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450A -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450A
KR20190141450A KR1020180068239A KR20180068239A KR20190141450A KR 20190141450 A KR20190141450 A KR 20190141450A KR 1020180068239 A KR1020180068239 A KR 1020180068239A KR 20180068239 A KR20180068239 A KR 20180068239A KR 20190141450 A KR20190141450 A KR 20190141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al
creator
content
cultural content
reven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3291B1 (ko
Inventor
이제아
조영애
Original Assignee
이제아
조영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아, 조영애 filed Critical 이제아
Priority to KR1020180068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291B1/ko
Publication of KR20190141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5Including financial accou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창작자가 블록체인(BC)으로부터 발행된 전자화폐를 사용하여, 문화콘텐츠를 등록하는 문화콘텐츠등록부(100);와, 구매자가 블록체인(BC)으로부터 발행된 전자화폐를 사용하여,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100)에 등록된 문화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콘텐츠활용부(200);와,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100)를 통해 등록된 문화콘텐츠로부터 상기 문화콘텐츠활용부(200)에 의해 금전적 가치가 발생될 경우, 발생된 수익을 배분하여 창작자 및 구매자에게 전달하는 문화콘텐츠수익배분부(300); 및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100), 문화콘텐츠활용부(200), 문화콘텐츠수익배분부(300)를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400);로 구성되되,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100)는,
창작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를 입력하는 문화콘텐츠입력모듈(110);과, 창작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의 최초 가치를 설정하는 문화콘텐츠가치설정모듈(120);과, 창작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의 시장(market) 크기를 설정하는 문화콘텐츠마켓설정모듈(130);과, 창작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문화콘텐츠마켓설정모듈(130)의 크기에 준하여 창작자가 문화콘텐츠의 활용에 대한 증가비율을 설정하는 문화콘텐츠활용증가비율설정모듈(140);과, 창작자가 등록한 문화콘텐츠로부터 금전적 가치가 발생될 경우에, 문화콘텐츠수익배분부(300)에 의해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수익이 배분되도록 미리 창작자와 구매자의 수익 배분 비율을 결정하는 문화콘텐츠배분비율설정모듈(150); 및 창작자에 의해 등록된 문화콘텐츠에 고유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문화콘텐츠고유정보생성모듈(160);로 구성되고,
상기 문화콘텐츠수익배분부(300)는,
창작자에 의해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100)에서 설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창작자와 구매자 간에 수익이 배분되도록 하되,
Figure pat00005

상기의 식으로 구매자의 수익률이 배분되도록 구성되어,
창작자의 문화콘텐츠를 보호함과 동시에, 창작자가 등록한 문화콘텐츠로부터 수익이 발생될 경우,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수익 배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창작자에 의해 등록된 최초 문화콘텐츠를 보호하고, 등록된 문화콘텐츠로부터 발생되는 금전적 가치에 대한 수익 배분이 투명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문화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시장 경제의 선순환의 구조가 강화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Managerial system for culture contents based on the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체인으로 창작자에 의해 등록된 최초 문화콘텐츠를 보호함과 동시에, 창작자가 등록한 최초 문화콘텐츠로부터 구매자에 의해 금전적 가치가 발생될 경우, 창작자에 의해 설정된 수익 배분율을 통해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수익 배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및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정보의 노출성이 동반된다.
이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편리성을 제고하는 이면으로, 최초 창작자의 아이디어가 쉽게 도용, 복제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함께 야기시킨다.
즉, 자금, 시간, 창의력, 노동력 등 창작자의 열정과 노력이 들어간 아이디어 또는 결과물을 창작자가 네트워크상에 게재하였을 때, 제 3자에 의한 도용 및 무단 복제로부터 아이디어 또는 결과물에 대한 창작자로서의 권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미비하여, 창작자의 불안감을 해소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창작자의 아이디어 또는 아이디어로부터 제작된 결과물에 대해 저장된 정보가 제 3자에 의해 수정되지 않도록, 창작자의 아이디어 또는 아이디어로부터 제작된 결과물을 보호하고, 이로 인해 창작자의 불안감을 해소시킴과 동시에, 창작자로 하여금 창작활동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창작자의 아이디어 또는 아이디어부터 제작된 결과물을 관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창작자의 아이디어 또는 결과물을 관리하는 시스템과, 블록체인(block chain) 기술을 결합하되, 종래의 가상화폐의 모호성을 해결하고, 제 3자가 창작자의 아이디어 또는 결과물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창작자의 아이디어 또는 결과물의 잠재적 가치에 투자 개념이 포함된, 실물화폐와의 연계성을 가진 새로운 전자화폐를 추가하여 창작자에 의해 설정된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창작자와 시스템 간의, 구매자와 시스템 간의 수익 배분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창작자로부터 제작된 문화콘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창작자의 불안감을 해소시키고, 이후, 자신의 문화콘텐츠로부터 수익이 발생될 경우, 자동으로 수익에 대한 배분까지 관리되도록 함으로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맞추어 문화콘텐츠의 보호 및 수익 배분의 투명성이 함께 강화되도록 하였다.
이에,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8005호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리 위변조 감지시스템"(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콘텐츠제공업체측이 운영하는 서버에 저장관리되는 저작권자의 저작권리가 금액으로 환산된 저작권 이용관련 대금분배정보, 저작권자의 저작권리에 해당하는 금액을 받을 수 있는 일자로 이용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등록일정보 및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등록권리 만료일정보 등 저작권자의 저작권리를 행사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위변조 시 이를 감지하고, 그 위변조가 감지된 디지털 콘텐츠의 경우 전송 자체를 차단하여 줌으로써, 저작권자의 저작권리와 관련해 콘텐츠제공업체측과 체결한 저작권리에 대해 오롯이 보호받게 하여 주고, 사용자가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제공업체측이 운영하는 서버에 회원으로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도 디지털 콘텐츠의 시청에 따른 서비스 이용대금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어, 이용편의성을 극대화시켜 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비트코인 결제용 트랜잭션정보가 전송 시 그 전송된 비트코인 결제용 트랜잭션정보를 검증을 통해 비트코인 결제를 인증하고, 그 인증에 따라 비트코인 결제용 트랜잭션정보가 기록되는 블록체인이 탑재된 것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서비스하여 발생되는 저작 이익에 대하여 저작권자 및 콘텐츠 제공업체 간에 배분하는데 필요한 저작권리 배분관련 필수항목정보가 해싱알고리즘을 통해 가공처리된 인덱스 해시들이 해시트리구조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루트해시를 포함하는 루트해시 기록용 트랜잭션정보가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된 블록체인 보유서버들과, 디지털 콘텐츠가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 제공서버와, 디지털 콘텐츠 재생기가 탑재된 것으로,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의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단말과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서비스하여 발생되는 저작 이익에 대해서 저작권자 및 콘텐츠제공업체 간에 배분하는데 필요한 저작권리 배분관련 필수항복정보가 해싱알고리즘을 통해 가공처리된 인덱스 해시들이 해시트리구조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루트해시를 포함하는 루트해시 기록용 트랜잭션정보가 저장된 루트해시 기록용 트랜잭션정보 DB 및 상기 블록체인 보유서버의 블록체인에 저장된 루트해시 기록용 트랜잭션정보를 검색하는데 키값으로 이용되는 트랜잭션 ID정보가 저장된 루트해시 검색용 트랜잭션 식별자정보 DB를 포함하는 DB부 및 해시처리엔진을 갖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의 시청이 요청되면, 상기 해시처리엔진이 상기 루트해시 검색용 트랜잭션 식별자정보 DB를 참조하여 그 요청된 해당 디지털 콘텐츠가 속하는 트랜잭션 ID정보를 블록체인 보유서버들에게 전송하여, 루트해시 기록용 트랜잭션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그 요청에 의해 전송된 해당 블록체인 보유서버측의 루트해시 기록용 트랜잭션정보의 해시값과 상기 루트해시 기록용 트랜잭션정보 DB에 저장된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루트해시 기록용 트랜잭션정보의 해시값을 각각 연산하여, 양쪽의 해시값이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서버에 저장된 해당 디지털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저작권 관리서버로 이루어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리 위변조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0509호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하, '선행기술 2'라 함.)은,
확장된 레코드 데이터 구조 및 애플리케이션의 세트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집약체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콘텐츠 공급자들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확장된 레코드 데이터 구조는 미리 정의된 표준 타입의 표준 데이터 엘리먼트와 관련된 레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표준 레코드 데이터 구조 및 미리 정의된 표준 타입과는 상이한 비표준 타입을 갖는 비표준 데이터 엘리먼트와 관련된 레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비표준 레코드 데이터 구조를 포함하고, 그 방법은 하나 이상의 콘텐츠 공급자들로부터 콘텐츠(상기 콘텐츠는 각각의 타입의 관련 데이터 엘리먼트의 세트를 포함함)를 수신하는 단계 및 각각의 데이터 엘리먼트에 대해 상기 데이터 엘리먼트가 표준 타입을 가지면 상기 표준 레코드 데이터 구조 내에 상기 데이터 엘리먼트에 대한 레코드(상기 레코드는 공통 레코드 식별자 및 상기 데이터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데이터 값을 포함함)를 생성하는 단계, 데이터 엘리먼트가 비표준 타입을 가지면 상기 데이터 엘리먼트에 대해 비표준 데이터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비표준 레코드 데이터 구조에 상기 데이터 엘리먼트에 대한 레코드(상기 레코드는 상기 공통 레코드 식별자 및 상기 데이터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데이터 값을 포함함)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콘텐츠 관리 방법은 공통 레코드 식별자에 기초하여 확장된 레코드 데이터 구조에 유지되는 레코드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대한 기술로, 본 발명과는 기술적 개념에 있어 일부 유사하지만, 본 발명과 대비하여 선행기술 1은,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리를 행사하는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 창작자의 문화콘텐츠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문화콘텐츠로부터 발생되는 수익이 자동으로 배분되도록 하는 본 발명과는 그 기술적 특징에 있어 차이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표준 콘텐츠를 저장하는 표준 레코드 데이터 구조와 비표준 콘텐츠를 저장하는 비표준 레코드 데이터 구조로 구성되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비표준 콘텐츠를 별도로 수신해야 할 필요성을 방지하면서, 콘텐츠 관리 디바이스가 임의의 타입의 콘텐츠를 직접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대한 기술로 본 발명과 대비, 그 기술적 특징이 상이하다.
정리하면,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공통적으로 본 발명과 대비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를 해결하는 해결방법 및 해결수단이 상이하고, 이로 인해 발휘되는 효과에 차이가 있으므로, 기술적 특징이 상이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8005호 (2016.06.0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0509호 (2017.01.20.)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창작자에 의해 제작, 생성된 최초 문화콘텐츠를 블록체인으로 보호하는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록체인을 통해 보호되고 있는 창작자의 문화콘텐츠로부터 구매자에 의해 금전적 가치가 발생되면,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수익 배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구매자가 블록체인으로부터 발행된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창작자의 문화콘텐츠를 활용할 경우, 단순히 문화콘텐츠를 활용하기 위한 수단이 아닌 창작자의 문화콘텐츠의 잠재적 가치에 투자하는 투자 개념이 포함된 수단으로서, 구매자에게 창작자가 미리 설정한 수익률에 의해 수익이 분배되도록 하는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창작자가 블록체인으로부터 발행된 전자화폐를 사용하여, 문화콘텐츠를 등록하는 문화콘텐츠등록부;
구매자가 블록체인으로부터 발행된 전자화폐를 사용하여,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에 등록된 문화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콘텐츠활용부;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문화콘텐츠로부터 상기 문화콘텐츠활용부에 의해 금전적 가치가 발생될 경우, 발생된 수익을 배분하여 창작자 및 구매자에게 전달하는 문화콘텐츠수익배분부;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 문화콘텐츠활용부, 문화콘텐츠수익배분부를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로 구성되되,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는,
창작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를 입력하는 문화콘텐츠입력모듈;
창작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의 최초 가치를 설정하는 문화콘텐츠가치설정모듈;
창작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의 시장(market) 크기를 설정하는 문화콘텐츠마켓설정모듈;
창작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문화콘텐츠마켓설정모듈의 크기에 준하여 창작자가 문화콘텐츠의 활용에 대한 증가비율을 설정하는 문화콘텐츠활용증가비율설정모듈;
창작자가 등록한 문화콘텐츠로부터 금전적 가치가 발생될 경우에, 문화콘텐츠수익배분부에 의해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수익이 배분되도록 미리 창작자와 구매자의 수익 배분 비율을 결정하는 문화콘텐츠배분비율설정모듈;
창작자에 의해 등록된 문화콘텐츠에 고유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문화콘텐츠고유정보생성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문화콘텐츠수익배분부는,
창작자에 의해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에서 설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창작자와 구매자 간에 수익이 배분되도록 하되,
Figure pat00001
상기의 식으로 구매자의 수익률이 배분되도록 구성되어,
창작자의 문화콘텐츠를 보호함과 동시에, 창작자가 등록한 문화콘텐츠로부터 수익이 발생될 경우,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수익 배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문화콘텐츠마켓설정모듈은,
창작자가 임의로 시장(market)의 수(數)를 설정하는 마켓수설정모듈;
창작자가 하나의 시장(market)에 형성될 구매자의 수(數)를 임의로 설정하는 마켓인원설정모듈;로 구성되어,
창작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의 시장(market)의 크기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문화콘텐츠배분비율설정모듈은,
창작자가 문화콘텐츠활용부로부터 발생될 총 수익 중, 창작자의 수익률을 설정하는 창작자수익설정모듈;
창작자가 문화콘텐츠활용부로부터 발생될 총 수익 중, 구매자의 수익률을 설정하는 구매자수익설정모듈;로 구성되어,
창작자에 의해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수익 배분율이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창작자에 의해 생성, 제작된 최초 문화콘텐츠를 블록체인으로 보호함으로서, 창작자로부터 등록된 문화콘텐츠가 제 3자에 의한 도용 및 무단으로 복제되어 활용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문화콘텐츠등록부를 통해 창작자와 문화콘텐츠의 정보를 체결하여, 문화콘텐츠에 대한 창작자의 저작권이 인증, 확보되도록 함으로서, 문화콘텐츠의 안전성이 극대화된다.
또한, 블록체인을 통해 보호되고 있는 창작자의 문화콘텐츠로부터 구매자에 의해 금전적 가치가 발생되면,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수익 배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문화콘텐츠등록부 및 문화콘텐츠수익배분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배분율로,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수익 배분의 투명성, 신뢰성이 극대화된다.
또한, 구매자가 블록체인으로부터 발행된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창작자의 문화콘텐츠를 활용할 경우, 단순히 문화콘텐츠를 활용하기 위한 수단이 아닌 창작자의 문화콘텐츠의 잠재적 가치에 투자하는 투자 개념을 포함한 수단이 되어, 구매자에게 창작자가 미리 설정한 수익률에 의해 수익이 분배되도록 함으로서, 구매자의 소비를 장려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한다.
이는, 특히, 스타트 업 혹은 기업의 경우에, 별도의 마케팅 전략 없이도 해당 문화콘텐츠를 활용했거나, 활용하는 구매자가 마케터(marketer)의 역할을 하도록 도모함으로서, 스타트 업 혹은 기업은 완성도 높은 문화콘텐츠를 개발, 제작하는 데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상호 선순환되는 시장 경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체인으로부터 발행되는 전자화폐는, 창작자 및 구매자가 실물화폐를 통해 구매해야 하므로, 전자화폐의 실물화폐와의 연계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제거된다.
즉, 네트워크상에서 실물화폐를 통해 구매한 전자화폐가 사용되면, 사용한 거래 이력이 블록체인에 저장되므로, 블록체인에 의해 발휘되는 전자화폐의 투명성, 증명성 및 보안성의 효과가 실물화폐에도 그대로 전이된다.
따라서, 전자화폐를 이용한 창작자와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간의, 구매자와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간의,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용성이 높은 전자화폐를 제공한다.
또한, 창작자의 문화콘텐츠에 대한 권리가 보호되므로, 창작자로 하여금 안정감 있게 창작활동에 더욱 전념할 수 있게 함으로서, 사회의 전반적인 문화콘텐츠를 이용한 산업이 더욱 발전되도록 도모하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대한 순서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문화콘텐츠수익배분부의 수익 배분율에 대한 실시 예를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수익 배분의 실시 예에 대한 제 1실시 예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수익 배분의 실시 예에 대한 제 2실시 예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생성되는 정보의 제 1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생성되는 정보의 제 2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대한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창작자가 블록체인(BC)으로부터 발행된 전자화폐를 사용하여, 문화콘텐츠를 등록하는 문화콘텐츠등록부(100);
구매자가 블록체인(BC)으로부터 발행된 전자화폐를 사용하여,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100)에 등록된 문화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콘텐츠활용부(200);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100)를 통해 등록된 문화콘텐츠로부터 상기 문화콘텐츠활용부(200)에 의해 금전적 가치가 발생될 경우, 발생된 수익을 배분하여 창작자 및 구매자에게 전달하는 문화콘텐츠수익배분부(300);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100), 문화콘텐츠활용부(200), 문화콘텐츠수익배분부(300)를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400);로 구성되되,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100)는,
창작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를 입력하는 문화콘텐츠입력모듈(110);
창작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의 최초 가치를 설정하는 문화콘텐츠가치설정모듈(120);
창작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의 시장(market) 크기를 설정하는 문화콘텐츠마켓설정모듈(130);
창작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문화콘텐츠마켓설정모듈(130)의 크기에 준하여 창작자가 문화콘텐츠의 활용에 대한 증가비율을 설정하는 문화콘텐츠활용증가비율설정모듈(140);
창작자가 등록한 문화콘텐츠로부터 금전적 가치가 발생될 경우에, 문화콘텐츠수익배분부(300)에 의해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수익이 배분되도록 미리 창작자와 구매자의 수익 배분 비율을 결정하는 문화콘텐츠배분비율설정모듈(150);
창작자에 의해 등록된 문화콘텐츠에 고유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문화콘텐츠고유정보생성모듈(160);로 구성되고,
상기 문화콘텐츠수익배분부(300)는,
창작자에 의해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100)에서 설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창작자와 구매자 간에 수익이 배분되도록 하되,
Figure pat00002
상기의 식으로 구매자의 수익률이 배분되도록 구성되어,
창작자의 문화콘텐츠를 보호함과 동시에, 창작자가 등록한 문화콘텐츠로부터 수익이 발생될 경우,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수익 배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BC)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통해 창작자의 문화콘텐츠를 보호하고, 동시에 구매자에 의해 창작자가 등록한 문화콘텐츠로부터 수익이 발생되면,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수익 배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문화콘텐츠마켓설정모듈(130)은,
창작자가 임의로 시장(market)의 수(數)를 설정하는 마켓수설정모듈(131);
창작자가 하나의 시장(market)에 형성될 구매자의 수(數)를 임의로 설정하는 마켓인원설정모듈(132);로 구성되어,
창작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의 시장(market)의 크기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문화콘텐츠배분비율설정모듈(150)은,
창작자가 문화콘텐츠활용부(200)로부터 발생될 총 수익 중, 창작자의 수익률을 설정하는 창작자수익설정모듈(151);
창작자가 문화콘텐츠활용부(200)로부터 발생될 총 수익 중, 구매자의 수익률을 설정하는 구매자수익설정모듈(152);로 구성되어,
창작자에 의해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수익 배분율이 설정되도록 한다.
또한, 문화콘텐츠고유정보생성모듈(160)은,
창작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가 아이디어인지, 콘텐츠로서 제작된 결과물인지를 선택하는 문화콘텐츠성질설정모듈(161);
상기 문화콘텐츠성질설정모듈(161)에 의해 선택된 창작자의 문화콘텐츠에 고유문자를 부여하는 문화콘텐츠고유문자부여모듈(162);로 구성되어,
창작자의 문화콘텐츠에 고유정보가 생성되도록 한다.
한편, 문화콘텐츠활용부(200)는,
구매자가 블록체인(BC)으로부터 발행된 전자화폐를 사용하여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100)에 등록된 창작자의 문화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도록 목록을 제공하는 등록문화콘텐츠목록제공모듈(210);
상기 등록문화콘텐츠목록제공모듈(210)을 통해 구매자가 활용하고자 하는 창작자의 문화콘텐츠를 선택하는 등록문화콘텐츠출력모듈(220);로 구성되어,
구매자가 문화콘텐츠등록부(100)에 등록된 창작자의 문화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의 (a)를 참조하여 창작자 관점에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창작자는 먼저 블록체인(BC)으로부터 발행된 전자화폐를 실물화폐를 사용하여 구매하고,(▶ 전자화폐 전환단계, S10)
등록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의 권리를 보호받기 위해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1)에 접속한다.(▶ 시스템 접속단계, S20)
이후, 구매한 전자화폐의 일정 금액(창작자가 자신의 문화콘텐츠를 등록하기 위해 지불하는 금액)을 사용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를 문화콘텐츠입력모듈(110)에 입력하여 문화콘텐츠를 등록시킨다.(▶ 문화콘텐츠 등록단계, S30)
이때, 문화콘텐츠를 등록시키면서, 창작자는 문화콘텐츠의 최초 가치(최소 금액)와 시장(market)의 크기, 증가비율 및 수익 발생 시 배분될 배분비율을 설정해야 한다.(▶ 최소가치 설정단계, 시장크기 설정단계, 증가비율 설정단계, 배분비율 설정단계, S31, S32, S33, S34)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문화콘텐츠 등록단계(S30)가 완료되면, 창작자가 등록한 문화콘텐츠에 대한 정보와,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1) 간의 거래 정보가 체결, 생성되어,(▶ 문화콘텐츠정보 생성단계, S40)
블록체인(BC)에 기록된다.(▶블록체인 기록단계, S50)
즉, 창작자가 블록체인(BC)으로부터 발행된 전자화폐를 사용하여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1)과 거래를 하였으므로, 그에 대한 정보는 더 이상 수정이 불가능한 상태로 공공의 장부인 블록체인(BC)에 기록되어, 해당 문화콘텐츠의 창작자로서 권리가 보호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3의 (b)를 참조하여 구매자의 관점에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구매자는 먼저 블록체인(BC)으로부터 발행된 전자화폐를 실물화폐를 사용하여 구매하고,(▶ 전자화폐 전환단계, S100)
등록된 문화콘텐츠를 활용하기 위해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1)에 접속한다.(▶ 시스템 접속단계, S200)
이후, 활용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를 등록문화콘텐츠목록제공모듈(210)로부터 검색하여,(▶ 등록문화콘텐츠 검색단계, S300)
구매한 전자화폐의 일정 금액(창작자가 자신의 문화콘텐츠를 활용하는 조건으로 미리 설정해 놓은 금액)을 사용, 활용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를 선택, 활용한다.(▶ 등록문화콘텐츠 출력단계, S400)
이때, 구매자가 선택한 문화콘텐츠에 대한 정보와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1) 간의 거래 정보가 체결, 생성되어,(▶ 등록문화콘텐츠정보 생성단계, S500)
블록체인(BC)에 기록된다.(▶블록체인 기록단계, S600)
즉, 구매자가 블록체인(BC)으로부터 발행된 전자화폐를 사용하여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1)과 거래를 하였으므로, 그에 대한 정보는 더 이상 수정이 불가능한 상태로 공공의 장부인 블록체인(BC)에 해당 문화콘텐츠의 구매자로서 정보가 기록된다.
즉, 창작자가 문화콘텐츠등록부(100)에 문화콘텐츠를 등록할 경우와, 구매자가 문화콘텐츠활용부(200)를 통해 문화콘텐츠등록부(100)에 등록된 문화콘텐츠를 활용할 경우에, 블록체인(BC)에 거래 정보가 저장됨으로서, 창작자의 문화콘텐츠가 보호된다.(도 7 내지 도 8 참조, 도 7은 창작자와 시스템 간의, 도 8은 구매자와 시스템 간의 체결, 생성되어 블록체인(BC)에 저장되는 문화콘텐츠 정보에 대한 실시 예이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1)은 창작자가 등록한 문화콘텐츠로부터 수익이 발생될 경우에도,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수익 배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를 실시 예로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창작자가 문화콘텐츠등록부(100)를 통해 등록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를 등록시킬 때, 문화콘텐츠의 시장(market) 크기를,
제 1실시 예로서,
문화콘텐츠의 최초 가치는 100[원],
시장(market)의 수(數)는 1[개],
시장(market)에 포함될 구매자의 수(數)는 10[명],
구매자에 따른 문화콘텐츠 활용 시, 증가비율은 100[%],
창작자와 구매자의 수익률 배분비가 50:50으로 창작자에 의해 설정될 경우에는,
창작자와 구매자의 수익 배분은 도 4에 도시된 도면의 '1차 시장(1st market)'에 해당되는 그래프로 나타나며, 도 5와 같이 계산식(A)에 의해 구매자의 수익률이 계산된다.
또한, 제 2실시 예로서는,
문화콘텐츠의 최초 가치는 100[원],
시장(market)의 수(數)는 2[개],
1차 시장(market)에 포함될 구매자의 수(數)는 10[명],
1차 시장(market)에서 구매자에 따른 문화콘텐츠 활용 시, 증가비율은 100[%],
1차 시장(market)에서의 창작자와 구매자의 수익률 배분비는 50:50,
2차 시장(market)에 포함될 구매자의 수(數)는 20[명],
2차 시장(market)에서의 문화콘텐츠의 고정 가치는 1000[원],
2차 시장(market)에서의 창작자와 구매자의 수익률 배분비는 50:50,
1차 시장(market)과 2차 시장(market)의 수익 배분율이 연계되는 것으로 창작자에 의해 설정될 경우에는,
창작자와 구매자의 수익 배분은 도 4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나타나며, 도 6과 같이 계산식(A와 A2)에 의해 구매자의 수익률이 계산된다.
이때, 창작자로 하여금 시장(market)의 수(數)가 2[개] 이상 형성될 시에는,
하기의 계산식(A2)이 적용된다.
Figure pat00003
그리고, 상기 제 2실시 예에서는 창작자가 1차 시장(market)과, 2차 시장(market)의 수익 배분율이 연계되도록 설정하였지만,
시장(market)의 연계 혹은 분리는 창작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는, 1차 시장(market)의 구매자에게 보다 많은 혜택을 주기 위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느냐, 혹은 각각의 시장(market)에서의 구매자에게 한정하여 수익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하느냐를 결정하여 창작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창작자는 구매자에게 일정 수익을 구매자의 순번에 따라 등차 배분되도록 함으로서, 구매자가 문화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일정 수익이 발생될 경우, 투자에 대한 대가(代價)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참고하여, 창작자에 의해 설정되는 문화콘텐츠의 활용에 대한 증가비율과 최초 가치는 창작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를 문화콘텐츠등록부(100)에 등록할 때 지불하는 전자화폐의 단위(금액)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창작자가 등록할 때 지불하는 전자화폐의 단위(금액)가 작으면 등록하는 문화콘텐츠의 최초 가치의 설정 범위와 증가비율의 설정 범위도 작아지며,
이와 반대로, 등록할 때 지불하는 전자화폐의 단위(금액)가 크면 등록하는 문화콘텐츠의 최초 가치의 설정 범위와 증가비율의 설정 범위도 커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자화폐는 종래의 가상화폐와는 달리, 실물화폐가 가지는 교환 매매, 가치 척도, 가치 저장의 3[가지] 기능 이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투자 가치'를 포함한다.
한편, 문화콘텐츠등록부(100)로부터 생성되는 문화콘텐츠의 정보는,
날짜, 시간, 거래 이력, 문화콘텐츠의 고유번호, 시장(market) 크기에 대한 정보, 증가비율 등이 조합된 수정이 불가능한 창작자와 시스템 간의, 구매자와 시스템 간의 체결된 정보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문화콘텐츠'란,
각본, 시나리오, 시험문제, 논문, 부호, 문자, 음성, 음향, 영상 등의 자료 또는 정보가 포함된 인간의 사고와 감정을 표현한 내용물로서 문자, 소리, 화상 등의 형태로 표현된 것으로, 이를 토대로 영화든, 학습이든, 뉴스든 저작권을 주장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원작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문화콘텐츠'는 문화, 예술, 학술적 내용의 창작 또는 제작물뿐만 아니라, 창작물을 이용하여 재생산된 모든 가공물 그리고 창작물의 수집, 가공을 통해서 상품화된 결과물, 나아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에서 거래될 수 있는 상품 및 물품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시스템을 제작하고, 구축하여 안정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관련 산업 및 본 발명이 적용되어 창작자의 문화콘텐츠를 보호, 관리하는 서비스업, 이가 적용된 IT산업 등 다양한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1: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100: 문화콘텐츠등록부 110: 문화콘텐츠입력모듈
120: 문화콘텐츠가치설정모듈 130: 문화콘텐츠마켓설정모듈
140: 문화콘텐츠활용증가비율설정모듈
150: 문화콘텐츠배분비율설정모듈
160: 문화콘텐츠고유정보생성모듈 161: 문화콘텐츠성질설정모듈
162: 문화콘텐츠고유문자부여모듈
200: 문화콘텐츠활용부
210: 등록문화콘텐츠목록제공모듈 220: 등록문화콘텐츠출력모듈
300: 문화콘텐츠수익배분부 400: 시스템제어부
S10, S100: 전자화폐 전환단계 S20, S200: 시스템 접속단계
S30: 문화콘텐츠 등록단계 S31: 최소가치 설정단계
S32: 시장크기 설정단계 S33: 증가비율 설정단계
S34: 배분비율 설정단계 S40: 문화콘텐츠정보 생성단계
S50, S600: 블록체인 기록단계 S300: 등록문화콘텐츠 검색단계
S400: 등록문화콘텐츠 출력단계
S500: 등록문화콘텐츠정보 생성단계
B: 구매자 C: 창작자
BC: 블록체인 ECE: 전자화폐거래소

Claims (3)

  1.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창작자가 블록체인(BC)으로부터 발행된 전자화폐를 사용하여, 문화콘텐츠를 등록하는 문화콘텐츠등록부(100);
    구매자가 블록체인(BC)으로부터 발행된 전자화폐를 사용하여,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100)에 등록된 문화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콘텐츠활용부(200);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100)를 통해 등록된 문화콘텐츠로부터 상기 문화콘텐츠활용부(200)에 의해 금전적 가치가 발생될 경우, 발생된 수익을 배분하여 창작자 및 구매자에게 전달하는 문화콘텐츠수익배분부(300);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100), 문화콘텐츠활용부(200), 문화콘텐츠수익배분부(300)를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400);로 구성되되,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100)는,
    창작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를 입력하는 문화콘텐츠입력모듈(110);
    창작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의 최초 가치를 설정하는 문화콘텐츠가치설정모듈(120);
    창작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의 시장(market) 크기를 설정하는 문화콘텐츠마켓설정모듈(130);
    창작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문화콘텐츠마켓설정모듈(130)의 크기에 준하여 창작자가 문화콘텐츠의 활용에 대한 증가비율을 설정하는 문화콘텐츠활용증가비율설정모듈(140);
    창작자가 등록한 문화콘텐츠로부터 금전적 가치가 발생될 경우에, 문화콘텐츠수익배분부(300)에 의해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수익이 배분되도록 미리 창작자와 구매자의 수익 배분 비율을 결정하는 문화콘텐츠배분비율설정모듈(150);
    창작자에 의해 등록된 문화콘텐츠에 고유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문화콘텐츠고유정보생성모듈(160);로 구성되고,
    상기 문화콘텐츠수익배분부(300)는,
    창작자에 의해 상기 문화콘텐츠등록부(100)에서 설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창작자와 구매자 간에 수익이 배분되도록 하되,
    Figure pat00004

    상기의 식으로 구매자의 수익률이 배분되도록 구성되어,
    창작자의 문화콘텐츠를 보호함과 동시에, 창작자가 등록한 문화콘텐츠로부터 수익이 발생될 경우,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수익 배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문화콘텐츠마켓설정모듈(130)은,
    창작자가 임의로 시장(market)의 수(數)를 설정하는 마켓수설정모듈(131);
    창작자가 하나의 시장(market)에 형성될 구매자의 수(數)를 임의로 설정하는 마켓인원설정모듈(132);로 구성되어,
    창작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의 시장(market)의 크기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문화콘텐츠배분비율설정모듈(150)은,
    창작자가 문화콘텐츠활용부(200)로부터 발생될 총 수익 중, 창작자의 수익률을 설정하는 창작자수익설정모듈(151);
    창작자가 문화콘텐츠활용부(200)로부터 발생될 총 수익 중, 구매자의 수익률을 설정하는 구매자수익설정모듈(152);로 구성되어,
    창작자에 의해 창작자와 구매자 간의 수익 배분율이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KR1020180068239A 2018-06-14 2018-06-14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KR102093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239A KR102093291B1 (ko) 2018-06-14 2018-06-14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239A KR102093291B1 (ko) 2018-06-14 2018-06-14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450A true KR20190141450A (ko) 2019-12-24
KR102093291B1 KR102093291B1 (ko) 2020-03-26

Family

ID=6902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239A KR102093291B1 (ko) 2018-06-14 2018-06-14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29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666B1 (ko) * 2021-12-22 2022-09-16 김자훈 블록체인 기반의 nft가 적용된 객체 간의 매칭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
KR102492987B1 (ko) * 2021-12-30 2023-01-31 주식회사 너디스타 무형자산의 가치책정 및 가상화폐의 발행과 분배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23177005A1 (ko) * 2022-03-16 2023-09-21 (주) 유에이썬 Nft 및 nft 정보 관리 기술이 접목된 셀피 관리 시스템
WO2023177006A1 (ko) * 2022-03-16 2023-09-21 (주) 유에이썬 Nft 기술을 활용한 보상 시스템을 포함하는 셀피 보상 시스템
WO2023177004A1 (ko) * 2022-03-16 2023-09-21 (주) 유에이썬 Nft 기술이 접목된 셀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5600A (zh) * 2018-07-18 2019-01-2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向作品发布者发放奖励的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755B1 (ko) * 2013-04-09 2014-01-07 김지회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거래중개 방법
KR20140116277A (ko) * 2013-03-21 2014-10-02 최만석 대중 참여를 이용한 온라인 콘텐츠 개발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44645A (ko) * 2014-06-17 2015-12-28 어준선 디지털 화폐와 연동되어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 제공, 재생하기 위한 방법, 이를 이용한 단말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28005B1 (ko) 2015-02-05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리 위변조 감지시스템
KR101700509B1 (ko) 2014-05-30 2017-01-26 아마데우스 에스.에이.에스. 콘텐츠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277A (ko) * 2013-03-21 2014-10-02 최만석 대중 참여를 이용한 온라인 콘텐츠 개발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1346755B1 (ko) * 2013-04-09 2014-01-07 김지회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거래중개 방법
KR101700509B1 (ko) 2014-05-30 2017-01-26 아마데우스 에스.에이.에스. 콘텐츠 관리 시스템
KR20150144645A (ko) * 2014-06-17 2015-12-28 어준선 디지털 화폐와 연동되어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 제공, 재생하기 위한 방법, 이를 이용한 단말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28005B1 (ko) 2015-02-05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리 위변조 감지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666B1 (ko) * 2021-12-22 2022-09-16 김자훈 블록체인 기반의 nft가 적용된 객체 간의 매칭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
KR102492987B1 (ko) * 2021-12-30 2023-01-31 주식회사 너디스타 무형자산의 가치책정 및 가상화폐의 발행과 분배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23177005A1 (ko) * 2022-03-16 2023-09-21 (주) 유에이썬 Nft 및 nft 정보 관리 기술이 접목된 셀피 관리 시스템
WO2023177006A1 (ko) * 2022-03-16 2023-09-21 (주) 유에이썬 Nft 기술을 활용한 보상 시스템을 포함하는 셀피 보상 시스템
WO2023177004A1 (ko) * 2022-03-16 2023-09-21 (주) 유에이썬 Nft 기술이 접목된 셀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291B1 (ko)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fstetter et al. Crypto-marketing: How non-fungible tokens (NFTs) challenge traditional marketing
CN108885745B (zh) 具有令牌化的基于区块链的交换
US20210166203A1 (en) System and process for tokenization of digital media
CN109155035B (zh) 用于使用区块链在点对点分布式账簿上有效转移实体的方法及系统
CN109074580B (zh) 在区块链上安全转移实体的方法和系统
US20210256550A1 (en) Blockchain-Enabled Crypto Asset Compliance System for Tracking Asset Allocation
KR10209329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WO2020080537A1 (ja) 取扱管理装置
JP2023184749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に登録されたデジタルアセットを分配する方法及び自律計算エージェント
US7739238B2 (en) Method of digital media management in a file sharing system
US100557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icing and exchanging content
CN109643420A (zh) 用于在区块链上有效转移实体的方法和系统
US20040059683A1 (en) Automated multi-level marketing system
KR102343615B1 (ko) 예술 작품 거래와 정보 관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11948132B2 (en) Cryptographically secure booster packs in a blockchain
KR20200046260A (ko)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콜렉터블 카드 관리 장치 및 방법
Rafati Niya et al. DeTi: A Decentralized Ticketing Management Platform
KR20230011197A (ko) Nft를 이용한 실제 예술품 거래 방법
JP7323676B1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信託プラットフォームで用いる信託プログラム
Galphat et al. Blockchain based Music Streaming Platform using NFTs
KR102582867B1 (ko) 대체 불가 토큰 기반 기부용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를 관리하기 위한 창작물 권리 서버 및 가치 평가 서버
Bachmann et al. Deti: A decentralized ticketing management platform
US202103578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urchasing digital media in a secure electronic marketplace
KR20080096282A (ko) 회원간 컨텐츠 직거래 시스템
Pech Unchain My Art–Copyright Implications of Tokenized Artworks Under US and EU La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