 결제하고, 상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결제된 거래비용을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가 2차 저작권에 대한 사용료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한 가상화폐로 상기 저작권자 서버 또는 상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자 서버는 상기 디지털콘텐츠인 음원을 DRM 패키저에 의해 암호화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재생 요청시, 상기 음원에 대한 DRM 저작권을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 발급하여 전송하는 DRM 저작권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자 서버는 상기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재판매여부에 대한 속성을 구분하여 상기 디지털콘텐츠 제공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
KR1020180142329A 2018-11-19 2018-11-19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 KR20200057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329A KR20200057972A (ko) 2018-11-19 2018-11-19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329A KR20200057972A (ko) 2018-11-19 2018-11-19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972A true KR20200057972A (ko) 2020-05-27

Family

ID=70910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329A KR20200057972A (ko) 2018-11-19 2018-11-19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797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635B1 (ko) 2020-11-11 2021-07-30 (주)소셜인프라테크 복수 개의 노드 간 트랜잭션 정보의 상호 공유를 통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중개 시스템
KR102288522B1 (ko) 2020-11-11 2021-08-10 (주)소셜인프라테크 디지털 콘텐츠 인증 정보 제공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촉진 시스템
KR102635950B1 (ko) * 2023-03-21 2024-02-13 (주)노웨어소프트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제10-2007-0015488호(디지털저작권관리 기반의 사용자제작컨텐츠 및 디지털컨텐츠 연속순환거래방법)(공개일 2007. 02. 05)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635B1 (ko) 2020-11-11 2021-07-30 (주)소셜인프라테크 복수 개의 노드 간 트랜잭션 정보의 상호 공유를 통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중개 시스템
KR102288522B1 (ko) 2020-11-11 2021-08-10 (주)소셜인프라테크 디지털 콘텐츠 인증 정보 제공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촉진 시스템
KR102635950B1 (ko) * 2023-03-21 2024-02-13 (주)노웨어소프트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23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701166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centralizing Commerce and Rights Management for Digital Assets Using a Blockchain Rights Ledger
Zhang et al. A design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mechanism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US8775320B1 (en) Redistribution of rights-managed content and technique for encouraging same
US9710669B2 (en) Secure personal content server
US74965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digital content
KR100374524B1 (ko)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컨텐츠 재생을 위한 시스템에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4880595B2 (ja) 電子使用許諾および電子コンテンツの効率的配信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1390134B (zh) 用于重新分发drm保护的内容的方法
JP5330488B2 (ja) 安全にコンテンツを配布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400346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distribution and reselling
JP2001118332A (ja) データ配信システムとその方法、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使用制御装置および配信用データが記録された機械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6522413A (ja) 権利取引システム
KR102323722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보호 시스템
EA009793B1 (ru) Распространение и управление правами для цифрового контента
KR20200000659A (ko)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디지탈콘텐츠 재판매 시스템
CN102143232A (zh) 一种基于对等网络的数字版权保护方法
US20050289081A1 (en) Computing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sales transactions on a network
KR20200057972A (ko)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
US200502890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urchasing copyrighted digital data from independent sales parties
CN105095691B (zh) 一种发送数字出版物的方法及设备
KR20080044598A (ko) 소유권과 배포권을 제공하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 및방법
Cheung et al. Rights protection for digital contents redistribution over the Internet
KR100917996B1 (ko) 특정한 성질을 가진 파일의 불법 유통차단 기능과 파일공유 추적 기능을 가지며, 합법적 파일 생산자와 파일 공유자들에게 차등적 수익 분배가 가능한 p2p 시스템 구현설계
Kitahara et al. A method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based on Bitcoin protoc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