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666B1 - 블록체인 기반의 nft가 적용된 객체 간의 매칭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nft가 적용된 객체 간의 매칭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666B1
KR102443666B1 KR1020210184885A KR20210184885A KR102443666B1 KR 102443666 B1 KR102443666 B1 KR 102443666B1 KR 1020210184885 A KR1020210184885 A KR 1020210184885A KR 20210184885 A KR20210184885 A KR 20210184885A KR 102443666 B1 KR102443666 B1 KR 102443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pyright holder
authoring
authored
reg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자훈
Original Assignee
김자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자훈 filed Critical 김자훈
Priority to KR1020210184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에 등록된 블록체인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가 적용된 1차 저작 컨텐츠에 대해 2차 저작 컨텐츠의 등록을 지원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방법으로서, 저작권자별로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작 컨텐츠를 분석하여 저작 컨텐츠별 특성 정보 또는 상기 저작 컨텐츠별 특성 정보를 통계화한 저작권자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제1 저작권자가 등록한 제1 저작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 또는 제1 저작권자의 저작권자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저작 컨텐츠 또는 상기 제1 저작권자에 매칭되는 제2 저작권자가 등록한 제2 저작 컨텐츠를 추천하는 단계, 상기 제1 저작권자로부터 상기 제2 저작 컨텐츠를 활용한 2차 저작 컨텐츠가 입력되면, 제1 저작권자 및 제2 저작권자 간의 지분 비율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저작권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지분 비율이 제2 저작권자로부터 승인되면, 상기 2차 저작 컨텐츠가 상기 플랫폼 서버에 등록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NFT가 적용된 객체 간의 매칭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FLATFORM SYSTEM FOR MATCHING BETWEEN OBJECTS ON WHICH NFT IS APPLIE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블록체인에 기반한 NFT가 적용된 객체 간의 매칭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NFT가 반영된 객체의 특성을 분석하여, 이종 또는 동종간의 객체의 결합을 유도하여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블록체인에 기반한 NFT가 적용된 객체 간의 매칭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은 중앙 시스템이 운영하는 것이 아닌 분산된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므로 탈중앙화의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블록체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모든 거래에 대하여 투명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거래 발생 시점부터 추적이 가능함에 따라 거래의 양성화와 규제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은 사슬처럼 모두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위변조가 불가능하며, 확장성의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블록체인 기술은 근래에 들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서적, 음악, 미술, 영상 등과 같은 저작 컨텐츠에 대한 저작 콘텐츠를 블록체인 기술과 연동하여 저작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의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다양한 저작 콘텐츠나 상품 등 다양한 객체들에 대한 자산 가치가 생겨남에 따라, 이를 구매하고, 재판매하는 식으로 자산을 관리하거나 투자를 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특정 객체를 거래하는 과정에서는 명확한 저작권 및 소유권을 확인 후 전달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를 이용하여 해당 객체에 대한 소유권 및 저작권 정보를 검증하거나 거래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NFT는 디지털 자산과 연계되어 컨텐츠 산업을 확장시킨다는 동시에, 몇차례의 거래가 발생했음에도 저작 컨텐츠에 대한 출처 및 소유권을 명확히 할 수 있어 디지털 자산의 거래 투명화에 있어 긍정적인 면이 있으나, 저작 컨텐츠의 실질적인 자산적인 가치를 측정하기 어렵고, 특정의 컬렉터가 선호하는 저작컨텐츠 또는 유명한 저작권자의 저작 컨텐츠 등 일부의 저작 컨텐츠에만 거래가 편중되어 있어, 신규의 창작자 내지 저작권자가 시장에 진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무엇보다, 소수의 컬렉터에 의해서만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시장에서 거래가 활성화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작 컨텐츠에 NFT를 적용함에 있어서, 저작권자는 저작 컨텐츠의 활용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다른 창작자 내지 저작권자에게 활용이 가능한 저작 컨텐츠를 추천하고, 특정의 저작 컨텐츠를 활용하여 신규의 저작 컨텐츠가 등록되는 경우, 미리 정한 지분율에 따라 최초의 저작권자와 소유권을 공유함으로써, 저작권자 간에 협업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여 저작 컨텐츠가 고도화되는 동시에 가치를 재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에 기반한 NFT가 적용된 객체 간의 매칭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에 등록된 블록체인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가 적용된 1차 저작 컨텐츠에 대해 2차 저작 컨텐츠의 등록을 지원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방법으로서, 저작권자별로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작 컨텐츠를 분석하여 저작 컨텐츠별 특성 정보 또는 상기 저작 컨텐츠별 특성 정보를 통계화한 저작권자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제1 저작권자가 등록한 제1 저작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 또는 제1 저작권자의 저작권자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저작 컨텐츠 또는 상기 제1 저작권자에 매칭되는 제2 저작권자가 등록한 제2 저작 컨텐츠를 추천하는 단계, 상기 제1 저작권자로부터 상기 제2 저작 컨텐츠를 활용한 2차 저작 컨텐츠가 입력되면, 제1 저작권자 및 제2 저작권자 간의 지분 비율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저작권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지분 비율이 제2 저작권자로부터 승인되면, 상기 2차 저작 컨텐츠가 상기 플랫폼 서버에 등록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작 컨텐츠는, 상기 제2 저작권자로부터 2차 저작 컨텐츠의 등록이 허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작권자로부터 2차 저작 컨텐츠가 입력되면, 상기 2차 저작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가 추출되고, 기존에 등록된 저작 컨텐츠별 특성 정보와 비교하여 유사성에 기초하여 다른 저작 컨텐츠의 불법 복제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차 저작 컨텐츠가 등록되면, 추출된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기준으로 분류되어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작 컨텐츠의 추천은 저작 컨텐츠를 구매한 컬렉터의 구매 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작 컨텐츠별 특성 정보는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특성 정보별 데이터를 학습한 분석 모델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작 컨텐츠별 특성 정보는 저작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분석 모델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작 컨텐츠와 상기 제2 저작 컨텐츠는 동종 또는 이종의 저작 컨텐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분 비율은 상기 제1 저작권자의 지분이 상기 제2 저작권자의 지분보다 높되, 제1 저작권자가 등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작 컨텐츠의 평균 가치와 제2 저작 컨텐츠의 현재 가치 간의 가치 비대칭 청보에 기초하여 추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분 비율이 제2 저작권자로부터 승인되면, 상기 2차 저작 컨텐츠의 최저 가치는, 상기 지분 비율에 따른 상기 2차 저작 컨텐츠의 제2 저작권자의 지분 가치가 상기 제2 저작 컨텐츠의 현재 가치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등록된 저작 컨텐츠를 활용하여 신규의 저작 컨텐츠의 창작이 가능하고, NFT 등록 시점에 이전 저작권자와 창작자 양자간에 미리 정한 지분율에 따라 저작 컨텐츠를 공유함으로써, 저작 컨텐츠가 고도화되는 동시에 가치를 재창출할 수 있다.
또한, 신규의 창작자 내지 저작권자로서는, 구매자인 소수의 컬렉터에 의해 거래가 성사되는 것을 기대하는 것 외에도, 다른 창작자로 하여금 자신의 저작 컨텐츠가 활용되게 함으로써, 원래의 가치보다 상승한 가치로 거래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으며, 창작자가 창작을 함에 있어서, 기존의 저작 컨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도화된 다양한 컨텐츠가 등록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창작에 있어서의 진입 장벽을 낮춰 일반인들도 시장에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디지털 자산과 연계되어 컨텐츠 산업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작자 연결을 위한를 위한 NFT 플랫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NFT 플랫폼 시스템의 NFT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고객관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저작 컨텐츠 관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양 구성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며, 또한,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기능적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NFT 플랫폼 시스템에서 취급하는 저작 컨텐츠는 NFT가 적용된 것을 전제로 한다. 즉, NFT가 적용된 저작 컨텐츠는 NFT 등록 절차을 마친 것으로, 이하 설명되는 "저작 컨텐츠의 등록"이라 함은 NFT 등록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자를 연결하기 위한 NFT 플랫폼 시스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NFT 플랫폼 시스템의 NFT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고객관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저작 컨텐츠 관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NFT 플랫폼 시스템(1000)은, NFT가 적용된 저작 컨텐츠을 등록한 저작권자와 해당 저작 컨텐츠를 활용하여, 2차 저작 컨텐츠를 창작하려는 창작자 내지 저작권자 간을 연결하는 동시에, 저작 컨텐츠를 구매 내지 판매하려는 수집가를 NFT 플랫폼 서버를 통해 온라인 상으로 연결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작 컨텐츠를 관리하여 저작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정보 및 2차 저작 컨텐츠에 대해서는 저작자들 간의 지분율을 관리하고, 또한 저작 컨텐츠 간의 특성을 분석하여, 저작 컨텐츠 또는 저작자 간을 연결하고, 2차 저작 컨텐츠의 창작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NFT 플랫폼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100), 저작권자 단말(200) 및 NFT 플랫폼 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NFT 플랫폼 시스템(1000)을 통해 NFT가 적용된 저작 컨텐츠를 투자 목적으로 저작 컨텐츠를 구매하고 판매하려는 자로서 수집가(이하, '사용자'라 칭함.)가 소유하고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로서, 사용자가 웹(Web), 앱(Application) 또는 웹앱의 형태로 제공되는 클라이언트에서 네트워크(10)를 통해 상기 NFT 플랫폼 서버(300)에 통신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수행한 후, NFT 플랫폼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작 컨텐츠 중 조건 검색 또는 추천을 통해 원하는 저작 컨텐츠를 선택하여 구매하고, 구매한 저작 컨텐츠를 판매할 수 있도록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사용자는 관심있는 저작 컨텐츠 또는 저작권자에 대해 구독을 할 수 있으며, 관련된 저작 컨텐츠 또는 해당 저작권자의 새로운 저작 컨텐츠가 등록되면 푸시를 받을 수 있다.
상기 저작권자 단말(200)은 상기 NFT 플랫폼 시스템(1000)을 통해 자신이 창작하거나 또는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컨텐츠(이하, "저작 컨텐츠"라고 칭함)를 NFT 적용을 위해 NFT 플랫폼 서버(300)에 등록하고자 하는 개인 또는 법인(이하, '저작권자'라 칭함.)이 소유하고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로서, 저작권자가 웹(Web), 앱(Application) 또는 웹앱의 형태로 제공되는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네트워크(10)를 통해 상기 NFT 플랫폼 서버(300)에 통신 접속하여 신규 가입 또는 로그인을 수행하고, 상기 NFT 플랫폼 서버(300)에 자신이 창작한 저작 컨텐츠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작권자는 원저작 컨텐츠를 창작하거나, 소유하고 있는 1차 저작자와 원저작 컨텐츠를 번역, 편곡, 편집, 변형, 각색, 영상제작 등의 방법(이하, "편집"으로 총칭함)으로 재창작하는 2차 저작자를 포함하며, 전문적으로 등록한 저작 컨텐츠에 따라 분리되어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시스템은, 저작 컨텐츠 또는 저작권자를 연결하여 2차 저작 컨텐츠가 원활이 등록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음원 등의 음악 원저작 컨텐츠로부터 편곡 등을 거쳐 음악 컨텐츠를 재창작하는 동종간에 연결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미술 저작 컨텐츠의 효과음 내지 배경음으로 음악 원저작 컨텐츠가 이용되는 이종간에 연결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작권자 단말(200)은 NFT 플랫폼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편집 기술을 이용한 복수의 편집 도구를 조합하여 신규의 저작 컨텐츠을 창작하거나, 기 창작되어 등록된 저작 컨텐츠을 수정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되어 하위로 분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저작 컨텐츠을 추가 창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저작 컨텐츠는 통상의 음원, 미술, 서적, 잡지, 팜플렛 등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문자화된 저작 컨텐츠과 연술 등과 같은 구술적인 저작 컨텐츠이나, 음반 앨범 자켓과 같은 그림 또는 텍스트로 이루어지는 모든 저작 컨텐츠를 포함하며, 카탈로그나 계약서식 등의 경우, 그 표현의 방법이 독창적인 경우 저작 컨텐츠로 포함할 수 있으며, 종류나 형태를 불문한다.
한편,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테블릿 PC(Tablet PC) 등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phone),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이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상기 저작권자 단말(200)과 NFT 플랫폼 서버(300) 간을 연결하는 네트워크(1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NFT 플랫폼 서버(300)는 상기 네트워크(1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저작권자 단말(200)과 통신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저작권자 단말(200)로부터 등록된 NFT가 적용된 저작 컨텐츠를 관리하고, 해당 저작 컨텐츠를 활용하여 2차 저작 컨텐츠가 다른 저작권자들로 하여금 등록되도록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2차 저작 컨텐츠는 동종 또는 이종 간의 결합을 전제로 하며, 원 저작 컨텐츠인 1차 저작 컨텐츠의 특성을 분석하여, 대응되는 특성을 가진 저작 컨텐츠를 창작한 저작자들을 매칭시켜 이들로부터 2차 저작 컨텐츠가 등록되도록 하거나 또는 1차 저작 컨텐츠을 편집하는 방식으로 2차 저작 컨텐츠가 등록되도록 한다.
상기 NFT 플랫폼 서버(300)는 고객 관리부(310), 저작 컨텐츠 등록부(320), 블록체인 생성부(330), 저작 컨텐츠 관리부(340), 컨텐츠 매칭 추천부(350), 지분 설정부(360) 및 구매 처리부(370)를 포함한다.
상기 고객 관리부(310)는 상기 NFT 플랫폼 시스템(100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및 저작 컨텐츠을 제작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작권자를 고객으로서 등록하고 관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고객 관리부(310)는 사용자의 등록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 모듈(311), 및 저작권자의 등록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저작권자 관리 모듈(313)을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사용자 관리 모듈(311)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아이디, 비밀번호, 및 연락처 등 기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사용자가 회원 가입을 하면, 사용자별로 사용자 식별코드, 예를 들어, 사용자 ID를 부여하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고객 DB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에는 NFT가 적용된 저작 컨텐츠를 구매하기 위한 전자 지갑 정보가 포함되며, 보유하고 있는 저작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와 저작권자의 식별 정보 및 암호키와 공개키 정보, 구매 이력 정보가 포함되고, 추가로 사용자로 하여금 등록된 관심있는 저작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구매 이력 정보는 최소 단위 정보로 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로 관리되는 동시에, 저작 컨텐츠 별 소유자 정보로서 블록체인에 연결하여 사용자 식별코드가 등록되어 관리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별 저작 컨텐츠의 구매 데이터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NFT 플랫폼 시스템(1000)에서 제공되는 저작 컨텐츠를 선택하여 전자 지갑을 통해 결제한 경우, 사용자의 구매 데이터에 해당 저작 컨텐츠의 정보 또는 저작 컨텐츠를 창작한 저작권자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사용자 식별코드와 매칭되어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결제한 저작 컨텐츠가 버전업되거나, 또는 특정 조건을 기준으로 분류된 복수의 하위의 저작 컨텐츠가 추가 창작되거나, 특정의 저작권자가 창작한 저작 컨텐츠가 등록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NFT 플랫폼 서버(300)는, 저작권자 간을 매칭시켜 다양한 2차 저작 컨텐츠의 등록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저작 컨텐츠를 구매하는 컬렉터로서의 사용자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 모듈(311)에 대해서는 기존의 NFT 거래 기술에 있어서의 종래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저작 컨텐츠의 구매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이 자명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저작권자 관리 모듈(313)은 상기 저작권자 단말(200)로부터 입력되는 저작권자의 성명 또는 아이디, 연락처, 등 저작권자의 기본 정보와 저작권자가 등록한 저작 컨텐츠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저작권자가 회원 가입을 하면, 저작권자별로 저작권자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고객 DB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상기 저작권자 관리 모듈(313)은 저작권자별로 등록한 저작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를 저작권자 정보로서 저장하고 관리한다. 상기 저작권자 정보에는 NFT가 적용된 저작 컨텐츠가 판매되면, 코인 등의 거래 수단이 입금되는 전자 지갑 정보 및 암호키와 공개키 정보가 포함되고, 추가로 판매 이력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저작권자로부터 구매가 발생한 경우 외에도 구매한 사용자로부터 다른 사용자에게 구매가 발생하면, 그에 따른 수익은 해당 저작 컨텐츠을 창작한 저작권자에게 제공되므로, 해당 저작권자 관리 모듈(313)은, 저작권자별로 각 저작 컨텐츠 별 발생한 수익, 및 전체 등록한 저작 컨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저작권자 관리 모듈(313)은 저작 컨텐츠를 등록함에 있어서, 블록체인과 연결이 이루어질 저작 컨텐츠에 대한 텍스트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어쏘링툴(authoring tool)을 제공한다. 해당 어쏘링툴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저작권자 관리 모듈(313)에 의해 관리되거나, 또는 저작 컨텐츠 관리부에서 NFT 적용된 저작 컨텐츠의 정보로 기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쏘링툴은 클라우드 방식으로 NFT 플랫폼 서버(300)에 동작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권자가 등록한 저작 컨텐츠는 태그 정보 또는 미리 세분화된 특성 정보에 따라 유사한 저작 컨텐츠를 묶는 코호트 방식 또는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컨텐츠를 분석하는 방식에 의해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저작권자가 등록한 저작 컨텐츠의 리스트에 기초한 통계화된 특성 정보, 즉, 저작권자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저작권자의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로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 즉, 저작권자가 등록한 저작 컨텐츠의 특성 정보는 개별적으로 저작 컨텐츠 관리부에서 관리되며, 저작권자가 등록한 모든 저작 컨텐츠의 리스트에 따른 특성 정보는 통계화되어 저작권자 특성 정보로 저작권자 관리 모듈(313)에서 관리된다. 한편, 저작권자의 특성 정보는 2차 저작 컨텐츠의 등록을 유도하기 위하여 저작권자를 매칭하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저작권자 관리 모듈(313)은 저작권자별 등록된 저작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1차 저작 컨텐츠와 2차 저작 컨텐츠 별로 구분된 특성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2차 저작 컨텐츠에 있어서도,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1차 저작 컨텐츠의 특성이 반영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2차 저작 컨텐츠의 창작 방식에 대한 특성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저작권자는 a 캐릭터에 대한 저작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고, B 저작권자는 b 캐릭터에 대한 저작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을 때, B 저작권자가 a 캐릭터와 b 캐릭터가 모두 포함된 형태로 2차 저작 컨텐츠를 등록한 경우와 a 캐릭터만 포함된 형태로 편집을 가하여 2차 저작 컨텐츠를 등록하는 경우의 창작 방식은 달리 취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객 관리부(310)가 사용자 및 저작권자를 고객 DB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 별도의 DB를 통해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사용자 및 저작권자를 구분해서 서로 다른 모듈에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고객 관리부(310)는 고객을 구분없이 등록하고 통합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고객 관리부(310)는, 사용자 및 저작권자가 상기 NFT 플랫폼 서버(300)로 접속하고 로그인을 수행하면, 접속한 자가 고객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고객임을 확인하면, 접속한 자가 사용자인지 또는 저작권자인지 여부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사용자 단말(100) 및 저작권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전환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저작 컨텐츠 등록부(320)는 저작권자 단말(200)로부터 저작 컨텐츠가 전송되면, 해당 저작 컨텐츠의 최소 단위 정보에 대한 식별력 여부를 판단하고, 식별력을 가진 정보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저작 컨텐츠를 블록체인 생성부(33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저작 컨텐츠 등록부(320)는 식별력을 가지는 최소 단위 정보를 저작 컨텐츠 DB로 전송하여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최소 단위 정보의 식별력 판단 결과 저작 컨텐츠로 판단하기 위한 최소 단위값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저작권자 단말(200)로 최소 단위 정보의 최소 단위값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최소 단위값에 만족하는 최소 단위 정보의 재요청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최소 단위 정보는 등록이 허용되는 완성된 형태의 저작 컨텐츠의 최소의 조건에 해당되며, 예를 들어, 음원 컨텐츠의 경우, 음원 컨텐츠의 종류에 따른 시간에 기초하여 최소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미술 컨텐츠의 경우, 이미지의 경우 픽셀 단위에 기초할 수 있으며, 동영상의 경우, 상영 시간에 따라 최소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작 컨텐츠 등록부(320)는 저작 컨텐츠의 등록 뿐만 아니라, 이와 함께 입력된 저작 컨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관리하도록 구성되며, 해당 정보 역시 블록체인 생성부(330)로 전송한다. 해당 정보에는 저작 컨텐츠의 제목, 특징, 최저 가치(가격) 등 기초적인 정보가 포함되고, 또한, 해당 저작 컨텐츠에 대해 제3 자가 이를 활용하여 2차 저작 컨텐츠를 창작하고 등록을 허용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2차 저작 컨텐츠를 등록하는 경우에는, 해당 원 저작자의 저작 컨텐츠가 2차 저작 컨텐츠를 허용하는 것을 전제로, 등록 시점에, 원 저작자의 정보 또는 원 저작 컨텐츠의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최종 등록 전, 원저작권자와의 지분 설정이 이루어지고, 해당 저작 컨텐츠의 등록과 함께 저작권의 지분 비율이 등록되고,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지분 비율에 기초하여 수익이 분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저작 컨텐츠 등록부(320)는 무단으로 2차 저작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2차 저작 컨텐츠 허용하지 않은 컨텐츠의 경우), 또는 원저작 컨텐츠를 체크하지 않고 2차 저작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 해당 저작 컨텐츠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유사도에 따라 원저작 컨텐츠의 불법 복제로 취급하여, 등록을 반려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원저작 컨텐츠를 체크하고 2차 저작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라도, 상기 2차 저작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가 추출되고, 기존에 등록된 저작 컨텐츠별 특성 정보와 비교하여 유사성에 기초하여 체크한 원 저작 컨텐츠 외에 다른 저작 컨텐츠의 불법 복제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등록을 반려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저작 컨텐츠 등록부(320)는 최소 단위 정보의 식별력 판단 결과, 최소 단위값에 만족하는 경우, 해당하는 최소 단위 정보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부(340)에서 기존에 등록된 저작 컨텐츠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불법 복제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유사성에 기초한 것으로, 저작 컨텐츠 관리부(340)에서 기존에 유사한 원 저작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거나, 등록되어 있는 경우, 등록을 반려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반려된 경우, 원 저작 컨텐츠가 2차 저작 컨텐츠의 생성을 허용한 경우라면, 원 저작권자와의 지분 설정의 프로세스를 통해 원 저작권자로부터 승인이 난 후, 저작 컨텐츠의 등록을 허용하도록 한다.
상기 블록체인 생성부(3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결되며, 저작 컨텐츠 등록부(320)로부터 전송되는 저작 컨텐츠와 저작권자 식별코드, 저작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저작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저작 컨텐츠에 대한 제목, 종류, 거래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최저 가치(가격)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최초의 저작 컨텐츠의 경우 2차 저작 컨텐츠 허용 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블록체인 생성부(330)는 저작권자 식별코드와, 상기 저작컨텐츠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진 해쉬값을 생성하고, 생성한 해쉬값을 블록화한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블록체인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블록체인이 저장되는 노드를 메인노드로 설정한다.
여기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저작권자 식별코드와, 상기 저작컨텐츠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들에 대한 블록을 체인으로 연결하여 분산원장에 기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다수의 기기들로 이루어진 합의체계이며, 각 노드의 일부 저장공간에 상기 해쉬값에 대응하는 정보들이 분산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다수의 블록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블록체인은 프라이빗 블록체인 또는 퍼블릭 블록체인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블록체인 생성부(330)는 상기 블록체인의 생성 및 저장이 완료되는 경우, 블록체인 생성 완료 신호를 저작권자 단말(200)로 전송하여 저작 컨텐츠에 대한 등록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생성부(3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참여자가 생성된 블록체인의 열람, 또는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한 블록체인 열람 요청 신호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받으며, 수신된 요청 신호를 저작권자 단말(200)로 전송하여 해당 블록체인의 열람, 또는 조회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NFT 플랫폼 서버(300)는 저작권자 단말(200)의 저작권자 식별코드 정보와 이 저작권자 식별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저작 컨텐츠 정보 및 상기 저작 컨텐츠가 분산 저장되는 블록체인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들을 제공하여 저작 컨텐츠 등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저작 컨텐츠 DB를 더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체인 생성부(330)는 블록체인에 포함된 최초 저작 컨텐츠에 대한 정보의 변경, 예를 들어, 소유자 변경, 가격(가치) 변경 정보에 대한 서브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서브 블록체인 생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블록체인 생성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변경 정보의 수신시 블록체인 생성부로부터 상위 정보에 해당하는 메인 블록체인의 해쉬값을 수신받으며, 상기 메인 블록체인의 해쉬값과 변경 정보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들을 블록화한 후, 이를 체인으로 연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원장에 의한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서브 블록체인 생성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서브 블록체인의 분산 저장이 이루어질 서브 노드에 분산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저작 컨텐츠 관리부(340)는 저작 컨텐츠을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작 컨텐츠 관리부(340)는 저작 컨텐츠 DB(40) 상에 각각의 저작 컨텐츠의 관련 정보와 함께 복수의 저작 컨텐츠을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작 컨텐츠 관리부(340)는 등록된 저작 컨텐츠의 종류, 순서, 상하위 관계에 따라 저작 컨텐츠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저작 컨텐츠 DB에 해당 식별코드와 매칭하여 저작 컨텐츠 별 관련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작 컨텐츠 관리부(340)는 저작권 단말(200)로부터 저작 컨텐츠가 입력되면 입력된 저작 컨텐츠의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특성 정보 추출부(341), 상기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기존에 등록된 저작 컨텐츠의 특성 정보와 비교하여 유사성에 기초하여 불법 복제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유사 판단부(343), 고유의 저작 컨텐츠임이 확인되면, 해당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기준으로 분류하도록 구성된 컨텐츠 분류부(345)를 포함한다.
상기 특성 정보 추출부(341)는 저작 컨텐츠의 형식 또는 내용에 기초하여,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저작 컨텐츠의 종류로서, 텍스트, 음악, 미술 등인지 여부, 각각에 대해서 세분화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정보는 저작권자에 의해 저작 컨텐츠의 등록과 함께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성 정보 추출부(341)는 저작 컨텐츠의 내용을 분석하여, 특성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특성 정보 추출부(341)는 저작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툴(tool)을 적용하여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작 컨텐츠별 특성 정보는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특성 정보별 데이터를 학습한 분석 모델에 기초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작 컨텐츠별 특성 정보는 저작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형태의 저작 컨텐츠의 경우, 이미지 기반의 인공지능을 통해 학습한 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형상, 내용 및 배치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특성화 할 수 있다. 이에 반면, 동영상의 저작 컨텐츠의 경우는 프레임별 이미지 분석을 포함하며, 동영상 기반의 인공지능을 통해 학습한 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의 맥락, 내지 흐름, 줄거리 등을 파악하여 특성화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음원 컨텐츠인 경우에는,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음원의 코드 진행 정보가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추출된 곡의 화성 및 멜로디 진행 정보를 특성화 할 수 있다.
즉, 각 저작 컨텐츠의 종류별로 학습된 분석 모델은 미리 정해진 특성별 다수의 학습 데이터 세트로 하여,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을 실행할 수 있으며, NFT 플랫폼 서버에 저장된 저작 컨텐츠에 대해 반복적으로 학습 데이터 세트를 얻고, 이를 반복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인공지능 학습은 비지도 학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이와 달리, 부분 지도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특성 정보 추출부(341)는 입력된 저작 컨텐츠에 대해 특성별 객체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에 대해 딥 네트워크를 이용한 추적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실시간 처리를 행하고, 객체가 검색되는 영역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딥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트레이닝하여, 분석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딥 네트워크는 DNN(Deep Neural Network) 기반의 딥 러닝 알고리즘에 따른 신경 회로망일 수 있으며, 해당 신경 회로망은 입력층(Input Layer), 하나 이상의 은닉층(Hidden Layers) 및 출력층(Output Layer)으로 구성된다. 여기서의, 상기 딥 네트워크는 DNN 이외의 다른 신경망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일례로,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이나 RNN(Recurrent Neural Network)과 같은 신경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이 아닌, 룰베이스(rule-based)에 따라 미리 정해진 요건에 따라 각 저작 컨텐츠의 특성이 추출될 수 있으며, 미리 분류된 특성화 정보에 매칭시켜 코호트 방식에 의해 특성을 대입하여, 여러 개의 특성이 조합된 형태의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 유사 판단부(343)은 입력된 저작 컨텐츠가 특성 정보가 추출되면, 기 등록된 저작 컨텐츠의 특성 정보와 비교하여 유사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유사 여부는 유사성에 기초하며, 인공지능에 기반한 학습 모델에 기초하여 특성을 추출하는 경우, 신뢰도를 기반으로 하여, 유사성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된 저작 컨텐츠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유사성이 높은 기존에 등록된 저작 컨텐츠가 검색되면, 해당 저작 컨텐츠의 저작권자에게 통보하고, 등록을 보류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양 저작권자에게 입력된 저작 컨텐츠와 등록된 저작 컨텐츠에 대해 확인 절차를 거치고, 추가로 본 플랫폼 시스템의 운영자 또는 관리자의 확인 절차를 거쳐 해당 저작 컨텐츠가 불법 복제되었는지 여부를 최종 확인한다. 만약 확인 절차를 거쳐 불법 복제된 것으로 최종 결론이 나올 경우, 원 저작 컨텐츠가 제3자의 2차 저작 컨텐츠를 허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원 저작권자의 사후 허가가 있는 경우, 지분을 설정하고 저작 컨텐츠를 등록할 수 있다.
저작권 단말(200)로부터 저작 컨텐츠가 입력되면, 입력된 저작 컨텐츠의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저작 컨텐츠가 등록되면, 해당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저작 컨텐츠의 미리 결정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 분류부(345)는 동종 또는 이종의 저작 컨텐츠로 분류하고, 상기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된 저작 컨텐츠를 분류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컨텐츠 분류부(345)는 상기 유사 판단부(343)에 의해 불법 복제된 저작 컨텐츠가 아니라는 것이 확인되면, 등록 절차에 따라, 저작권자 단말(200)에 등록 결정을 통보하고, 분석된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저작 컨텐츠를 분류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저작 컨텐츠의 분류는, 저작 컨텐츠로부터 추출된 특징 또는 저작권 단말(200)로부터 입력된 저작 컨텐츠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위 분류에서 하위 분류로 이루어지는 방식에 의한다. 예를 들어, 저작 컨텐츠의 분류는 장르, 분위기, 용도 등에 의해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 컨텐츠의 경우, 팝, 발라드, 힙합, 댄스, 등 음악 장르, 세부적으로, 음원의 템포, 길이, 음원의 화성에 따른 분위기, 예를 들어, 밝음, 어두움, 경쾌함, 고요함 등의 특징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음원의 용도에 의해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 컬러링, 문자 수신음 등 휴대폰에 사용을 목적으로 창작된 음원 또는 영화 음악, 대중 가요, 특정 효과음, 예를 들어, 바람 소리, 폭포 소리 등으로 특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분류부(345)는 등록된 저작 컨텐츠 중에서, 저작권자로부터 2차 저작 컨텐츠의 등록이 허용된 저작 컨텐츠를 분류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허용된 저작 컨텐츠를 대상으로 후술하는 컨텐츠 매칭 추천부에서 2차 저작 컨텐츠의 등록을 위해 다른 저작권자에게 추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분류부(345)는 원 저작 컨텐츠인 1차 저작 컨텐츠와 적어도 하나의 1차 저작 컨텐츠를 편집한 2차 저작 컨텐츠를 분류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2차 저작 컨텐츠에 대해서도 둘 이상의 1차 저작 컨텐츠가 서로 결합된 형태이거나, 또는 하나의 1차 저작 컨텐츠에 대해서 편집만 이루어진 경우인지를 구분할 관리할 수 있다. 즉, 창작 방식에 따라 2차 저작 컨텐츠를 분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 저작 컨텐츠의 경우, A 저작권자는 a 캐릭터에 대한 저작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고, B 저작권자는 b 캐릭터에 대한 저작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을 때, B 저작권자가 a 캐릭터와 b 캐릭터가 모두 포함된 형태로 2차 저작 컨텐츠를 등록한 경우와 a 캐릭터만 포함된 형태로 편집을 가하여 2차 저작 컨텐츠를 등록하는 경우의 창작 방식은 달리 취급되어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매칭 추천부(350)는 2차 저작 등록이 허용된 1차 저작 컨텐츠를 대상으로 하여,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되는 다른 저작권자에게 2차 저작 컨텐츠의 창작 및 등록을 추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해당 추천은 저작 컨텐츠 간에 매칭이거나, 또는 저작권자 별로 등록된 저작 컨텐츠 리스트에 기초한 통계화된 특성 정보 즉, 저작권자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해당 매칭은 동종이거나 이종인 것을 불문한다. 한편, 기존에 등록된 저작 컨텐츠가 없는 신규의 창작자인 경우에는, 회원 가입 시, 입력한 창작 스타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이 발생할 수 있다.
이종 저작 컨텐츠 간에 매칭을 예로 설명하면, 음원 저작 컨텐츠를 등록하는 A 저작권자와 미술 저작 컨텐츠를 등록하는 B 저작권자 간에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A 저작권자가 등록한 특정의 음원 저작 컨텐츠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음원 저작 컨텐츠가 밝은 분위기의 음원인 경우,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밝은 이미지의 미술 저작 컨텐츠와 매칭되거나, 또는 통계적으로 밝은 이미지의 미술 저작 컨텐츠를 등록하는 B 저작권자와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 B 저작권자가 연속된 미술 저작 컨텐츠로 구성된 갤러리의 배경음으로 해당 음악 저작 컨텐츠를 활용할 수 있다.
즉, 등록된 저작 컨텐츠 별로,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종 또는 이종의 다른 저작 컨텐츠가 추천되며, 저작권자로서는, 추천된 저작 컨텐츠의 내용, 추천된 저작 컨텐츠의 저작권자 정보, 현재 가격(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을 희망하는 추천된 저작 컨텐츠를 선택하여 매칭된 자신의 저작 컨텐츠를 이용하여 창작한 후, 이에 대한 2차 저작 컨텐츠를 등록할 수 있다. 즉, 이 경우는, 저작 컨텐츠 간에 매칭이 이루어진 것이므로, 추천받은 저작권자로서는 2차 저작 컨텐츠를 창작함에 있어서 매칭된 저작 컨텐츠를 모두 활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와 달리, 자신이 등록한 저작 컨텐츠를 통계한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저작 컨텐츠와 매칭이 된 경우, 이 경우는 저작권자의 스타일에 기초하여 매칭이 된 것이므로, 저작권자로서는 자신의 특정의 저작 컨텐츠의 이용이 전제되지 않는다.
한편, 추천(매칭)되는 우선 순위는 컬렉터, 즉 사용자의 구매 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저작 컨텐츠에 매칭되는 동종 또는 이종의 저작 컨텐츠가 여러 개인 경우, 사용자의 구매가 이루어지는 구매 데이터를 분석한 구매 트렌드에 기초하여, 추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의 저작권자의 저작 컨텐츠가 이슈가 되어,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구매가 이뤄지는 경우, 해당 저작 컨텐츠가 2차 저작 컨텐츠의 등록을 허용한 경우라면, 매칭되는 저작 컨텐츠에 우선적으로 추천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갤러리 형태의 동영상이 거래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경우, 동종 간 미술 저작 컨텐츠의 매칭 또는 이종 간 미술 저작 컨텐츠와 그 배경음으로 음악 저작 컨텐츠가 매칭되어 추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작권자로서 제3 자도, 구매 트렌드에 맞는 저작 컨텐츠를 창작할 수 있는 동시에, 그에 따른 사용자의 구매를 기대할 수 있으며, NFT 플랫폼 서버에 등록된 저작 컨텐츠의 가치에 있어서도,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여, 이상적으로 특정 저작 컨텐츠의 가치가 급등하는 식의 가치 불균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분 설정부(360)는 2차 저작 컨텐츠가 등록되는 단계에 있어서, 활용된 1차 저작 컨텐츠 즉, 원 저작 컨텐츠의 저작권자와 2차 저작 컨텐츠의 저작권의 지분 비율을 설정하도록 지원한다. 이 때, 지분 비율은 2차 저작 컨텐츠를 창작한 저작권자가 높은 비율을 가져갈 수 있도록 하나, 다만,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즉, 상기 지분 설정부(360)는 1차 저작 컨텐츠의 저작권자가 유명하거나, 구매된 이력이 일정 이상거나, 현재의 가격(가치)와 매칭되는 저작권자의 저작 컨텐츠의 평균 가격(가치) 간에 가치 비대칭이 일정 이상인 경우, 해당 가치의 비대칭 정보에 기초하여 지분 비율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 저작권자가 A 저작권자의 a 저작 컨텐츠를 활용하여 2차 저작 컨텐츠를 등록하려 하는 경우, 거래되는 통화의 단위에 따라 B 저작권자가 등록한 저작 컨텐츠의 구매 데이터에 기초한 평균 가격(가치)가 10일때, a 저작 컨텐츠의 현재 가치가 100인 경우, A 저작권자와 B 저작권자의 지분 비율은 10 : 1로 추천될 수 있다. 이는, 비대칭 정보만을 고려한 지분 비율이며, B 저작권자가 2차 저작 컨텐츠를 창작한 것을 추가 고려하여, A 저작권자와 B 저작권자의 지분 비율이 5 : 5로 재조정될 수 있다.
즉, 2차 저작 컨텐츠를 등록하려는 저작권자는, 추천받은 지분 비율을 고려하여, 지분 비율을 입력한 후, 등록을 접수할 수 있다. 이 때, 지분 비율은 원 저작권자에게 통보되고, 원 저작권자가 승인을 한 경우, 해당 지분 비율이 확정되고, 최종 저작 컨텐츠가 등록되게 된다. 즉, 해당 저작 컨텐츠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가 반영된 코드의 생성이 이루어진다. 해당 지분 비율에 대한 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해 분산원장에 기록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사용자의 구매에 의해 최초 발생하는 구매 수익은 해당 지분 비율에 의해 수익이 분배되며, 이후, 저작 컨텐츠에 대하여 발생하는 거래에 대해서는 원저작권자와 2차 저작권자 간에 지분 비율에 따라 저작권료의 수익이 분배되게 된다. 만약, 원 저작권자가 제안된 지분 비율이 부당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새롭게 지분 비율을 제안하며, 2차 저작권자가 이에 동의를 하면, 승인이 된 것으로 간주된다.
한편, 상기 지분 설정부(360)는 확정된 지분 비율에 기초하여, 2차 저작 컨텐츠의 최저 가치(가격)을 설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앞선 예에서, B 저작권자가 등록한 저작 컨텐츠의 구매 데이터에 기초한 평균 가격(가치)가 10일때, a 저작 컨텐츠의 현재 가치가 100인 경우, A 저작권자와 B 저작권자의 지분 비율은 10 : 1로 확정되는 경우, 거래되는 통화의 단위에 따라 최저 가치(가격)은 110으로 설정되며, 2차 저작권자는 110 이상으로 최저 가치(가격)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차 저작 컨텐츠에 의해 원 저작권자의 저작 컨텐츠가 가치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2차 저작 컨텐츠의 가격이 높은 가격으로 거래될 경우, 원 저작권자의 다른 저작 컨텐츠 및 2차 저작권자의 다른 저작 컨텐츠의 가격에 영향을 미쳐 가치 상승의 견인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등록된 저작 컨텐츠를 활용하여 신규의 저작 컨텐츠의 창작이 가능하고, NFT 등록 시점에 이전 저작권자와 창작자 양자간에 미리 정한 지분율에 따라 저작 컨텐츠를 공유함으로써, 저작 컨텐츠가 고도화되는 동시에 가치를 재창출할 수 있다.
또한, 신규의 창작자 내지 저작권자로서는, 구매자인 소수의 컬렉터에 의해 거래가 성사되는 것을 기대하는 것 외에도, 다른 창작자로 하여금 자신의 저작 컨텐츠가 활용되게 함으로써, 원래의 가치보다 상승한 가치로 거래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으며, 창작자가 창작을 함에 있어서, 기존의 저작 컨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도화된 다양한 컨텐츠가 등록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창작에 있어서의 진입 장벽을 낮춰 일반인들도 시장에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디지털 자산과 연계되어 컨텐츠 산업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지분 설정부(360)는 원저작권자가 한 명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원 저작권자가 2명 이상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저작 컨텐츠로 여러 캐릭터가 포함된 영상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 각 캐릭터별 원 저작권자와 지분 설정을 위한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원저작권자의 지분 비율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졌을 때, 해당 저작 컨텐츠가 최종 등록된다.
상기 구매 처리부(370)는, 사용자로 하여금 구매가 결정되면, 그에 따른 저작 컨텐츠에 대한 소유자 이전 처리를 수행한다. 즉, 거래된 가격이 저작 컨텐츠를 등록한 저작권자의 전자 지갑으로 입금이 된다. 구매 방식은 NFT 거래 방식에 의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매 처리부(37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인증 또는 결제 요청을 통해 사용자 인증 및 결제 절차를 수행하고, 인증 및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사용자의 식별코드(사용자 고유 식별키), 사용자가 주문한 저작 컨텐츠의 식별코드, 결제 금액, 결제 시간 등의 인증 또는 결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작 컨텐츠 관리부는 이러한 인증과 결제 성공 신호를 받아, 소유자에 대한 변경 정보를 서브 블록체인의 분산 저장이 이루어질 서브 노드에 분산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매 처리부(370)는, 결제 처리를 통해 결제 성공 신호를 받으면, 당해 신호를 전달받고, 결제를 한 사용자와 매칭시켜 결제 대상인 저작 컨텐츠 정보 등을 포함하는 구매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구매한 저작 컨텐츠에 대한 추가 버전업이 되거나 하위 또는 연관 저작 컨텐츠이 등록된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줄 수 있다.
만약, 해당 저작 컨텐츠가 2차 저작 컨텐츠인 경우, 상기 구매 처리부(370)는, 최초에 발생된 거래에 있어서, 거래된 수익을 지분 비율에 따라 분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원 저작권자로서도 수익적인 관점에서 2차 저작 컨텐츠를 허용하는 것에 장점을 부여하고, 나아가 다양한 컨텐츠가 양성되게 함으로써, 자신의 창작 활동을 홍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신규의 창작자 내지 2차 저작권자로서는, 비록 첫 거래 금액에서 큰 수익을 얻지는 못하지만, 1차 저작 컨텐츠의 유명세에 편승하여, 자신의 작품 활동을 알리는 동시에, 자신의 다른 저작 컨텐츠에 대해서도 가치를 견인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다양한 저작 컨텐츠가 시장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지분 비율에 따라 수익금이 분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플랫폼 서버는 2차 저작 컨텐츠의 등록 과정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2차 저작 컨텐츠를 기초로 한 3차 저작 컨텐츠, 또한 N차 저작 컨텐츠의 등록에도 적용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이 경우, N차 저작 컨텐츠의 등록의 동기 부여를 위해, 이전 저작권자들을 묶어 이들과 N차 저작 컨텐츠의 저작자 간의 지분 비율을 1차적으로 정하고, 2차적으로 이전 저작권자들의 내부 지분 비율에 따라 지분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NFT 플랫폼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작자 연결을 위한를 위한 저작 컨텐츠 관리 방법은, 저작권자가 저작권자 단말을 통해 NFT 플랫폼 서버에 접속하여 저작권자 정보를 입력하고 회원가입하는 단계(S100), 저작권자가 자신이 창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작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S200), 저작 컨텐츠를 분석한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저작 컨텐츠 또는 저작권자에게 매칭되는 다른 저작권자의 저작 컨텐츠를 추천하는 단계(S300), 2차 저작 컨텐츠를 입력하는 단계(S400), 해당 2차 저작 컨텐츠에 대한 지분 비율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S500), 2차 저작 컨텐츠의 원 저작권자로부터 상기 지분 비율에 대한 승인되는 단계(S600) 및 2차 저작 컨텐츠가 최종 등록되는 단계(S700)를 포함한다.
저작권자가 회원가입하는 단계(S100)에서는, 저작권자가 저작권자 단말의 앱, 웹 또는 웹앱을 통해 NFT 플랫폼 서버(300)에 접속하여 신규 가입을 수행할 수 있다. 회원 가입이 이루어지면, 상기 NFT 플랫폼 서버(300)는 상기 저작권자 단말(200)로부터 입력되는 저작권자의 성명 또는 아이디, 연락처, 등 저작권자의 기본 정보와 저작권자가 등록한 저작 컨텐츠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저작권자가 회원 가입을 하면, 저작권자별로 저작권자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고객 DB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저작권자가 자신이 창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작 컨텐츠를 입력하는 단계(S200)에서는, 저작권자 단말(200)로부터 저작 컨텐츠가 입력 내지 전송되면, 해당 저작 컨텐츠의 최소 단위 정보에 대한 식별력 여부를 판단하고, 식별력을 가진 정보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저작 컨텐츠를 블록체인 생성부(33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NFT 플랫폼 서버(300)는 식별력을 가지는 최소 단위 정보를 저작 컨텐츠 DB로 전송하여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최소 단위 정보의 식별력 판단 결과 저작 컨텐츠로 판단하기 위한 최소 단위값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저작권자 단말(200)로 최소 단위 정보의 최소 단위값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최소 단위값에 만족하는 최소 단위 정보의 재요청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최소 단위 정보는 등록이 허용되는 완성된 형태의 저작 컨텐츠의 최소의 조건에 해당되며, 예를 들어, 음원 컨텐츠의 경우, 음원 컨텐츠의 종류에 따른 시간에 기초하여 최소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미술 컨텐츠의 경우, 이미지의 경우 픽셀 단위에 기초할 수 있으며, 동영상의 경우, 상영 시간에 따라 최소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해당 단계에서는 저작 컨텐츠뿐만 아니라, 이와 함께 입력된 저작 컨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관리하도록 구성되며, 해당 정보 역시 블록체인으로 연결한다. 해당 정보에는 저작 컨텐츠의 제목, 특징, 최저 가치(가격) 등 기초적인 정보가 포함되고, 또한, 해당 저작 컨텐츠에 대해 제3 자가 이를 활용하여 2차 저작 컨텐츠를 창작하고 등록을 허용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해당 단계에서는 입력된 저작 컨텐츠를 분석하여 특성 정보가 추출된다. 특성 정보는 저작 컨텐츠의 내용에 형식 또는 내용에 기초하여,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저작 컨텐츠의 종류로서, 텍스트, 음악, 미술 등인지 여부, 각각에 대해서 세분화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정보는 저작권자에 의해 저작 컨텐츠의 등록과 함께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저작 컨텐츠의 내용을 분석하여, 특성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저작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툴(tool)을 적용하여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형태의 저작 컨텐츠의 경우, 이미지 기반의 인공지능을 통해 학습한 모델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형상, 내용 및 배치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특성화 할 수 있다. 이에 반면, 동영상의 저작 컨텐츠의 경우는 프레임별 이미지 분석을 포함하며, 동영상 기반의 인공지능을 통해 학습한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의 맥락, 내지 흐름, 줄거리 등을 파악하여 특성화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음원 컨텐츠인 경우에는,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음원의 코드 진행 정보가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추출된 곡의 화성 및 멜로디 진행 정보를 특성화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이 아닌, 룰베이스(rule-based)에 따라 미리 정해진 요건에 따라 각 저작 컨텐츠의 특성이 추출될 수 있으며, 미리 분류된 특성화 정보에 매칭시켜 코호트 방식에 의해 특성을 대입하여, 여러 개의 특성이 조합된 형태의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특성 정보가 추출되면, 기존에 등록된 저작 컨텐츠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불법 복제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유사성에 기초한 것으로, 기존에 유사한 원 저작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거나, 등록되어 있는 경우, 등록을 반려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반려된 경우, 원 저작 컨텐츠가 2차 저작 컨텐츠의 생성을 허용한 경우라면, 원 저작권자와의 지분 설정의 프로세스를 통해 원 저작권자로부터 사후 승인이 난 후, 저작 컨텐츠의 등록을 허용하도록 한다.
저작 컨텐츠의 등록이 결정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결되며, 저작 컨텐츠 등록부(320)로부터 전송되는 저작 컨텐츠와 저작권자 식별코드, 저작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저작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저작 컨텐츠에 대한 제목, 종류, 거래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최저 가치(가격)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최초의 저작 컨텐츠의 경우 2차 저작 컨텐츠 허용 여부를 포함한다.
특정의 저작 컨텐츠 또는 저작권자에게 매칭되는 다른 저작권자의 저작 컨텐츠를 추천하는 단계(S300)에서는, 2차 저작 컨텐츠의 등록이 허용된 1차 저작 컨텐츠를 대상으로 하여,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되는 다른 저작권자에게 2차 저작 컨텐츠의 창작 및 등록을 추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해당 추천은 저작 컨텐츠 간에 매칭이거나, 또는 저작권자 별로 등록된 저작 컨텐츠 리스트에 기초한 통계화된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해당 매칭은 동종이거나 이종인 것을 불문한다.
이종 저작 컨텐츠 간에 매칭을 예로 설명하면, 음원 저작 컨텐츠를 등록하는 A 저작권자와 미술 저작 컨텐츠를 등록하는 B 저작권자 간에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A 저작권자가 등록한 특정의 음원 저작 컨텐츠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음원 저작 컨텐츠가 밝은 분위기의 음원인 경우,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밝은 이미지의 미술 저작 컨텐츠와 매칭되거나, 또는 통계적으로 밝은 이미지의 미술 저작 컨텐츠를 등록하는 B 저작권자와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 B 저작권자가 연속된 미술 저작 컨텐츠로 구성된 갤러리의 배경음으로 해당 음악 저작 컨텐츠를 활용할 수 있다.
즉, 등록된 저작 컨텐츠 별로,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종 또는 이종의 다른 저작 컨텐츠가 추천되며, 저작권자로서는, 추천된 저작 컨텐츠의 내용, 추천된 저작 컨텐츠의 저작권자 정보, 현재 가격(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을 희망하는 추천된 저작 컨텐츠를 선택하여 매칭된 자신의 저작 컨텐츠를 이용하여 창작한 후, 이에 대한 2차 저작 컨텐츠를 등록할 수 있다. 즉, 이 경우는, 저작 컨텐츠 간에 매칭이 이루어진 것이므로, 추천받은 저작권자로서는 2차 저작 컨텐츠를 창작함에 있어서 매칭된 저작 컨텐츠를 모두 활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와 달리, 자신이 등록한 저작 컨텐츠를 통계한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저작 컨텐츠와 매칭이 된 경우, 이 경우는 저작권자의 스타일에 기초하여 매칭이 된 것이므로, 저작권자로서는 자신의 특정의 저작 컨텐츠의 이용이 전제되지 않는다.
한편, 매칭되는 우선 순위는 컬렉터, 즉 사용자의 구매 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나의 저작 컨텐츠에 매칭되는 동종 또는 이종의 저작 컨텐츠가 여러 개인 경우, 사용자의 구매가 이루어지는 구매 데이터를 분석한 구매 트렌드에 기초하여, 추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의 저작권자의 저작 컨텐츠가 이슈가 되어,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구매가 이뤄지는 경우, 해당 저작 컨텐츠가 2차 저작 컨텐츠의 등록을 허용한 경우라면, 매칭되는 저작 컨텐츠에 우선적으로 추천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갤러리 형태의 동영상이 거래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경우, 동종 간 미술 저작 컨텐츠의 매칭 또는 이종 간 미술 저작 컨텐츠와 그 배경음으로 음악 저작 컨텐츠가 매칭되어 추천이 이루어질 수 있다.
2차 저작 컨텐츠를 입력하는 단계(S400)에서는, 저작권자는 추천된 원 저작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저작 컨텐츠를 창작한 후, 저작권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저작 컨텐츠를 입력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저작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S200)에 준하며, 다만, 2차 저작 컨텐츠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해당 저작 컨텐츠가 2차 저작 컨텐츠임을 체크하고, 이후의 절차를 밟도록 한다.
2차 저작 컨텐츠에 대한 지분 비율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S500)에서는, 2차 저작 컨텐츠에 대해 활용된 1차 저작 컨텐츠 즉, 원 저작 컨텐츠의 저작권자와 2차 저작 컨텐츠의 저작권의 지분 비율을 설정하도록 지원한다. 이 때, 지분 비율은 2차 저작 컨텐츠를 창작한 저작권자가 높은 비율을 가져갈 수 있도록 하나, 다만,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즉, 상기 지분 설정부(360)는 1차 저작 컨텐츠의 저작권자가 유명하거나, 구매된 이력이 일정 이상인 경우, 최저 가치(가격) 등의 정보를 고려하여 평균 가격 정보의 비대칭이 일정 이상인 경우, 해당 비대칭 정보를 고려하여, 지분 비율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 저작권자가 A 저작권자의 a 저작 컨텐츠를 활용하여 2차 저작 컨텐츠를 등록하려 하는 경우, 거래되는 통화의 단위에 따라 B 저작권자가 등록한 저작 컨텐츠의 구매 데이터에 기초한 평균 가격(가치)가 10일때, a 저작 컨텐츠의 현재 가치가 100인 경우, A 저작권자와 B 저작권자의 지분 비율은 10 : 1로 추천될 수 있다. 이는, 비대칭 정보만을 고려한 지분 비율이며, B 저작권자가 2차 저작 컨텐츠를 창작한 것을 추가 고려하여, 지분 비율이 재조정될 수 있다. 즉, 2차 저작 컨텐츠를 등록하려는 저작권자는, 추천받은 지분 비율을 고려하여, 지분 비율을 입력한 후, 등록을 접수할 수 있다.
2차 저작 컨텐츠의 원 저작권자로부터 상기 지분 비율에 대한 승인되는 단계(S600)에서는, 2차 저작권자가 제시한 지분 비율이 원 저작권자에게 통보되고, 원 저작권자가 승인을 한 경우, 해당 지분 비율이 확정되어 등록되며, 2차 저작 컨텐츠가 최종 등록되게 된다(S500). 즉, 해당 저작 컨텐츠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가 반영된 코드의 생성이 이루어진다. 해당 지분 비율에 대한 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해 분산원장에 기록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사용자의 구매에 의해 최초 발생하는 구매 수익은 해당 지분 비율에 의해 수익이 분배되며, 이후, 저작 컨텐츠에 대하여 발생하는 거래에 대해서는 원저작권자와 2차 저작권자 간에 지분 비율에 따라 저작권료의 수익이 분배되게 된다. 만약, 원 저작권자가 제안된 지분 비율이 부당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새롭게 지분 비율을 제안하여, 2차 저작권자가 이에 동의를 하면, 승인이 된 것으로 간주된다.
한편, 해당 단계에서는 확정된 지분 비율에 기초하여, 2차 저작 컨텐츠의 최저 가치(가격)을 설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지분 비율이 확정되면, 2차 저작 컨텐츠의 최저 가치는, 상기 지분 비율에 따른 원 저작권자의 지분 가치가 활용된 원 저작 컨텐츠의 현재 가치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앞선 예에서, B 저작권자가 등록한 저작 컨텐츠의 구매 데이터에 기초한 평균 가격(가치)가 10일때, a 저작 컨텐츠의 현재 가치가 100인 경우, A 저작권자와 B 저작권자의 지분 비율은 10 : 1로 확정되는 경우, 거래되는 통화의 단위에 따라 최저 가치(가격)은 110으로 설정되며, 2차 저작권자는 110 이상으로 최저 가치(가격)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차 저작 컨텐츠에 의해 원 저작권자의 저작 컨텐츠가 가치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2차 저작 컨텐츠의 가격이 높은 가격으로 거래될 경우, 원 저작권자의 다른 저작 컨텐츠 및 2차 저작권자의 다른 저작 컨텐츠의 가격에 영향을 미쳐 가치 상승의 견인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등록된 저작 컨텐츠를 활용하여 신규의 저작 컨텐츠의 창작이 가능하고, NFT 등록 시점에 이전 저작권자와 창작자 양자간에 미리 정한 지분율에 따라 저작 컨텐츠를 공유함으로써, 저작 컨텐츠가 고도화되는 동시에 가치를 재창출할 수 있다.
또한, 신규의 창작자 내지 저작권자로서는, 구매자인 소수의 컬렉터에 의해 거래가 성사되는 것을 기대하는 것 외에도, 다른 창작자로 하여금 자신의 저작 컨텐츠가 활용되게 함으로써, 원래의 가치보다 상승한 가치로 거래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으며, 창작자가 창작을 함에 있어서, 기존의 저작 컨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도화된 다양한 컨텐츠가 등록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창작에 있어서의 진입 장벽을 낮춰 일반인들도 시장에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디지털 자산과 연계되어 컨텐츠 산업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NFT 플랫폼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
200: 저작권자 단말
300: NFT 플랫폼 서버
310: 고객 관리부
320: 저작 컨텐츠 등록부
330: 블록체인 생성부
340: 저작 컨텐츠 관리부
350: 컨텐츠 매칭 추천부
360: 지분 설정부
370: 구매 처리부

Claims (10)

  1. 플랫폼 서버에 등록된 블록체인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가 적용된 1차 저작 컨텐츠에 대해 2차 저작 컨텐츠의 등록을 지원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방법으로서,
    저작권자별로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작 컨텐츠를 분석하여 저작 컨텐츠별 특성 정보 또는 상기 저작 컨텐츠별 특성 정보를 통계화한 저작권자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제1 저작권자가 등록한 제1 저작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 또는 제1 저작권자의 저작권자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저작 컨텐츠 또는 상기 제1 저작권자에 매칭되는 제2 저작권자가 등록한 제2 저작 컨텐츠를 추천하는 단계;
    상기 제1 저작권자로부터 상기 제2 저작 컨텐츠를 활용한 2차 저작 컨텐츠가 입력되면, 제1 저작권자 및 제2 저작권자 간의 지분 비율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저작권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지분 비율이 제2 저작권자로부터 승인되면, 상기 2차 저작 컨텐츠가 상기 플랫폼 서버에 등록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저작 컨텐츠의 추천은, 상기 제1 저작권자가 기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저작 컨텐츠를 등록한 경우, 등록한 상기 제1 저작 컨텐츠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며, 상기 제1 저작권자가 기존에 등록한 저작 컨텐츠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저작권자가 플랫폼 서버에 등록한 창작 스타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작 컨텐츠는, 상기 제2 저작권자로부터 2차 저작 컨텐츠의 등록이 허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작권자로부터 2차 저작 컨텐츠가 입력되면, 상기 2차 저작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가 추출되고, 기존에 등록된 저작 컨텐츠별 특성 정보와 비교하여 유사성에 기초하여 다른 저작 컨텐츠의 불법 복제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저작 컨텐츠가 등록되면, 추출된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기준으로 분류되어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작 컨텐츠의 추천은 저작 컨텐츠를 구매한 컬렉터의 구매 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컨텐츠별 특성 정보는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특성 정보별 데이터를 학습한 분석 모델에 의해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컨텐츠별 특성 정보는 저작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분석 모델에 의해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작 컨텐츠와 상기 제2 저작 컨텐츠는 동종 또는 이종의 저작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분 비율은 상기 제1 저작권자의 지분이 상기 제2 저작권자의 지분보다 높되, 제1 저작권자가 등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작 컨텐츠의 평균 가치와 제2 저작 컨텐츠의 현재 가치 간의 가치 비대칭 청보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분 비율이 제2 저작권자로부터 승인되면, 상기 2차 저작 컨텐츠의 최저 가치는, 상기 지분 비율에 따른 상기 2차 저작 컨텐츠의 제2 저작권자의 지분 가치가 상기 제2 저작 컨텐츠의 현재 가치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방법.
    .
KR1020210184885A 2021-12-22 2021-12-22 블록체인 기반의 nft가 적용된 객체 간의 매칭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 KR102443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885A KR102443666B1 (ko) 2021-12-22 2021-12-22 블록체인 기반의 nft가 적용된 객체 간의 매칭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885A KR102443666B1 (ko) 2021-12-22 2021-12-22 블록체인 기반의 nft가 적용된 객체 간의 매칭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666B1 true KR102443666B1 (ko) 2022-09-16

Family

ID=8344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885A KR102443666B1 (ko) 2021-12-22 2021-12-22 블록체인 기반의 nft가 적용된 객체 간의 매칭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6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213B1 (ko) * 2022-10-13 2024-01-31 오주영 레시피의 nft 등록 시스템 및 방법
KR102635950B1 (ko) * 2023-03-21 2024-02-13 (주)노웨어소프트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773A (ko) * 2018-04-13 2019-10-23 한상훈 콘텐츠 창작자와 후원자 매칭을 통한 온라인 콘텐츠 투자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41450A (ko) * 2018-06-14 2019-12-24 이제아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KR20200046260A (ko) * 2018-10-24 2020-05-07 김건호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콜렉터블 카드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10128998A (ko) * 2020-02-27 2021-10-27 (주)브레인콜라 블록체인을 이용한 최초 저작권자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773A (ko) * 2018-04-13 2019-10-23 한상훈 콘텐츠 창작자와 후원자 매칭을 통한 온라인 콘텐츠 투자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41450A (ko) * 2018-06-14 2019-12-24 이제아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KR20200046260A (ko) * 2018-10-24 2020-05-07 김건호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콜렉터블 카드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10128998A (ko) * 2020-02-27 2021-10-27 (주)브레인콜라 블록체인을 이용한 최초 저작권자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213B1 (ko) * 2022-10-13 2024-01-31 오주영 레시피의 nft 등록 시스템 및 방법
KR102635950B1 (ko) * 2023-03-21 2024-02-13 (주)노웨어소프트 블록체인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740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reative work collaborative systems
US8706809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reative work collaborative systems
KR102443666B1 (ko) 블록체인 기반의 nft가 적용된 객체 간의 매칭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
WO2019100084A1 (en) Decentralized autonomous evaluation engine for intellectual property assets
US20200250780A1 (en) Decentralized Autonomous Evaluation Engine for Intellectual Property Assets
CN108701325A (zh) 自调节交易系统以及用于该系统的方法
CN109643420A (zh) 用于在区块链上有效转移实体的方法和系统
KR102132876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류패션 디자인의 저작권과 수익배분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091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reation and the exchange of a copyright for each ai-generated multimedia via a blockchain
KR102451133B1 (ko) Nft 기반 언론사 콘텐츠의 거래 및 진위 여부 검증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67373B1 (ko)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1514410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forward royalties using a distributed ledger
CN102332133A (zh) 一种应用电子标签的虚拟物品交易方法及系统
Bergman et al. Business model archetypes for data marketplaces in the automotive industry: Contrasting business models of data marketplaces with varying ownership and orientation structures
Sharma et al. Towards trustworthy and independent data marketplaces
Yablonsky Intermediaries in e-commerce
WO2023288205A1 (en) Artifact origination and content tokenization
Lundquist et al. Digital platforms and global value chains
Rodrigo et al. UniCon: Universal and scalable infrastructure for digital asset management
US20230237408A1 (en) Genisor operational auxilium toolkit for non-fungible assets
KR102476474B1 (ko) 숏폼 비디오 플랫폼에서 숏폼 비디오의 리뷰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숏펌 비디오 커머스 리뷰 플랫폼장치
Wang A Dynamic CGE Model for Consumer Trust Mechanism within an E‐Commerce Market
Yaraddi Advanced Swot Analysis of E Commerce Startups in Karnataka State
KR102669435B1 (ko) Nft 마켓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Yamamoto et al. Angels or demons? Classifying desirable heavy users and undesirable power sellers in online C2C marketpl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