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451A -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451A
KR20230017451A KR1020210098931A KR20210098931A KR20230017451A KR 20230017451 A KR20230017451 A KR 20230017451A KR 1020210098931 A KR1020210098931 A KR 1020210098931A KR 20210098931 A KR20210098931 A KR 20210098931A KR 20230017451 A KR20230017451 A KR 20230017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nft
primary
fungib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6100B1 (ko
Inventor
김현주
김난실
Original Assignee
김현주
김난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주, 김난실 filed Critical 김현주
Priority to KR1020210098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100B1/ko
Publication of KR20230017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06F21/335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for accessing specific resources, e.g. using Kerberos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은 1차 창작자로부터 1차 저작물에 대응되는 1차 저작물 데이터 및 상기 1차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료 정보를 입력 받는 1차 저작물 등록부; 상기 1차 저작물을 기초로 창작된 2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발행되는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관리하되,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는 NFT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보 및 토큰 식별자를 포함하는 2차 저작물 등록부;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이 발행된 NFT 스마트 컨트랙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NFT 스마트 컨트랙트로부터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 트랜잭션을 획득하는 트랜잭션 모니터링부; 및 상기 저작권료 정보 및 상기 거래 트랜잭션에 포함된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 수익을 이용하여 상기 1차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료를 산출하는 저작권료 정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DIGITAL ASSET PROFIT USING NFT}
본 발명은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차 저작물에 연결된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 트랜잭션을 모니터링하여 2차 저작물로 인한 수익을 정산할 수 있는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 Chain)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실행시킬 수 있는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기반의 P2P(Peer-to-Peer) 시스템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자산의 트랜잭션(Transaction)을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에서는 디지털 자산을 스마트 컨트랙트로 구현한 응용 프로그램인 토큰(Token) 형태로 관리한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에서 디지털 자산을 토큰화하여 관리하면, 불변성, 빠른 접근성, 또는 높은 유동성 등의 이점을 가지게 된다.
대체 가능 토큰(Fungible Token)은 동일한 타입의 다른 토큰과 1:1 교환이 가능하지만 대체 불가 토큰(Non Fungible Token, NFT)은 고유한 식별값을 통해 다른 토큰과 구별될 수 있어 대체가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이용하여 대체 가능 토큰은 복제가 쉬운 디지털 환경에서 위조 및 변조가 불가능한 디지털 원본을 담보할 수 있으며,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한 토큰 거래는 누구든지 접근하여 확인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대체 불가 토큰을 통해 거래되는 디지털 저작물이 2차 저작물에 해당하는 경우 원저작권자에게 2차 저작물 작성에 관한 허락을 받아야 침해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2차 저작물로 인해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원저작권자에게 저작권료를 지급해야 한다.
다만, 최근 들어 다수의 대체 불가 토큰 거래소가 각자의 대체 불가 토큰을 발행하여 디지털 저작물 거래에 사용하고 있으며, 누구나 손쉽게 디지털 파일을 이용하여 대체 불가 토큰을 발행할 수 있어 저작권 관련 라이선스 관리 및 저작권 관련 수익의 모니터링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다수의 대체 불가 토큰 거래소를 통해 발행되는 2차 저작물 및 저작권 관련 수익을 한 곳에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저작물의 창작자가 손쉽게 2차 저작물 작성이 가능한 저작물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2차 저작물에 해당하는 대체 불가 토큰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여 다양한 대체 불가 토큰 거래소를 통한 2차 저작물 거래를 모니터링하여 2차 저작물로 인한 수익을 원저작권자와 공유할 수 있는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은 1차 창작자로부터 1차 저작물에 대응되는 1차 저작물 데이터 및 상기 1차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료 정보를 입력 받는 1차 저작물 등록부; 상기 1차 저작물을 기초로 창작된 2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발행되는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관리하되,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는 NFT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보 및 토큰 식별자를 포함하는 2차 저작물 등록부;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이 발행된 NFT 스마트 컨트랙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NFT 스마트 컨트랙트로부터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 트랜잭션을 획득하는 트랜잭션 모니터링부; 및 상기 저작권료 정보 및 상기 거래 트랜잭션에 포함된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 수익을 이용하여 상기 1차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료를 산출하는 저작권료 정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료 정산부는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판매자로부터 상기 산출된 저작권료를 지급받아 상기 1차 창작자에게 정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판매자로부터 지급받는 상기 산출된 저작권료의 화폐 종류는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에 사용되는 암호화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차 저작물 등록부는 상기 2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을 발행하는 NFT 발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작권이 등록된 저작물과 저작권자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저작권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작권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1차 저작물 데이터 및 상기 1차 창작자의 정보를 상기 등록 저작권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1차 저작물이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검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방법은 1차 창작자로부터 1차 저작물에 대응되는 1차 저작물 데이터 및 상기 1차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료 정보를 입력 받는 1차 저작물 등록 단계; 상기 1차 저작물을 기초로 창작된 2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발행되는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관리하되,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는 NFT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보 및 토큰 식별자를 포함하는 2차 저작물 등록 단계;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이 발행된 NFT 스마트 컨트랙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NFT 스마트 컨트랙트로부터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 트랜잭션을 획득하는 트랜잭션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저작권료 정보 및 상기 거래 트랜잭션에 포함된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 수익을 이용하여 상기 1차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료를 산출하는 저작권료 정산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료 정산 단계는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판매자로부터 상기 산출된 저작권료를 지급받아 상기 1차 창작자에게 정산해주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판매자로부터 지급받는 상기 산출된 저작권료의 화폐 종류는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에 사용되는 암호화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차 저작물 등록 단계는 상기 2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을 발행하는 NFT 발행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차 저작물 데이터 및 상기 1차 창작자의 정보를 저작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등록 저작권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1차 저작물이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검증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록 저작권 데이터는 저작권이 등록된 저작물과 저작권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와 관련된 트랜잭션을 모니터링하여 2차 저작물로 인한 수익을 원저작권자와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저작물의 창작자에게 2차 저작물 작성이 가능한 저작물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대체 불가 토큰과 관련된 저작권 침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2차 저작물 등록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은 2차 저작물 창작이 허용되는 1차 창작물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2차 저작물 허용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은 2차 저작물 허용 리스트에 포함된 1차 저작물을 기초로 창작된 2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2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는 작품 이름, 작품 설명, 창작자 정보 등의 일반적인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NFT 스마트 컨트랙트(30)에 발행되는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은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NFT 스마트 컨트랙트(30)의 트랜잭션을 모니터링하고, 2차 저작물의 거래 트랜잭션을 획득하여 2차 저작물의 거래로 인한 2차 창작자의 수익을 확인할 수 있다.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은 1차 창작자(21)가 미리 설정한 저작권료 분배 조건을 이용하여 2차 저작물의 거래로 인한 2차 창작자의 수익을 1차 창작자(21)에게 분배하여 정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은 서버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은 웹서버(Web Serv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웹서버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의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며,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상기 웹서버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1차 창작자(21) 및 2차 창작자(22)는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에 접속될 수 있다.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 1차 창작자(21), 2차 창작자(22) 및 NFT 스마트 컨트랙트(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데이터 통신망은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 기술 분야에 있어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는 금융거래, 부동산 계약, 공증 등 다양한 형태의 계약을 중개자 없이 p2p(peer to peer) 방식으로 체결하고 이행하도록 블록체인(block chain)을 이용하여 구현된 거래 기술을 의미한다.
NFT 스마트 컨트랙트(30)는 디지털 저작물과 연결된 대체 불가 토큰, 즉, NFT(Non Fungible Token)가 발행되고, 거래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체 불가 토큰은 이더리움(ethereum) 블록체인 관련 표준 인터페이스인 ERC(ethereum request for comments)-721를 활용하여 발행 및 거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NFT는 이더리움 표준 인터페이스인 ERC-1155을 이용하여 발행 및 거래될 수 있으며, 이더리움 외 다양한 블록체인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발행될 수 있다.
일반적인 대체 가능 토큰과 달리, 대체 불가 토큰은 디지털 저작물의 정보를 포함하여 발행(minting)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저작물의 정보는 작품 이름, 작품 설명, 창작자 정보, 원본 파일이 저장된 주소, 카피 수(전체 에디션 수 및 해당 에디션의 번호), 재판매 로열티 비율(예를 들어, 작품이 판매될 때마다 받을 수 있는 로열티 비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대체 불가 토큰의 발행을 통해 대체 불가 토큰이 생성되어 스마트 컨트랙트를 구성하는 블록들이 체인에 추가될 수 있다.
대체 불가 토큰은 토큰 식별자(tokenID), 토큰 통합자원식별자(tokenURI), 토큰 소유자(tokenOwner)를 비롯하여 대체 불가 토큰이 따르고 있는 프로토콜에 부합하는 속성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토큰 식별자(tokenID)는 토큰의 고유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미 발행되어 있는 토큰의 고유 번호는 사용될 수 없다. 또한, 소각된 토큰의 고유 번호는 다시 사용될 수 없다.
토큰 통합자원식별자(tokenURI)는 토큰의 정보를 담은 파일의 위치를 통합자원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로 표현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토큰의 정보는 토큰의 속성, NFT 토큰에 연결되는 디지털 저작물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NFT 토큰에 연결되는 디지털 저작물의 정보는 작품 이름, 작품 설명, 창작자 정보, 원본 파일이 저장된 주소(예를 들어, IPFS 주소), 카피 수(전체 에디션 수 및 해당 에디션의 번호), 재판매 로열티 비율(예를 들어, 작품이 판매될 때마다 받을 수 있는 로열티 비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통합자원식별자(URI)는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나타내는 유일한 주소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토큰 통합자원식별자는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타입의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PFS(Inter Planetary File System, 분산저장시스템)란, 분산형 파일 시스템으로 전세계 컴퓨터의 파일 표준 및 시스템을 연결시키는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IPFS는 P2P 분산 파일 시스템으로, 중앙화 서버 없이 노드들의 P2P통신으로 대용량 파일을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 보관하는 방식이다. 블록체인에 담을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매우 한정적이며, 많은 양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블록체인 내부에는 거래 정보나 텍스트만 기록하고, 사진, 동영상, 도면 등의 대용량 데이터는 IPFS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
토큰 소유자(tokenOwner)는 해당 토큰을 소유한 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큰을 소유한 자에 대한 정보는 토큰 소유자의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저작물은 이미지 파일, 연속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음원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텍스트 파일, 컴퓨터 프로그램, 설계 도면 파일 등을 다양한 저작물 유형의 디지털 버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1차 저작물을 창작한 1차 창작자(21)는 1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대체 불가 토큰을 제1 NFT 스마트 컨트랙트(30)에 발행할 수 있다(S10). 본 실시예에서는 1차 창작자(21)가 1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대체 불가 토큰을 발행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1차 창작자는 1차 저작물에 대하여 대체 불가 토큰을 발행하지 않고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에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체 불가 토큰이 발행되어 저장되는 저장소는 대체 불가 토큰을 거래하는 대체 불가 토큰 마켓 플레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체 불가 토큰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소는 대체 불가 토큰을 발행하여 보관하기 위한 목적의 대체 불가 토큰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체 불가 토큰 마켓 플레이스는 OpenSea, Rarible, Foundation, Niftygateway, SuperRare, KnownOrigin, MakersPlace, Async, Paras, NBA TopShot 등의 마켓 플레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새로운 마켓 플레이스가 새롭게 오픈되거나 폐쇄되는 경우 추가되거나 제외될 수 있다.
대체 불가 토큰 마켓 플레이스 및 대체 불가 토큰 플랫폼은 대체 불가 토큰을 저장하기 위한 NFT 스마트 컨트랙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저작물을 창작한 1차 창작자(21)는 1차 저작물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디지털 파일, 1차 저작물에 대한 설명 또는 제1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1차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료 정보를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에 입력하여 2차 저작물 허용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S20).
일 실시예에서, 제1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는 NFT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정보, 토큰 식별자(tokenID), 토큰 통합자원식별자(tokenURI) 또는 토큰 소유자(tokenOwn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FT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정보는 토큰이 발행된 NFT 스마트 컨트랙트의 주소(address), 이름(name) 또는 심볼(symbol)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은 토큰 통합자원식별자에 포함된 주소를 이용하여 대체 불가 토큰의 정보 및 대체 불가 토큰에 대응되는 저작물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저작물의 정보는 작품 이름, 작품 설명, 창작자 정보, 원본 파일이 저장된 인터넷 주소, 카피 수(전체 에디션 수 및 해당 에디션의 번호), 재판매 로열티 비율(예를 들어, 작품이 판매될 때마다 받을 수 있는 로열티 비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료 정보는 1차 창작자가 미리 설정한 저작권료 분배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작권료 분배 조건은 1차 저작물을 기초로 창작된 2차 저작물로 인해 발생되는 수익에 대한 분배 조건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익에 대한 분배 조건은 발생되는 수익에 대한 분배 비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익에 대한 분배 조건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2차 저작물 허용 리스트에 포함된 1차 저작물을 기초로 2차 저작물을 창작한 2차 창작자(22)는 2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에 입력하여 2차 저작물 관리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S30).
일 실시예에서, 2차 창작자(22)는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을 통해 2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대체 불가 토큰을 제2 NFT 스마트 컨트랙트(30)에 발행하고, 발행된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2차 저작물 관리 리스트에 등록(S41)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NFT 스마트 컨트랙트(30)는 제1 NFT 스마트 컨트랙트와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NFT 스마트 컨트랙트(30)는 제1 NFT 스마트 컨트랙트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2차 창작자(22)는 다른 대체 불가 토큰 플랫폼을 통해 제2 대체 불가 토큰을 발행하고, 발행된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2차 저작물 관리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S42). 이 경우, 2차 창작자가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의 수익 공유 시스템(10)에 입력하는 2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는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는 NFT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정보, 토큰 식별자(tokenID), 토큰 통합자원식별자(tokenURI) 또는 토큰 소유자(tokenOwn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FT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정보는 토큰이 발행된 NFT 스마트 컨트랙트의 주소(address), 이름(name) 또는 심볼(symbol)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은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제2 NFT 스마트 컨트랙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은 제2 NFT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이루어지는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 트랜잭션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S50).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은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 트랜잭션을 모니터링하여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로 인한 수익을 획득할 수 있다(S60).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은 1차 창작자가 미리 설정한 저작권료 분배 조건 및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로 인한 수익을 기초로 2차 창작자가 1차 창작자에게 지급할 저작권료를 산출할 수 있다(S70).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은 산출된 저작권료를 기초로 2차 창작자(22)에게 저작권료에 대한 정산을 요청할 수 있다(S81).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은 저작권료를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에 사용되는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2차 창작자(22)로부터 지급받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은 현금 또는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중 어느 하나의 지급 수단을 이용하여 저작권료를 2차 창작자(22)로부터 지급받을 수 있다(S82).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은 저작권료를 제1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에 사용되는 암호폐를 이용하여 1차 창작자(21)에게 지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은 현금 또는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중 어느 하나의 지급 수단을 이용하여 저작권료를 1차 창작자(21)에게 지급할 수 있다(S8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2차 저작물 등록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10)은 1차 저작물 등록부(110), 저작권 데이터베이스(120), 검증부(130), 유해물질 검출부(140), 2차 저작물 등록부(150), 트랜잭션 모니터링부(160) 및 저작권료 정산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저작물 등록부(110)는 1차 창작자(21)로부터 1차 저작물에 대응되는 1차 저작물 데이터 및 1차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료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1차 저작물 등록부(110)는 입력 받은 1차 저작물 데이터 및 1차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료 정보를 2차 저작물 허용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S100). 여기서, 2차 저작물 허용 리스트는 저작권자가 2차 저작물의 창작을 허용한 1차 창작물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1차 저작물 데이터는 1차 저작물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디지털 파일, 1차 저작물에 대한 설명 또는 1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발행되는 제1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저작물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디지털 파일은 1차 저작물을 디지털 버전으로 변환시킨 디지털 파일 또는 디지털 저작물 자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저작물에 대한 설명은 작품 이름, 작품 설명, 창작자 정보 등 일반적인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는 NFT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정보, 토큰 식별자(tokenID), 토큰 통합자원식별자(tokenURI) 또는 토큰 소유자(tokenOwn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FT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정보는 토큰이 발행된 NFT 스마트 컨트랙트(30)의 주소(address), 이름(name) 또는 심볼(symbol)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료 정보는 1차 창작자가 미리 설정한 저작권료 분배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작권료 분배 조건은 1차 저작물을 기초로 창작된 2차 저작물로 인해 발생되는 수익에 대한 분배 조건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익에 대한 분배 조건은 발생되는 수익에 대한 분배 비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익에 대한 분배 조건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1차 저작물 등록부(110)는 NFT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대체 불가 토큰이 발행된 NFT 스마트 컨트랙트(30)를 식별할 수 있다. 1차 저작물 등록부(110)는 토큰 식별자(tokenID)를 이용하여 제1 대체 불가 토큰을 식별하고, 관련된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1차 저작물 등록부(110)는 토큰 통합자원식별자(tokenURI)를 이용하여 제1 대체 불가 토큰에 대응되는 1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저작권 데이터베이스(120)는 저작권이 등록된 저작물과 저작권자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저작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등록 저작권 데이터에 저장된 등록된 저작물은 저작권이 등록된 저작물을 디지털 버전으로 변환한 디지털 파일 또는 저작권이 등록된 디지털 저작물 자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작권자 정보는 등록된 저작물의 저작권자의 성명 또는 명칭 등 저작권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검증부(130)는 1차 창작자(21)로부터 입력되는 1차 저작물 데이터 및 1차 창작자의 정보를 등록 저작권 데이터와 비교하여 1차 저작물이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0).
검증부(130)는 1차 저작물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디지털 파일 또는 제1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1차 저작물의 원본 파일을 등록 저작권 데이터의 저작권이 등록된 저작물을 디지털 버전으로 변환한 디지털 파일 또는 저작권이 등록된 디지털 저작물과 비교하여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검증부(130)는 1차 저작물과 저작권이 등록된 저작물 간의 유사 판단을 위하여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추출하는 객체 추출부, 이미지로부터 특징 벡터를 획득하는 특징 벡터 획득부 및 객체 및 특징 벡터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분석하는 유사도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추출부는 딥러닝 기반의 객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1차 저작물과 저작권이 등록된 저작물로부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딥러닝 기반의 객체 인식 알고리즘은 선택적 탐색(Selective Search)과 같은 컴퓨터 비전 기술을 활용하거나 딥러닝 기반의 영역 제안 네트워크(Region Proposal Network, RPN)를 통해 객체를 포함할 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대한 영역 제안(Region Proposal) 단계를 거치는 이단계 방식의 Faster R-CNN(Faster R-CNN: Towards Real-Time Object Detection with Region Proposal Networks), R_FCN(R-FCN: Object Detection via Region-based Fully Convolutional Networks) 및 FPN-FRCN(FPN-FRCN: Feature Pyramid Networks for Object Detection)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딥러닝 기반의 객체 인식 알고리즘은 미리 정해진 위치와 정해진 크기의 객체만 검색하는 단일 단계 방식의 YOLO(YOLO9000: Better, Faster, Stronger), SSD(Single Shot Mutibox Detector) 및 RetinaNet(Focal Loss for Dense Object Detection)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공개된 객체 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특징 벡터 획득부는 특징 벡터 획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1차 저작물과 저작권이 등록된 저작물로부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 벡터를 획득할 수 있다. 특징 벡터 획득 알고리즘은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 ORB(Object Request Broker),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또는 AGAST(Adaptive and Generic Corner Detection Based on the Accelerated Segment Tes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공개된 특징 벡터 획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유사도 분석부는 1차 저작물과 저작권이 등록된 저작물로부터 획득된 객체 및 특징 벡터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분석할 수 있다.
유사도 분석부는 1차 저작물과 저작권이 등록된 저작물로부터 획득된 객체를 비교하여 저작권이 등록된 저작물에 대한 1차 필터링을 진행할 수 있다. 유사도 분석부는 1차 필터링을 통해 선정된 저작권이 등록된 저작물에 대하여 특징 벡터를 1차 저작물의 특징 벡터와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유사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사도 분석부는 기준점과 각 특징 벡터들 간의 거리를 기초로 산출되는 유사도를 비교하여 두 저작물 간의 유사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점은 특징 벡터들의 평균 값, 분산 값 또는 최빈 값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유사도 분석부는 유사도의 차이가 작을수록 유사한 이미지로 판단할 수 있고, 유사도의 차이가 클수록 비유사한 이미지로 판단할 수 있다.
앞서 기재된 유사도 분석부가 두 저작물 간의 유사도를 분석하는 방법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사도 분석부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두 저작물 간의 유사도를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사도 분석부(160)는 유클리디안 유사도(uclidean Similarity),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자카드 유사도(Jaccard similarity) 함수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분석할 수 있다.
검증부(130)는 유사도 분석을 통해 1차 저작물과 동일한 저작물로 판단된 저작권이 등록된 저작물의 저작권자 정보를 1차 창작자와 비교하여 1차 저작물이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유해물질 검출부(140)는 1차 창작자(21)로부터 입력 받은 1차 저작물 데이터가 음란물, 마약, 도박, 폭력, 혐오스러운 영상 등 유해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유해물질 검출부(140)는 다수의 유해물들을 이용하여 미리 학습된 유해성 판단 모델을 이용하여 디지털 파일이 유해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유해물질 검출부(140)는 1차 창작자(21)로부터 입력 받은 1차 저작물 데이터(즉, 1차 저작물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디지털 파일 또는 제1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1차 저작물의 원본 파일)가 유해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1차 창작자(21)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리 학습된 유해성 판단 모델은 Google Vision AI 또는 naver X-ey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공개된 유해물 검색 모델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1차 저작물 등록부(110)는 입력된 1차 저작물 데이터에 대한 검증부(130)의 검증 결과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유해물질 검출부(140)의 판단 결과 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입력 받은 1차 저작물 데이터 및 1차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료 정보를 2차 저작물 허용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
2차 저작물 등록부(150)는 1차 저작물을 기초로 창작된 2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발행되는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2차 저작물 관리 리스트에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S300).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는 NFT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정보, 토큰 식별자, 토큰 통합자원식별자(tokenURI) 또는 토큰 소유자(tokenOwn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FT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정보는 토큰이 발행된 NFT 스마트 컨트랙트(30)의 주소(address), 이름(name) 또는 심볼(symbol)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2차 저작물 등록부(150)는 NFT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대체 불가 토큰이 발행된 NFT 스마트 컨트랙트(30)를 식별할 수 있다. 2차 저작물 등록부(150)는 토큰 식별자(tokenID)를 이용하여 제2 대체 불가 토큰을 식별하고, 관련된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2차 저작물 등록부(150)는 토큰 통합자원식별자(tokenURI)를 이용하여 제2 대체 불가 토큰에 대응되는 2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2차 저작물 등록부(150)는 NFT 발행부(151) 및 NFT 등록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창작자(22)는 NFT 발행부(151)를 통해 제2 대체 불가 토큰을 발행하거나, 다른 대체 불가 토큰 플랫폼을 통해 발행된 제2 대체 불가 토큰을 NFT 등록부(152)를 통해 등록할 수 있다.
NFT 발행부(151)는 제2 대체 불가 토큰을 제2 NFT 스마트 컨트랙트(30)에 발행하고, 발행된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2차 저작물 관리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NFT 발행부(151)는 2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제2 대체 불가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S310).
일 실시예에서, NFT 발행부(151)는 2차 저작물이 1차 저작물을 기초로 창작된 것이라는 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2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 및 제1 대체 불가 토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제2 대체 불가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대체 불가 토큰에 포함되는 제1 대체 불가 토큰에 대한 정보는 발행된 NFT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정보, 토큰 식별자(tokenID), 토큰 통합자원식별자(tokenURI)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대체 불가 토큰이 발행되는 제2 NFT 스마트 컨트랙트(30)는 제1 대체 불가 토큰이 발행되는 제1 NFT 스마트 컨트랙트(30)와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NFT 스마트 컨트랙트(30)는 제1 NFT 스마트 컨트랙트(30)와 동일할 수 있다.
NFT 등록부(152)는 2차 창작자(22)로부터 2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발행된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입력 받아 2차 저작물 관리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S320).
트랜잭션 모니터링부(160)는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대체 불가 토큰이 발행된 제2 NFT 스마트 컨트랙트(30)를 모니터링하고, 제2 NFT 스마트 컨트랙트(30)로부터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 트랜잭션을 획득할 수 있다(S400).
트랜잭션 모니터링부(160)는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에 포함된 NFT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대체 불가 토큰이 발행된 제2 NFT 스마트 컨트랙트(30)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트랜잭션 모니터링부(160)는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에 포함된 토큰 식별자(tokenID)를 이용하여 제2 NFT 스마트 컨트랙트(30)로부터 제2 대체 불가 토큰을 식별하고, 거래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 트랜잭션은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 정보는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판매자, 구매자, 거래 수익(즉, 거래를 위해 지급된 암호화폐 수)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작권료 정산부(170)는 저작권료 정보에 포함된 저작권료 분배 조건 및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 트랜잭션에 포함된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 수익을 이용하여 1차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료를 산출할 수 있다(S500).
저작권료 정산부(170)는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판매자(예를 들어, 2차 창작자)로부터 산출된 저작권료를 지급받아 1차 창작자에게 정산할 수 있다(S600).
일 실시예에서, 저작권료 정산부(170)가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판매자로부터 지급받는 저작권료의 화폐 종류는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에 사용되는 암호화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저작권료 정산부(170)는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에 사용되는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판매자로부터 저작권료를 지급받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작권료 정산부(170)는 미리 정해진 암호화폐 종류 또는 현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2 대체 불가 토큰의 판매자로부터 저작권료를 지급받을 수 있다.
저작권료 정산부(170)가 1차 창작자에게 정산(즉, 지급)하는 저작권료의 화폐 종류는 제1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에 사용되는 암호화폐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작권료 정산부(170)는 미리 정해진 암화화폐 종류 또는 현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1차 창작자에게 저작권료를 지급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1차 저작물 등록부 120: 저작권 데이터베이스
130: 검증부 140: 유해물질 검출부
150: 2차 저작물 등록부 151: NFT 발행부
152: NFT 등록부 160: 트랜잭션 모니터링부
170: 저작권료 정산부

Claims (10)

1차 창작자로부터 1차 저작물에 대응되는 1차 저작물 데이터 및 상기 1차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료 정보를 입력 받는 1차 저작물 등록부;
상기 1차 저작물을 기초로 창작된 2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발행되는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관리하되,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는 NFT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보 및 토큰 식별자를 포함하는 2차 저작물 등록부;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이 발행된 NFT 스마트 컨트랙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NFT 스마트 컨트랙트로부터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 트랜잭션을 획득하는 트랜잭션 모니터링부; 및
상기 저작권료 정보 및 상기 거래 트랜잭션에 포함된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 수익을 이용하여 상기 1차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료를 산출하는 저작권료 정산부;를 포함하는,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료 정산부는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판매자로부터 상기 산출된 저작권료를 지급받아 상기 1차 창작자에게 정산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판매자로부터 지급받는 상기 산출된 저작권료의 화폐 종류는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에 사용되는 암호화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저작물 등록부는
상기 2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을 발행하는 NFT 발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저작권이 등록된 저작물과 저작권자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저작권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작권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1차 저작물 데이터 및 상기 1차 창작자의 정보를 상기 등록 저작권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1차 저작물이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검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
1차 창작자로부터 1차 저작물에 대응되는 1차 저작물 데이터 및 상기 1차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료 정보를 입력 받는 1차 저작물 등록 단계;
상기 1차 저작물을 기초로 창작된 2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발행되는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관리하되,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는 NFT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보 및 토큰 식별자를 포함하는 2차 저작물 등록 단계;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이 발행된 NFT 스마트 컨트랙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NFT 스마트 컨트랙트로부터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 트랜잭션을 획득하는 트랜잭션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저작권료 정보 및 상기 거래 트랜잭션에 포함된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 수익을 이용하여 상기 1차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료를 산출하는 저작권료 정산 단계;를 포함하는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료 정산 단계는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판매자로부터 상기 산출된 저작권료를 지급받아 상기 1차 창작자에게 정산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방법.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판매자로부터 지급받는 상기 산출된 저작권료의 화폐 종류는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에 사용되는 암호화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저작물 등록 단계는
상기 2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을 발행하는 NFT 발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저작물 데이터 및 상기 1차 창작자의 정보를 저작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등록 저작권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1차 저작물이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검증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록 저작권 데이터는 저작권이 등록된 저작물과 저작권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방법.
KR1020210098931A 2021-07-28 2021-07-28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2546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931A KR102546100B1 (ko) 2021-07-28 2021-07-28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931A KR102546100B1 (ko) 2021-07-28 2021-07-28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451A true KR20230017451A (ko) 2023-02-06
KR102546100B1 KR102546100B1 (ko) 2023-06-21

Family

ID=8522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931A KR102546100B1 (ko) 2021-07-28 2021-07-28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1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950B1 (ko) * 2023-03-21 2024-02-13 (주)노웨어소프트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643882B1 (ko) * 2023-08-28 2024-03-07 주식회사 이루티 블록체인 기반 디자인 저작권 등록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자인 저작권 등록 서비스 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878B1 (ko) * 2018-06-14 2019-01-15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KR20210059589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대체불가능 토큰을 지원하는 허가형 블록체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878B1 (ko) * 2018-06-14 2019-01-15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KR20210059589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대체불가능 토큰을 지원하는 허가형 블록체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950B1 (ko) * 2023-03-21 2024-02-13 (주)노웨어소프트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643882B1 (ko) * 2023-08-28 2024-03-07 주식회사 이루티 블록체인 기반 디자인 저작권 등록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자인 저작권 등록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100B1 (ko)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61029A (zh) 操作管理装置
US8438113B2 (en) Automated digital express gateway for licensing and acquiring rights and permissions for 3rd party copyrighted content
US20200159788A1 (en) System and method of tokenizing patents
US20190147553A1 (en) Storing linked lists of mineral rights transactions in directed acyclic graphs of cryptographic hash pointers
KR102546100B1 (ko)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수익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37439A1 (en) Rights-enabled tokens for blockchain applications
CN109472678B (zh) 一种基于区块链的会计账本管理方法、电子装置及可读存储介质
US20210133875A1 (en) Comprehensive buying, selling, trading, tracking, verification, validation, tokenization and financial services using blockchain
CN111815420B (zh) 一种基于可信资产数据的匹配方法、装置及设备
US202002507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tent Risk
EP3809291A1 (en) Digital hypothecation database system
Yang et al. Design methodology for service-based data product sharing and trading
Crookes et al. Technology challenges in accounting and finance
Reardon et al. A global consumer decision model of intellectual property theft
CN111833193A (zh) 提供具有集中式和分布式数据结构的专利所有权保险的系统和方法
Ranjbar Alvar et al. NFT-Based Data Marketplace with Digital Watermarking
US20220224540A1 (en) Blockchain Enabled Service Provider System
US20220027350A1 (en) Blockchain enabled service provider system
KR102639645B1 (ko)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검색 시스템 및 방법
US8965808B1 (en) Print to e-book conversion
Sanli Design of a Tokenized Blockchain Architecture for Tracking Trade in the Global Defense Market
Bhorshetti et al. Land record maintenance using blockchain
Harris Towards a Blockchain Solution for Customs Duty-Related Fraud
US202202539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tent registration and patent ownership verification
Moreaux et al. Blockchain asset lifecycle management for visual content tra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