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950B1 -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950B1
KR102635950B1 KR1020230036542A KR20230036542A KR102635950B1 KR 102635950 B1 KR102635950 B1 KR 102635950B1 KR 1020230036542 A KR1020230036542 A KR 1020230036542A KR 20230036542 A KR20230036542 A KR 20230036542A KR 102635950 B1 KR102635950 B1 KR 102635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pecific content
block
specific
block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문
노성운
김상용
Original Assignee
(주)노웨어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노웨어소프트 filed Critical (주)노웨어소프트
Priority to KR1020230036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은, 제1 사용자가 소유하는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해시(hash) 값에 기초하는 제1 블록(block)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일부 지분을 제2 사용자로 판매함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제2 해시 값 및 상기 제1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2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제1 블록에 연결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특정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블록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와 관련된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고, 상기 NFT를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이 이용하는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에게 판매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지분 크기, 및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의 거래에 의해 변경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등록증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BLOCKCHAIN-BASED CONTENT AUTHENTICATION SERVICE}
본 개시는 컨텐츠 인증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 및 NFT(non-fungible token) 기술이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각종 산업 분야에 해당 기술을 접목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은 P2P로 연결되어 있는 노드들의 합의에 의해 인증된 거래 자료들이 블록형태로 분산 저장되고 각 블록이 체인형태로 연결 되어있는 분산원장 기술을 의미한다. 그리고, NFT는 이더리움의 ERC-721 기반으로 형성되는 대체불가능 토큰을 의미한다.
예로, 블록체인 상에서 컨텐츠의 소유권의 이전 및 거래 이력이 기록될 수 있다. 다만, 기존에는 블록체인 상에 컨텐츠의 저작권의 변동 사실을 기록하는 표준 규약이 정의되지 않았으며 관련 기술 역시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개시는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개시의 목적은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은 DID(decentralized identity) 기술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상에 컨텐츠의 저작권의 변동 사실을 기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은, 제1 사용자가 소유하는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해시(hash) 값에 기초하는 제1 블록(block)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일부 지분을 제2 사용자로 판매함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제2 해시 값 및 상기 제1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2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제1 블록에 연결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특정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블록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와 관련된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고, 상기 NFT를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이 이용하는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에게 판매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지분 크기, 및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의 거래에 의해 변경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등록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특정 블록체인에 액세스할 수 있는 블록체인 주소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을 사용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상기 블록체인 주소를 통해 상기 제2 블록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컨텐츠의 미리 정의된 영역에 상기 블록체인 주소 또는 상기 NFT를 확인할 수 있는 주소가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가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중의 적어도 하나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등록됨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에 대응되는 제3 해시 값 및 상기 제2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3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블록을 상기 제2 블록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중 제3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컨텐츠의 사용을 위해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가 지불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사용자의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 지불 이력에 대응되는 제4 해시 값 및 상기 제3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4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블록을 상기 제3 블록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에게 판매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지분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지불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를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 각각으로 배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의 배분 이력에 대응되는 제5 해시 값 및 상기 제4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5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5 블록을 상기 제4 블록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가 소유하는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해시(hash) 값에 기초하는 제1 블록(block)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일부 지분을 제2 사용자로 판매함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제2 해시 값 및 상기 제1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2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제1 블록에 연결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특정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블록 생성 모듈; 및 상기 제2 블록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와 관련된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고, 상기 NFT를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이 이용하는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NFT 발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에게 판매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지분 크기, 및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의 거래에 의해 변경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등록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 생성 모듈은, 상기 특정 블록체인에 액세스할 수 있는 블록체인 주소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업로드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을 사용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상기 블록체인 주소를 통해 상기 제2 블록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 생성 모듈은,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가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중의 적어도 하나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등록됨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에 대응되는 제3 해시 값 및 상기 제2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3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3 블록을 상기 제2 블록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 생성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중 제3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컨텐츠의 사용을 위해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가 지불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사용자의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 지불 이력에 대응되는 제4 해시 값 및 상기 제3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4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4 블록을 상기 제3 블록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저작권 사용료 배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저작권 사용료 배분 모듈은,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에게 판매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지분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지불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를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 각각으로 배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 생성 모듈은,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의 배분 이력에 대응되는 제5 해시 값 및 상기 제4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5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5 블록을 상기 제4 블록에 연결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DID 기술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상에 컨텐츠의 저작권의 변동 사실을 기록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플로우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저작권을 분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에 따른 장치'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장치는, 컴퓨터, 서버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과 관련된 기능은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통해 동작된다.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CPU, AP,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 VPU(Vision Processing Unit)와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와 같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인 경우,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는, 특정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은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것은, 기본 인공지능 모델이 학습 알고리즘에 의하여 다수의 학습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학습됨으로써, 원하는 특성(또는, 목적)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이 만들어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학습은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이 수행되는 기기 자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서버 및/ 또는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의 예로는,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 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이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 각각은 복수의 가중치들 (weight values)을 갖고 있으며, 이전(previous) 레이어의 연산 결과와 복수의 가중치들 간의 연산을 통해 신경 망 연산을 수행한다.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이 갖고 있는 복수의 가중치들은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 결과에 의해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과정 동안 인공지능 모델에서 획득한 로스(loss) 값 또는 코스트(cost) 값이 감소 또는 최소화되도록 복수의 가중치들이 갱신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Deep Neural Network)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 (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또는 심층 Q-네트워크 (Deep Q-Networks) 등이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인공지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인공지능이란 사람의 신경세포(biological neuron)를 모사하여 기계가 학습하도록 하는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기반의 기계 학습법을 의미한다. 인공지능의 방법론에는 학습 방식에 따라 훈련데이터로서 입력데이터와 출력데이터가 같이 제공됨으로써 문제(입력데이터)의 해답(출력데이터)이 정해져 있는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및 출력데이터 없이 입력데이터만 제공되어 문제(입력데이터)의 해답(출력데이터)이 정해지지 않는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 및 현재의 상태(State)에서 어떤 행동(Action)을 취할 때마다 외부 환경에서 보상(Reward)이 주어지는데, 이러한 보상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학습을 진행하는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의 방법론은 학습 모델의 구조인 아키텍처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는데, 널리 이용되는 딥러닝 기술의 아키텍처는, 합성곱 신경망(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순환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 트랜스포머(Transformer), 생성적 대립 신경망(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장치와 시스템은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일 수 있고,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뉴럴 네트워크(또는 인공 신경망)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계학습과 인지과학에서 생물학의 신경을 모방한 통계학적 학습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는 시냅스의 결합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한 인공 뉴런(노드)이 학습을 통해 시냅스의 결합 세기를 변화시켜,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지는 모델 전반을 의미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의 뉴런은 가중치 또는 바이어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뉴런 또는 노드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레이어(lay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장치는 input layer, hidden layer, output layer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를 구성하는 뉴럴 네트워크는 뉴런의 가중치를 학습을 통해 변화시킴으로써 임의의 입력(input)으로부터 예측하고자 하는 결과(output)를 추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뉴럴 네트워크를 생성하거나, 뉴럴 네트워크를 훈련(train, 또는 학습(learn)하거나, 수신되는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연산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기초로 정보 신호(information signal)를 생성하거나, 뉴럴 네트워크를 재훈련(retrain)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의 모델들은 GoogleNet, AlexNet, VGG Network 등과 같은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R-CNN(Region with Convolution Neural Network), RPN(Region Propos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S-DNN(Stacking-based deep Neural Network), S-SDNN(State-Space Dynamic Neural Network), Deconvolution Network, DBN(Deep Belief Network), RBM(Restrcted Boltzman Machine), Fully Convolutional Network, LSTM(Long Short-Term Memory) Network, Classification Network 등 다양한 종류의 모델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프로세서는 뉴럴 네트워크의 모델들에 따른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뉴럴 네트워크는 심층 뉴럴 네트워크 (Deep Neural Network)를 포함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퍼셉트론(perceptron), 다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 FF(Feed Forward), RBF(Radial Basis Network), DFF(Deep Feed Forward), LSTM(Long Short Term Memory), GRU(Gated Recurrent Unit), AE(Auto Encoder), VAE(Variational Auto Encoder), DAE(Denoising Auto Encoder), SAE(Sparse Auto Encoder), MC(Markov Chain), HN(Hopfield Network), BM(Boltzmann Machine),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pp Belief Network), DCN(Deep Convolutional Network), DN(Deconvolutional Network), DCIGN(Deep Convolutional Inverse Graphics Network),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LSM(Liquid State Machine), ELM(Extreme Learning Machine), ESN(Echo State Network), DRN(Deep Residual Network), DNC(Differentiable Neural Computer), NTM(Neural Turning Machine), CN(Capsule Network), KN(Kohonen Network) 및 AN(Attention Network)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임의의 뉴럴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GoogleNet, AlexNet, VGG Network 등과 같은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R-CNN(Region with Convolution Neural Network), RPN(Region Propos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S-DNN(Stacking-based deep Neural Network), S-SDNN(State-Space Dynamic Neural Network), Deconvolution Network, DBN(Deep Belief Network), RBM(Restrcted Boltzman Machine), Fully Convolutional Network, LSTM(Long Short-Term Memory) Network, Classification Network, Generative Modeling, eXplainable AI, Continual AI, Representation Learning, AI for Material Design, 자연어 처리를 위한 BERT, SP-BERT, MRC/QA, Text Analysis, Dialog System, GPT-3, GPT-4, 비전 처리를 위한 Visual Analytics, Visual Understanding, Video Synthesis, ResNet 데이터 지능을 위한 Anomaly Detection, Prediction, Time-Series Forecasting, Optimization, Recommendation, Data Creation 등 다양한 인공지능 구조 및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1000)은, 장치(100), 복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200-1, 200-2, ... 200-N)(N은 2 이상의 자연수) 및 데이터 서버(30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장치(100)는 데스크톱(desktop)으로 구현된 경우를 개시하고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200-1, 200-2, ... 200-N)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경우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장치(100) 및 복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200-1, 200-2, ... 200-N)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예로, 노트북, 데스크톱,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장치, 서버 장치 등)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유형의 장치가 연결된 장치 군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1000)에 포함된 장치(100) 및 복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200-1, 200-2, ... 200-N)는 네트워크(W)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W)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W)는 공지의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W)는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나 공지의 전화 네트워크,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네트워크를 적어도 일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장치(100)는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장치(100)는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웹 기반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생성/실행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200-1, 200-2, ... 200-N)는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웹 기반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200-1, 200-2, ... 200-N) 역시 실행할 수 있다.
장치(100)는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이력/변동 사항,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 및 해당 저작권 사용료 지불 이력에 대응되는 해시 값에 기초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장치(100)는 생성된 블록을 연결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블록체인을 형성할 수 있다. 장치(100)는 저작권의 거래 이력/변동 사항에 대응되는 NFT를 발행하여 저작권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된 동작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는 메모리(110), 통신 모듈(120), 디스플레이(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프로세서(140)가 각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와, 프로세서(14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컨텐츠, 컨텐츠의 저작권 거래 이력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0)는 외부 장치(예로, 데이터 서버 또는/및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 등)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20)는 방송 수신 모듈, 유선통신 모듈, 무선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0)는 외부 장치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예를 들어, 컨텐츠의 저작권과 관련된 정보 등)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본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실행함으로써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110)와 프로세서(140)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110)와 프로세서(140)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블록 생성 모듈(140-1), NFT 발행 모듈(140-2), 및 저작권 사용료 배분 모듈(140-3)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생성 모듈(140-1), NFT 발행 모듈(140-2), 및 저작권 사용료 배분 모듈(140-3)은 프로세서(140)에 의해 관리 및 제어될 수 있다.
블록 생성 모듈(140-1)은 특정 정보에 대해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특정 정보에 대응되는 해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생성 모듈(140-1)은 산출된 해시 값에 기초하여 특정 정보에 대응되는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은 유효한 정보의 묶음을 의미하며, 블록의 식별자 역할을 하는 블록 해시 값, 이전 블록 해시 값, 머클 루트(Merkle root) 및 거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로, 제1 사용자가 소유하는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에 대한 정보가 장치(100)에 의해 관리되는 어플리케이션 상에 등록됨에 기반하여, 블록 생성 모듈(140-1)은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에 대해 정보에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제1 해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블록 생성 모듈(140-1)은 제1 해시 값에 기초하여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제1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일부 지분을 제2 사용자로 판매함에 기반하여, 블록 생성 모듈(140-1)은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제2 해시 값 및 제1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2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2 블록은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2 해시 값, 제1 해시 값,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는,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에게 판매한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지분 크기, 및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의 거래에 의해 변경된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등록증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 생성 모듈(140-1)은 특정 저작권의 지분 거래를 저작권을 관리하는 기관에 신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사용자 및/또는 특정 저작권의 지분 거래를 저작권을 관리하는 기관에 신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의 거래에 의해 변경된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등록증은 저작권을 관리하는 기관에 의해 발급된 등록증을 의미할 수 있다.
블록 생성 모듈(140-1)은 제2 블록을 제1 블록에 연결하여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특정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특정 블록체인은 연결된 각 블록을 통해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변동 상황 및 이력을 인증할 수 있다.
NFT 발행 모듈(140-2)은 제2 블록에 기초하여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와 관련된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할 수 있다. 즉, NFT는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간의 거래에 따른 특정 저작권의 지분 관계 및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등록증에 기초하여 발행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는 NFT 발행 모듈(140-2)에 의해 발행된 NFT를 통해 자신이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자임을 증명할 수 있다.
블록 생성 모듈(140-1)은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와 관련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 중의 적어도 하나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상에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가 등록될 수 있다. 이 때, 블록 생성 모듈(140-1)은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에 대해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제3 해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블록 생성 모듈(140-1)은 제3 해시 값 및 제2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3 블록을 생성하고, 제3 블록을 제2 블록에 연결할 수 있다.
블록 생성 모듈(140-1)은 저작권 사용료 지불 이력과 관련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의 사용을 위해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를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지불함에 기반하여, 블록 생성 모듈(140-1)은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 지불 이력을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제4 해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블록 생성 모듈(140-1)은 제4 해시 값 및 제3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4 블록을 생성하고, 제4 블록을 제3 블록에 연결할 수 있다.
블록 생성 모듈(140-1)은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의 배분 이력에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제5 해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블록 생성 모듈(140-1)은 제5 해시 값 및 제4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5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블록 생성 모듈(140-1)은 제5 블록을 제4 블록에 연결할 수 있다.
저작권 사용료 배분 모듈(140-3)은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에게 판매한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지분 크기에 기초하여, 지불된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를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 각각으로 배분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플로우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소유하는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해시 값에 기초하는 제1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S310).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는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에 대한 정보를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장치는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에 대한 정보에 대해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제1 해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장치는 제1 해시 값에 기초하여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제1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일부 지분을 제2 사용자로 판매한 경우를 가정한다. 제1 사용자가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일부 지분을 제2 사용자로 판매함에 기반하여, 장치는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제2 해시 값 및 제1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2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진행된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간의 저작권 거래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및 획득할 수 있다. 장치는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에 대해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제2 해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는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제2 해시 값 및 제1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2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는,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에게 판매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지분 크기, 및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의 거래에 의해 변경된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등록증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제2 블록을 제1 블록에 연결하여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특정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S330).
장치는 제2 블록에 기초하여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와 관련된 NFT를 발행하고, NFT를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각각이 이용하는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S340).
그리고, 장치는 특정 블록체인에 액세스할 수 있는 블록체인 주소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사용자들은 어플리케이션 상에 업로드된 블록체인 주소를 통해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변동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즉,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을 사용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는 블록체인 주소를 통해 제2 블록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예로, 특정 컨텐츠의 미리 정의된 영역에 블록체인 주소 또는 NFT를 확인할 수 있는 주소가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시청하는 다른 사용자들은 해당 블록 체인 주소 및 NFT를 확인할 수 있는 주소를 통해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자를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블록 체인 주소 및 NFT를 확인할 수 있는 주소는 특정 컨텐츠의 미리 정의된 영역 상에 제1 사용자/제2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 및/또는 장치에 의해 매핑/부가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저작권을 분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는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 중의 적어도 하나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상에 등록될 수 있다(S410).
이에 따라, 장치는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에 대응되는 제3 해시 값 및 제2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3 블록을 생성하고, 제3 블록을 제2 블록에 연결할 수 있다(S420).
구체적으로, 장치는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를 해시 함수에 적용하여 제3 해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장치는 제3 해시 값 및 제2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3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는 제3 블록을 제2 블록에 연결하여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특정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장치는 업데이트된 특정 블록체인에 액세스할 수 있는 블록체인 주소를 어플리케이션 상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사용자들은 특정 블록체인을 통해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변동 사항 및 저작권 사용료를 확인할 수 있다.
제3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가 특정 컨텐츠의 사용을 위해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를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지불한 경우를 가정한다. 장치는 제3 사용자의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 지불 이력에 대응되는 제4 해시 값 및 제3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4 블록을 생성하고, 제4 블록을 제3 블록에 연결할 수 있다(S430).
즉, 장치는 제3 사용자의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 지불 이력을 해시 함수에 적용하여 제4 해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장치는 제4 해시 값 및 제3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4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장치는 제4 블록을 제3 블록에 연결하여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특정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장치는 업데이트된 특정 블록체인에 액세스할 수 있는 블록체인 주소를 어플리케이션 상에 업로드할 수 있다.
장치는 제3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지불된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를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 각각으로 배분할 수 있다(S440).
구체적으로,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에게 판매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지분 크기에 기초하여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를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 각각으로 배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로, 장치는 배분 이력에 대응되는 제5 해시 값 및 제4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5 블록을 생성하고, 제5 블록을 제4 블록에 연결하여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특정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장치는 업데이트된 특정 블록체인에 액세스할 수 있는 블록체인 주소를 어플리케이션 상에 업로드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 장치
110 : 메모리
120 : 통신 모듈
130 : 디스플레이
140 : 프로세서

Claims (14)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사용자가 소유하는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해시(hash) 값에 기초하여 제1 블록(block)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일부 지분을 제2 사용자로 판매함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제2 해시 값 및 상기 제1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2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제1 블록에 연결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특정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블록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와 관련된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고, 상기 NFT를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이 이용하는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에게 판매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지분 크기, 및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의 거래에 의해 변경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등록증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블록체인에 액세스할 수 있는 블록체인 주소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을 사용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상기 블록체인 주소를 통해 상기 제2 블록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의 미리 정의된 영역에 상기 블록체인 주소 또는 상기 NFT를 확인할 수 있는 주소가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표시되고,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가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중의 적어도 하나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등록됨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에 대응되는 제3 해시 값 및 상기 제2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3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 블록을 상기 제2 블록에 연결하여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특정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중 제3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컨텐츠의 사용을 위해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가 지불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사용자의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 지불 이력에 대응되는 제4 해시 값 및 상기 제3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4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4 블록을 상기 제3 블록에 연결하여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특정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에게 판매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지분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지불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를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 각각으로 배분하는 단계;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의 배분 이력에 대응되는 제5 해시 값 및 상기 제4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5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5 블록을 상기 제4 블록에 연결하여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특정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로드하는 단계에서는,
    업데이트된 특정 블록체인에 액세스할 수 있는 블록체인 주소를 어플리케이션 상에 업로드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는 저작권을 관리하는 기관에 신고되고,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등록증은 상기 저작권을 관리하는 기관에 의해 발급된 등록증을 의미하며,
    상기 NFT는,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의 거래에 따른 특정 저작권의 지분 관계 및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등록증에 기초하여 발행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자임을 증명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는,
    업데이트된 특정 블록체인에 액세스할 수 있는 블록체인 주소를 통해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저작권자, 저작권의 변동 사항 및 저작권 사용료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가 소유하는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해시(hash) 값에 기초하여 제1 블록(block)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일부 지분을 제2 사용자로 판매함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제2 해시 값 및 상기 제1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2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제1 블록에 연결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특정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블록 생성 모듈; 및
    상기 제2 블록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와 관련된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고, 상기 NFT를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이 이용하는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NFT 발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에게 판매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지분 크기, 및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의 거래에 의해 변경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등록증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 생성 모듈은,
    상기 특정 블록체인에 액세스할 수 있는 블록체인 주소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업로드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을 사용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상기 블록체인 주소를 통해 상기 제2 블록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의 미리 정의된 영역에 상기 블록체인 주소 또는 상기 NFT를 확인할 수 있는 주소가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표시되고,
    상기 블록 생성 모듈은,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가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중의 적어도 하나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등록됨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에 대응되는 제3 해시 값 및 상기 제2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3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3 블록을 상기 제2 블록에 연결하여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특정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중 제3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컨텐츠의 사용을 위해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가 지불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사용자의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 지불 이력에 대응되는 제4 해시 값 및 상기 제3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4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4 블록을 상기 제3 블록에 연결하여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특정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저작권 사용료 배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저작권 사용료 배분 모듈은,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에게 판매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지분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지불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를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 각각으로 배분하고,
    상기 블록 생성 모듈은,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사용료의 배분 이력에 대응되는 제5 해시 값 및 상기 제4 해시 값에 기초하여 제5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5 블록을 상기 제4 블록에 연결하여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특정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하며,
    상기 블록 생성 모듈은,
    업데이트된 특정 블록체인에 액세스할 수 있는 블록체인 주소를 어플리케이션 상에 업로드하고,
    상기 블록 생성 모듈은,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거래 정보를 저작권을 관리하는 기관에 신고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등록증은 상기 저작권을 관리하는 기관에 의해 발급된 등록증을 의미하며,
    상기 NFT는,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의 거래에 따른 특정 저작권의 지분 관계 및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 등록증에 기초하여 발행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자임을 증명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는,
    업데이트된 특정 블록체인에 액세스할 수 있는 블록체인 주소를 통해 특정 컨텐츠의 저작권의 저작권자, 저작권의 변동 사항 및 저작권 사용료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30036542A 2023-03-21 2023-03-21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635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542A KR102635950B1 (ko) 2023-03-21 2023-03-21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542A KR102635950B1 (ko) 2023-03-21 2023-03-21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950B1 true KR102635950B1 (ko) 2024-02-13

Family

ID=8989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6542A KR102635950B1 (ko) 2023-03-21 2023-03-21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9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972A (ko) *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파프리카리퍼블릭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
KR20210030127A (ko) * 2019-09-09 2021-03-17 정규용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보호 시스템
KR102404913B1 (ko) * 2022-03-08 2022-06-02 김태원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음원 nft 발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43666B1 (ko) * 2021-12-22 2022-09-16 김자훈 블록체인 기반의 nft가 적용된 객체 간의 매칭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
KR20230017451A (ko) * 2021-07-28 2023-02-06 김현주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972A (ko) *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파프리카리퍼블릭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멀티트랙 디지탈 음원 콘텐츠 재판매 시스템
KR20210030127A (ko) * 2019-09-09 2021-03-17 정규용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보호 시스템
KR20230017451A (ko) * 2021-07-28 2023-02-06 김현주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2443666B1 (ko) * 2021-12-22 2022-09-16 김자훈 블록체인 기반의 nft가 적용된 객체 간의 매칭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
KR102404913B1 (ko) * 2022-03-08 2022-06-02 김태원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음원 nft 발급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A novel graph convolutional feature ba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or stock trend prediction
Xu et al. A new supervised learning algorithm for spiking neurons
KR102490009B1 (ko) 인공지능 기반 인플루언서 연계 제품 구매 및 판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Ittoo et al. Algorithmic pricing agents and tacit collusion: A technological perspective
Panda et al. Learning to generate sequences with combination of hebbian and non-hebbian plasticity in recurrent spiking neural networks
Iman et al. Pathways to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 brief overview of developments and ethical issues via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 and data science
KR102546871B1 (ko) 인공지능 모델 기반 b2b 식자재 및 부자재의 유통의 주문 히스토리의 패턴 분석을 통한 주문 정보 추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1044251A1 (en) Elastic-centroid based clustering
Wang et al. A proactive decision support method based on deep reinforcement learning and state partition
Dittrich et al. A deep q-learning-based optimization of the inventory control in a linear process chain
Burstein et al. Artificial neural networks in decision support systems
KR10263595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601446B1 (ko)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인플루언서 기반 판매 제품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3761388A (zh) 一种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552856B1 (ko) 커머스 연계 콘텐츠 제공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키워드 추출 및 콘텐츠 템플릿 생성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1983609B2 (en) Dual machine learning pipelines for transforming data and optimizing data transformation
KR102447426B1 (ko) 초개인화를 위한 퍼스널 컬러와 타임라인 기반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라이프스타일 가이드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Leventi-Peetz et al. Scope and sense of explainability for ai-systems
Levine et al. Neural network modeling of business decision making
KR20200075143A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자산 거래 및 이력 추적 시스템
Huqqani et al. Parallelized neural networks as a service
KR102598072B1 (ko)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개인 정보 노출을 방지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atta et al. Deep Learning Frameworks for Internet of Things
CN114581250A (zh) 一种医保欺诈的识别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2598077B1 (ko)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저작권을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